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203A -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203A
KR20170091203A KR1020160011302A KR20160011302A KR20170091203A KR 20170091203 A KR20170091203 A KR 20170091203A KR 1020160011302 A KR1020160011302 A KR 1020160011302A KR 20160011302 A KR20160011302 A KR 20160011302A KR 20170091203 A KR20170091203 A KR 20170091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voltage
period
controlled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862B1 (ko
Inventor
홍성철
표기태
김백현
오재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1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8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2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 G01S13/524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based upon the phase or frequency shift resulting from movement of objects,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signals, e.g. coherent MTi
    • G01S13/5248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based upon the phase or frequency shift resulting from movement of objects,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signals, e.g. coherent MTi combining a coherent MTI processor with a zero Doppler processing channel and a clutter mapped memory, e.g. MTD (Moving target detector)
    • G01S2007/401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여 주기성을 갖도록 작동한다.

Description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Pulsed Doppler Rada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PIR 센서를 대체 가능한 CMOS 레이더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상기 CMOS 레이더를 구현하는 데 있어 효율적이고 적합한 방법에 대한 것을 포함하고 있다.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모션 센서 분야에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말 그대로 대상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반응하는 센서를 의미하는데, 자동문, 화장실용 자동 조명, 변기 등에 널리 이용이 되고 있다. 상기 모션 센서 방식에는 초음파(Ultra Sonic) 방식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PIR(Passive Infra Red) 방식이다.
상기 PIR 방식은 적외선(Infra-Red)을 이용하는 방식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초 전도성을 띈 초 전도(焦電, Pyroelectric) 물질을 이용한다. 초 전도 물질을 이용한 PIR 센서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성질이 바뀌는 것을 한다. 따라서, 상기 초 전도 물질은 온도 및 기후 등의 외부 조건에 영향을 받아 실외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PIR 방식을 위해 상기 초전도 물질을 PIR 방식의 센서 모듈에 적용하기 위해 기존의 전자 집적회로 설계 외에 별도의 과정을 필요로 하며 비교기(comparator)나 판독 회로(readout circuit)가 별도로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PIR 방식의 경우 전체 모듈 제작 단가가 높다.
또한, 열을 매개로 작동하기 때문에 최대 작동 거리가 제한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물질의 자연적인 특성을 이용하므로 센서 자체에서는 전력 소모가 거의 없고 모듈용 회로 내의 전력 소모만 존재하기 때문에 근거리용 실내 모션 센서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PIR 센서를 대체하기 위해 최대 작동 거리와 외부 조건의 관계없이 작동하고, 더 저렴하게 생산 가능한 기술이 필요하다.
한 편, 레이더 구조를 이용한 모션 센서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PIR 방식과 달리 기후 조건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종래에는 소비 전력, 가격 등의 문제로 인한 경쟁력 부족 및 전력 소모가 큰 이유 때문에 레이더 방식이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CMOS 공정이 발전함에 따라 수율 증가에 따른 가격 경쟁력이 커졌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06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인 동작을 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여 주기성을 갖도록 작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 조정 발진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발생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버퍼; 상기 제1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의 일부를 증폭하는 제2 버퍼; 상기 제2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를 증폭하는 종단 증폭기; 상기 종단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1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 중 다른 일부를 증폭하는 수신단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여 주기성을 갖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증폭하는 종단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단 증폭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종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으며, 상기 종단 증폭기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2 버퍼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버퍼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 발생한 신호의 일부를 증폭하는 수신단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수신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종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저잡음 증폭기 및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혼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증폭기는 구동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증폭기가 주기성을 갖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단 증폭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시간의 1/1000 시간 동안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동안 100ns의 주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아날로그 인터그래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제어 방법은, 전압 조정 발진기가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제어 방법은, 전압 조정 발진기가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1 버퍼가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 받아 증폭하는 단계; 제2 버퍼가 상기 제1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의 일부를 수신 받아 증폭하는 단계; 종단 증폭기가 상기 제2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 받아 증폭하는 단계; 송신부가 상기 종단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 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단 증폭기에서 상기 제1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의 다른 일부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은 안정적인 동작을 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전압 조정 발진기, 수신단 증폭기, 제2 버퍼 및 전력 증폭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timing diagram)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출력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펄스 도플러 레이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여 주기성을 갖도록 작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 조정 발진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발생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버퍼; 상기 제1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의 일부를 증폭하는 제2 버퍼; 상기 제2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를 증폭하는 종단 증폭기; 상기 종단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1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 중 다른 일부를 증폭하는 수신단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즉 펄스 도플러 레이더가 작동하는 시간 중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전압 레이더 시스템에서, 전압 조정 발진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레이더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신호를 발생하였다. 이러한 작동은 레이더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 및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전압 조정 발진기를 지속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상당한 전력 소모가 있었다.
또한,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지속적으로 증폭하기 위해 제2 버퍼, 수신단 증폭기 및 종단 증폭기도 지속적으로 증폭 작동을 수행하여야 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이러한 동작은 상당한 전력을 소모하므로, 레이더 시스템을 적은 전력 소모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에서, 전압 조정 발진기(VCO)는 정해진 시간 동안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신단 증폭기에서 증폭되는 신호 역시 펄스 도플러 레이더가 작동하는 주기 중 일정한 주기 동안만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퍼도 펄스 도플러 레이더가 작동하는 주기 중 일정한 주기 동안만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종단 증폭기 역시 펄스 도플러 레이더가 작동하는 주기 중 일정한 주기 동안만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펄스 도플러 레이더가 작동하는 주기 중에서 일부 주기 동안만 각 구성을 작동 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더가 500 μs 동안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10 μs 동안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압 조정 발진기가 500 μs의 일부인 10 μs 동안 신호를 발생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듀티비를 낮춤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지만,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듀티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된 전력량이 부족하여 신호를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주파수 규격 및 설정 시간(setting time)에 의해 듀티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단 증폭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종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종단 증폭기에서 증폭하는 신호는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방생된 신호이기 때문이다. 종단 증폭기에서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전압 조정 발진기와 동일한 수준의 듀티비로 종단 증폭기를 작동하더라도 전력 소모가 크다. 따라서, 종단 증폭기는 전압 조정 발진기가 발생한 신호의 주기 보다 짧은 주기로 증폭함으로써 신호 증폭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증폭기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종단 증폭기에 전원이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증폭기를 거쳐 외부로 송신된 신호가 외부의 물체에 부딪혀 돌아오는 데까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상기 수신단 증폭기의 작동 주기를 종단 증폭기의 작동 주기와 동일하거나 보다 작게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수신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종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제2 버퍼의 작동 주기도 조절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2 버퍼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가 상기 종단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므로 상기 제2 버퍼 및 종단 증폭기는 동일한 주기 동안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100)는,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17);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 조정 발진기(111);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111)가 발생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버퍼(112); 상기 제1 버퍼(112)에서 증폭된 신호의 일부를 증폭하는 제2 버퍼(113); 상기 제2 버퍼(113)에서 증폭된 신호를 증폭하는 종단 증폭기(114); 상기 종단 증폭기(114)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115); 상기 제1 버퍼(112)에서 증폭된 신호 중 다른 일부를 증폭하는 수신단 증폭기(116); 상기 저잡음 증폭기(118) 및 신호 수신부(117)에서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혼합기(1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부(117)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기(119)는 저잡음 증폭기(118)에서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다.
도 1의 펄스 도플러 레이더(100)는, 전압 조정 발진기(VCO)(111), 제1 버퍼(1st Buffer)(112), 수신단 증폭기(Rx Buffer)(116), 혼합기(Mixer)(119), 신호 수신부(Receiver)(117), 저잡음 증폭기(LNA)(118) 및 아날로그 인터그래이션(Analogue Integration)(120)으로 구성된 부분을 수신단(Rx)과, 제2 버퍼(2nd Buffer)(113), 종단 증폭기(114) 및 송신부(Transceiver)(115)로 구성된 송신단(Tx)으로 구성된다.
상기 펄스 도플러 레이더(100)의 일 작동 예를 설명하면 이와 같다.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111)에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111)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예를 들면 24 GHz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111)에서 발생된 신호는 우선 제1 버퍼(112)를 통과하여 1단계 증폭이 된다. 상기 증폭된 신호의 대부분은 송신을 위하여 제2 버퍼(113)로 전달되고, 상기 제2 버퍼(113)로 전달되지 않은 나머지 신호는 수신단 증폭기(116)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113)로 전달된 신호는 상기 제2 버퍼(113)에서 2단계 증폭되고 종단 증폭기(114)로 전달된다. 상기 종단 증폭기(114)로 전달된 신호는 최종적으로 증폭된 후 송신부(115), 예를 들면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외부로 송신된 신호는 외부의 물체에 반사되는 경우 신호 수신부(117)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외부의 물체에 반사된 신호는 도플러 효과에 의해 주파수가 변하게 되고, 이와 같이 변화된 신호가 신호 수신부(117)로 들어온다. 상기 외부의 물체에 반사된 신호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24 ± Δf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물체에 반사된 신호는 신호 수신부(117)로 들어와 저잡음 증폭기(118)를 거칠 수 있으며, 그 후 혼합기(119)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혼합기(119)는 전압 조정 발진기(111)로부터 수신단 증폭기(116)를 거쳐 들어오는 신호 및 신호 수신부(117)로부터 들어온 신호를 받아들인다. 상기 혼합기(119)는 상기 두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주는 다운 컨버젼(down conversion)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 Δf의 주파수를 검출하여 대상의 움직음을 감지해 낼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신호 수신부(117)는 송신부(115)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펄스 도플러 레이더(100) 외부의 물체에 부딪혀 반사된 신호를 받아들인다. 본 발명에서 신호 수신부(117)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압 조정 발진기(111)는 입력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111)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24 GHz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111)는 정해진 시간 동안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1 버퍼(112) 및 제2 버퍼(113)는 전압 조정 발진기(111)에서 발생된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버퍼(112) 및 제2 버퍼(113)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종단 증폭기(114)는 제2 버퍼(113)에서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게 알맞도록 증폭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증폭기(114)는 구동 증폭기(DA, Drive Amplifier) 및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15)는 상기 종단 증폭기(114)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송신부(115)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수신단 증폭기(116)는 신호를 받아서 주파수변환, 필터링 등의 과정을 거쳐 원래 신호를 복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혼합기(119)는 주파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저잡음 증폭기(118)는 잡음지수가 낮도록 동작점과 매칭포인트를 잡아서 설계된 증폭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혼합기(119) 및 저잡음 증폭기(118)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전압 조정 발진기, 수신단 증폭기, 제2 버퍼 및 전력 증폭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timing diagram)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 동안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수신부 증폭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2 버퍼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종단 증폭기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 동안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 동안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수신부 증폭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2 버퍼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종단 증폭기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 동안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전압 조정 발진기 및 수신부 증폭기에서 2% 미만의 듀티비를 갖기 어려우며, 제2 버퍼 및 종단 증폭기는 0.2% 미만의 듀티비를 갖기 어렵다. 이는 주파수 규격 및 설정 시간(setting time)을 이유로 들 수 있다.
24 GHz 펄스 도플러 레이다는 주파수의 사용허용 대역이 24 내지 24.25 GHz 이다. 10 ns의 펄스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200 MHz 대역폭을 의미하고 0.2 GHz 에 해당한다. 타임 도메인(Time domain)에서 펄스 폭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대역폭과 반 비례 하기 때문에 펄스 폭을 더 작게 할 경우 허용된 대역폭인 0.25 GHz 를 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가 On 및 Off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On 및 Off 상태 사이에 일정한 시간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 즉, 스위치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모든 회로들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일정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며, 이를 설정 시간(settling time)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스위치가 주기성을 갖도록 펄스 동작을 하기 위해서도 설정 시간 이상의 마진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종단 증폭기, 보다 상세하게는 종단 증폭기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의 경우 설정 시간을 고려 했을 때 0.2 % 보다 듀티비를 작게 하기 어렵다. 전압 조정 발진기의 경우는 소자 특성 상 설정 시간이 길기 때문에 2% 보다 듀티비를 작게 하기 어렵다.
PIR 센서와 달리, 도플러 레이더의 경우 전력을 소비해서 신호(전파)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도플러 레이더의 특성상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따라서, PIR 센서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일정시간을 주기로 전압 조정 발전기 등의 구성이 작동하는 펄스(pulse)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플러 레이더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듀티비(duty ratio), 즉, 전체 주기에 대한 펄스(pulse)가 On 상태인 주기의 비를 작게 해주면 되지만, 이 값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된 전력량이 충분히 크지 못해 제대로 신호 검출을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가 확보되어야 한다.
전압 조정 발진기의 경우 전체 회로의 성능을 좌우하고 On 및 Off 동작 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10 μs 정도의 펄스 On 상태가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 주기가 500 μs인 경우 전압 조정 발진기는 10 μs 동안, 즉 2% 이상의 듀티비로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단 증폭기는 송신부로 크게 증폭된 신호를 내보내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크며, 전체 회로의 전력 소모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전압 조정 발진기와 동일한 수준의 듀티비로 작동하더라도 상당한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종단 증폭기, 특히 종단 증폭기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PA)가 증폭 작용을 하는 주기를 전압 조정 발진기의 작동 주기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였다.
신호 수신부에서 신호를 제대로 검출하기 위해 신호대비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를 높일 필요가 있다. 상기한 신호대비 잡음비를 높이기 위해 100번 정도의 적분이 필요하므로 전압 조정 발진기가 작동하는 주기인 10 μs를 100으로 나눈 시간인 100 ns 중에서 10 ns만 종단 증폭기가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주기에 대하여 0.2 % 이상의 듀티비로 종단 증폭기를 작동함으로써 종단 증폭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단 증폭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시간의 1/1000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단 증폭기를 지나 송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 신호는 외부의 물체에 반사되어 신호 수신부로 들어온다. 그러나, 송신된 신호가 다시 수신되기까지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시간 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신단 증폭기를 종단 증폭기와 동일한 주기 동안만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없으며, 수신단 증폭기의 작동 주기는 종단 증폭기의 작동 주기에 비하여 길게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와 동일한 듀티비로 작동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제2 버퍼는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종단 증폭기로 보내면서 증폭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증폭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버퍼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2 버퍼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버퍼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수신부에서 신호를 제대로 검출하기 위해 신호대비 잡음비를 높이기 위해 100번 정도의 적분이 필요하므로 전압 조정 발진기가 작동하는 주기인 10 μs를 100으로 나눈 시간인 100 ns 중에서 10 ns만 작동하도록 종단 증폭기의 작동 주기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종단 증폭기로 신호를 내보내는 제2 버퍼의 듀티비도 상기 종단 증폭기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함으로써 제2 버퍼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출력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압 조정 발진기 및 종단 증폭기가 주기성을 갖도록작동하는는 경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종단 증폭기의 동작 주기와 동일한 주기성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0.2 % 이상의 듀티비를 가지며, 100 ns 동안 10 ns 만큼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성을 갖질 수 있다.
상기 송신부에서 주기성을 가지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은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동안에만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동안에는 증폭을 할 신호가 없기 때문에 종단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주기성을 갖도록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동작은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동안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레이더 시스템은 연속적으로 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전압 조정 발진기 및 종단 증폭기 등이 지속적으로 작동하였고, 송신부도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였다. 반면,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일정 주기를 갖도록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비교 예 실시 예
전압 조정 발진기의 전력 소모량 10.2 mW 0.2 mW
종단 증폭기에서의 전력 소모량 206.3 mW 0.4 mW
레이더 시스템 전체의 전력 소모량 216.5 mW 0.6 mW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소모 전류와 공급 전압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전압 조정 발진기가 계속 작동을 하는 비교 예에서는 6.8 mA (소모전류) × 1.5 V (공급전압) = 10.2 mW 으로 계산될 수 있다.
실시 예의 전압 조정 발진기는 2 %의 듀티비로 주기성을 갖도록 동작하므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전력 소모량은 10.2 mW × 2 % = 0.2 mW로 계산될 수 있다.
종단 증폭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소모 전류와 VDD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종단 증폭기가 구동 증폭기(DA) 및 전력 증폭기(PA)로 구성된 경우에는 종단 증폭기 전체의 소모 전력은 구동 증폭기의 소모 전력과 전력 증폭기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종단 증폭기가 계속 작동을 하는 비교 예에서, 구동 증폭기의 소모 전력은 42.1 mA (소모전류) × 1.8 V (VDD) = 75.8 mW 으로 계산될 수 있고, 전력 증폭기의 소모 전력은 72.5 mA (소모전류) × 1.8 V (VDD) = 130.5 mW로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종단 증폭기의 소모 전력은 75.8 mW + 130.5 mW = 206.3 mW이다.
실시 예의 종단 증폭기는 0.2 %의 듀티비로 주기성을 갖도록 동작하므로, 상기 종단 증폭기의 전력 소모량은 206.3 mW × 0.2 % = 0.4126 mW로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 예의 전력 소모량은 216.5 mW 임에 비하여, 실시 예의 전력 소모량은 0.6 mW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펄스 도플러 레이더에 포함되는 종단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증폭기는 스위치(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10)가 온-오프 동작을 함으로써 주기성을 갖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트렌지스터일 수 있다.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제어 방법은, 전압 조정 발진기가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제어 방법은, 전압 조정 발진기가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1 버퍼가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 받아 증폭하는 단계; 제2 버퍼가 상기 제1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의 일부를 수신 받아 증폭하는 단계;하는 단계; 종단 증폭기가 상기 제2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 받아 증폭하는 단계; 송신부가 상기 종단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 받아 외부로로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단 증폭기에서 상기 제1 버퍼에서 증폭된 신호의 다른 일부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일정한 주기성을 갖도록 동작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압 조정 발진기의 신호를 증폭하여 종단 증폭기로 내보내는 제2 버퍼 및 상기 제2 버퍼의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부로 내보내는 종단 증폭기 역시 일정한 주기성을 갖도록 동작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 및 종단 증폭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동작하는 동안에만 주기성을 가지며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주기 보다 짧은 주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를 2 % 이상의 듀티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2 버퍼 또는 종단 증폭기는 0.2 % 이상의 듀티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단 증폭기도 주기성을 갖도록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상기 제2 버퍼 또는 종단 증폭기의 주기 보다 긴 주기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타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펄스 도플러 레이더
111: 전압 조정 발진기
112: 제1 버퍼
113: 제2 버퍼
114: 종단 증폭기
115: 송신부
116: 수신단 증폭기
117: 신호 수신부
118: 저잡음 증폭기
119: 혼합기
120: 아날로그 인터그래이션
10: 스위치

Claims (13)

  1. 펄스 도플러 레이더에 있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여 주기성을 갖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증폭하는 종단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단 증폭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종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증폭기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2 버퍼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는 0.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 발생한 신호의 일부를 증폭하는 수신단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수신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는 상기 종단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하는 주기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 증폭기는 2% 이상의 듀티비(duty ratio)로 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9.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저잡음 증폭기 및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혼합기;를 더 포함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증폭기는 구동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가 주기성을 갖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증폭기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시간의 1/1000 시간 동안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가 신호를 발생하는 동안 100ns의 주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
  13.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압 조정 발진기가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작동 주기 중 일정 주기 동안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제어 방법.


KR1020160011302A 2016-01-29 2016-01-29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 KR101897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302A KR101897862B1 (ko) 2016-01-29 2016-01-29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302A KR101897862B1 (ko) 2016-01-29 2016-01-29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03A true KR20170091203A (ko) 2017-08-09
KR101897862B1 KR101897862B1 (ko) 2018-09-13

Family

ID=5965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302A KR101897862B1 (ko) 2016-01-29 2016-01-29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5893B2 (en) 2017-12-12 2021-08-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dar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062A (ja) * 1993-06-03 1994-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装置
JP2885807B2 (ja) * 1988-10-21 1999-04-26 東京航空計器株式会社 距離検出装置
KR20000058665A (ko) * 2000-06-23 2000-10-05 이태경 신발에 부착되는 위치추적용 발신장치
JP2005345218A (ja) * 2004-06-02 2005-12-15 Hitachi Ltd レーダ装置
KR20130040642A (ko) 2011-10-14 2013-04-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레이다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물체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5807B2 (ja) * 1988-10-21 1999-04-26 東京航空計器株式会社 距離検出装置
JPH06342062A (ja) * 1993-06-03 1994-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装置
KR20000058665A (ko) * 2000-06-23 2000-10-05 이태경 신발에 부착되는 위치추적용 발신장치
JP2005345218A (ja) * 2004-06-02 2005-12-15 Hitachi Ltd レーダ装置
KR20130040642A (ko) 2011-10-14 2013-04-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레이다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물체 검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5893B2 (en) 2017-12-12 2021-08-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da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862B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9808B1 (en) System and method of enabling a signal processing device in a relatively fast manner to process a low duty cycle signal
US7565129B2 (en) Super-regenerative receiver
US73423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highly efficient wide bandwidth power supply for a power amplifier
US112117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iasing of microwave amplifier
US8994579B2 (en) RF pulse signal generation switching circuit, RF pulse signal generating circuit, and target object detecting apparatus
EP2568607B1 (en) Oscillator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9287870B2 (en) High speed, high efficiency, high power RF pulse modulating integrated switch
WO2000003563A3 (en) Rf power supply
US20050259000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 amplified radio frequency pulse
KR101085652B1 (ko) 저전력 링 발진기용 지연회로
US9411045B2 (en) Gain control circuit and ultrasonic image device
KR101897862B1 (ko) 펄스 도플러 레이더 및 그 운영 방법
JP4648861B2 (ja) パルスレーダ送信機
JP2561930B2 (ja) レーダー・トランスポンダ
JP2008288977A (ja) 高周波増幅回路とこれを有する無線通信装置
JP4081035B2 (ja) レーダ搭載用半導体電力増幅装置及びレーダ送信装置
US202203602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djusting parameters of an active electrical device
JP2005277572A5 (ko)
US11638830B2 (en) Voltage converter for medical devices
US20210046320A1 (en) Voltage converting device
CN111867025B (zh) 一种低功耗微波传感器及其控制电路
Kim et al. 24GHz pulsed transmitter for ultra low power Doppler radar applications
EP0792014A3 (de) Anordnung zur Regelung der Ausgangsamplitude eines Hochfrequenz-Leistungsverstärkers
US8275343B2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residual voltage from a prior operation to establish a bias voltage for a subsequent operation
WO2022271407A1 (en) Amplifier peak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