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290B1 -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290B1
KR102316290B1 KR1020200157390A KR20200157390A KR102316290B1 KR 102316290 B1 KR102316290 B1 KR 102316290B1 KR 1020200157390 A KR1020200157390 A KR 1020200157390A KR 20200157390 A KR20200157390 A KR 20200157390A KR 102316290 B1 KR102316290 B1 KR 102316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erminal
server
broadcasting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도재
김성훈
Original Assignee
뉴코리아전자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코리아전자통신(주) filed Critical 뉴코리아전자통신(주)
Priority to KR102020015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1Two-way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a limited number of pa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 방송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시간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암호화 IP 방송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IP 방송단말기는 별도의 보안 수단이 없으므로 데이터 유출에 의한 보안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으나,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와 보안모듈과 CPU와 통신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암호화과정을 거쳐 서버 또는 다른 현장 단말기로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IP 방송단말기에 있어서, 입력장치는 인접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또는 특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온도/습도/조도/고주파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장치는 음성을 출력하는 마이크,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영상 또는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또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보안모듈에서 생성된 유니크 Key는 각 IP 방송단말기 마다 고유값으로 특정되어 셋팅단계에서 서버에 미리 저장되고, CPU에서는 상기 보안모듈에서 생성된 유니크 Key와 현재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에서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합성부에서 합성하며, 합성된 신호와 현재시간정보를 독립적으로 통신모듈에 의해 서버를 거쳐 관제센터 또는 외부의 현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 IP 방송단말기는 IP 방송단말기마다 부여된 고유Key와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에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합성하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외부에서 IP 방송단말기의 데이터신호를 해킹 또는 인터셉트하더라도, 암호화된 데이터 보안에 의해 데이터의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Encrypted IP broadcasting terminal and it's control process}
본 발명은 비상 인터폰이 구비되어 IP 통신망에 의해 사용자와 관리자가 대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IP 방송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P 방송단말기의 데이터신호를 해킹 또는 인터셉트하여 외부에서 무단으로 유출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IP 방송단말기마다 부여된 고유Key와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에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합성하여 서버 전송하는 암호화 IP 방송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납치, 강도 등 각종 범죄가 증가하고, 또한 응급환자 발생이나 각종 사고 등 긴급 상황의 발생 수가 급증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각종 범죄나 긴급 상황을 대비한 다양한 보안장비 등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놀이터나 지하주차장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장소에는 CCTV 카메라 등이 설치되고 있으나, 상기 CCTV는 사고가 발생된 이후 범인을 추적하기 위한 사후적 조치로서 비상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많이 미흡하였다.
이를 보완하여, 인터폰과 같이 대화 또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비상호출장치들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나, 상기 비상호출장치는 비상시에만 사용되는 것이므로 설치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그 사용 빈도는 높지 않으나, 범죄 예방 또는 비상상황을 대비하여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필수 시설물로서, 정상적인 동작이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이를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한편, 전자 통신장비의 급격한 발달과, IP(Internet Protocol) 기반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 및 전송 가능 용량의 증대에 따라 상기 비상호출장치에 이를 응용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IP방송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전달할 수 잇으므로, 추후 대폭적인 시설설치가 예상되고 있다.
상기 IP 방송시스템에 대해서는 다수의 기술이 특허출원 또는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10-1492378호(IP방송시스템을 이용한 비상인터폰 및 그 점검 시스템과 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서는 IP 방송시스템의 방송망에 비상인터폰을 연계시켜 해당 방송망을 통해 비상인터폰의 관리자 및 사용자 간의 음성대화가 가능한 동시에 비상인터폰의 장애 여부 파악 및 판단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위 선행기술에서는 방송 요청 신호 및 방송 신호 그리고 대화 요청 신호 및 통화용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IP방송 에이전트와, 상기 IP방송 에이전트의 방송 신호 출력 및 상기 IP방송 에이전트의 통화용 음성신호를 타 전자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IP방송단말기와, 상기 IP방송 에이전트의 방송 요청 신호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IP방송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IP방송 에이전트의 대화 요청 신호에 따른 통화용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IP방송단말기에 전송하는 IP방송 서버와, 상기 IP방송단말기와 접속되며 상기 IP방송 서버의 매개를 통해 상기 IP방송단말기에 수신된 상기 IP방송 에이전트의 통화용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음성신호 수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음성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화용 음성신호를 상기 IP방송단말기 및 IP방송 서버의 순차적인 매개 동작을 통해 상기 IP방송 에이전트에 전송하는 비상인터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비상인터폰(비상호출장치)를 위한 원격 진단방법만을 제시하고 있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데이터 보안에 대한 어떠한 방어수단도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방송단말기는 특정한 위치에 설치된 옥외용 함체에 IP방송단말기가 구비되고, 인접한 사람이 비상벨을 호출(이벤트 발생)하면, 영상 또는 음성정보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합관제센터로 무선으로 송출되고, 방화벽/VPN을 통해 비상IP 방송서버(SIP)를 통해 IP폰를 통해 모니터링 요원의 응대 및 위급상황을 대처하게 되며, 이러한 비상상황은 영상서버 및 GIS 서버를 통해 운영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이 역시 데이터 해킹 또는 데이터 무단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대비책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IP 방송단말기의 데이터신호를 해킹 또는 인터셉트하여 외부에서 무단으로 유출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IP 방송단말기마다 부여된 고유Key와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에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합성하여 서버 전송하는 암호화 IP 방송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 IP 방송단말기는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와 보안모듈과 CPU와 통신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암호화과정을 거쳐 서버 또는 다른 현장 단말기로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IP 방송단말기에 있어서, 입력장치는 인접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또는 특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온도/습도/조도/고주파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장치는 음성을 출력하는 마이크,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영상 또는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또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보안모듈에서 생성된 유니크 Key는 각 IP 방송단말기 마다 고유값으로 특정되어 셋팅단계에서 서버에 미리 저장되고, CPU에서는 상기 보안모듈에서 생성된 유니크 Key와 현재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에서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합성부에서 합성하며, 합성된 신호와 현재시간정보를 독립적으로 통신모듈에 의해 서버를 거쳐 관제센터 또는 외부의 현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 IP 방송단말기는 IP 방송단말기마다 부여된 고유Key와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에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합성하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외부에서 IP 방송단말기의 데이터신호를 해킹 또는 인터셉트하더라도, 암호화된 데이터 보안에 의해 데이터의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IP 방송단말기의 사용례에 대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 IP 방송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 IP 방송단말기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IP 방송단말기의 입력장치에서 수신된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를 암호화하여, 해킹 또는 데이터 인터셉터에 의한 외부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 IP 방송단말기는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를 내부로 전달하는 입력장치와;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출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제어하며, 서버 또는 다른 현장 단말기로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IP방송단말기를 포함하는 IP 방송단말기와 기본적인 기술구성은 동일하다.
특히, 본 발명은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IP 방송단말기(100)에는 보안을 위해 유니크 Key를 생성하는 보안모듈(110)과; 상기 보안모듈(110)에서 생성된 유니크 Key와 현재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10)에서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합성부(130)로 전달하는 CPU(120)와;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10)에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부(130)와; 상기 합성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40)과; 상기 통신모듈(140)의 통해 합성신호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며, 관제실 또는 외부의 현장 단말기(100a)로 전송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암호화 IP 방송단말기를 구성함에 그 기술적 특이성이 있다.
상기 유니크 Key는 각 IP 방송단말기 마다 고유값으로 특정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는 셋팅단계에서 서버(200)에 미리 저장되고, 상기 현재 시간정보는 CPU(120)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획득되며, 별도의 타이머를 추가하여 현재 시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CPU(120)에서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고유값인 IP 방송단말기(100)의 유니크 Key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현재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바뀌어지는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신호합성부(130)에서는 변동암호화 Key와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신호를 합성하여 통신모듈(140)을 통해 서버(200)로 송신 하게된다.
상기 유니크 Key 와 '현재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데이터신호를 합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요부가 아니며, 종래 당업계의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외부의 해킹 또는 데이터신호 무단유출에도 변동암호화 Key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암호해독이 불가능하게 되어, 완벽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CPU(120)에서는 서버(200) 또는 다른 현장단말기(100a)에서 암호 해독시 적용할 수 있도록, 암호화에 사용되는 '현재 시간정보'를 변동암호화 Key와 독립적으로 신호합성부(130)와 통신모듈(140)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하게 되므로, 서버(200)에서는 '현재 시간정보'와 변동암호화 Key에 의해 데이터신호를 해독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10)는 비상호출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또는 특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온도/습도/조도/고주파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는 음성신호 이외에 주변에서 발생되는 이상 소음을 입력받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력장치(20)는 음성 또는 소음을 출력하는 마이크,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영상 또는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또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지역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현장 관리자들이 비상상황을 바로 인지하고 비상 현장으로 출동을 할 수 있도록 외부의 현장 단말기(100a)에서도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암호화 IP 방송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진행된다.
먼저, IP 방송단말기(100)의 전원이 ON으로 전환되는 단계(S10)가 진행되면, 보안모듈(110)의 유니크 Key를 CPU(120)로 전달하는 단계(S20)가 진행되고, CPU(120)에서는 유니크 Key와 현재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는 단계(S30)가 진행된다.
이때, 상기 유니크 Key는 IP 방송단말기마다 고유값을 갖는 것이므로, 제품 설치단계에서 이미 서버(200)에 저장된다.
또한, 신호합성부(130)에서는 CPU(120)에서 전달된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10)에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합성하는 단계(S40); 통신모듈(140)을 통해 합성신호와 현재 시간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50)가 진행된다.
상기 서버(200)에서는 IP 방송단말기(100)에서 전달된 합성신호를 해독하는 단계(S60)가 진행되어, 전달된 변동암호화 Key가 정상 Key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0)가 진행된다.
이때, 비정상 key인 경우 (S20) 이전 단계로 피드백하고, 정상 Key인 경우 서버(200)에서는 정상 Key인 경우 현장 단말기(100a)로 합성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80)가 진행되고, 현장단말기(100a)에서는 출력장치(20a)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한편,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외부의 현장단말기(100a)에서도 별도의 암호 해독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현장단말기(100a)에서는 전송받은 합성신호를 해독하여 변동암호화Key를 확인하는 단계(S90); 현장단말기(100a)에서 변동암호화 Key가 정상 Key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0); 비정상 key인 경우 (S80) 이전 단계로 피드백하고, 정상 Key인 경우 현장단말기(100a)의 출력장치(20a)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 10a : 입력장치 20, 20a : 출력장치
100 : IP 방송단말기 100a : 현장 단말기
110 : 보안보듈 120 : CPU
130 : 신호합성부 140 : 보안보듈
200 : 서버 300 : 관제센타

Claims (6)

  1.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와 보안모듈과 CPU와 통신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암호화과정을 거쳐 서버 또는 다른 현장 단말기로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IP 방송단말기에 있어서,
    입력장치(10)는 인접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또는 특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온도/습도/조도/고주파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장치(20)는 음성을 출력하는 마이크,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영상 또는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또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보안모듈(110)에서 생성된 유니크 Key는 각 IP 방송단말기(100) 마다 고유값으로 특정되어 셋팅단계에서 서버(200)에 미리 저장되고,
    CPU(120)에서는 상기 보안모듈(110)에서 생성된 유니크 Key와 현재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10)에서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합성부(130)에서 합성하며, 합성된 신호와 현재시간정보를 독립적으로 통신모듈(140)에 의해 서버(200)를 거쳐 관제센터(300) 또는 외부의 현장 단말기(100a)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2. IP 방송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IP 방송단말기(100)의 전원이 ON으로 전환되는 단계(S10); 보안모듈(110)의 유니크 Key를 CPU(120)로 전달하는 단계(S20); CPU(120)에서는 유니크 Key와 현재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변동암호화 Key를 생성하는 단계(S30); 신호합성부(130)에서는 CPU(120)에서 전달된 변동암호화 Key와 입력장치(10)에서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합성하는 단계(S40); 통신모듈(140)을 통해 합성신호와 현재 시간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50); 서버(200)에서는 IP 방송단말기(100)에서 전달된 합성신호를 해독하는 단계(S60); 서버(200)에서는 전달된 변동암호화 Key가 정상 Key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0); 비정상 key인 경우 (S20) 이전 단계로 피드백하고, 정상 Key인 경우 서버(200)에서는 정상 Key인 경우 현장 단말기(100a)로 합성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80); 현장단말기(100a)에서는 출력장치(20a)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10);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되,
    상기 현장단말기(100a)에서는 전송받은 합성신호를 해독하여 변동암호화Key를 확인하는 단계(S90); 변동암호화 Key가 정상 Key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0); 비정상 key인 경우 (S80) 이전 단계로 피드백하고, 정상 Key인 경우 현장단말기(100a)의 출력장치(20a)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10); 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IP 방송단말기의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57390A 2020-11-23 2020-11-23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6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90A KR102316290B1 (ko) 2020-11-23 2020-11-23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90A KR102316290B1 (ko) 2020-11-23 2020-11-23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290B1 true KR102316290B1 (ko) 2021-10-25

Family

ID=7825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390A KR102316290B1 (ko) 2020-11-23 2020-11-23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2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568A (ko) * 2016-09-30 2018-04-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데이터의 송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89561B1 (ko) * 2019-01-23 2019-06-14 주식회사 담소리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568A (ko) * 2016-09-30 2018-04-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데이터의 송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89561B1 (ko) * 2019-01-23 2019-06-14 주식회사 담소리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4956B2 (en)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image data managing method thereof
KR101101855B1 (ko) 주거 보안 감시 및 통지 관리 시스템
KR101658362B1 (ko)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KR101640567B1 (ko)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RU2554549C2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домофон
KR20020019581A (ko)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2316290B1 (ko)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25974A1 (ko) 영상 통합관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및 공유 방법
JP2006287858A (ja) 動画配信モジュール、動画配信モジュールを内蔵した監視カメラ及びネットワーク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020001216A (ko) 인터넷 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AU2020103943A4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f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102448836B1 (ko) Ip 단말기 제어 함체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언락킹 제어방법
RU2399956C2 (ru) Система охраны и наблюдения
CN101690081B (zh) 经由至少部分公共通讯网络在第一数据处理系统和第二数据处理系统之间交换数据的系统和方法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20171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400940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통신 보안 장치 및 방법
KR20080040873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 상태 감시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
JP200927826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2514472B1 (ko)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JPH06336868A (ja) 集合住宅の監視通信システム
KR101902687B1 (ko) 영상실명 보안시스템 및 보안방법
KR20170091875A (ko) 무전기를 이용한 경고방송 시스템
JP2004171383A (ja) 共同住宅警報監視用複合盤
JP2005004491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