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140B1 -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140B1
KR102592140B1 KR1020160090565A KR20160090565A KR102592140B1 KR 102592140 B1 KR102592140 B1 KR 102592140B1 KR 1020160090565 A KR1020160090565 A KR 1020160090565A KR 20160090565 A KR20160090565 A KR 20160090565A KR 102592140 B1 KR102592140 B1 KR 102592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camera module
side plate
disposed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098A (ko
Inventor
정태진
민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9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14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11163189.7A priority patent/CN115421273A/zh
Priority to CN202310305280.6A priority patent/CN116299949A/zh
Priority to PCT/KR2017/007314 priority patent/WO2018012813A1/ko
Priority to EP21191824.8A priority patent/EP3978997A1/en
Priority to CN201780043318.XA priority patent/CN109477998B/zh
Priority to CN202110580116.7A priority patent/CN113341634B/zh
Priority to CN202310317777.XA priority patent/CN116299950A/zh
Priority to CN202110578602.5A priority patent/CN113341633B/zh
Priority to EP17827885.9A priority patent/EP3486718B1/en
Priority to US16/317,764 priority patent/US10694092B2/en
Publication of KR2018000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098A/ko
Priority to US16/870,462 priority patent/US11032461B2/en
Priority to US17/307,545 priority patent/US11582376B2/en
Priority to US18/069,707 priority patent/US11743562B2/en
Priority to US18/346,941 priority patent/US120751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커버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는 제1마그넷 유닛과, 상기 제1보빈에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 유닛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하는 제1코일을 포함하는 제1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커버부재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보빈과,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 유닛과, 상기 제2보빈에 위치하며 상기 제2마그넷 유닛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제2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 및 제2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2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제3 내지 제6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부재는 상기 제2커버부재에 대향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및 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에는, 자성체인 제1차폐부재가 위치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본 실시예는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인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 기능을 갖춘 AF 카메라 모듈과, 촬영시 사용자의 손떨림을 보정하는 기능인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갖춘 OIS 카메라 모듈이 있다. 나아가 2개의 카메라 모듈을 나란히 배치한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있다.
광학기기 내에서, 리시버(Receiver)와 같은 주변 장치가 듀얼 카메라 모듈 인근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하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에 의해, 주변 장치의 수신에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CN 203933331 U
최근에는 AF 카메라 모듈과 OIS 카메라 모듈을 나란히 배치한 듀얼 카메라 모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언급한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는 OIS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이 AF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의 영향을 받아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AF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이 OIS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에 미치는 자기력의 영향을 차단한 듀얼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 듀얼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듀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커버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는 제1마그넷 유닛과, 상기 제1보빈에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 유닛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하는 제1코일을 포함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제1커버부재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보빈과,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 유닛과, 상기 제2보빈에 위치하며 상기 제2마그넷 유닛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제2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 및 제2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2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제3 내지 제6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부재는 상기 제2커버부재에 대향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및 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에는, 자성체인 제1차폐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측판에는, 자성체인 제2차폐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측판에는, 자성체인 제2차폐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제3측판에는, 자성체인 제3차폐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제4측판에는, 자성체인 제4차폐부재가 위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차폐부재의 끝단이 연결되어 일체의 차폐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는, 평판(flat plate) 형상으로, 내측면이 상기 제1측판의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하고,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제1측판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는, 평판(flat plate) 형상으로, 내측면이 상기 제1측판의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하고, 폭방향 길이는, 상기 제1측판의 폭방향 길이보다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은,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은,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제3 내지 제6마그넷은,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상기 제3 내지 제6마그넷은, 내측면이 외측면 보다 큰 기둥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은, 상기 제2하우징과 대향되는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및 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에는 상기 제1마그넷이 배치되고, 상기 제4측면에는 상기 제2마그넷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하우징의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마그넷 유닛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하는 제3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넷 유닛과 상기 제3코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제2보빈은 광축과 수직방향으로 구동하거나 틸트(tilt)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는 상기 제1커버부재와 대향하는 제5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5측판 간의 이격거리는 4mm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 및 상기 제2커버부재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과,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자신호 수신하는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커버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는 제1마그넷 유닛과, 상기 제1보빈에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 유닛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하는 제1코일을 포함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제1커버부재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보빈과,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 유닛과, 상기 제2보빈에 위치하며 상기 제2마그넷 유닛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제2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 및 제2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2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제3 내지 제6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부재는 상기 제2커버부재에 대향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및 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판에는 자성체인 제2차폐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2측판 측에 상기 제2측판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AF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이 OIS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에 미치는 자기력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OIS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이 AF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의 영향을 받아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듀얼 카메라 모듈이 주변 장치에 미치는 자기력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F 카메라 모듈과 OIS 카메라 모듈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여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재와 차폐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의 가동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의 고정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의 제1AF 지지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AF 가동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OIS 가동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고정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제2AF 지지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변형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2변형례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3변형례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를 설명한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광학기기는 본체(미도시), 듀얼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리시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에서 본체, 듀얼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부, 리시버(30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일례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례로서 본체는 적어도 일부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듀얼 카메라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듀얼 카메라 모듈은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듀얼 카메라 모듈은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본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듀얼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는 듀얼 카메라 모듈과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과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듀얼 카메라 모듈이 배치된 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리시버(3000)는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시버(3000)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리시버(3000)는 듀얼 카메라 모듈과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리시버(3000)는 본체의 일면과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시버(3000)는 듀얼 카메라 모듈 중 제1카메라 모듈(100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시버(3000)는 제1카메라 모듈(1000)의 제2측판(142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시버(3000)는 제2측판(142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시버(3000)는, 광학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폰) 내에서 전자신호를 수신하거나 수신한 전자신호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듀얼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도 1에서는, 제1카메라 모듈(1000)이 우측에 제2카메라 모듈(2000)이 좌측에 배치되었지만, 이하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제1카메라 모듈(1000)이 좌측에 제2카메라 모듈(2000)이 우측에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음)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재와 차폐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의 가동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의 고정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의 제1AF 지지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AF 가동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OIS 가동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고정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의 제2AF 지지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제1변형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제2변형례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제3변형례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카메라 모듈(1000) 및 제2카메라 모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1000)은 AF 구동용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이때, 제1카메라 모듈(1000)은 "AF 카메라 모듈"이라 칭할 수 있다. 또는, 제1카메라 모듈(1000)이 OIS 구동용 카메라 모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카메라 모듈(1000)은 제1렌즈 구동 장치, 제1렌즈 모듈(미도시), 제1적외선 필터(미도시), 제1인쇄회로기판(1001), 제1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제1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카메라 모듈(1000)에서 제1렌즈 구동 장치, 제1렌즈 모듈, 제1적외선 필터, 제1인쇄회로기판(1001), 제1이미지 센서 및 제1제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은 렌즈 및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은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렌즈 모듈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제1렌즈 모듈은 제1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되어 제1렌즈 구동 장치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은 제1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은 제1렌즈 구동 장치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은 제1렌즈 구동 장치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제1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제1적외선 필터는 제1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적외선 필터는 제1렌즈 모듈과 제1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적외선 필터는 제1베이스(15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홀더 부재(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1적외선 필터는 제1베이스(15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5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1적외선 필터는,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적외선 필터는,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적외선 필터는 적외선 차단 필터 또는 적외선 흡수 필터일 수 있다.
제1인쇄회로기판(1001)은 제1렌즈 구동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인쇄회로기판(1001)에는 제1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인쇄회로기판(1001)의 상면 내측에는 제1이미지 센서가 위치하고, 제1인쇄회로기판(1001)의 상면 외측에는 제1센서홀더(100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센서홀더(1002)의 상측에는 제1렌즈 구동 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센서홀더(1002)는, 제1베이스(1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인쇄회로기판(1001)의 상면 외측에 제1렌즈 구동 장치가 위치하고, 제1인쇄회로기판(1001)의 상면 내측에 제1이미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수용된 제1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제1인쇄회로기판(1001)에 실장되는 제1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제1인쇄회로기판(1001) 및 후술하는 제2인쇄회로기판(2001)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인쇄회로기판(1001)은 제1렌즈 구동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1인쇄회로기판(1001)에는 제1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이미지 센서는 제1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1이미지 센서는 제1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이미지 센서는 제1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제1이미지 센서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제1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제어부는 제1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1제어부는 제1렌즈 구동 장치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1제어부는 제1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제어부는 제1렌즈 구동 장치를 이루는 구성 각각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는 제1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제1카메라 모듈(1000)의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는 제1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제1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tilt) 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의 피드백(Feedback)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제어부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제1보빈(1210)의 위치를 수신하여 제1코일(1220)에 인가하는 전원 또는 전류를 제어하여, 보다 정밀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1000)은 제1커버부재(1100), 가동자(1200), 고정자(1300), 제1 내지 제4차폐부재(1410,1420,1430,1440) 및 제1AF 지지부재(1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카메라 모듈(1000)에서 제1커버부재(1100), 가동자(1200), 고정자(1300), 제1 내지 제4차폐부재(1410,1420,1430,1440) 및 제1AF 지지부재(1600) 중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제3 및 제4차폐부재(1430,1440)는 제1변형례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3 참조) 또한, 제1,3,4차폐부재(1410,1430,1440)은 제2변형례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4 참조) 또한, 제2 내지 제4차폐부재(1420,1430,1440)는 제3변형례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5 참조)
제1커버부재(1100)는 제1하우징(1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커버부재(1100)가 생략되고 제1하우징(1310)이 제1커버부재(110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제1커버부재(1100)는 제1하우징(1310)일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는 제1렌즈 구동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커버부재(11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AF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조건에 따라 제1보빈(1210)에 센싱마그넷(미도시)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제1커버부재(1100)가 자성체이면, 제1커버부재(1100)와 센싱마그넷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보빈(1210)의 구동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커버부재(11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커버부재(1100)는,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커버부재(1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의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제1커버부재(11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는, 제1렌즈 구동 장치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제1커버부재(1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부재(1100)는, 제1커버부재(1100) 내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제1커버부재(1100) 외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제1커버부재(110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커버부재(1100)는,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 및 상판(11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는, 상판(1105)과, 상판(1105)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의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의 하단은, 제1베이스(15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000)의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의 하단은, 제1베이스(1500)의 단차부(15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는, 내측면이 제1베이스(1500)의 측면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하여 제1베이스(15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와 제1베이스(15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가동자(1200), 고정자(1300) 및 제1AF 지지부재(16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커버부재(1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커버부재(1100)의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의 하단이 제1베이스(15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제1측판(1101)은, 제2커버부재(210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측판(1101)은, 제2커버부재(2100)의 제5측판(2105)과 대향할 수 있다. 제1측판(1101)은, 제2커버부재(2100)의 제5측판(2105)과 평행할 수 있다. 제1측판(1101)은, 제3 및 제4측판(1103,1104)과 수직할 수 있다. 제1측판(1101)에는, 제1차폐부재(141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측판(1101)에는, 제1차폐부재(1410)가 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측판(1101)의 외측면은, 제1차폐부재(141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마그넷유닛(1320)에서 제1측판(1101)측으로 연장된 자기력선을 따르는 자기력이 차폐될 수 있다.
제2측판(1102)은, 제1측판(110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1102)은, 제1측판(1101)과 평행할 수 있다. 제2측판(1102)은, 제3 및 제4측판(1103,1104)과 수직할 수 있다. 제2측판(1102)에는, 제2차폐부재(14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측판(1102)에는, 제2차폐부재(1420)가 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측판(1102)의 외측면은, 제2차폐부재(142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마그넷유닛(1320)에서 제2측판(1101)측으로 연장된 자기력선을 따르는 자기력이 차폐될 수 있다. 다만, 본 제3변형례에서는, 제2차폐부재(1420)가 생략될 수 있다.(도 15 참조)
제3측판(1103)은, 제1측판(1101)과 제2측판(1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측판(1103)은, 제4측판(1104)과 평행할 수 있다. 제3측판(1103)은, 제1 및 제2측판(1101,1102)과 수직할 수 있다. 제3측판(1103)에는, 제3차폐부재(14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3측판(1103)에는, 제3차폐부재(1430)가 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측판(1103)의 외측면은, 제3차폐부재(143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마그넷유닛(1320)에서 제3측판(1103)측으로 연장된 자기력선을 따르는 자기력이 차폐될 수 있다. 다만 본 제1, 2, 3변형례에서는, 제3차폐부재(1430)가 생략될 수 있다.(도 13, 14, 15 참조)
제4측판(1104)은, 제1측판(1101)과 제2측판(1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측판(1104)은, 제3측판(1103)과 평행할 수 있다. 제4측판(1104)은, 제1 및 제2측판(1101,1102)과 수직할 수 있다. 제4측판(1104)에는, 제4차폐부재(1440)가 위치할 수 있다. 제4측판(1104)에는, 제4차폐부재(1440)가 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측판(1104)의 외측면은, 제4차폐부재(144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마그넷유닛(1320)에서 제4측판(1104)측으로 연장된 자기력선을 따르는 자기력이 차폐될 수 있다. 다만 본 제1, 2, 3변형례에서는, 제4차폐부재(1440)가 생략될 수 있다.(도 13, 14, 15 참조)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의 양 끝단 중 서로 이웃하는 양 끝단은 서로 접하여 폐쇄된 일체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100)는 개구부(1110) 및 연장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커버부재(1100)에서 개구부(1110) 및 연장부(1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1110)는 상판(1105)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10)는 제1렌즈 모듈을 노출시킬 수 있다. 개구부(1110)는, 제1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110)의 크기는, 제1렌즈 모듈이 개구부(1110)를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제1렌즈 모듈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구부(1110)를 통해 유입된 광은, 제1렌즈 모듈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제1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제1이미지 센서에서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연장부(1120)는 상판(1105)의 내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120)는 "이너 요크"로 호칭될 수 있다. 연장부(1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보빈(1210)에 형성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보빈(1210)에 제1렌즈 모듈을 나사 결합하는 공정에서 제1보빈(1210)이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의 경우에도, 연장부(1120)는 제1보빈(1210)이 제1커버부재(1100)에 대하여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자(1200)는 제1렌즈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가동자(1200)는, 제1렌즈 모듈을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가동자(1200)의 내주면에 제1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가동자(1200)는, 고정자(13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1렌즈 모듈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자(1200)는 제1보빈(1210) 및 제1코일(1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동자(1200)에서 제1보빈(1210) 및 제1코일(1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1보빈(1210)은 제1하우징(13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보빈(1210)은 제1하우징(1310)의 관통홀(1311)에 수용될 수 있다. 제1보빈(1210)은 제1렌즈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보빈(1210)의 내주면에는 제1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보빈(1210)에는 제1코일(12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보빈(1210)의 하부는 제1하측 지지부재(16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보빈(1210)의 상부는 제1상측 지지부재(16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보빈(1210)은, 제1하우징(131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보빈(1210)은 관통홀(1211) 및 코일 수용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보빈(1210)에서 관통홀(1211) 및 코일 수용부(121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관통홀(1211)은 제1보빈(1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11)은 상하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11)에는 제1렌즈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1211)의 내주면에는 제1렌즈 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1211)은 제1렌즈 모듈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과 제1보빈(121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자외선(UV)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일 수 있다. 즉, 제1렌즈 모듈과 제1보빈(1210)은 자외선 경화 에폭시 및/또는 열 경화 에폭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코일 수용부(1212)는 제1코일(12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코일 수용부(1212)는, 제1보빈(1210)의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수용부(1212)는, 제1보빈(12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코일 수용부(1212)는 제1보빈(1210)의 외측면 중 일부가 제1코일(122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코일(1220)은 코일 수용부(1212)에 직권선될 수 있다. 변형례로서, 코일 수용부(1212)는 상측 또는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코일(1220)은 미리 권선된 상태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코일 수용부(121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1코일(1220)은 제1보빈(12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코일(1220)은 제1보빈(12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1220)은 제1보빈(1210)의 외주면에 직권선될 수 있다. 제1코일(1220)은 제1마그넷 유닛(13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코일(1220)은 제1마그넷 유닛(1320)과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코일(1220)에 전류가 공급되어 제1코일(1220)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제1코일(1220)과 제1마그넷 유닛(1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코일(1220)이 제1마그넷 유닛(132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코일(1220)은 AF 구동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코일(1220)은 "AF 코일"로 호칭될 수 있다.
제1코일(1220)은 전원 공급을 위한 한 쌍의 인출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1220)의 한 쌍의 인출선은 제1하측 지지부재(1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코일(1220)의 한 쌍의 인출선 각각은 제1 및 제2지지유닛(1620a, 162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자부(1624)를 통해 제1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하측 지지부재(1620)를 통해 제1코일(122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고정자(1300)는 가동자(120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고정자(1300)는 고정된 부재로서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가동자(1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자(1300)는 제1하우징(1310) 및 제1마그넷 유닛(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고정자(1300)에서 제1하우징(1310) 및 제1마그넷 유닛(1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제1보빈(12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제1보빈(1210)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커버부재(1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하우징(1310)의 외측면은, 제1커버부재(1100)의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일례로서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1하우징(1310)의 형상은, 제1커버부재(1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제1베이스(15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1하우징(1310)이 생략되고 제1마그넷 유닛(1320)이 제1커버부재(1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의 상부에는 제1상측 지지부재(16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의 하부에는 제1하측 지지부재(16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제1 내지 제4측면(1301, 1302, 1303, 13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측면(1301, 1302, 1303, 13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제1마그넷(1321)이 배치되는 제1측면(1301)과, 제2마그넷(1322)이 배치되는 제3측면(13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310)은 관통홀(1311), 마그넷 수용부(13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하우징(1310)에서 관통홀(1311), 마그넷 수용부(131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관통홀(1311)은 제1하우징(13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1)은 제1하우징(1310)에 상하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1)에는 제1보빈(1210)이 수용될 수 있다. 관통홀(1311)에는 제1보빈(1210)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311)은 제1보빈(12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1312)는 제1하우징(13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1312)는 제1하우징(1310)을 관통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마그넷 수용부(1312)는 제1하우징(131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1312)는 제1마그넷 유닛(13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1312)와 제1마그넷 유닛(1320) 사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마그넷 수용부(1312)와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1312)는 제1하우징(1310)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1312)는 제1하우징(1310)의 내면의 일부가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마그넷 유닛(1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코일(1220)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제1하우징(13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제1하우징(1310)의 마그넷 수용부(1312)에 수용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제1코일(12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제1코일(1220)과 대향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제1코일(1220)이 고정된 제1보빈(1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AF 구동을 위해 제1코일(12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마그넷 유닛(1320)은 "AF 마그넷"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상호간 이격되는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상호간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제1하우징(1310)의 측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1321) 및 제2마그넷(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은, 제3측면(1303)에 위치하는 제1마그넷(1321)과, 상기 제4측면(1304)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은 제1카메라 모듈(1000)의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은 제1카메라 모듈(1000)의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은 제1카메라 모듈(1000)의 광축을 중심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은 상호간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은 동일한 극성이 내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은 N극이 내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은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마그넷(1321, 1322)은 "평판 마그넷"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차폐부재(1410,1420,1430,1440)는, 자기력을 차단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차폐부재(1410,1420,1430,1440)는 금속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차폐부재(1410,1420,1430,1440)는 각각 제1커버부재(1100)의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의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차폐부재(1410,1420,1430,1440)는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평판(flat plate)의 내측면이 제1커버부재(1100)의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의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차폐부재(1410,1420,1430,1440)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차폐부재의 끝단이 연결되어 일체의 차폐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4 차폐부재(1410,1420,1430,1440)는 제1 내지 제4측판(1101,1102,1103,1104)의 외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제3 및 제4차폐부재(1430,1440)는 제1변형례에서 생략될 수 있다.(도 13 참조) 또, 제 1, 제3 및 제4차폐부재(1410,1430,1440)는 제2변형례에서 생략될 수 있다. 또, 제2 내지 제4차폐부재(1420,1430,1440)는 제3변형례에서 생략될 수 있다.(도 15 참조)
제1차폐부재(1410)는 제1측판(110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차폐부재(1410)는 제2커버부재(2100)의 제5측판(2101)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차폐부재(1410)는 제5측판(2101)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차폐부재(1410)는 제2차폐부재(142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차폐부재(1410)는, 제3 및 4차폐부재(1430,1440)와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차폐부재(1410)는 평판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차폐부재(1410)의 내측면은 제1측판(1101)의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제1차폐부재(1410)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1측판(1101)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 제1차폐부재(1410)의 폭방향 길이는, 제1측판(1101)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 결과, 제1차폐부재(1410)는, 제1측판(1101)을 모두 커버하여 제1측판(110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자기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에서 제1측판(1101) 측으로 연장된 자기력선을 따르는 자기력은, 제2하우징(2310)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 유닛(2320)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마그넷 유닛(1320)의 자기력에 의해 제2마그넷 유닛(2320)의 자계는 간섭을 받게 된다. 그러나 제1차폐부재(1410)에 의하여 제1마그넷 유닛(1320)이 제2마그넷 유닛(2320)에 미치는 자기력은 차단된다. 즉, 제1마그넷 유닛(1320)의 자기력이 제2마그넷 유닛(2320)의 자계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제2하우징(2310)이 제1렌즈 구동 장치 측이나 그 반대측으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 제2하우징(2310)은 제1마그넷 유닛(1320)의 자기력에 영향 받지 않고, 기설정된 설계조건에 따라 구동한다.
제2차폐부재(1420)는 제2측판(110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차폐부재(1420)는 제1차폐부재(141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차폐부재(1420)는 제1차폐부재(141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차폐부재(1420)는, 제3 및 4차폐부재(1430,1440)와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차폐부재(1420)는 평판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차폐부재(1420)의 내측면은 제2측판(1102)의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제2차폐부재(1420)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2측판(1102)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 제2차폐부재(1420)의 폭방향 길이는, 제2측판(1102)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 결과, 제2차폐부재(1420)는, 제2측판(1102)을 모두 커버하여 제2측판(110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자기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1마그넷 유닛(1320)에서 제2측판(1102) 측으로 연장된 자기력선을 따르는 자기력은, 상술한 광학기기의 구성요소 중 리시버(3000)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마그넷 유닛(1320)의 자기력에 의해, 리시버(3000)는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제2차폐부재(1420)에 의하여 제1마그넷 유닛(1320)이 리시버(3000)에 미치는 자기력이 차단된다. 즉, 제1마그넷 유닛(1320)의 자기력이 리시버에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 결과, 리시버(3000)는, 전자 방해 잡음이 없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설계조건에 따라 전자신호를 수신하거나 수신한 전자신호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 제1카메라 모듈(1000)은, 리시버(3000)로 수신되는 전자신호의 방해 없이 기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라 구동한다.
제3차폐부재(1430)는 제3측판(1103)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차폐부재(1430)는 제4차폐부재(144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차폐부재(1430)는 제4차폐부재(144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차폐부재(1430)는, 제1 및 2차폐부재(1410,1420)와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차폐부재(1430)는 평판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3차폐부재(1430)의 내측면은 제3측판(1103)의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제3차폐부재(1430)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3측판(1103)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 제3차폐부재(1430)의 폭방향 길이는, 제3측판(1103)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 결과, 제3차폐부재(1430)는, 제3측판(1103)을 모두 커버하여 제3측판(110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자기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4차폐부재(1440)는 제4측판(1104)에 위치할 수 있다. 제4차폐부재(1440)는 제3차폐부재(143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4차폐부재(1440)는 제3차폐부재(143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4차폐부재(1440)는, 제1 및 2차폐부재(1410,1420)와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4차폐부재(1440)는 평판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4차폐부재(1440)의 내측면은 제4측판(1104)의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제4차폐부재(1440)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4측판(1104)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 제4차폐부재(1440)의 폭방향 길이는, 제4측판(1104)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 결과, 제4차폐부재(1440)는, 제4측판(1104)을 모두 커버하여 제4측판(110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자기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3 및 제4차폐부재(1430,1440)는, 제1마그넷 유닛(1320)에서 제3 및 제4측판(1103,1104) 측으로 연장된 자기력선을 따르는 자기력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카메라 모듈(1000)이 제1 내지 제4차폐부재(1410,1420,1430,1440)를 모두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차폐부재(1410,1420,1430,1440)에서 이웃하는 끝단이 연결되어 일체의 차폐부재로 형성된 경우, 제1 내지 제4측판(1410,1420,1430,1440)을 모두 커버하여 이를 통해 방출되는 자기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카메라 모듈(2000) 및 리시버(3000)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력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광학기기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는 기타 주변기기(미도시)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력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본 제1변형례에 의하면, 제3 및 제4차폐부재(1430,1440)는 생략될 수 있다.(도 13 참조) 또, 본 제2변형례에 의하면, 제1, 제3 및 제4차폐부재(1410,1430,1440)가 생략될 수 있다.(도 14 참조) 또, 본 제3변형례에 의하면, 제2 내지 제4차폐부재(1420,1430,1440)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5 참조) 본 변형례 1, 2의 광학기기의 설계조건상 제1마그넷 유닛(1320)의 자성이, 제2카메라 모듈(2000)의 제2마그넷 유닛(2320)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고, 제2마그넷 유닛(2320) 및 리시버(3000)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재료비 절감 및 최적 설계를 위해, 제2 내지 4차폐부재(1420,1430,144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제1베이스(1500)는 제1하우징(13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베이스(1500)는 제1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베이스(1500)에는 제1적외선 필터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베이스(1500)는 개구부(1510), 지지부(1520), 단자 수용홈(1530) 및 단차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베이스(1500)에서 개구부(1510), 지지부(1520), 단자 수용홈(1530) 및 단차부(154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1510)는 제1베이스(150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510)는 제1베이스(1500)를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510)는 제1렌즈 모듈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개구부(1510)는 제1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지지부(1520)는 제1베이스(150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20)는 4개의 코너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20)는 제1하우징(1310)에 형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지지부(1520)는 제1하우징(1310)을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단자 수용홈(1530)은 제1베이스(15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홈(1530)은 제1베이스(1500)의 외측 측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홈(1530)은 제1하측 지지부재(1620)의 단자부(162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단자 수용홈(1530)은 단자부(1624)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540)는 제1베이스(1500)의 외면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540)는 제1베이스(150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540)는 제1커버부재(1100)의 측판(1102)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1AF 지지부재(1600)는 제1보빈(1210) 및 제1하우징(1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AF 지지부재(1600)는 제1보빈(12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AF 지지부재(1600)는 제1보빈(1210)을 제1하우징(13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AF 지지부재(160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1AF 지지부재(1600)는 제1상측 지지부재(1610) 및 제1하측 지지부재(16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AF 지지부재(1600)에서 제1상측 지지부재(1610) 및 제1하측 지지부재(16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1상측 지지부재(1610)는 제1보빈(1210)의 상부 및 제1하우징(1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상측 지지부재(16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상측 지지부재(1610)는 외측부(1611), 내측부(1612) 및 연결부(16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상측 지지부재(1610)에서 외측부(1611), 내측부(1612) 및 연결부(161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외측부(1611)는 제1하우징(1310)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1611)는 제1하우징(13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1612)는 제1보빈(121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1612)는 제1보빈(12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613)는 외측부(1611) 및 내측부(161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613)는 외측부(1611) 및 내측부(1612)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61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1하측 지지부재(1620)는 제1보빈(1210)의 하부 및 제1하우징(1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상측 지지부재(1610)는 제1코일(1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하측 지지부재(1620)는 제1 및 제2지지유닛(1620a, 16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유닛(1620a, 1620b) 각각은 제1코일(1220)의 한 쌍의 인출선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측 지지부재(1620)는 외측부(1621), 내측부(1622), 연결부(1623) 및 단자부(16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하측 지지부재(1620)에서 외측부(1621), 내측부(1622), 연결부(1623) 및 단자부(162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외측부(1621)는 제1하우징(1310)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1621)는 제1하우징(13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1622)는 제1보빈(121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1622)는 제1보빈(12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623)는 외측부(1621) 및 내측부(162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623)는 외측부(1621) 및 내측부(16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62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단자부(1624)는 외측부(16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1624)는 외측부(162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1624)는 외측부(1621)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1624)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될 수 있다. 단자부(1624)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단자부(1624)는 제1베이스(1500)의 단자 수용홈(153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2000)은 OIS 구동용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이때, 제2카메라 모듈(2000)은 "OIS 카메라 모듈"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제2카메라 모듈(2000)은 AF 구동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카메라 모듈(2000)이 AF 구동용 카메라 모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 모듈(2000)은 제2렌즈 구동 장치, 제2렌즈 모듈(미도시), 제2적외선 필터(미도시), 제2인쇄회로기판(2001), 제2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제2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카메라 모듈(2000)에서 제2렌즈 구동 장치, 제2렌즈 모듈, 제2적외선 필터, 제2인쇄회로기판(2001), 제2이미지 센서 및 제2제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은 렌즈 및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은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렌즈 모듈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제2렌즈 모듈은 제2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되어 제2렌즈 구동 장치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은 제2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은 제2렌즈 구동 장치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은 제2렌즈 구동 장치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제2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은 제1렌즈 모듈과 광축이 얼라인먼트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적외선 필터는 제2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적외선 필터는 제2렌즈 모듈과 제2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적외선 필터는 제2베이스(25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홀더 부재(2002)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2적외선 필터는 제2베이스(25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구부(25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2적외선 필터는,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적외선 필터는,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적외선 필터는 적외선 차단 필터 또는 적외선 흡수 필터일 수 있다.
제2인쇄회로기판(2001)은 제2렌즈 구동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인쇄회로기판(2001)에는 제2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인쇄회로기판(2001)의 상면 내측에는 제2이미지 센서가 위치하고, 제2인쇄회로기판(2001)의 상면 외측에는 제2센서홀더(200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센서홀더(2002)는, 제2베이스(2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센서홀더(2002)의 상측에는 제2렌즈 구동 장치가 위치할 있다. 또는, 제2인쇄회로기판(2001)의 상면 외측에 제2렌즈 구동 장치가 위치하고, 제2인쇄회로기판(2001)의 상면 내측에 제2이미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2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수용된 제2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제2인쇄회로기판(2001)에 실장되는 제2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제2인쇄회로기판(2001)은 제2렌즈 구동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2인쇄회로기판(2001)에는 제2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2인쇄회로기판(2001)은 제1인쇄회로기판(10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미지 센서는 제2인쇄회로기판(2001)에 실장될 수 있다. 제2이미지 센서는 제2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이미지 센서는 제2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제2이미지 센서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2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제2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제어부는 제2인쇄회로기판(2001)에 실장될 수 있다. 제2제어부는 제2렌즈 구동 장치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2제어부는 제2렌즈 구동 장치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제어부는 제2렌즈 구동 장치를 이루는 구성 각각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는 제2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제2카메라 모듈(2000)의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는 제2렌즈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제2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tilt) 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2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의 피드백(Feedback)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제어부는 센서(2800) 및 추가적인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제2보빈(2210) 및/또는 제2하우징(2310)의 위치를 수신하여 제2코일(2220) 및/또는 제3코일(2422)에 인가하는 전원 또는 전류를 제어하여, 보다 정밀한 오토 포커스 기능 및/또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2000)은 제2커버부재(2100), AF 가동자(2200), OIS 가동자(2300), 고정자(2400), 제2베이스(2500), 제2AF 지지부재(2600), OIS 지지부재(2700) 및 센서(28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카메라 모듈(2000)에서 제2커버부재(2100), AF 가동자(2200), OIS 가동자(2300), 고정자(2400), 제2베이스(2500), 제2AF 지지부재(2600), OIS 지지부재(2700) 및 센서(28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제2하우징(231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제1커버부재(110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2커버부재(2100)와 제1커버부재(1100) 사이의 이격거리는 4mm 이내일 수 있다. 또는, 제2커버부재(2100)와 제1커버부재(1100) 사이의 이격거리는 3mm 이내일 수 있다. 또는, 제2커버부재(2100)와 제1커버부재(1100) 사이의 이격거리는 2mm 이내일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와 제1커버부재(1100) 사이의 이격거리는 1mm 일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제2렌즈 구동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커버부재(21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만약, 제2커버부재(2100)가 자성체로 구비되는 경우, 제2마그넷 유닛(2320)에 제2커버부재(2100)의 자기력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커버부재(2100)는,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커버부재(2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의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제2커버부재(21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제2렌즈 구동 장치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제2커버부재(2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부재(2100)는, 제2커버부재(2100) 내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제2커버부재(2100) 외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제2커버부재(210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커버부재(2100)는 제5 내지 제8측판(2101,2102,2103,2104) 및 상판(21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상판(21059)과 상판(21059)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5 내지 제8측판(2101,2102,2103,2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의 제5 내지 제8측판(2101,2102,2103,2104)의 하단은, 제2베이스(25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내측면이 제2베이스(2500)의 측면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하여 제2베이스(25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와 제2베이스(25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AF 가동자(2200), OIS 가동자(2300), 고정자(2400), 제2AF 지지부재(2600) 및 OIS 지지부재(27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2커버부재(2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커버부재(2100)의 제5 내지 제8측판(2101,2102,2103,2104)의 하단이 제2베이스(25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인쇄회로기판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제5측판(2101)은, 제1커버부재(1100)와 대향할 수 있다. 제5측판(2101)은, 제1커버부재(1100)의 제1측판(1101)과 대향할 수 있다. 제5측판(2101)은, 제6측판(2102)과 평행할 수 있다. 제5측판(1101)은, 제7 및 제8측판(1103,1104)과 수직할 수 있다. 제6측판(2102)은, 제5측판(210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7측판(2103)과 제8측판(2104)은, 제5측판(2101)과 제6측판(2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7측판(2103)과 제8측판(2104)은 서로 대향하고, 평행할 수 있다. 제5 내지 제8측판(2101,2102,2103,2104)에서 이웃하는 양 끝단은 서로 접하여 폐쇄된 일체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5측판(2101)은 제1측판(1101)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5측판(2101)과 제1측판(1101) 사이의 이격거리는 4mm 이내일 수 있다. 또는, 제5측판(2101)과 제1측판(1101) 사이의 이격거리는 3mm 이내일 수 있다. 또는, 제5측판(2101)과 제1측판(1101) 사이의 이격거리는 2mm 이내일 수 있다. 또는, 제5측판(2101)과 제1측판(1101) 사이의 이격거리는 1mm 일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의 제5측판(2101)의 길이방향의 길이(도 13의 L2 참조)는, 제1커버부재(1100)의 제1측판(1101)의 길이방향의 길이(도 13의 L1 참조)의 1.5배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커버부재(2100)는 개구부(2110) 및 마킹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커버부재(2100)에서 개구부(2110) 및 마킹부(2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2110)는 상판(2105)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10)는 제2렌즈 모듈을 노출시킬 수 있다. 개구부(2110)는, 제2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2110)의 크기는, 제2렌즈 모듈이 개구부(2110)를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제2렌즈 모듈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구부(2110)를 통해 유입된 광은, 제2렌즈 모듈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제2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제2이미지 센서에서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마킹부(2120)는 제2커버부재(2100)의 상판(2105)에 형성될 수 있다. 마킹부(2120)는 작업자가 제2커버부재(2100)의 방향성을 일견하여 알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OIS 렌즈 구동 장치의 경우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시 방향성이 중요하므로 작업자가 쉽게 OIS 렌즈 구동 장치의 방향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마킹부(2120)가 형성될 수 있다. 마킹부(2120)는 상판(2105)의 일측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
AF 가동자(2200)는 제2렌즈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AF 가동자(2200)는, 제2렌즈 모듈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AF 가동자(2200)의 내주면에 제2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AF 가동자(2200)는, OIS 가동자(2300) 및/또는 고정자(24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2렌즈 모듈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AF 가동자(2200)는 제2보빈(2210) 및 제2코일(2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AF 가동자(2200)에서 제2보빈(2210) 및 제2코일(2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2보빈(2210)은 제2하우징(23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보빈(2210)은 제2하우징(2310)의 관통홀(2311)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보빈(2210)은 제2렌즈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보빈(2210)의 내주면에는 제2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제2보빈(2210)에는 제2코일(22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보빈(2210)의 하부는 제2하측 지지부재(26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보빈(2210)의 상부는 제2상측 지지부재(26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보빈(2210)은, 제2하우징(231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보빈(2210)은 관통홀(2211) 및 코일 수용부(2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보빈(2210)에서 관통홀(2211) 및 코일 수용부(221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관통홀(2211)은 제2보빈(2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211)은 상하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211)에는 제2렌즈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2211)의 내주면에는 제2렌즈 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2211)은 제2렌즈 모듈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과 제2보빈(221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자외선(UV)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일 수 있다. 즉, 제2렌즈 모듈과 제2보빈(2210)은 자외선 경화 에폭시 및/또는 열 경화 에폭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코일 수용부(2212)는 제2코일(22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코일 수용부(2212)는, 제2보빈(2210)의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수용부(2212)는, 제2보빈(22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코일 수용부(2212)는 제2보빈(2210)의 외측면 중 일부가 제2코일(222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코일(2220)은 코일 수용부(2212)에 직권선될 수 있다. 변형례로서, 코일 수용부(2212)는 상측 또는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코일(2220)은 미리 권선된 상태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코일 수용부(221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2코일(2220)은 제2보빈(22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코일(2220)은 제2보빈(22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2220)은 제2보빈(2210)의 외주면에 직권선될 수 있다. 제2코일(2220)은 제2마그넷 유닛(23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코일(2220)은 제2마그넷 유닛(2320)과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코일(2220)에 전류가 공급되어 제2코일(2220)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제2코일(2220)과 제2마그넷 유닛(2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2코일(2220)이 제2마그넷 유닛(232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코일(2220)은 AF 구동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코일(2220)은 "AF 코일"로 호칭될 수 있다.
제2코일(2220)은 전원 공급을 위한 한 쌍의 인출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2220)의 한 쌍의 인출선은 제2상측 지지부재(2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코일(2220)의 한 쌍의 인출선 각각은 제3 및 제4지지유닛(2610a, 261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2410), 기판부(2421) 및 OIS 지지부재(2700)를 통해 제2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상측 지지부재(2610)를 통해 제2코일(222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OIS 가동자(230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OIS 가동자(2300)는, AF 가동자(2200)의 외측에 AF 가동자(2200)와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OIS 가동자(2300)는 AF 가동자(2200)를 이동시키거나 AF 가동자(2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OIS 가동자(2300)는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자(2400) 및/또는 제2베이스(250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OIS 가동자(2300)는 제2커버부재(21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OIS 가동자(2300)는 제2하우징(2310) 및 제2마그넷 유닛(2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OIS 가동자(2300)에서 제2하우징(2310) 및 제2마그넷 유닛(2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제1카메라 모듈(1000)의 제1하우징(1310)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제2보빈(22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제2보빈(2210)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커버부재(2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하우징(2310)의 외측면은, 제2커버부재(2100)의 제5 내지 제8측판(2101,2102,2103,2104)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일례로서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2하우징(2310)의 형상은, 제2커버부재(2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OIS 구동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으로써 제2커버부재(2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의 상부에는 제2상측 지지부재(26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의 하부에는 제2하측 지지부재(26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제5 내지 제8측면(2301, 2302, 2303, 23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5 내지 제8측면(2301, 2302, 2303, 23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8측면(2304)은 제2측면(130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하우징(2310)은 관통홀(2311) 및 마그넷 수용부(23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하우징(2310)에서 관통홀(2311) 및 마그넷 수용부(231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관통홀(2311)은 제2하우징(23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311)은 제2하우징(2310)에 상하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311)에는 제2보빈(2210)이 수용될 수 있다. 관통홀(2311)에는 제2보빈(2210)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311)은 제2보빈(22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2312)는 제2하우징(23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2312)는 제2마그넷 유닛(23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2312)와 제2마그넷 유닛(2320) 사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마그넷 수용부(2312)와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2312)는 제2하우징(2310)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 수용부(2312)는 제2하우징(2310)의 내면의 일부가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마그넷 유닛(2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코일(2220)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마그넷 수용부(2312)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마그넷 유닛(23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코일(2422)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제2하우징(23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제2하우징(2310)의 마그넷 수용부(2312)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제2코일(22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제2코일(2220)과 대향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제2코일(2220)이 고정된 제2보빈(2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AF 구동을 위해 제2코일(22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마그넷 유닛(2320)은 "AF 마그넷"으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제2마그넷 유닛(2320)은 OIS 구동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마그넷 유닛(2320)은 "OIS 마그넷"으로 호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마그넷 유닛(2320)은 "AF/OIS 마그넷"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제3 및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상호간 이격되는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상호간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제2하우징(2310)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넷 유닛(2320)은, 제5 및 제6측면(2301, 2302) 사이에 위치하는 제3마그넷(2321)과, 제6 및 제7측면(2302, 2303) 사이에 위치하는 제4마그넷(2322)과, 제7 및 제8측면(2303, 2304) 사이에 위치하는 제5마그넷(2323)과, 제8 및 제5측면(2304, 2301) 사이에 위치하는 제6마그넷(2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은 제2하우징(2310)의 코너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은 제2카메라 모듈(2000)의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은 동일한 극성이 내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은 N극이 내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은 내측면이 외측면 보다 큰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 내지 제6마그넷(2321, 2322, 2323, 2324)은 "코너 마그넷"이라 칭할 수 있다.
고정자(2400)는 AF 가동자(22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자(2400)는 OIS 가동자(23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자(2400)는 OIS 가동자(2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OIS 가동자(2300)와 함께 AF 가동자(2200)도 이동할 수 있다. 즉, 고정자(2400)는 AF 가동자(2200) 및 OIS 가동자(2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자(2400)는 기판(2410) 및 제3코일부(2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고정자(2400)에서 기판(2410) 및 제3코일부(24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기판(2410)은 연성의 인쇄회로기판인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2410)은 제2베이스(25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2410)은 제2베이스(2500) 및 제3코일부(24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2410)은 제3코일(24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2410)은 제2코일(2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2410)은 OIS 지지부재(2700) 및 제2상측 지지부재(2610)를 통해 제2코일(2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2410)은 관통홀(2411) 및 단자부(24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판(2410)에서 관통홀(2411) 및 단자부(241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관통홀(2411)은 기판(241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411)은 기판(2410)을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411)은 제2렌즈 모듈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관통홀(2411)은 제2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단자부(2412)는 기판(2410)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2412)는 기판(2410)의 일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2412)는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단자부(2412)의 하단은 제2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될 수 있다. 단자부(2412)는 제2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soldering)될 수 있다. 단자부(2412)를 통해 기판(2410)은 제2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코일부(2420)는 기판(24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코일부(2420)는 제2베이스(25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코일부(2420)는 제2마그넷 유닛(2320)과 대향할 수 있다. 제3코일부(2420)는 제2마그넷 유닛(23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3코일부(2420)는 제2마그넷 유닛(2320)을 OIS 구동을 위해 이동시킬 수 있다.
제3코일부(2420)는 기판부(2421) 및 제3코일(24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3코일부(2420)에서 기판부(2421) 및 제3코일(242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기판부(2421)는 연성의 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기판부(2421)에는 제3코일(2422)이 미세 패턴 코일(FPC)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부(2421)는 기판(24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부(2421)는 기판(2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부(2421)는 제3코일(24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코일(2422)은 기판부(2421)에 미세 패턴 코일(FPC, fine pattern coil)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코일(2422)은 베이스(25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코일(2422)은 제2마그넷 유닛(23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3코일(2422)은 제2마그넷 유닛(2320)과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코일(2422)에 전류가 공급되어 제3코일(2422)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제3코일(2422)과 제2마그넷 유닛(2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2마그넷 유닛(2320)이 제3코일(242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3코일(2422)은 OIS 구동을 위해 제2마그넷 유닛(23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3코일(2422)은 "OIS 코일"로 호칭될 수 있다.
제2베이스(2500)는 제2하우징(23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베이스(2500)는 제2하우징(23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베이스(2500)는 제2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베이스(2500)에는 제2적외선 필터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베이스(2500)는 개구부(2510), 단자 수용부(2520) 및 센서 수용부(2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베이스(2500)에서 개구부(2510), 단자 수용부(2520) 및 센서 수용부(2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2510)는 제2베이스(250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10)는 제2베이스(2500)를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10)는 제2렌즈 모듈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개구부(2510)는 제2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단자 수용부(2520)는 제2베이스(25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2520)는 제2베이스(2500)의 외측 측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2520)는 기판(2410)의 단자부(241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단자 수용부(2520)는 단자부(2412)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530)는 제2베이스(25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530)는 제2베이스(2500)의 상면의 일부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530)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530)는 센서(28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530)는 센서(28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530)는 센서(2800)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530)는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AF 지지부재(2600)는 제2보빈(2210) 및 제2하우징(2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AF 지지부재(2600)는 제2보빈(22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AF 지지부재(2600)는 제2보빈(2210)을 제2하우징(23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AF 지지부재(260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2AF 지지부재(2600)는 제2상측 지지부재(2610) 및 제2하측 지지부재(26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AF 지지부재(2600)에서 제2상측 지지부재(2610) 및 제2하측 지지부재(26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2상측 지지부재(2610)는 제2보빈(2210)의 상부 및 제2하우징(2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상측 지지부재(2610)는 제2코일(2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상측 지지부재(2610)는 제3 및 제4지지유닛(2610a, 2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지지유닛(2610a, 2610b) 각각은 제2코일(2220)의 한 쌍의 인출선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상측 지지부재(2610)는 외측부(2611), 내측부(2612), 연결부(2613) 및 결합부(26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상측 지지부재(2610)에서 외측부(2611), 내측부(2612), 연결부(2613) 및 결합부(261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외측부(2611)는 제2하우징(2310)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2611)는 제2하우징(23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2612)는 제2보빈(221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2612)는 제2보빈(22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613)는 외측부(2611) 및 내측부(261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613)는 외측부(2611) 및 내측부(2612)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61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2614)는 외측부(26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2614)는 외측부(26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2614)는 제2하우징(2310)의 4개의 코너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2614)는 OIS 지지부재(27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측 지지부재(2620)는 제2보빈(2210)의 하부 및 제2하우징(2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측 지지부재(26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측 지지부재(2620)는 외측부(2621), 내측부(2622) 및 연결부(26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하측 지지부재(2620)에서 외측부(2621), 내측부(2622) 및 연결부(26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외측부(2621)는 제2하우징(2310)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2621)는 제2하우징(23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2622)는 제2보빈(221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2622)는 제2보빈(22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623)는 외측부(2621) 및 내측부(262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623)는 외측부(2621) 및 내측부(26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62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OIS 지지부재(2700)는 제2하우징(23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OIS 지지부재(2700)는 OIS 가동자(2300)를 고정자(240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OIS 지지부재(2700)의 하단부는 제3코일부(2420)와 결합될 수 있다. OIS 지지부재(2700)의 상단부는 제2상측 지지부재(2610)와 결합될 수 있다. OIS 지지부재(2700)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OIS 지지부재(2700)는 복수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OIS 지지부재(2700)는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OIS 지지부재(2700)는 통전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코일부(2420) 및 제2상측지지부재(2610)는 OIS 지지부재(2700)에 의해 통전될 수 있다. OIS 지지부재(2700)는 제2하우징(2310)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 배치될 수 있도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2800)는 손떨림 보정 피드백(Feedback)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센서(2800)는 홀센서(Hall IC)일 수 있다. 센서(2800)는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2800)는 제2하우징(23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2800)는 제2하우징(2310)에 고정된 제2마그넷 유닛(2320)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2800)는 기판(2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2800)는 제2베이스(2500)의 센서 수용부(2530)에 수용될 수 있다. 센서(2800)는 2개로 구비되어 광축에 대하여 상호간 90도 각도로 배치되어 제2하우징(2310)의 움직임을 x축, y축 성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제1카메라 모듈 2000: 제2카메라 모듈

Claims (20)

  1.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커버부재 내에 배치되는 제1보빈과, 상기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제1카메라 모듈; 및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 내에 배치되는 제2보빈과, 상기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제2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는 상기 제2커버부재와 대향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판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1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과,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4측판과 상기 제1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2커버부재의 4개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3 내지 제6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2측판의 외측에는 금속의 제2차폐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1측판에는 금속의 제1차폐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판의 외측에는 금속의 제3차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4측판의 외측에는 금속의 제4차폐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부재와 상기 제3차폐부재는 연결되고,
    상기 제2차폐부재와 상기 제4차폐부재는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부재는 자성체인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제2측판과 접촉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차폐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제3측판과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제4차폐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제4측판과 접촉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은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은 평판 형상을 갖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내지 제6마그넷은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상기 제3 내지 제6마그넷은 내측면이 외측면보다 큰 기둥 형상을 갖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은 상기 제1하우징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내지 제6마그넷은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보빈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커버부재와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 유닛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하는 제3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넷 유닛과 상기 제3코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제2보빈은 광축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틸트(tilt)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재는 상기 제1커버부재와 대향하는 제5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5측판 사이의 이격거리는 4mm 이내인 카메라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는 비자성체인 카메라 모듈.
  16.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1커버부재 내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제1카메라 모듈; 및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 내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제2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는 상기 제2커버부재와 대향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판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3측판에서 상기 제4측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제1마그넷과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넷 유닛은 상기 제2커버부재의 4개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3 내지 제6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2측판의 외측에는 금속의 제2차폐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1측판에는 금속의 제1차폐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판의 외측에는 금속의 제3차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커버부재의 상기 제4측판의 외측에는 금속의 제4차폐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부재와 상기 제3차폐부재는 연결되고,
    상기 제2차폐부재와 상기 제4차폐부재는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20.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0160090565A 2016-07-13 2016-07-18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9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565A KR102592140B1 (ko) 2016-07-18 2016-07-18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6/317,764 US10694092B2 (en) 2016-07-13 2017-07-07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PCT/KR2017/007314 WO2018012813A1 (ko) 2016-07-13 2017-07-07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EP21191824.8A EP3978997A1 (en) 2016-07-13 2017-07-07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201780043318.XA CN109477998B (zh) 2016-07-13 2017-07-07 双相机模块和光学装置
CN202110580116.7A CN113341634B (zh) 2016-07-13 2017-07-07 相机装置和光学设备
CN202211163189.7A CN115421273A (zh) 2016-07-13 2017-07-07 相机装置和光学设备
CN202110578602.5A CN113341633B (zh) 2016-07-13 2017-07-07 相机装置和光学设备
EP17827885.9A EP3486718B1 (en) 2016-07-13 2017-07-07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202310305280.6A CN116299949A (zh) 2016-07-13 2017-07-07 相机装置和光学设备
CN202310317777.XA CN116299950A (zh) 2016-07-13 2017-07-07 相机装置和光学设备
US16/870,462 US11032461B2 (en) 2016-07-13 2020-05-08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7/307,545 US11582376B2 (en) 2016-07-13 2021-05-04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8/069,707 US11743562B2 (en) 2016-07-13 2022-12-21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8/346,941 US12075140B2 (en) 2016-07-13 2023-07-05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565A KR102592140B1 (ko) 2016-07-18 2016-07-18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98A KR20180009098A (ko) 2018-01-26
KR102592140B1 true KR102592140B1 (ko) 2023-10-23

Family

ID=6102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565A KR102592140B1 (ko) 2016-07-13 2016-07-18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9905B1 (ko) * 2018-04-06 2024-07-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CN117857902A (zh) 2018-04-13 2024-04-09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头装置和光学设备
WO2021025511A1 (ko) * 2019-08-06 2021-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7056A1 (en) 2012-12-26 2014-06-2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CN203933331U (zh) * 2014-04-30 2014-11-05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音圈马达阵列模块
US20160018720A1 (en) 2014-02-19 2016-01-21 Gil BACHAR Magnetic shielding between voice coil motors in a dual-aperture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020B1 (ko) * 2014-07-08 2016-05-23 자화전자(주) 공유 요크를 이용한 듀얼 렌즈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7056A1 (en) 2012-12-26 2014-06-2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US20160018720A1 (en) 2014-02-19 2016-01-21 Gil BACHAR Magnetic shielding between voice coil motors in a dual-aperture camera
CN203933331U (zh) * 2014-04-30 2014-11-05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音圈马达阵列模块
US20150316745A1 (en) 2014-04-30 2015-11-05 Lite-On Electronics (Guangzhou) Limited Voice coil motor arra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98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3837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109477998B (zh) 双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102389388B1 (ko) 카메라 모듈
KR102641438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710772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75550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기기 및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KR102679709B1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607892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44400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09414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88147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92140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63834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78648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87482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20068976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73465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3244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2769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705512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5481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35014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113574852A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