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203A -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203A
KR20100110203A KR1020090028660A KR20090028660A KR20100110203A KR 20100110203 A KR20100110203 A KR 20100110203A KR 1020090028660 A KR1020090028660 A KR 1020090028660A KR 20090028660 A KR20090028660 A KR 20090028660A KR 20100110203 A KR20100110203 A KR 20100110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no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환
Original Assignee
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덕환 filed Critical 한덕환
Priority to KR102009002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0203A/ko
Publication of KR2010011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4Alarm signalling to a central station with two-way communication, e.g. with signalling 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기 소지자의 위급상황을 신고하고,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현장상황을 녹취, 전송함은 물론 지정 번호로 통화를 시도하여, 통화가 개시되는 경우, 주변 상황의 현장실황음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연결을 인식하는 제1단계와 버튼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권을 획득하는 제2단계와 긴급 전화번호로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단계와 음성녹취를 수행하는 제4단계 및 긴급 전화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화모드로 변경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변안전, 긴급상황, 무선통신 단말기, 음성녹취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Emergency situation message system and the method which u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기 소지자의 위급상황을 신고하고,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현장상황을 녹취, 전송함은 물론 지정 번호로 통화를 시도하여, 통화가 개시되는 경우, 주변 상황의 현장실황음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빈번해지고 있는 강력범죄에 대한 대응책에 관한 기술들이 잇달아 선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을 살펴보면, 휴대폰에 설치된 안전고리를 잡아당길 경우 100㏈의 경고음을 발생하는 하거나, 안전고리를 잡아당긴 지역의 GPS 지도도 함께 전달되는 기술, 휴대폰의 전원이 꺼질 경우에는 긴급 메시지와 휴대폰 전원이 꺼진 지역의 위치를 전송하는 기술 및 휴대폰을 이용하여 최루가스를 살포하는 기술 등이 공개되어 있다.
공개된 기술들 역시 범죄예방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방법이 될 수는 있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일시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에 불과할 뿐, 범죄가 실질적으로 일어났는지, 또는 범죄가 어떠한 방식으로 일어났는지 등의 긴급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력범죄의 주요 대상이 되는 여성들은 휴대폰을 가방 안에 보관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위급상황 발생시에는 가방 안에 보관된 휴대폰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 휴대폰의 안전 장치 등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삽입된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부착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 권한을 획득하여, 긴급상황임을 알리는 지정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미리 선택되어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저장된 번호로 일회 이상 지속적으로 발송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 등의 현장음을 지속적으로 녹취 및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선택되어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저장된 번호로 발송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미리 저장된 특정 번호로부터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등의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긴급상황 알림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어하여 해당 번호로 음성통화를 연결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 등의 현장음을 음성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되거나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운영되는 시점부터 GPS 위성으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 후, 긴급상황에 따른 메시지와 함께 전송시키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긴급상황 알림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연결을 인식하는 제1단계와 버튼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권을 획득하는 제2단계와 긴급 전화번호로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단계와 음성녹취를 수행하는 제4단계 및 긴급 전화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화모드로 변경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와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입력부와 상기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긴급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긴급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신호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이용자임을 확인하는 제2단계와 확인된 상기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이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제3단계와 녹취된 상기 음성신호의 전송요구에 대응하여 제2무선통신 단말기로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2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통화연결을 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권한을 획득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시 등록된 상대방(보호자, 경찰관서, 보안서비스 업체 등)에게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 등을 송신하여, 범죄 또는 긴급구조 요청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주변의 음성 등의 현장음을 지속적으로 녹취, 저장하고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녹취된 음성 데이터를 지정된 번호로 전송하면, 음성데이터를 수신한 보호자, 수사기관 및 구급대 등은 녹취된 내용을 통해 현장상황을 파악한 뒤,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발생에 따라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동작하고 있을때 미리 지정된 특정 번호로부터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등의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어하여 해당 번호로 음성통화를 연결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 등의 현장음을 실시간으로 음성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함으로써, 범죄 또는 사고 당사자의 상태, 범죄자의 수, 상황발생 장소 등의 특이사항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되거나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운영되는 시점부터 GPS 위성으로터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긴급상황에 따른 메시지와 함께 전송할 수 있어, 상황 발생장소 정보를 지속적으로 알림으로써, 사고 당사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통화, 영상통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및 무선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100)와 무선통신 단말 기(100)에 연결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구비된다.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타 단말기와 음성통화, 영상통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및 무선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무선인터넷 통신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무선인터넷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무선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폴더, 슬라이드, 바(bar)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될 수 있으나, 보통 닫혀진 상태이거나 잠금(lock) 상태에서는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GPS 수신부를 구비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위치신호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100) 자체에서 출력하거나, 위치신호를 위치추적 서버(미도시) 등으로 전송하여 계산된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는 무선통신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를 통해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를 발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등을 발송하거나 수신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는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닫혀진 상태이거나 잠금(lock) 상태일 경우라도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 가 소진되어 전원이 켜지지 않는 경우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 내에 구비된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는 GPS 수신부를 구비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 해당 위치정보를 구할 수 있거나,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적 서버(미도시)에 위치신호를 전송하여 계산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에게 무선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넘겨줄 수도 있으며,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위치한 커넥터에 연결된 이후, 사용자의 버튼입력에 의해서 무선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넘겨줄 수도 있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GPS 수신부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에 구비된 GPS 수신부는 사용자에 의해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동작이 개시될 수 있으며,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커넥터에 연결된 이후, 사용자의 버튼입력에 의해서 동작이 개시될 수도 있다.
위치신호의 수신은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GPS 수신부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에 구비된 GPS 수신부 중 어느 하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GPS 수신부가 우선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GPS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에 구비된 GPS 수신부가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210),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에 구비되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20), 긴급상황 발생시 발송될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230),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이후,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입력부(240),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에 구비되는 각 구성요소의 제어 및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50),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의 동작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60), 긴급상황 발생시 주변의 음성 등의 현장음을 녹취하기 위한 마이크(270) 및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210)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는 표준 24핀 커넥터가 바람직하나, 무선통신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는 어떠한 커넥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접속부(21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데이터, 제어부(250)의 제어신호, 전원부의 전원을 무선통신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전원부(220)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되, 평상시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긴급상황 알림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나, 무선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소진되거나, 일정량 이하의 전원이 남은 경우에는 전원부(220)의 전원을 사용한다.
한편, 전원부(220)는 충전이 가능하며, 전원부(220)의 충전은 무선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통해서 충전될 수도 있다.
저장부(230)는 긴급상황 발생시 전송될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영상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저장되고, 각 전송될 메시지의 수신처로 사용될 긴급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30)는 마이크(270)를 통해 녹취되는 현장음 등을 저장하고, GPS 수신부(280)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신호를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각각의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를 긴급상황 발생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장부(230)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무선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내에 구비된 저장부(230)를 사용한다.
저장부(230)에 저장된 긴급 전화번호는 긴급상황임을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한 보호자, 경찰관서, 소방서, 구급기관, 보안서비스 업체 등이 바람직하다.
버튼입력부(2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긴급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버튼입력부(240)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50)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 내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획득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 권한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제어 권한을 획득하고, 버튼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되는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부(230)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영상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부(2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처로 하여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발신한다.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발신하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가 닫혀있거나, 잠금(lock) 설정이 되어 있더라도, 백그라운드 작업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마이크(270)의 제어를 통해 외부의 음성 등의 현장음을 녹취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230)에 저장된 녹취 음성을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서 음성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로 생성한다. 제어부(250)는 생성된 음성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발신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긴급상황 발생시 음성통화, 영상통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및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무선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와 저장부(230)에 저장된 긴급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긴급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통화연결은 수신되는 전화번호가 음성통화 및 영상 통화 요청일 경우에는 통화를 수락하는 제어신호를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통화연결을 가능하도록 하여 음성 또는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대방의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긴급상황의 현장음 또는 현장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통화연결은 수신되는 전화번호가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및 무선인터넷 데이터일 경우, 매칭되는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연결을 시도하고, 통화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마이크를 통해 긴급상황의 현장음 또는 현장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긴급상황 발생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긴급상황 알림 장치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고, 표시부(260)는 액정 및 LE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ED를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는 액정 및 LED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마이크(270)는 긴급상황 발생시 외부 음성 등의 현장음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단말기 및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가방 등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현장음을 용이하게 수신하기 위해서 음성 증폭 마이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수신부(280)는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신호를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GPS 수신부(280)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신호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위치정보로 계산할 수 있으며, 원격에 위치 하는 위치추적 서버로 전송한 후, 계산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긴급상황 알림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의 모델, 버전 및 사용자 정보 등을 수신한다(S310). 긴급상황 알림 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 단말기의 모델, 버전 및 사용자 정보 등을 수신하면, 긴급상황 알림 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GPS 수신부의 동작을 시작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315).
긴급상황 발생에 따라 사용자의 버튼 누름 행위를 통해 버튼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발생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면(S320), 제어부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제어 권한 요청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단말기는 제어 권한 요청에 따라 긴급상황 알림 장치로 제어 권한을 이관한다(S330). 한편, GPS 수신부의 동작은 S315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긴급상황 발생신호가 생성되는 S320 단계 이후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GPS 수신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 내에 구비된 GPS 수신부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 권한을 획득하면, 긴급상황 알림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긴급상황 메시지를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전송한다(S340). 이때, 긴급상황 메시지가 전송되는 수신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현장의 음성 등의 현장음을 녹취할 수 있으며(S350), 음성녹취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송화부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내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녹취된 음성을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음성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한다(S355).
음성녹취는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음성녹취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긴급상황 알림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음성통화, 영상통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대기 하고 있다(S360).
만약, 외부로부터 음성통화, 영상통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S370), 긴급상황 알림 장치는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발신 전화번호 또는 발신 무선인터넷 주소를 획득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긴급 전화번호와 비교하고, 매칭되는 긴급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되는 긴급 전화번호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380).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수행하는 통화연결은 수신되는 전화번호가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요청일 경우에는 통화를 수락하는 제어신호를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통화연결을 가능하도록 하여 음성 또는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긴급상황의 현장음 또는 현장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가 수행하는 통화연결은 수신되는 전화번호가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및 무선인터넷 데이터일 경우, 매칭되는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연결을 시도하고, 통화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마이크를 통해 긴급상황의 현장음 또는 현장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된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긴급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S410), 긴급신호와 매칭되는 서버(300)의 회선으로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통화연결이 확립되면 긴급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한다(S420).
한편, S410 단계 이전에,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설정은 서비스 이용자가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서비스 개시를 위한 서버(300)의 회선으로 통화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0)의 회선은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의 개시, 해제, 긴급상황 발생, 서비스 동작상태 점검, 현장상황음 청취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상황별로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로 입력되는 긴급신호를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분석하여 이에 매칭되는 서버(300)의 회선으로 상황에 따른 서비스를 요청한다.
서버(300)는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와 통화연결되어 제1무선통신 단말 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긴급상황 발생 신호에 포함된 콜아이디(Call ID)가 서비스 이용 대상자(서비스 이용자)임을 확인하는 경우(S430), 통화연결을 통해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녹취하고, 서비스 이용자에 대응되어 서버(300)에 저장된 긴급전화번호에 매칭되는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S440).
음성신호의 녹취는 서비스 신청시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지며, 녹취시간은 변경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는 문자메시지뿐만 아니라, 음성메시지, 전화통화 연결을 통한 ARS 서비스 등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300)에 저장된 긴급전화번호는 서비스 이용자의 보호자의 전화번호가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긴급전화번호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긴급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보호자는 해당 메시지가 수신된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녹취되는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음성신호인 현장상황음을 청취를 요청할 수 있다(S450).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를 통한 현장상황음의 청취 요청은 수신된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서버(300)의 회선으로 통화연결을 시도하여 청취할 수 있으며, 서버(300)는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의 현장상황음의 청취를 요청하는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의 콜아이디(Call ID)가 서버(300)에 저장된 긴급전화번호와 매칭되면, 녹취된 현장상황음을 청취하도록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460).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를 통해 녹취된 현장상황음을 청취하는 긴급전화번호 대상자(보호자)가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의 현장상황음이 긴급상황이 발생했다라고 인지하여, 관계기관(500)으로 신고가 필요한 경우, 보호자는 청취하고 있는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신고하고자 하는 관계기관(5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S470).
관계기관(500)의 전화번호는 112(경찰관서), 119(소방서) 등이 입력될 수 있으며,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는 입력된 관계기관(500)의 전화번호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로 서버(300)에게 전송하고, 서버(300)는 전송되는 DTMF 신호를 분석하여 관계기관(500)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매칭되는 관계기관(500)으로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와 통화연결을 하고, 해당 관계기관(500)으로 녹취된 현장상황음을 전송할 수도 있다(S480).
서버(300)에서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긴급전화번호(보호자)는 하나 이상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서비스 신청에 따라 하나 이상 저장된 긴급전화번호로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며, 현장상황음의 청취 역시 긴급전화번호로 등록된 다수의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 모두 가능하다.
한편,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를 개시한 상태에서는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된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지정된 서버(300)의 회선으로 통화연결하여 서비스 대기상태임을 알리며, 서버(300)에서는 이러한 통화연결을 확인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서버(300)의 회선으로 통화연결을 하여 서비스 대기상태임을 알리는 경우,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GPS 수신기는 GPS 위성(6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신호를 긴급상황 알림 장치(200)가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DTMF 신호로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서비스 개시된 이용자의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인 통화연결이 확립되지 않는 경우, ARS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에게 통화연결을 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현재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며, 서버(300)에 저장된 긴급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에게 현재 상태를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 등으로 전송하거나, ARS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2무선통신 단말기(400)에게 통화연결을 하여 현재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녹취된 제1무선통신 단말기(100)의 현장상황음은 긴급전화번호와 매칭되는 사용자임을 인증받는 경우, 인터넷에 연결된 웹을 통해 청취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에 기초하여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에 의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력범죄가 빈번한 현 상황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 에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송하고, 또한 현장음 또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지정된 번호로 전송함으로써, 어떠한 종류의 긴급상황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보호자, 경찰관서, 보안서비스 업체 등에서 적절한 구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신변안전서비스 산업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통신 단말기 200 : 긴급상황 알림 장치
210 : 접속부 220 : 전원부
230 : 저장부 240 : 버튼입력부
250 : 제어부 260 : 표시부
270 : 마이크 280 : GPS 수신부

Claims (37)

  1. 긴급상황 알림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연결을 인식하는 제1단계;
    버튼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권을 획득하는 제2단계;
    긴급 전화번호로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단계;
    음성녹취를 수행하는 제4단계; 및
    긴급 전화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화모드로 변경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후에, GPS 수신부를 통해 위치정보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와 제5단계 사이에서 상기 음성녹취에 따라 녹취된 음성데이터 를 상기 긴급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내에 구비되거나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녹취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녹취되며, 상기 음성데이터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전화번호는 보호자, 경찰관서, 구급기관, 소방서, 보안서비스 업 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상기 긴급 전화번호의 수신은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무선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는 상기 긴급상황에 대응되는 정보인 발생시간,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GPS 신호를 이용한 위치정보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연계된 기지국의 측위 측정방식을 이용한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제1과정;
    상기 전화번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긴급 전화번호와 비교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긴급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로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는 제3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연결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상기 전화번호가 통화요청인 경우, 통화개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 연결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전화번호가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대응하는 긴급 전화번호로 통화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방법.
  13.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긴급상황 발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입력부;
    상기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긴급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긴급상황 알림 발생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장소를 측정하기 위한 GPS 수신부; 및
    상기 긴급상황 발생 장소의 음성을 녹취하기 위한 마이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시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긴급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시 전송하기 위한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 시지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시 무선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긴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인터넷 주소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시 녹취된 음성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부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접속되거나 상기 버튼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발생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이후에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발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제어 권한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발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대상으로 하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긴급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입력부로부터 긴급상황 발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대상으로 하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데이터를 무선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시 녹취되는 음성데이터를 긴급 전화번호를 수신대상으로 하여 음성메시지 또는 무선인터넷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전화번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긴급 전화번호를 상호 비교하여, 매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대상으로 하는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내에 구비되는 송화기 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음성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음성 증폭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장치.
  29.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긴급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신호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이용자임을 확인하는 제2단계;
    확인된 상기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이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녹취하는 제3단계;
    녹취된 상기 음성신호의 전송요구에 대응하여 제2무선통신 단말기로 상기 음 성신호를 전송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2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통화연결을 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신호는 상기 제1무선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입력되는 긴급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며, 상기 제1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 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는 상기 제1무선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를 누름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무선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키 입력은 미리 설정된 코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신호의 분석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무선통신 단말기의 콜 아이디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 상기 긴급상황에 따른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를 저장된 전화번호를 수신처로하여 문자메시지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통화연결시에 녹취된 상기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36. 제 29 항에 있어서,
    녹취된 상기 음성신호는 인터넷에 연결된 웹을 통해 청취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37.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신호는 디티엠에프 신호 또는 음성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KR1020090028660A 2009-04-02 2009-04-02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0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660A KR20100110203A (ko) 2009-04-02 2009-04-02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660A KR20100110203A (ko) 2009-04-02 2009-04-02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203A true KR20100110203A (ko) 2010-10-12

Family

ID=4313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660A KR20100110203A (ko) 2009-04-02 2009-04-02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020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190B1 (ko) * 2012-12-20 2014-02-07 최덕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WO2014046479A1 (ko) * 2012-09-20 2014-03-27 Kim Seong Soo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WO2016056833A1 (ko) * 2014-10-06 2016-04-14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60131486A (ko)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중부보안 도로 시설물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85550B1 (ko) * 2018-10-18 2020-03-06 주식회사 우리넷 폰 케이스에 VoLTE 기반의 사물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IoT 시스템
KR20200143817A (ko) 2019-06-17 2020-12-28 송청희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 상황 대처용 경보 및 표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479A1 (ko) * 2012-09-20 2014-03-27 Kim Seong Soo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US9531861B2 (en) 2012-09-20 2016-12-27 Byung Chang MOON Smart phone having emergency call button
KR101358190B1 (ko) * 2012-12-20 2014-02-07 최덕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WO2016056833A1 (ko) * 2014-10-06 2016-04-14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60131486A (ko)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중부보안 도로 시설물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85550B1 (ko) * 2018-10-18 2020-03-06 주식회사 우리넷 폰 케이스에 VoLTE 기반의 사물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IoT 시스템
KR20200143817A (ko) 2019-06-17 2020-12-28 송청희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 상황 대처용 경보 및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344B1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지능형 위급신호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9025735B2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US20120002792A1 (en) Wireless intercom emergency assistance system
CN101595712B (zh) 使用无线通信阻止紧急呼叫错误使用的系统和方法
US10446016B2 (en) Advanced mobile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CN101179802A (zh) 通信设备、网络设备以及报警方法
KR20100110203A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WO2014087157A1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720853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792047B1 (ko) 스마트폰과 이어폰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기능 제공 방법
US2008008951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on, control and annunciation of speakerphone use
JP2007180685A (ja) 携帯端末から緊急通報先へ通報時の位置情報通知方法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3217058A (ja) 緊急情報伝達装置
KR20200093152A (ko) 해외 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 대응 시스템과 그 방법
CN105989699A (zh) 一种终端信息处理方法、终端、系统
JP2015097421A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制御方法
US10586441B2 (en) Arrangement for triggering at least one alarm
JPH10229455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を利用した緊急通知システム
KR101289255B1 (ko) 학교 내 위급상황 알림용 스마트폰
JP4244888B2 (ja) 携帯電話端末装置
KR100929571B1 (ko) 긴급 상황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외부장치
CN219046198U (zh) 基于电子设备的实时紧急求救系统
KR101988045B1 (ko) 긴급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3346258A (ja) 緊急連絡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端末装置
JP2003274050A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