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496A -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 Google Patents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496A
KR20170089496A KR1020160009786A KR20160009786A KR20170089496A KR 20170089496 A KR20170089496 A KR 20170089496A KR 1020160009786 A KR1020160009786 A KR 1020160009786A KR 20160009786 A KR20160009786 A KR 20160009786A KR 20170089496 A KR20170089496 A KR 2017008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or
heart rate
humidi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6641B1 (ko
Inventor
정휘수
Original Assignee
정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수 filed Critical 정휘수
Priority to KR102016000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6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8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measuring or weigh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의 체온, 피부 습도(땀), 지팡이를 잡는 손의 악력, 및 심장 박동수(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지팡이 손잡이부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지팡이 손잡이부의 상면부에는 근접센서, 온습도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상면부 또는 일 측면부에 압전센서가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엄지 손가락 안착부에는 심박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근접센서, 상기 온습도센서, 상기 압전센서, 상기 심박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메모리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 지팡이 동작은 절전 모드와 활성화 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만 작동되고, 사람의 손이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부에 안착되는 활성화 모드에서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온습도센서, 압전센서, 심박센서를 활성화시켜 상기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체온 정보, 손바닥의 습도 정보, 손잡이부를 쥔 손바닥의 악력 정보, 및 심박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 지팡이를 쥐고 있는 손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관현된 체온, 습도, 악력, 심박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신체의 활력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노약자의 경우, 지팡이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의 손바닥 온도 변화, 지팡이 손잡이부와 지팡이를 쥐고 있는 손바닥 사이의 습도 변화(땀으로 인한 효과), 지팡이를 쥐고 있는 힘의 정도, 그리고 심박수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 관찰하는 경우 신체 활력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Smart equipment managing health information}
본 발명은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의 체온, 피부 습도(땀), 지팡이를 잡는 손의 악력, 및 심장 박동수(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지팡이 손잡이부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환자 등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지팡이는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길이의 지주부 상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의 그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팡이는 상술한 용도 외에도 최근에는 등산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팡이는 다양한 업체를 통해 지주부의 재질, 종류 및 손잡이의 재질,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출시되고 있지만 기본적인 지팡이의 구성 및 기능은 대동소이하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86861호에서 개시된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제작된 전자식 지팡이와 같이 통신 수단을 구비한 지팡이 등이 개발되어 관련 업계로의 진입 가능 여부를 타진하고 있으나, 현재 상용화된 전자식 지팡이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지팡이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가 제20-2014-0003447호이고 고안의 명칭이 "운동 보조 수단을 구비한 지팡이"이 기술이 아래와 같이 제안된 바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상태, 운동 이력 및 위치 추적 등과 같은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상태의 모니터링 및 신체 컨디셔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지면을 지지하기 위한 봉 형상의 지주부(104); 상기 지주부(104)의 상부에 부착된 전자 모듈부(103); 및 상기 전자 모듈부(103)의 상부에 부착되며,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그립부(101);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부(101)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심박수 정보를 상기 전자 모듈부(103)로 전달하는 심박수 센서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모듈부(103)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 및 추적하기 위한 위치추적 센서부; 총 이동 시간, 총 이동 거리, 현재 이동 속도 및 현재 고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운동이력 기록부; 및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 위치추적 센서부 및 운동이력 기록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6)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101)는 상기 봉 형상의 지주부(104)의 상부에 부착된 전자 모듈부(103)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부(104)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축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지팡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그립부(101)는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할 수 있는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고리부는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및/또는 두 번째 마디에 걸치
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와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및/또는 두 번째 마디가 접촉하는 영역에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의 구성인 심박수 측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101)는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끝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캡(cap)"형태일 수 있다. 상기 "캡" 내부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끝 부분의 피부(즉, 지문이 형성된 영역)가 접촉하는 영역에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의 구성인 심박수 측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101)는 파지한 사용자의 손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의 구성인 심박수 측정부는 상기 그립부(101) 상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팡이의 경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심박수 정보를 상기 전자 모듈부(103)로 전달하기 위한 심박수 센서부(102)는 상기 그립부(101)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심박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심박수 측정부; 상기 측정된 심박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부; 상기 증폭된 심박수 신호로부터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잡음 신호가 제거된 심박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2 증폭부; 및 상기 필터부에 의해 잡음 신호가 제거된 심박수 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계측하는 알고리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를 구성하는 상기 심박수 측정부, 제1 증폭부, 필터부, 제2 증폭부 및/또는 알고리즘부는 심박수 측정과 관련된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통상의 기술자가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에 대한 구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심박수 측정과 관련된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는 상기 지팡이와는 별도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와 상기 전자 모듈부(103)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를 수집 및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지팡이의 그립부(101)를 실질적으로 파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별도의 장치로 제공된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에 의해 사용자의 심박수 신호가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박수 측정부는 금속 전극 센서, 압력 센서 및 적외선 LED 센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LE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LED 센서는 수광 센서와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적외선 LED 센서에서 특정 파장의 빛을 발광하면, 혈관의 혈류량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의 양을 수광 센서에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박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심박수 신호는 상당히 미약하기 때문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제1 증폭부 및 제2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박수 측정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측정된 심박수 신호는 제1 증폭부에 의해 증폭되며, 이렇게 증폭된 신호는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제1 필터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잡음 신호로는 호흡에 의한 기저선 변동, 각종 전자장치로부터의 고주파 잡음, 피부의 움직임,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동잡음, 근육의 활동에 따른 근전도 신호 등 심박수 신호 외의 다양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심박수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고역통과 필터 및 저역통과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역통과 필터와 저역통과 필터는 하나의 필터 세트로서 사용되거나 두 개의 필터를 종속으로 연결하여 구현한 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0.2 Hz 이하의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고역통과 필터; 및 10 Hz 이상의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고역통과 필터"란 어느 특정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신호는 모두 감쇠하도록 하는 필터로서, 본 고안에서는 0.2 Hz 보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고역통과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역통과 필터"란 상기 "고역통과 필터"와는 반대로 어느 특정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신호는 모두 감쇠하도록 하는 필터로서 10 Hz 보다 낮은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에 의해 1차적으로 잡음 신호가 제거된 심박수 신호는 제2 증폭부에 의해 다시 한번 증폭되며, 이렇게 증폭된 신호는 50 ~ 160 bpm의 심박동 에너지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인 0.8 ~ 2 Hz의 범위에 포함되는 심박수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제2 필터부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필터부는 0.5 ~ 5 Hz, 바람직하게는 0.8 ~ 2 Hz 범위의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0.5, 바람직하게는 0.8 Hz 이하의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제2 고역통과 필터 및 5 Hz, 바람직하게는 2 Hz 이상의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제2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에 의해 잡음 신호가 제거된 심박수 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계측하는 알고리즘부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계측된 심박수 정보는 상기 전자 모듈부(103)로 전달, 즉 샘플링된다. 상기 전자 모듈부(103)는 상기 심박수 정보의 처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 및 추적하기 위한 위치추적 센서부; 총 이동 시간, 총 이동 거리, 현재 이동 속도 및 현재 고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운동이력 기록부; 및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 위치추적 센서부 및 운동이력 기록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추적 센서부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로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산출된 위치 좌표에 대한 현재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 센서부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항법신호로부터 현재 위치정보를 출력한다.
주어진 시간에서의 각 위성의 위치는 정밀하게 알려지며, 항법신호는 계속해서 지구에 전송되어 시간(GPS시간)에 대한 공간에서의 위성의 위치를 지시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이 위치정보는 에페메리스 데이터(ephemeris data)로 알려져 있는데, 이 에페메리스 데이터에 부가하여 각 위성에 의해 전송된 항법신호에는 신호가 전송되는 정밀한 시간의 표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항법신호 수신기(즉, GPS 수신기)와 전송 위성간의 거리 또는 범위는 이 시간표시를 사용하여 신호가 수신기에 수신되는 시간을 표시하고, 전달시간 지연량 즉 전송시간과 수신시간의 차를 계산한 후, 지연량에 신호의 전달속도를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결정의 결과 전송위성으로부터 수신기까지의 슈도레인지(pseudorange)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항법신호에 의한 2가지 정보 즉, 4개의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에페메리스 데이터와 슈도 레인지를 사용하여 지구의 중심에 대한 수신기의 위치 및 시간을 수동 삼각 측량 기술(passive triangulation techniques)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슈도레인지는 수신기의 시계가 GPS시간에 정밀하게 동기화되지 않고, 대기를 통한 전달에 의해 항법신호전달에 유도된 지연 등으로 부정확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GPS는 반송파(L1:1575.42 MHz; L2: 1227.6MHz) 전파 슈도랜덤 신호에 대해 2가지 방식의 코드변조를 수행하는데, 제 1 방식은 Coarse/Acqution(C/A) 코드를 이용하며 표준 위치결정 서비스(SPS)라 하고 주로 민용으로 사용되고, 제 2 방식은 정밀 혹은 보호(P) 코드를 이용하며 정밀 위치결정 서비스(PPS)라하며 주로 군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민용 GPS에서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차분 GPS(Differential GPS)등이 사용되는데, DGPS는 기준국(reference station)과 기준국용 GPS 수신기 및 사용자용 GPS 수신기로 이루어진다. 위치가 정확히 측지된 지점에 설치된 기준국에서는 기준국용 GPS 수신기를 사용하여 위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기준국에서는 모든 가시위성에 대한 실제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오차가 포함된 코드정보에 의한 슈도레인지로부터 오차를 계산할 수 있고, 이 오차항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동되는 위치추적 센서부는 GPS 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한 측위정보(즉, GPS 좌표정보)를 근거로 평균 이동속도, 이동거리, 현재 속도, 현재 고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상기 운동이력 기록부에 기록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06)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록되거나 출력되는 정보로는 현재 속도, 평균속도, 최고속도, 고도, 평균고도, 최대고도, 이동시간, 이동거리, 이동거리당 속도, 위.경도의 좌표, 이동 방향 등이 있다.
전자 모듈부(103)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및 휴식기 심박수(resting heart rat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부(103)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및 체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로부터 최대심박수를 예측하고, 상기 심박수 센서부(102)로부터 전달된 상기 심박수 정보가 상기 예측된 최대심박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6)에 경고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수단을 구비한 지팡이는 활동 중인 사용자의 심박수들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가 목표 운동 강도의 범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최대 심박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안내를 해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운동 강도를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자 모듈부(103)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측된 심박수 범위 내에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용어 "운동 강도"는 최대 산소 섭취량 또는 최대 심박수를 100%로 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등산의 경우 최대 심박수의 60 ~ 75%에 해당한다. 이러한 운동 강도는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산 시작 전 휴식기 분당 심박수가 80회인 40대 남성이 60 ~ 75%의 운동 강도로 등산을 할 예정이라면 상기 남성의 목표 심박수(목표 운동 강도)는 하기의 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목표 심박수(목표 운동 강도) 계산
1. 최대 심박수 = 220 - 40 = 180
2. (최대심박수 - 안정시 심박수) × 운동강도 + 안정시 심박수 = 목표 심박수
3. (180 - 80) × 0.6 + 80 = 140
4. (180 - 80) × 0.75 + 80 = 155
즉, 상기 식에 따라 상기 40대 남성은 등산 중 분당 심박수가 목표 심박수인 140 ~ 155이 되도록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전자 모듈부(103)는 사용자에 입력된 신체 정보로부터 최대 심박수 또는 목표 심박수를 자동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된 심박수가 목표 운동 강도의 범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거나 목표 심박수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안내를 해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수단을 구비한 지팡이는 등산 활동 중인 사용자의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가 목표 운동 강도의 범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최대 심박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안내를 해줄 수 있다.
또한, 심장이 약한 건강 이상자 또는 노약자의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록함으로써 이상 현상이 감지될 경우, 응급 센터와 자동으로 연결하거나, 주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 현상이란 응급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심박수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심박수가 과도하게 낮을 경우 또는 심박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현상의 일 예는 상기 전자 모듈부(103)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본인, 사용자의 보호자 및/또는 의료 기관 등에 의해 미리 입력되어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04)의 하부에 지면과 맞닿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1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도1 참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04)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팡이 발(107)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팡이 발(107)의 하부에 지면과 맞닿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1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도 3 참조).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105)는, 탄성체(202); 상기 탄성체(20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주부(104)의 하부와 결합된 가압부(201); 및 상기 탄성체(202)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면과 맞닿는 지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201)에 의해 상기 탄성체(202)로 가해진 힘은 상기 탄성체(202)의 탄성력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상기 지지부(203)는 우레탄, 탄성 고무 및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량을 추가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운동 보조 수단을 구비한 지팡이는 활동 중인 사용자의 심박수들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가 목표 운동 강도의 범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최대 심박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안내를 해줄 수 있다는 점, 활동 중인 사용자의 신체 상태, 운동 이력 및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상태의 모니터링 및 신체 컨디셔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심장이 약한 건강 이상자 또는 노약자의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록함으로써 이상이 감지될 경우, 응급 센터와 자동으로 연결하거나, 주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지팡이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지팡이는 그립부에 배치된 심박수 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만을 수집한다는 점, 그립부에서 분리된 전자 모듈부가 봉 형상의 지주부 상부에 거추장스럽게 부착된다는 점에서 심박수 센서부와 전자 모듈부간의 정보 송수신 구성에 대한 기술적 구현이 불명료하고 전자 모듈부의 탈부착 등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1.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14-0003447호, 고안의 명칭 : "운동 보조 수단을 구비한 지팡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지팡이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지팡이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입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팡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는 물론이고 체온 정보, 지팡이를 쥔 손에서 나오는 땀의 양에 따른 습도 정보, 지팡이를 쥐고 있는 손(또는 손바닥)의 힘에 관한 정보 등을 입체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실효적인 건강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적 사상인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봉 형상의 지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 지팡이 손잡이부의 상면부에는 근접센서, 온습도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상면부 또는 일 측면부에 압전센서가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엄지 손가락 안착부에는 심박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근접센서, 상기 온습도센서, 상기 압전센서, 상기 심박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메모리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 지팡이 동작은 절전 모드와 활성화 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만 작동되고, 사람의 손이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부에 안착되는 활성화 모드에서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온습도센서, 압전센서, 심박센서를 활성화시켜 상기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체온 정보, 손바닥의 습도 정보, 손잡이부를 쥔 손바닥의 악력 정보, 및 심박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부에는 GPS 수신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팡이로 이동하는 사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통신부를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 센서, 상기 압전 센서, 상기 심박 센서를 통하여 입력된 체온 정보, 손바닥 습도 정보, 악력 정보, 및 심박수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설정된 소정의 안전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온 정보, 손바닥 습도 정보, 악력 정보, 및 심박수 정보를 수신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지팡이를 사용하는 사람의 상기 습도, 체온, 악력, 및 심박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근접센서, 상기 온습도센서, 상기 압전 센서, 상기 심박센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부면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안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상기 사용자의 손이 접하지 않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지팡이를 쥐고 있는 손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관현된 체온, 습도, 악력, 심박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2. 특히, 신체의 활력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노약자의 경우, 지팡이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의 손바닥 온도 변화, 지팡이 손잡이부와 지팡이를 쥐고 있는 손바닥 사이의 습도 변화(땀으로 인한 효과), 지팡이를 쥐고 있는 힘의 정도, 그리고 심박수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 관찰하는 경우 신체 활력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3.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지팡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서버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의 보호자 등이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지팡이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관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내지 도 4는 심박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종래 지팡이의 일예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지팡이 손잡이부의 파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지팡이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지팡이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시켜 관리할 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적 사상인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기구는 지팡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각종 센서로 수집한 후 이를 활용하여 지팡이 사용자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팡이의 권장 파지법을 검토한 후, 지팡이를 파지하는 손 또는 엄지 손가락 등의 위치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를 어떻게 배치하고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일반적인 지팡이 손잡이부의 파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일반적인 지팡이의 권장 파지법은 먼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부의 긴봉부위를 쥔 다음 엄지를 손잡이부의 단봉 일 측부에 도면과 같이 가볍게 감싸쥔다.
따라서, 지팡이 손잡이부에 소정의 신체 정보 수집 센서 등이 적절하게 배치된다면 지팡이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팡이 손잡이부에 근접센서, 온습도센서, 압전센서, 심박센서 등을 적절히 배치시켜 사용자의 지팡이 사용 여부, 체온 변화 내지 땀 분비 정도, 지팡이를 쥐는 악력 정보, 및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팡이 사용자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지팡이를 제안하고자 하며 그 구성과 기능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지팡이의 일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지팡이는 대략 봉 형상의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봉 형상의 지주부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손잡이부의 형상은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적 사상이 접목된 경우에는 그 형상의 차이와 무관하게 모두 본 발명에서 보호 받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팡이 손잡이부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를 상부 및 하부 케이스로 구성한 이유는 내부에 후술하는 전장부 등을 내장시키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각종 센서를 상부 또는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시키기 위함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형상이나 그 체결 방식은 다양한 기구적 설계에 의하여 당업자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들 센서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근접 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근접 센서는 비접촉 방식으로 대상물이 근접해 온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자기의 영향으로 내부의 전류가 변화하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한 센서,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시킨 센서, 정전(靜電)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을 이용한 센서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활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근접센서는 지팡이 사용자가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온습도 센서: Temperature-Humidity Sensor]
본 발명의 온습도 센서는 지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바닥 온도와 사용자의 손바닥과 지팡이 손받이부 사이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본 발명의 온습도 센서는 특허출원번호가 제10-2000-0021048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특허출원번호가 제10-2007-0135886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디지털 온, 습도 센서"인 특허 문헌 등에 개시되거나 언급된 센서 제품 이외에도 시판중인 다양한 종류의 온습도 센서를 활용하여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정보, 즉 사용자의 손바닥 온도(체온)와 손바닥의 피부 습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종류의 온습도 센서를 포함한다.
[압전센서]
알려진 바와 같이, 압전센서는 기계적 응력을 걸면 전압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압을 걸면 일그러짐이 발생하는 수정이나 압전 세라믹스 등을 사용한 센서로,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변화하고(압전 효과),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성질을 가진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압전 소자는 특허출원번호가 제10-2010-0017762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압전센서 및 그 제조방법" 등과 같은 특허 문헌에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름 구조의 압전 센서들이 널리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압전 센서는 그 구조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경우 손잡이부에 가해지는 그 손바닥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기능을 갖춘 다양한 종류의 압전 센서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심박 센서]
알려진 바와 같이, 특허출원번호가 제10-2014-0068243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특허 문헌의 도 4에 도시된 심박 센서 또는 광혈류 센서는 광을 이용하여 손가락 등 동맥이 지나는 신체 부위에서 심박수나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를 이용하여 심박수나 산소포화도와 같은 다양한 건강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LED 녹색광을 이용하는 광혈류 센서는 혈관 속의 적혈구가 녹색광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이를 통해 혈류량을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녹색광 흡수량을 감지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근래에 시판되는 휴대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밴드의 경우 이러한 광혈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자신의 건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 널리 사용중인 애플 워치의 경우도 LED 녹색광을 이용한 광혈류 센서를 사용하여 심박수와 같은 신체 건강 정보를 측정하여 제공하고 있음은 물론, 광혈류 센서를 이용한 심박 측정용 마우스도 시판중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 손잡이부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수집을 위해 전술한 근접센서, 온습도센서, 압전센서, 및 심박센서가 손잡이부 외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외주면이란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표면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근접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수집용 센서가 아니라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팡이 손잡이를 파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다음, 본 발명의 온습도 센서는 지팡이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에서 체온 정보, 및 피부 습도(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이다. 온습도 센서는 손잡이부의 상부면에 위치 가능한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손이 감싸지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상, 지팡이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지팡이를 쥔 손의 온도 변화나 손바닥에 묻어 나오는 땀의 양은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바,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한 후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연별로 관리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활동 변화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압전 센서는 지팡이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악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특히 노령자의 경우 지팡이 손잡이를 파지하는 악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한 후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연별 변화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경우 악력(또는 근력이라고 할 수 있음)의 변화 추이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악력 수치에 관한 정보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 상당히 낮은 수치로 반복 수십되는 경우 자팡이 사용자의 외부 활동의 위험성 등을 사전에 경고해 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제공하는 심박 센서는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중에서 엄지 손가락 또는 검지 손가락의 동맥을 흐르는 혈류량을 측정하여 심박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량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심박수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지팡이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엄지 손가락 안착부 또는 검지 손가락 안착부에 제공되어 엄지 손가락 또는 검지 손가락의 동맥을 흐르는 혈류량을 감지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 손잡이부의 경우 그 형상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각종 센서들은 손잡이부의 형상 등에 따른 파지 방법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지팡이 손잡이부의 형상은 대체로 봉형이므로 이러한 경우 파지 상태를 고려하여 근접센서와 온습도센서는 손잡이부의 외주면 중에서 상부면에 배치시키고, 압전센서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 손가락에 휘어지면서 힘을 주는 측면부에 배치시킬 수 있을 것이나, 이는 본 발명 실시를 위한 일예에 불과하고 당업자는 손잡이부 형상에 따라 각종 센서의 부설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서는 지팡이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팡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GPS 수신부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지 않는 부분 예컨대 손잡이부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등과 같은 위치에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후술되겠지만, 본 발명의 GPS 수신부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손잡이 내부에 설치된 전장부의 일 구성 요소인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지금까지 설명한 근접 센서, 온습도 센서, 압전 센서, 심박 센서, GPS 수신부, 및 통신부는 손잡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장부인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손잡이부 하부 케이스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수납부가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지팡이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 연동시켜 관리할 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거치시켜 놓은 경우)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전력 소비를 고려하여 절전모드를 유지한다.
절전 모드의 경우, 제어부는 근접 센서만을 작동시켜 사용자가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며, 사용자의 손이 소정 거리 내에 근접하지 않는 동안에는 절전 모드를 유지한다.
절전 모드에서, 제어부는 온습도 센서, 압전센서, 심박 센서, GPS 수신부의 기능을 비활성 모드로 유지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게 된다.
2.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에 손을 근접시키고 손이 근접 센서의 감지 거리 범이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근접 센서의 감지 정보를 수신한 후 온습도 센서, 압전센서, 심박 센서, GPS 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여 활성 모드로 전환시켜 자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체온, 손바닥의 피부 습도, 지팡이부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악력,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제어부는 온습도 센서, 압전 센서, 심박 센서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체온 정보, 손바닥의 습도 정보, 악력 정보, 및 심박수 정보로 이루어지는 건강 정보를 주기적으로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센서를 통하여 수신한 각종 건강 정보가 메모리부에 기설정된 소정의 습도, 체온, 악력, 및 심박수 정보와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비교 결과 이들 건강 정보가 건강 안전 범위를 이탈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소정의 경고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등을 통하여 소정의 경고음이 송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와 연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팡이의 손잡이부에서 획득한 각종 건강 정보 등은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서버에서는 사용자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월별 계절별 연도별 건강 지수를 저장함은 물론 이상 징후 발생시 그 관련 정보 등을 사용자 휴대 단말기 또는 기등록된 사용자의 보호자 등의 휴대 단말기로 통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원격지에 있는 보호자는 서버를 통하여 전송된 지팡이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지팡이는 지팡이 손잡이부에 사용자의 신체 활동에 따른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체온 정보, 손바닥의 습도 정보, 지팡이를 잡는 손의 악력 정보, 심박수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지팡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지팡이 손잡이부 형상의 차이와 상관없이 모두 본 발명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사항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로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봉 형상의 지주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부에는 근접센서, 온습도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상면부 또는 일 측면부에 압전센서가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엄지 손가락 안착부에는 심박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근접센서, 상기 온습도센서, 상기 압전센서, 상기 심박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메모리부가 제공되고,
    상기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만 작동되고,
    사람의 손이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온습도센서, 압전센서, 심박센서를 활성화시켜 상기 지팡이 손잡이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체온 정보, 손바닥의 습도 정보, 손잡이부를 쥔 손바닥의 악력 정보, 및 심박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GPS 수신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팡이로 이동하는 사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는 통신부를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 센서, 상기 압전 센서, 상기 심박 센서를 통하여 입력된 체온 정보, 손바닥 습도 정보, 악력 정보, 및 심박수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설정된 소정의 안전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정보, 손바닥 습도 정보, 악력 정보, 및 심박수 정보를 수신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지팡이를 사용하는 사람의 상기 습도, 체온, 악력, 및 심박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근접센서, 상기 온습도센서, 상기 압전 센서, 상기 심박센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부면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GPS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의 손이 접하지 않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KR1020160009786A 2016-01-27 2016-01-27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KR10184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86A KR101846641B1 (ko) 2016-01-27 2016-01-27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86A KR101846641B1 (ko) 2016-01-27 2016-01-27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96A true KR20170089496A (ko) 2017-08-04
KR101846641B1 KR101846641B1 (ko) 2018-04-09

Family

ID=5965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786A KR101846641B1 (ko) 2016-01-27 2016-01-27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64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3332A (zh) * 2018-03-21 2018-09-14 深圳市欧辰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拐杖
KR101977982B1 (ko) * 2018-12-06 2019-08-28 김경태 무리한 보행으로 위험한 상황에 놓이는 일을 예방하면서 위험한 상황에 놓였을 때에는 신속하게 구조되게 하는 등산용 스틱.
KR102049898B1 (ko) * 2018-12-07 2019-11-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스마트 지팡이 손잡이
KR20200074840A (ko) * 2018-12-17 2020-06-25 울산과학기술원 지팡이 장치
KR20210156044A (ko) * 2020-06-17 2021-12-2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숟가락
KR102367397B1 (ko) * 2020-11-30 2022-02-2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업 지팡이
KR102537507B1 (ko) * 2022-12-02 2023-05-26 황효식 지팡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1598B2 (ja) * 2009-10-02 2014-03-12 日昭ハイテック株式会社
KR200477554Y1 (ko) * 2014-04-30 2015-06-29 오채연 운동 보조 수단을 구비한 지팡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3332A (zh) * 2018-03-21 2018-09-14 深圳市欧辰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拐杖
KR101977982B1 (ko) * 2018-12-06 2019-08-28 김경태 무리한 보행으로 위험한 상황에 놓이는 일을 예방하면서 위험한 상황에 놓였을 때에는 신속하게 구조되게 하는 등산용 스틱.
KR102049898B1 (ko) * 2018-12-07 2019-11-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스마트 지팡이 손잡이
KR20200074840A (ko) * 2018-12-17 2020-06-25 울산과학기술원 지팡이 장치
KR20210156044A (ko) * 2020-06-17 2021-12-2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숟가락
KR102367397B1 (ko) * 2020-11-30 2022-02-2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업 지팡이
KR102537507B1 (ko) * 2022-12-02 2023-05-26 황효식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641B1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641B1 (ko) 건강 정보 관리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구
US9526433B2 (en) Wrist-mounted electrocardiography device
US9874457B2 (en) Adaptive lifestyle metric estimation
US11160466B2 (en) Heart rate correction for relative activity strain
JP5060186B2 (ja) 脈波処理装置及び方法
EP1511418B1 (en) Body movement monitoring device
US8021312B2 (en) Arran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physical activity level of human being
WO2015188653A1 (zh) 一种能采集多参数健康指标的手环
US20090030289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US20100145171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motion noise robust pulse wave and method thereof
KR20100065084A (ko) 움직임 잡음에 강인한 맥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34666A1 (en) Using skin resistance measurements to determine timing of bio-telemetry measurements
US20150342481A1 (en) Motion compensation for optical heart rate sensors
WO2017182677A2 (en) Enhancing optical cardiac activity measurement
WO2007072239A3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person's heart rate and/or heart rate variation; wristwatch comprising the same
US20180049653A1 (en) Monitoring vital signs
CN203898287U (zh) 一种能采集多参数健康指标的手环
KR200477554Y1 (ko) 운동 보조 수단을 구비한 지팡이
US20160128628A1 (en) Projected capacitive detecting system for detecting human activities
Sayeed et al. Comparison and adaptation of step length and gait speed estimators from single belt worn accelerometer positioned on lateral side of the body
KR100800075B1 (ko) 심박수 산출 방법 및 심박수 측정 장치
CN107334467A (zh) 血压检测手表
US20190098397A1 (en) Wearable device for activity monitoring
JP2014236773A (ja) 生体情報処理装置および生体情報処理方法
Seçkin Multi-sensor glove design and bio-signal data col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