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270A -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270A
KR20170089270A KR1020160009476A KR20160009476A KR20170089270A KR 20170089270 A KR20170089270 A KR 20170089270A KR 1020160009476 A KR1020160009476 A KR 1020160009476A KR 20160009476 A KR20160009476 A KR 20160009476A KR 20170089270 A KR20170089270 A KR 2017008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cture
server
item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7742B1 (ko
Inventor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정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석 filed Critical 정원석
Priority to KR102016000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742B1/ko
Priority to PCT/KR2016/012970 priority patent/WO2017131326A1/ko
Publication of KR2017008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강의 컨텐츠 및 이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제공하고, 수요자들의 구매 의사가 있는 경우에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동영상 강의를 통해 수요자는 상품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동시에, 동영상 강의에 관련된 상품 등을 바로 구입 및 활용할 수 있어서, 온라인 상거래 제공자는 효과적인 광고,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고, 수요자는 효과적인 소비를 할 수 있어서 온라인 상거래를 효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Method Of Selling Goods Using Supplying On-line Lectur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 상에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강의 컨텐츠 및 이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제공하고, 수요자들의 구매 의사가 있는 경우에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온라인 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몰 등 온라인을 이용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 산업이 활성화되어 있으나, 상품 등을 현장에서 직접 보지 못하고 상품 등의 품질이 보장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대부분이어서, 온라인 거래 사기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어서 온라인 상거래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 이후,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매매하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었으며, 셀 수 없이 많은 온라인 쇼핑몰들이 인터넷상에서 운영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살 수 없는 상품이 없을 정도로 방대한 규모의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나의 상품을 수없이 많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들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품들에 대한 정보는 주로 상품의 사진, 사양 등 평면적인 정보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들은 보다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경로를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다음 구매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렇지 않고 평면적인 상품정보만으로 상품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배달된 상품이 실제와 달라 반품 비용을 내고 반품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아도 그냥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히 상품에 대한 정보를 알고 구매할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고, 평면적인 상품정보만으로 상품을 구매할 경우에는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을 수 있다.
한편, 많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의 유통과정에 따라 가격차이가 많이 나게 되며, 사용자는 동일한 제품을 보다 저렴하게 구매하기 위하여 여러 온라인 쇼핑몰을 방문하여 가격을 비교한 다음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사용자가 일일이 여러 온라인 쇼핑몰을 방문할 경우 시간의 소모가 엄청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해 주기 위해 다양한 가격비교 사이트들이 가격비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가격비교 사이트는 사용자가 저렴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평면적인 상품정보를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구입한 상품이 기대치에 못 미치는 데에 따른 불만을 제거하기는 어렵다.
반면, 홈쇼핑 등에서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 사용방법, 입체적인 상품 외관, 효과, 시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품 정보를 방송시간 동안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품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정해진 시간에 방송하는 상품에 대해서 정해진 가격에만 구매가 가능하므로,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없으므로 선택의 폭이 좁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1838호 등은 온라인 거래 상품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제작하여 수요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단순히 상품과 관련된 세부 사항이나 광고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영상에 그치고 있어서 기존에 제공되던 상품 정보와 별 차이가 없어서 종래에 존재하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수요자가 단순히 홈쇼핑과 마찬가지로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요자가 진정으로 해당 상품을 필요로 하는 이유에 해당하는 상품 활용도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183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강의 컨텐츠 및 이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제공하고, 수요자들의 구매 의사가 있는 경우에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은,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마스터 단말로부터 서버가 업로드(upload) 받는 제1 단계; 상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뉴스 컨텐츠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업로드 받는 제2 단계; 상기 동영상 강의 상에서 활용되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 항목을 상기 서버가 웹 상에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수요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수요자 단말을 통해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상기 서버가 처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헬프 마스터 항목을 상기 수요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헬프 마스터 항목은, 상기 수요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가 가능한 이미지 및 텍스트 타입의 질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상기 강의 컨텐츠와 직접 관련성이 있는 제1 타입과, 상기 강의 컨텐츠와 간접 관련성이 있는 제2 타입으로 나누어 표시한 뒤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강의 컨텐츠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때, 상기 관련 판매 항목을 포함하는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한 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강의 컨텐츠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때,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입력 동작에 따라 상기 관련 판매 항목 포함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임이 표시되도록 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업로드 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판매 항목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서버 측의 수익 보다 상기 마스터 단말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판매 항목이 포함되면 상기 마스터 단말 측의 수익 보다 상기 서버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매 항목과 관련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또는 서비스 별 구매 빈도 정보와 비교하여, 구매 빈도에 비례하여 광고 노출 시간을 길게 한 후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광고 항목을 웹 상에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은,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동영상 강의 컨텐츠 및 뉴스 컨텐츠를 입력받아 웹 상에 업로드(upload)하는 마스터 단말; 수요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수요자 단말 및 상기 업로드되는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강의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 항목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판매 항목 관리부,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수요자 단말의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상기 강의 컨텐츠, 뉴스 컨텐츠 및 판매 항목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상기 마스터 단말 및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메인 서버로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헬프 마스터 항목을 상기 수요자 단말로 제공하는 헬프 마스터 항목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헬프 마스터 항목은, 상기 수요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가 가능한 이미지 및 텍스트 타입의 질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매 항목 관리부는, 상기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상기 강의 컨텐츠와 직접 관련성이 있는 제1 타입과, 상기 강의 컨텐츠와 간접 관련성이 있는 제2 타입으로 나누어 표시한 뒤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강의 컨텐츠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때, 상기 관련 판매 항목을 포함하는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한 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입력 동작에 따라 상기 관련 판매 항목 포함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임이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업로드 받는 리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판매 항목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서버 측의 수익 보다 상기 마스터 단말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하고, 상기 서버 내의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판매 항목이 포함되면 상기 마스터 단말 측의 수익 보다 상기 서버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하는 수익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매 항목과 관련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또는 서비스 별 구매 빈도 정보와 비교하여, 구매 빈도에 비례하여 광고 노출 시간을 길게 한 후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광고 항목을 웹 상에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광고 노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동영상 강의를 통해 수요자는 상품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동시에, 동영상 강의에 관련된 상품 등을 바로 구입 및 활용할 수 있어서, 온라인 상거래 제공자는 효과적인 광고,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고, 수요자는 효과적인 소비를 할 수 있어서 온라인 상거래를 효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마스터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수요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이 웹 상에서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 중 헬프 마스터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이 어플리케이션 타입으로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마스터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수요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은, 마스터 단말(100), 서버(200) 및 하나 이상의 수요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마스터 단말(100), 서버(200) 및 수요자 단말(300)은 통신망을 통해 각종 관련 정보 및 신호를 주고 받는다.
마스터 단말(100)은,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동영상 강의 컨텐츠 및 뉴스 컨텐츠를 입력받아 웹 상에 업로드(upload)를 수행한다. 즉, 마스터 단말(100)은 마스터 측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 등을 입력받는 장치로서 PC, 스마트폰 등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단말(100)은 입력부(120), 통신부(140)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60)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즉, 마스터 단말(10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서 입력부(120)를 구비하는데, 터치 입력 또는 음성 입력, 동영상 업로드 입력, 이미지 업로드 입력 등을 통해 동영상,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해 관련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60)는 마스터 단말(100)이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에 전송하거나 전송 받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요자 단말(300)은 웹 상에서 구현된 항목 등에 대한 수요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요자 단말(300)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20), 통신부(340)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60)를 포함하여 실시도리 수 있다. 즉, 수요자 단말(300)도 마스터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수요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320)를 구비하고,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위한 통신부(340)를 구비하고,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타입으로 나타내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60)를 구비하게 된다.
다음으로 서버(200)의 구성에 대해 도 3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200)는 기본적으로 상기 마스터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여러 컨텐츠를 제공받아 처리한 후 다시 마스터 단말(100)에 제공하거나 수요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판매 항목 관리부(210), 결제 처리부(220), 수익 분배부(240), 리스트 관리부(250), 메인 서버(260), 광고 노출 관리부(265), 회원 관리부(270), 헬프 마스터 항목 관리부(280), 통신부(29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95) 및 데이터 베이스(297)를 포함한다.
판매 항목 관리부(210)는 강의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 항목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즉, 판매 항목 관리부(210)는 마스터 단말(100)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 항목을 생성하여 웹 상에 구현하도록 한다. 웹 상에 구현된 판매 항목은 마스터 단말(100) 및 수요자 단말(300)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부(220)는 판매 항목에 대한 수요자 단말(300)의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즉, 결제 처리부(220)는 웹 상에 생성된 판매 항목에 대한 수요자 측의 선택이 발생한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결제 처리 과정은 일반적인 온라인 상에서의 결제 처리와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260)는 강의 컨텐츠, 뉴스 컨텐츠 및 판매 항목을 수요자 단말(300)에 제공하고, 결제 처리부(220) 및 마스터료 처리부(230)의 처리 결과를 마스터 단말(100) 및 수요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즉 메인 서버(260)는 서버(200) 상에서 처리되는 모든 과정을 마스터 단말(100) 및 수요자 단말(300)에게 제공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200)는 헬프 마스터 항목 관리부(280)를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헬프 마스터 항목 관리부(280)는 헬프 마스터 항목을 수요자 단말(300)에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헬프 마스터 항목은, 수요자 단말(300)을 통해 업로드가 가능한 이미지 및 텍스트 타입의 질의 항목을 포함한다.
즉, 헬프 마스터 항목은 마스터 측에 대한 수요자 측의 질의 항목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타입으로 업로드될 수 있고, 이에 대해 마스터 측은 업로드되는 이미지를 통해 수요측의 질의 내용을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판매 항목 관리부(210)는,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강의 컨텐츠와 직접 관련성이 있는 제1 타입과, 강의 컨텐츠와 간접 관련성이 있는 제2 타입으로 나누어 표시한 뒤 수요자 단말(300)에 제공되도록 판매 항목을 관리할 수 있다.
즉, 판매 항목 관리부(210)는 판매 항목을 웹 상에 구현시켜 수요자 측에 제공할 때, 해당 상품 등이 관련된 동영상 강의 컨텐츠가 있는 지를 해당 판매 항목에 표시하여 수요자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수요자 측에서 해당 판매 항목의 상품 등에 대한 동영상 강의(해당 상품의 제작 방법 등)의 존재 여부 및 동영상 강의를 통한 구매 의사 결정을 기준으로 구매 의사가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 서버(260)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수요자 단말(300)에 제공할 때, 관련 판매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한 후 수요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260)는 수요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입력 동작에 따라 관련 판매 항목 포함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임이 표시되도록 하여 수요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메인 서버(260)는 수요자 측의 소정 동작인 액션(action)에 따라(마우스 이동 등의 조작), 해당 동영상 강의 컨텐츠에 관련된 상품의 판매 항목이 있는지 표시하여 수요자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요자 측에서는 원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시청하는 동시에 이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바로 결정하고 간편하게 구매를 수행할 수 있어서, 제공자와 수요자 측에 모두 효과적이라 할 것이다.
또한, 서버(200)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마스터 단말(100)로부터 업로드 받는 리스트 관리부(250)를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 관리부(250)는 마스터 측에서 해당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관련될 수 있는 판매 가능한 상품, 서비스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200)는 수익 분배부(240)를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는데, 수익 분배부(240)는 리스트 관리부(250)를 통해 관리되는 상품 등에 대한 리스트를 기초로 마스터 측과 서버 측의 수익 비율을 달리 하여 수익을 분배 처리하는 것을 관리한다.
즉, 수익 분배부(240)는 판매 항목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 경우, 판매 항목이 리스트 관리부(250)의 리스트에 포함되면 서버 측의 수익 보다 마스터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이 분배되도록 한다.
또한, 수익 분배부(240)는 서버(200) 내에 구비되는 데이터 베이스(297)에 상기 판매 항목이 포함되면 마스터 측의 수익 보다 서버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이 분배되도록 한다.
즉, 수익 분배부(240)는 판매 항목 관리부(210)에서 생성되는 판매 항목에 포함되는 상품 등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마스터 측에서 해당 판매 항목에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마스터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이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수익 분배부(240)는 판매 항목 관리부(210)에서 생성되는 판매 항목에 포함되는 상품 등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서버(200) 내에 구비되는 자체 데이터 베이스(297)에 저장된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서버 측에서 해당 판매 항목에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이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처리 과정을 통해 마스터 측과 서버 측(운영자) 모두에게 효율적인 수익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200)는 광고 노출 관리부(265)를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광고 노출 관리부(265)는 판매 항목과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데이터 베이스(297)에 저장된 상품 또는 서비스 별 구매 빈도 정보와 비교한다.
광고 노출 관리부(265)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구매 빈도에 비례하여 광고 노출 시간을 길게 한 후 판매 항목에 대한 광고 항목을 웹 상에 생성하여 수요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광고 노출 관리부(265)는 상품 등의 판매 항목에 대한 구매가 발생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287)에 저장하고 저장된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구매 빈도가 높은 상품 등에 대한 광고 노출 빈도를 높게 하여 보다 효과적인 상품 광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회원 관리부(270)는, 마스터 회원, 수요자가 되는 일반 회원의 가입, 유지 및 탈퇴의 과정을 관리한다. 회원 관리 과정은 종래 기술과 유사하게 처리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서버(200)는 마스터 단말(100) 및 수요자 단말(300)과 마찬가지로 통신망을 통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부(290) 및 웹 상에 구현되는 여러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타입으로 나타내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95)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에 대해 도 5 내지 6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5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은,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마스터 단말로부터 서버가 업로드(upload) 받는 제1 단계(S50),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뉴스 컨텐츠를 마스터 단말로부터 서버가 업로드 받는 제2 단계(S51), 동영상 강의 상에서 활용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 항목을 서버가 웹 상에 생성하는 제3 단계(S52), 서버를 통해 동영상 강의 컨텐츠,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수요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4 단계(S53), 수요자 단말을 통해 판매 항목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서버가 처리하는 제5 단계(S54)를 포함한다.
특히 제4 단계(S53)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에 부가되는 헬프 마스터 항목을 수요자 단말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헬프 마스터 항목은, 수요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가 가능한 이미지 및 텍스트 타입의 질의 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서, 질의 항목은 수요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질의 항목에 한정되지 않고, 수요자 측에서 제시된 질의 항목에 대해 마스터 측이 답변을 하고, 또한 마스터 측에서도 상기 질의 항목에 대해 다시 질의 항목을 제시하여 쌍방 간에 질의 및 답변이 가능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요자 측은 물론이고 강사인 마스터 측에서도 질의 사항에 대해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S53)는,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강의 컨텐츠와 직접 관련성이 있는 제1 타입과, 강의 컨텐츠와 간접 관련성이 있는 제2 타입으로 나누어 표시한 뒤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S53)는, 강의 컨텐츠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때, 관련 판매 항목을 포함하는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한 후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S53)는, 강의 컨텐츠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때, 수요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입력 동작에 따라 관련 판매 항목 포함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임이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계(S51)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마스터 단말로부터 서버가 업로드 받을 수 있다. 즉, 이러한 과정은, 동영상 강의 컨텐츠 연관 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마스터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후,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가 이루어지면 리스트에 해당 상품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마스터 측과 서버 측(운영자)의 기여도가 다른 것으로 판단하고 기여도에 따른 수익 배분을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제6 단계(S55) 이후에 판매 항목 상에 있는 상품 등에 대한 판매 수익이 이루어지는 과정인 제7 단계에 대해 도 6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판매 항목에 대한 판매 수익을 분석한다(S66).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마스터 측이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 연관 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수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판매 항목이 마스터 측에서 제공한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7). 만약 판매 항목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는, 판매 항목이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면 서버 측의 수익 보다 마스터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한다(S68).
그리고,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판매 항목이 포함되면 마스터 측의 수익 보다 서버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한다(S69).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마스터 측과 서버 측(운영자 측) 모두에게 효과적인 수익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판매 항목에 대한 광고가 웹 상에서 개시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판매 항목에 대한 광고가 개시될 수 있다.
즉, 판매 항목과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또는 서비스 별 구매 빈도 정보와 비교하여, 구매 빈도에 비례하여 광고 노출 시간을 길게 한 후 판매 항목에 대한 광고 항목을 웹 상에 생성하여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동영상 강의 또는 판매 항목에 해당하는 상품, 서비스에 대한 랭킹 순위(인기 순위)에 따라 해당 동영상 강의 또는 판매 항목에 대한 웹 상의 노출 빈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랭킹 순위(인기 순위)는 단순히 동영상 강의 또는 판매 항목에 해당하는 상품, 서비스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마스터 측인 강사에 대한 것이 될 수 있다. 즉, 해당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들에 대한 랭킹 순위를 정하여 수요자 측 또는 마스터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스터 측인 강사들은 물론이고 수요자 측에서도 인기 강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효율적인 동영상 강의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동영상 강의에 대한 선택 횟수 또는 판매 항목에 대한 판매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선택 횟수 또는 판매량에 비례하여 웹 상의 노출 빈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소정의 기준 횟수 또는 판매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웹 상의 노출에서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요자 측의 요구에 맞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 또는 판매 항목을 효과적으로 개시하여 효과적인 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마스터 측과 수요자 측과의 의사소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SNS(Social Network System)와 연동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에 대한 수요자 측의 SNS를 통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스터 측은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에 대해 SNS를 통한 공유 가능 여부를 해당 동영상 강의 컨텐츠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SNS 연동 방식은 마스터 측 또는 수요자 측의 회원 가입 과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마스터 측 또는 수요자 측에서 회원 가입을 하거나 회원 정보(프로필 등)를 수정, 갱신할 때 SNS의 계정을 연동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터 측 및 수요자 측 모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SNS 연동을 통해 마스터 측과 수요자 측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이 실제로 웹 및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구현된 상태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이 웹 상에서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 중 헬프 마스터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이 어플리케이션 타입으로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에 따르면, 카테고리 영역에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개시하는데 특히 연관 판매 상품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사항을 수요자 측에게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자 측에 의해 선택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 항목이 육아 관련 내용인 경우에, 연관 판매 상품은 육아 관련 상품 및 서버스인 기저귀, 완구류, 보험 상품, 육아 도우미 서비스 등이 될 수 있고, 도 7의 2번 항목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아와 관련된 브랜드를 하나 이상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좌측 카테고리 중 Spot news의 경우에는 마스터 측에서 제공하는 뉴스 컨텐츠 또는 서버 측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뉴스 컨텐츠가 개시되도록 하는 메뉴이다.
다음으로, 도 8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은 마스터 측에서 업로드 한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수요자 측에서 시청한 후 이에 대한 문의를 진행하는 헬프 마스터 과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헬프 마스터 과정인 문의 과정은, 질의 항목을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이에 대한 코멘트를 텍스트로 나타내는 과정에 한정되고, 이는 가장 효과적으로 질의 과정인 헬프 마스터 과정을 처리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상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수요자가 시청한 후 강의에 대한 질의나 요청 사항을 헬프 마스터 항목을 통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제공을 통한 상품 판매 방법이 어플리케이션 상에 구현된 모습을 도 9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타입으로 본 발명이 구현되더라도 기본적인 웹 상의 구성은 유지하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최적화된 메뉴 또는 항목이 채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웹 상에서의 메뉴와는 다르게 상부 메뉴가 주 메뉴가 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페이지가 전환되거나 스크롤을 통해 하부 메뉴가 표시 및 처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마스터 단말 120: 입력부
140: 통신부 16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200: 서버 210: 판매 항목 관리부
220: 결제 처리부
240: 수익 분배부 250: 리스트 관리부
260: 메인 서버 265: 광고 노출 관리부
270: 회원 관리부 280: 헬프 마스터 항목 관리부
290: 통신부 29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297: 데이터베이스 300: 수요자 단말
320: 입력부 340: 통신부
36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Claims (14)

  1.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마스터 단말로부터 서버가 업로드(upload) 받는 제1 단계;
    상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뉴스 컨텐츠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업로드 받는 제2 단계;
    상기 동영상 강의 상에서 활용되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 항목을 상기 서버가 웹 상에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수요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요자 단말을 통해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상기 서버가 처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헬프 마스터 항목을 상기 수요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헬프 마스터 항목은, 상기 수요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가 가능한 이미지 및 텍스트 타입의 질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상기 강의 컨텐츠와 직접 관련성이 있는 제1 타입과, 상기 강의 컨텐츠와 간접 관련성이 있는 제2 타입으로 나누어 표시한 뒤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강의 컨텐츠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때, 상기 관련 판매 항목을 포함하는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한 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강의 컨텐츠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때,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입력 동작에 따라 상기 관련 판매 항목 포함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임이 표시되도록 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업로드 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판매 항목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서버 측의 수익 보다 상기 마스터 단말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판매 항목이 포함되면 상기 마스터 단말 측의 수익 보다 상기 서버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항목과 관련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또는 서비스 별 구매 빈도 정보와 비교하여, 구매 빈도에 비례하여 광고 노출 시간을 길게 한 후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광고 항목을 웹 상에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9.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동영상 강의 컨텐츠 및 뉴스 컨텐츠를 입력받아 웹 상에 업로드(upload)하는 마스터 단말;
    수요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수요자 단말 및
    상기 업로드되는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강의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판매 항목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판매 항목 관리부,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수요자 단말의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상기 강의 컨텐츠, 뉴스 컨텐츠 및 판매 항목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상기 마스터 단말 및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메인 서버로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헬프 마스터 항목을 상기 수요자 단말로 제공하는 헬프 마스터 항목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헬프 마스터 항목은, 상기 수요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가 가능한 이미지 및 텍스트 타입의 질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항목 관리부는, 상기 뉴스 컨텐츠와 판매 항목을 상기 강의 컨텐츠와 직접 관련성이 있는 제1 타입과, 상기 강의 컨텐츠와 간접 관련성이 있는 제2 타입으로 나누어 표시한 뒤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강의 컨텐츠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때, 상기 관련 판매 항목을 포함하는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한 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입력 동작에 따라 상기 관련 판매 항목 포함 강의 컨텐츠와 불포함 강의 컨텐츠임이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업로드 받는 리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판매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 경우, 상기 판매 항목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서버 측의 수익 보다 상기 마스터 단말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하고, 상기 서버 내의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판매 항목이 포함되면 상기 마스터 단말 측의 수익 보다 상기 서버 측에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산정한 후 수익을 분배하는 수익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항목과 관련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또는 서비스 별 구매 빈도 정보와 비교하여, 구매 빈도에 비례하여 광고 노출 시간을 길게 한 후 상기 판매 항목에 대한 광고 항목을 웹 상에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광고 노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KR1020160009476A 2016-01-26 2016-01-26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77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476A KR101777742B1 (ko) 2016-01-26 2016-01-26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6/012970 WO2017131326A1 (ko) 2016-01-26 2016-11-11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476A KR101777742B1 (ko) 2016-01-26 2016-01-26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270A true KR20170089270A (ko) 2017-08-03
KR101777742B1 KR101777742B1 (ko) 2017-09-12

Family

ID=5939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76A KR101777742B1 (ko) 2016-01-26 2016-01-26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7742B1 (ko)
WO (1) WO20171313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144A1 (ko) * 2021-02-08 2022-08-11 주식회사 인프랩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멘토링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231A (ko)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클래스101 온라인 강좌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951B1 (ko) * 2006-08-11 2007-12-17 석윤찬 동영상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홈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78767A (ko) * 2007-07-20 2007-08-01 강민수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1393647B1 (ko) * 2012-01-20 2014-05-13 김양수 웨딩 코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92249B1 (ko) * 2013-02-18 2015-02-17 주식회사 솔트룩스 사용자 맞춤형 광고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309196B1 (ko) * 2014-07-04 2021-10-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144A1 (ko) * 2021-02-08 2022-08-11 주식회사 인프랩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멘토링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742B1 (ko) 2017-09-12
WO2017131326A1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2965B2 (en) Cross-channel personalized promotion platform
US20200286121A1 (en) Network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implementing online commerce
US81759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eProcurement to virtual communities
JP6373980B2 (ja) 売買情報交換装置及び方法
JP2001175766A (ja) 誂え型ショッピングモール構築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3034300A2 (en)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ransaction/distribution services platform for building and managing personalized customer relationships
CN104364809A (zh) 选单层级的推荐及奖励系统
WO2015016767A1 (en) A loyalty system
JP201451468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電子商取引上の商品の価格策定システム
US20110055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consumer aggregation procedure in an electronic network
US200901323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eProcurement to Virtual Communities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1995040B1 (ko)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4709B1 (ko) 사용자 기반 주문형 독립쇼핑몰을 제공하는 통합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페이백 서비스 방법
JP2014225303A (ja) 広告管理方法及び広告管理サーバ
KR20200032573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 기반의 쇼핑몰 운영장치 및 쇼핑몰 운영방법
KR101777742B1 (ko) 온라인 강의 제공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7262A (ko) 정보공급자 제공 상품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상품 판매 및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815360A (zh) 一种能提高线下商家盈利的实体资源共享经济模式
CN112101956A (zh) 一种售后视频直播互动的电子商务平台
KR102394361B1 (ko) 광고 컨텐츠 협업 모델을 갖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JP5922691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CN111222934B (zh) 信息发布方法、装置及计算机系统
KR101370667B1 (ko) 지역정보통합센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시스템 및 방법
TW201005665A (en)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bonus from network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