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400A -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400A
KR20210028400A KR1020190109431A KR20190109431A KR20210028400A KR 20210028400 A KR20210028400 A KR 20210028400A KR 1020190109431 A KR1020190109431 A KR 1020190109431A KR 20190109431 A KR20190109431 A KR 20190109431A KR 20210028400 A KR20210028400 A KR 20210028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ergency
building
main serve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희
Original Assignee
(주)캐스트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스트윈 filed Critical (주)캐스트윈
Priority to KR102019010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400A/ko
Publication of KR2021002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합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통신자원을 이용하여 비상벨 호출, 비상 통화 및 화재 감지·경보 시스템을 통합하여 구축한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WIRELESS TYPE UNIF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본 발명은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합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통신자원을 이용하여 비상벨 호출, 비상 통화 및 화재 감지·경보 시스템을 통합하여 구축한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비롯하여 복합 건물 및 학교 등과 같은 집합건물에서는 비상벨 시스템을 구축하여 범죄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방범 조치를 취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고 있다.
이에, 종래부터 집합건물의 각 구역에 비상벨 버튼을 설치하고, 비상벨 버튼으로부터 발생한 호출신호를 관제실이나 관리실 등으로 전달하도록 중계기 및 제어라인(통신선로)을 설치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1599호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에서는 스쿨존이나 전기실 등에 세이프존 박스를 그물망과 같이 구성하여 방범 카메라와 연동 운영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별도의 중계기 및 제어라인을 설치해야 하므로 공사금액이 증가하고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기 구축된 통신 자원인 소방용 무선통신 보조설비망 등을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00027호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비상호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공동주택 단지에서 비상 호출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카메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비상벨로써 고주파 신호 키를 이용한 무선 방식이 일부 적용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소방용 무선통신 보조설비와 같은 통신 자원을 활용하는 것은 아니며, 비상시 전반적인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54503호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에서는 아파트 등 집합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소방용 무선통신 환경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신선로 구축 없이도 비상호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654503호는 비상호출 단말기와 연동되는 시스템만을 제공할 뿐, 그 외 화재발생시의 통합 관리 및 비상 통화를 위한 송수신 설비가 미비하여 완전한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1599호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0900027호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비상호출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654503호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합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통신자원을 이용하여 비상벨 호출, 비상 통화 및 화재 감지·경보 시스템을 통합하여 구축한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에 설치된 무선통신 보조설비와; 상기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 여러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 비상 호출 버튼 및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이용하여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옥내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다수개의 비상벨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통해 상기 비상벨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어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며, 비상 상황 발생시 종합적인 관리를 하는 메인 서버와; 상기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에 적어도 1개소 이상 설치되며 상기 비상벨 단말기에서 호출신호 발생시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하에 점등되는 비상 LED 램프와; 상기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에 적어도 1개소 이상 설치되며 상기 비상벨 단말기에서 호출신호 발생시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하에 경고 방송이 출력되는 경고음 스피커와; 상기 비상벨 단말기가 담당하는 구역 내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벨 단말기의 옥내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메인 서버로 화재감지신호를 전송하는 화재감지센서;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감지신호 발생시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재영상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블랙박스 영상녹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각각 상기 비상벨 단말기에 설치되며, 음성통화 마이크와, 상기 음성통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옥내 송수신 모듈로 전송하는 오디오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는 음성통화 송신기; 및 상기 옥내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복조하는 오디오 디모듈레이터와, 상기 오디오 디모듈레이터에서 복조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통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통화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벨 단말기는 무선통신 선로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집합건물 내 CATV(CATV) 양방향 선로를 통해 주파수 결합기에 연결되며, 상기 주파수 결합기는 RF 모뎀을 통해 상기 메인 서버에 연결됨에 따라 집합건물내 기 설치된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벨 단말기에 인접 설치된 다수개의 감시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출신호 또는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호출신호 또는 화재신호가 발생된 비상벨 단말기의 주변에 설치된 감시용 카메라의 화상정보가 상기 메인 서버의 감시 화면에 자동으로 팝업되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를 통해 감시된 영상은 영상녹화 저장장치에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에 연결된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및 상기 집합건물의 경비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위칭 허브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감시 정보를 제공받는 원격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시 화재통합 제어실로 화재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화제통합 제어실에서는 전관방송 설비에서 전관 방송을 송출하도록 전관방송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집합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통신자원을 이용하여 비상벨 호출, 비상 통화 및 화재 감지·경보 시스템을 통합하여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을 구축한다. 따라서, 기 설치된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모든 시스템이 통합 구축된다.
특히, 본 발명은 비상벨 단말기는 무선통신 선로를 통해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연결되고,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집합건물 내 CATV 양방향 선로를 통해 주파수 결합기에 연결되며, 주파수 결합기는 RF 모뎀을 통해 관제실의 메인 서버에 연결되므로 다양한 통신자원을 이용한 통합 시스템이 구축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상벨 단말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메인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비상 LED 램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의 메인 서버에 팝업되는 감시카메라 영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무선통신 보조설비(110), 비상벨 말단기(120), 메인 서버(M-S), 비상 LED 램프(130), 경고음 스피커(140), 화재감지센서(150) 및 블랙박스 영상녹화기(160)를 포함한다.
나아가,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음성통화 마이크(171)와 오디오 모듈레이터(172)로 구성된 음성통화 송신기(170) 및 오디오 디모듈레이터(181)와 음성통화 스피커(182)를 포함하는 음성통화 수신기(18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관제실 등에 설치된 메인 서버(M-S)와 집합건물 지하의 각 구역에 설치된 비상벨 말단기(120) 사이의 통신이 집합건물에 기 설치된 무선통신자원 즉,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집합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소방용 등의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M-S)에 관리 가능한 비상벨 호출시스템을 구축하므로 성능의 저하 없이도 공사비를 절감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비상 통화 및 화재 감지·경보 시스템도 함께 제공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고, 집합건물에 기 설치된 CATV 양방향 선로(CL)를 이용하여 상기 무통신 보조설비(110)와 메인 서버(M-S)를 연결하므로 무선통신에 더해 유선 케이블의 조합으로 시스템을 통합 구축한다.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는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예: 지하 주차장)에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무선통신자원으로써 본 발명은 이러한 무선통신자원을 이용하여 비상호출 시스템을 구축한다.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는 소방, 관리 무전기, 자동차 도난 경보 등을 위해 아파트 단지의 지하 주차장 등에 설치된 것으로, 일 예로 도 2와 같이 옥내 무선 안테나(111), 분배기(112), 선로 증폭기(113) 및 양방향 필터(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의 비상벨 단말기(120)는 일 예로 88MHz~107.9MHz 대역의 반송 주파수를 사용하여 각각 다수의 옥내 무선 안테나(111)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그 후 분배기(112)를 통해 집중 혹은 분배되는 신호는 선로 증폭기(113) 및 양방향 필터(114)를 통해 메인 서버(M-S)와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특히,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선통신 보조설비(110)의 양방향 필터는 아파트 등 집합건물에 기 포설된 CATV(Cable TV) 양방향 선로(CL)를 이용하여 지상의 공용 구역 등에 설치된 관제실에 연결된다.
CATV 양방향 선로(CL)는 집합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억세스 포인트나 수신안테나에 연결되는 것으로, 옥상에서 신호를 수신 후 각 구역까지 신호를 분배하도록 지상층을 거쳐 지하까지 통신망 구축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CATV 양방향 선로(CL)를 관제 시스템 통합 구축에 이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양방향 필터(114)는 CATV 양방향 선로(CL)를 통해 관제실 등에 설치된 주파수 결합기(210)에 연결되고, 주파수 결합기(210)는 RF 모뎀(220)을 통해 상술한 메인 서버(M-S)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 포설된 CATV 양방향 선로(CL)를 본 발명의 관리 시스템의 통신 자원으로 이용한다.
이때, 동축 케이블로 구성된 양방향 CATV 양방향 선로(CL)는 한 가닥 혹은 여러 가닥으로 구성되고, 주파수 결합기(210)의 입력 포트에는 채널 숫자 만큼의 동출 케이블이 연결된다. 또한 주파수 결합기(210)에서 출력된 한 가닥의 동축 케이블은 RF 모뎀(220)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메인 서버(M-S)에 연결된다.
한편, 비상벨 단말기(120)는 비상 호출 버튼(121)이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주민 등이 비상시 누름 버튼을 눌러 작동시킨다. 비상벨 작동시 관제실 즉, 메인 서버(M-S)로 즉시 연결되어 각종 경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비상벨 단말기(120)에는 후술하는 음성통화 송신기(170)와 음성통화 수신기(180)를 포함함에 따라, 음성통화 송신기(170)를 들면 자동으로 현 위치 정보와 함께 관제실과의 비상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로 다시 돌아가, 비상벨 단말기(120)는 다수개가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 여러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 비상 호출 버튼(121) 및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포함한다. 옥내 송수신 모듈(122)은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를 이용하여 호출신호나 경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비상 호출 버튼(121)은 누름 버튼 방식 이외에 주민이 소지한 별개의 RF 작동 모듈이나 스마트 폰 등을 눌러 무선 방식으로 비상 호출 버튼(121)을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비상 호출 버튼(121)이 응답한다.
옥내 송수신 모듈(122)은 비상벨 단말기(120) 내에서 비상 호출 버튼(121)에 연결되어 메인 서버(M-S)와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향 신호 및 하향 신호를 통해 비상 호출 및 경고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옥내 송수신 모듈(122)는 일 예로 주제어장치(122a), 데이터 제어장치(122b), 하향신호 통신모뎀(122c), 상향신호 통신모뎀(122d) 및 분배기(122e)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신호 주파수 필터(122f), 상향신호 주파수 필터(122g), 주파수 매칭기(122h), RF BPF(밴드 패스 필터)(122i) 및 안테나(122j)를 포함한다. 안테나(122j)를 통해 도 2의 무선통신 보조설비(110)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옥내 송수신 모듈(122)은 바람직하게는 크리스탈 변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날씨나 기후 및 온/습도 등과 같은 주변환경에 따라 주파수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통신환경의 신뢰성을 높인다.
이때 주제어장치(122a)는 옥내 송수신 모듈(122)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비상 호출 버튼(121)에서 발생한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서버(M-S)로 상향 전송한다.
또한, 후술할 비상 LED 램프(130) 및 경고음 스피커(140)를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통해 제어하는 경우에는 메인 서버(M-S)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이들에 하향 전송한다.
데이터 제어장치(122b)는 주제어장치(122a)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으로, 하향신호 통신모뎀(122c)으로부터 전송된 메인 서버(M-S)의 '응답신호'를 주제어장치(122a)로 전송하거나 혹은 비상 호출 버튼(121)에서 전송된 '비상신호(호출 신호)'를 상향신호 통신모뎀(122d)으로 전송한다.
하향신호 통신모뎀(122c)은 상기한 주제어장치(122a)의 통신모뎀 제어신호에 따라 하향신호 주파수 필터(122f)로부터 전송된 '비상 응답 RF신호'를 신호 변환한다.
상향신호 통신모뎀(122a)은 주제어장치(122a)의 통신모뎀 제어신호에 따라 비상 호출 버튼(121)에서 발생한 비상신호를 '비상 호출 RF신호'로 변환하여 상향신호 주파수 필터(122g)로 전송한다.
분배기(splitter)(122e)는 상향 RF신호와 하향 RF 신호를 분리하는 것으로, 상향신호 주파수 필터(122g)에서 전송된 상향 RF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매칭기(122h)로 전송한다. 또한, 주파수 매칭기(122h)에서 전송된 하향 RF신호를 분리하여 하향신호 주파수 필터(122f)로 전송한다.
주파수 매칭기(122h)는 안테나(122j)의 임피던스값과 매칭되도록 임피던스 변환을 수행하여 비상 호출 버튼(121)에서 메인 서버(M-S)로 전송되는 상향 신호 및 메인 서버(M-S)에서 주제어장치(122a)로 전송되는 하향 신호의 신호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파수 매칭기(122h)는 일 예로 86MHz 대역폭을 사용하는 음성통화 송신기(170)의 오디오 모듈레이터(172) 출력단에 연결되어 거주자의 비상 통화 신호를 관제실로 송신하고, 관제실의 안내나 경고를 오디오 디모듈레이터(181)를 통해 음성통화 스피커(182)로 전송한다.
RF BPF(122i)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비상 호출 버튼(121)에서 메인 서버(M-S)로 전송되는 상향 신호와, 메인 서버(M-S)에서 LED 램프(130) 및 경고음 스피커(140)로 전송되는 하향 신호와, 음성통화 송신기(170) 및 음성통화 스피커(182)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송수신되게 한다.
다음, 메인 서버(M-S)는 상술한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를 통해 비상벨 단말기(120)에 연결됨으로써 호출신호 및 화재감지신호 등을 수신하며, 그에 대응하여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를 한다.
이러한 메인 서버(M-S)는 일 예로 관제실에 설치되며, 비상벨 단말기(120)에서 호출신호 발생시 감시용 카메라, LED 램프를 이용한 시각 경고 및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 경고 등을 종합 관리하고 이벤트 발생을 기록한다.
나아가, 화재감지센서(150)를 통해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전관방송을 비롯하여 방화벽 작동, 층간 비상 사다리 등 피난 설비 작동 및 화재상황 자동녹화 등 다양한 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메인 서버(M-S)는 제어신호 송수신부(10), 호출버튼 상태 감시 제어부(20), 감시 카메라 주장치 제어부(30), 전관방송 제어부(40) 및 화재 통합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신호 송수신부(10)는 제어신호의 발생을 총괄하는 것으로, 비상벨 단말기(120)로부터 비상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호출버튼 상태 감시 제어부(20)에 전달한다. 동시에 호출버튼 상태 감시 제어부(20)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비상벨 단말기(120)에 비상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신호 송수신부(10)에 전송된 신호가 비상벨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비상 호출신호인 경우에는 감시 카메라 주장치 제어부(30)를 제어하여 감시용 카메라를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게 하고, 전관방송 제어부(40)를 제어하여 전관방송 스피커 동작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합건물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관제실에서 모든 상황을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스위칭 허브를 통해 메인 서버(M-S)에 연결된 원격 서버(R-S)로 비상 신호를 전송한다. 원격 서버(R-S)는 각 동의 경비실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경비실에서도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비상 LED 램프(130)는 지하 주차장 등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에 적어도 1개소 이상 설치(통상 비상벨 근처에 각각 설치)되며 비상벨 단말기(120)에서 호출신호 발생시 메인 서버(M-S)의 제어하에 점멸 경고를 한다.
이러한 비상 LED 램프(130)는 비상벨 단말기(120)의 단말기 박스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혹은 단말기 박스 외부 일측에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어느 경우든 비상벨 단말기(120)를 통해 메인서버(M-S)에 연결 및 제어된다.
도 4와 같이 비상 LED 램프(130)는 일 예로 청색 램프(131), 백색 램프(132) 및 적색 램프(133)를 포함하며 램프 점등 제어부(134)에 의해 제어된다. 램프 점등 제어부(134)는 비상벨 단말기(120)의 주제어장치(122a)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평상시 통신이 정상이면 백색 램프(132)만이 점등되어 통행자에게 안정감을 줌과 동시에 실내 조명을 제공하고, 통신 장애시에는 백색 램프(132)가 점멸을 반복한다. 반면, 비상시에는 청색/백색/적색 램프(131 내지133)가 경광등과 같이 순차로 점멸하며 범죄자 등에게 경고를 한다.
다음, 경고음 스피커(140)는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에 적어도 1개소 이상 설치(통상 각 구역마다 설치)되며 비상벨 단말기(120)에서 호출신호 발생시 메인 서버(M-S)의 제어하에 경고 방송을 출력한다.
이러한 경고음 스피커(140)는 비상벨 단말기(120)의 단말기 박스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혹은 실내의 특정 구역마다 설치될 수 있다. 경고음 스피커(140)가 실내의 특정 구역에 독립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메인 서버(M-S)에서 직접 제어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관 방송(public address) 시스템으로써 전관방송 랙(PA Rack)(P-R) 및 다수의 경고음 스피커(140)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 서버(M-S)에서 인터페이스 유닛(230)을 통해 전광방송 랙(P-R)을 제어하여, 선택된 경고음 스피커(140)에서 경고 방송으로써 출력되게 한다.
이때,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서버(M-S)는 제어신호 송수신부(10)를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 즉, '전관방송 제어신호'를 전관방송 제어부(40)에 전송하고, 전관방송 제어부(40)는 전광방송 랙(P-R)에 '전관방송 스피커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직접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서버(M-S)와 실내의 각 구역에 설치된 비상벨 단말기(120) 사이의 통신을 집합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통신자원(11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비상 LED 램프(130)를 이용한 경고 및 경고음 스피커(140)를 이용한 경고가 모두 가능해진다.
다음, 화재감지센서(150)는 연기나 열 감지 방식 등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것으로, 비상벨 단말기(120)가 담당하는 구역 내에 설치된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화재감지센서(150)는 비상벨 단말기(120)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러한 화재감지센서(150)는 비상벨 단말기(120)의 근처에 별도로 독립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화재감지센서(150)가 비상벨 단말기(120) 자체에 설치되거나 혹은 그 외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어느 경우나 비상벨 단말기(120)에 연결된다.
즉, 비상벨 단말기(120)가 설치된 구역 내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화재감지센서(150)는 그 구역을 담당하는 비상벨 단말기(120)에 연결되고, 연결을 통해 화재감지센서(150)로 집중된 화재감지신호는 비상벨 단말기(120)의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통해 메인 서버(M-S)로 전송된다.
따라서, 메인 서버(M-S)에서는 비상벨 단말기(120)에서 송출된 신호에 포함된 ID를 이용하여 화재발생구역을 확인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화재감지센서(150)의 ID 역시 판독하여 담당 구역 중 어느 화재감지센서(150)에서 감지한지 역시 확인함으로써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블랙박스 영상녹화기(160)는 화재감지센서(150)에서 화재감지신호 발생시 화재가 발화지점 및 그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재영상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비상벨 단말기(120) 내부에 영상 기록 저장 가능한 메모리로 구성된다.
블랙박스 영상녹화기(160)는 기본적으로 내화처리가 됨에 따라 화재발생시에도 일정 시간 이상 영상을 보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상벨 단말기(120)의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통해 메인 서버(M-S)로 전송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와 같이 메인 서버(M-S)에서 화재감시신호를 수신시 메인 서버(M-S)의 화재 통합 제어부(50)는 화재 통합 제어실(240)로 화재발생신호를 송신하고, 화재 통합 제어실(240)에서는 전관방송 설비(P-R)에서 전관방송(public address)을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화재 통합 제어실(240)에서는 전관방송 이외에 방화벽 작동, 층간 비상 사다리 등 피난 설비 작동 및 화재상황 자동녹화 등 다양한 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화재 통합 제어실(240)은 원격 조정을 위해 피난 설비와 연결된다.
다음, 음성통화 송신기(170) 및 음성통화 수신기(180)는 비상벨 단말기(120)에 연결 설치됨에 따라 집합건물의 지하 주차장 등에서 거주자가 관제실이나 경비실과 비상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음성통화 송신기(170)는 음성통화 마이크(171) 및 상기 음성통화 마이크(171)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비상벨 단말기(120)의 옥내 송수신 모듈(122)로 전송하는 오디오 모듈레이터(172)를 포함한다.
오디오 모듈레이터(172)는 일 예로 FM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를 FM 변조하고, 비상벨 단말기(120)의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통해 관제실의 메인 서버(M-S)이나 경비실의 원격 서버(R-S)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오디오 모듈레이터(172)는 변조 신호를 주파수 매칭기(122h)로 상향 전송하고, 주파수 매칭기(122h)에서 RF BPF(122i)로 전송된 변조 신호는 노이즈가 제거된 대역폭의 변조 신호만 무선 안테나(122j)로 전송된다.
따라서, 무선 안테나(122j)를 통해 소방용 등의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로 전송된 음성 신호(변조 신호)는 집합건물 내 CATV 양방향 선로(CL)를 통해 관제실로 전송되어 관제실 내에 구비된 수화기로 송출된다.
음성통화 수신기(180)는 비상벨 단말기(120)의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복조하는 오디오 디모듈레이터(181) 및 상기 오디오 디모듈레이터(181)에서 복조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통화 스피커(182)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제실이나 경비실 담당자와 비상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상벨 단말기(120), 화재감지센서(150), 음성통화 송신기(170) 및 음성통화 수신기(180)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비상벨 단말기(120), 화재감지센서(150), 음성통화 송신기(170) 및 음성통화 수신기(180)들을 위해 다중 밴드 통신이 가능한 주파수 결합기(210)는 CATV 양방향 선로(CL)를 통해 무선통신 보조설비(110)에 연결된다.
또한, 주파수 결합기(210)는 RF 모뎀(220)에 연결되고, RF 모뎀(220)은 관제실의 메인 서버(M-S)에 연결된다. 따라서, 비상벨 단말기(120), 화재감지센서(150), 음성통화 송신기(170) 및 음성통화 수신기(180)는 무선통신 보조설비(110) 및 CATV 양방향 선로(CL)를 통해 메인 서버(M-S)에 연결된다.
또한, 메인 서버(M-S)는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등을 통해 집합건물의 각 동에 구비된 경비실 등의 원격 서버(R-S)에 연결됨으로써, 집합건물 내 감시 정보를 경비실 등에서도 제공받게 한다.
원격 서버(R-S)는 각 동이나 구역에 구비된 경비실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 서버(M-S)는 원격 서버(R-S)와 연결됨으로써 메인 서버(M-S)에서 원격 서버(R-S) 역시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메인 서버(M-S)는 원격 서버(R-S)와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하며, 특히 메인 서버(M-S)에서 원격 서버(R-S)로 비상벨 단말기(120)가 작동한 위치나 화재발생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이때 감시용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하여 경비실 등에서도 실시간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메인 서버(M-S)는 이더넷 단말기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유닛(신호 결합장치)(230)를 통해 전관방송 랙(P-R) 및 CCVT 랙(C-R)에 연결되어, 전관방송 스피커 동작 신호 및 감시용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비상벨 단말기(120)에 인접 설치된 다수개의 감시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 비상벨 단말기(120)의 주변에 4대의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4방향을 동시에 감시한다.
또한, 비상벨 단말기(120)나 화재감지센서(150)에서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면 감시용 카메라의 화상 정보가 메인 서버(M-S)의 감시 화면에 자동으로 팝업된다. 감시된 영상은 영상녹화 저장장치에 일정 기간 동안 자동으로 저장된다. 영상녹화 저장장치는 일 예로 상기한 CCVT 랙(C-R)이 이용된다.
도 4와 같이 메인 서버(M-S)는 인터페이스 유닛(230)을 통해 CCTV 랙(C-R)에 연결되고, CCTV 랙(C-R)은 집합건물의 실내외에 설치된 각각의 감시용 카메라를 제어하고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다만, 위와 같은 CCTV 랙(C-R)에는 비상벨 단말기(120)의 블랙박스 영상녹화기(160)에서 메인 서버(M-S)로 전송된 화재 발생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상벨 단말기(120)나 화재감지센서(150)로부터 이벤트 신호(호출신호/화재검출신호)가 발생하면, 메인 서버(M-S)의 감시카메라 주장치 제어부(30)를 통해 CCTV 랙(C-R)을 작동시키고, CCTV 랙(C-R)은 호출신호가 발생한 비상벨 단말기(120) 주변의 감시용 카메라(CM)의 영상을 메인 서버(M-S)로 전송한다.
도 5에는 호출신호가 발생한 비상벨 단말기(120) 주변에 설치된 4대의 감시용 카메라에서 감시 영상을 메인 서버(M-S)로 제공함으로써 메인 서버(M-S)의 감시 화면에 자동으로 팝업된 영상 화면을 나타낸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무선통신 보조설비
120: 비상벨 단말기
121: 비상 호출 버튼
122: 옥내 송수신 모듈
130: 비상 LED 램프
140: 옥내용 스피커
150: 화재감지센서
160: 블랙박스 영상녹화기
170: 음성통화 송신기
180: 음성통화 수신기
M-S: 메인 서버
R-S: 원격 서버
CL: CATV(Cable TV) 양방향 선로

Claims (6)

  1.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에 설치된 무선통신 보조설비(110)와;
    상기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 여러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 비상 호출 버튼(121) 및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를 이용하여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구비한 다수개의 비상벨 단말기(120)와;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를 통해 상기 비상벨 단말기(120)에 통신 연결되어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며, 비상 상황 발생시 종합적인 관리를 하는 메인 서버(M-S)와;
    상기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에 적어도 1개소 이상 설치되며 상기 비상벨 단말기(120)에서 호출신호 발생시 상기 메인 서버(M-S)의 제어하에 점등되는 비상 LED 램프(130)와;
    상기 집합건물의 건물 내부에 적어도 1개소 이상 설치되며 상기 비상벨 단말기(120)에서 호출신호 발생시 상기 메인 서버(M-S)의 제어하에 경고 방송이 출력되는 경고음 스피커(140)와;
    상기 비상벨 단말기(120)가 담당하는 구역 내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벨 단말기(120)의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통해 상기 메인 서버(M-S)로 화재감지신호를 전송하는 화재감지센서(150);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150)에서 화재감지신호 발생시 상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재영상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블랙박스 영상녹화기(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비상벨 단말기(120)에 설치되며,
    음성통화 마이크(171)와, 상기 음성통화 마이크(171)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옥내 송수신 모듈(122)로 전송하는 오디오 모듈레이터(172)를 포함하는 음성통화 송신기(170); 및
    상기 옥내 송수신 모듈(122)을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복조하는 오디오 디모듈레이터(181)와, 상기 오디오 디모듈레이터(181)에서 복조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통화 스피커(182)를 포함하는 음성통화 수신기(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벨 단말기(120)는 무선통신 선로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110)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 보조설비(110)는 집합건물 내 CATV(CATV) 양방향 선로를 통해 주파수 결합기(210)에 연결되며,
    상기 주파수 결합기(210)는 RF 모뎀(220)을 통해 상기 메인 서버(M-S)에 연결됨에 따라 집합건물내 기 설치된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벨 단말기(120)에 인접 설치된 다수개의 감시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출신호 또는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호출신호 또는 화재신호가 발생된 비상벨 단말기(120)의 주변에 설치된 감시용 카메라의 화상정보가 상기 메인 서버(M-S)의 감시 화면에 자동으로 팝업되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를 통해 감시된 영상은 영상녹화 저장장치에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M-S)에 연결된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및
    상기 집합건물의 경비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위칭 허브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M-S)로부터 감시 정보를 제공받는 원격 서버(R-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M-S)는 상기 화재감지센서(150)로부터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시 화재통합 제어실(240)로 화재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화재통합 제어실(240)에서는 전관방송 설비에서 전관방송(public address)을 송출하도록 전관방송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90109431A 2019-09-04 2019-09-04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KR20210028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431A KR20210028400A (ko) 2019-09-04 2019-09-04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431A KR20210028400A (ko) 2019-09-04 2019-09-04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00A true KR20210028400A (ko) 2021-03-12

Family

ID=7517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431A KR20210028400A (ko) 2019-09-04 2019-09-04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84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263B1 (ko) * 2021-06-30 2021-12-09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시스템 보조통화장치를 갖는 비상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71817B1 (ko) * 2021-04-26 2022-03-10 (주)비앤와이이엔지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피난 유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27B1 (ko) 2008-06-17 2009-06-01 (주)참슬테크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비상호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에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 방법
KR20150091599A (ko) 2014-02-03 2015-08-12 이승철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KR101654503B1 (ko) 2016-03-03 2016-09-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27B1 (ko) 2008-06-17 2009-06-01 (주)참슬테크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비상호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에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 방법
KR20150091599A (ko) 2014-02-03 2015-08-12 이승철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KR101654503B1 (ko) 2016-03-03 2016-09-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817B1 (ko) * 2021-04-26 2022-03-10 (주)비앤와이이엔지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336263B1 (ko) * 2021-06-30 2021-12-09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시스템 보조통화장치를 갖는 비상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471B1 (ko) 유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US20080036862A1 (en) Digital video surveillance system
CN101500131B (zh) 音视频无线传输系统及传输方法
KR101507978B1 (ko) 다목적 cctv 방범 시스템
KR101654503B1 (ko) 집합건물용 무선 비상호출 시스템
KR20210028400A (ko) 무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KR100878998B1 (ko)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JPS6367088A (ja) 集合住宅用ドアホンカメラシステム
KR101960275B1 (ko) 비상벨과 원패스 및 무선 통신 재 전송을 통합한 시스템
KR20090030584A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CN201383856Y (zh) 无线音视频移动终端
KR101537232B1 (ko) 지하 재방송장치
KR100740588B1 (ko)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101149689B1 (ko) 무선영상전송시스템을 이용한 보안방법
RU2484532C2 (ru) Система видеонаблюдения вагона
KR200434460Y1 (ko) 유선방송망을 이용한 원격제어 행정방송시스템
KR100876916B1 (ko) Cctv 시스템
KR100808850B1 (ko)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KR101588446B1 (ko)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155214B1 (ko) 무선영상전송시스템을 이용한 보안방법
EP2845397A1 (en) Wireless mobile telephony public address system
KR20170091875A (ko)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KR102418627B1 (ko) Catv 시스템을 활용한 소방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JP200513690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信号中継装置
KR20050095160A (ko)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