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455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1455A KR20170091455A KR1020160012503A KR20160012503A KR20170091455A KR 20170091455 A KR20170091455 A KR 20170091455A KR 1020160012503 A KR1020160012503 A KR 1020160012503A KR 20160012503 A KR20160012503 A KR 20160012503A KR 20170091455 A KR20170091455 A KR 201700914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ise
- source
- mobile device
- interlayer
- detection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219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JYFKVYYMZPMAB-UHFFFAOYSA-N ethoprophos Chemical compound CCCSP(=O)(OCC)SCCC VJYFKVYYMZPM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H04N5/225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5/275—Generation of keying sig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로 탐지한 층간소음을 서버에서 취합하여 층간소음 발원지를 추적하되, 층간소음 측정에 관련된 전문기관에 의뢰하지 않더라도 층간소음에 따른 법적 분쟁에 증거 자료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수준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며, 층간소음이 발생할 시의 음향신호만 추출하여 수집 분석함으로써 사용하기에 용이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모바일 기기를 위치에 따라 건물별로 그룹화한 후, 기준치 초과 소음을 탐지한 모바일 기기로부터 탐지 정보를 취합한 후 상관분석하여 층간소음 발원지를 추적하며, 모바일 기기에서 획득한 원음 형태의 음향소스를 자료로 남겨두어 자료의 신빙성을 보장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로 탐지한 층간소음을 서버에서 취합하여 층간소음 발원지를 추적하되, 층간소음 측정에 관련된 전문기관에 의뢰하지 않더라도 층간소음에 따른 법적 분쟁에 증거 자료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수준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며, 층간소음이 발생할 시의 음향신호만 추출하여 수집 분석함으로써 사용하기에 용이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은 주거환경에 있어 삶의 질적 향상을 우선시하는 추세에 따라 주거 만족도를 좌우하는 필수 요건 중 하나로 되었으며, 공동주택 거주자 간에 민감한 문제가 되어 빈번한 분쟁을 야기하고, 살인과 방화로 비화되는 등 최근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
이에,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을 제정하여 국가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범위와 기준을 더욱 강화하였다.
법적 규칙에 따르면, 직접충격 소음은 1분간 등소등도(Leq)와 최고소음도(Lmax)로 평가하고, 공기전달 소음은 5분간 등가소음도(Leq)로 평가하며, 소음도 기준을 주간과 야간을 구별하여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층간소음의 측정방법에 대해서도 소음·진동 관련 공정시험기준으로 규정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1개 지점 이상에서 1시간 이상 측정하며, 1분간 등가소음도 및 5분간 등가소음도는 가장 높은 값으로 하고 최고소음도는 1시간에 3회 이상 초과한 경우로 하고 있다.
그런데, 층간소음 피해는 소음도 측정 장치의 실내 부재와, 심리적, 주관적 또는 환경 종속적인 소음 피해 정도와, 예측하기 어렵고 한시적으로 발생하여 휘발성을 갖는 발생 시점과, 증인 확보 여건이 어려운 사적 공간 등의 한계가 있어서, 정확한 증거 자료로서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층간소음 피해자는 층간소음 피해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 법적 기준에 맞게 층간소음을 측정하는 공인된 전문기관에 측정 의뢰하여 증거를 확보한 후 층간소음 해소를 위해 대항하여 왔다.
하지만, 전문기관에 의뢰하더라도 층간소음 피해 증거 확보의 한계를 일부만 해소할 수 있어 불충분한 증거의 확보에 그치며, 장시간 측정하여야 함에 따라 개인 주거생활에 제약을 주고, 의뢰 비용 또한 고가이어서 경제적 어려움도 따른다.
이와 같은 전문기관 의뢰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등록특허 제10-1289061호에서는 층간소음 측정장치를 각 세대에 설치한 시스템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별도의 층간소음 측정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어려움, 각 세대 내에 별도로 건축 시공하여야 하는 어려움, 및 층간소음의 발생 위치만 얻을 수 있어 법적 대응을 위한 증거로서 불충분한 한계가 있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15-0130176호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층간 소음을 탐지하는 시스템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 시스템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층간소음 측정기를 사용자 단말기로 대체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층간소음 분쟁에서 활용할 만한 충분한 증거는 확보할 수 없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함에 따라 소음 측정 시간이 한정되어 상시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층간소음을 측정하되, 법적 분쟁에 있어 인정받을 수 있는 수준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증거 자료를 확보하며, 층간소음을 상시 감시하며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될 시에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를 중앙 서버에 통보한 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소음의 음향소스를 메모리에 할당한 버퍼에 버퍼링하면서 소음도를 획득하여 소음도가 법적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할 시에 기준치 초과 시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의 음향소스를 버퍼에서 추출하여 기준치 초과한 소음도, 추출한 음향소스 및 현재 위치를 소음 탐지 정보로 하여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모바일 기기; 현재 위치를 통보한 복수의 모바일 기기를 위치에 따라 건물별로 그룹화한 후, 각 건물에 대해 건물 내의 서로 다른 위치의 복수 모바일 기기에서 전송하는 소음 탐지 정보를 취합하여 위치별 음향소스 및 소음도를 상관분석하여 법적 기준 이상의 소음도를 유발한 층간소음 발원지를 추정하고, 추정 결과를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한 모바일 기기에게 통지하며, 위치별 소음 탐지 정보와, 추정 결과와 통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의 기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음향 취득 특성에 대한 교정, 및 마이크로폰으로 취득하는 음향을 소음도 측정 규정에 따라 주파수 가중 및 시간 가중하는 청감 보정을 음향소스에 대해 수행한 후 1분간 등가소음도(Leq), 5분간 등가소음도(Leq) 및 최대소음도(Lmax)를 상기 소음도로 하여 획득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서버는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을 저장하고 있어, 음향소스와 층간소음 패턴 사이의 상관분석으로 소음원 유형을 추정하여 추정 결과에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는 모바일 기기에 갖춰진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에 의한 지리적 위치와, 모바일 기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현재 층, 호실 및 호실 내 위치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위치를 포함하되, 모바일 기기에 갖춰진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실시간 위치 보정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관분석은 위치별 음향소스 사이의 상관분석에 따라 위치별 주파수 또는 음압의 차이를 획득하는 것이고, 위치별 주파수 또는 음압에 근거하여 층간소음 발원지 및 층간소음 발원지의 직하 층에서의 소음도를 추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소음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시에 모바일 기기에 있는 카메라로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촬영하고, 암호화키를 발행하여 촬영 영상을 암호화한 후 소음 탐지 정보에 포함시켜 중앙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게 하고, 발행한 암호화키는 획득한 소음도와 함께 모바일 기기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을 저장하고 있어, 버퍼에서 추출한 음향소스에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 이외의 음향이 미리 설정한 음압 미만으로 섞여 있을 시에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을 저장하고 있어, 버퍼에서 추출한 음향소스에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이 적어도 1개 이상 섞여 있을 시에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위치에 따라 건물별로 그룹화한 후 법적 기준보다 낮게 설정한 기준치를 적용하여 소음을 탐지하게 하므로, 법적 기준에 충족한 층간소음 피해 위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위치에서 탐지한 소음을 상관분석하여 층간소음에 대해 객관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발원지의 바로 아래층에서 소음을 탐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동일 건물 내의 다른 위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층간소음을 탐지하므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함에 있어 실시간 누락 없이 탐지 가능하고, 모바일 기기 사용자 입장에서도 활용하기 용이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소음도를 획득한 후 정보 전송을 결정함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서 원음 형태로 획득한 음향소스를 서버로 전송받아 상관분석하므로, 층간소음에 대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치 초과 시점의 전후 구간에 대한 음향소스를 확보하고, 동일 소음원에 대해 복수의 위치에서 탐지한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법적 분쟁에 있어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기기(10)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기기(10)의 동작 순서도 및 모바일 기기(10)의 동작에 연계된 중앙 서버(2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기기(10)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기기(10)의 동작 순서도 및 모바일 기기(10)의 동작에 연계된 중앙 서버(2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기기(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은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10), 및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각각의 모바일 기기(1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10)에서 획득하는 소음 탐지 정보에 따라 층간소음 발원지를 탐색하는 중앙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예로 들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알 수 있듯이, 음향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12),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13), 모바일 기기(10)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14), 모바일 기기(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15),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6), 촬영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17), 터치스크린을 예로 들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 미도시) 등의 자원을 구비하고, 구비된 자원을 활용하여 통신망을 통한 통화 기능 및 데이터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도 구비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14)은 GPS, WiFi, 또는 통신망 기지국을 통한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구성요소이고, 움직임 감지센서(15)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층간소음 측정을 위해 프로그램적으로 구성한 애플리케이션(11)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모바일 기기(10)의 자원을 제어하며 소음 탐지 동작을 수행하므로, 프로그램이지만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어동작하는 구성요소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사람들이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사용 중인 것일 수도 있으나, 이동통신단말기로 사용하고 있지 아니한 소위 공단말기를 활용하여 소음 측정할 건물 내에 고정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이에, 이동 가능한 것이든 아니면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것이든 상기 애플리케이션(11)을 설치한 복수의 모바일 기기(10)가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바일 기기(10)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은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16)에 저장될 시에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과 함께 저장되고, 실행될 시에 현재 위치를 통보하는 초기화 동작(S10)과, 초기화 동작 이후에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 정보를 활용하며 소음을 탐지하고 소음 탐지 정보를 중앙 서버(20)에 전송하는 탐지 동작(S20)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적으로 구성된다.
층간소음은 의자 끄는 소리, 뛰는 소리, 망치로 두드리는 소리, 중량물의 낙하에 따른 소리 등의 직접충격 소음과 공기전달 소음으로 구분되며,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은 소음원 종류에 따른 소음의 특징적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20)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10)에서 통보 또는 전송하는 정보를 취합하는 수집부(21), 각 모바일 기기(10)에서 애플리케이션(11)의 초기화 동작에 따라 통보되는 초기 현재 위치에 맞춰 복수의 모바일 기기(10)를 건물별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22), 각 모바일 기기(10)에서 전송한 소음 탐지 정보에 근거하여 각 건물에서의 층간소음 발원지를 탐색하는 탐색부(23), 탐색결과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24), 및 탐색한 층간소음 발원지를 모바일 기기(10)에게 통지하는 통지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중앙 서버(20)는 각각의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초기화 동작(S10)에 따라 초기 현재 위치를 통보받을 시에 모바일 기기(10)를 건물별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동작(S10')를 수행하고, 그룹화 이후 각 모바일 기기(10)의 탐지 동작(S20)에 따라 전송받는 소음 탐지 정보를 분석하여 각 건물별로 층간소음 발원지를 탐색/통지하는 층간소음 발원지 탐색/통지 동작(S20')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모바일 기기(10) 및 중앙 서버(20)의 동작에 대해서는 모바일 기기(10)의 동작 순서도 및 모바일 기기(10)의 동작에 연계되는 중앙 서버(2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바일 기기(10)의 초기화 동작(S10)은 애플리케이션(11)을 모바일 기기(10)에서 실행시켰을 시에 모바일 기기(1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14)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모바일 기기(10)의 기종 정보도 획득한 후, 획득한 현재 위치 및 기종 정보를 중앙 서버(20)에 통보하며, 메모리(16)에 버퍼(buffer) 영역을 할당하는 동작이다.
이때, 통보하는 현재 위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을 실행시켰을 시의 초기 현재 위치로서, 하기의 탐지 동작(S20) 중의 현재 위치와는 모바일 기기(10)의 이동에 의해서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런데, 모바일 기기(10)에 갖춰진 상기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14)은 실내에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현재 위치는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14)에 의한 지리적 위치와, 모바일 기기(1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현재 층, 호실 및 호실 내 위치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위치를 포함하게 한다.
예를 들면,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14)으로 얻는 지리적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일측에 입력란을 만든 화면을 출력하여, 현재 층, 호실 또는 호실 내 위치를 입력하게 한다. 호실 내 위치의 경우는 건물 평면도 상에서 정확한 현재의 위치를 탭(tap)하여 지정하여도 좋다.
메모리(16)에 할당하는 버퍼(buffer)는 1분간 등가소음도(Leq), 5분간 등가소음도(Leq) 및 최대소음도(Lmax) 중에 5분간 등가소음도가 가장 긴 음향소스 샘플로부터 획득하므로, 5분에 미리 설정한 시간을 더한 시간만큼 버퍼링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초기화 동작(S10)을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초기 현재 위치 및 모바일 기기(10)의 기종 정보를 통보받는 중앙 서버(20)는 통보받는 정보를 수집부(21)에서 취합하고 그룹화부(22)에서 모바일 기기(20)를 각 건물별로 그룹화한다(S10'). 여기서, 그룹화는 초기 현재 위치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모바일 기기(20)가 위치하는 건물을 특정하여 동일 건물에 있는 모바일 기기(20)끼리 그룹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 현재 위치에 포함된 건물 내 위치에 따라 모바일 기기(20)의 건물 내 정확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의 기종 정보는 애플리케이션(11)을 설치한 후 첫회 실행하였을 시에만 통보하여 중앙 서버(20)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애플리케이션(11)을 실행 중지한 후 다시 실행할 시에는 통보하지 아니하게 하여도 좋다. 이러한 기종 정보는 중앙 서버(20)에서 기종에 맞게 음향소스를 교정 및 청감 보정한 후 상관분석하여 소음도, 소음원 유형 및 층간소음 발원지를 획득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니면, 애플리케이션(11)에 기종 정보를 등록하는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기종 정보를 중앙 서버(20)에 통보하게 하여도 좋다. 설정 메뉴는 모바일 기기의 기종에 맞는 교정/보정 정보와,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을 중앙 서버로부터 다운받게 하여도 좋다.
상기 탐지 동작(S20)은 초기화 동작(S10) 이후 애플리케이션(11)이 실행 중지될 때까지 반복하는 동작으로서, 마이크로폰(12)을 통해 실시간 집음되는 주변 소음의 전기적 디지털 신호인 음향소스를 메모리(16)의 버퍼에 버퍼링하면서, 음향소스를 분석하여 소음도를 실시간 획득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5)를 통해 모바일 기기(10)의 움직임을 실시간 획득하여 현재 위치를 보정하는 모니터링 동작(S21)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동작(S21) 중에 소음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Lth)를 초과하는 시점이 탐지될 시에(S22) 음향소스와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과의 상관분석으로 소음원 유형을 분석(S23)하여 전송 여부를 결정(S24)하며, 이때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소음 탐지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서버(20)에 전송하는 동작(S25)을 수행한다.
여기서, 실시간 획득하는 소음도는 직접충격 소음 및 공기전달 소음으로 구분되는 층간소음 기준에 따라 1분간 등가소음도(Leq), 5분간 등가소음도(Leq) 및 최대소음도(Lmax)을 포함한다.
그런데, 소음도에 관한 공정시험기준이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에, 모바일 기기(10)를 이용하여 소음도를 획득하는 경우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11)은 음향소스에 대해서 마이크로폰의 음향 취득 특성에 대한 교정(calibraion), 및 마이크로폰으로 취득하는 음향을 소음도 측정 규정에 따라 주파수 가중(frequency weighting) 및 시간 가중(time weighting)하는 청감 보정을 수행한 후 상기 소음도를 획득한다.
여기서, 음향소스는 원음으로서 그대로 두어서, 하기의 중앙 서버에서 소음도를 더욱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음향소스는 PCM 방식으로 생성한 디지털 신호로 하는 것이 좋다.
마이크로폰의 음향 취득 특성에 대한 교정은 모바일 기기(10)의 기종에 따라 마이크로폰(11)의 종류, 제조사 등이 달라져서 취득하는 음향에도 편차가 있을 수 있고, 모바일 기기(10)의 마이크로폰(11)이 음성 통화에 맞춰져 있어 소음 측정용으로 활용할 시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감도를 보정하여 모바일 기기(10)별 편차를 없애고 소음 측정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인증받은 소음측정기를 모바일 기기와 함께 무향실에 넣고 무향실 내에서 기준 음향을 발생시켜 소음측정기에서 획득하는 음향 신호와 모바일 기기에서 얻는 음향 신호 사이의 차이에 따라 교정데이터를 취득하며, 이때 취득한 교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교정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11)을 프로그램적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현재 위치의 보정은 초기 동작에서 중앙 서버(20)로 통지한 초기 현재 위치에 대해 움직임 감지센서(15)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모바일 기기(10)의 움직임에 따라 보정하는 것이다. 움직임 감지센서(15)는 모바일 기기(10)의 움직임에 대해 움직임 방향과, 가속도 성분 또는 속도 성분을 얻게 되므로, 이때 얻는 움직임 정보를 실시간 반영하여 현재 위치를 보정한다. 여기서, 움직임 방향은 모바일 기기가 나침반 기능을 갖추었을 경우 나침반 기능을 이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음향소스를 버퍼링하면서 소음도를 획득하고 현재 위치를 실시간 보정하는 중에, 소음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시점이 발생하는 지를 모니터링한다(S22).
여기서, 기준치는 중앙 서버(20)에서 층간소음 판정 기준이 되는 법적 기준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적용한다. 즉, 법적 기준 이하의 소음도가 탐지되더라도 탐지한 소음도 및 음향소스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앙 서버(20)에서 활용하게 하는 것이다.
기준치 초과 소음도가 발생하면, 기준치 초과 시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의 음향소스를 버퍼에서 추출한다. 버퍼에서 추출하는 음향소스는 기준치 초과 시점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과 기준치 초과 시점 이후의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의 음향소스를 포함한다.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기준치 초과 시점 이후의 시간 구간은 기준치 초과 소음도가 발생할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획득하는 음향소스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은 일반적으로 3분을 요구하고 있지만, 충분한 자료 확보를 위해서 예를 들어 5분 또는 6분으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추출한 음향소스와 메모리에 저장된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 사이의 상관분석에 따라(S23) 정보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S24).
이때,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카메라(17)를 가동시켜 현시점부터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촬영한 후, 기준치 초과한 소음도, 추출한 음향소스, 위치 보정된 현시점의 현재 위치, 촬영 영상, 및 소음 탐지 시간을 포함하는 소음 탐지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서버(20)에 전송한다.
전송 여부의 결정 방식은 미리 정한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의 유무에 따라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1 방식과, 미리 정한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 이외의 음향 유무에 따라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2 방식 중에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제1 방식은 미리 정한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이 추출한 음향소스에 적어도 1개 이상 섞여 있을 시에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10)가 있는 실내에서 발생한 소리도 음향소스에 포함될 수 있어,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다.
제2 방식은 미리 정한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 이외의 음향이 추출한 음향소스에 미리 설정한 음압 미만으로 섞여 있을 시에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에, 미리 정한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 이외의 음향이 음향소스에 미리 설정한 음압 이상 섞여 있으면,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하지 아니하여서,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중앙 서버(20)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10)에서 전송한 소음 탐지 정보로부터 층간소음을 추정하므로, 제2 방식을 채택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제1 방식과 제2 방식은 모바일 기기(10)마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환경 설정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제1 방식이든 아니면 제2 방식이든 음향소스를 전송받는 중앙 서버(20)에서 음향소스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고, 모바일 기기(10)의 사용자 동의하에 열람하게 하는 것이 좋다.
촬영 영상은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더욱 크므로, 암호화키를 발행하여 촬영 영상을 암호화키를 이용 암호화한 후 소음 탐지 정보에 포함시켜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소음 탐지 정보를 복원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발생하는 암호화키는 모바일 기기(10)에서 소음 탐지 정보의 생성 이력, 및 획득한 소음도와 함께 메모리(16)에 저장하여서, 중앙서버에 촬영 영상을 전송하더라도 모바일 기기(10) 사용자의 허락하에 촬영 영상을 열람 가능하게 한다.
한편, 촬영 영상을 소음 탐지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과 촬영 영상을 모바일 기기(10)에 저장시키는 것은 선택사양으로 하여 모바일 기기(10)의 사용자가 각자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촬영 영상은 소음을 탐지하였을 시의 실내 환경에 대한 근거 자료, 즉, 소음 측정 환경에 대한 근거 자료가 된다.
중앙 서버(20)는 모바일 기기(10)에서 전송하는 소음 탐지 정보를 수집부(21)로 취합한 후 취합한 소음 탐지 정보와 건물별로 모바일 기기를 그룹화한 정보에 따라 탐색부(23)로 층간소음 발원지를 탐색하고, 통지부(25)를 통해 층간소음 발원지를 통지한다(S20').
층간소음 발원지의 탐색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1)을 실행시킨 복수의 모바일 기기(10)를 건물별로 그룹화함에 따라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한 모바일 기기(10)가 있는 건물을 그룹화 정보에 따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에서 층간소음이 발생하면, 그 층간소음을 탐지 가능한 위치에 있는 동일 건물 내의 복수 모바일 기기에서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의 애플리케이션은 층간소음에 대한 법적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할 시에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하게 되어 있으므로, 동일 건물 내의 복수 모바일 기기에서 각각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층간소음이 발생한 건물 내의 복수 모바일 기기에서 전송하는 소음 탐지 정보를 취합하여 위치별 음향소스 및 소음도를 상관분석하여 법적 기준을 초과하는 소음도를 유발한 층간소음 발원지를 탐색한다.
상관분석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층간소음은 발원지 층의 직하에 있는 층뿐만 아니라 직하 층 이외의 층에서도 감지될 수 있고, 또는 동일 층 중에 호실이 다른 위치에서도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동일 소음원에 의한 층간소음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감지될 시에 동일 시간에 감지된다.
이때, 층간소음은 발원지로부터 멀어질수록 음압이 작아지지만, 주파수가 낮게 나타나고, 잔향(Reverberation) 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10)가 전송하는 음향소스는 기종에 따른 교정 및 청감 보정을 하지 아니한 것이다.
이에, 중앙 서버(20)의 탐색부(23)는 동일 건물 내에서 동일 시간에 획득한 위치별 음향소스에 대해 각각 기종 정보에 따라 교정하고, 청감 보정한 후 교정 및 청감 보정된 위치별 음향소스 사이의 상관분석에 따라 층간소음으로 추정되는 파형을 추출하고,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과 추출한 파형 사이의 상관분석도 실행하여 소음원 유형을 추정한다.
다음으로, 탐색부(23)는 위치별 층간소음 파형 사이의 차이(즉, 위치별 주파수 또는 음압 차이)를 획득하며, 위치별 층간소음 파형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층간소음 발원지를 추정하고, 층간소음의 소음도를 추정한다. 여기서, 위치는 소음 탐지 정보에 포함된 보정된 현재 위치로 한다.
층간소음 발원지의 추정은 발원지와의 위치 차이에 따른 음압, 주파수 및 잔향 시간의 변동값을 소음원 유형별로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추정한 소음원 유형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적용 추정한다.
또한, 추정하는 소음도는 추정한 층간소음 발원지 호실의 직하 층 호실에 대한 소음도로 하며, 발원지와의 위치 차이와 음압, 주파수 및 잔향 시간의 변동값 사이의 관계를 적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음도를 추정하는 것은 본 발명이 모바일 기기(10)를 활용함으로써, 층간소음이 유발된 호실(발원지)의 바로 아래층 호실에 모바일 기기(10)가 있지 아니하거나 아니면 있더라도 음향소스를 전송하지 아니하게 동작(상기한 제2 방식의 동작)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위치별 층간소음 파형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추정한 층간소음 발원지 호실의 직하 층 호실에서의 소음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음도는 1분간 등가소음도(Leq), 5분간 등가소음도(Leq) 및 최대소음도(Lmax)이며, 최대소음도에 대한 현행 층간소음 기준에 따르면 1시간에 3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이므로, 최대소음도의 발생 회수를 누적 카운터하여 동일 모바일 기기에서 감지되는 최대소음도의 발생 빈도를 알아낸다.
한편, 모바일 기기(10)의 한정된 자원에 의해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에 대한 정밀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10)에서 활용할 수 없어 중앙 서버(20)에서 소음원 유형을 더욱 정확하게 획득한다. 다양한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여 탐색부(23)에서 이용하게 한다.
다음으로, 탐색부(23)는 추정한 층간소음 발원지, 추정한 소음도 및 추정한 소음원 유형과, 복수의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별 소음 탐지 정보(음향소스, 현재 위치, 소음도, 촬영 영상)를 건물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고, 통지부(25)에 통지 요청하면서, 통지 이력도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이때, 통지부(25)는 추정 결과(층간소음 발원지, 소음도 및 소음원 유형)을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한 모바일 기기에게 각각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통지한다.
한편, 모바일 기기(10)에서 획득한 소음도를 저장 관리함으로써, 중앙 서버(20)에서 획득한 소음도와의 차이에 따라 교정 및 청감 보정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정하여 모바일 기기(10)에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에서 소음도를 획득할 시에 수정한 데이터에 따라 교정 및 청감 보정하게 하는 것도 좋다.
다른 한편으로, 층간소음 발원지에 모바일 기기(10)가 있을 경우, 그 모바일 기기(10)에게 층간소음 발원지임을 예를 들어 문자메시지로 통지하여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에는 각 층별 3개 세대가 있는 5층 건물이 예시되어 있고,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 실행되는 모바일 기기(10)가 모든 세대에 있지는 아니하지만 복수개 있고, 2개가 있는 세대도 일부 있다. 이러한 예시는 하나의 예이고, 다른 예로서, 공단말기를 활용하여 모바일 기기(10)를 각 세대에 비치하는 예, 세대 내의 각 실내에 비치하는 예, 각 실내에 복수개로 비치하는 예 등이 가능하며, 가능하면 건물 내에 고르게 또는 균일하게 모바일 기기(10)가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동일 건물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10)는 각자 실행 초기 자신의 위치를 중앙 서버(20)에 통보함으로써 동일 그룹에 속하게 되고, 소음을 감지할 때마다 음향소스, 소음도, 현재 위치 및 촬영 영상을 포함한 소음 탐지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중앙 서버(20)는 소음 탐지 정보로부터 법적 기준를 초과하는 층간소음을 추정하고 층간소음 발원지 및 소음원 유형도 추정하여,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한 각각의 모바일 기기(10)에게 회신한다.
도 4의 예시에 따라 402호에서 낙하물(S)에 의한 층간소음이 발생하였을 시에, 적어도 직하 층인 302호에 있는 모바일 기기가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이때, 302호에는 2개의 모바일 기기가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는 층간소음에 관한 법적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소음을 감지하게 되므로, 402호에서 낙하물(S)을 소음원으로 하는 층간소음은 동일 층의 401호 및 아래 층인 202호에 있는 모바일 기기에서도 감지되어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각선 위치의 503호 및 303호에 있는 모바일 기기에서도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중앙 서버(20)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서 탐지하여 획득한 위치별 음향소스에 근거하여 소음원에 의한 층간소음 성분을 추출할 수 있고, 층간소음 발원지인 402호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층간소음 발원지인 402호의 직하 층인 302에 모바일 기기가 없는 경우라면, 다른 호실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서 획득한 위치별 음향소스에 근거하여 302호에서의 소음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각 호실의 소음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기기가 각 호실에 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각 호실마다 복수개로 있는 것이 좋으며, 이에, 본 발명은 공단말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모바일 기기
11 : 애플리케이션 12 : 마이크로폰
13 : 통신모듈 14 :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
15 : 움직임 감지센서 16 : 메모리
17 : 카메라
20 : 중앙 서버
21 : 수집부 22 : 그룹화부
23 : 탐색부 24 : 데이터베이스
25 : 통지부
11 : 애플리케이션 12 : 마이크로폰
13 : 통신모듈 14 :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
15 : 움직임 감지센서 16 : 메모리
17 : 카메라
20 : 중앙 서버
21 : 수집부 22 : 그룹화부
23 : 탐색부 24 : 데이터베이스
25 : 통지부
Claims (8)
-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될 시에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를 중앙 서버에 통보한 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소음의 음향소스를 메모리에 할당한 버퍼에 버퍼링하면서 소음도를 획득하여 소음도가 법적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할 시에 기준치 초과 시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의 음향소스를 버퍼에서 추출하여 기준치 초과한 소음도, 추출한 음향소스 및 현재 위치를 소음 탐지 정보로 하여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모바일 기기;
현재 위치를 통보한 복수의 모바일 기기를 위치에 따라 건물별로 그룹화한 후, 각 건물에 대해 건물 내의 서로 다른 위치의 복수 모바일 기기에서 전송하는 소음 탐지 정보를 취합하여 위치별 음향소스 및 소음도를 상관분석하여 법적 기준 이상의 소음도를 유발한 층간소음 발원지를 추정하고, 추정 결과를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한 모바일 기기에게 통지하며, 위치별 소음 탐지 정보와 추정 결과와 통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중앙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의 기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음향 취득 특성에 대한 교정, 및 마이크로폰으로 취득하는 음향을 소음도 측정 규정에 따라 주파수 가중 및 시간 가중하는 청감 보정을 음향소스에 대해 수행한 후 1분간 등가소음도(Leq), 5분간 등가소음도(Leq) 및 최대소음도(Lmax)를 상기 소음도로 하여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을 저장하고 있어, 음향소스와 층간소음 패턴 사이의 상관분석으로 소음원 유형을 추정하여 추정 결과에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는 모바일 기기에 갖춰진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에 의한 지리적 위치와, 모바일 기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현재 층, 호실 및 호실 내 위치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위치를 포함하되,
모바일 기기에 갖춰진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실시간 위치 보정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분석은 위치별 음향소스 사이의 상관분석에 따라 위치별 주파수 또는 음압의 차이를 획득하는 것이고,
위치별 주파수 또는 음압에 근거하여 층간소음 발원지 및 층간소음 발원지의 직하 층에서의 소음도를 추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소음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시에 모바일 기기에 있는 카메라로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촬영하고, 암호화키를 발행하여 촬영 영상을 암호화한 후 소음 탐지 정보에 포함시켜 중앙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게 하고, 발행한 암호화키는 획득한 소음도와 함께 모바일 기기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을 저장하고 있어, 버퍼에서 추출한 음향소스에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 이외의 음향이 미리 설정한 음압 미만으로 섞여 있을 시에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을 저장하고 있어, 버퍼에서 추출한 음향소스에 소음원 유형별 층간소음 패턴이 적어도 1개 이상 섞여 있을 시에 소음 탐지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503A KR20170091455A (ko) | 2016-02-01 | 2016-02-01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503A KR20170091455A (ko) | 2016-02-01 | 2016-02-01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1455A true KR20170091455A (ko) | 2017-08-09 |
Family
ID=5965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503A KR20170091455A (ko) | 2016-02-01 | 2016-02-01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91455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3765B1 (ko) * | 2018-07-15 | 2019-09-20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진동특성을 활용한 지능형 층간소음 자가진단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KR102024070B1 (ko) * | 2018-04-23 | 2019-09-23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층간소음 갈등 사전 관리를 위한 실시간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KR102118930B1 (ko) * | 2019-12-11 | 2020-06-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 시스템 및 방법 |
CN114745465A (zh) * | 2022-03-24 | 2022-07-12 | 马斌斌 | 智能手机交互式噪声自先验感知分析系统 |
CN116699521A (zh) * | 2023-07-25 | 2023-09-05 | 安徽碧水环业生态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环境保护的城市噪声定位系统及其方法 |
-
2016
- 2016-02-01 KR KR1020160012503A patent/KR201700914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4070B1 (ko) * | 2018-04-23 | 2019-09-23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층간소음 갈등 사전 관리를 위한 실시간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KR102023765B1 (ko) * | 2018-07-15 | 2019-09-20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진동특성을 활용한 지능형 층간소음 자가진단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KR102118930B1 (ko) * | 2019-12-11 | 2020-06-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 시스템 및 방법 |
CN114745465A (zh) * | 2022-03-24 | 2022-07-12 | 马斌斌 | 智能手机交互式噪声自先验感知分析系统 |
CN116699521A (zh) * | 2023-07-25 | 2023-09-05 | 安徽碧水环业生态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环境保护的城市噪声定位系统及其方法 |
CN116699521B (zh) * | 2023-07-25 | 2024-03-19 | 安徽碧水环业生态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环境保护的城市噪声定位系统及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91455A (ko)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층간소음 측정 시스템 | |
JP6425854B1 (ja) | 大気汚染に対する曝露の監視 | |
KR101647704B1 (ko) |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 |
US20190195845A1 (en) | Atmospheric 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detecting failure of atmospheric environment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atmospheric environment sensor | |
JP6333272B2 (ja) | 環境品質因子を動的に測定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 |
KR20180022967A (ko) | 잡음을 연관시키기 위한 그리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101795765B1 (ko) |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 |
KR101218175B1 (ko) | 지진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유효성 검증 방법 | |
KR101345603B1 (ko) | 층간진동감지소음분석장치를 이용한 층간소음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별 층간소음 업데이트정보 생성방법 | |
US10602326B2 (en) |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barometric pressure measurements | |
WO2019230687A1 (ja) | 打音検査端末、打音検査システムおよび打音検査データ登録方法 | |
US11940306B2 (en) |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based on a propagation characteristic of a pressure wave | |
KR20180123319A (ko) |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과 모니터링 시스템 | |
CN104348894B (zh) | 一种信息处理方法、云端服务器、移动终端 | |
US10257621B2 (en) |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and hearing system | |
KR101612335B1 (ko) | 정온시설 실내 소음 탐색 방법 | |
KR101627788B1 (ko) |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 |
CN109163799B (zh) | 一种基于物联网的环境噪音监管方法 | |
US9510118B2 (en) | Mapping system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for measuring environmental sound | |
JP6609403B2 (ja) |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 |
JP6389663B2 (ja) |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 |
WO2018121330A1 (zh) | 一种检测方法、相关装置和系统 | |
JP2016017848A (ja) |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 |
US1059144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profiling rodent activity using detected ultrasonic vocalizations | |
JP6936709B2 (ja) | 音声検知システム及び音声検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