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398A -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398A
KR20170091398A KR1020160012362A KR20160012362A KR20170091398A KR 20170091398 A KR20170091398 A KR 20170091398A KR 1020160012362 A KR1020160012362 A KR 1020160012362A KR 20160012362 A KR20160012362 A KR 20160012362A KR 20170091398 A KR20170091398 A KR 20170091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oving
lens
exten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743B1 (ko
Inventor
류재욱
전주현
이덕열
조은
Original Assignee
(주)알비케이이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비케이이엠디 filed Critical (주)알비케이이엠디
Priority to KR102016001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743B1/ko
Priority to PCT/KR2016/014609 priority patent/WO2017135562A1/ko
Priority to CN201680036280.9A priority patent/CN107852448A/zh
Priority to US15/569,654 priority patent/US20180113273A1/en
Publication of KR2017009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H04N5/225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1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를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로서, 특히 지지스프링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이 렌즈로부터 한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렌즈가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 중심이 초기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를 최소화하여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의 선상에 위치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고정부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제1 탄성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이동부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로 구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의 상승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되어 타단이 상승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에 연결된 변곡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되어 단부가 상승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의 렌즈 중심은 항상 초기의 광축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Camera actuator and module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렌즈를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로서, 특히 지지스프링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이 렌즈로부터 한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렌즈가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 중심이 초기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를 최소화하여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의 선상에 위치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는 대부분 카메라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는 최적의 해상력을 얻기 위해서 촬상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렌즈와 이미지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야 한다. 특히 해상력이 높은 고품위의 이미지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렌즈의 초점거리를 보정하여 주는 장치들이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초점거리의 보정은 촬상하는 사람에 의하여 수동으로 보정하는 수동 보정과 카메라 렌즈 모듈 내에 구비된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보정하여 주는 자동 초점 보정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초점을 보정하기 위한 기존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경우, 상,하 판스프링이 하우징에 고정되는 타입으로 구조가 복잡해지며, 렌즈의 구동을 위한 회로물이 하면 및 측면에 제공되어야 함으로써 조립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169호에는 고품위의 촬상 품질을 유지하면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소형화 및 저가화를 구현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렌즈 모듈(110)이 실장되는 렌즈 홀더부(120); 상기 렌즈 홀더부 및 상기 렌즈 모듈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와이어 부재(130); 및 상기 렌즈 홀더부에 실장되어 상기 와이어 부재를 고정하며, 광축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와이어 부재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쇠시키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와이어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와이어 부재가 탄성변형되면서 렌즈의 중심이 초기 광축의 선상에서 벗어나게 된다. 즉 렌즈 모듈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렌즈가 광축에 대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렌즈의 중심이 이미지센서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게 되어 촬상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스프링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이 렌즈로부터 한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렌즈가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 중심이 초기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를 최소화하여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의 선상에 위치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고정부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제1 탄성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이동부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로 구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의 상승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되어 타단이 상승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에 연결된 변곡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되어 단부가 상승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의 렌즈 중심은 항상 초기의 광축에 근접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좌측 탄성부와 우측 탄성부로 구분되어 상기 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 탄성부의 제2 탄성부와 상기 우측 탄성부의 제2 탄성부는 제1 브릿지에 의해 각각의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2 탄성부가 고정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면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장착부에 고정되는 일부분 외에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이동부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장착부에는 상부 조립돌기와 충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에는 상기 상부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공과 상기 충전홈에 대응되는 접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충전홈 및 접착홀에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상기 제2 탄성부를 상기 상부 장착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변형부와, 일단이 상기 제1 탄성변형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상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탄성변형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의 폭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1 탄성부와, 상기 하부 제1 탄성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하부 제2 탄성부와, 상기 하부 제2 탄성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부로 구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은, 고정부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탄성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이동부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로 구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렌즈 조립체가 이동부와 함께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 중심이 초기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를 최소화하여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의 선상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면서 광축의 틀어짐을 최소화하여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가 결합된 이동부를 렌즈로부터 편중되어 위치한 탄성부로 지지하는 구조로서 상대적으로 약한 전자기력으로도 이동부를 구동시키기 용이하며,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 및 모듈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소형화하기 유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홀더 및 커버를 제거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도 5는 홀더, 커버 및 탄성부를 제거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탄성부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탄성부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 및 탄성부의 동작 형태를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렌즈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이 렌즈로부터 한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렌즈가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 중심이 초기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를 최소화하여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의 선상에 위치하도록 유지함으로써 촬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하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그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초기 광축이란 이동부가 이동하기 전 정지 상태인 초기 위치에서 렌즈 광축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은 다음 설명과 같은 구조 및 특징을 갖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또는 이러한 카메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 커버(20), 고정부(30), 이동부(40), 탄성부(50) 및 하부 탄성부(60)를 포함한다. 이하, 탄성부(50)는 하부 탄성부(60)와 구분하기 위하여 상부 탄성부(50)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상부 탄성부(50)와 하부 탄성부(60)를 모두 포함하는 구조이지만, 경우에 따라 상부와 하부 위치를 구분하지 않는 하나의 탄성부(5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통해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상부에 고정부(30)가 장착된다. 그리고 커버(20)는 상기 홀더(10)에 결합되어 고정부(30), 이동부(40), 탄성부(50) 및 하부 탄성부(60)를 덮고, 렌즈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2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 고정돌기(31)와 하부 고정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50,60)가 결합된다. 또한, 일측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고정부(30)의 타측면에는 마그네트(33)가 장착된다. 마그네트(33)는 코일부(42)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동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의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41)가 결합되어 렌즈 조립체(41)와 함께 광축(O)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부(40)에는 마그네트(33)와 대면하는 코일부(42)가 장착되어 코일부(42)에 전류가 형성되면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부(30)에 마그네트(33)가 장착되고 이동부(40)에 코일부(42)가 장착되지만, 마그네트(33)와 코일부(42)의 장착 위치를 이와 같이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마그네트(33)와 코일부(42)가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부(30)에 코일부(42)를 장착하고 이동부(40)에 마그네트(33)를 장착하여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부(40)의 상부에는 상부 장착부(43)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장착부(43)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렌즈 중심을 지나는 렌즈 조립체(41)의 1/2지점을 기준으로 고정부(30)의 일측방향에 위치한 이동부(4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1/2지점의 좌측에 상부 장착부(43)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장착부(43)는 이동부(40)의 상면과 단차를 형성하여 상부 탄성부(50)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 장착부(43)에는 상부 조립돌기(432)와 충전홈(433)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부(40)의 하부에는 하부 장착부(44)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 장착부(44)에는 하부 조립돌기(441)가 돌출 형성된다. 하부 조립돌기(44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렌즈 중심을 지나는 렌즈 조립체(41)의 1/2지점에 형성된다.
상부 탄성부(50)와 하부 탄성부(60)는 각각 고정부(30)와 이동부(40)를 연결하여 이동부(40)를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이다.
상부 탄성부(50)는 이동부(4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제1 탄성부(51)와 (상부)제2 탄성부(52)로 구성된다.
제1 탄성부(51)는 일단이 렌즈로부터 편중되어 고정부(30)에 장착되고, 제1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2 탄성부(52)는 제1 탄성부(51)의 타단으로부터 변곡되어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제1 탄성부(51)는 일단이 고정부(30)의 일측 상단에 장착되어 마그네트(33)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30)의 타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탄성부(52)는 제1 탄성부(51)의 타단으로부터 변곡되어 고정부(30)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이동부(4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51)의 일단(도면에서 좌측 단부)에는 상부 고정돌기(31)가 삽입되는 고정홀(511)이 형성되어 제1 탄성부(51)의 일단이 고정부(30)의 일측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 탄성부(52)에는 상부 조립돌기(432)가 삽입되는 조립공(521)과, 충전홈(433)에 대응되는 접착홀(522)이 형성된다. 충전홈(433) 및 접착홀(522)에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제2 탄성부(52)를 상부 장착부(43)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제2 탄성부(52)는 상부 장착부(43)에 고정되는 부분 외에 나머지 부분이 이동부(40)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제2 탄성부(52)는 전자기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이동부(40)가 상승하면, 제2 탄성부(52)는 상부 장착부(43)에 고정된 부분 외에 나머지 부분이 탄성변형된다.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는 렌즈 조립체(41)의 1/2지점을 기준으로 제2 탄성부(52)의 어느 일측 부분이 상부 장착부(43)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 부분이 탄성변형되는 것이다. 다만, 액추에이터의 내부구조 및 각 구성의 결합구조에 따라 제2 탄성부(52)의 고정부분과 탄성변형되는 부분으로 구분되는 기준점이 렌즈 조립체(41)의 1/2지점과 일치하지 않고 렌즈 조립체(41)의 1/2지점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탄성부(50)는 이동부(40)를 중심으로 이동부(40)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탄성부(50a)와 우측 탄성부(50b)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탄성부(50a)의 제2 탄성부와 우측 탄성부(50b)의 제2 탄성부는 제1 브릿지(53)에 의해 각각의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좌측 탄성부(50a)의 제1 탄성부와 우측 탄성부(50b)의 제1 탄성부는 제2 브릿지(54)에 의해 각각의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좌측 탄성부(50a)와 우측 탄성부(50b)는 이동부(40)의 양측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좌측과 우측으로 한정하여 구분할 필요는 없다.
한편, 제1 탄성부(51)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변형부(51a)와 제2 탄성변형부(51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탄성변형부(51a)는 일단이 고정부(30)의 일측 상단에 장착되어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탄성변형부(51b)는 일단이 제1 탄성변형부(51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2 탄성부(52)는 제2 탄성변형부(51b)로부터 변곡된다. 이때, 제2 탄성변형부(51b)의 폭은 제1 탄성변형부(51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탄성변형부(51a)와 제2 탄성변형부(51b)의 폭의 차이는 전자기력에 의한 제1 탄성변형부(51a)와 제2 탄성변형부(51b)의 변형량의 차이를 발생시켜 제1 탄성부(51)의 변형량을 부분적으로 달리함으로써 이동부(40)의 최적의 거동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동부(40)의 최적의 거동 형태란 이동부(40)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부(4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른 렌즈 중심의 수평 위치의 변화없이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의 선상에 위치하도록 유지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 탄성변형부(51b)의 폭이 제1 탄성변형부(51a)의 폭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 탄성부(60)는 이동부(40)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부 제1 탄성부(61), 하부 제2 탄성부(62) 및 리드부(63)로 구분된다.
하부 제1 탄성부(61)는 일단이 렌즈로부터 편중되어 고정부(30)에 장착되고, 제1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하부 제2 탄성부(62)는 제1 탄성부(61)의 타단으로부터 변곡되어 제2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동부(40)에 장착된다. 즉 하부 제1 탄성부(61)는 일단이 고정부(30)의 일측 하단에 장착되어 마그네트(33)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30)의 타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제2 탄성부(62)는 하부 제1 탄성부(61)의 타단으로부터 변곡되어 고정부(30)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이동부(40)에 장착된다. 그리고 리드부(63)는 하부 제2 탄성부(6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코일부(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하부 제1 탄성부(61)의 일단에는 단자부(623)가 형성되어 하부 탄성부(60)를 통해 코일부(42)로 전원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제1 탄성부(61)의 일단에는 하부 고정돌기(32)가 삽입되는 고정홀(611)이 형성되어 하부 제1 탄성부(61)의 일단이 고정부(30)의 일측 하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 제2 탄성부(62)에는 하부 조립돌기(441)가 삽입되는 조립공(62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제2 탄성부(62)에는 접착홈(6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50)와 같이 하부 탄성부(60)도 이동부(40)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하부 탄성부(60)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2개의 하부 타성부(60)는 브릿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탄성부(50)와 하부 탄성부(60)의 동작 형태는 다음과 같으며, 도 8(a) 및 도 9(a)를 참조한다. 하부 탄성부(60)의 동작 형태는 상부 탄성부(50)의 동작 형태와 유사하므로 상부 탄성부(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탄성부(51)는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고정된 일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되어 타단이 상승하고, 제2 탄성부(52)는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제1 탄성부(51)의 타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되어 이동부(40)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부(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변형되는 제1 탄성부(51)에 의해 렌즈 중심은 고정부(30)의 일측 방향으로 소정간격 수평이동하게 되고(C1→C2), 이와 동시에 탄성변형되는 제2 탄성부(52)에 의해 렌즈의 중심은 고정부(30)의 타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수평이동하게 된다(C2→C3). 즉 제1 탄성부(51)의 탄성변형에 따른 렌즈 중심의 수평이동방향과 제2 탄성부(52)의 탄성변형에 따른 렌즈 중심의 수평이동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됨으로써, 이동부(4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른 렌즈 중심의 수평 위치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을 벗어나지 않고 초기 광축의 선상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C3=C1). 실제로는 C1의 위치와 C3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지만, 렌즈 중심이 항상 초기 광축(C3)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여 그 차이를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렌즈가 이동부(40)와 함께 광축(O)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 중심이 초기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를 최소화하여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의 선상에 위치하도록 유지시키고, 광축(O)의 틀어짐을 방지하여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외팔보 형태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이동부(40)가 상승함에 따라 상부 탄성부(50) 및 하부 탄성부(60)가 탄성변형되면서 렌즈의 중심이 C1에서 C2로 이동하게 되어 렌즈 중심이 초기 광축의 위치로부터 C1과 C2 사이의 간극만큼 벌어져 일치하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외팔보 형태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이동부(40)가 상승함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광축의 틀어짐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는 이동부(40)가 동일한 거리를 상승하여도 제1 탄성부(51,61)와 제2 탄성부(52,62)가 각각 소정각도씩 나누어 탄성변형됨으로써 광축의 틀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홀더,
20 : 커버, 21 : 관통구,
30 : 고정부, 31 : 상부 고정돌기, 32 : 하부 고정돌기, 33 : 마그네트,
40 : 이동부, 41 : 렌즈 조립체, 42 : 코일부,
43 : 상부 장착부, 431 : 경사면, 432 : 상부 조립돌기, 433 : 충전홈,
44 : 하부 장착부, 441 : 하부 조립돌기,
50 : 상부 탄성부, 51 : 제1 탄성부, 52 : 제2 탄성부,
511 : 고정홀, 521 : 조립공, 522 : 접착홀,
51a : 제1 탄성변형부, 51b : 제2 탄성변형부,
53 : 제1 브릿지, 54 : 제2 브릿지,
60 : 하부 탄성부, 61 : 하부 제1 탄성부, 62 : 하부 제2 탄성부, 63 : 리드부,
611 : 고정홀, 621 : 조립공, 622 : 접착홀, 623 : 단자부,

Claims (8)

  1. 고정부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제1 탄성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이동부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로 구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승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되어 타단이 상승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에 연결된 변곡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되어 단부가 상승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의 렌즈 중심은 항상 초기의 광축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좌측 탄성부와 우측 탄성부로 구분되어 상기 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 탄성부의 제2 탄성부와 상기 우측 탄성부의 제2 탄성부는 제1 브릿지에 의해 각각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2 탄성부가 고정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면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장착부에 고정되는 일부분 외에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이동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착부에는 상부 조립돌기와 충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에는 상기 상부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공과 상기 충전홈에 대응되는 접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충전홈 및 접착홀에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상기 제2 탄성부를 상기 상부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변형부와,
    일단이 상기 제1 탄성변형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상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탄성변형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의 폭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1 탄성부와,
    상기 하부 제1 탄성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하부 제2 탄성부와,
    상기 하부 제2 탄성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8. 고정부에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제1 탄성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변곡되어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이동부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로 구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의 상승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되어 타단이 상승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에 연결된 변곡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되어 단부가 상승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의 렌즈 중심은 항상 초기의 광축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KR1020160012362A 2016-02-01 2016-02-01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KR10176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62A KR101766743B1 (ko) 2016-02-01 2016-02-01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PCT/KR2016/014609 WO2017135562A1 (ko) 2016-02-01 2016-12-13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CN201680036280.9A CN107852448A (zh) 2016-02-01 2016-12-13 便携式终端用相机致动器及相机模块
US15/569,654 US20180113273A1 (en) 2016-02-01 2016-12-13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62A KR101766743B1 (ko) 2016-02-01 2016-02-01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398A true KR20170091398A (ko) 2017-08-09
KR101766743B1 KR101766743B1 (ko) 2017-08-11

Family

ID=5950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362A KR101766743B1 (ko) 2016-02-01 2016-02-01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13273A1 (ko)
KR (1) KR101766743B1 (ko)
CN (1) CN107852448A (ko)
WO (1) WO20171355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836A (ko) * 2021-11-15 2023-05-23 삼성전기주식회사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5216B2 (ja) 2019-05-08 202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防振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JP2021033080A (ja) * 2019-08-26 2021-03-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10769136B (zh) * 2019-10-21 2021-07-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装饰组件及移动终端
CN115144993B (zh) * 2021-03-31 2024-04-05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镜头驱动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719B2 (ja) * 1989-08-15 1998-09-1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系支持装置
KR20070009046A (ko) * 2005-07-15 2007-01-18 주식회사 포엠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스프링 및 그 장착 구조
US20080157609A1 (en) * 2006-12-28 2008-07-03 Hung-Lin Wang Plate spring for voice coil motor
GB0702835D0 (en) * 2007-02-14 2007-03-28 Johnson Electric Sa Lens module
JP2008268404A (ja) * 2007-04-18 2008-11-06 Tricore Corp ボイスコイル型のレンズ駆動装置
CN101997382B (zh) * 2009-08-19 2013-0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弹片及音圈马达
JP5079049B2 (ja) * 2009-11-17 2012-11-2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KR101644191B1 (ko) * 2009-12-31 2016-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1616602B1 (ko) * 2013-08-27 2016-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504024B1 (ko) * 2013-08-27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2899579B1 (en) * 2014-01-28 2017-08-16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1825731B1 (ko) * 2014-12-04 2018-03-23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심천)컴퍼니 리미티드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50054719A (ko) * 2015-01-30 2015-05-20 (주)아이엠 카메라 모듈
JP6637668B2 (ja) * 2015-03-30 2020-01-29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836A (ko) * 2021-11-15 2023-05-23 삼성전기주식회사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62A1 (ko) 2017-08-10
US20180113273A1 (en) 2018-04-26
CN107852448A (zh) 2018-03-27
KR101766743B1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8893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5301733B (zh) 透镜移动装置
KR101766743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KR101825731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CN105527776B (zh) 透镜移动装置
CN109917530B (zh) 镜头移动装置
CN110476119B (zh) 透镜驱动装置以及摄像装置模块
KR10150402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5739051B (zh) 透镜移动装置
CN112369008B (zh) 相机装置和光学仪器
KR20160089557A (ko) 복합 판 스프링 및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CN110989127A (zh) 光学变焦马达、摄像装置及移动终端
KR101620566B1 (ko) 카메라 모듈 조립체
KR20140107903A (ko) 카메라 모듈
CN108345081B (zh) 支撑机构
KR2017006808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56661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351717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N113574852B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KR2020000140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102189134B1 (ko) 카메라 모듈
US20240255726A1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10021648A (ko) Vcm 타입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