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717B1 -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717B1
KR102351717B1 KR1020170045169A KR20170045169A KR102351717B1 KR 102351717 B1 KR102351717 B1 KR 102351717B1 KR 1020170045169 A KR1020170045169 A KR 1020170045169A KR 20170045169 A KR20170045169 A KR 20170045169A KR 102351717 B1 KR102351717 B1 KR 10235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magnet
housing
magnet uni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730A (ko
Inventor
이성국
민상준
정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4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71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80,110 priority patent/US11143938B2/en
Priority to CN202210356467.4A priority patent/CN115047689B/zh
Priority to CN201880011203.7A priority patent/CN110291458B/zh
Priority to CN202210355731.2A priority patent/CN115047688B/zh
Priority to EP22200663.7A priority patent/EP4141534A1/en
Priority to EP18751999.6A priority patent/EP3582000B1/en
Priority to PCT/KR2018/001814 priority patent/WO2018147697A1/ko
Priority to JP2019540072A priority patent/JP7069183B2/ja
Publication of KR2018011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30A/ko
Priority to US17/476,805 priority patent/US20220019129A1/en
Priority to KR1020220004284A priority patent/KR102480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17B1/ko
Priority to JP2022076041A priority patent/JP7459167B2/ja
Priority to KR1020220178795A priority patent/KR10266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하우징; 보빈; 제1코일; 제1마그네트; 베이스; 제2코일을 포함하는 기판; 제1센서; 제2마그네트; 및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부와, 제2측부와,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제1측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제2측부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제1측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실시간으로 피드백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피드백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와 센서에 구동 마그네트의 자계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구동 마그네트의 AF 피드백 센서에 대한 자계 간섭을 최소화한 구조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부와, 제2측부와,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제1측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제2측부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제1측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1측면과,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3측면과, 상기 제2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4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의 제2측면의 면적이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의 제4측면의 면적 보다 작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의 제1측면의 면적이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의 제2측면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5측면과,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6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5측면과 상기 제6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네트유닛은 상기 제5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7측면과, 상기 제6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8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의 제6측면의 면적이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의 제8측면의 면적 보다 작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의 제5측면의 면적이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의 제7측면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센서가 배치되는 제2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2기판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판의 내면의 가상의 연장면은 상기 제1홈 또는 상기 제2홈과 만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와 상기 제2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2마그네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제1측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제2측부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제1측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항하는 제1면과, 상기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3면과, 상기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4면과,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을 연결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면의 크기는 상기 제1면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측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부와, 상기 제2측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측부와, 상기 제3측부와 상기 제4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코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제3측부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 유닛과, 상기 제4측부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5면과, 상기 제2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6면과, 상기 제5면과 상기 제6면을 연결하는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7면과, 상기 제2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8면과, 상기 제7면과 상기 제8면을 연결하는 제4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9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제9면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홈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의 길이는 상기 제1홈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홈은 평면 또는 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구동 마그네트가 AF 피드백 센서에 미치는 자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Y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가동자 및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가동자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지지부재 및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 커버를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마그네트, 제1센싱 유닛 및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변형례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동 마그네트, 제1센싱 유닛 및 관련 구동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된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를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AF 구동 코일(220), 구동 마그네트(320) 및 OIS 구동 코일(422)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구동부'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3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한편, AF 구동 코일(220), 구동 마그네트(320) 및 OIS 구동 코일(422)은 상호간 위치를 바꾸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AF 구동 코일(220) 및 OIS 구동 코일(422) 중 어느 하나를 '제1코일'이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코일'이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 구동 마그네트(320), 센싱 마그네트(730) 및 보상 마그네트(800) 중 어느 하나를 '제1마그네트'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마그네트'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3마그네트'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 고정자(400)의 기판(410) 및 제1센싱 유닛(700)의 기판(720) 중 어느 하나를 '제1기판'이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기판'이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 AF 피드백 센서(710) 및 OIS 피드백 센서(900) 중 어느 하나를 '제1센서'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센서'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이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로 호칭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는 카메라 모듈(3)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1)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2)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2) 및 카메라 모듈(3)이 배치되고 본체(1)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모듈(3)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카메라 모듈(3)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카메라 모듈(3)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본체(1)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적어도 일부가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본체(1)의 일면 및 본체(1)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3)은 렌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 및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의 보빈(21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보빈(210)에 나사 결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보빈(21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적외선 필터는 렌즈 구동 장치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례로,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430)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렌즈 구동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과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는 센서 베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렌즈 구동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의 AF 구동 코일(220) 및 OIS 구동 코일(422)에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오토 포커스 기능 및/또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오토 포커스 피드백 제어 및/또는 손떨림 보정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X-Y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가동자 및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가동자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지지부재 및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 커버를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마그네트, 제1센싱 유닛 및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변형례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동 마그네트, 제1센싱 유닛 및 관련 구동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렌즈 구동 장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커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베이스(43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100)는 하우징(310)을 내측 또는 안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100)는 렌즈 구동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1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1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1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0)는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1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1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100)는 상판(110) 및 측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상판(110)과, 상판(110)의 외주(outer periphery) 또는 에지(edge)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의 측판(120)의 하단은 베이스(430)의 단차부(434)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100)의 측판(120)의 내면은 베이스(430)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커버(100)의 상판(110)은 관통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1)은 커버(100)의 상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1)은 렌즈를 상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관통홀(111)은 렌즈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1)의 크기는 렌즈 모듈이 관통홀(111)를 통해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렌즈 모듈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1)를 통해 유입된 광은 렌즈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렌즈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제1가동자(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렌즈와 결합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탄성부재(500)를 통해 제2가동자(3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제2가동자(3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가동자(200)는 렌즈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가동자(200)는 AF 구동 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가동자(200)는 'AF 가동자'로 호칭될 수 있다. 다만, 제1가동자(200)는 OIS 구동 시에도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보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내측 또는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관통홀(311)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빈(210)에는 렌즈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과 렌즈는 나사 결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에는 AF 구동 코일(22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의 상면에는 상부 탄성부재(51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의 하면에는 하부 탄성부재(52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은 탄성부재(500)와 열융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과 렌즈, 및 보빈(210)과 탄성부재(500)를 결합하는 접착제는 자외선(UV), 열 및 레이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epoxy)일 수 있다.
보빈(210)은 관통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211)은 보빈(210)을 광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관통홀(211)에는 렌즈 모듈이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관통홀(211)을 형성하는 보빈(210)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0)은 구동부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결합부(212)에는 AF 구동 코일(220)이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F 구동 코일(220)은 구동부 결합부(212)의 홈에 수용될 수 있다. 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AF 구동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AF 구동 코일(220)은 보빈(210)에 배치될 수 있다. AF 구동 코일(220)은 보빈(210)과 하우징(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F 구동 코일(220)은 보빈(2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AF 구동 코일(220)은 보빈(210)에 직권선될 수 있다. 또는, AF 구동 코일(220)은 직권선된 상태로 보빈(210)에 결합될 수 있다. AF 구동 코일(220)은 구동 마그네트(320)와 대향할 수 있다. AF 구동 코일(220)은 구동 마그네트(32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AF 구동 코일(220)에 전류가 공급되어 AF 구동 코일(220)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면, AF 구동 코일(220)과 구동 마그네트(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AF 구동 코일(220)이 구동 마그네트(32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AF 구동 코일(220)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AF 구동 코일(220)은 전원 공급을 위한 한 쌍의 인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F 구동 코일(220)의 일측 단부(인출선)는 제5상부 탄성유닛(505)과 결합되고 AF 구동 코일(220)의 타측 단부(인출선)는 제6상부 탄성유닛(506)과 결합될 수 있다. 즉, AF 구동 코일(220)은 상부 탄성부재(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AF 구동 코일(220)은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 기판(410), 지지부재(600) 및 상부 탄성부재(5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변형예로, AF 구동 코일(220)은 하부 탄성부재(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제2가동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고정자(400)에 지지부재(600)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탄성부재(500)를 통해 제1가동자(2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제1가동자(200)를 이동시키거나 제1가동자(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고정자(4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OIS 구동 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가동자(300)는 'OIS 가동자'로 호칭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OIS 구동 시 제1가동자(20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보빈(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내측에 보빈(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커버(100)의 내측 또는 안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커버(100)와 보빈(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커버(10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외측 측면은 커버(100)의 측판(12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하우징(310)과 커버(1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하우징(310)은 OIS 구동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310)에는 구동 마그네트(32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과 구동 마그네트(320)는 접착제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상면에는 상부 탄성부재(51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하부 탄성부재(52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탄성부재(500)와 열융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과 구동 마그네트(320), 및 하우징(310)과 탄성부재(500)를 결합하는 접착제는 자외선(UV), 열 및 레이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epoxy)일 수 있다. 하우징(310)은 홈부(33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부(330)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4개의 측부(310a)와, 4개의 측부(310a) 사이에 배치되는 4개의 코너부(3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1측부와, 제2측부와, 제1측부와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1측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부와, 제2측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측부와, 제3측부와 제4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관통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11)은 하우징(310)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11)은 하우징(310)을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11)에는 보빈(210)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311)은 적어도 일부에서 보빈(2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11)을 형성하는 하우징(310)의 내주면은 보빈(2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310)과 보빈(210)은 적어도 일부에서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보빈(210)의 광축 방향의 이동 스트로크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구동부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결합부(312)에는 구동 마그네트(320)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 결합부(312)는 하우징(310)의 내주면 및/또는 하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결합부(312)는 하우징(310)의 4개의 측부(310a)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로, 구동부 결합부(312)는 하우징(310)의 4개의 코너부(310b)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구동 마그네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보빈(210)과 하우징(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AF 구동 코일(220)과 대향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AF 구동 코일(2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OIS 구동 코일(422)과 대향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OIS 구동 코일(422)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AF 구동 및 OIS 구동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마그네트(320)는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갖는 평판 마그네트일 수 있다. 변형예로, 구동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마그네트(320)는 내측 측면이 외측 측면 보다 넓은 육면체 형상을 갖는 코너 마그네트일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제1코일(220)과 대향하는 내면(320a)과, 하우징(310)의 코너부(310b) 측에 배치되는 측면(320c)(320d)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내면(320a)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외면(320b)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의 측면(320c)(320d)은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 또는 제2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1측면(320c)과, 제1측면(320c)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면(320d)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의 크기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내면(320a)과 제1측면(320c)을 연결하는 코너에 배치되는 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의 면적은 구동 마그네트(320)의 외면(320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330)에 의해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의 일부가 생략되므로 홈부(330)가 형성된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의 면적과 구동 마그네트(320)의 외면(320b)의 면적을 비교하면 내면(320a)의 면적이 외면(320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의 면적이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2측면(320d)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330)에 의해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의 일부가 생략되므로 홈부(330)가 형성된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의 면적과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2측면(320d)의 면적을 비교하면 제1측면(320c)의 면적이 제2측면(320d)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마그네트 유닛(321)(322)(323)(32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의 제1측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유닛(321)과, 하우징(310)의 제2측부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유닛(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센서(710)는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센서(710)는 제1마그네트 유닛(321)과 제2마그네트 유닛(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센서(710)는 제1마그네트 유닛(321)과 제2마그네트 유닛(322)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의 제3측부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 유닛(323)과, 하우징(310)의 제4측부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 유닛(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 유닛(321)은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1홈(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 유닛(321)은 내면(320a)과 제1측면(320c)을 연결하는 코너에 배치되는 제1홈(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내면(320a)의 면적은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외면(320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제1측면(320c)의 면적은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제2측면(320d)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마그네트 유닛(322)은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2홈(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 유닛(322)은 내면(320a)과 제1측면(320c)을 연결하는 코너에 배치되는 제2홈(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내면(320a)의 면적은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외면(320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제1측면(320c)의 면적은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제2측면(320d)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마그네트 유닛(323)은 하우징(310)의 제2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3홈(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마그네트 유닛(323)은 내면(320a)과 제1측면(320c)을 연결하는 코너에 배치되는 제3홈(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마그네트 유닛(323)의 내면(320a)의 면적은 제3마그네트 유닛(323)의 외면(320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마그네트 유닛(323)의 제1측면(320c)의 면적은 제3마그네트 유닛(323)의 제2측면(320d)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4마그네트 유닛(324)은 하우징(310)의 제2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4홈(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마그네트 유닛(324)은 내면(320a)과 제1측면(320c)을 연결하는 코너에 배치되는 제4홈(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마그네트 유닛(324)의 내면(320a)의 면적은 제4마그네트 유닛(324)의 외면(320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4마그네트 유닛(324)의 제1측면(320c)의 면적은 제4마그네트 유닛(324)의 제2측면(320d)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330)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과 제1측면(320c)을 연결하는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330)에 의해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 및 제1측면(320c)의 일부가 생략되므로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 및 제1측면(320c)을 통해 형성되는 자기력 분포가 변형될 수 있다. 홈부(330)의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구동 마그네트(320)가 AF 피드백 센서(710) 및/또는 센싱 마그네트(730)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홈부(330)는 구동 마그네트(320)가 AF 피드백 센서(710) 및/또는 센싱 마그네트(730)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홈부(330)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4개의 측방 코너 중 하나의 측방 코너에만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의 4개의 측방 코너 중 하나의 측방 코너만 나머지 3개의 측방 코너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320)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일정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홈부(320)는 구동 마그네트(3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330)의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으로부터의 길이(도 11의 L1 참조)는 홈부(330)의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으로부터의 길이(도 11의 L2 참조) 보다 작을 수 있다. 홈부(330)의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으로부터의 길이(L1)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두께의 1/2 이하일 수 있다. 홈부(330)는 센싱 마그네트(730)의 끝단에서 구동 마그네트(320)의 외면(320b)과 수직하도록 연장한 가상의 직선(도 11의 L 참조)과 오버랩될 수 있다. 즉, 홈부(330)의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으로부터의 길이(L2)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에서 가상의 직선(L) 사이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즉, 홈부(330)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의 가상의 연장면과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의 가상의 연장면이 만나는 가상의 코너를 기준으로 비대칭일 수 있다. 변형례로, 홈부(330)의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으로부터의 길이는 홈부(330)의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으로부터의 길이와 대응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례로, 홈부(330)의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으로부터의 길이는 홈부(330)의 구동 마그네트(320)의 제1측면(320c)으로부터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홈부(330)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과 평행한 평면(330a)과, 평면(330a)과 구동 마그네트(321)의 내면(320a)을 연결하는 곡면(33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홈부(330)는 적어도 일부에서 곡면(33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330)는 R컷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330)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모서리 일부에 라운드컷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320)의 코너에는 모서리 가공 상에 발생되는 기본 곡률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홈부(330)의 곡률은 모서리 가공 상에 발생되는 기본 곡률과는 상이할 수 있다. 즉, 홈부(330)의 형상은 구동 마그네트(320)의 다른 코너 형상과는 상이할 수 있다. 홈부(330)는 모따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홈부(330)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홈부(330)는 경사면(330c)을 포함할 수 있다. 홈부(330)는 C컷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30c)은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 및 제1측면(320c) 각각과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330c)은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 및 제1측면(320c) 각각과 135°를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330c)은 구동 마그네트(320)의 내면(320a) 및 제1측면(320c) 각각과 120° 내지 15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로, 홈부(330)는 ㄱ컷 또는 ㄴ컷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은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경사면은 내면(320a) 및 제1측면(320c)과 각각 90°를 형성할 수 있다.
홈부(330)는 4개의 구동 마그네트(32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홈부(330)는 제1마그네트 유닛(321)에 배치되는 제1홈(331)과, 제2마그네트 유닛(322)에 배치되는 제2홈(332)과, 제3마그네트 유닛(323)에 배치되는 제3홈(333)과, 제4마그네트 유닛(324)에 배치되는 제4홈(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홈(331)(332)(333)(334)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홈(331)(332)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3 및 제4홈(333)(334)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1홈(331)은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제1측면과 제2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측면은 제1마그네트 유닛(321)에서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측면이고, 제2측면은 제1마그네트 유닛(321)에서 AF 코일(220)과 대향하는 측면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 유닛(321)은 제1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3측면과, 제2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4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제2측면의 면적이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제4측면의 면적 보다 작고,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제1측면의 면적이 제1마그네트 유닛(321)의 제2측면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1홈(331)에 의한 특성이며, 본 특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마그네트 유닛(321)이 AF 피드백 센서(71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홈(332)은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제5측면과 제6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5측면은 제2마그네트 유닛(322)에서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측면이고, 제6측면은 제2마그네트 유닛(322)에서 AF 코일(220)과 대향하는 측면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 유닛(322)은 제5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7측면과, 제6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8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제6측면의 면적이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제8측면의 면적 보다 작고,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제5측면의 면적이 제2마그네트 유닛(322)의 제7측면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2홈(332)에 의한 특성이며, 본 특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마그네트 유닛(322)이 AF 피드백 센서(71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고정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400)는 제1 및 제2가동자(200)(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400)는 제2가동자(30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자(400)는 제2가동자(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가동자(200)도 제2가동자(3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고정자(400)는 기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구동 마그네트(320)와 대향하는 OIS 구동 코일(42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베이스(43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410)은 하우징(310)과 베이스(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410)에는 지지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기판(410)은 OIS 구동 코일(42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기판(410)은 회로부재(420)와 결합될 수 있다. 기판(410)은 OIS 구동 코일(422)과 결합될 수 있다. 기판(410)은 베이스(4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될 수 있다. 기판(410)은 연성의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일부에서 절곡될 수 있다.
기판(410)은 몸체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몸체부(411)에 형성되는 관통홀(411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보빈(210)에 결합되는 렌즈와 대응하는 관통홀(411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단자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412)는 기판(410)의 몸체부(4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412)는 기판(410)의 일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412)는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단자부(412)는 베이스(4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단자부(412)는 베이스(430)의 단자 수용부(433)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400)는 회로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재(420)는 베이스(430)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부재 (420)는 기판(410)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부재(420)는 구동 마그네트(320)와 베이스(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재(420)가 기판(410)과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회로부재(420)는 기판(41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회로부재(420)는 기판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421)는 회로기판일 수 있다. 기판부(421)는 FPCB일 수 있다. 기판부(421)에는 OIS 구동 코일(422)이 미세 패턴 코일(FP coil, Fine pattern coil)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부(421)에는 지지부재(600)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부(421)는 관통홀(421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421)의 관통홀(421a)은 기판(410)의 관통홀(411a)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로부재(420)는 OIS 구동 코일(422)을 포함할 수 있다. OIS 구동 코일(422)은 구동 마그네트(320)와 대향할 수 있다. OIS 구동 코일(422)은 구동 마그네트(32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OIS 구동 코일(422)에 전류가 공급되어 OIS 구동 코일(422)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OIS 구동 코일(422)과 구동 마그네트(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 마그네트(320)가 OIS 구동 코일(42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OIS 구동 코일(422)은 구동 마그네트(32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하우징(310) 및 보빈(210)을 베이스(430)에 대하여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OIS 구동 코일(422)은 기판부(421)에 일체로 형성되는 미세 패턴 코일(FP coil, Fine Pattern coil)일 수 있다.
고정자(400)는 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30)는 하우징(310)의 하측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30)는 기판(4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30)의 상면에는 기판(41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30)는 커버(100)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430)는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30)는 관통홀(43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431)은 베이스(430)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31)은 베이스(430)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31)을 통해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회로부재(420)의 관통홀(421a), 기판(410)의 관통홀(411a) 및 베이스(430)의 관통홀(431)을 통과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베이스(430)는 센서 결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결합부(432)에는 OIS 피드백 센서(900)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 결합부(432)는 OIS 피드백 센서(9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센서 결합부(432)는 베이스(430)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결합부(432)는 2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홈 각각에는 OIS 피드백 센서(900)가 배치되어 구동 마그네트(320)의 X축 방향 이동 및 Y축 방향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베이스(430)는 단자 수용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수용부(433)에는 기판(410)의 단자부(412)가 배치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433)는 베이스(430)의 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수용부(433)의 폭은 기판(410)의 단자부(412)의 폭과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433)의 길이는 기판(410)의 단자부(412)의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기판(410)의 단자부(412)의 길이가 단자 수용부(433)의 길이 보다 길어 단자부(412)의 일부가 베이스(430)의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430)는 단차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434)는 베이스(4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434)는 베이스(430)의 외주면을 빙 둘러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434)는 베이스(430)의 측면의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434)에는 커버(100)의 측판(120)의 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보빈(210) 및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보빈(2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보빈(2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AF 구동 시 보빈(21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00)는 'AF 지지부재'라 호칭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상부 탄성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보빈(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보빈(210)과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보빈(2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하우징(3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지지부재(6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6상부 탄성유닛(501)(502)(503)(504)(505)(5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AF 피드백 센서(71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도전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상부 탄성유닛(501)(502)(503)(5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상부 탄성유닛(501)(502)(503)(504) 각각은 AF 피드백 센서(710)가 결합된 기판(7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와 기판(710)은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AF 구동 코일(22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도전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서로 이격되는 제5상부 탄성유닛(505)과 제6상부 탄성유닛(5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5상부 탄성유닛(505)은 AF 구동 코일(220)의 일단과 결합되고, 제6상부 탄성유닛(506)은 AF 구동 코일(220)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와 AF 구동 코일(220)은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외측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511)는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511)는 하우징(3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511)는 하우징(310)의 돌기에 결합되는 홀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511)는 접착제에 의해 하우징(3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내측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512)는 보빈(21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512)는 보빈(2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512)는 보빈(210)의 돌기에 결합되는 홀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512)는 접착제에 의해 보빈(2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연결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13)는 외측부(511) 및 내측부(51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13)는 외측부(511) 및 내측부(512)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1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513)는 '탄성부'로 호칭될 수 있다. 연결부(513)는 2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0)는 결합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14)는 지지부재(60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514)는 지지부재(600)와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514)는 지지부재(600)와 결합되는 홀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14)는 외측부(5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514)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하부 탄성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보빈(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보빈(210)과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보빈(2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하우징(3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외측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521)는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521)는 하우징(3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521)는 하우징(310)의 돌기에 결합되는 홀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521)는 접착제에 의해 하우징(31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내측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522)는 보빈(21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522)는 보빈(2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522)는 보빈(210)의 돌기에 결합되는 홀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522)는 접착제에 의해 보빈(21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0)는 연결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23)는 외측부(521) 및 내측부(52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23)는 외측부(521) 및 내측부(5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2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523)는 '탄성부'로 호칭될 수 있다. 연결부(523)는 2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지지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상부 탄성부재(510)와 기판(41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상부 탄성부재(510)와 기판(410)의 회로부재(42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하우징(3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하우징(3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OIS 구동 시 하우징(310) 및 보빈(21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600)는 'OIS 지지부재'라 호칭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로, 지지부재(600)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서로 이격되는 6개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6지지부(601)(602)(603)(604)(605)(6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6지지부(601)(602)(603)(604)(605)(606)는 렌즈 구동 장치 내부에서 도전라인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지지부(601)(602)(603)(604)(605)(606)는 기판(4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601)는 제1상부 탄성유닛(50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부(602)는 제2상부 탄성유닛(50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지지부(603)는 제3상부 탄성유닛(503)에 결합될 수 있다. 제4지지부(604)는 제4상부 탄성유닛(504)에 결합될 수 있다. 제5지지부(605)는 제5상부 탄성유닛(505)에 결합될 수 있다. 제6지지부(606)는 제6상부 탄성유닛(506)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댐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는 지지부재(600)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지지부재(600) 및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탄성부재(500)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탄성부재(500)와 보빈 및/또는 탄성부재(500)와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탄성부재(500) 및/또는 지지부재(600)에 배치되어 탄성부재(500) 및/또는 지지부재(600)에서 발생되는 공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AF 피드백 센서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 유닛(700)은 오토 포커스 피드백(Feedback)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 유닛(700)은 보빈(210)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 유닛(700)은 보빈(210)의 광축 방향 이동량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AF 피드백 센서(710)를 포함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 유닛(700)은 AF 피드백 센서(710)를 포함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710)는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로, AF 피드백 센서(710)는 보빈(210)에 배치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710)는 제1가동자(2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710)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 센서는 센싱 마그네트(730)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보빈(210) 및 렌즈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710)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은 AF 피드백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 유닛(700)은 기판(7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720)은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720)은 AF 피드백 센서(710)와 결합될 수 있다. 기판(720)은 AF 피드백 센서(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720)은 상측 탄성부재(510)와 결합될 수 있다. 기판(720)은 제1 내지 제4상부 탄성유닛(501)(502)(503)(504)과 결합되는 4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720)과 상측 탄성부재(510)는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기판(720)에는 AF 피드백 센서(710)가 배치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710)는 기판(72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720)의 내면의 가상의 연장면은 제1홈(331) 또는 제2홈(332)과 만날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720)와 센싱 마그네트(730) 사이의 거리는 기판(720)과 센싱 마그네트(730) 사이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AF 피드백 센서 유닛(700)은 센싱 마그네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30)는 보빈(21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30)는 AF 피드백 센서(7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30)는 AF 피드백 센서(710)와 대향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30)는 보빈(210)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센싱 마그네트(730)는 하우징(310)의 코너부(310b)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보상 마그네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보빈(210)에 배치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센싱 마그네트(730)와 자기력 평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광축을 중심으로 센싱 마그네트(730)와 대칭일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광축을 중심으로 센싱 마그네트(7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광축을 중심으로 센싱 마그네트(730)와 대응되는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빈(210)의 일측에는 센싱 마그네트(730)가 배치되고 보빈(210)의 타측에는 보상 마그네트(8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보빈(210)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보상 마그네트(800)는 하우징(310)의 코너부(310b)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OIS 피드백 센서(900)를 포함할 수 있다. OIS 피드백 센서(900)는 베이스(430)에 배치되고 구동 마그네트(320)를 감지할 수 있다. OIS 피드백 센서(900)는 베이스(430)와 기판(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OIS 피드백 센서(900)는 제2가동자(3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OIS 피드백 센서(900)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 센서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하우징(310) 및 구동 마그네트(32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OIS 피드백 센서(900)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은 OIS 피드백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을 설명한다. AF 구동 코일(220)에 전원이 공급되면 AF 구동 코일(220)과 구동 마그네트(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AF 구동 코일(220)이 구동 마그네트(320)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AF 구동 코일(220)이 결합된 보빈(210)은 AF 구동 코일(220)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렌즈 모듈이 결합된 보빈(210)이 하우징(31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보빈(2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 모듈이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결과가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AF 구동 코일(220)에 전원을 공급하여 피사체에 대한 포커스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언급한 포커스 조절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오토 포커스 피드백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하우징(310)에 배치되는 AF 피드백 센서(710)는 보빈(210)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730)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따라서, 보빈(210)이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AF 피드백 센서(71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AF 피드백 센서(71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빈(210)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보빈(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보빈(21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오토 포커스 피드백 제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설명한다. OIS 구동 코일(422)에 전원이 공급되면 OIS 구동 코일(422)과 구동 마그네트(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 마그네트(320)가 OIS 구동 코일(422)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구동 마그네트(320)가 결합된 하우징(310)은 구동 마그네트(32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하우징(310)이 베이스(430)에 대하여 수평 방향(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이때 베이스(430)에 대하여 하우징(310)의 틸트(tilt)가 유도될 수도 있다. 한편,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수평 방향 이동에 대하여 하우징(310)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3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보빈(210)에 결합된 렌즈 모듈이 이미지 센서가 놓여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결과가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OIS 구동 코일(422)에 전원을 공급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손떨림 보정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손떨림 보정 피드백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430)에 배치되는 OIS 피드백 센서(800)는 하우징(310)에 배치되는 구동 마그네트(320)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따라서, 하우징(310)이 베이스(43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OIS 피드백 센서(80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한 쌍의 OIS 피드백 센서(80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310)의 수평방향(x축 및 y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하우징(31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손떨림 보정 피드백 제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비교예로 구동 마그네트(320)의 자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마그네트(320) 사이 및 AF 피드백 센서(710)의 하측에 요크(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비교예와 비교할 때, 요크 부품을 삭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요크 부품 삭제에 따른 자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동 마그네트(320)에 자계 간섭 최소화를 위한 형상인 홈부(330)를 추가한 것이다. 홈부(330)는 구동 마그네트(320)가 센싱 마그네트(730)로부터 가능한 멀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부(330)를 통해 CLAF(Closed Loop Auto Focus) 구조 및 공정의 단순화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 단순화에 따른 설계 자유도 확보 및 원가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 200: 제1가동자
300: 제2가동자 400: 고정자
500: 탄성부재 600: 지지부재
700: AF 피드백 센서 유닛 800: 보상 마그네트
900: OIS 피드백 센서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부와, 제2측부와,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측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측부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1측면과,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3측면과, 상기 제2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의 제2측면의 면적이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의 제4측면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의 제1측면의 면적이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의 제2측면의 면적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5측면과,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6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5측면과 상기 제6측면을 연결하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5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7측면과, 상기 제6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8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의 제6측면의 면적이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의 제8측면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의 제5측면의 면적이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의 제7측면의 면적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가 배치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제2기판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판의 상기 내면의 가상의 연장면은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만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2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렌즈 구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측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부와, 상기 제2측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측부와, 상기 제3측부와 상기 제4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제3측부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 유닛과, 상기 제4측부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2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2코너부 측에 형성되는 제4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5면과, 상기 제2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6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홈은 상기 제3마그네트 유닛의 상기 제5면과 상기 제6면을 연결하는 렌즈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7면과, 상기 제2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8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홈은 상기 제4마그네트 유닛의 상기 제7면과 상기 제8면을 연결하는 렌즈 구동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의 길이는 상기 제1홈의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의 길이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13.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제1측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제2측부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측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항하는 제1면과, 상기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3면과, 상기 제1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4면과,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을 연결하는 제2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크기는 상기 제1면의 크기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측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부와, 상기 제2측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측부와, 상기 제3측부와 상기 제4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제3측부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 유닛과, 상기 제4측부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5면과, 상기 제2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6면과, 상기 제5면과 상기 제6면을 연결하는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7면과, 상기 제2코너부 측에 배치되는 제8면과, 상기 제7면과 상기 제8면을 연결하는 제4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9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제9면의 면적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의 길이는 상기 제1홈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의 길이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곡면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9.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 구동 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0.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제19항의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0170045169A 2017-02-10 2017-04-07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35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69A KR102351717B1 (ko) 2017-04-07 2017-04-07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JP2019540072A JP7069183B2 (ja) 2017-02-10 2018-02-12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CN201880011203.7A CN110291458B (zh) 2017-02-10 2018-02-12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仪器
CN202210355731.2A CN115047688B (zh) 2017-02-10 2018-02-12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仪器
EP22200663.7A EP4141534A1 (en) 2017-02-10 2018-02-12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EP18751999.6A EP3582000B1 (en) 2017-02-10 2018-02-12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US16/480,110 US11143938B2 (en) 2017-02-10 2018-02-12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CN202210356467.4A CN115047689B (zh) 2017-02-10 2018-02-12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仪器
PCT/KR2018/001814 WO2018147697A1 (ko) 2017-02-10 2018-02-12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7/476,805 US20220019129A1 (en) 2017-02-10 2021-09-16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KR1020220004284A KR102480510B1 (ko) 2017-04-07 2022-01-11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JP2022076041A JP7459167B2 (ja) 2017-02-10 2022-05-02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KR1020220178795A KR102665483B1 (ko) 2017-04-07 2022-12-19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69A KR102351717B1 (ko) 2017-04-07 2017-04-07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284A Division KR102480510B1 (ko) 2017-04-07 2022-01-11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30A KR20180113730A (ko) 2018-10-17
KR102351717B1 true KR102351717B1 (ko) 2022-01-17

Family

ID=640992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169A KR102351717B1 (ko) 2017-02-10 2017-04-07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0220004284A KR102480510B1 (ko) 2017-04-07 2022-01-11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0220178795A KR102665483B1 (ko) 2017-04-07 2022-12-19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284A KR102480510B1 (ko) 2017-04-07 2022-01-11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0220178795A KR102665483B1 (ko) 2017-04-07 2022-12-19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51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5827B2 (en) 2019-06-14 2022-02-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with rotatable reflection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341A1 (ko) 2014-06-25 2015-12-30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장치
WO2016156996A1 (en) 2015-04-02 2016-10-06 Corephotonics Ltd. Dual voice coil motor structure in a dual-optical module camera
JP2017062470A (ja) 2015-09-21 2017-03-30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818B1 (ko) * 2010-11-18 2017-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209033B1 (ko) * 2014-07-15 2021-0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341A1 (ko) 2014-06-25 2015-12-30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장치
WO2016156996A1 (en) 2015-04-02 2016-10-06 Corephotonics Ltd. Dual voice coil motor structure in a dual-optical module camera
JP2017062470A (ja) 2015-09-21 2017-03-30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510B1 (ko) 2022-12-23
KR102665483B1 (ko) 2024-05-13
KR20220011763A (ko) 2022-01-28
KR20180113730A (ko) 2018-10-17
KR20230006425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388B1 (ko) 카메라 모듈
JP7459167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CN112369008B (zh) 相机装置和光学仪器
KR102642007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102642008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30033012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KR20220104133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548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180033959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92140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07780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2769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0000140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102663244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73837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92720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9072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2417261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220098435A (ko) 카메라 장치
KR20220049929A (ko) 렌즈구동장치
CN113574852A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KR20180007777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