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244A -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244A
KR20170090244A KR1020160010861A KR20160010861A KR20170090244A KR 20170090244 A KR20170090244 A KR 20170090244A KR 1020160010861 A KR1020160010861 A KR 1020160010861A KR 20160010861 A KR20160010861 A KR 20160010861A KR 20170090244 A KR20170090244 A KR 20170090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rower
vehicle
nfc tag
window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희철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어스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어스펀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어스펀지
Priority to KR102016001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244A/ko
Publication of KR2017009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안심번호로 차주와 호출자 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ervice system using of the virtual number or its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의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호출자가 차량의 NFC 태그에 휴대 단말기를 태깅하게 되면, 해당 휴대 단말기에 차주의 접속창이 오픈되면서 중앙서버에 의해 할당된 안심번호로 차주와 호출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주의 개인정보를 호출자에게 노출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보급 대수가 증가하면서 해당 차량의 주차할 공간이 부족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일반 주택가의 갓길이나 주차장에는 다수의 차량이 이중으로 삼중으로 주차하게 된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있다.
이때 주차되어 있는 특정 차량을 운전하려고 할 경우에는, 이중 혹은 삼중으로 주차된 차량에 의해 해당 차량이 움직일 수가 없기 때문에,
이웃한 차량을 이동시켜 주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차량에는 이러한 일을 대비하기 위하여 해당 차량의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연락처가 기재되어 있는 명함이나 패드를,
대쉬 보드 일측에 남겨놓음으로써, 차주와 호출자간의 통화연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차주를 호출하기 위해 남겨둔 연락처가 모든 사람들에게 무방비 하게 노출되어 있게 되면서,
악의를 가진 사람이 노출된 차주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보이스 피싱이나 스팸문자 등에 악용하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주 호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9405호)이 등장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방법은 ARS시스템에 의해 호출자와 차주를 연결하여 주면서 중간에 많은 대기시간이 요구되었고,
호출자에게 다양한 버튼 조작을 요구하면서 사용의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운전자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5805호)도 등장하였지만,
이러한 방법은 차주뿐만 아니라 호출자의 단말기에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야지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통화 연결시 차주의 연락처가 호출자의 단말기에 남게 되면서 여전히 호출자에게 차주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KR 10-0669405 B1 KR 10-1165805 B1
따라서 본 발명은 차주의 개인정보를 호출자 및 주변사람에게 노출하지 않으면서 호출자와 차주 간의 통화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호출자가 차주의 연락처를 확보하려고 시도할 때마다,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차주가 이를 보고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NFC 태그와, 차주의 휴대 단말기와, 중앙서버와, 상기 NFC태그에 의해 차주의 휴대 단말기와 통화연결되는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주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 호출자와 차주를 연결하여 주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NFC 태그에 태깅되었을 때 리딩(Reading)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와 스토어의 URL정보를 토대로 지정된 원터치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원터치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었을 때 입력된 차량 번호와 차주의 연락처를 토대로 고유번호를 발급받아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NFC태그에 라이팅하는 한편,
NFC태그는 차주의 휴대 단말기에 의해 라이팅된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저장하고,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NFC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리드하여 접속창을 오픈하고, 상기 접속창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을 통해 차주의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고,
중앙 서버는 NFC태깅시 일정시간 동안 안심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안심번호와 차주의 연락처를 매칭시켜 연결이 이루어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가 NFC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리드할 때, 중앙서버는 차주의 휴대 단말기로 태깅한 사실을 보고하여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출자가 별도로 접속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휴대 단말기를 NFC태그에 태깅하기만 하면, 안심번호로 차주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인의 휴대 단말기가 NFC태그에 태깅되었을 때, 중앙서버에 의해 접속사실을 푸쉬문자로 안내받아 차량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순서도.
도 3은 차주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차주의 휴대 단말기의 등록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5는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6과 도 7은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푸쉬 메시지를 받은 차주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
도 9과 도 11는 관리자 단말기의 모니터링 화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NFC태그(10)와,
해당 차량의 소유주가 소지하고 있는 차주의 휴대 단말기(20),
그리고 상기 NFC태그에 태깅(Tagging)하여 차주의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40)와,
안심번호로 차주의 휴대 단말기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중앙서버(30)와,
상기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의 등록 현황과 태깅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중앙서버(30)에 의해 발급된 안심번호로 차주와 호출자 간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호출자 및 주변사람에게 차주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NFC태그는 읽고 쓰기가 가능한 NFC칩을 중심으로 주변에 코일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카드형태로 이루어져 대쉬보드 일측에 놓여져 지거나 혹은 일측 유리창에 고정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NFC 태그는 실시 예에 따라 태깅(Tagging)시 원터치 안심번호 앱이 구동되어 지도록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저장하고 있고,
이를 리드(read)하는 차주의 휴대단말기에 원터치 안심번호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NFC 태그에는 차주의 휴대 단말기로 원터치 안심번호 앱을 다운로드 받도록 가이드 하는 URL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NFC태그는 특정 영역에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고 있고,
해당 영역에는 차주의 휴대단말기에 의해 라이팅(Writing)된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NFC태그는 실시 예에 따라 원터치 안심번호 앱을 다운로드 받도록 안내하기 위한 URL 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영역에 라이팅(Writing)된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NFC 태그의 일측면에는, NFC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휴대 단말기도 차량정보 입력시 차주와 통화 연결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QR코드 혹은 URL정보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NFC 태그를 리드(read) 혹은 라이트(Write)하는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NFC기능을 가지고 있고, 원터치 안심번호 앱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로써,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혹은 테블릿 PC나 보이스 아이피를 구비하여 통화연결이 가능한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태깅(Tagging)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읽어들여 원터치 안심번호 앱이 자동으로 활성화되거나, 혹은 스토어의 URL정보를 읽어들여 스토어의 다운로드 창을 통해 원터치 안심번호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원터치 안심번호 앱 구동시 오픈된 설정창(20b)에 차주의 차량번호, 차주의 연락처, 차량 소유주의 이름, 혹은 호출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 등을 입력한다.
이때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입력이 완료된 설정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고유번호 및 각각의 차주마다 할당되는 고유의 URL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NFC 태그에 라이트(Write)하여 등록을 완료한다.
참고로 중앙서버(30)는, 안심번호로 차주와 호출자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서버로써, 차주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설정정보와, 할당된 안심번호 그리고 등록이 완료된 차주의 고유한 URL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고 있는다.
참고로 이때 중앙서버(30)에 의해 할당된 안심번호는 1주일 혹은 1루 혹은 1회 통화 연결이 가능한 임시번호이며, 안심번호를 차주에게 서비스하면서 수수료를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서버(30)는. 실시 예에 따라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가 NFC 태그에 태깅되었을 때, 태깅 이력 및 통화연결된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이때의 중앙서버(30)는 실시 예에 따라 NFC태그에 라이팅(Writing)된 차주의 고유한 URL 정보가 리드(read)될 때마다. 푸쉬 메세지(Push message)를 생성하고 차주의 휴대 단말기로 태깅 사실을 보고하여, 차량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50)는 중앙서버(30)와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확인하고 처리하는 단말기로, 차량의 등록현황과 안심번호 매칭현황, NFC 태깅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때에 따라서는 등록된 회원 및 푸쉬 메세지(Push message)와 접속창 오픈시 노출되는 광고영상이나 정보 등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호출자가 소지하고 있고 차주와 통화 연결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써,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혹은 테블릿 PC나 보이스 아피를 구비하여 통화연결이 가능한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이러한 호출자의 휴대단말기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NFC태그에 태깅되었을 때, 차주의 휴대 단말기에 의해 라이팅(Writing)된 URL정보를 읽어들여, 중앙서버(30)가 관리하고 있는 접속창을 오픈한다.
이때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오픈된 접속창의 통화연결 버튼이나 메시지 전송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차주의 연락처 혹은 안심번호가 디스플레이 되면서 차주의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NFC 태그에 안심번호로 차주와 호출자 간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안심번호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차주의 휴대 단말기의 NFC 기능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차량의 NFC 태그에 차주의 휴대 단말기를 태깅한다.
이때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리드(read)된 NFC 태그의 NDEF 메시지를 토대로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없으면 스토어의 URL정보를 토대로 지정된 스토어의 다운로드 창으로 오픈하여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설치가 완료된 원터치 안심번호 앱이 활성화되면, 차주의 휴대 단말기에는 설정창(20b)이 오픈되고, 차주의 이름, 전화번호, 차종, 호출시 전송할 메시지 등등을 입력한다.
이때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설정이 완료된 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고,
중앙서버(30)는 전송받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각의 차주마다 할당되는 고유의 URL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차주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의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NFC 모듈이 라이팅(Writing) 모드로 전환되면서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차량의 NFC 태그에 라이팅(Writing)하고,
상기 NFC 태그는 지정된 영역에 라이팅(Writing)된 차량의 고유한 URL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등록과정을 완료한다.
그리고 이후 차주가 등록이 완료된 NFC태그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고, 차주가 주차를 하게 되면,
호출자가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NFC 태그에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태깅시켜 NFC 태그를 활성화 시키고,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리드(read)한다.
이때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읽어들인 차주의 URL정보를 토대로 지정된 경로로 이동하면서 해당 차주의 접속창이 오픈된다
참고로 중앙서버(30)는 NFC가 태깅될 때마다 혹은 주기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차주의 연락처와 안심번호를 매칭시켜준다.
그리고 이때의 중앙서버(30)는 태깅된 사실을 보고하는 푸쉬 메세지(Push message)를 생성하고, 상기 푸쉬 메세지(Push message)를 차주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태깅된 사실을 보고한다.
참고로 이때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접속창이 오픈되고, 상기 접속창의 통화버튼이나 메시지 전송버튼을 터치하여 중앙서버(30)에 의해 할당된 안심번호로 차주와 호출자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출자가 NFC태그에 태깅하기만 하면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고, 이때 차주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차주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등록과정 진행시 차주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등록모듈(21)과 설정모듈(22)과 생성모듈(23)과 라이팅모듈(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의 등록모듈(21)은 차주의 휴대 단말기(20)의 NFC기능을 활성화하고 MFC 태그(10)에 라이팅(Writing)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들이는 모듈로써,
읽어들인 NDEF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메인화면(20a)을 오픈하여 주고,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스토어 URL정보를 토대로 다운로드 창을 오픈하고, 원터치 안심번호 어플을 설치할 것을 요청한다.
참고로 메인화면(20a)은, 일측에 등록된 설정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락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과, 등록된 설정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연라처 수정 항목과, 중앙서버(30) 및 관리자 단말기(50)를 통해 공지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공지사항 항목과,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를 실행하면서 문의하고자 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자주하는 질문 항목과, 등록 및 사용방법을 확인할 수 있는 이용방법 항목과 운터치 안심번호 어플을 서비스하면서 동의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정보 이용방침 항목이 순차적으로 표출되어 있다.
또한, 설정모듈(22)은 원터치 안심번호 앱 구동시 설정창(20b)을 오픈하고, 오픈된 설정창(20b)에 차주의 이름과, 연락처, 차종, 등의 입력을 요청하는 모듈이다.
참고로 이때 오픈된 설정창(20b)에는 차주의 이름을 입력하는 란과, 연락처를 입력하는 란과,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란과, 차종을 입력하는 란과, 호출자가 받을 메시지를 선택하거나 혹은 입력하는 란과, 안심번호 사용 유무를 선택할 수 있는 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입력이 완료되었을 경우 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여 차량 등록을 완료하는 등록완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생성모듈(23)은 설정창(20b)의 등록완료버튼 동작시 오픈된 설정창(20b)에 입력되어 있는 차주의 이름, 연락처, 차종 등등의 설정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할당된 차주 고유의 URL정보를 요청하는 모듈이다.
또한, 라이팅모듈(24)은 등록창(20c)을 오픈하고, 휴대 단말기가 내장하고 있는 NFC모듈을 활성화시켜 상기 생성모듈이 확보한 차주 고유의 URL정보를 NDEF 메시지로 변환한 후 차량의 NFC태그에 라이팅(Writing)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와,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NFC 태그에 태깅되는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 및 이의 구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40)는 접속모듈(42)과, 연결모듈(43)과, 입력모듈(41)과, 리포팅모듈(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접속모듈(42)은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가 차량의 NFC태그에 라이팅되어 있는 NDEF 메시지를 읽어들여 분석하고,
차주의 고유한 URL 정보를 확보하여 지정된 URL주소로 이동하여 접속창을 오픈하여 주는 모듈이다.
이때의 접속창(40a)은 차주의 이름 혹은 차량번호가 디스플레이되고, 하부에는 차주와 연결하는 전화히기 버튼과, 차주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메시지 보내기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모듈(43)은 접속모듈(42)에 의해 오픈된 접속창(40a)에 형성되어 있는 전화하기 버튼 혹은 메시지 보내기 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연결창(40b)을 오픈하여 주고 중앙서버(30)에 의해 할당된 안심번호 혹은 차주의 연락처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듈이다.
이때의 연결창(40b)은 상부에 안심번호 혹은 차주의 연락처가 디스플레이되고, 하부에는 복수 개의 숫자버튼 또는 문자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모듈(41)은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가 태깅되었을 때, NFC태그에 라이팅되어 있는 NDEF 메시지를 읽어들여 분석하여 입력창(40c)을 오픈하고,
오픈된 입력창(40c)에 NFC 태그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모듈이다.
참고로 이때 입력된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번호라면 접속모듈(42)에 의해 통화연결 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창(40a)을 오픈하여 주고, 그렇지 않으면 차단하여 준다.
참고로 이때의 입력모듈(41)은 NFC 태그(10)에 라이팅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들여 분석하기 위한 것이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NFC 태그(10)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촬영하고 이를 판단한 결과 오픈되어지는 입력창이거나
혹은 NFC태그(10) 일측면에 프린트된 URL 정보가 앱 페이지 상에 입력되면 오픈되는 창이다.
즉 상기 입력모듈(41)은 NFC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휴대 단말기도 입력창을 오픈하여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리포팅모듈(44)은 상기 입력모듈(41) 혹은 접속모듈(42)에 의해 NFC태그에 라이팅된 정보를 읽어들여 분석된 URL정보에 따라 지정된 경로로 이동하여 접속창 혹은 입력창이 오픈되면서 중앙서버(30)에 접속한 사실을 보고하는 모듈이다.
이때의 중앙서버(30)는 푸쉬 메세지(Push message)를 생성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주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차주가 자신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서버(30)와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50)는, 도 9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시 관리지 페이지 상에, 등록된 사용자 수와, 등록된 차량수와, 안심번호 사용수와, 금일 NFC에 태깅된 횟수를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의 대쉬보드(Dashboard) 버튼과,
검색란과 함께 규격화된 표에 가입자의 이름 연락처, 차량번호와 안심번호 서비스여부와 가입일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차량등록현황버튼과,
검색란과 함께 규격화된 표에 전화번호와, 안심번호와, 상기 안심번호의 만료시간과, 태깅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NFC태깅현황버튼이 형성되어 있어,
관리자가 중앙서버(30)에 접속하여 언제 NFC태깅이 이루어지고 매칭되었는지 그리고 해지되었지와 등록된 가입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회원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출가 별도의 접속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휴대 단말기를 NFC태그에 태깅하기만 하면, 안심번호로 차주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고, 접속사실을 푸쉬 메세지(Push message)로 안내받아 자신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차량의 NFC태그 20: 차주의 휴대 단말기
20a:메인화면 20b:설정창
20c:등록창 21:등록모듈
22:설정모듈 23:생성모듈
24:라이팅모듈 30: 중앙서버
40: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 40a: 접속창
40b: 연결창 40c: 입력창
41: 입력모듈 42: 접속모듈
43: 연결모듈 44: 리포팅모듈
5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0)

  1. 차량의 NFC 태그 태깅시 리딩(Reading)된 스토어의 URL정보를 토대로 지정된 원터치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입력된 차량 번호와 차주의 연락처를 토대로 고유번호를 발급받아 생성된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차량의 NFC태그에 라이팅하는 차주의 휴대 단말기;
    차량에 설치되고, 지정된 영역에 차주의 휴대 단말기에 의해 라이팅된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NFC태그;
    상기 NFC태그에 라이팅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들여 접속창을 오픈하고, 상기 접속창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을 동작시 안심번호로 차주의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
    안심번호를 차주의 연락처와 매칭시켜 상기 안심번호로 차주의 휴대 단말기와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도록 서비스하는 중앙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서버는 차량의 등록현황, 안심번호 매칭현황, NFC 태깅 현황을 데이터베스화하고 있고,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중앙서버로부터 NFC태그가 태깅되었다는 사실을 푸쉬메시지로 보고받아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NFC태그에는 QR코드 혹은 URL주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NFC 태그에 라이팅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들여 NDEF메시지를 분석하고,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스토어 URL정보를 토대로 다운로드 창을 오픈하고, 원터치 안심번호 어플을 설치할 것을 요구하는 등록모듈과,
    설정창을 오픈하고, 오픈된 설정창에 차주의 이름과, 연락처, 차종 및 메시지 입력을 요구하는 설정모듈과,
    설정창에 입력된 차주의 이름, 연락처, 차종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할당된 차주 고유의 URL정보를 요청하는 생성모듈과,
    등록창을 오픈하고, 휴대 단말기가 내장하고 있는 NFC모듈을 활성화시켜 상기 생성모듈이 확보한 차주 고유의 URL정보를 NDEF 메시지로 변환한 후 차량의 NFC태그에 라이팅하는 라이팅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차량의 NFC태그에 라이팅되어 있는 NDEF 메시지를 읽어들여 분석하고, 차주의 고유한 URL 정보를 확보하여 지정된 접속창을 오픈하는 접속모듈과,
    상기 접속모듈에 의해 오픈된 접속창의 전화하기 버튼 혹은 메시지 보내기 버튼을 터치되었을 때, 연결창을 오픈하여 주고 중앙서버에 의해 할당된 안심번호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NFC태그에 라이팅되어 있는 NDEF 메시지를 읽어들여 분석하여 입력창을 오픈하여 차량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번호라면 접속모듈에 의해 통화연결 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창이 오픈되도록 하는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모듈은, NFC 태그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판독하거나 혹은 NFC태그의 일측면에 인쇄되어 있는 URL 정보입력시 입력창을 오픈하여 주고,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번호라면 접속모듈에 의해 통화연결 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창이 오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입력모듈 혹은 접속모듈에 의해 NFC태그에 라이팅된 정보를 읽어들여 접속창 혹은 입력창이 오픈되면서 중앙서버에 접속한 사실을 보고하는 리포팅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시스템
  10. 차주의 휴대 단말기의 NFC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차량의 NFC 태그에 차주의 휴대 단말기를 태깅하는 단계와,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NFC 태그의 리드된 스토어의 URL정보를 토대로 지정된 스토어의 다운로드 창으로 오픈하고 원터치 안심번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오픈된 설정창에, 차주의 이름, 전화번호, 차종, 호출시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와,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설정이 완료된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중앙서버는 전송받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각의 차주마다 할당되는 고유의 URL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차주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차주의 휴대 단말기는 라이팅 모드로 전환되면서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NFC 태그에 라이팅하는 단계와,
    상기 NFC 태그는 라이팅된 차량의 고유한 URL정보를 지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플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호출자의 차량 단말기가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NFC 태그하여,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차주의 고유한 URL정보를 리드하는 단계,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리드된 차주의 URL정보를 토대로 지정된 경로로 이동하면서 해당 차주의 접속창이 오픈하는 단계와,
    중앙서버는 NFC가 태깅될 때마다 혹은 주기적으로 안심번호를 생성하고 이를 등록되어 있는 차주의 연락처와 매칭시켜주는 단계와,
    호출자의 휴대 단말기는 접속창의 통화버튼이나 메시지 전송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안심번호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KR1020160010861A 2016-01-28 2016-01-28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0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861A KR20170090244A (ko) 2016-01-28 2016-01-28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861A KR20170090244A (ko) 2016-01-28 2016-01-28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244A true KR20170090244A (ko) 2017-08-07

Family

ID=5965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861A KR20170090244A (ko) 2016-01-28 2016-01-28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2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630A (ko) 2018-06-02 2019-12-11 문종하 차량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 안심전화번호 시스템
KR20200048361A (ko) * 2018-10-30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973221B2 (en) 2017-12-26 2024-04-30 Posco Holdings Inc.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3221B2 (en) 2017-12-26 2024-04-30 Posco Holdings Inc.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90137630A (ko) 2018-06-02 2019-12-11 문종하 차량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 안심전화번호 시스템
KR20200048361A (ko) * 2018-10-30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51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interaction
CN109618306B (zh) 一种通信方法、服务器和通信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208455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wireless terminal device
CN104484114A (zh) 数据转移方法、移动终端及数据转移系统
JP2006350450A (ja) 決済システム、決済端末、ユーザ端末及び決済方法
KR2012000276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운전자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US10602021B2 (en) Authentication sett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20519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electronic visitor registration
KR20170090244A (ko)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9072207A1 (en) ELECTRONIC MESSAGING DEVICE AND ELECTRONIC MESSAGING METHOD
JP2006191384A (ja) 移動機及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CN108055293A (zh) 应用程序中业务快速启动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US9357060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which makes it possible to establish telecommunications with a vehicle user by means of the number plate
CN106375612A (zh) 一种保护隐私的移车系统及其移车方法
KR20210152128A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자동차 안심번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12802214A (zh) 用于连接车载单元的方法、用户设备和etc系统
KR200701046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 연결 장치 및 방법
KR20160087587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571107B1 (ko) 주차 또는 정차된 자동차의 운전자를 호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운전자 호출서버 및 운전자 호출 시스템
KR20130108849A (ko) 오답노트 제공 방법
KR20170030267A (ko) Nfc 태그를 이용해 차량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연락을 제공하는 차량 운전자 연락 시스템
KR101766759B1 (ko)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nfc 기반 차량 상황 알림 서비스 시스템
EP322354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remote from a vehicle
US855418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call
KR20230138662A (ko) 주차번호판 임시번호 표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