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053A -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053A
KR20170088053A KR1020160007921A KR20160007921A KR20170088053A KR 20170088053 A KR20170088053 A KR 20170088053A KR 1020160007921 A KR1020160007921 A KR 1020160007921A KR 20160007921 A KR20160007921 A KR 20160007921A KR 20170088053 A KR20170088053 A KR 2017008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nd
extract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098B1 (ko
Inventor
홍승복
김진리
박소영
박정화
Original Assignee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0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황버섯 추출물 15 내지 17 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15 내지 17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천연물질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항균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피부상의 질병유발 혹은 각종 부작용의 발생을 없애고 손 세정을 통해 균을 제거함에 요구되는 충분한 수준의 항균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HAND WASH COMPOSITIONS USING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과 같은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를 비롯해 신종 인플루엔자(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등과 같이 전국적으로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한 질병이 확산되어지는 시점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감염 예방법으로 손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손 씻는 습관의 필요가 매번 설명되곤 한다.
이러한 손의 청결 상태는 곧 사람의 질병 감염에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성분으로 항균 성능을 제공하는 손 세정제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항균 성능을 발휘하는 손 세정제의 경우, 손 세정제를 이루는 각종 성분이 손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장시간 잔류하여 피부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따라 화학적으로 제조되어지거나 특정 독성을 지닌 물질의 사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각종 천연물질들을 활용한 손 세정제의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천연물질로부터 수득되는 항균물질을 활용하여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6113호의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세정제제조방법 및 그 손세정제조성물"(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천연물질을 활용한 손 세정제의 경우, 손 세정제 자체의 독성이나 피부질환 유발의 요인들이 대다수 배제되는 반면 손에 묻은 다양한 세균에 대한 충분한 항균 성능을 제공할 정도의 세정력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일반 병원세균에 대한 항균 성능만을 주목하여 각종 내성균에 대한 충분한 항균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손 세정제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질을 통해 수득되어지는 천연추출물을 활용하여 일반 병원세균을 비롯한 내성균에 대한 항균성능 나타낼 수 있는 손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은,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여기서, 상기 손 세정제 조성물은, 상황버섯 추출물 15 내지 17 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15 내지 17 중량부; 증류수 30 내지 35 중량부; 글리세린 10 내지 13 중량부; 계면활성제 15 내지 18 중량부; 유카(Yucca) 추출물 2 내지 3 중량부; 방향유(Essential Oil) 1 내지 2 중량부; 및 비타민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손 세정제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항균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피부상의 질병유발 혹은 각종 부작용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둘째,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을 각 15 내지 17 중량부의 함량 수준에서 포함함에 따라 손 살균 및 세정을 통해 균을 제거함에 요구되는 충분한 수준의 항균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일반 병원세균에 대한 항균 성능 제공할 뿐 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과 같은 내성균에 대한 항균 성능까지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로부터 추출을 통해 수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 세정제로써, 상황버섯 및 어성초에 존재하는 항균성 물질을 활용하여 천연 세정 및 살균 효과를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손 세정제 조성물 내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 내 항균성 물질을 각종 추출법을 활용하여 수득한 결과물로써,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일반 병원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갖출 뿐 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과 같은 내성균에 대해서도 항균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이들을 병용하여 제조되는 손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 기존의 손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하는 세정력이 대폭 개선되어, 결과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항균성 및 항균범위를 갖추게 된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의 수득 형태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정의 중량 수준으로 마련된 상황버섯 및 어성초에 DDW(deionized distilled water) 혹은 유기용매(100% 에탄올, 70% 에탄올, 100% 메탄올, 70% 메탄올)을 첨가한 뒤 추출기를 이용해 천연물질의 추출을 수행한다.
본 과정에서 바람직하게는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을 70% 에탄올을 이용해 추출하게 되는데,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의 중량 수준을 1 중량부로 설정할 시 70% 에탄올의 중량 수준은 20중량부로 마련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을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에 수준으로 마련된 70% 에탄올에 첨가하여 추출기를 이용해 65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78℃)의 온도환경에서 2 내지 3 시간가량 추출을 수행한다.
그 뒤, 추출이 완료되면 필터를 사용해 필터링을 거치고, 이와 같이 필터링이 완료된 추출물을 농축기를 이용해 사용된 유기용매가 모두 증발하여 날아갈 때까지 농축시킨 뒤 동결 건조기를 이용해 분말의 형태로 마련한다.
이와 같이 각각 추출된 분말형태의 상황버섯 및 어성초 추출물은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Dimethyl sulfoxide)에 용해되어 100mg/ml의 농도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손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앞서 설명한 추출과정을 거쳐 마련된 추출물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 추출물의 추출과정에서 상황버섯 및 어성초 1 중량부에 대해 70% 에탄올 20 중량부가 첨가되어 65 내지 100℃의 온도환경에서 2 내지 3 시간가량 추출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각 조건부가 미만의 수준으로 마련될 경우 용매가 천연물질 내에 충분히 침투되지 못해 유효성분인 항균물질의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전체 수율이 낮아지고 추출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각 조건부가 초과의 수준으로 마련될 경우 항균물질외의 무효성분, 특히 항균성을 오히려 격감시킬 수 있는 성분 역시 과량 추출되어 항균성에 제공함에 이상이 발생하고 항균물질의 수율 증가폭이 미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각각 15 내지 17 중량부의 함량 수준을 가지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15 중량부 미만으로 마련될 경우 충분한 항균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며, 17 중량부를 초과하여 마련될 경우 항균 성능의 증가폭이 미비하며 손 세정제로써 제형(劑形) 형성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손 세정제 조성물은 농도 및 용해성의 조절을 위해 증류수 30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의 흡습성, 유화성, 분산 및 발포성, 및 세정성능의 부가 등을 위해 계면활성제 15 내지 18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는 해당 함량 수준이 미만 혹은 초과하여 마련될 경우, 상황버섯 및 어성초 추출물과 같은 천연추출물을 통한 항균성능의 온전한 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 이와 같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손 세정제 조성물은 손 세정제의 사용자의 피부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하기 위해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글리세린은 10 내지 13 중량부로 마련되어 보습성능을 부가하되,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의 충분한 항균성능의 온전한 제공을 저해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기능성 첨가제로써, 유카(Yucca) 추출물, 방향유(Essential Oil) 및 비타민 첨가제 등의 추가로 첨가되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한 함량 수준은 유카(Yucca) 추출물 2 내지 3 중량부, 방향유(Essential Oil) 1 내지 2 중량부, 및 비타민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카시데케라(Yucca schidigera Roezl ex Ortgies)로부터 열수 추출을 통해 수득되는 유카 추출물은 항염증성 및 습윤성을 전체 조성물에 부가함과 동시에 전체 조성물의 사용 시 풍부한 거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천연 거품제로써, 2 내지 3중량부로 마련되어 전체 조성물의 pH 수준을 과도하게 낮추지 않고 충분한 습윤성 및 거품 형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유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라벤더, 카모마일, 라일락 등 각종 실물들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추출하여 사용 가능하고, 허브류의 식물로부터 추출되는 식물성 방향유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2.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의 항균성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통해 일반 병원세균 및 내성균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하였으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수단에 의한 성질 등을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실험 방법들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된 손 세정제 조성물은 여러 종류의 배합비로 시험한 후, 항균성을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정 배합을 검증하고자 구성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우선, 실시예1 내지 실시예6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합 형태는 증류수 함량을 33 중량부에, 글리세린 11.5 중량부, 계면활성제 17.5 중량부, 유카 추출물 2.35 중량부, 방향유 1 중량부 및 비타민 첨가제 1 중량부로 함량을 고정시켜 배합하되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서는 어성초 추출물의 함량을 16.5 중량부로 고정한 뒤 상황버섯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하고, 실시예4 내지 실시예6에서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함량을 16.5 중량부로 고정한 뒤 어성초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손 세정제 조성물 내 포함되는 천연 추출물의 적정 함량비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을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에 수준으로 마련된 70% 에탄올에 첨가하여 추출기를 이용해 78℃의 온도환경에서 2 시간가량 추출한 뒤, 여과, 농축의 과정을 거쳐 100mg/ml의 농도를 갖추도록 용해된 상태로 앞서 설명한 함량 수준에 따라 배합 실시되었다.
이상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배합비율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Unit : 조성물 함량 (중량부)
상황버섯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증류수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유카 추출물 방향유 비타민첨가제
실시예1 14 16.5 33 11.5 17.5 2.35 1 1
실시예2 16 16.5 33 11.5 17.5 2.35 1 1
실시예3 18 16.5 33 11.5 17.5 2.35 1 1
실시예4 16.5 14 33 11.5 17.5 2.35 1 1
실시예5 16.5 16 33 11.5 17.5 2.35 1 1
실시예6 16.5 18 33 11.5 17.5 2.35 1 1
표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배합 형태로 제조된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의 손 세정제 조성물은 하기 제시된 시험방법으로 항균성을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우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외용소독제(의약외품)의 효력평가법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험대상 균주 4종을 각각 멸균된 TSB 배지 5 mL가 담긴 round bottom tube에 접종하여 37℃에서 18~22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의 배양정도를 확인한다.
그 후, 시험대상 균주 4종의 초기 배양액을 TSB 배지(4℃ 냉장보관)로 10배씩 계열 희석하여 균액 mL 당 1x105 CFU가 되도록 준비한다.
다음으로 균액(1x105 CFU) 0.1 mL를 새로운 eppendorf tube에 넣고 원심분리(9,300 RCF, 1분)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여 균액을 조제한다.
다음으로 시험군과 대조군의 조제를 위해 시험군은 균액에 평가하고자하는 세정제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다. 그리고 대조군은 균액에 PBS(Phosphate Buffer Saline) 완충액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다.
그리고 시험군과 대조군의 배지도말을 위해 1~5분간 방치된 시험군(균액/세정제) 및 대조군(균액) 각각을 원심분리(9,300 RCF, 1분)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다시 PBS 배지 또는 PBS 완충액 1mL를 넣어 침전물을 잘 현탁한다.
앞서 설명한 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다시 원심분리를 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을 2회 반복한 다음 최종으로 침전물에 TSB 배지 또는 PBS 완충액 1 mL를 넣어 잘 현탁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마련된 균액 0.1 mL씩을 3개 이상의 TSA 배지에 도말한 후, 37℃에서 20~24 시간 배양하여 각 군에서 형성된 집락(colony)수를 계수하고, 세정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기 실험식에 따라 세정제 처리군의 저해율(%)을 계산한다.
-저해율(%)=[대조군 균수(CFU)-시험군 균수(CFU)]/대조군 균수(CFU)X100
Unit : 저해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MRSA 82 98 95 85 98 96
S.aureus 83 98 92 90 99 92
E.coli 85 98 90 91 100 95
P.aeruginosa 83 97 91 87 97 91
상기 표2의 항균성 시험의 결과를 보면 손 세정 조성물은 실시예2 및 실시예5와 같이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 각각이 15 내지 17 중량부 내에서 마련될 경우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일반 병원세균 뿐 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과 같은 내성균에 대해서도 항균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1은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이 대조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며, 오른쪽이 실험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다.
아울러, 도2는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에 대한 항균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이 대조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며, 오른쪽이 실험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3은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에 대한 항균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이 대조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며, 오른쪽이 실험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도4는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에 대한 항균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이 대조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며, 오른쪽이 실험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다.
따라서 천연 추출물의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항균성에 대해 앞서 진행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항균성을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정 추출 조건을 검증하고자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합 형태는 상황버섯 추출물 16.5 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16 중량부에 증류수 함량을 33 중량부, 글리세린 11.5 중량부, 계면활성제 17.5 중량부, 유카 추출물 2.35 중량부, 방향유 1 중량부 및 비타민 첨가제 1 중량부로 함량을 고정시켜 배합하되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천연물질 대비 유기용매에 해당되는 70% 에탄올의 중량 수준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손 세정제 조성물 내 포함되는 천연 추출물의 적정 추출 조건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을 70% 에탄올에 첨가하여 추출기를 이용해 78℃의 온도환경에서 2 시간가량 추출한 뒤, 여과, 농축의 과정을 거쳐 100mg/ml의 농도를 갖추도록 용해된 상태로 앞서 설명한 조건에 따라 배합 실시되었다.
이상의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 내 천연 추출물의 추출 조건을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70% EtOH 추출
천연물질 : 유기용매 배합비 추출시간 추출온도
실시예5 1 : 20 2시간 78℃
비교예1 1 : 18 2시간 78℃
비교예2 1 : 19 2시간 78℃
비교예3 1: 21 2시간 78℃
표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추출 조건에 의해 추출된 천연 추출물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합하여 제조된 실시예5 및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의 손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제시된 시험방법으로 항균성을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내었다.
Unit : 저해율(%)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5 비교예3
MRSA 87 93 98 96
S.aureus 82 90 99 91
E.coli 87 93 100 93
P.aeruginosa 84 91 97 90
즉, 표4의 항균성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손 세정제 조성물 내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실시예5과 같이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에 수준으로 마련된 70% 에탄올에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이 첨가되어 78℃의 온도환경에서 2 시간가량 추출된 후, 여과, 농축의 과정을 거쳐 100mg/ml의 농도를 갖추도록 용해된 상태로 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활용하여 충분한 수준의 항균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일반 병원세균을 비롯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과 같은 내성균에 대한 항균 성능까지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 세정제 조성물은,
    상황버섯 추출물 15 내지 17 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15 내지 1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세정제 조성물은,
    증류수 30 내지 35 중량부;
    글리세린 10 내지 13 중량부;
    계면활성제 15 내지 18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 세정제 조성물은,
    유카(Yucca) 추출물 2 내지 3 중량부;
    방향유(Essential Oil) 1 내지 2 중량부; 및
    비타민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 세정제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KR1020160007921A 2016-01-22 2016-01-22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KR10183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921A KR101835098B1 (ko) 2016-01-22 2016-01-22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921A KR101835098B1 (ko) 2016-01-22 2016-01-22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053A true KR20170088053A (ko) 2017-08-01
KR101835098B1 KR101835098B1 (ko) 2018-04-19

Family

ID=5965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921A KR101835098B1 (ko) 2016-01-22 2016-01-22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55A (ko) 2020-12-17 2022-06-24 변저스틴 식물성추출물 기반의 항균크림 또는 항균세럼 조성물 및 조성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260B1 (ko) 2020-08-05 2022-09-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KR102470344B1 (ko) 2020-11-05 2022-11-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보습, 항균 및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 세정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55A (ko) 2020-12-17 2022-06-24 변저스틴 식물성추출물 기반의 항균크림 또는 항균세럼 조성물 및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098B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72158B2 (en) Botanical disinfection composition, disinfect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1278420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mulated with essential oils
CN111685134A (zh) 一种含有植物精油的除螨抑菌功效组合物及应用
KR101835098B1 (ko)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Sahu et al. Urinary Tract Infection and its management
CN102754668A (zh) 新型中草药生物复方消毒液
CN104173248B (zh) 一种含天然植物精油的消毒洗手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16209008B2 (en) Anti-bacterial compositions
CN106665649A (zh) 一种日化用品抑菌剂及其制备方法
KR101897978B1 (ko)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540777B2 (ja) 液状消毒剤
US20150099020A1 (en) Aqueous disinfectant composition
KR101856771B1 (ko) 알킬-pg-디모늄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KR102159018B1 (ko) 천연 유래 인체 세정용 조성물
CN108728261B (zh) 一种环保物理抑菌洗液及其用途
EP3200583B1 (en) Antimicrobial soaps containing carvacrol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230004974A (ko) 항균 및 보존제 조성물
CN106675893A (zh) 一种内衣皂及其制备方法
CN112618395A (zh) 一种除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59924B1 (ko) 글리세린모노데세노에이트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2668380B1 (ko) 살균 및 보존제 조성물
KR102668379B1 (ko) 살균 및 보존제 조성물
KR102668376B1 (ko) 살균 및 보존제 조성물
KR101889273B1 (ko)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례용품
KR20230004975A (ko) 항균 및 보존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