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385A -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385A
KR20170091385A KR1020160012321A KR20160012321A KR20170091385A KR 20170091385 A KR20170091385 A KR 20170091385A KR 1020160012321 A KR1020160012321 A KR 1020160012321A KR 20160012321 A KR20160012321 A KR 20160012321A KR 20170091385 A KR20170091385 A KR 20170091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hannel
charging
electric vehicle
protocol
ev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303B1 (ko
Inventor
김도형
김형동
신광섭
이명규
임명근
조수범
조정재
한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1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30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7431 priority patent/WO2017010750A1/ko
Priority to US15/743,152 priority patent/US10611255B2/en
Priority to CN202110740463.1A priority patent/CN113352925A/zh
Priority to CN201680040354.6A priority patent/CN107848432B/zh
Publication of KR2017009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385A/ko
Priority to US16/803,409 priority patent/US11198374B2/en
Priority to US17/532,605 priority patent/US11667207B2/en
Priority to KR1020230023845A priority patent/KR20230029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303B1/ko
Priority to US18/309,221 priority patent/US2023025685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38
    • B60L11/1816
    • B60L11/1851
    • B60L223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08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using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는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와 연결되기 위한 제1 통신 채널, 상기 EVSE와 연결되기 위한 제2 통신 채널, 상기 전기 자동차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되기 위한 제3 통신 채널,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채널, 상기 제2 통신 채널 및 상기 제3 통신 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통신 채널 또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3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ECU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이용한다.
전기 자동차와 EVSE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여러 규약들이 활발하게 재정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에 관한 규약은 크게 충전 시스템, 충전 인터페이스, 통신 프로토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국가 별 또는 자동차 회사 별로 서로 다른 규약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배터리 팩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등은 규약 별로 개발되고,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의 개발 비용이 높아지고, 개발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는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와 연결되기 위한 제1 통신 채널, 상기 EVSE와 연결되기 위한 제2 통신 채널, 상기 전기 자동차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되기 위한 제3 통신 채널,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채널, 상기 제2 통신 채널 및 상기 제3 통신 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통신 채널 또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3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ECU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 채널과 상기 제2 통신 채널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채널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2 통신 채널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은 CCS(Combined Charging System) 규약을 따르며,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은 CHAdeMo(CHArge de Move) 규약 또는 중국 전기자동차 충전 규약을 따를 수 있다.
상기 제3 통신 채널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는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되는 CP(Control Pilot) 신호를 입력 받는 CP(control Pilot) 포트, 그리고 상기 CP 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CP 포트를 통하여 상기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와 연결되기 위한 제1 통신 채널, CHAdeM, 중국국가표준 규격등을 포함한CAN통신 인터페이스규격을 지원하는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와 연결되기 위한 제2 통신 채널, 상기 전기 자동차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되기 위한 제3 통신 채널,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채널, 상기 제2 통신 채널 및 상기 제3 통신 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통신 채널 또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교환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3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ECU로 전달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PD(Proximity Detection) 포트, 그리고 상기 EVSE의 접지와 연결되는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한 규약에 한정되지 않고, 범용적으로 적용되는 충전 제어 장치 및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제어 장치 및 충전 장치의 개발 소요 시간 및 개발 비용을 낮츨 수 있고, 부품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1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20)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EVSE(20)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이 EV(10)의 주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EVSE(20)는 AC 또는 DC를 공급하는 설비이며, 충전소에 배치되거나, 가정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EVSE(20)는 충전소(supply), AC 충전소(AC supply), DC 충전소(DC supply), 소켓-아웃렛(socket-outlet)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충전 장치(100)는 EV(10) 내에 포함되며, EV(10) 내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200)와 연결된다.
EV(10)의 충전 장치(100)의 급속 충전에 관한 규약은, 크게 CCS(Combined Charging System) 규약 및 CHAdeMO(CHArgeing de Move) 규약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중에서, CCS 규약은 직류 충전구와 교류 충전구가 하나로 통합된 콤보 형태에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을 도입한 방식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주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CHAdeMO 규약은 직류 충전구와 교류 충전구가 별도로 분리된 방식으로 일본 주도의 규격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외에도, 중국은 전기자동차의 급속 충전에 관한 규약을 독자적으로 제정하고 있다.
여기서, 규약 별로 EVSE(20)와 충전 장치(100) 간의 통신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S 규약에서는 PLC를 이용하여 EVSE(20)와 충전 장치(100)간 통신을 수행하지만, CHAdeMo 규약과 중국 전기자동차 충전 규약에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를 이용하여 EVSE(20)와 충전 장치(100)간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규약을 모두 지원하는 충전 장치(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에 포함되는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0)의 충전 장치(100)는 CP(control Pilot) 포트(110), PD(Proximity Detection) 포트(120), PE(Protective Earth) 포트(130), 충전 제어부(140), 그리고 전원 입력 포트(150, 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CP 포트(110)는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되는 CP(Control Pilot) 신호를 입력 받는 포트이다.
PD 포트(120)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포트이다.
PE 포트(130)는 EVSE(20)의 접지와 연결되는 포트이다.
충전 제어부(140)는 배터리(300)의 충전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40)는 CP 포트(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파일럿 기능(pilot function)을 처리하는 PF(Pilot Function) 로직 및 PD 포트(1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EVSE(20)의 커넥터의 주입 여부를 검출하는 PD(Proximity Detection)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40)가 CP(110)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 및 PD 포트(1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 받으면, 충전 제어부(140)는 전원 입력 포트(150, 160)와 연결되는 스위치(SW)를 제어하여 배터리(300)가 EVSE(20)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충전 제어부(140)는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와 혼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100) 내의 충전 제어부(140)는 제1 통신 채널(142), 제2 통신 채널(144), 제3 통신 채널(146) 및 제어 유닛(14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통신 채널(142) 및 제2 통신 채널(144)을 통하여 EVSE(20)와 충전 제어부(140) 간의 신호가 송수신된다. 이때, 제1 통신 채널(142)과 제2 통신 채널(144)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채널(142)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PWM(Pulse Width Mmodulation) 또는 두가지 모두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고, 제2 통신 채널(144)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148)은 제1 통신 채널(142) 및 제2 통신 채널(144)과 연결되며, 제1 통신 채널(142) 또는 제2 통신 채널(144)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 유닛(148)은 제1 통신 채널(142)을 통하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PLC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를 처리하고, 제2 통신 채널(144)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 경우, CAN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0)는 제1 통신 채널(142)을 통하여 CCS(Combined Charging System) 규약에 따라 EVSE(20)와 연결되거나, 제2 통신 채널(144)을 통하여 CHAdeMo(CHArge de Move) 규약 또는 중국 전기자동차 충전 규약에 따라 EVSE(20)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기 자동차 충전에 관한 대표적인 규약인 CCS(Combined Charging System) 규약, CHAdeMo(CHArge de Move) 규약 및 중국 전기자동차 충전 규약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채널(142)이 연결되는 EVSE(20)와 제2 통신 채널(144)이 연결되는 EVSE(20)는 동일한 EVSE이거나 다른 EVS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EVSE는 CCS(Combined Charging System) 규약, CHAdeMo(CHArge de Move) 규약 및 중국 전기자동차 충전 규약에 따르는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하거나, CCS(Combined Charging System) 규약, CHAdeMo(CHArge de Move) 규약 및 중국 전기자동차 충전 규약 중 하나에 따르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148)은 제3 통신 채널(146)과 연결되며, 제어 유닛(148)에 의하여 생성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는 제3 통신 채널(146)을 통하여 ECU(200)로 전달된다. 이때, 제3 통신 채널(146)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148)은 전기 자동차(10)를 제어하는 ECU(2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장치(100) 내의 충전 제어부(140)는 제1 통신 채널(142), 제2 통신 채널(144), 제3 통신 채널(146) 및 제어 유닛(148)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통신 채널(142)은 PLC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며, 제2 통신 채널(144) 및 제3 통신 채널(146)은 CAN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제1 통신 채널(142)은 정합 블록(matching block) 및 HPGP(Home Plug Green PHY)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채널(142)은 정합 블록(matching block)을 이용하여 EVSE(20)로부터 수신하거나, EVSE(20)로 송신하는 신호를 정합하며, HPGP 모뎀을 이용하여 PL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148)은 제1 통신 채널(142) 또는 제2 통신 채널(144)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148)은 제1 통신 채널(142)을 통하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PLC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를 처리하고, 제2 통신 채널(144)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 경우, CAN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148)은 제3 통신 채널(146)과 연결되며, 제어 유닛(148)에 의하여 생성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는 제3 통신 채널(146)을 통하여 ECU(200)로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0)는 추가의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140)는 내부 전력 블록(Internal Power Block & Protections, 190)을 더 포함하며, 전기 자동차(10) 내의 배터리(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10)의 시동이 꺼져 있거나, 충전 제어부(140)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충전 제어부(140) 내에는 대기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140)는 제4 통신 채널(192)을 더 포함하며, 이는 전기 자동차(10) 내의 진단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4 통신 채널(192)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10) 내의 진단부(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제4 통신 채널(192)을 통하여 충전 제어부(140)로 전달되어, 충전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충전 제어부(140)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는 제4 통신 채널(192)을 통하여 전기 자동차(10) 내의 진단부(400)로 전달되며, 진단부(400)는 이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100)의 고장 또는 이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통신 채널(146)과 제4 통신 채널(192)이 별도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통신 채널(146)과 제4 통신 채널(192)은 하나의 통신 채널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140)는 장비 제어 유닛(controls & drivers, 194)을 더 포함하며, 이는 전기 자동차(10) 내의 충전 관련 장비(In vehicle Sensors & controllerable functions, 500)와 연결될 수 있다. 장비 제어 유닛(194)은 충전 제어부(140)의 제어 유닛(148)과 전기 자동차(10) 내의 충전 관련 장비(500) 간의 신호를 전달하며, 전기 자동차(10) 내 충전 관련 장비(500)를 제어하거나, 충전 관련 장비(500)의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140)는 안전 제어 유닛(safety loop, 196)을 더 포함하며, 이는 전기 자동차(10) 내의 안전 관련 장비(Safety function on vehicle, 600)와 연결될 수 있다. 안전 제어 유닛(196)은 충전 제어부(140)의 제어 유닛(148)과 전기 자동차(10) 내의 안전 관련 장비(600) 간의 신호를 전달하며, 전기 자동차(10) 내 안전 관련 장비(600)를 제어하거나, 안전 관련 장비(600)의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140)는 센서 제어 유닛(198)을 더 포함하며, 이는 전기 자동차(10) 내의 센서(70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제어 유닛(198)은 충전 제어부(140)의 제어 유닛(148)과 전기 자동차(10) 내의 센서(700) 간의 신호를 전달하며, 전기 자동차(10) 내 센서(700)를 제어하거나, 센서(700)의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전기 자동차
20: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
100: 충전 장치

Claims (10)

  1.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와 연결되기 위한 제1 통신 채널,
    상기 EVSE와 연결되기 위한 제2 통신 채널,
    상기 전기 자동차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되기 위한 제3 통신 채널,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채널, 상기 제2 통신 채널 및 상기 제3 통신 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통신 채널 또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3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ECU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채널과 상기 제2 통신 채널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는 충전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채널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2 통신 채널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는 충전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은 CCS(Combined Charging System) 규약을 따르며,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은 CHAdeMo(CHArge de Move) 규약 또는 중국 전기자동차 충전 규약을 따르는 충전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 채널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는 충전 제어 장치.
  6.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되는 CP(Control Pilot) 신호를 입력 받는 CP(control Pilot) 포트, 그리고
    상기 CP 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CP 포트를 통하여 상기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와 연결되기 위한 제1 통신 채널, 상기 CP 포트를 통하여 상기 EVSE와 연결되기 위한 제2 통신 채널, 상기 전기 자동차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되기 위한 제3 통신 채널,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채널, 상기 제2 통신 채널 및 상기 제3 통신 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통신 채널 또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3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ECU로 전달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PD(Proximity Detection) 포트, 그리고
    상기 EVSE의 접지와 연결되는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포트
    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채널과 상기 제2 통신 채널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는 충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채널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2 통신 채널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는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 채널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되는 충전 장치.
KR1020160012321A 2015-07-10 2016-02-01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KR10250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21A KR102504303B1 (ko) 2016-02-01 2016-02-01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US15/743,152 US10611255B2 (en) 2015-07-10 2016-07-08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with different charging standards
CN202110740463.1A CN113352925A (zh) 2015-07-10 2016-07-08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装置和方法
CN201680040354.6A CN107848432B (zh) 2015-07-10 2016-07-08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装置和方法
PCT/KR2016/007431 WO2017010750A1 (ko) 2015-07-10 2016-07-08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16/803,409 US11198374B2 (en) 2015-07-10 2020-02-27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17/532,605 US11667207B2 (en) 2015-07-10 2021-11-22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with different charging standards
KR1020230023845A KR20230029746A (ko) 2016-02-01 2023-02-22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US18/309,221 US20230256854A1 (en) 2015-07-10 2023-04-28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with different charging standar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21A KR102504303B1 (ko) 2016-02-01 2016-02-01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845A Division KR20230029746A (ko) 2016-02-01 2023-02-22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385A true KR20170091385A (ko) 2017-08-09
KR102504303B1 KR102504303B1 (ko) 2023-02-27

Family

ID=596525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321A KR102504303B1 (ko) 2015-07-10 2016-02-01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KR1020230023845A KR20230029746A (ko) 2016-02-01 2023-02-22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845A KR20230029746A (ko) 2016-02-01 2023-02-22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4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805A (zh) * 2018-05-17 2019-11-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车辆的充电控制装置和方法
WO2021206211A1 (ko) * 2020-04-09 2021-10-14 주식회사 스칼라데이터 Can-plc 데이터 통신 호환 충전 어댑터
EP4137353A1 (en) * 2021-08-19 2023-02-22 ABB E-mobility B.V. Charging cable for an electric vehicle with communication capabil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4738A1 (en) * 2012-02-20 2013-08-22 Eaton Corporation Multi-standard,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compatibl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KR20140102231A (ko) * 2011-11-22 2014-08-2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수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차량, 급전 설비 및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40113366A (ko) * 2013-03-15 2014-09-24 컨튜어 하드닝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자동차들을 위한 급속 충전 시스템
JP2015519867A (ja) * 2012-05-30 2015-07-09 シュナイダー エレクトリック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自動車給電設備ケーブル検知
KR20150107121A (ko) * 2014-03-13 2015-09-23 주식회사 글로쿼드 전기차 충전 방식 변환 방법 및 그 장치와, 전기차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231A (ko) * 2011-11-22 2014-08-2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수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차량, 급전 설비 및 전력 전송 시스템
US20130214738A1 (en) * 2012-02-20 2013-08-22 Eaton Corporation Multi-standard,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compatibl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JP2015519867A (ja) * 2012-05-30 2015-07-09 シュナイダー エレクトリック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自動車給電設備ケーブル検知
KR20140113366A (ko) * 2013-03-15 2014-09-24 컨튜어 하드닝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자동차들을 위한 급속 충전 시스템
KR20150107121A (ko) * 2014-03-13 2015-09-23 주식회사 글로쿼드 전기차 충전 방식 변환 방법 및 그 장치와, 전기차 충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805A (zh) * 2018-05-17 2019-11-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车辆的充电控制装置和方法
CN110497805B (zh) * 2018-05-17 2021-02-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车辆的充电控制装置和方法
WO2021206211A1 (ko) * 2020-04-09 2021-10-14 주식회사 스칼라데이터 Can-plc 데이터 통신 호환 충전 어댑터
EP4137353A1 (en) * 2021-08-19 2023-02-22 ABB E-mobility B.V. Charging cable for an electric vehicle with communication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746A (ko) 2023-03-03
KR102504303B1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83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20230029746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CN104816642B (zh) 便携式电气化车辆能量传递装置和方法
US9071074B2 (en) Multi-standard, alternating current or direct current compatibl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US20190263279A1 (en) On-board control device
US9114715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RU2594175C1 (ru) Система бесконтактной по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KR102518036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US20180215278A1 (en) Vehicle-mounted charging system
US20120029728A1 (en) Charging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WO2014156131A1 (ja) 電動車両用コネクタおよび車両用電力装置
KR101754883B1 (ko) 전기 차량용 충전 케이블의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정보 제공방법
JP2017034937A (ja) 中継機
KR20160039940A (ko) 차량용 충전기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CN104520129B (zh) 用于禁止和允许电动机动车辆控制模块的方法和系统
US10391956B2 (en) Voltage disconnection of a high-voltage vehicle
JP2013090496A (ja)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CN110816317B (zh) 车载控制系统及车辆
CN111284340B (zh) 电动车的充电设备
KR101996446B1 (ko) 전기 차량 충전용 변환 어댑터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차량 충전용 변환 어댑터
US20170001533A1 (en)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US202202391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cu,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40134070A (ko)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의 충전방법,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EP2234278B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s accessory device
JP2013183591A (ja) 車両用充放電制御方法、車両内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車両電源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