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472B1 -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472B1
KR102514472B1 KR1020220133641A KR20220133641A KR102514472B1 KR 102514472 B1 KR102514472 B1 KR 102514472B1 KR 1020220133641 A KR1020220133641 A KR 1020220133641A KR 20220133641 A KR20220133641 A KR 20220133641A KR 102514472 B1 KR102514472 B1 KR 10251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packet
event
video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태
김완재
이상원
유병욱
조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지
Priority to KR102022013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3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media transcoding, e.g. video is transformed into a slideshow of still pictures or audio is converted into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으로서, 특정 지역에 각각 설치되어 각 현장에서 위험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되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되,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는 관제단말;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는 영상 표출부; 및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되,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관제서버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는 관제단말과,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는 영상 표출부와,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관제서버 간의 상호호환성을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을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하여 녹화가 가능하고, 원활한 비상통화 및 영상 관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상에서도 제품의 호환 문제없이 비상통화 및 영상 관제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시스템 효율의 증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EMERGENCY CALL VIDEO CONTROL SYSTEM USING PACKET TRANSCODING TECHNIQUE}
본 발명은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용 비상벨은 우범 지역과 같이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현장에서 위험 상황 발생 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특정 서버로 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방범용 비상벨과 같이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는 통상의 폴(pole)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도움을 주거나, 이후 범죄자를 색출하는 데 이용되도록 범행 영상을 녹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감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성능의 카메라가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설치되는 폴(pole) 상에 비상벨 스위치와, 비상벨 컨트롤러와, 경광등과, 경광등용 전원공급 장치, 및 카메라가 설치되고, 특정 관리서버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에 적용되는 현재의 비상 통화장치는 공개된 표준 에스아이피(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양방향 음성통화를 한다. 또한, 특정 지역은 감시 카메라 없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음성만으로 도움을 요청하거나 상황을 전파하고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영상을 표출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VMS(Video Management System)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VMS(Video Management System)가 설치가 되지 않으면 상황자의 현장 상황 영상을 보지 못하고, 음성만으로 상황을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상황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영상을 지원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존재하고는 있으나 영상을 표출하기 위해서는 같은 제조사의 관제단말 자체의 LCD 화면을 지원하는 영상 관제단말을 이용해야만 영상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호환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 및 감시 카메라가 별도로 설치되는 비상 통화장치, 또는 카메라 비상 통화장치는 별도의 VMS를 설치하여 영상을 확인하거나, 타사 비상 통화장치 영상 수신장치와의 호환성 결여로 인해 원활한 비상 호출 감시 시스템을 운영하기가 어려워 위급한 상황에서 상황자가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3654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되,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관제서버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는 관제단말과,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는 영상 표출부와,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관제서버 간의 상호호환성을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을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하여 녹화가 가능하고, 원활한 비상통화 및 영상 관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상에서도 제품의 호환 문제없이 비상통화 및 영상 관제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시스템 효율의 증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은,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으로서,
특정 지역에 각각 설치되어 각 현장에서 위험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되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되,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는 관제단말;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는 영상 표출부; 및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는,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와 연동하는 다수의 카메라로 구성되거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은,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 다수의 카메라, 카메라를 구비하는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관제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의 상호호환성을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을 통합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여, 상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로부터 획득한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관제단말과 영상 저장부로 전송하고,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영상 표출부로 전송 처리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제단말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고, 양방향 음성통화와 상황자의 현재 상태의 영상 및 음성 녹화를 관제 처리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표출부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고, 카메라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요청하여 표출하며, 관제서버로부터 종료 이벤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영상 표출을 종료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유저에이전트 파라미터값을 이용한 자동 등록 기능을 갖고, 표준 에스아이피(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동보방송 및 음원방송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음원파일을 G711 및 G722와 같은 보이스코덱(voice codec)으로 전환 및 송출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되,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관제서버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는 관제단말과,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는 영상 표출부와,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관제서버 간의 상호호환성을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을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하여 녹화가 가능하고, 원활한 비상통화 및 영상 관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상에서도 제품의 호환 문제없이 비상통화 및 영상 관제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시스템 효율의 증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전체 개념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카메라를 구비한 비상 통화장치가 적용된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별도의 카메라와 비상 통화장치가 적용된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비상 통화장치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관제서버의 네트워크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비상 호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상 통화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제서버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전체 개념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카메라를 구비한 비상 통화장치가 적용된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서, 별도의 카메라와 비상 통화장치가 적용된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10)은,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 관제서버(200), 관제단말(300), 영상 표출부(400), 및 영상 저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비상 통화장치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관제서버의 네트워크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의 비상 호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상 통화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제서버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는, 특정 지역에 각각 설치되어 각 현장에서 위험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10)와 별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10)와 연동하는 다수의 카메라(130)로 구성되거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통화장치(110)와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120)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 및 컨트롤 패킷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상통화 이벤트를 매칭하기 위한 네크워크부의 구성으로, 패킷 수신부, 패킷 파싱부, 패킷 매칭부, 패킷 DB, 패킷 조합부, 및 패킷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통화장치(110, 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음성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를 구비하고, 비상 경고를 위한 경광등을 구비하며, 내부 구성으로 DAC, ADC, 오디오 코덱부, 외부 인터페이스부, 메인 제어부, 네트워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되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되,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관제서버(200)는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로부터 획득한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관제단말(300)과 영상 저장부(500)로 전송하고,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영상 표출부(400)로 전송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200)는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의 유저에이전트 파라미터값을 이용한 자동 등록 기능을 갖고, 표준 에스아이피(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동보방송 및 음원방송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제서버(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음성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를 구비하고, 비상 경고를 위한 경광등을 구비하며, 내부 구성으로 패킷 수신부, DAC, ADC, 오디오 코덱부, 외부 인터페이스부, 메인 제어부, 네트워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제서버(200)의 네트워크부는 네크워크 수신부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패킷 수신부, 패킷 파싱부, 패킷 트랜스코딩부, 패킷 DB, 패킷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호출 이벤트를 처리하는 호출 이벤트 수신부, 호출 이벤트 처리부, 단말 매칭 DB, 호출 이벤트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200)는 비상 호출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매칭이 있으면 영상 표출부 이벤트를 전송하여 영상 팝업을 수행하여 통화하고, 카메라 매칭이 없으면 관제단말 이벤트 전송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관제단말(300)은,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관제서버(200)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는 구성이다. 이러한 관제단말(300)은 관제서버(200)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고, 양방향 음성통화와 상황자의 현재 상태의 영상 및 음성 녹화를 관제 처리할 수 있다.
영상 표출부(400)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관제서버(200)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는 구성이다. 이러한 영상 표출부(400)는 관제서버(200)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고, 카메라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요청하여 표출하며, 관제서버(200)로부터 종료 이벤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영상 표출을 종료할 수 있다.
영상 저장부(500)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관제서버(200)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의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10)은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10), 다수의 카메라(130), 카메라를 구비하는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3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관제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와의 상호호환성을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을 통합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10)은 관제서버(200)로부터 음원파일을 G711 및 G722와 같은 보이스코덱(voice codec)으로 전환 및 송출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10)은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10)와 카메라(130)가 연동되고, 비상 통화장치(110)의 에스아이피(SIP)패킷과 카메라(130)의 알티에스피(RTSP) 패킷데이터를 구조화된 패킷 데이터로 전송하기 위해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성과 영상 및 컨트롤 패킷 데이터를 관제서버(200)가 획득하여 영상 표출부(400) 및 관제단말(300) 트랜스코딩 하여 전송함으로 양방향 음성통화와 상황자의 현재 상태를 녹화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함으로서 녹화가 가능하고 원활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을 구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는,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되,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와, 관제서버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는 관제단말과,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는 영상 표출부와, 관제서버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의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와 관제서버 간의 상호호환성을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을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하여 녹화가 가능하고, 원활한 비상통화 및 영상 관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비상 통화장치와 별도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이나, 카메라를 구비하는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는 현장과 관제센터와의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트랜스코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상에서도 제품의 호환 문제없이 비상통화 및 영상 관제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시스템 효율의 증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100: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
110: 비상 통화장치
120: 비상 통화 장치(카메라를 구비)
130: 카메라
200: 관제서버
300: 관제단말
400: 영상 표출부
500: 영상 저장부

Claims (8)

  1.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10)으로서,
    특정 지역에 각각 설치되어 각 현장에서 위험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되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되,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는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200)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는 관제단말(300);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200)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는 영상 표출부(400); 및
    상기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와 그룹핑(grouping)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서버(200)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의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는,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10)와 별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10)와 연동하는 다수의 카메라(130)로 구성되거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20)로 구성되고,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쌍방향 비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의 에스아이피(SIP) 패킷과 알티에스피(RTSP) 패킷의 이원화된 패킷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 데이터로 패킷 트랜스코딩(packet transcoding) 하여, 상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로부터 획득한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관제단말(300)과 영상 저장부(500)로 전송하고,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영상 표출부(400)로 전송 처리하며,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의 유저에이전트 파라미터값을 이용한 자동 등록 기능을 갖고, 표준 에스아이피(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동보방송 및 음원방송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10)은,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10), 다수의 카메라(130), 카메라를 구비하는 다수의 비상 통화장치(13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관제센터에 구비되는 관제서버(200)와의 상호호환성을 위해 비상통화 이벤트를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이원화된 각각의 시스템을 통합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단말(300)은,
    상기 관제서버(200)로부터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의 비상통화 이벤트에 대한 호출 이벤트를 전송받고, 양방향 음성통화와 상황자의 현재 상태의 영상 및 음성 녹화를 관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출부(400)는,
    상기 관제서버(200)로부터 비상통화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용 비상 통화장치(100)와 매칭된 카메라 정보를 전송받고, 카메라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요청하여 표출하며, 관제서버(200)로부터 종료 이벤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영상 표출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10)은,
    상기 관제서버(200)로부터 음원파일을 G711 및 G722와 같은 보이스코덱(voice codec)으로 전환 및 송출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KR1020220133641A 2022-10-18 2022-10-18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KR10251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641A KR102514472B1 (ko) 2022-10-18 2022-10-18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641A KR102514472B1 (ko) 2022-10-18 2022-10-18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472B1 true KR102514472B1 (ko) 2023-03-29

Family

ID=8580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641A KR102514472B1 (ko) 2022-10-18 2022-10-18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991B1 (ko) * 2008-03-03 2015-11-11 톰슨 라이센싱 고속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운반 컨테이너
KR101635429B1 (ko) * 2015-07-10 2016-07-01 주식회사 신성테크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KR20180109470A (ko) * 2017-03-28 2018-10-08 (주)네트 건조현장 내 작업자 인명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091200B1 (ko) * 2018-11-22 2020-03-19 우송대학교산학협력단 IP-PBX를 이용한 SIP 기반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oT 안내 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991B1 (ko) * 2008-03-03 2015-11-11 톰슨 라이센싱 고속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운반 컨테이너
KR101635429B1 (ko) * 2015-07-10 2016-07-01 주식회사 신성테크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KR20180109470A (ko) * 2017-03-28 2018-10-08 (주)네트 건조현장 내 작업자 인명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091200B1 (ko) * 2018-11-22 2020-03-19 우송대학교산학협력단 IP-PBX를 이용한 SIP 기반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oT 안내 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1407B2 (en) Secure control for desktop secure video teleconferencing
KR101273654B1 (ko)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CN101133651B (zh) 视频监视数据网络
US20070185989A1 (en) Integrated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KR100805255B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0321357A1 (en) Analog and digital video monitoring fusion system and fusion method thereof
US8134588B2 (en) Secure video teleconferencing room control isolator
KR101930443B1 (ko) 이벤트 서버가 구비되어 안정성을 높인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KR102514472B1 (ko) 패킷 트랜스코딩 기법을 이용한 비상통화 영상관제 시스템
US119434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subtitles and/or audio
KR100919629B1 (ko) 화상 통화 장치 이용 방법
KR20120103806A (ko) 개인 블랙박스 시스템
KR102163427B1 (ko) Svc 코덱 기반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적인 다채널 감시 시스템
KR100869150B1 (ko) 네트워크 비디오 서버 시스템
CN105721483A (zh) 语音通信方法和装置
KR100729628B1 (ko) 통합 홈게이트웨이 장치
KR101638855B1 (ko)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개선된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KR100787972B1 (ko) 영상 및 음성 기반 비상 통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2006005609A (ja) 情報処理装置
JP2007110586A (ja) 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配信サーバ、映像配信方法、映像配信プログラム
KR100756271B1 (ko)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카메라 제어 방법 및그 시스템
JP2010109654A (ja) 遠隔リアルタイムにオーディオおよび/またはビデオ信号を提供する通信のフレームワーク、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40067379A (ko) 인터넷 전화를 이용한 경보전송기능이 내장된 디브이알 시스템
KR100858444B1 (ko) 이진부호분할다중접속 무선통신기반 웹 카메라시스템
JPH09205643A (ja) 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