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849A - 오답노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오답노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849A
KR20130108849A KR1020120030638A KR20120030638A KR20130108849A KR 20130108849 A KR20130108849 A KR 20130108849A KR 1020120030638 A KR1020120030638 A KR 1020120030638A KR 20120030638 A KR20120030638 A KR 20120030638A KR 20130108849 A KR20130108849 A KR 2013010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correct
code
corre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223B1 (ko
Inventor
박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트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트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트펍
Priority to KR102012003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2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답노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답노트 제공 방법은, 인식코드를 인식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부호화된 식별코드와 해당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한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문제지의 특정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문제가 맞은 경우에 상기 서버로 상기 인식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와 매핑된 문제설명 자료를 요청하고,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 상기 서버로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오답노트 자료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답노트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Error Note}
본 발명은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를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식별하여 상기 문제가 맞은 경우에는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를 출력하되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는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오답노트 자료를 출력하는 것이다.
학습지에 인식코드를 인쇄한 후에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한 단말기로 상기 인식코드와 매핑된 광고 자료나 학습 자료(예컨대, 동영상 강의)를 전송해주는 QR기반의 학습 자료 제공 서비스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QR기반 학습 자료 제공 서비스는 상기 인식코드에 부호화된 코드 또는 코드의 조합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제공할 학습 자료를 식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동일한 인식코드를 인식한 경우에는 동일한 학습 자료가 제공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의해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자료를 선별적으로 제공되기에는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 상에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부호화된 식별코드와 해당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한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를 매핑하여 저장한 후,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단말을 통해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를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문제가 맞은 경우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되,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오답노트 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답노트 제공 방법은, 인식코드를 인식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부호화된 식별코드와 해당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한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문제지의 특정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문제가 맞은 경우에 상기 서버로 상기 인식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와 매핑된 문제설명 자료를 요청하고,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 상기 서버로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오답노트 자료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답노트 제공 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상기 확인된 드로잉 패턴의 형태를 판독하여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답노트 제공 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문제를 맞은 것으로 간주하거나 또는 틀린 것으로 간주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상기 설정된 정책을 근거로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답노트 제공 방법은,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지정된 단말기로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시점에 학습자가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를 맞혔는지 또는 틀렸는지 식별한 후, 상기 문제를 맞힌 학습자에게는 해당 문제를 설명하는 자료를 제공하되, 상기 문제를 맞히지 못한 학습자에게는 해당 문제에 대한 오답노트를 선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문제지의 문제영역에 동일하게 인쇄된 인식코드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따라 서로 다른 자료를 제공하는 맞춤형 오답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라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라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서버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단말 측에 구현되거나, 반대로 단말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무선단말(100)과 애플리케이션(1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Pattern Code)를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를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를 식별하여 상기 문제가 맞은 경우에는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를 출력하되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는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오답노트 자료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구성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115)과 무선단말(100)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1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제어부(101)와 메모리부(110)와 화면 출력부(102)와 키 입력부(103)와 사운드 처리부(104)와 카메라부(105)와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과 USIM 리더부(109)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06)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5) 구성을 본 제어부(1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2)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화면출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03)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키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키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04)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및 이를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부(105)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105)는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를 촬영하며, 상기 인식코드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사용자 드로잉 패턴을 더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에 접속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은 상기 무선단말(100)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통합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109)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09)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5)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다.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115)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을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 미리 구동 중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105)를 통해 촬영되는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부호화된 식별코드와 해당 문제영역에 대한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200)에 접속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문제지의 특정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인식코드 인식부(120)와, 상기 인식코드가 인식된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오답/정답 식별부(140)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을 확인하는 드로잉 패턴 확인부(125)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문제를 맞은 것으로 간주하거나 또는 틀린 것으로 간주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정책 설정부(130)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13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인식코드 인식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05)를 통해 촬영되는 화상/영상 중에서 문제지의 특정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인식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인식코드에 부호화된 식별코드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코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 가능한 이미지 상에 데이터가 부호화되는 코드화 이미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규격의 2차원 바코드, 데이터매트릭스 규격의 2차원 바코드, PDF-417 규격의 2차원 바코드, 맥시코드 규격의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인식코드가 상술된 규격의 코드화 이미지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소정의 데이터를 지정된 규칙에 따라 부호화할 수 있는 모든 규격/방식의 코드화 이미지를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1 정답/오답 판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드로잉 패턴 확인부(125)는 상기 인식코드 인식부(120)가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부(105)를 통해 촬영되는 화상/영상 중에서 상기 인식코드 주변에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드로잉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로잉 패턴은 상기 문제가 맞았을 때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되는 'O'의 드로잉 패턴과, 상기 문제가 틀렸을 때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되는 'X' 또는 '/'의 드로잉 패턴 중 어느 하나의 드로잉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잉 패턴 확인부(125)에 의해 상기 인식코드 주변에 'O'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면, 상기 오답/정답 식별부(140)는 상기 인식코드가 인식된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답을 맞힌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잉 패턴 확인부(125)에 의해 상기 인식코드 주변에 'X' 또는 '/'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면, 상기 오답/정답 식별부(140)는 상기 인식코드가 인식된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하고 오답 처리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정답/오답 판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책 설정부(13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인식코드 주변에 정답/오답 판별을 위해 인식 가능한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문제를 맞은 것으로 간주하거나 또는 틀린 것으로 간주하는 정책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설정되는 정책은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 불특정 하게 드로잉된 패턴이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문제를 맞힌 것으로 간주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되는 조건은 상기와 같은 동일한 조건에 대하여 상기 문제를 틀린 것으로 간주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오답/정답 식별부(140)는 상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문제를 맞은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틀린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정답/오답 판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135)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인식코드 주변에 정답/오답 판별을 위해 인식 가능한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사용자로부터 선택 또는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식 가능한 드로잉 패턴의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오답/정답 식별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제가 맞은 것으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문제가 틀린 것으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에 의해 상기 문제를 맞은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틀린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문제가 맞은 경우에 상기 서버(200)로 상기 인식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와 매핑된 문제설명 자료를 요청하고,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 상기 서버(200)로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오답노트 자료를 요청하는 자료 요청부(145)와,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 처리부(150)를 구비한다.
만약 상기 오답/정답 식별부(140)에 의해 상기 문제가 맞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자료 요청부(145)는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200)로 상기 인식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와 매핑된 문제설명 자료를 요청하고, 상기 출력 처리부(150)는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가 지정된 단말기로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답/정답 식별부(140)에 의해 상기 문제가 틀린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자료 요청부(145)는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200)로 상기 인식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와 매핑된 오답노트 자료를 요청하고, 상기 출력 처리부(150)는 상기 요청된 오답노트 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요청된 오답노트 자료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요청된 오답노트 자료가 지정된 단말기로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라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이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를 인식하면서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식별하여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문자가 맞은 경우에는 문제설명 자료를 제공하되,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는 오답노트 자료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자료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 상에 구현되며, 상기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 중 하나 이상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자료 D/B(225)를 구비하거나 또는 연동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 중 하나 이상을 매핑하여 자료 D/B(225)에 저장하는 코드-자료 매핑부(205)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로부터 상기 인식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와 상기 문제설명 자료와 오답노트 자료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자료코드를 수신하는 자료 요청 수신부(210)와, 상기 자료 D/B(225)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문제설명 자료와 오답노트 자료 중 상기 자료코드에 대응하는 자료를 추출하는 자료 추출부(215)와, 지정된 자료 제공 방식에 따라 상기 추출된 자료를 제공하는 자료 제공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문제지에는 N(N≥1)개의 문제영역이 존재하여, 각 문제영역에는 해당 문제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코드가 부호화된 인식코드가 인쇄되는데, 상기 코드-자료 매핑부(205)는 상기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 중 하나 이상을 매핑하여 자료 D/B(225)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문제설명 자료는, 상기 문제와 관련된 강의 자료, 문제풀이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문서 자료, 이미지 자료, 사운드 자료, 동영상 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답노트 자료는, 상기 문제에 대한 유형풀이 자료, 문제풀이 자료, 상기 유형풀이 문제풀이를 조합한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문서 자료, 이미지 자료, 사운드 자료, 동영상 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문제설명 자료와 오답노트 자료는 동일한 자료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이 상기 문제지의 제n(1≤n≤N)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로부터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제n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를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식별한 후에, 상기 인식된 식별코드와 상기 문제의 오답/정답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와 오답노트 자료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자료코드를 전송하면, 상기 자료 요청 수신부(210)는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와 자료코드를 포함하는 자료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자료 추출부(215)는 상기 자료 D/B(225)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문제설명 자료와 오답노트 자료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문제설명 자료와 오답노트 자료 중에서 상기 자료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를 추출한다.
상기 자료 제공부(220)는 상기 추출된 자료에 대하여 지정된 자료 제공 방식에 따라 상기 추출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를 상기 무선단말(1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에 그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지정된 단말기로 제공한 후에 그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100)로 전송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라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에서 카메라를 통해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를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를 식별하여 상기 문제가 맞은 경우에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서버(200)로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문제설명 자료를 요청하여 이를 제공하되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는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하는 오답노트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카메라를 통해 문제지의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부호화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고(300), 상기 인식코드가 인식되는 과정에서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식별한다(3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문제가 맞았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서버(200)로 상기 인식된 식별코드와 문제설명 자료를 요청하는 자료코드를 전송한다(310).
상기 서버(200)는 지정된 자료 D/B(225)에 상기 식별코드와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으며(315),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와 문제설명 자료를 요청하는 자료코드가 수신되면(320), 상기 자료 D/B(225)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문제설명 자료를 추출하고(325) 지정된 자료 제공 방식에 따라 상기 추출된 문제설명 자료를 제공한 후(330), 상기 무선단말(100)로 상기 문제설명 자료의 제공 결과를 전송하며(335),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문제설명 자료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3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문제설명 자료는 상기 무선단말(100)로 제공되거나,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지정된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제가 틀렸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서버(200)로 상기 인식된 식별코드와 오답노트 자료를 요청하는 자료코드를 전송한다(345).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와 오답노트 자료를 요청하는 자료코드가 수신되면(350), 상기 서버(200)는 상기 자료 D/B(225)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오답노트 자료를 추출하고(355) 지정된 자료 제공 방식에 따라 상기 추출된 오답노트 자료를 제공한 후(360), 상기 무선단말(100)로 상기 오답노트 자료의 제공 결과를 전송하며(365),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오답노트 자료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37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오답노트 자료는 상기 무선단말(100)로 제공되거나,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지정된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100 : 무선단말 105 : 카메라부
115 : 애플리케이션 120 : 인식코드 인식부
125 : 드로잉 패턴 확인부 130 : 정책 설정부
135 : 인터페이스 출력부 140 : 오답/정답 식별부
145 : 자료 요청부 150 : 출력 처리부

Claims (6)

  1. 인식코드를 인식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문제지의 각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에 부호화된 식별코드와 해당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한 문제설명 자료 및 오답노트 자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문제지의 특정 문제영역에 인쇄된 인식코드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문제영역에 대응하는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단계;
    상기 문제가 맞은 경우에 상기 서버로 상기 인식코드로부터 인식된 식별코드와 매핑된 문제설명 자료를 요청하고, 상기 문제가 틀린 경우에 상기 서버로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오답노트 자료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드로잉 패턴의 형태를 판독하여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코드 주변의 드로잉 패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문제를 맞은 것으로 간주하거나 또는 틀린 것으로 간주하는 정책이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정책을 근거로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문제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요청된 문제설명 자료 또는 오답노트 자료가 지정된 단말기로 제공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제공 방법.
  6. 제 1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30638A 2012-03-26 2012-03-26 오답노트 제공 방법 KR10189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38A KR101893223B1 (ko) 2012-03-26 2012-03-26 오답노트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38A KR101893223B1 (ko) 2012-03-26 2012-03-26 오답노트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49A true KR20130108849A (ko) 2013-10-07
KR101893223B1 KR101893223B1 (ko) 2018-08-29

Family

ID=4963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638A KR101893223B1 (ko) 2012-03-26 2012-03-26 오답노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2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55A1 (ko) * 2015-11-26 2017-06-01 박철우 스마트 펜을 이용한 질문 처리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WO2017090856A1 (ko) * 2015-11-26 2017-06-01 박철우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 노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CN112102127A (zh) * 2020-09-09 2020-12-18 上海松鼠课堂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可解释智能学习报告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465A (ko) * 2004-11-09 2006-05-12 김대희 모바일 카메라폰을 이용한 온라인 채점 시스템
KR20110126310A (ko) * 2010-05-17 2011-11-23 에스디 솔루션스(주) 무선 단말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6287A (ko) * 2010-09-09 2012-03-19 (주)스마트쌤 오답관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465A (ko) * 2004-11-09 2006-05-12 김대희 모바일 카메라폰을 이용한 온라인 채점 시스템
KR20110126310A (ko) * 2010-05-17 2011-11-23 에스디 솔루션스(주) 무선 단말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6287A (ko) * 2010-09-09 2012-03-19 (주)스마트쌤 오답관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55A1 (ko) * 2015-11-26 2017-06-01 박철우 스마트 펜을 이용한 질문 처리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WO2017090856A1 (ko) * 2015-11-26 2017-06-01 박철우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 노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CN112102127A (zh) * 2020-09-09 2020-12-18 上海松鼠课堂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可解释智能学习报告生产方法
CN112102127B (zh) * 2020-09-09 2021-06-01 上海松鼠课堂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可解释智能学习报告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223B1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2903A1 (en) Image forming system and program
US10602021B2 (en) Authentication sett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3687061A (zh) 连接建立方法及终端
KR101893223B1 (ko) 오답노트 제공 방법
JP2008172407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1541600B1 (ko)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매체 기반 거래 연동 오티피 제공 방법
KR20150030947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유아용 플레이보드 동작 방법 및 시스템
KR102645447B1 (ko) 카메라장치 등록 방법
KR20170090244A (ko) 차량 nfc태그를 이용한 원터치 안심번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30452B1 (ko) 실물카드의 실시간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모바일 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684100B1 (ko) 엔에프씨 기반 카드의 유효한 비접촉 인터페이스 유도 방법
KR102172855B1 (ko) 사용자의 휴대형 매체를 이용한 매체 분리 기반 서버형 일회용코드 제공 방법
KR102195456B1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모션 기반 무선단말 기능 실행 방법
KR101452167B1 (ko) 개인화된 영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66759B1 (ko)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nfc 기반 차량 상황 알림 서비스 시스템
CN210627378U (zh) 一种基于nfc技术的借阅机
KR20140144772A (ko) 형상 터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2285156B1 (ko) 무선단말 화면 크기 자동 변환 방법
KR102597951B1 (ko) 광학 스탬프 제공 방법
KR20130129029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별 고유번호 칩에 기초한 출석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76545A (ko) 카메라를 이용한 대화형 주문 방법
KR101846684B1 (ko) 근거리 매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 자동화 방법
KR102179428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역방향 가치 적립 방법
CN110807876A (zh) 一种基于nfc技术的借阅机
JP2017049970A (ja) 情報コード読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