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254B1 -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254B1
KR101582254B1 KR1020140086164A KR20140086164A KR101582254B1 KR 101582254 B1 KR101582254 B1 KR 101582254B1 KR 1020140086164 A KR1020140086164 A KR 1020140086164A KR 20140086164 A KR20140086164 A KR 20140086164A KR 101582254 B1 KR101582254 B1 KR 10158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derground parking
parking lo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태
이근우
이근영
김경우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25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을 모니터링하는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4)와 함께 휴대단말기(6)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지하주차장의 실시간 영상을 확보하는 영상취득부(2)와, 상기 영상취득부(2)를 통해 확보된 지하주차장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고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매칭하여 지하주차장의 현재 상황을 3차원으로 입체화된 공간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센터(10)로 구성하여서, 건축물의 3차원 공간정보와 함께 CCTV 카메라(4) 및 휴대단말기(6)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는 상시 거주하는 입주자의 휴대단말기(6) 기기정보를 미리 확인하여 3차원 공간정보에 입주자와 비입주자를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지하주차장의 위험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UNDERGROUND PARKING SECURETY SYSTEM USING CCTV CAMERA AND MOBIL TERMINAL, PROVID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의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입체화된 건축물의 공간정보와 함께 CCTV 카메라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안전을 관리하는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지하주차장은 어둡고 넓으며 왕래가 드물고 주차 차량 때문에 시야가 어려워 각종 범죄 및 사고예방이 취약한 지역이다.
더구나 요즘 주차장이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고 다층화되어 감에 따라 주차장 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방범 및 안전에 대한 사회적, 개인적 요구가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방범 및 보안을 위해 지하주차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CCTV 카메라 방범시스템의 설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CCTV 카메라 설치만으로는 지하주차장의 사각지대까지 안전하게 관리할 수는 없는 것이어서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9535호(2011.09.08.),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4229호(2010.10.25. 공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와 함께 휴대단말기의 촬영정보를 건축물의 공간정보와 매칭시켜 범죄 및 화재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을 모니터링하는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4)와 함께 휴대단말기(6)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지하주차장의 실시간 영상을 확보하는 영상취득부(2)와, 상기 영상취득부(2)를 통해 확보된 지하주차장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고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매칭하여 지하주차장의 현재 상황을 3차원으로 입체화된 공간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센터(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을 모니터링하는 보안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4)와 함께 입주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6)로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10)로 전송하여 지하주차장의 구조를 3차원 입체화된 공간정보 상에 상시모드로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시모드로 지하주차장을 모니터링하던 중 외부인이 소지한 인증되지 않는 휴대단말기(6)의 정보가 감지되어 장시간 지하주차장에 머물 경우에 모니터링 모드를 경계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과정과, 모니터링 모드가 상시모드나 경계모드인 상황에서 CCTV 카메라(4)와 입주자의 휴대단말기(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영상판단부(18)를 통해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하면 위험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영상의 위치정보를 공간정보와 매칭하여 3차원 입체화된 공간정보 상에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과, 위험상황이 발생한 위치와 상황에 맞는 경고음과 안내음성을 출력하여 발생한 위험을 인지시켜 위험상황으로부터 신속히 대피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3차원 공간정보와 함께 CCTV 카메라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는 상시 거주하는 입주자의 휴대단말기 기기정보를 미리 확인하여 3차원 공간정보에 입주자와 비입주자를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지하주차장의 위험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관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제어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의 작동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의 모식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축정보모델(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기술로 건축물을 3차원 입체화한 공간정보에 CCTV 카메라(4) 및 휴대단말기(6)를 이용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지하주차장과 같이 범죄의 우려가 있는 위치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CTV 카메라(4)와 휴대단말기(6)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CCTV 카메라(4)와 휴대단말기(6)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은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의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취득부(2)와, 영상취득부(2)에 의해 전송된 영상을 통해 지하주차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센터(10)로 구성한다.
상기 영상취득부(2)는 실시간으로 지하주차장의 상황을 촬영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CCTV 카메라(4) 또는 개인이 휴대하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영상취득부(2)가 CCTV 카메라(4)인 경우에는 DVR 또는 NVR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보다 선명한 화질의 영상정보의 취득이 가능하다. 여기서, CCTV 카메라(4)를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할 경우에는 CCTV 카메라(4)가 설치된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전송되는 영상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취득부(2)가 휴대단말기(6)인 경우에는 소지한 휴대단말기(6)로 촬영한 지하주차장의 영상을 무선송수신부(8)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해당 무선송수신부(8)의 영상 전송 위치를 통해 휴대단말기(6)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8)는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지하주차장에 다수개를 설치하여 휴대단말기(6)를 통해 영상을 촬영한 촬영자의 위치를 좀 더 세밀하게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취득부(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10)로 전송하여 지하주차장의 실시간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에는 위험을 경고하거나 사전에 미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통합관제센터(10)는 전반적으로 통합관제센터(10)를 제어하는 메인관리부(14)와, 영상취득부(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정보수신부(12)와, 전송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부(24)와, 건축물의 구조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공간정보획득부(26)와, 영상정보와 공간정보를 매칭하여 촬영 영상의 위치를 모니터로 표시함과 함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28)로 구성한다.
메인관리부(14)는 영상취득부(2)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필터링하는 영상필터링부(16)와, 영상필터링부(16)를 통해 보정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판단부(18)와, 영상판단부(18)를 통해 확인한 영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확인부(20)와, 확인된 영상과 위치를 통해 설정된 신호를 호출하는 출력신호생성부(22)로 구성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인관리부(14)를 상세히 설명하면, 영상필터링부(16)는 영상취득부(2)를 통해 수신되어 저장되는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필터링하여 수신된 영상이 식별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영상의 화면이 어둡거나 사물의 분별이 용이치 않을 경우에는 이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음에 따라 영상의 명암, 선명도, 흔들림 등을 필터링한다.
영상판단부(18)는 영상필터링부(16)에 의해 명암, 선명도, 흔들림 등이 필터링되어 보정된 영상을 통해 현재 촬영된 위치의 상황을 판단하는 것으로, 수신된 영상의 활동성을 근거로 평상시의 모습인지 위험한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제어부로 위험모드전환 신호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모니터링제어부에서는 위험모드로 전환하며, 필요시 판단된 정보를 통해 후술하는 출력신호생성부(22)에서 이를 이용하여 위험 신호를 영상 송신자 및 송신위치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확인부(20)는 수신된 영상을 통해 현재 촬영된 위치를 판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영상취득부(2)를 CCTV 카메라(4)와 휴대단말기(6)로 구성함에 따라 CCTV 카메라(4)의 경우에는 미리 설치된 위치를 건축정보모델 작성도구(CAD)로 작성된 3차원 공간정보에 입력하여 전송되는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영상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6)로 전송되는 영상은 촬영된 영상을 무선송수신부(8)를 통해 영상정보수신부(12)로 전송함에 따라 영상을 휴대단말기(6)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8)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출력신호생성부(22)는 수신한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현재 상황 및 위치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그에 맞는 경고신호를 지하주차장에 알려 빠르게 대피하거나 경각심을 일으키게 하다.
상기 경고신호는 위험을 알리는 경고음이나 안내음성 등이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소방서나 경찰서에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는 신고전화일 수도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6)를 통해 영상을 촬영한 자에 한하여 위험 경고를 알릴 경우에는 소지한 휴대단말기(6)로 경고 문자나 전화를 하여 경각심을 줄 수 있으며, 이때에는 미리 입주자의 휴대단말기(6) 정보를 확보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정보저장부(24)는 메인관리부(14)를 통해 필터링되어 보정된 영상을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들은 필요시에 메인관리부(14)에 제공된다.
영상정보저장부(24)에 저장되는 보정된 영상들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시간별, 장소별, 상황별, 날짜별 등으로 분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정보획득부(26)는 메인관리부(14)에 의해 영상이 촬영된 위치를 확인한 후 이를 지하주차장의 공간정보와 매칭하기 위해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설계도면을 3차원으로 입체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간정보는 건축정보모델(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기술로 3차원 입체화된 지하주차장의 공간정보이며, 입체화된 공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 메인관리부(14)에 의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입체화된 공간정보에 매칭함으로써 지하주차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화된 공간정보는 지하주차장의 설계도면과 같은 건물정보를 미리 BIM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고, 상기 BIM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건축정보모델(BIM)을 가져와서 입체적인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제어부(28)는 디스플레이되는 공간정보 상에 보여지는 실시간 정보 중 필요로 하는 정보만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시모드, 경계모드, 일반모드로 구분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모니터링제어부(28)의 상시모드는 일반적인 지하주차장의 상황을 표시한다. 상시모드는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평상이 지하주차장을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경계모드는 모니터링제어부(28)의 상시모드 중 입주민 이외의 외부인이 장시간 동안 건물 내에 있을 경우 외부인을 특별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공간정보 상에 입주민과 외부인을 구분되게 표시함으로써 외부인의 동선을 파악하고 이를 경계하는 것이다.
여기서 장시간은 설정시간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합관제센터의 관리자가 주변 환경 및 여건에 따라 모니터링제어부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분 단위로 설정시간을 셋팅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설정시간이 30분으로 셋팅되면 외부인이 30분이상 건물내에 머무를 경우 경계모드로 전환된다.
위험모드는 상시모드나 경계모드를 통해 지하주차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던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위치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메인관리부(14)의 출력신호생성부(22)를 통해 경고방송이나 경고음을 출력하여 위험을 알리고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아파트 지하주차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경우, 미리 수집한 아파트 입주민의 휴대단말기(6) 정보를 통합관제센터(10)에 입력하고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에 다수 설치된 무선송수신부(8)를 통해 휴대단말기(6)를 소지한 입주민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3차원 입체 공간정보에 표시함으로써 입주민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파악되지 않는 휴대단말기(6)는 외부인으로 간주하여 입주민과는 별도로 표시하여 구분될 수 있도록 하여 경계를 하게 되며, 별도 표시방법으로 입주민은 청색, 외부인은 적색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CCTV 카메라(4)와 휴대단말기(6)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은 일 예로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설치되어 범죄의 위험이 있는 곳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먼저, 설치된 CCTV 카메라(4) 및 입주자가 휴대단말기(6)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전송하는 영상으로 아파트 지하주차장을 상시모드로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이때, 아파트 입주민이 소지한 휴대단말기(6)에 대한 기기정보는 사전 동의하에 통합관제센터(10)에 제공되어 인증된 것으로,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송수신부(8)를 통해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입주민의 위치를 3차원 입체 공간정보 상에 보여준다.
상시모드로 모니터링 중 외부인이 소지한 인증되지 않은 휴대단말기(6)의 정보가 감지되어 장시간 건물 내에 머무를 경우에는 모니터링 모드를 경계모드로 전환하여 외부인의 동선과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모니터링 모드를 상시모드나 경계모드로 작동하는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하여 입주자가 휴대단말기(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고, 이를 무선송수신부(8)를 통해 수신한 통합관제센터(10)는 모니터링제어부(28)에서 모니터링 모드를 위험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또한 위급 상황시 휴대단말기(6)의 비상작동 버튼을 눌러 응급상황을 통합관제센터(10)에 알려줄 수도 있으며 이를 경우 휴대단말기(6)의 응급상황 버튼 작동에 의해서도 위험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통합관제센터 관리자가 수동에 의해 모니터링제어부를 조작하여 상시모드(경계모드/위험모드 해제), 경계모드 위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수신된 영상은 전송된 무선송수신부(8)의 위치를 통해 촬영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촬영 영상을 메인관리부(14)를 통해 분석하여 위험 상황이 어떤 상황인지를 파악한다.
무선송수신부(8)의 위치정보는 미리 공간정보와 매칭될 수 있도록 설치된 위치를 좌표값으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송된 무선송수신부(8)의 위치정보를 3차원 입체화한 공간정보에 매칭하여 촬영위치를 디스플레이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인근 위치에 있는 CCTV 카메라(4)를 통해 다시 위험 상황을 확인하게 된다.
위험모드에서는 위험상황 발생시 공간정보 상에서 발생위치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위험상황을 발생시킨 외부인의 이동을 추적하게 된다.
위험을 인지한 통합관제센터(10)는 위험 상황을 경고하는 알람을 출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소방서, 경찰서 등에 신고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외부에 알려 신속한 조취를 취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3차원 공간정보와 함께 CCTV 카메라(4) 및 휴대단말기(6)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는 상시 거주하는 입주자의 휴대단말기(6) 정보를 미리 확인하여 3차원 공간정보에 입주자와 비입주자를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지하주차장의 위험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영상취득부 (4)-- CCTV 카메라
(6)-- 휴대단말기 (8)-- 무선송수신부
(10)-- 통합관제센터 (12)-- 영상정보수신부
(14)-- 메인관리부 (16)-- 영상필터링부
(18)-- 영상판단부 (20)-- 위치확인부
(22)-- 출력신호생성부 (24)-- 영상정보저장부
(26)-- 공간정보획득부 (28)-- 모니터링제어부
(30)-- BIM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을 모니터링하는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4)와 함께 휴대단말기(6)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지하주차장의 실시간 영상을 확보하는 영상취득부(2)와,
    상기 영상취득부(2)를 통해 확보된 지하주차장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고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매칭하여 지하주차장의 현재 상황을 3차원으로 입체화된 공간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센터(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부(2)의 CCTV 카메라(4)는 DVR, NVR 방식이며, 설치위치를 통합관제센터(10)에 좌표값으로 입력하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3차원 입체 공간정보와 매칭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부(2)의 휴대단말기(6)는 사진과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 영상을 통합관제센터(10)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8)의 위치를 통해 영상이 촬영된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3차원 입체 공간정보와 매칭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센터(10)는 전반적으로 통합관제센터(10)를 제어하는 메인관리부(14)와, 영상취득부(2)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10)로 수신하는 영상정보수신부(12)와, 통합관제센터(10)로 수신된 촬영 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시간별, 장소별, 상황별, 날짜별로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부(24)와, 영상취득부(2)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위치정보를 매칭하기 위해 BIM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건축정보모델(BIM)를 통해 지하주차장의 구조를 3차원 입체 공간정보로 변환하는 공간정보획득부(26)와, 지하주차장의 상황에 맞는 모니터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2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리부(14)는 영상정보수신부(12)를 통해 수신된 촬영 영상의 명암, 선명도, 흔들림을 포함하는 필터링을 통해 촬영 영상을 식별가능하게 보정하는 영상필터링부(16)와, 상기 영상필터링부(16)에 의해 보정된 영상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영상판단부(18)와, 영상정보수신부(12)를 통해 전송된 영상의 전송주소를 탐색하여 미리 설정된 CCTV 카메라(4)의 위치정보 및 휴대단말기(6)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정보수신부(12)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8)의 위치정보를 통해 촬영 영상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확인부(20)와, 수신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을 지하주차장 내에 경고음과 안내음성으로 알리는 것과,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기(6)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여 위험을 알리는 것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신호생성부(2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28)는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지하주차장을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상시모드와, 통합관제센터(10)에 기기의 정보를 제공한 휴대단말기(6)를 소지한 입주민과, 등록되지 않는 휴대단말기(6)를 소지한 외부인을 구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외부인이 지하주차장 내에 설정시간 이상 있을 경우 외부인의 위치와 동선을 파악하여 위험상황을 방지하게 하는 경계모드와, 상기 상시모드와 경계모드로 작동중인 모니터링제어부(28)가 상기 메인관리부(14)에 의해 위험상황이 확인되면 촬영 영상의 위치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출력신호생성부(22)를 통해 경고방송과 경고음을 출력하여 위험을 알려 대비하도록 하는 위험모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7.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을 모니터링하는 보안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4)와 함께 입주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6)로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10)로 전송하여 지하주차장의 구조를 3차원 입체화된 공간정보 상에 상시모드로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시모드로 지하주차장을 모니터링하던 중 외부인이 소지한 인증되지 않는 휴대단말기(6)의 정보가 감지되어 설정시간 이상 지하주차장에 머물 경우에 모니터링 모드를 경계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과정과,
    모니터링 모드가 상시모드나 경계모드인 상황에서 CCTV 카메라(4)와 입주자의 휴대단말기(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영상판단부(18)를 통해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하면 위험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영상의 위치정보를 공간정보와 매칭하여 3차원 입체화된 공간정보 상에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과,
    위험상황이 발생한 위치와 상황에 맞는 경고음과 안내음성을 출력하여 발생한 위험을 인지시켜 위험상황으로부터 신속히 대피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입주자자 소지한 휴대단말기(6)는 동의하에 휴대단말기(6)의 기기정보를 통합관제센터(10)에 미리 제공하여 인증을 거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시모드는 3차원 입체 공간정보 상에 입주자와 외부인의 구분없이 함께 표시하고, 경계모드는 입주자의 휴대단말기(6) 위치와 외부인의 휴대단말기(6) 위치를 구분하여 표시하며, 위험모드는 위험상황 발생시 공간정보 상에서 발생위치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위험상황을 발생시킨 외부인의 이동을 추적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제공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CCTV 카메라(4)로 촬영된 영상의 위치확인은 CCTV의 설치 위치를 3차원 입체 공간정보상에 미리 설정된 좌표값으로 입력하여 판단하고, 휴대단말기(6)로 촬영된 영상의 위치확인은 통합관제센터(10)로의 영상 전송을 위한 무선송수신부(8)의 설치위치를 좌표값으로 입력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제공방법.
KR1020140086164A 2014-07-09 2014-07-09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8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64A KR101582254B1 (ko) 2014-07-09 2014-07-09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64A KR101582254B1 (ko) 2014-07-09 2014-07-09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254B1 true KR101582254B1 (ko) 2016-01-04

Family

ID=5516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164A KR101582254B1 (ko) 2014-07-09 2014-07-09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7521A (zh) * 2018-04-17 2018-10-30 智慧互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的停车场秩序管理方法及系统
KR20230100367A (ko) 2021-12-28 2023-07-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주차면 센싱 장치를 이용한 보안 경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229A (ko) 2009-04-15 2010-10-25 이수현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KR100997084B1 (ko) * 2010-06-22 2010-11-29 (주)올포랜드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및 그 정보제공방법, 기록매체
KR20110099535A (ko) 2010-03-02 2011-09-08 강원식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10138049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시큐인포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124267B1 (ko) * 2011-09-09 2012-03-26 이병걸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현장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229A (ko) 2009-04-15 2010-10-25 이수현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KR20110099535A (ko) 2010-03-02 2011-09-08 강원식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10138049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시큐인포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0997084B1 (ko) * 2010-06-22 2010-11-29 (주)올포랜드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및 그 정보제공방법, 기록매체
KR101124267B1 (ko) * 2011-09-09 2012-03-26 이병걸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현장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7521A (zh) * 2018-04-17 2018-10-30 智慧互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的停车场秩序管理方法及系统
KR20230100367A (ko) 2021-12-28 2023-07-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주차면 센싱 장치를 이용한 보안 경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16B1 (ko) 터널 내 화재와 비상상황을 감지하고 자동속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4019B1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WO200606221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JP2020518939A (ja) 遠隔防災システム
KR101111493B1 (ko) 지능형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화재 인식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234868A1 (en) Mobile security monitoring
KR20110109147A (ko) 방범 시스템
KR101582254B1 (ko) Cctv 카메라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KR101023153B1 (ko) 위험상태 감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20118369A (ko)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766B1 (ko) 비상호출 및 다기능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디브이알(dvr) 시스템
KR101280353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상황 인지 이벤트 공조 통보시스템
KR1011676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9883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KR20150049595A (ko) 위급상황 경보 영상 보안 시스템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KR101600401B1 (ko) 비상벨 인터폰 연동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0480319Y1 (ko) 휴대용 영상 및 음성 기록 장치
KR101223606B1 (ko) 엘리베이터를 위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383583B1 (ko) 사건 현장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 원격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원격 감시 구현 방법
JP2017188861A (ja) 携帯型防犯端末、防犯管理装置、防犯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53191B1 (ko) 음향 인식을 이용한 주차장 방범 시스템 및 방법
CN105279915A (zh) 一键式报警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