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085B1 -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085B1
KR100494085B1 KR10-2002-0069309A KR20020069309A KR100494085B1 KR 100494085 B1 KR100494085 B1 KR 100494085B1 KR 20020069309 A KR20020069309 A KR 20020069309A KR 100494085 B1 KR100494085 B1 KR 100494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ecurity system
information
func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211A (ko
Inventor
고종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0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085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원격 방범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그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에 관한 발명이다.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송출할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출입문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전송하고 경고방송을 수행하는 출입감시시스템 및 상기 출입감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전화번호 및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송출하기 위한 동영상 방범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출입문 개폐장치의 개폐여부를 감시하고, 개폐시 개폐여부에 대한 문자정보를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보내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통보하는 단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방범기능이 오프되지 않는 경우 미리 녹음된 경고 방송을 하고 동영상정보를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동영상 방범시스템이 전송된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긴급 호출 및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침입경보 문자메시지 송출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REMOT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PHONE NETWORK, AND MEDIUM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DO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원격 방범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그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의 방범 시스템들을 이용하여서는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가 없으며, 경보 후 출동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현장 도착시까지 벌어지는 범죄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이 어려웠다.
또한, 범죄사실에 대한 기록이 남지 않아 사후 범죄수사에 활용이 제한적이며, 이 모든 과정에서 고객은 범행 후 범죄사실에 대해 통보받을 때까지 모든 과정에서 완전히 배제됨에 따라 범행에 대해 사후 대처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화선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전화선 절단 등 단순한 방법에 의해 방범시스템의 무력화가 가능하며, 현행 방법시스템 유지비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일반 가정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범행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범행사실을 통보하고 범행사실을 저장하며, 경찰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면서도 저렴하고 방범시스템의 무력화가 어려운 방범 방법, 시스템 및 상기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은, 문자 및 동영상 정보를 중계송출할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출입문 개폐장치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전송하고 경고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출입감시시스템 및 상기 출입감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전화번호 및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송출하기 위한 동영상 방범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감시시스템은,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부,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방범기능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스위치부, 동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부,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경고방송 및 고객음성정보를 방송하는 음성부, 상기 스위치부 및 개폐감지부의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문자정보 및 상기 동영상정보를 보내기 위한 자동호출부, 및 사용자의 전화호출을 감지하기 위한 링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방법은, 출입문 개폐장치의 개폐여부를 감시하고, 개폐시 개폐여부에 대한 문자정보를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보내어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로 통보하는 단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방범기능이 오프되지 않는 경우 미리 녹음된 경고 방송을 하고 동영상정보를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동영상 방범시스템이 전송된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긴급 호출 및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침입경보 문자메시지 송출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출입감시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에서, 출입문 개폐 여부를 감시하며, 개폐시 이동통신망을 통해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문자정보를 송출하는 기능, 녹음된 경고방송 및 동영상 방범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고객 음성정보를 음성부를 통해 방송하는 기능, 영상부를 통해 동영상정보를 생성하고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보내는 기능, 고객으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기능, 및 고객으로부터 전화호출을 받고,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출입문을 원격 개폐하거나 현장에 대한 상황을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해 알려주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 또는 동영상 방범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에서, 번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기능, 동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자동 침입 신고 기능,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동영상정보를 중계하는 기능, 및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를 출입감시장치로 중계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출입감시 시스템(100)은 출입문 개폐장치(110) 및 이동통신망(120)과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망(120)은 또한 동영상방범시스템(130) 및 다수의 이동전화 단말기(140)와 연결되어 있다.
출입감시 시스템(100)은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출입문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전송하고 경고방송을 수행한다.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부(101),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102), 번호 입력된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출입감시시스템의 방범기능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스위치부(103), 동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부(104),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경고방송 및 고객음성정보를 방송하는 음성부(105), 상기 스위치부 및 개폐감지부의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문자정보 및 상기 동영상정보를 보내기 위한 자동호출부(106), 및 사용자의 전화호출을 감지하기 위한 링감지부(107)를 포함한다.
음성부(105)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경고방송을 내보내고, 동영상방범시스템(130)을 통해 중계된 고객의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장착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고방송을 내보낼 수 있다.
자동호출부(106)는 별도의 전화선 없이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동영상방범시스템(130)으로 문자메시지 및 음성부(105)를 통해 수신된 동영상 정보를 보내고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고객 음성정보를 음성부(105)로 보낸다.
링감지부(107)는 고객으로부터 오는 전화호출을 인지하고, 스위치부(103)를 통해 이동전화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출입문을 개폐하며, 영상부(104)와 음성부(105)를 통해 현장에 대한 동영상 및 음성정보를 고객에게 보내고, 음성부(105)를 통해 고객의 음성메시지를 방송한다.
동영상방범시스템(130)은 이동통신망(120)을 통하여 출입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받은 전화번호 및 동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1) 내에 저장하고,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수의 이동전화 단말기(140)는 동영상방법시스템(130)의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번호의 것으로 사용자가 방범 상태를 확인하고 음성부(105)를 통하여 고객음성정보를 방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번호입력부(101)를 통해 동영상정보 및 문자메시지를 받을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전화번호는 동영상방범시스템(130)의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다(200).
개폐감지부(102)가 출입문 개폐장치(110)의 개폐여부를 감시하고, 개폐시 자동호출부(106)가 개폐여부에 대한 문자정보를 동영상방범시스템(130)으로 보내어 데이터베이스(131)에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의 이동전화 단말기(140)로 통보한다(210).
출입문 개폐장치(110)에 흐르는 전기신호는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전압이 바뀌게 된다. 이러한 전압변화를 개폐감지부(102)가 인지하여 자동호출부(106)를 통해 개폐여부에 대해 동영상방범시스템(130)에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동영상 방범시스템(130)은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중계하여 발송하는 것이다.
소정의 시간 이내에 스위치부(103)를 통해 방범기능이 오프되지 않는 경우 음성부(105)에 통해 미리 녹음된 경고 방송을 하고, 영상부(104)를 통해 동영상정보를 동영상 방범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220).
출입감시시스템(100)이 온(on)된 상태에서 방문자가 소정의 대기시간 이내에 스위치부(103)를 통해 방범기능을 오프시키지 않으면 출입감시시스템(100)은 자동호출부(106)를 통해 동영상방범시스템(130)을 호출하여 침입사실을 통보하고, 영상부(104)를 통해 수신되는 동영상정보를 송출하기 시작하며, 음성부(105)를 통해 미리 녹음된 경고방송을 보내는 것이다.
동영상방범시스템(130)이 전송된 동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하고, 경찰에 긴급 호출을 하고,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의 이동전화 단말기(140)로 침입경보 문자메시지 송출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한다(240).
동영상방범시스템(130)은 수신한 동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하면서 112 긴급침입 신고를 하고, 저장된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동영상정보를 전송하기 시작하며, 해당전화(140)가 호출에 응답하지 않으면 침입경고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다.
동영상방범시스템(130)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이동전화 단말기(140)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를 음성부(105)로 보내 경고방송을 한다(250). 고객이 동영상정보를 수신하면서 침입자에 보내는 음성정보는 출입감시시스템의 음성부(105)를 통해 침입자를 향해 방송하는 것이다.
또한, 동영상방범시스템(130)의 데이터베이스(131)에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의 전화기(140)는 출입감시시스템(100)으로 전화 접속하여,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원격에서 출입문을 개폐시키거나, 출입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동영상정보를 전송받고, 출입감시시스템을 통하여 음성정보를 송수신한다(260).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방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와 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한 실시예는, 출입문 개폐 여부를 감시하며, 개폐시 이동통신망을 통해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문자정보를 송출하는 기능, 녹음된 경고방송 및 동영상 방범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고객 음성정보를 음성부를 통해 방송하는 기능, 영상부를 통해 동영상정보를 생성하고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보내는 기능, 고객으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기능, 및 고객으로부터 전화호출을 받고 현장에 대한 상황을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해 알려주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출입감시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번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기능, 동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자동 침입 신고 기능,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동영상정보를 중계하는 기능, 및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를 출입감시장치로 중계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프로그램들은 원격에서 전화 접속한 번호저장된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출입문을 원격 개폐할 수 있는 기능 또한 실현시킨다.
본 발명에 의해, 고객은 언제 어디서나 방범을 원하는 장소의 출입 여부를 통보받을 수 있고,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라도 동영상 정보를 통해 방범을 원하는 장소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여 사후 범죄수사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성부를 통해 고객의 음성메시지를 범죄현장에 방송함으로써 범죄시점에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범죄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 동영상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고객은 별도 추가 장비 휴대의 필요없이 이와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3)

  1. 삭제
  2.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출입문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전송하고 경고방송을 수행하는 출입감시시스템; 및
    상기 출입감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전화번호 및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문자정보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송출하기 위한 동영상 방범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입감시시스템은,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부;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
    출입감시시스템의 방범기능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스위치부;
    동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부;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경고방송 및 고객음성정보를 방송하는 음성부; 및
    상기 스위치부 및 개폐감지부의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문자정보 및 상기 동영상정보를 보내기 위한 자동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화호출을 감지하기 위한 링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번호입력된 전화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상기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5. 삭제
  6. 출입감시시스템이 출입문 개폐장치의 개폐여부를 감시하고, 개폐시 개폐여부에 대한 문자정보를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보내어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로 통보하는 단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방범기능이 오프되지 않는 경우 미리 녹음된 경고 방송을 하고 동영상정보를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동영상 방범시스템이 전송된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긴급 호출 및 상기 번호저장된 전화기로 침입경보 문자메시지 송출 및 동영상정보를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방범시스템이 상기 번호저장된 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를 음성부로 보내 경고방송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저장된 전화기로부터 상기 출입감시시스템으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감시시스템이 동영상정보를 상기 번호저장된 전화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방법.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저장된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상기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방법.
  9. 출입감시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에서,
    출입문 개폐 여부를 감시하며, 개폐시 이동통신망을 통해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문자정보를 송출하는 기능;
    녹음된 경고방송 및 동영상 방범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정보를 음성부를 통해 방송하는 기능;
    영상부를 통해 동영상정보를 생성하고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보내는 기능;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기능; 및
    현장 상황에 대한 동영상 및 음성을 상기 번호입력된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번호 입력된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1. 동영상 방범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에서,
    번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기능;
    동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자동 침입 신고 기능;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의 전화기로 상기 동영상정보를 중계하는 기능; 및
    상기 번호저장된 전화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를 출입감시장치로 중계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2. 출입감시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에서,
    출입문 개폐 여부를 감시하며, 개폐시 이동통신망을 통해 동영상방범시스템으로 문자정보를 송출하는 기능;
    녹음된 경고방송 및 동영상 방범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고객 음성정보를 음성부를 통해 방송하는 기능;
    영상부를 통해 동영상정보를 생성하고 동영상 방범시스템으로 보내는 기능;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기능; 및
    현장 상황을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해 상기 번호입력된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고,
    동영상 방범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에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기능;
    동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자동 침입 신고 기능;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의 전화기로 상기 동영상정보를 중계하는 기능; 및
    상기 번호저장된 전화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정보를 출입감시장치로 중계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번호저장된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10-2002-0069309A 2002-11-08 2002-11-08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 KR100494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09A KR100494085B1 (ko) 2002-11-08 2002-11-08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09A KR100494085B1 (ko) 2002-11-08 2002-11-08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211A KR20040041211A (ko) 2004-05-17
KR100494085B1 true KR100494085B1 (ko) 2005-06-10

Family

ID=3733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309A KR100494085B1 (ko) 2002-11-08 2002-11-08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34B1 (ko) * 2006-05-24 2007-12-0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보안 감시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72963B1 (ko) * 2006-12-27 2008-12-08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단말을 이용한 가정 자동화(homeautomation)제어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273A (ja) * 1999-09-03 2001-03-23 Toshiba Corp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10036306A (ko) * 1999-10-07 2001-05-07 이재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KR20020083780A (ko) * 2001-04-30 2002-11-04 황인철 물체인식 동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42274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텔로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273A (ja) * 1999-09-03 2001-03-23 Toshiba Corp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10036306A (ko) * 1999-10-07 2001-05-07 이재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KR20020083780A (ko) * 2001-04-30 2002-11-04 황인철 물체인식 동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42274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텔로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211A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258B1 (en) 911 real time information communication
US5717379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US6104785A (en) Subscriber control unit for united home security system
US606734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dundancy in security systems served by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6850601B2 (en) Condition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1695126B (zh) 家庭交互式图文语音信息和智能安防系统
KR100827709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WO20060677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a cellular network
KR20040096579A (ko) 감시 시스템
CN101695100A (zh) 智能家居安防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303237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8565125B2 (en) Services based two way voice service recording and logging
US20140028783A1 (en) Video alarm security system with 3-party 9-1-1 calling
CA2704244A1 (en) Security system
KR101272492B1 (ko) 방문자를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로 연결되는 인터폰
KR101435264B1 (ko)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US62630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ponding to security system breaches via a wireless network
KR20100110203A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0494085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방범 시스템, 원격 방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저장 매체
JP2000299740A (ja) 転送機能付きインターホン
JP7118806B2 (ja) 不審者監視システム
CN201804421U (zh) 智能家居安防系统
US7526269B1 (en) Remote intercom and automatic dialing system
JPH11234432A (ja) 警備システム
JP2994339B1 (ja) Phs端末を用いた警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