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313A -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313A
KR20170089313A KR1020160009586A KR20160009586A KR20170089313A KR 20170089313 A KR20170089313 A KR 20170089313A KR 1020160009586 A KR1020160009586 A KR 1020160009586A KR 20160009586 A KR20160009586 A KR 20160009586A KR 20170089313 A KR20170089313 A KR 20170089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roller
sheet
space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진
김준영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313A/ko
Publication of KR2017008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G07D11/002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65H2301/42124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by introducing articles selectively from under or above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6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가 소개된다.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는 지폐의 스택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지폐를 스택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해, 회전축을 통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택가이드와, 회전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택축과, 사선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스택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택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STORING BILL APPARATU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폐가 스택공간으로 수납될 때, 지폐의 부정렬을 유도하여 스택공간 내 빈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발급받은 현금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시간에 제약 없이 현금 또는 수표 등의 입출금 거래, 계좌이체 및 조회업무 등을 신속하게 처리해주는 무인단말기이다.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를 보관하는 리사이클 박스(recycle box) 및 리젝트 박스(reject box) 등이 설치된다. 이 중에서 리사이클 박스는 금융자동화기기 내에 장착되어 출금될 지폐를 보관하고 있거나, 입금되는 지폐를 적재하는 환류식 보관함을 일컫는다.
일례로, 리사이클박스는 지폐 입금동작 수행시 푸쉬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지폐 입금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면, 입금되는 지폐가 입금롤러에 의해 확보된 공간으로 투입되어 푸쉬플레이트 상면에 적재되는 한편, 스택가이드 및 스택롤러에 의해 지폐의 투입적재가 보조되도록 하고, 지폐 출금동작 수행시 푸쉬플레이트가 상승하여 그 상면의 지폐가 출금롤러의 저단에 푸쉬되도록 함으로써 적재되어 있던 지폐가 낱장분리 및 출금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다권종 지폐 중에서 작은 크기의 지폐가 넓은 스택공간으로 반입되면, 스택공간에는 작은 사이즈의 지폐가 일측으로 스택되어 스택공간 내에 빈 공간이 발생될 수 있고, 스택불량을 유발하여 지폐의 잼(Jam)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지폐가 스택공간으로 수납될 때, 스택공간 내 빈 공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공개공보 10-2006-0134622 (2006.12.28.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폐의 부정렬을 유도하여 스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는, 지폐의 스택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지폐를 상기 스택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해, 회전축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택가이드; 상기 회전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택축; 및 사선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스택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택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택시트는 상기 스택축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 1 스택시트; 상기 스택축의 일단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스택시트; 및 상기 스택축의 타단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3 스택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택시트 및 상기 제 3 스택시트는, 상기 제 1 스택시트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대향되도록 상기 스택축에 마련되는 스택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롤러 또는 상기 스택롤러에는 상기 지폐의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지폐를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동휠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동휠은 상기 지지롤러의 테두리부 또는 상기 스택롤러의 테두리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폐가 스택공간으로 수납될 때, 지폐의 부정렬을 유도하여 스택공간 내 빈 공간을 줄임으로써, 스택공간을 공간 집약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스택공간 내 스택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10)는, 본체(100), 스택가이드(200), 스택축(310), 스택시트(320) 및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지폐의 부정렬을 유도하여 지폐를 스택공간(101)의 빈 공간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을 위한 지폐의 투입 및 수취가 이루어지는 입출금부와, 지폐의 반송이 이루어지는 반송경로와, 지폐에 대한 비정상권 여부를 감별하는 감별부와, 지폐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지폐류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금융자동화기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고객에게 지폐의 스택이 이루어지는 수납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스택공간(101)에는 크기가 서로 같은 지폐 이외에도, 서로 크기가 상이한 지폐지폐 있다.
본체(100)의 스택공간(101)에는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푸쉬플레이트(110)가 마련될 수 있다. 푸쉬플레이트(110)는 스택공간(101) 내 지폐의 적재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본체(100)의 하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이송롤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롤러(120)는 지폐를 본체(100)로 반송하기 위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롤러(120)는 지폐의 입금시 지폐를 스택공간(101)으로 반송하기 위한 입금롤러 및 핀치롤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송롤러(120)는 입금롤러 및 핀치롤러 이외에도, 지폐를 스택공간(101)으로 반송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지폐를 스택공간(101)으로 안내하기 위한 스택가이드(20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택가이드(200)는 본체(100)의 일측 상부, 다시 말해 스택공간(101)의 일측 상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택가이드(200)의 일단부는 회전축(210)을 매개로 본체(100)의 일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스택가이드(200)의 타단부는 스택가이드(2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스택공간(101) 내 지폐의 투입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택가이드(200)에는 스택시트(320)의 단부가 입출가능한 슬릿(2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스택가이드(200)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20)는 본체(10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스택가이드(200)의 회전 단부를 일정 각도로 제한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스택축(310), 스택시트(320) 및 가이드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스택축(310)은 스택가이드의 회전축(210)과 나란하도록 본체(10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스택축(310)의 적어도 일단에는 회전축(210)의 회전기어(211)에 맞물린 스택기어(3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스택축(310)에는 사선방향으로 스택시트(32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선방향은 지폐의 반입이 이루어지는 지폐 반입방향에 대해 비스듬이 비끼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시트(320)는 날개 형상의 탄성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택공간(101)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을 타격하여 지폐를 스택공간(101)으로 집적할 수 있다. 이 스택시트(320)는 스택풀리(321)를 통해 스택축(3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스택시트(320)는 지폐의 반입방향에 나란하도록 스택축(31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 1 스택시트(320a)와, 스택축(310)의 일단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스택시트(320b)와, 스택축(310)의 타단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 3 스택시트(320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들 제 2 스택시트(320b) 및 제 3 스택시트(320c)는, 제 1 스택시트(320a)를 중심으로 마주보도록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지폐의 스큐(skew)를 유발시킬 수 있고, 이 스큐 발생으로 인해, 지폐는 부정렬되어 스택공간(101)의 빈 공간으로 분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스택시트(320b) 및 제 3 스택시트(320c)는 제 1 스택시트(320a)를 향해 수렴되도록 스택축(310)에 경사지게 배치되지만, 이들 제 2 스택시트(320b) 및 제 3 스택시트(320c)는 스택공간 내 빈 공간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배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제 2 스택시트(320b) 및 제 3 스택시트(320c)는 스택축(310)에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는 본체(100)로 반입된 지폐를 스택공간(101)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지롤러(220) 및 스택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지지롤러(220) 및 스택롤러(330)는 나란하게 배치된 회전축(210) 및 스택축(310)에 각각 설치되어, 반송로(미도시)를 따라 이송되어 온 지폐를 스택공간(101) 내 푸쉬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 적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롤러는 지폐를 푸쉬플레이트(110) 상면으로 적재하기 위한 지지롤러(220) 및 스택롤러(330)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가이드롤러는 지지롤러(220) 및 스택롤러(330) 이외에도, 지폐를 스택공간(101)에 수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는 댐퍼유닛(300)의 회전 각도를 소정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구속수단으로, 지폐의 크기에 따라 댐퍼유닛(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10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거나, 스택가이드(200)의 특정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스토퍼는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택롤러(330')는 지폐의 반송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사선방향)으로 지폐를 안내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택롤러(330')는 스택축(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바디(420)와, 사선방향을 향하도록 롤러바디(4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동휠(41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동휠(410)은 럭비공 형태의 롤러로 이루어져, 롤러바디(420)의 테두리부를 따라 다수개가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지폐의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지폐를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바디(420) 및 피동휠(410)로 구성되는 스택롤러(330')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스택롤러(330')에 대향되게 배치된 지지롤러(220) 또한 롤러바디(420) 및 피동휠(4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폐가 이송롤러에 의해 회전축(210)과 스택축(310) 사이의 반송경로로 반송되면, 지폐는 회전축(210)의 지지롤러(220) 및 스택축(310)의 스택롤러(330)에 의해, 스택공간(101)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지폐가 지지롤러(220) 및 스택롤러(330) 간 오버랩(Overlap) 되는 구간에서 벗어나게 되면, 지폐는 스택시트(320)에 의해 후단이 타격되면서 푸쉬플레이트(110)로 낙하하게 된다.
특히,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듯이, 제 2 스택시트(320b) 및 제 3 스택시트(320c)는 지폐의 반송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사선방향)으로 지폐의 후단을 타격함으로써, 지폐의 스큐(skew)를 유발시킬 수 있고, 이 스큐 발생으로 인해, 지폐는 부정렬되어 스택공간의 빈 공간으로 분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가 스택공간으로 수납될 때, 지폐의 부정렬을 유도하여 스택공간 내 빈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스택공간을 공간 집약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스택공간 내 스택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스택가이드
210 :회전축 220 :지지롤러
310 :스택축 320 :스택시트
330 :스택롤러 410 :피동휠

Claims (6)

  1. 지폐의 스택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지폐를 상기 스택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해, 회전축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택가이드;
    상기 회전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택축; 및
    사선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스택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택시트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시트는
    상기 스택축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 1 스택시트;
    상기 스택축의 일단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스택시트; 및
    상기 스택축의 타단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3 스택시트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택시트 및 상기 제 3 스택시트는,
    상기 제 1 스택시트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대향되도록 상기 스택축에 마련되는 스택롤러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 또는 상기 스택롤러에는
    상기 지폐의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지폐를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동휠이 마련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휠은
    상기 지지롤러의 테두리부 또는 상기 스택롤러의 테두리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1020160009586A 2016-01-26 2016-01-26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20170089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86A KR20170089313A (ko) 2016-01-26 2016-01-26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86A KR20170089313A (ko) 2016-01-26 2016-01-26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313A true KR20170089313A (ko) 2017-08-03

Family

ID=5965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86A KR20170089313A (ko) 2016-01-26 2016-01-26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3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165B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US9592978B2 (en) Medium protection device and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device
KR2008000250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구조
JP6052059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US11475728B2 (en) Open banknote path system
JP2013239075A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6064786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5898041B2 (ja)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KR20170089313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JP6532662B2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GB2602854A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KR20170096443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JP6866806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100080217A (ko) 지폐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US8777222B2 (en) Document stacking
KR20120078054A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10163757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가이드용 댐퍼장치
KR20170089304A (ko) 다권종 지폐 저장 장치
KR20070072247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750932B1 (ko) 지폐류 저장장치
KR101145052B1 (ko) 금융 자동화기기
JP5712876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H07117874A (ja) 紙葉類の分離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紙葉類取扱自動機
KR101440856B1 (ko) 매체 공급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