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208A -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208A
KR20170088208A KR1020160008282A KR20160008282A KR20170088208A KR 20170088208 A KR20170088208 A KR 20170088208A KR 1020160008282 A KR1020160008282 A KR 1020160008282A KR 20160008282 A KR20160008282 A KR 20160008282A KR 20170088208 A KR20170088208 A KR 20170088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odium silicate
aqueous solution
superabsorbent resin
ph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김대학
김예지
김의덕
김재헌
심유진
오석헌
이민호
이혜연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8208A/ko
Publication of KR2017008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20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5Differential crosslinking of one polymer with one crosslinking type, e.g. surface 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중합 반응기에서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하여 함수 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하여 제 1분쇄물 중합체를 생성하는 단계, 제 1분쇄물 중합체에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여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분쇄물 중합체를 건조하여 건조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SUPER ABSORBENT 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 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란 자체 무게의 500 내지 1,000 배 정도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합성 고분자 물질로서, 개발업체마다 SAM(Super Absorbency Material), AGM(Absorbent Gel Material) 등 각기 다른 이름으로 명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 흡수성 수지는 생리용구로 실용화되기 시작해서, 현재는 어린이용 종이 기저귀 등 위생 용품 이외에 원예용 토양 보수제, 토목, 건축용 지수재, 육묘용 시트, 식품 유통 분야에서의 신선도 유지제, 찜질 용품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역상현탁중합에 의한 방법 또는 수용액 중합에 의한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역상현탁중합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56-161408, 특개소 57-158209, 및 특개소 57-198714 등에 개시되어 있다. 수용액 중합에 의한 방법으로는 또 다시, 수용액에 열을 가하여 중합하는 열중합 방법, 및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중합하는 광중합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수속도가 향상된 고 흡수성 수지 및 고 흡수성 수지의 흡수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중합 반응기에서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하여 함수 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하여 제 1분쇄물 중합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분쇄물 중합체에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여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건조하여 건조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규산 나트륨을 5.0중량%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3.0phr 내지 5.0phr의 범위로 상기 제 1분쇄물 중합체에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규산 나트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 또는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건조물 중합체를 분쇄하고, 시브(sieve)에 의해 걸러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인 베이스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의 표면을 가교하는 표면 가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스프레이(spray)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 흡수성 수지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고 흡수성 수지는 내부에 흡수성 수지 입자로 형성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외부를 둘러싸며 규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쉘층, 및 상기 쉘층의 외부를 둘러싸는 표면 가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 흡수성 수지의 FSR은 0.3 g/g/s 내지 0.45 g/g/s 의 범위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고 흡수성 수지는 흡수속도(FSR)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고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중합 반응기에서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하여 함수 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하여 제 1분쇄물 중합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분쇄물 중합체에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여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건조하여 건조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하여 함수 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기에 주입하여 중합할 수 있다. 효율적인 공정을 위하여, 연속적인 중합 반응기를 사용하여 연속식으로 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 흡수성 수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벨트 상에 상기 모노머 조성물을 주입하여 중합할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노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노머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고 흡수성 수지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량체이면 어느 것이나 한정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모노머는 크게 음이온성 단량체와 그 염, 비이온계 친수성 함유 단량체, 및 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및 그의 4급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2-아크릴로일에탄 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술폰산 및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단량체 또는 그 염; (메타)아크릴아미드, N-치환(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계 친수성 함유 단량체; 또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또는 그 4급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머 조성물 중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는 중합 시간 및 반응 조건(모노머 조성물의 공급 속도, 열 및/또는 빛의 조사 시간, 조사 범위, 및 조사 강도, 벨트의 너비, 길이 및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40 내지 6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노머의 용해도 및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모노머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 열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공정 과정에서 열중합, 광중합, 또는 열중합 및 광중합을 선택할지에 따라 그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4-(2-히드록시 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 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토페논 유도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벤조인알킬에테르류 화합물; o-벤조일 안식향산 메틸, 4-페닐 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 황화물, (4-벤조일 벤질)트리메틸암모늄 염화물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티옥산톤(thioxanthone)계 화합물;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2-히드록시 메틸 프로피온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 아미드) 등의 아조계 화합물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아조계(azo) 개시제, 과산화물계 개시제, 레독시(redox)계 개시제 또는 유기 할로겐화물 개시제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중합 개시제 중 소디움퍼설페이트(Sodium persulfate, Na2S2O8) 또는 포타시움 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 K2S2O8)를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노머 조성물에서, 광중합 개시제 및 열중합 개시제는 중합 개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면 그 함량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05 내지 0.1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고, 열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0.5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교제는 단량체의 치환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각각 1개 이상 포함하는 가교제, 또는 단량체의 치환기 및/또는 상기 단량체를 가수분해하여 형성된 치환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 이상 포함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교제는 탄소수 8 내지 12의 비스아크릴아미드, 탄소수 8 내지 12의 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탄소수 2 내지 10의 폴리올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탄소수 2 내지 10의 폴리올의 폴리(메타)알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N,N'-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아민, 트리아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노머 조성물에서, 가교제는 가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면 그 함량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교제는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0.5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 각각은 모노머 조성물의 조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 각각은 모노머 조성물에서 가교제의 종류, 함량, 또는 종류 및 함량이 상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합이 완료된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하여 제 1분쇄물 중합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는 상기 함수 겔 중합체를 절단 장치에 투입하여, 커터로 절단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쵸퍼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하여 제 1분쇄물 중합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쇄하는 과정은 상기 절단 장치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절단이 완료된 제 1분쇄물 중합체에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함으로써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상기 제 1분쇄물 중합체의 외표면을 감싸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 흡수성 수지의 수분 흡수를 도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분쇄물 중합체의 외표면을 감싸는 규산 나트륨에 의해 수분 흡수시에 규산 나트륨의 이온화로 고 흡수성 수지 표면의 삼투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의해 고 흡수성 수지 표면에서의 수분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는 단계는 상기 중합된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한 이후와 건조 이전 사이의 단계에 수행될 수 있다.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하기 이전에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게 될 경우, 아직 분쇄되지 않은 함수 겔 중합체의 표면에만 규산 나트륨 수용액이 위치하게 되고, 이를 분쇄할 경우, 분쇄된 제 1분쇄물 중합체의 표면에 규산 나트륨이 미도포되는 부분이 많아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표면에 규산 나트륨 자체가 형성되지 않는 제 2분쇄물 중합체의 비율이 높아져, 수분의 흡수율 상승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중합된 함수 겔 중합체가 분쇄된 이후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함으로써, 규산 나트륨이 도포되는 면적을 넓히고, 이에 의해 수분 흡수율을 매우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규산 나트륨을 5.0중량%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중량% 내지 25중량%의 범위 또는 7.7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조되는 고 흡수성 수지의 수분 흡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분쇄물 중합체에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여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2.0phr 내지 5.0phr의 범위로 제 1분쇄물 중합체에 분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phr 내지 4.0phr 3.25phr 내지 3.75phr의 범위로 분무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조되는 고 흡수성 수지의 수분 흡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 중 규산 나트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또한,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 또는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은 1.59이상 내지 1.69미만 범위의 비중일 수 있고, Na2O : SiO2의 중량%비가 14 내지 15: 36 내지 38일 수 있다. 또한,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은 1.38이상 내지 1.59미만 범위의 바중일 수 있고, Na2O : SiO2의 중량%비가 9 내지 10 : 28 내지 30일 수 있다. 한편,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 및 3호 수용액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일 수 있다.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의 경우, 수용액 상에서 분산이 용이하여 침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 흡수성 수지의 제조과정에서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스프레이(spray) 노즐 방식에 의해 분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노즐 방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용액 상에 규산 나트륨이 희석된 규산 나트륨 수용액이 저장된 탱크를 준비하고, 이를 하이드로 겔 분쇄 직후 분무할 수 있다. 탱크내에 저장되었던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상기 탱크에 연결된 스프레이 노즐에 의해 분무될 수 있고, 상기 함수 겔 중합체가 분쇄되어 제 1분쇄물 중합체가 생성되는 쵸퍼에 분무될 수 있다. 상기 분무는 상기 제 1분쇄물 중합체로 구성된 입자의 전면(全面)에 걸쳐 고르게 분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분쇄물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분무될 수도 있다.
한편,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여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제 2분쇄물 중합체를 건조하여 건조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에 의해 건조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건조기와 가열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풍 건조기, 유동층 건조기, 기류 건조기, 적외선 건조기, 유전가열 건조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열열화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건조를 위하여 100 내지 200℃의 범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추가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분쇄 공정 전에, 가건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분쇄 공정에서 뭉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분쇄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고무상 탄성체를 절단, 압출하는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터형 절단기, 쵸퍼형 절단기, 니더형 절단기, 진동식 분쇄기, 충격식 분쇄기, 마찰형 분쇄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조물 중합체는 추가적으로 분쇄되어, 시브(sieve)에 의해 거르고,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인 베이스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브는 체 또는 그물망 등과 같은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거르고자 하는 건조물 중합체의 사이즈에 따라 체나 필터 등의 사이즈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폴리머의 표면을 가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가교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물 및 에탄올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 흡수성 수지
본 발명의 상기 고 흡수성 수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 흡수성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 흡수성 수지는 내부에 흡수성 수지 입자로 형성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외부를 둘러싸며 규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쉘층을 포함한다. 또한 추가로 상기 쉘층의 외부를 둘러싸는 표면 가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규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쉘층은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한 이후 규산 나트륨 수용액이 분무되어 형성됨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의 외부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상기 쉘에 존재하는 규산 나트륨에 의해 물 등의 흡수시에 규산 나트륨의 이온화에 의해 표면의 삼투압이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고 흡수성 수지 표면에서의 흡수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 흡수성 수지의 FSR은 0.3g/g/s 내지 0.45 g/g/s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33g/g/s 내지 0.40g/g/s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 흡수성 수지의 우수한 수분 흡수능을 나타낼 수 있다.
제조예
50% 가성소다 수용액(NaOH) 77.778g 및 물 88.84g을 혼합한 후 아크릴산 100g, 가교제로 2,2-비스[(아크릴록시)메틸]부틸 아크릴레이트(3EO) 0.23g, UV 개시제로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시드 0.033g을 혼합하여 친수성 단량체의 농도가 45 중량%인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 8.67g에 열 중합개시제인 포타슘 퍼설페이트를 1.33g 용해시켜 3.008g을 단량체 조성물에 혼합하였다.
이후, 단량체 조성물을 40℃ 온도 하에서 UV조사 장치를 통해 3분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UV중합을 진행하여 함수 겔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함수 겔 중합체를 쵸퍼(chopper)로 이송하여 쵸핑(chopping)하였다. 이때 쵸핑된 함수 겔 중합체의 함수율은 50중량%였다.
이후, 함수 겔 중합체에 7.7%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25phr 분무(spray)하였다. 이어서, 함수 겔 중합체를 180℃ 온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함수 겔 중합체를 핀밀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이후, 시브(sieve)를 이용하여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인 베이스 폴리머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베이스 폴리머를 표면 가교 믹서에서 20%에틸렌 카보네이트 수용액을 5pph 비율로 분무하였고, 180℃ 온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건조된 베이스 폴리머를 ASTM규격의 표준 망체로 분급하여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7.7%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2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14.3%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5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7.7%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2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20.3%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75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7.7%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2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25.0%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4.0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7.7%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2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7.7%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3.25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의 7.7%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2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14.3%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3.5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의 7.7%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2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20.0%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3.75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의 7.7%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2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25.0%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4.0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함수 겔 중합체를 쵸퍼(chopper)로 이송하여 쵸핑(chopping)하였다. 이때 쵸핑된 함수 겔 중합체의 함수율은 50중량%였다.
이후, 180℃ 온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함수 겔 중합체를 핀밀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이후, 시브(sieve)를 이용하여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인 베이스 폴리머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베이스 폴리머를 표면 가교 믹서에서 20%에틸렌 카보네이트 수용액을 5pph 비율로 분무하였고, 180℃ 온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건조된 베이스 폴리머를 ASTM규격의 표준 망체로 분급하여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함수 겔 중합체에 20.0%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75phr 분무(spray)하였다. 이후, 분무된 상기 함수 겔 중합체를 쵸퍼(chopper)로 이송하여 쵸핑(chopping)하였다. 이때 쵸핑된 함수 겔 중합체의 함수율은 50중량%였다.
이어서, 함수 겔 중합체를 180℃ 온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함수 겔 중합체를 핀밀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이후, 시브(sieve)를 이용하여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인 베이스 폴리머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베이스 폴리머를 표면 가교 믹서에서 20%에틸렌 카보네이트 수용액을 5pph 비율로 분무하였고, 180℃ 온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건조된 베이스 폴리머를 ASTM규격의 표준 망체로 분급하여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2의 20.0%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7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7.7%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3.25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2의 20.0%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7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14.3%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3.5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비교예 2의 20.0%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3.75phr 분무(spray)한 것 대신 20.0%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3.75phr분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고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베이스 폴리머 각각의 CRC(Centrifuge Retention Capacity), 0.7 psi AUP(Absorbency Under Pressure), 16h EC(Extractable Content), FSR(Free Swelling Rate)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RC, 0.7 psi AUP, 16h EC, FSR 각각은 EDANA WSP 241.2. R3, EDANA WSP 242.2. R3, EDANA WSP 270.2. R3 및 EDANA WSP 210.2. R3 규격으로 측정하였다.
FSR(Free Swelling Rate)은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 측정을 위한 방법이다. 이를 측정하는 방법 미 수치화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고 흡수성 수지를 300~600㎛사이의 사이즈로 분급하여 준비한 후, 100ml 비이커에 생리식염수 50g을 계량하여 넣고, 마그네틱 바를 넣어 600rpm으로 교반한다. 이후, 회오리가 생긴 것을 확인하고, 고 흡수성 수지 2g을 해당 비커에 넣으며, 넣음과 동시에 초시계로 시간을 측정하여 표면에 회오리가 없어지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계산식은 FSR = (생리식염수양/고흡수성 수지양/회오리 없어지는 시간)으로 계산하여 나타낸다.
CRC 0.7 psi AUP 16h EC FSR(g/g/s)
실시예 1 37 23 15 0.35
실시예 2 37 22 13 0.35
실시예 3 37 23 13 0.33
실시예 4 35 24 15 0.33
실시예 5 35 25 13 0.36
실시예 6 35 26 12 0.38
실시예 7 35 25 12 0.40
실시예 8 36 24 14 0.39
비교예 1 38 19 18 0.22
비교예 2 34 26 15 0.27
비교예 3 35 26 15 0.24
비교예 4 36 26 14 0.28
비교예 5 35 26 13 0.28
비교예 1의 경우, CRC가 상대적으로 낮고, AUP 및 EC는 상대적으로 높고, 비교예 2의 경우, CRC가 상대적으로 높고, AUP 및 EC는 상대적으로 낮다.
일반적으로 흡수능은 CRC가 높을수록 우수하고, gel blocking은 AUP가 높고 EC가 낮을수록 초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와 더 높거나 동등한 수준의 CRC값을 가져, 흡수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의 AUP와 동등한 수준이며, 비교예의 EC보다 낮거나 동등한 수준이어서 gel blocking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FSR은 고흡수성 수지 1g이 1초에 흡수하는 생리식염수의 양을 수치화 한 것으로 높은 값을 나타낼 수록, 빠른 흡수속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쵸퍼(chopper)에 의해 쵸핑(chopping)된 함수 겔 중합체에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한 경우, 규산 나트륨을 분무하지 않거나(비교예 1), 쵸핑, 즉, 분쇄 전에 규산 나트륨을 분무한 비교예들(비교예 2 내지 5)에 비해 높은 수치의 FSR값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예들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빠른 흡수 속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 5 내지 8이 더 높은 수치의 FSR값을 가져, 더 빠른 흡수 속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수용액 상에 규산 나트륨의 분산이 용이하여 공정 도입이 용이하고 우수한 FSR값을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중합 반응기에서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하여 함수 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함수 겔 중합체를 분쇄하여 제 1분쇄물 중합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분쇄물 중합체에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여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건조하여 건조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규산 나트륨을 5.0중량%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을 3.0phr 내지 5.0phr의 범위로 상기 제 1분쇄물 중합체에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 나트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3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규산 나트륨 2호 수용액 또는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을 포함하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 나트륨 수용액은 규산 나트륨 3호 수용액인 고 흡수성 수지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 중합체를 분쇄하고, 시브(sieve)에 의해 걸러 평균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인 베이스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머의 표면을 가교하는 표면 가교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분쇄물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스프레이(spray) 노즐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흡수성 수지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 흡수성 수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 흡수성 수지는 내부에 흡수성 수지 입자로 형성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외부를 둘러싸며 규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쉘층; 및
    상기 쉘층의 외부를 둘러싸는 표면 가교층을 포함하는 고 흡수성 수지.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 흡수성 수지의 FSR은 0.3 g/g/s 내지 0.45 g/g/s 의 범위인 고 흡수성 수지.
KR1020160008282A 2016-01-22 2016-01-22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88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82A KR20170088208A (ko) 2016-01-22 2016-01-22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82A KR20170088208A (ko) 2016-01-22 2016-01-22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208A true KR20170088208A (ko) 2017-08-01

Family

ID=5965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282A KR20170088208A (ko) 2016-01-22 2016-01-22 고 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82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241B1 (ko) 고흡수성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59081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흡수성 수지
KR101752384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KR101720309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1513146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80067940A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2817A (ko) 고흡수성 수지
US9433921B2 (en) Method for prepar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KR101745679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KR20150082123A (ko) 고흡수성 수지 제조 방법
KR20180074384A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7942A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03351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고흡수성 수지
KR20180071940A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84701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KR20140092112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60144611A (ko) 고흡수성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JP7305247B2 (ja) 高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KR20210033408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498238B1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55380B1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71933A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8225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220077722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50082098A (ko) 고흡수성 수지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