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190B1 -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190B1
KR101358190B1 KR1020120149351A KR20120149351A KR101358190B1 KR 101358190 B1 KR101358190 B1 KR 101358190B1 KR 1020120149351 A KR1020120149351 A KR 1020120149351A KR 20120149351 A KR20120149351 A KR 20120149351A KR 101358190 B1 KR101358190 B1 KR 10135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guardian
video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환
김영탁
김태균
유승구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riority to KR102012014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08B21/0283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via a telephone network, e.g. cellular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가 상기 실시간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피보호자가 위험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위험상황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피보호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피보호자 자신 또는 주위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귀가 상황을 생생하게 모니터할 수 있어 피보호자에게 발행한 위험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위험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of Safely Returning Home}
본 발명은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피보호자 자신 또는 주위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귀가 상황을 생생하게 모니터할 수 있어 피보호자에게 발생하는 위험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위험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어린이 및 부녀자에 대한 납치 또는 성추행 등의 범죄가 사회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범죄는 주로 치안사각지대 및 늦은 귀가길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CCTV를 더욱 많이 설치하여 치안사각지대를 없애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CCTV 설치만으로는 범죄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어린이 및 부녀자의 보호자들은 더욱 확실하고 안전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안심 귀가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제안들이 지금까지 이루어져 왔다.
특허공개 제10-2005-0047669호(2005. 05. 23. 공개)는 택시 안전 귀가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고, 특허등록 제10-0987758호(2010. 10. 07. 등록)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개시하며, 특허공개 제10-2010-0010548호(2010. 02. 02. 공개)는 아동 범죄 예방 시스템을 개시하고, 특허공개 제10-2010-0129392호(2010. 12. 09. 공개)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안심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 제10-2011-0125878호(2011. 11. 22. 공개)는 스마트폰과 이차원바코드를 이용한 택시 모니터링 및 안심귀가서비스를 개시하고, 특허등록 제10-1206443호(2012. 11. 23. 등록)는 모바일폰을 이용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한 특허들은 모두 피보호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만으로는 피보호자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특허공개 제10-2009-0010678호(2009. 01. 30. 공개)는 이동통신에서의 음성 호 자동 착신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 특허출원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음성 호 자동 착신을 요청하는 경우에,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 음성 호를 자동 착신하게 하는 것인데, 이러한 자동착신에 의하여 발신자는 착신자 측의 상황을 음성에 의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음성만으로는 착신자 측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그러한 동안에는 착신자 및 발산자는 다른 사람과의 전화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특허공개 제10-2012-0073153호(2012. 07. 04. 공개)는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 이 특허출원은 보호대상 단말기에 장착된 GPS에 의하여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호대상 단말기에는 비상버튼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비상버튼은 눌려지면 긴급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알림음이 송출되도록 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고 또한 치한이 달아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비상버튼이 눌려지면, 자동으로 현장 사진을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사진과 위치정보를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전송한다. 또한 비상버튼이 눌려지면, 자동으로 영상 통화 기능이 활성화되어 보호자에게 발신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영상통화에 의하여 보호자는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보호대상자는 위험상황일 때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된 비상버튼을 누를 수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러할 경우에는 보호자는 정확한 상황파악을 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귀가 상황을 생생하게 모니터할 수 있어 피보호자에게 발생하는 위험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위험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은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가 상기 실시간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피보호자가 위험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위험상황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피보호자의 손 또는 신체의 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피보호자 자신 또는 주위상황을 촬영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관찰자(Observer)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상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버에게 상기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것을 요청할 때 상기 서버가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원격조종하여 상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러면 상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모니터(Moniter)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먼저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원격조종하여 상기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런 후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상기 실시간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동영상의 촬영과 함께 녹음된 음성도 함께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음성을 실시간으로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며,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음성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할 때, 자신이 위치한 위치정보도 함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며,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위치정보를 동영상 디스플레이에 함께 제공하거나, 상기 보호자의 선택에 의하여 별도로 마련된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보호자 및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보호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하는 동영상 및 상기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위험상황 통지를 경찰 또는 사설 경비에게 알려 경찰 또는 사설 경비가 출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방법을 구현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피보호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피보호자 자신 또는 주위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귀가 상황을 생생하게 모니터할 수 있어 피보호자에게 발행한 위험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위험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만 하면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보호자는 특별한 조작없이도 피보호자의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은 경우에, 보호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서버를 통하여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조종으로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부주의로 인하여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더라도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성통화 및 화상통화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즉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요한 자원인 전화통화 기능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자원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되는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되는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절차에 관한 흐름도의 일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절차에 관한 흐름도의 일부로서, 도 4의 흐름도에 이어지는 나머지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것을 소지한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그것에 설치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피보호자의 귀가시에 그것에 설치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서버(300)는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것들이 구현하는 절차들은 각각 도 2, 도 3 및 도 4와 도 5에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귀가'는 통상적으로는 피보호자가 '집으로 돌아오는 행동'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그것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치안사각지대 또는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가거나 통과하는 이동, 예를 들어 친척집을 방문하는 행동, 업무차 한적한 지역으로 가는 행동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스마트폰'은 범용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하여 이동통신에 의한 전화걸기 기능 이외에 인터넷 접속 기능 등을 구현하는 범용장치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이라 불리우는 것 이외에도 이동통신 기능을 가지는 태블릿 PC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은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것에 설치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부터 작동하기 시작한다(단계 S100).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피보호자가 귀가길에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용단말기일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스마트폰인 경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아이콘을 피보호자가 터치함으로써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된다. 두번째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서버(300)에 접속할 때 서버(30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이다.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한다(단계 S110). 실제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은 위에서 언급한 첫번째 방법에 의하여 실행되면 먼저 서버(300)에 접속 요청을 보내고, 서버(300)는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서버(300)에 등록된 회원인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에만 접속 요청을 승인함으로써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서버(300) 간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이 이루어진 후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한다.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촬영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피보호자의 귀가상황을 보호자가 정확하게 파악하고 귀가 중에 피보호자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보호자가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피보호자의 손 또는 신체의 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고 또한 촬영된 동영상은 피보호자 자신 또는 주위상황을 촬영한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피보호자가 귀가 중에 스마트폰으로 온라인 게임 등의 게임을 즐기거나 인터넷 서핑을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로 피보호자 자신이 촬영되고, 피보호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후면 카메라에 의하여 주위상황이 촬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촬영중 타인에 의한 위협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면 그러한 상황이 촬영된 동영상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치한과의 몸싸움으로 또는 피보호자가 치한을 피하여 달아나는 과정에서 동영상이 심하게 흔들릴 수 있다. 또한 치한에게 스마트폰을 빼앗긴 후 스마트폰이 버려질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자가 피보호자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피보호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다면 피보호자가 치한에게 납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은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버(300)에게 전송한다(단계 S120). 이때 촬영한 동영상을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하여 보관할 것인지 여부는 피보호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통상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때 마이크에 의하여 음성도 함께 녹음하므로 동영상과 함께 음성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영상과 함께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된다(단계S130).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은 GPS 송수신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런 후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은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40), 그러한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며, 종료 명령이 없다면 단계 S110으로 돌아가 동영상 촬영을 계속한다.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는 반드시 이 단계에서 수행될 필요는 없고 다른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변형예는 도 3에 제시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자신의 귀가 상황을 실시간 동영상 및 위치정보로 서버(300)를 통하여 보호자에게 알린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그것에 설치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부터 작동하기 시작한다(단계 S200).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서버(300)에 접속하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버(30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일 때 보호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설치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전용단말기일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스마트폰인 경우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아이콘을 보호자가 터치함으로써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된다.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보호자에 의하여 모니터 애플리케이션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S210), 그러한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정해진 절차들을 수행한다.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서버(300)로부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단계 S220). 수신하는 동영상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촬영한 피보호자의 귀가상황에 관한 동영상이다.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위에서 언급한 두번째 방법에 의하여 실행되면, 먼저 서버(300)에 접속 요청을 보내고, 서버(300)는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버(300)에 등록된 회원인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에만 접속 요청을 승인함으로써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서버(300) 간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수신한 실시간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30). 보호자는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실시간 동영상을 보고 피보호자가 안전하게 귀가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피보호자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호자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에 위험상황 통지를 입력할 수 있고, 위험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을 수 있다.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보호자에 의하여 위험상황 통지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40), 만약 위험상황 통지의 입력이 없다면 단계 S210으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하고, 반면에 위험상황 통지의 입력이 있었다면 서버(300)에게 위험상황을 통지한다(단계 S250). 그런 후 절차는 단계 S210으로 돌아가 계속된다.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동영상 디스플레이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의 선택에 의하여 별도로 마련된 지도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화면의 특정 위치에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를 위도와 경도로 또는 주소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보호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동영상 모드 및 지도 모드를 제공하고,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귀가 상황을 동영상으로 보고자 할 때에는 동영상 모드를 선택하여 보고, 피보호자의 귀가 상황을 지도 모드로 보고자 할 때에는 지도 모드를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지도 모드에서는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가 지도 상에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실시간으로 수신된 동영상은 보호자의 선택에 의하여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저장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도 동영상과 함께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저장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피보호자의 귀가 상황을 실시간 동영상 및 위치정보로 서버(300)를 통하여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서버(300)에서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한다.
서버(300)도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것인데, 이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도 4 및 5에는 프로그램의 실행 단계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서버(300)는 먼저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300).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었다면, 서버(300)는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허용한다(단계 S310). 만약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에게 그 사실을 알리고 회원가입에 대한 안내를 통지한다.
서버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DB)에 회원에 관한 기록을 가진다. 회원은 피보호자 및 보호자로 구분되며, 반드시 피보호자-보호자 쌍으로 등재된다. 즉 어떤 회원이 피보호자로 등재되어 있다면, 그에 대응하는 보호자가 반드시 한 사람 이상 등재되어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회원이 보호자로 등재되어 있다면, 그에 대응하는 피보호자가 반드시 한 사람 이상 등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피보호자-보호자 쌍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관찰자 애플리케이션과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모니터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실행되면 대응되는 다른 하나는 서버(30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서버(300)에 접속되면, 서버(300)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피보호자-보호자 쌍 데이터에서 해당하는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를 원격조종하여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단계S320). 이때 해당 보호자에 대해서는 이미 회원임이 확인되었으므로 접속 허용에 관한 승인 철차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접속을 요청할 때 해당하는 피보호자-보호자 쌍 데이터를 DB로부터 자신의 주기억장치, 즉 RAM에 기록하고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접속 요청을 거절하면서 상기 RAM으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지만, 회원인 경우에는 접속 요청을 허락하여 접속을 형성하면서 상기 RAM에 해당 데이터를 유지시킨다. 그런 후 대응되는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조종으로 자동 실행시킨 후에 그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단계 S330) RAM에 기록된 해당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접속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 후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을 허용한다(단계S340).
대안적으로, 서버(300)는 RAM에 기록된 대응되는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조종으로 자동 실행시킬 때(단계 S320) 서버에의 접속 허용에 관한 변수값을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하고,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서버(300)에 접속 요청을 할 때 그 변수값을 다시 서버에게 전달하면, 서버는 그러한 접속 허용에 관한 변수값을 확인함으로써(단계 S330)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단계 S340).
한편,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접속 요청이 없었다면, 서버(300)는 단계 S310 및 S320을 수행하지 않고,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330). 이때에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접속된 상태가 아니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간단한 접속 허용 절차는 수행되지 않고, 서버(300)는 호보자 이동통신단말기(200)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허용한다(단계 S340). 만약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에게 그 사실을 알리고 회원가입에 대한 안내를 통지한다.
한편,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접속 요청이 없는 상황일 때,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도 접속 요청이 없었다면, 서버(300)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종료 명령이 있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335), 그러한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며, 종료 명령이 없었다면 다시 단계 S300으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한다.
다시 단계 340으로 돌아가면,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대하여 그 접속을 허용한 후에, 서버(300)는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접속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50).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접속중이 아닌 경우에는 서버(3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조종으로 자동 실행시킨다(단계 S360). 만약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접속 중인 경우에는 단계 S360은 실행되지 않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다음으로, 서버는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단계 S370), 수신된 동영상을 곧바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단계 S380). 이때, 수신된 동영상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영상과 함께 음성도 수신 및 전송되며, 또한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정보도 수신 및 전송된다.
다음으로, 서버(300)는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위험상황 통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390), 그러한 경우에는 위험상황 통지를 경찰 또는 사설 경비에게 전송한다(단계 S400). 이때, 위험상황이 포함된 동영상, 위치정보도 함께 경찰 또는 사설 경비에게 전송하여 경찰 또는 사설 경비가 출동할 수 있게 한다.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위험상황 통지가 없었다면, 단계 S400은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서버는 프로그램 종료명령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410), 그렇다면 프로그램을 종료하며, 종료명령이 없었다면 절차는 단계 S370으로 돌아가 계속된다.
10: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
200: 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 300: 서버
400: 경찰 또는 사설 경비 컴퓨터

Claims (9)

  1.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가 상기 실시간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피보호자가 위험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위험상황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피보호자가 귀가할 때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관찰자(Observer)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상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버에게 상기 피보호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것을 요청할 때 상기 서버가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원격조종하여 상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러면 상기 관찰자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서버가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모니터(Moniter)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먼저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원격조종하여 상기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런 후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상기 실시간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피보호자의 손 또는 신체의 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피보호자 자신 또는 주위상황을 촬영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동영상의 촬영과 함께 녹음된 음성도 함께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음성을 실시간으로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며,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음성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할 때, 자신이 위치한 위치정보도 함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며,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위치정보를 동영상 디스플레이에 함께 제공하거나, 상기 보호자의 선택에 의하여 별도로 마련된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및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8. 삭제
  9. 피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서버 및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20149351A 2012-12-20 2012-12-20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35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51A KR101358190B1 (ko) 2012-12-20 2012-12-20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51A KR101358190B1 (ko) 2012-12-20 2012-12-20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190B1 true KR101358190B1 (ko) 2014-02-07

Family

ID=5026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351A KR101358190B1 (ko) 2012-12-20 2012-12-20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042A (ko) 2015-07-13 2017-01-23 이장춘 스마트폰과 이어폰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기능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203A (ko) * 2009-04-02 2010-10-12 한덕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125487B1 (ko) * 2010-09-30 2012-03-20 팅크웨어(주)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110639B1 (ko) *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6221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 안심 서비스와 실시간 카메라 동영상을 제공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203A (ko) * 2009-04-02 2010-10-12 한덕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125487B1 (ko) * 2010-09-30 2012-03-20 팅크웨어(주)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20136221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 안심 서비스와 실시간 카메라 동영상을 제공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10639B1 (ko) *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042A (ko) 2015-07-13 2017-01-23 이장춘 스마트폰과 이어폰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기능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4889B2 (en)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US20150009011A1 (en) Personal security system
US20130329047A1 (en) Escort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JP5903375B2 (ja)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531927A (ja) ビデオ異常情報注意方法および装置
WO2018017706A1 (en) Mobile legal counsel system and method
JP2020010158A (ja) 周辺画像の提供方法、及び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
CN104902119A (zh) 一种聋哑人报警求助系统
KR20120118369A (ko)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9187A (ko) 사용자의 위험 상태 공유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20006B1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4044641A (ja) 犯罪情報管理装置および犯罪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358190B1 (ko)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29104B1 (ko) 휴대용 무선데이터 송수신기를 이용한 가족지킴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US11069209B1 (en) Team monitoring
US20220263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user remote controllable safety camera
JP6941458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JP4479398B2 (ja) 集合住宅型遠隔見守りシステム
KR101582254B1 (ko)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17188861A (ja) 携帯型防犯端末、防犯管理装置、防犯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13017A (ko)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000829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1369288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0790A (ko) 가상 현실 스마트 초인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