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945A -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945A
KR20170088945A KR1020177017383A KR20177017383A KR20170088945A KR 20170088945 A KR20170088945 A KR 20170088945A KR 1020177017383 A KR1020177017383 A KR 1020177017383A KR 20177017383 A KR20177017383 A KR 20177017383A KR 20170088945 A KR20170088945 A KR 20170088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transmission power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error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210B1 (ko
Inventor
웨이창 류
통보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0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err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5Calculation of statistics, e.g. average, var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채널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중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 및 에너지 낭비를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본 출원은 2014년 11월 27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출원 제CN 201410714139.2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WiFi(Wireless Fidelity)는 지능형 기기에 의해 널리 사용되는 무선 통신 수단이 되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무선 라우터 또는 이동 전화와 같은 WiFi 기기를 사용하여 3G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WiFi 기능이 내장된 지능형 기기, 즉 WiFi 기기를 핫스팟(hotspot)(소프트 AP)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여행 또는 이동 작업(mobile working)과 같은 이동 환경(mobile environment)에서, WiFi 기기와 인터넷 간의 상호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WiFi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현재, WiFi 기기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핫스팟으로 기능할 때, 일반적으로 고정된 최대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그러나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핫스팟과 국(station, STA) 사이의 채널 상태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핫스팟과 STA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 핫스팟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최대 송신 전력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핫스팟이 여전히 최대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면,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 및 에너지 낭비가 야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의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전력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wireless access point device)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station device)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채널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국 기기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상기 채널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회신하는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채널상에서 상기 국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수신되는 확인응답 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을 상기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매핑 관계는 상기 비교의 결과와 조정 조작 사이에 미리 취득된 매핑 관계이다.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의 결과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다는 것일 때,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작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의 결과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일 때,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큰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송신 전력 조정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송신 전력 조정 장치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정보 취득 모듈 -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채널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정보 취득 모듈에 의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조정 모듈; 및
상기 전력 조정 모듈에 의한 상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은,
상기 국 기기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상기 채널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회신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채널상에서 상기 국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계산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에러율을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정보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조정 모듈은,
상기 정보 취득 모듈에 의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비교 유닛; 및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 - 상기 조정 매핑 관계는 비교의 결과와 조정 조작 사이에 미리 취득된 매핑 관계임 -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의 결과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다는 것일 때,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작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의 결과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일 때,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큰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 및 에너지 낭비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명백히,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줄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결정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송신 전력 결정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당업자가 창의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를 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은 특히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1: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특정한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 정보를 계산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또는 무선 라우터와 같은 핫스팟으로 기능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채널 상태 정보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채널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S102: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상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 예를 들어 이동 전화는, 핫스팟으로 기능할 때,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여,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대응하는 다운링크의 상태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프레임 에러율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신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에 실패할 확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며, 국 기기는 이동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단말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계산을 통해 취득된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채널 상태 정보가 참조 채널 상태 정보보다 우수하고 채널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우, 즉 계산을 통해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낮은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채널 상태 정보가 참조 채널 상태 정보보다 우수하지 않고 채널 상태가 비교적 나쁜 경우, 즉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 송신 전력에 대해 실시간 조정을 구현하여,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S103: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계산을 통해 취득된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 후, 조정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에 따라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동안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 및 에너지 낭비가 방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국 기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채널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회신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을 수신한다.
데이터가 무선 매체상에서 송신될 때 에러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데이터 /ACK(Acknowledgement) 프레임 교환 메커니즘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프로토콜 스위트(protocol suite)에 정의되어 있다. 국 기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정확하게 수신한 경우, 국 기기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을 데이터 송신단, 즉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전송하여, 메시지 프레임이 정확하게 수신되었음을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통지해야 한다는 것이 IEEE 802.11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되어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대응하는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이는 메시지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임을 나타낼 수 있다. 메시지 프레임은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싣고 있는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국 기기에 메시지 프레임을 전송한 후, 국 기기의 응답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고,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국 기기에 의해 회신되는 확인 응답(ACK)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현재 채널의 상태 정보는 ACK 프레임에 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S202: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채널상에서 국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수신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한다.
S203: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프레임 에러율을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로 사용한다.
ACK 프레임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수신된 ACK 프레임에 관한 정보에 따른 통계 수집에 의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에서 데이터 송신에 실패할 확률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프레임 에러율을 취득하고, 프레임 에러율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또한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 기기에 메시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메시지 프레임에 관한 전송 정보, 예를 들어, 전송된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을 기록하고, 국 기기에 의해 메시지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피드백되는 ACK 프레임을 수신하며; 특정 시간 범위, 예를 들어 5분 내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수신되는 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에 대응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취득하고; 프레임 에러율을 채널 상태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또한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국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비 확인응답(non-acknowledgement, NACK) 프레임을 수신하고, 특정 시간 범위 내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NACK 프레임의 수량 및 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에 대한 통계를 수집할 수 있다.
S204: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한다.
조정 매핑 관계는 비교 결과와 조정 조작 사이에, 미리 취득된 매핑 관계이다.
또한,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계산을 통해 취득되는 프레임 에러율을,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와 비교하고,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그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프레임 에러율과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 사이의 비교의 결과가,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다는 것이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제 사용된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작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프레임 에러율과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 사이의 비교의 결과가,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이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된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큰 송신 전력으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계산을 통해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거나 큰 경우, 즉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이 조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 국 기기가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음을 확인했을 때 회신되는 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전력 값이 현재 사용된 송신 전력 값에 대해 연속적으로 가산되거나 감산되어, 송신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큰 경우, 즉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 상태가 비교적 나쁜 경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은 미리 설정된 전력 값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송신 전력을 미리 설정된 하나의 전력 값만큼 증가시키고, 조정 후의 송신 전력에 따라 메시지를 송신하고, 전송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국 기기에 의해 회신되는 ACK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한다. ACK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 즉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송신 전력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다시 증가시킨 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국 기기에 의해 회신되는 ACK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검출한다. 이 단계는, 국 기기에 의해 회신되는 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즉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될 때까지 반복된다.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고정된 송신 전력 값일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전력이 조정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은 고정된 송신 전력 값에 대해 연속적으로 가산 또는 감산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이전 메시지(previous message)를 전송할 때 사용된 송신 전력이며,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이 조정되는 경우, 이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송신 전력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전력 값을 가산 또는 감산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대해 최대 송신 전력 및 최소 송신 전력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이 조정되는 경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크면, 최대 송신 전력이 국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이 최소 송신 전력보다 작으면, 최소 송신 전력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되므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의 송신 전력은 항상 최대 송신 전력 송신 전력과 최소 송신 전력 사이에 속한다. 고정된 송신 전력 값은 최대 송신 전력과 최소 송신 전력 사이의 중간 값, 또는 최대 송신 전력과 최소 송신 전력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S205: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가 T이고, 전력 조정을 위한 최소 스케일, 즉 미리 설정된 전력 값이 d이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 값을 P라고 가정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통계 수집을 통해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 m이 T보다 작으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에 대응하는 현재 채널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 P는 PTx1=P-2d로 조정될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조정 후의 송신 전력 PTx1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채널 상태를 모니터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취득한다. m<T인 것으로 검출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조정 후의 송신 전력 PTx1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계속 전송한다. m> T인 것으로 검출되면, 현재의 채널 상태가 비교적 나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 P는 PTx2=P+d로 조정될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조정 후의 송신 전력 PTx2를 사용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신하고, 채널 상태를 모니터한다.
이에 상응하게,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한 통계 수집을 통해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 m이 T보다 큰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에 대응하는 현재 채널 상태가 비교적 나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경우,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 P는 PTx3=P+2d로 조정될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조정 후의 송신 전력 PTx3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취득한다. m>T인 것으로 검출되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조정 후의 송신 전력 PTx3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 메시지를 계속 전송한다. m<T인 것으로 검출되면, 이는 현재의 채널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경우,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 P는 PTx4=P-d로 조정될 수 있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조정 후의 송신 전력 PTx4를 사용하여 데이터 메시지를 국 기기에 전송하고, 채널 상태를 모니터한다. 즉,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의 송신 전력을 조절할 때, 송신 전력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전력 값을 연속적으로 가산하거나 감산하는 대신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전력 값으로 송신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송신 전력의 신속한 조정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비콘 프레임(beacon frame) 또는 ACK 프레임과 같은 제어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나리오를 제외하고,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나리오에 특히 적용될 수 있으며, 제어 프레임을 전송할 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현재 송신 전력을 조정하지 않고. 여전히 기존의 송신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 복수의 국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복수의 국 기기와 통신할 때, 국 기기에 대응하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에 따라 복수의 국 기기를 구별할 수 있어, 취득된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상이한 국 기기에 대해 상이한 송신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복수의 국 기기와의 연결을 확립하는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복수의 국 기기의 MAC 주소를 취득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MAC 주소에 따라 상이한 국 기기를 구별하고, 복수의 국 기기에 대한 채널에 대응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개별적으로 취득하고, 프레임 에러율에 따라 복수의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의 채널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복수의 국 기기 사이의 채널 중에서 최고의 프레임 에러율을 갖는 국 기기, 즉 최하의 채널 상태를 갖는 국 기기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송신 전력을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으로 항상 사용한다(즉, 모든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할 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최하의 채널 상태를 갖는 국 기기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구현하는 동안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다운링크의 상태에 대응하는 프레임 에러율이 취득될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현재 사용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조정 후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높을 때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낮을 때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메시지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와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결정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전력 결정 장치는 구체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송신 전력 결정 장치는 정보 취득 모듈(11), 전력 조정 모듈(12) 및 메시지 전송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취득 모듈(11)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채널 상태 정보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채널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또는 무선 라우터와 같은 핫스팟으로 기능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조정 모듈(12)은 정보 취득 모듈(11)에 의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이동 전화와 같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핫스팟으로 기능할 때, 정보 취득 모듈(11)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대응하는 다운링크의 상태에 대응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고), 전력 조정 모듈(12)은 정보 취득 모듈(11)에 의해 취득된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프레임 에러율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신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에 실패할 확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며, 국 기기는 이동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단말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조정 모듈(12)이 계산을 통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경우, 전력 조정 모듈(12)은, 채널 상태 정보가 참조 채널 상태 정보보다 우수하고 채널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우, 즉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낮은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력 조정 모듈(12)은, 채널 상태 정보가 참조 채널 상태 정보보다 우수하지 않고 채널 상태가 비교적 나쁜 경우, 즉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 송신 전력에 대해 실시간 조정을 구현하여,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메시지 전송 모듈(13)은 전력 조정 모듈(12)에 의한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력 조정 모듈(12)이 취득된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 후, 메시지 전송 모듈(13)은 조정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에 따라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동안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 및 에너지 낭비가 방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다른 송신 전력 결정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이 송신 전력 결정 장치는 정보 취득 모듈(11), 전력 조정 모듈(12) 및 메시지 전송 모듈(13)을 포함한다.
정보 취득 모듈(11)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채널 상태 정보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채널상의 데이터 전송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또는 무선 라우터와 같은 핫스팟으로 기능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조정 모듈(12)은 정보 취득 모듈(11)에 의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이동 전화와 같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핫스팟으로 기능할 때, 정보 취득 모듈(11)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대응하는 다운링크의 상태에 대응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고), 전력 조정 모듈(12)은 정보 취득 모듈(11)에 의해 취득된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프레임 에러율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신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에 실패할 확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며, 국 기기는 이동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단말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조정 모듈(12)이 계산을 통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경우, 전력 조정 모듈(12)은, 채널 상태 정보가 참조 채널 상태 정보보다 우수하고 채널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우, 즉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낮은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력 조정 모듈(12)은, 채널 상태 정보가 참조 채널 상태 정보보다 우수하지 않고 채널 상태가 비교적 나쁜 경우, 즉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 송신 전력에 대해 실시간 조정을 구현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메시지 전송 모듈(13)은 전력 조정 모듈(12)에 의한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력 조정 모듈(12)이 취득된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 후, 메시지 전송 모듈(13)은 조정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에 따라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정보 취득 모듈(11)은,
국 기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채널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회신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111) -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국 기기에 메시지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 유닛(111)은 그 메시지 프레임에 대한 국 기기의 응답 상태를 모니터하여, 그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회신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 -;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채널상에서 국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수신 유닛(111)에 의해 수신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계산 유닛(112); 및
프레임 에러율을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정보 결정 유닛(1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계산 유닛(112)은 수신된 ACK 프레임에 관한 정보에 따른 통계 수집에 의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에서 데이터 송신에 실패할 확률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프레임 에러율을 취득하고, 정보 결정 유닛(113)은 프레임 에러율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또한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 기기에 메시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수신 유닛(111)은 메시지 프레임에 관한 전송 정보, 예를 들어, 전송된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을 기록하고, 국 기기에 의해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ACK 프레임을 수신하고; 계산 유닛(112)은 특정 시간 범위, 예를 들어 5분 내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수신되는 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에 대응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취득하고; 정보 결정 유닛(113)은 프레임 에러율을 채널 상태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조정 모듈(12)은 구체적으로,
정보 취득 모듈(11)에 의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비교 유닛(121); 및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12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매핑 관계는 비교 결과와 조정 조작 사이에서 미리 취득된 매핑 관계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조정 유닛(122)은 구체적으로,
비교의 결과가,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다는 것일 때,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작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조정 유닛(122)은 또한, 비교의 결과가,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일 때,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큰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력 조정 모듈(12)은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와 동일한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조정을 위한 최소 스케일, 즉 미리 설정된 전력 값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정보 취득 모듈(11)이 계산을 통해 프레임 에러율을 취득하고, 전력 조정 모듈(12)이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거나 큰 것을 검출한 경우, 즉,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메시지 전송 모듈(13)이 메시지 전송에 성공할 때까지, 예를 들어 국 기기가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는 확인응답을 하는 경우에 회신되는 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전력 값을 현재의 송신 전력에 대해 연속적으로 가산 또는 감산하여, 송신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취득 모듈(11)에 의해 취득된 프레임 에러율이 미리 설정된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큰 경우, 즉,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가 비교적 나쁜 경우, 전력 조정 모듈(12)은, 미리 설정된 전력 값에 따라,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송신 전력을 미리 설정된 하나의 전력 값만큼 증가시키고, 메시지 전송 모듈(13)은 조정 후의 송신 전력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메시지에 응답하여 국 기기에 의해 회신되는 ACK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 즉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송될 때까지, 전력 조정 모듈(12)은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 전력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대해 최대 송신 전력 및 최소 송신 전력이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전력 조정 모듈(12)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경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크면, 전력 조정 모듈(12)은 최대 송신 전력이 국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이 최소 송신 전력보다 작으면, 전력 조정 모듈(12)은 최소 송신 전력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전력 조정 모듈(12)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은 항상 최대 송신 전력 송신 전력과 최소 송신 전력 사이에 있다. 고정된 송신 전력 값은 최대 송신 전력과 최소 송신 전력 사이의 중간 값, 또는 최대 송신 전력과 최소 송신 전력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구현하는 동안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다운링크의 상태에 대응하는 프레임 에러율이 취득될 수 있으며,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높을 때 국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 프레임 에러율이 비교적 낮을 때 국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조정 후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데이터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는 수신기(300), 송신기(400), 메모리(200) 및 프로세서(100)를 포함한다. 메모리(200)는 고속 RAM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200)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대응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수신기(300), 송신기(400), 메모리(200) 및 프로세서(100) 사이에는 버스를 사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스 연결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송신 전력 결정 장치의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프로세서(100)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 채널 상태 정보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채널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송신기(400)에 기초하여,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국 기기에 대해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의 계산을 수행할 때, 프로세서(100)는 구체적으로,
수신기(300)를 사용하여, 국 기기가 채널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회신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채널상에서 국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수신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프레임 에러율을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로 사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00)는 구체적으로,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조정 매핑 관계는 비교 결과와 조정 조작 사이에 미리 취득된 매핑 관계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프로세서(100)는 구체적으로,
비교의 결과가,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다는 것일 때,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작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프로세서(100)는 구체적으로,
비교의 결과가, 프레임 에러율이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다는 것일 때,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작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구현하는 동안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비교의 결과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국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오버헤드 및 에너지 낭비가 방지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각 실시예의 설명은 각각에 중점이 있다.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기재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논리 기능 분할일 뿐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feature)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정한 인터페이스(some interface)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인 형태, 기계적인 형태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separate part)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분리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물리적인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통합된 유닛은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에 더해 하드웨어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기기 등) 또는 프로세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로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략함을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의 분할은 설명을 위한 예로 든 것임을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제 구현 시에는, 전술한 기능들은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에 할당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로 분할되어 있다. 전술한 장치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끝으로, 유의할 것은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여전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 방안에 수정을 가하거나 그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동등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10)

  1.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wireless access point device)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station device)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채널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국 기기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상기 채널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회신하는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채널상에서 상기 국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수신되는 확인응답 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을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매핑 관계는 상기 비교의 결과와 조정 조작 사이에 미리 취득된 매핑 관계인, 송신 전력 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의 결과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다는 것일 때,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작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의 결과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일 때,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가,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큰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방법.
  6.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 내에 배치되는 송신 전력 결정 장치로서,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와 국 기기 사이의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정보 취득 모듈 -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채널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프레임 에러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정보 취득 모듈에 의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조정 모듈; 및
    상기 전력 조정 모듈에 의한 상기 조정 후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결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은,
    상기 국 기기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상기 채널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응답하여 회신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채널상에서 상기 국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량 및 특정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확인응답(ACK) 프레임의 수량에 따라,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채널의 프레임 에러율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계산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에러율을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정보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결정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 모듈은,
    상기 정보 취득 모듈에 의해 취득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비교 유닛; 및
    미리 취득된 조정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기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 - 상기 조정 매핑 관계는 비교의 결과와 조정 조작 사이에 미리 취득된 매핑 관계임 -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 정보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의 결과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작다는 것일 때,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작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전력 결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취득된 참조 채널 상태는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의 결과가,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프레임 에러율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일 때, 상기 국 기기에, 데이터를 싣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현재 사용되는 송신 전력보다 미리 설정된 전력 값만큼 큰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전력 결정 장치.
KR1020177017383A 2014-11-27 2015-10-28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983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714139.2A CN105636179A (zh) 2014-11-27 2014-11-27 一种发射功率的确定方法及装置
CN201410714139.2 2014-11-27
PCT/CN2015/093092 WO2016082647A1 (zh) 2014-11-27 2015-10-28 一种发射功率的确定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945A true KR20170088945A (ko) 2017-08-02
KR101983210B1 KR101983210B1 (ko) 2019-05-28

Family

ID=5605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383A KR101983210B1 (ko) 2014-11-27 2015-10-28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21653B2 (ko)
EP (1) EP3217728B1 (ko)
JP (1) JP6510049B2 (ko)
KR (1) KR101983210B1 (ko)
CN (1) CN105636179A (ko)
WO (1) WO2016082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59864A (zh) * 2016-11-29 2017-04-0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终端控制的无线终端以及无线发射功率调整方法
CN106658573B (zh) * 2017-01-10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的发射功率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0237835B1 (en) * 2017-11-06 2019-03-19 T-Mobile Usa, Inc. Temporal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0784906B (zh) * 2019-10-30 2020-1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无线配网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CN112468264B (zh) * 2020-11-06 2023-03-24 深圳市科思科技股份有限公司 高速网络中吞吐量和发射功率优化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3194527B (zh) * 2021-04-28 2023-01-20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Wifi设备及其发射功率调节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825221B (zh) * 2021-08-19 2023-11-17 昆明闻讯实业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及装置
US20230086121A1 (en) * 2021-09-22 2023-03-23 Apple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014A1 (en) * 2001-06-21 2002-12-26 Shoiti Miyamoto Power control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WO2011103513A1 (en) * 2010-02-22 2011-08-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event-triggered access terminal messagin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0776A (ja) * 1991-12-04 1993-06-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通信における同報データ伝送方式
US5383219A (en) * 1993-11-22 1995-01-17 Qualcomm Incorporated Fast forward link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CA2401099C (en) * 2000-02-23 2015-09-08 Tantivy Communications, Inc. Reverse link initial power setting
CN1155182C (zh) * 2001-09-27 2004-06-2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混合自动重传机制的功率控制方法
JP2004032374A (ja) * 2002-06-26 2004-01-29 Fuji Photo Film Co Ltd シャープネス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125288B2 (ja) * 2002-10-01 2008-07-30 富士通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2004274432A (ja) * 2003-03-10 2004-09-3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CN1691533A (zh) 2004-04-21 2005-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
CN100550711C (zh) * 2004-06-07 2009-10-14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自适应调整调制编码方式和/或发射功率的方法及基站
US7711377B2 (en) * 2004-06-10 2010-05-0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106410B (zh) * 2006-07-13 201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输入多输出系统的数据重传方法及数据发送端设备
JP2008028489A (ja) * 2006-07-19 2008-02-07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基地局
CN1889380A (zh) * 2006-07-20 2007-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调整接入点发射功率的方法及系统
JP2008245017A (ja) * 2007-03-28 2008-10-09 Nec Corp 無線基地局装置、リソース割当て方法、リソース割当てプログラム
US8700083B2 (en) * 2007-08-10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based on maximum received signal strength
US8725191B2 (en) * 2007-10-09 2014-05-13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control method of base station, and control program of base station
US20090310593A1 (en) * 2008-06-17 2009-12-17 Qualcomm Incorporated Self-positioning access points
US8225162B2 (en) * 2008-08-26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95051B1 (ko) * 2008-09-23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소프트 핸드오프 환경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01466135B (zh) * 2009-01-16 2010-08-25 清华大学 一种节约无线节点能耗的发射功率调节方法
US8804611B2 (en) * 2009-02-12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owledging successful reception of a data transmission for multi-access compati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25167A (zh) * 2009-06-09 2010-1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接入点设备的功率控制方法和装置
WO2011096764A2 (ko) * 2010-02-08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단말을 이용한 협력 통신 방법
KR101723214B1 (ko) * 2011-11-30 2017-04-06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채널과 다중 송출 전력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 및 셀 형성 방법
CN102781080B (zh) * 2012-07-05 2015-05-06 上海大学 一种无线传感器网络节点入网及运行功率自适应方法
CN103916943A (zh) * 2014-04-09 2014-07-09 东南大学 一种毫米波高速通信中空间复用下的速率自适应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014A1 (en) * 2001-06-21 2002-12-26 Shoiti Miyamoto Power control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WO2011103513A1 (en) * 2010-02-22 2011-08-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event-triggered access terminal mess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32334A1 (en) 2017-11-16
WO2016082647A1 (zh) 2016-06-02
CN105636179A (zh) 2016-06-01
EP3217728A1 (en) 2017-09-13
EP3217728B1 (en) 2020-01-08
KR101983210B1 (ko) 2019-05-28
EP3217728A4 (en) 2017-10-25
JP2017536771A (ja) 2017-12-07
JP6510049B2 (ja) 2019-05-08
US10021653B2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210B1 (ko) 송신 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
CN108200780B (zh) 用于授权辅助接入的退避过程的系统和方法
US107288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able air interfaces
CN110574479B (zh) 随机接入消息发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A3061633A1 (en) Beam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794889B2 (en) Power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30315120A1 (en) Cqi reporting method, cqi acquistion method, system, terminal and base station
JP6805365B2 (ja) 適応伝送方法及び装置
EP3553989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40515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08203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ention window information
US10924206B2 (e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method and base station
KR20160088368A (ko) 데이터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JP2013500644A (ja) 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検出方法及び装置
JP2012074784A (ja) 初期アクセス設定情報生成装置、初期アクセス設定情報生成方法、初期アクセス設定情報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基地局装置
CN110933765A (zh) 竞争窗大小cws调节方法和设备
US9882822B2 (en) Data frame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86452B1 (ko) 채널 품질 지시자 메커니즘을 가진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0121850A (zh) 数据传输的方法、发射端设备和接收端设备
US2020006856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WO2020042034A1 (en) Hybrid harq feedback scheme for self-contained burst on nr-u
CN112970215B (zh) 用于无线网络的动态可靠性目标
WO2023199090A1 (en) Discontinuous transmission detection for harq feedback
CN116367307A (zh) 波束失败确定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