KR20170091875A -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875A
KR20170091875A KR1020160012683A KR20160012683A KR20170091875A KR 20170091875 A KR20170091875 A KR 20170091875A KR 1020160012683 A KR1020160012683 A KR 1020160012683A KR 20160012683 A KR20160012683 A KR 20160012683A KR 20170091875 A KR20170091875 A KR 20170091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monitoring
emergency
unit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화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화엠텍
Priority to KR102016001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875A/ko
Publication of KR2017009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6Wireless systems, other than 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무전기를 포함하는 경고방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주변 상황에 관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그리고 제1 채널을 사용하는 무전기 통신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1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을 수신하고, 그렇게 수신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경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출력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에 의하여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의 주변에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무전기는 상기 경비의 경고 음성을 제2 채널을 사용하는 무전기 통신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제2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그렇게 수신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를 스피커부에 경고방송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은 기존에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시스템의 구성을 약간만 변경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을 거의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고, 또한 적은 비용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Warning Broadcasting System Using Two-Way Radio Transceiver}
본 발명은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아파트) 주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 장치에 음성출력 장치(스피커)를 추가하여 구성되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를 아파트 경비실에 이미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링 장치 및 경비가 소지하고 사용하는 핸드 헬드 형태의 무전기와 무선통신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고 또한 적은 비용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아파트) 단지 내에는 강도, 도난, 폭력 등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대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된다. 이러한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주변 상황에 관한 동영상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아파트 관리실 또는 경비실에 마련된 모니터링 장치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아파트 경비에 의하여 모니터링된다. 주변 상황 동영상은 사후적으로 범인을 검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경비는 모니터링한 결과, 수상한 사람이 목격되는 경우 해당 지역을 순찰함으로써 수상한 사람이 범죄를 실행하지 못하게 하기도 하고, 폭력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지역을 순찰하여 폭력상황을 조기에 종결시키도록 노력한다. 그러나, 아파트에서 근무하는 경비는 주로 나이가 많고 힘이 약한 분이어서 폭력상황과 같은 초기적 범죄 발생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또한 범죄를 계획한 사람이 수상한 거동을 하는 경우에 경비가 그러한 수상한 사람에게 접근하였을 때 신체적 위해를 입을 염려로 인하여 경비는 그러한 상황에 대하여 소극적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경비 인력의 감소로 인하여 아파트 단지 내에서 또는 아파트 주변에서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아파트 주변에서 범죄 발생율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0427042호(2004. 04. 01. 등록)는 무선 방송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무선 방송시스템은 방송을 위하여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대신에 생활 무전기와 같은 무전기에 의하여 방송할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권한있는 무전기에 의한 입력만을 무선 방송시스템에 의하여 방송하기 위하여, 무전기에 의하여 송출되는 음성 신호는 미리 정해진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공개 제10-2006-0099596호(2006. 09. 20. 공개)는 아나로그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무선통신으로 상황실로 보내고, 주정차 위반 상황이 발생하면 상황실에서는 마이크를 통하여 주정차 위반 차량에 대하여 음성 경고에 의하여 사전계도를 하여 차량이 이동하여 적합한 곳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는 아파트 주변에서 범죄 발생율을 낮추기 위한 수단으로 적합하지 않다. 즉, 특허등록 제10-0427042호의 무선 방송시스템은 아파트 마을방송 시스템으로 적용할 수는 있으나, 그것 자체만으로는 아파트 주변에서 범죄 발생율을 낮추는데 아무런 기여도 할 수 없다. 또한 특허공개 제10-2006-0099596호의 차량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아파트 주변에서 범죄 발생율을 낮추기 위한 수단으로 채용하여, 차량 단속 목적 대신에 위급상황에 대한 경고방송을 하는 것으로 목적을 변경한다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여지는 있으나, 그러한 시스템을 아파트 단지에 적용하는 것은 그러한 시스템 자체가 고가이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에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기존 설비와는 별도로 그러한 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중복투자로 인한 자원의 낭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물론 차량 주정차 단속이라는 목적을 위급상황에 대한 경고방송을 함으로써 범죄 발생 가능성을 낮춘다는 목적으로 변경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시스템의 구성을 약간만 변경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을 거의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고, 또한 적은 비용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은 무선 송수신부, 카메라부, 스피커부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무선 송수신부,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무전기를 포함한다.
상기 경고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주변 상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그리고 제1 채널을 사용하는 무전기 통신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을 수신하고, 그렇게 수신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경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출력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에 의하여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의 주변에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무전기는 상기 경비의 경고 음성을 제2 채널을 사용하는 무전기 통신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제2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그렇게 수신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에 경고방송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하나의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무전기는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동일한 갯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공동주택(아파트) 단지 내에 마련되는 경비실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경비는 상기 경비실에서 근무하면서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가 출력하는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경비실 밖으로 순찰업무를 수행하며, 상기 무전기는 상기 경비가 소지하는 핸드 헬드형 무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전기에 의하여 전송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는 주변에 상기 위급상황이 발생한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만이 수신하여 해당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만이 상기 경고방송을 출력하고, 상기 위급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경고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방송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무전기는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동일한 갯수로 마련되며, 제1군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은 상기 제1군에 대응되는 제1의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여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될 뿐이고, 다른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서는 수신되지 않으며, 제1의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대응되는 제1의 상기 무전기에 의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는 대응되는 상기 제1군의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들에 의하여 수신될 뿐이고, 다른 군의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에 의해서는 수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경고방송 시스템 및 공동주택(아파트) 방송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방송장치는 무선 송수신부, 음성 신호 입력부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음성 신호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전기에 의하여 전송되는 음성 신호는 상기 공동주택 방송장치에 의하여 수신되어 상기 공동주택의 각 가정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방송으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은 공동주택(아파트) 주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 장치에 음성출력 장치(스피커)를 추가하여 구성되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를 아파트 경비실에 이미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링 장치 및 경비가 소지하고 사용하는 핸드 헬드 형태의 무전기와 무선통신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은 기존에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시스템의 구성을 약간만 변경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을 거의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고, 또한 적은 비용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경고방송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황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동주택 방송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고방송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 및 무전기(300)를 포함한다.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110), 카메라부(120) 및 스피커부(130)를 포함하고, 또한 이것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는 공동주택(아파트) 단지 내에 또는 주변에 설치되어 카메라부(120)에 의하여 주변 상황에 관한 동영상을 촬영하고, 그러한 동영상을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는 또한 무전기(300)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110)에 의하여 수신한 후 그러한 음성 신호를 스피커부(13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경고방송으로 출력한다.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포함하고, 또한 이것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는 무선 송수신부(210)에 의하여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가 전송한 주변 상황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그렇게 수신한 주변 상황 동영상을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한다.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는 공동주택(아파트) 단지 내에 마련된 경비실에 설치된다.
경비는 경비실에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의하여 출력된 주변 상황 동영상을 모니터링할 때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무전기(300)를 통하여 경고방송을 수행한다. 이때, 위급상황이라 함은 범죄행위 또는 범죄에 준하는 행위가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의 카메라(110)에 의하여 포착된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 금품을 갈취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하는 행위, 기물을 파손하려는 또는 파손하는 행위 등이 위급상황에 해당할 수 있다. 경고방송의 내용은 예를 들어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당신의 행위는 지금 녹화되고 있습니다. 당장 폭력행위를 중지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고방송은 경비의 경고 음성이 무전기(300)로 입력되고, 그러면 무전기(300)는 경고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러한 음성 신호를 캐리어 주파수의 전파에 실어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는 무선 송수신부(110)에 의하여 그러한 경고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스피커부(130)를 통하여 경고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에 대하여 복수개의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는 아파트 단지의 크기에 따라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복수개의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경비실 A에 설치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A(200)에 대하여 복수개의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 내지 #A9(100)가 대응되고, 경비실 B에 설치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B(200)에 대하여 복수개의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B1 내지 #B9(100)가 대응되게 구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무전기(300)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와 동일한 갯수로 마련되고, 경비에 의하여 소지되는 핸드 헬드형 무선 단말기이다. 경비는 경비실에서 근무하면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가 출력하는 주변 상황 동영상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경비실 밖으로 순찰업무를 수행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비실 A에 설치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A(200)에 대응하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 내지 #A9(100)는 카메라부(120)에 의하여 촬영한 주변 상황 동영상을 무선 송수신부(110)에 의하여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무선 송수신부(110) 및 카메라부(120)를 제어한다.
무선 송수신부(110)는 무전기 통신방식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어부(140)는 PTT(Push To Talk)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110)에 입력한 후에 카메라부(120)가 주변 상황 동영상을 무선 송수신부(110)에게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무선 송수신부(110)가 주변 상황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무선 송수신부(110)는 하나의 안테나에 의하여 주변 상황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무전기 A(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주변 상황 동영상 데이터의 전송은 제1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1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무전기 A(300)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수신은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2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무선 송수신부(110 및 210) 및 무전기(300)는 생황 무전기가 사용하는 448 MHz 또는 27 MHz 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 내지 #A9(100)는 경비실 A에 설치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A(200)만이 주변 상황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함께 전송한다. 그러면, 경비실 A에 설치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A(200)는 수신된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가 자신과 통신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임을 인식하게 되고, 따라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반면에, 다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 예를 들어, 경비실 B에 설치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B(200)는 수신된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가 자신과 통신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 아니므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경비실 A에 설치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A(200)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 내지 #A9(1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2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9개의 분할된 화면에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 내지 #A9(1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9개의 독립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 내지 #A9(1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를 각각 표시할 수도 있다.
경비실 A에서 근무하는 경비는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된 주변 상황 동영상을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특정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 예를 들어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100)의 주변에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경비는 무전기 A(300)로 경고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경비는 "당신의 행위는 지금 녹화되고 있습니다. 당장 폭력행위를 중지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경고 음성을 무전기 A(3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경비는 무전기 A(300)의 PTT(Push To Talk)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경고 음성을 무전기 A(300)에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면, 무전기 A(300)는 그러한 경고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경고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 내지 #A9(100)가 주변 상황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제1 주파수에 의한 제1 채널과는 다른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2 채널을 통하여 그러한 경고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경비실 A를 담당하는 경비가 사용하는 무전기 A(300)는 무전기 A(300)에 대응하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 내지 #A9(100) 중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100)만이 경고 음성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함께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즉 경비는 경고 음성을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100)에게만 보내려면 장치 #A1(100)에 대하여 설정한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가 송출되도록 무전기 A(300)를 조작한 후에 PTT 버튼을 누르고 경고 음성을 무전기 A(300)에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면, 장치 #A1(100)은 수신된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가 자신과 통신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임을 인식하게 되고, 따라서, 경고 음성 신호를 경고 음성으로 변환한 후 그러한 경고 음성을 스피커(130)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반면에 다른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 예를 들어 장치 #A2 내지 #A9(100) 그리고 장치 #B1 내지 #B9(100) 등은 수신한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가 자신과 통신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 아니므로 그러한 경고 음성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은 경비실 B에 설치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B(200), 이에 대응하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B1 내지 #B9(100), 및 무전기 B(3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경비는 경비실에서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200)를 보면서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A1(100) 주변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경비실 A 내에서 무전기 A(300)에 의하여 경고방송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폭력 행사자가 폭력행위를 멈추지 않을 경우, 무전기(300)는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위급상황이 발생한 지역으로 출동하면서 현장이 보이는 위치에서 경고방송을 수행함으로써 폭력 행사자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경비실 A에서는 경비 A가 계속 머무르면서 폭력행위에 대한 경고방송을 계속하면서 무전기 A(300)를 공통 채널로 맞춘 후 다른 경비들에게 장치 #A1 지점에서 폭력행위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려 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고방송 장치(10)에 의하면, 위급상황에 대한 대응을 다양하게 실행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경고방송 장치(10)는 활용능력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기술에 의하여 경고방송 장치를 구축한다면,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에 설치하기에는 경제적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전기와 별도로 구축된 경고방송 장치를 무전기와 연계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10)은 상기에서 설명한 기능 및 작동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무전기(300)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성과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상기한 구성 및 작동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10)은 공동주택(아파트) 단지 내에 또는 주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 장치에 음성출력 장치(스피커)를 추가하여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를 구성하고, 그러한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를 아파트 경비실에 이미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모니터링 장치(200) 그리고 경비가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는 핸드 헬드형 무전기(300)와 무전기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10)은 무전기통신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사용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경고방송 시스템(10)은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경고방송 시스템(10) 및 공동주택 방송장치(400)를 포함한다. 공동주택 방송장치(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410) 및 음성신호 입력부(420)를 포함하고, 또한 이것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방송장치(400)에서, 음성신호 입력부(420)는 마이크에 의하여 입력된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송수신부(410)에 입력시키면 무선 송수신부(410)는 그러한 음성 신호를 캐리어 주파수의 전파에 실어 전송한다. 음성신호 입력부(420)는 마이크에 의한 음성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제어부(430)는 그러한 음성 신호가 공동주택 방송에 대한 정당한 입력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당한 입력신호로 판단되면 그러한 음성 신호를 무선 송수신장치(410)가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동주택 방송장치(400)는 또한 무전기(300)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 송수신부(410)는 무전기(300)가 전송한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보안적 절차로서, 무선 송수신부(410)가 무전기(300)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를 안전하게 수신하기 위해서는, 무선 송수신부(410)와 무전기(300) 간에 미리 설정한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또는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가 음성 신호와 함께 전송되어야 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무전기(300)로부터 수신한 CTCSS 또는 CDCSS 신호 또는 DTMF 코드가 허용된 것이라면, 무선 송수신부(410)는 그러한 음성 신호를 음성신호 입력부(420)로 입력하고, 제어부(430)는 음성신호 입력부(420)에 입력된 그러한 음성 신호를 다시 무선 송수신부(410)에 입력하여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때, 무선 송수신부(410)에서는 동일한 음성신호를 수신한 후 송신하는 것이지만, 음성신호의 수신 때의 캐리어 주파수와 음성신호의 전송 때의 캐리어 주파수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무선 송수신부(410)는 두 개의 채널을 동시에 가동한다. 무선 송수신부(410)가 무전기통신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면, 제어부(430)는 음성신호 입력부(420)로부터 무선 송수신부(410)로 음성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무선 송수신부(410)에 PTT(Push To Talk) 신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무선 송수신부(410)에 의하여 전송된 음성신호는 아파트 각 가정 내에 설치된 댁내 방송장치(500)에 의하여 안내방송으로 출력된다. 댁내 방송장치(500)는 일반적으로 무선 수신기, 스피커 그리고 무선 수신기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을 증폭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앰프가 사용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20)에서, 무전기(300)에 의하여 공동주택 방송장치(400)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상기에서 설명한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에 의하여 출력되는 경고 음성 신호와는 다른 것이다. 즉, 그러한 음성신호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에 의해서는 출력되지 않고, 단지 댁내 방송장치(500)에 의해서만 출력되는 것이다. 즉, 경비는 필요한 경우, 자신이 소지한 무전기(300)를 사용하여 아파트 단지의 각 가정에 어떤 안내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주변 상황 동영상에 의하여 어떤 어린 아이가 다친 상황이 목격되는 경우 또는 순찰 중에 어떤 어린 아이가 다친 상황을 목격하는 경우, 그 어린이의 보호자가 신속하게 그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 가정에 안내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비는 아파트 관리실에 상황을 보고하고 아파트 관리실에서 근무하는 관리요원이 안내방송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상황대처에 대한 지연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무전기에 의한 안내방송이 더욱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경비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공동주택 방송장치(400)에 전화를 걸어 그러한 안내방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황대처에 대한 지연은 별로 발생하지 않으나 이동통신 요금을 부담하여야 하므로, 무전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덜 경제적이다.
특허등록 제10-0427042호에 따른 종래기술의 마을방송 시스템에서도 무전기에 의한 음성 입력으로 마을방송을 수행한다고 제안하였는데, 본 발명의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20)도 그러한 점에서 종래기술과는 공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20)은 무전기에 의한 음성 입력으로 마을방송을 시행하는 것에 더하여 무전기에 의하여 위급상황에 대한 경고방송을 시행한다는 점에서 더욱 발전된 모습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10: 경고방송 시스템 100: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110: 무선 송수신부 120: 카메라부
130: 스피커부 140: 제어부
200: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210: 무선 송수신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제어부
300: 무전기 400: 공동주택(아파트) 방송장치
410: 무선 송수신부 420: 음성신호 입력부
430: 제어부 500: 댁내 방송장치

Claims (6)

  1. 무선 송수신부, 카메라부, 스피커부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 무선 송수신부,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무전기를 포함하는 경고방송 시스템이고,
    상기 경고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주변 상황에 관한 동영상을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그리고 제1 채널을 사용하는 무전기 통신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을 수신하고, 그렇게 수신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경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출력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에 의하여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의 주변에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무전기는 상기 경비의 경고 음성을 제2 채널을 사용하는 무전기 통신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제2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그렇게 수신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에 경고방송으로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무전기는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동일한 갯수로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공동주택(아파트) 단지 내에 마련되는 경비실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경비는 상기 경비실에서 근무하면서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가 출력하는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경비실 밖으로 순찰업무를 수행하며, 상기 무전기는 상기 경비가 소지하는 무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에 의하여 전송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는 주변에 상기 위급상황이 발생한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만이 수신하여 해당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만이 상기 경고방송을 출력하고, 상기 위급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경고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방송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는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무전기는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동일한 갯수로 마련되며,
    제1군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주변 상황 동영상은 상기 제1군에 대응되는 제1의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여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될 뿐이고, 다른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서는 수신되지 않으며,
    제1의 상기 위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대응되는 제1의 상기 무전기에 의한 상기 경고 음성 신호는 대응되는 상기 제1군의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들에 의하여 수신될 뿐이고, 다른 군의 상기 상황 감시 및 경고방송 출력 장치에 의해서는 수신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고방송 시스템 및 공동주택(아파트) 방송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이고,
    상기 공동주택 방송장치는 무선 송수신부, 음성 신호 입력부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음성 신호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전기에 의하여 전송되는 음성 신호는 상기 공동주택 방송장치에 의하여 수신되어 상기 공동주택의 각 가정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방송으로 출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마을방송 시스템.
KR1020160012683A 2016-02-02 2016-02-02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KR20170091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83A KR20170091875A (ko) 2016-02-02 2016-02-02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83A KR20170091875A (ko) 2016-02-02 2016-02-02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75A true KR20170091875A (ko) 2017-08-10

Family

ID=5965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683A KR20170091875A (ko) 2016-02-02 2016-02-02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1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14B1 (ko) 2020-06-29 2021-05-17 이건수 산업현장 스마트무선방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14B1 (ko) 2020-06-29 2021-05-17 이건수 산업현장 스마트무선방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471B1 (ko) 유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US6753774B2 (en) Antitheft system with signals transmitted by mobile phone network
US6433683B1 (en) Multipurpose wireless video alarm device and system
CN101695126B (zh) 家庭交互式图文语音信息和智能安防系统
CN101695100A (zh) 智能家居安防系统及其控制方法
US9928711B2 (en) Campus crime neutralization method using dual-tone multi-frequency enhanced 2-way radio
KR20150092036A (ko)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CN102438126A (zh) 远程无线智能监控系统
KR101513590B1 (ko) Lte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인 방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20170091875A (ko)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KR101852056B1 (ko) 비콘 일체형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한 위치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205705Y1 (ko) 보안 시스템 장치
KR20210028400A (ko)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CN201804421U (zh) 智能家居安防系统
KR101577750B1 (ko) Ip pbx 기반의 긴급호출 시스템
JP3856017B2 (ja) 集合住宅用通話・監視統合システム
CN201430660Y (zh) 手机视频监控及安全防范报警系统
KR20100043579A (ko) 인터넷 tv를 이용한 방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38855B1 (ko)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개선된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KR101054390B1 (ko) 긴급구난 기능을 가지는 주차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2003274050A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4982647B2 (ja) 無線通報システム
KR100494085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
KR102316290B1 (ko)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67394B1 (ko) 증설 가능한 구조를 갖는 비상 인터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