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978A -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 Google Patents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978A
KR20170087978A KR1020177020629A KR20177020629A KR20170087978A KR 20170087978 A KR20170087978 A KR 20170087978A KR 1020177020629 A KR1020177020629 A KR 1020177020629A KR 20177020629 A KR20177020629 A KR 20177020629A KR 20170087978 A KR20170087978 A KR 20170087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ub
fluid
shoe
cha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901B1 (ko
Inventor
스콧 씨 홀트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8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with adjustable pads to allow custom fit
    • A43B7/146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22Multi-cavity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61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aterial feeding channel
    • B29C33/006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aterial feeding channel with a subdivided channel for feeding the material to a plurality of lo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185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185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 B29C49/4819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having different sizes or shapes of the mould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제품은 신발 내의 공동을 형성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에 고정된 창 구조와, 압축 유체를 에워싸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창 구조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챔버는 갑피의 공동 내에 위치되고 창 구조의 오목부 상에 위치된다. 챔버는 복수의 유체-충전 챔버와, 매니폴드와, 서브-챔버 중 적어도 하나를 매니폴드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챔버는 압축 유체를 다른 압력으로 에워쌀 수 있다. 서브-챔버는 챔버의 뒤꿈치와 발가락 사이로 연장되는 방향의 접합된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본 발명은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신발 제품은 일반적으로 2개의 주요 요소: 갑피 및 창 구조를 포함한다. 갑피는 신발 내에 발을 편안하고 고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봉합되거나 접착 결합되는 복수의 재료 요소(예, 직물, 고분자 시트층, 고분자 발포층, 가죽, 인조 가죽)으로 형성되곤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갑피는 발의 발등과 발가락 위로 발의 안쪽 측부 및 바깥쪽 측부를 따라 발의 뒤꿈치부 둘레로 연장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갑피는 갑피 내의 공동으로부터 발의 진입 및 제거를 허용함과 함께 신발의 맞춤성(fit)을 조정하기 위해 레이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갑피는 신발의 조정성과 편안함을 증진시키기 위해 레이싱 시스템(lacing system) 아래에서 연장되는 설포(tongue)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갑피는 발의 뒤꿈치부를 안정화하기 위한 힐 카운터(heel counter)를 포함할 수 있다.
창 구조는 갑피의 하부에 고정되고 발과 지면 사이에 위치된다. 예컨대 운동화의 경우, 창 구조는 통상적으로 중창과 밑창을 포함한다. 중창은 보행, 달리기 및 다른 이동 활동 중에 지면 반응력을 완화하는(즉, 완충 작용을 제공하는) 고분자 발포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창은 예컨대, 추가로 하중을 완화하거나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충전 챔버, 플레이트, 조절제(moderator) 또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중창은 주로 유체-충전 챔버로 형성될 수 있다. 밑창은 신발의 지면 접촉 요소를 형성하며, 통상적으로 정지 마찰력을 제공하는 조직을 포함하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 고무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창 구조는 신발의 편안함을 높이기 위해 갑피의 공동 내에 발의 발바닥에 인접하게 위치된 깔창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발포 중창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반복되는 압축에 따른 열화의 효과를 줄이는 하나의 방법이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Rudy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83,156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해당 특허에서는 지면 반응력 완화가 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 유체-충전 챔버에 의해 제공된다. 챔버는 창 구조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형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서로 유체 연통되는 상태이며, 함께 신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챔버는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Rud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19,945호에 개시된 고분자 발포 재료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챔버와 캡슐화 고분자 발포 재료의 조합은 중창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갑피는 고분자 발포 재료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밑창 또는 트레드(tread) 부재는 하부면에 부착된다. 상기 논의된 종류의 챔버는 통상 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챔버를 사이에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한다. 챔버는 유체 압력원에 연결된 노즐 또는 바늘을 챔버 내에 형성된 충전 유입구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대기압 이상으로 가압된다. 챔버의 가압 후에 충전 유입구가 밀봉되고 노즐이 제거된다.
신발 용도에 적합한 유체-충전 챔버는 어쩌면 탄성 중합체 필름인 2개의 개별 고분자 시트를 각각의 외주를 따라 함께 접합하여 밀봉된 구조를 형성하고 그리고 시트를 미리 정해진 내부 면적으로 함께 접합하여 챔버를 소망의 구성으로 제공하는 평면 필름 접합(flat-film bonding)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 접합으로 인해 챔버에 대해 팽창시 미리 정해진 형태 및 크기가 제공된다. 열성형 처리의 경우, 시트를 가열 및 성형하여 미리 정해진 형태를 부여한다. 이러한 챔버는 블로우 성형으로도 제조되었는데, 블로우 성형에서는 튜브 형태의 용융 또는 연화된 탄성 중합체 재료를 원하는 챔버의 전체 형상 및 구성을 갖는 몰드 내에 배치한다. 몰드는 압축 공기가 제공되는 구멍을 일 위치에 갖는다. 압축 공기는 몰드의 내부면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액화된 탄성 중합체 재료를 도입시킨다. 이후 탄성 중합체 재료는 냉각됨으로써 원하는 형상 및 구성의 챔버를 형성한다.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신발 제품은 신발 내의 공동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 제품은 갑피에 고정된 창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창 구조는 공동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 제품은 압축 유체를 에워싸는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오목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챔버는 신발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유체-충전 서브-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챔버 중 적어도 2개는 서로에 대한 유체 연통 상태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신발 제품은 신발 내의 공동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갑피를 포함한다. 갑피는 공동에 접근을 제공하는 발목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 제품은 갑피에 고정된 창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창 구조는 공동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 제품은 압축 유체를 에워싸는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오목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신발 제품은 챔버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분자 발포 재료로 형성되는 인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챔버와 인서트는 발목 구멍을 통해 공동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압축 유체를 에워싸는 챔버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몰드 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몰드는 폐쇄되어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가 접합된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형성하고, 해당 챔버는 복수의 서브-챔버와 해당 서브-챔버 중 적어도 2개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된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압축 유체는 상기 2개의 서브-챔버가 압축 유체로 팽창되도록 매니폴드에 제1 압력으로 공급된다. 매니폴드를 상기 2개의 서브-챔버 중 제1 서브-챔버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하는 것은 1차적으로 밀봉을 제공하여 압축 유체를 제1 서브-챔버 내에 밀봉시킨다. 압축 유체는 상기 2개의 서브-챔버 중 제2 서브-챔버가 압축 유체로 팽창되도록 매니폴드에 제2 압력으로 공급된다. 매니폴드를 제2 서브-챔버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하는 것은 2차적으로 밀봉을 제공하여 압축 유체를 제2 서브-챔버 내에 밀봉시킨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신발 제품은 갑피, 창 구조 및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는 신발 내의 공동의 제1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갑피는 공동에 접근을 제공하는 발목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창 구조는 갑피에 고정될 수 있다. 창 구조는 공동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압축 유체를 에워쌀 수 있다. 챔버는 오목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챔버는 신발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유체-충전 서브-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서브-챔버와 유체 연통 상태인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상기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브-챔버 사이에 위치된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발목 구멍을 통해 신발 제품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적인 측면의 장점 및 특징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항에서 언급된다. 그러나, 새로운 것의 장점 및 특징을 잘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을 기술하고 예시하는 다음의 설명 내용과 첨부 도면 및 본 발명에 관련된 개념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요약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함께 확인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신발 제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 선을 따른 신발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3a-3c는 유체-충전 챔버를 신발 제품으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챔버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6은 챔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유체-충전 챔버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몰드의 일부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9-9 선을 따른 몰드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a-10c는 몰드를 사용하는 챔버 제조 과정의 사시도이다.
도 11a-11d는 도 10a의 11-11 선을 따른 챔버 제조 과정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몰드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3은 인서트를 포함한 유체-충전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으로부터의 유체-충전 챔버와 인서트를 포함하는 신발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신발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신발 제품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18은 유체-충전 챔버를 제조하는 성형 공정의 제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9는 유체-충전 챔버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0은 유체-충전 챔버의 상부 평면도이다.
다음의 논의와 첨부 도면은 창 구조를 갖는 신발 제품의 다양한 구성을 개시한다. 신발은 달리기에 적합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지만, 신발에 관련된 개념은 예컨대, 농구화, 크로스-트레이닝화, 미식 축구화, 골프화, 하이킹화 및 부츠, 스키 및 스노보드 부츠, 축구화, 테니스화 및 워킹 슈즈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활동 신발 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다. 신발에 관련된 개념은 드레스 슈즈, 간편화(loafers), 샌달을 포함하는, 개괄적으로 비-운동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신발 스타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 개시된 개념은 다양한 신발 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다.
신발(100) 제품은 도 1에서 갑피(110)와 창 구조(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갑피(110)는 착용자의 발에 대해 편안하고 안정적인 커버링을 제공한다. 이로써, 발은 갑피(110) 내에 위치되어 효과적으로 신발(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창 구조(120)는 갑피(110)의 하부 영역에 고정되며, 갑피(110)와 지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발이 갑피(110) 내에 위치되면, 창 구조(120)는 발 아래에서 연장되어, 예컨대 지면 반응력을 감쇠하고(예, 발을 완충하고), 정지 마찰력을 제공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의 논의에서의 참조를 위해, 신발(100)은 3개의 큰 영역: 즉, 전족부(102), 중족부(103) 및 뒤꿈치부(104)로 구분될 수 있다. 전족부(102)는 대체로 발가락과 그리고 중족골과 지골을 연결하는 관절에 대응하는 신발(100)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족부(103)는 대체로 발의 장심(arch area)에 대응하는 신발(100)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뒤꿈치부(104)는 대체로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부에 대응한다. 또한, 신발(100)은 각 부분(102-104)을 통해 연장되고 신발(100)의 양측에 대응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안쪽 측부(106)와 바깥쪽 측부(108)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깥쪽 측부(108)는 발의 바깥쪽 영역(즉, 다른 발로부터 멀리 향하는 표면)에 대응하고 안쪽 측부(106)는 발의 안쪽 영역(즉, 다른 발 측으로 향하는 표면)에 대응한다.
상기 부분(102, 103, 104)들 및 측부(106, 108)들은 신발(100)의 정확한 영역의 경계를 정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상기 부분(102, 103, 104)들 및 측부(106, 108)들은 다음의 논의를 돕기 위해 신발(100)의 개략적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신발(100) 외에도, 상기 부분(102, 103, 104)들 및 측부(106, 108)들은 갑피(110), 창 구조(120) 및 이들의 개별 요소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갑피(110)는 창 구조(120)에 대해 발을 수용 및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도록 함께 봉합, 접합, 또는 기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요소(예, 직물, 고분자 시트층, 고분자 발포층, 가죽, 인조 가죽)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통상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갑피(110)의 다양한 요소는 발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신발(100) 내의 공동(111)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갑피(110)는 발의 바깥쪽 측부(108)를 따라, 발의 안쪽 측부(106)를 따라, 발 위로, 발의 뒤꿈치 둘레로, 그리고 발 아래로 연장된다. 공동(111)으로의 접근은 신발(100)의 적어도 뒤꿈치부(104) 내에 위치된 발목 구멍(112)에 의해 제공된다. 레이스(114)는 다양한 레이스 구멍(116)을 통해서 연장되어 착용자가 갑피(110)의 치수를 조정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여러 비율의 발을 수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이스(114)는 착용자가 갑피(110)를 발 둘레로 조이는 것을 허용하고 착용자가 갑피(110)를 느슨하게 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발이 (발목 구멍(112)을 통해) 공동(111)에 대해 출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레이스 구멍(116)의 대체예로서, 갑피(110)는 루프, 부착 구멍(eyelet), 후크 및 D-링과 같은 다른 레이스-수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갑피(110)는 공동과 레이스(114) 사이에서 연장되어 신발(100)의 편안함과 조정성을 향상시키는 설포(tongue)(118)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일부 구성에서, 갑피(110)는 다른 요소들, 예컨대, 보강 부재, 미적 특징부, 신발의 뒤꿈치에서 뒤꿈치의 이동을 제한하는 힐 카운터, 신발의 전족부에 위치된 내마모성 발가락 가드 또는 제조자를 식별하는 표시(예, 상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갑피(110)는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창 구조(120)의 주요 요소는 유체-충전 챔버 또는 챔버(130)와 밑창(140)이다. 챔버(130)는 예컨대 아래 논의될 압축 유체를 포함하는 밀봉된 유체-충전 챔버일 수 있다. 더욱이, 챔버(130)는 (a) 밑창(140)에 의해 형성된 공동(111)의 일부 내에 위치되며, (b) 공동(111)의 나머지 부분 이래에서 연장되면서 해당 부분 내에 위치된 발을 지지하도록 위치된다.
밑창(140)은 본체부(141)와 지면 접촉부(142)를 포함한다. 본체부(141)는 대체로 오목한 구성을 가져서 상기 부분(102, 103, 104)들 및 측부(106, 108)들을 통해 연장됨으로써 창 구조(120)의 길이와 폭의 절반 이상에 걸쳐 연장되는 오목부를 밑창 내에 형성한다. 오목부는 챔버(130)를 수용하는 공동(111)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오목부의 표면은 대략적으로 챔버(1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갑피(110)와 밑창(140)은 서로 협력하여 착용자의 발과 챔버(130) 모두를 수용하는 형태를 갖는 공동(111)을 제공할 수 있다. 지면 접촉부(142)는 본체부(141)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신발(100)과 지면 사이의 트랙션(즉, 마찰)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결이 형성되어 있다.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창 구조(120)는 챔버(130)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는 깔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깔창은 공동(102) 내에 발의 발바닥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신발의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압축 가능 부재일 수 있다. 깔창이 사용되지 않는 구성에서, 발은 챔버(130)의 상부면 상에 직접 받쳐지거나 직물(예, 부직포 직물)이 챔버(13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챔버(130)는 신발(100) 내에서 전족부(102)와 뒤꿈치부(10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챔버(130)는 신발(100) 내에 삽입되어 신발(100) 내에 삽입된 발에 대해 쿠션과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의 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30)는 발목 구멍(112)을 통해 10의 방향으로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챔버(130)는 신발(100) 내에 삽입되고 신발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챔버(130)는 교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챔버(130)는 닳아서 헤어지게 되면 예컨대 신발(100)의 사용자에 의해 갑피(110)로부터 제거되어 다른 챔버로 교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챔버(130)는 모듈형일 수 있고 예컨대 신발(100)의 사용자에 의해 갑피(11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원하는 활동에 적합한 다른 정도의 완충 및 지지와 같은 다른 특성을 갖는 챔버로 교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130)는 갑피(110)의 하부 영역에 고정될 수 있고 통상 신발 성형 처리(lasting process)에 사용되는 스트로벨(strobel) 재료를 대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챔버(130)의 엣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챔버(130)의 표면 또는 고분자 플랜지가 갑피(110)의 하부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챔버(130)의 반대쪽 면이 밑창(1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갑피(110)의 하부는 밑창(140)의 본체부(141) 대신에 챔버(13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밑창(140)은 챔버(130) 둘레에 형성되어 지면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발과 챔버(130) 사이에 깔창이 연장될 수 있지만, 발이 챔버(130)의 상부면 위에 직접 받혀지거나 챔버(130)의 상부면에 직물(예, 부직포 직물)이 고정될 수 있다.
도 4-6은 압축 유체를 담도록 밀봉된 예시적인 구성의 챔버(130)를 보여준다. 신발(100)에 합체시, 챔버(130)는 창 구조(120)의 외주 내(즉, 밑창(140) 내의 오목부 내)에 맞춰지고 실질적으로 전족부(102)로부터 뒤꿈치부(104)까지 그리고 바깥쪽 측부(108)로부터 안쪽 측부(106)까지 연장됨으로써 발의 개략적인 윤곽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이 갑피(110) 내에 위치되면, 챔버(130)는 달리기와 걷기 같은 다양한 이동 활동 중에 창 구조(120)가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 발생되는 지면 작용력을 완화하기 위해 발의 거의 전체의 아래에서 연장된다. 다른 구성에서, 중창(122)은 예컨대 폼과 같은 추가의 재료 또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130)가 밑창(140) 내에 위치되지만, 본체부(141)의 여러 부분은 챔버(130)의 여러 영역을 노출시키는 구멍 또는 다른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챔버(130)는 일부 구성에서 신발(100)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챔버(130)는 발의 오직 일부 아래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챔버(130)는 압축 유체를 에워쌈으로써 발에 대해 쿠션과 지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챔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챔버(132)는 도 5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챔버(132)를 둘러싸는 접합된 영역(13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된 영역(138)은 챔버(130) 둘레로 연장되어 밀봉된 챔버(130)의 외주를 형성할 수 있다. 접합된 영역(138)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챔버(132) 사이에서 연장됨으로써 서브-챔버(132)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합된 영역(138)의 여러 부분은 안쪽 및 바깥쪽 측부(106, 108) 사이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해당 접합된 영역의 여러 부분을 분리하고 유체가 인접 서브-챔버(132) 사이로 통과되지 않도록 한다. 서브-챔버(132) 사이에 위치된 접합된 영역(138)의 여러 부분은 상기 부분들(102-104) 각각을 통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챔버(130)의 발가락과 뒤꿈치 사이에 위치된다. 챔버(130)의 절반 이상이 서브-챔버(13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챔버(132)는 챔버(130)의 부피의 약 80%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브-챔버(132)는 챔버(130)의 부피의 약 90%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챔버(132) 사이에 위치된 접합 영역(138)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챔버(132)의 두께에 비해 챔버(130)에 비교적 얇은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각 서브-챔버(132) 사이에 위치된 접합 영역(138)은 개별 서브-챔버(132)들을 서로 분리하는 것은 물론, 챔버(130)에 대해 향상된 신축성의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챔버(130)가 휘어져서 신발(100) 내의 발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서브-챔버(132)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거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족부(173)와 뒤꿈치부(172) 내의 서브-챔버(132)는 전족부(174) 내의 서브-챔버(132)보다 큰 단면 형상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뒤꿈치부(172) 내의 서브-챔버(132)는 중족부(173) 내의 서브-챔버(132)와 전족부(174) 내의 서브-챔버(132)보다 큰 단면 형상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전족부(174) 내의 서브-챔버(132)는 중족부(173) 내의 서브-챔버(132)보다 큰 단면 형상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족부(173) 내의 서브-챔버(132)는 뒤꿈치부(172) 내의 서브-챔버(132)와 전족부(174) 내의 서브-챔버(132)보다 큰 단면 형상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서브-챔버(13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30)의 안쪽 측부(106)와 바깥쪽 측부(108)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튜브의 형태일 수 있다. 서브-챔버(132)는 튜브의 형태가 아닌, 예컨대, 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서브-챔버(132)는 도 6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서브-챔버(132)는 예컨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개별 서브-챔버(132) 각각에 압축 유체를 제공하여 서브-챔버(130)를 팽창시키기 위해, 챔버(130)는 압축 유체를 서브-챔버(132)로 분배하는 매니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매니폴드(134)는 아래 논의되는 바와 같이 팽창 과정 중에 압축 유체를 매니폴드에 공급하는 챔버(130) 외부의 도관(도시 생략)에 연결될 수 있다. 매니폴드(134)는 도 5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30)의 안쪽 측부(106) 상에 있거나 챔버(130)의 바깥쪽 측부(108)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압축 유체를 서브-챔버로 분배하기 위해, 매니폴드(134)는 연결부에 의해 서브-챔버(132)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니폴드(134)는 연결부(136)에 의해 개별 서브-챔버(13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연결부는 2개 이상의 서브-챔버를 매니폴드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 3, 4, 또는 그 이상의 서브-챔버(132)가 하나의 연결부(136)에 의해 매니폴드(134)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130)는 외부면에 층 또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 또는 코팅은 예컨대 챔버가 덜 평탄화되도록 챔버(130)의 표면 결 또는 거칠기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 또는 코팅은 챔버(130)에 적용되어 챔버(130)가 더 직물처럼 느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층 또는 코팅은 예컨대 편직 재료, 직조 재료 또는 부직 재료의 구성의 직물일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층 또는 코팅은 부직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일 수 있다. 챔버(130)에 층 또는 코팅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그렇지 않은 경우 신발 제품 내에서 챔버(130)의 상부에 놓여질 수 있는 깔창이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층 또는 코팅에 표면에 도포 또는 접합된 챔버(130)는 신발 제품 내에 삽입된 발이 챔버(13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깔창 없이 신발 제품 내에 놓여질 수 있다. 직물을 챔버(130)에 접합하는데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직물은 챔버(130)를 형성하는 몰드(아래 논의 참조) 내에 배치된 후 몰딩 과정 중에 챔버(130)에 접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챔버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200)의 구성이 예시된다. 몰드(200)는 여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챔버를 성형하기 위해 제1 및 제2 몰드부(210,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몰드부(210)는 제1 영역(202)과 제2 영역(2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02)과 제2 영역(204)은 서브-챔버(132), 매니폴드(134), 연결부(136) 및 접합된 영역(138)을 포함하는 소망의 형태 및 특성의 챔버(130)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몰드부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성형하기 위해 제1 몰드부(210)의 제1 영역(202)에 대응하는 제1 영역(214)과 제1 몰드부(210)의 제2 영역(204)에 대응하는 제2 영역(2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몰드부(210)의 제1 영역(202)과 제2 영역(204)은 챔버(130)의 서브-챔버(132)에 대응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 갯수는 챔버내에 원하는 갯수의 서브-챔버에 대응하도록 임의의 갯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영역(202)과 제2 영역(204)은 챔버(130)의 연결부(136)에 대응하는 리세스와 각기 챔버(130)의 매니폴드(134)에 대응하는 리세스(203, 205)를 포함한다. 도 9는 도 8의 9-9 선을 따른 몰드 절반부(200)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제2 영역(204)의 리세스의 다른 도면을 보여준다.
리세스를 포함하지 않는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의 부분들은 예컨대 챔버(130)의 서브-챔버(132) 사이의 챔버(130)의 접합된 영역(170)과 챔버(130)의 외주를 둘러싸는 접합된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몰드부(210)의 제1 영역(202)과 제2 영역(204) 외부에 위치되고 제2 몰드부(212)의 제1 영역(214)과 제2 영역(216) 외부에 위치된 몰드(200)의 부분들은 챔버(130)의 접합된 영역(170)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몰드(200)는 압축 유체가 성형 완료된 챔버에 공급될 수 있도록 도관을 형성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몰드부(210) 내에 메인 만입부(206)가 제공됨으로써 성형체(500) 내에 메인 도관(50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성형체는 도 12와 관련하여 이후 논의될 것이다. 성형 후 이어지는 팽창 과정 중에 메인 도관(506)은 압축 유체를 수용하여 성형체(500)를 팽창시키고 챔버를 형성한다. 메인 만입부(206)는 보조 만입부(207)로 분기되어 성형체(500) 내에 보조 도관(507)을 형성한다. 메인 만입부(206)는 보조 만입부(208)로도 분기되어 성형체(500) 내에 보조 도관(508)을 형성한다. 제2 몰드부(212)는 제1 몰드부(210)와 함께 성형체(500)의 메인 도관 및 보조 도관을 형성하도록 제1 몰드부(210)의 만입부에 대응하는 만입부를 가질 수 있다. 보조 만입부(207)는 리세스(203)와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며, 보조 만입부(208)는 리세스(205)와 유체 연통되게 연결된다.
도 10a-11d를 참조하면, 여기 논의되는 구성에 따른 챔버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공정이 설명된다. 챔버 제조 공정은 예컨대, 트윈 시트 열성형(twin sheet thermoforming)이거나 또는 평면 필름 접합 기술 또는 블로우 성형과 같은 종래 기술에 사용되는 다른 공정일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 사이에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를 배치할 수 있다.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는 챔버에 대해 하부 및 상부 장벽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아래에 설명되는 장벽층용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는 함께 폐쇄되어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를 접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130)가 형성될 때,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는 협력하여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챔버(130)의 접합된 영역(17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부(136)와 매니폴드(150)는 물론,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의 리세스(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기에 논의됨) 내에 압축 유체를 공급하여 서브-챔버(132)를 팽창시키도록 메인 만입부(206)와 보조 만입부(207, 2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접합이 완료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10)로 형성된 성형체(500)를 개봉하도록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를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팽창되어 챔버를 형성하는 압축 가스를 성형체(500)에 공급한다.
접합 과정 중,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는 몰드부(210, 212)의 전반적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함께 접합된다. 도 10a의 11-11 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인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몰드부(210)는 리세스(2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몰드부(212)는 리세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211, 213)는 협력하여 챔버(130)의 서브-챔버(132)에 대응하는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를 사이에 두고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를 함께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로 형성된 챔버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표면 상에 층 또는 코팅을 포함하고자 하면, 제1 시트(300)와 몰드부(212) 사이에 및/또는 제2 시트(302)와 몰드부(21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시트 재료(도시 생략)를 배치하여 접합 과정 중 해당 재료를 층 또는 코팅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를 몰드부(210, 212)의 표면에 대해 변형시킨다. 시트(300, 302)가 결국 가열되어 연화됨으로써 시트(300, 302)의 변형을 보조하도록 몰드부(210, 212)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 사이로는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유체는 리세스(211, 213) 내에 위치된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의 비접합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유체는 해당 유체에 의해 시트(300, 302)가 몰드부(210, 212)의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를 몰드부(210, 212)의 표면 측으로 가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체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형성된 메인 만입부(206)와 보조 만입부(207, 208)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추가로, 몰드부(210, 212)의 전체적인 형태, 특히 리세스(211, 213)의 형태로 시트(300, 302)가 변형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시트(300, 302)와 몰드부(210, 212) 사이로부터 공기를 회수할 수 있다. 리세스(211, 213) 내에 위치된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의 부분들은 서로 접합되지 않으므로, 리세스(211, 213)로 공급된 유체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의 부분들이 분리되어 대체로 리세스(211, 213)의 형태를 취하도록 한다. 리세스(211, 213) 내의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의 비접합 영역은 접합이 완료된 후 이어지는 팽창 동작(도시 생략) 중에 챔버(130)의 서브-챔버(132)로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형 과정이 완료되면,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몰드부(210)와 제2 몰드부(212)를 분리하여 성형체(500)를 개봉할 수 있다.
이어지는 서브-챔버(132)의 팽창 중에, 서브-챔버(132) 내의 유체의 압력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서브-챔버(132) 내에 담겨진 압축 유체의 압력은 각 서브-챔버(132)의 압축 유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을 가져서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130) 내의 압력(및 각각의 개별 서브-챔버(132) 내의 압력)은 약 0.14 psi(대략 0.97 kPa)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개별 서브-챔버(132)의 압력은 약 1-14 psi(대력 13-97 kPa)일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서브-챔버(132) 내의 유체의 압력은 발의 여러 다른 부분에 대해 소망하는 정도의 쿠션과 지지를 제공하도록 유리하게 선택 및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의 압력은 발의 뒤꿈치에 더 많은 쿠션과 지지를 제공하도록 전족부(174)의 서브-챔버의 압력보다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132)는 약 7-10 psi(대략 48-69 kPa)의 압력을 가지는 반면, 전족부(174)의 서브-챔버(132)는 약 3-5 psi(대략 20-34 kPa)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 내의 압축 유체는 중족부(173)의 서브-챔버보다 높은 압력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의 압력은 전족부(174)와 중족부(173) 모두에서의 서브-챔버의 압력보다 크게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발의 뒤꿈치와 전족부에 더 많은 쿠션과 지지를 제공하도록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의 압력은 전족부(174)와 중족부(173) 모두에서의 서브-챔버의 압력보다 더 크게 선택될 수 있고 전복부(174)의 서브-챔버의 압력은 중족부(173)의 서브-챔버의 압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132)는 약 9-12 psi(대략 62-83 kPa)의 압력을 가질 수 있고, 중족부(173)의 서브-챔버(132)는 약 2-4 psi(대략 14-28 kPa)의 압력을 가질 수 있고, 전복부(174)의 서브-챔버(132)는 약 5-7 psi(대략 34-48 kPa)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압축 유체의 압력은 서브-챔버로부터 서브-챔버까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챔버(132)의 압력은 챔버(130)의 뒤꿈치로부터 전족부까지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132)는 각각 중족부(173)의 서브-챔버(132)의 압력보다 높은 상이한 압력을 가질 수 있으며, 전족부(174)의 서브-챔버(132)는 마찬가지로 변하는 서브-챔버(132)의 압력보다 높은 상이한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영역 간 또는 서브-챔버 간 압력 변화는 서브-챔버와 매니폴드 간의 연결부의 선택적 밀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 유체는 매니폴드(134)에 제1 압력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이후 압축 유체는 연결부(136)를 통해 서브-챔버(132)에 공급될 수 있다. 결국, 서브-챔버(132)에는 압축 유체가 제1 압력으로 공급된다. 한 곳 이상의 영역 또는 서브-챔버가 다른 영역 또는 서브-챔버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서브-챔버와 매니폴드 간의 선택된 연결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 유체를 중족부(173)의 서브-챔버(132)에 약 2-4 psi(대략 14-18 kPa)의 압력으로, 압축 유체를 전족부(174)의 서브-챔버(132)에 약 5-7 psi(대략 34-48 kPa)의 압력으로, 그리고 압축 유체를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132)에 약 9-12 psi(대략 62-83 kPa)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우선, 매니폴드(134)와 연결부(136)를 통해 모든 서브-챔버(132)에 약 2-4 psi(대략 14-28 kPa)의 압력의 압축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중족부(173)의 서브-챔버(132)를 매니폴드(134)에 연결하는 연결부(136)를 밀봉함으로써 중족부(173)의 서브-챔버(132) 내에 압축 유체를 약 2-4 psi의 압력으로 에워쌀 수 있다. 세 번째로, 공급된 압축 유체의 압력을 약 5-7 psi(대략 34-48 kPa)로 승압시켜 전족부(174)의 서브-챔버(132)와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132)가 약 5-7 psi(대략 34-48 kPa)의 압축 유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서브-챔버(132)를 매니폴드(134)에 연결하는 연결부(136)를 밀봉함으로써 전족부(174)의 서브-챔버(132) 내에 압축 유체를 약 5-7 psi의 압력으로 에워쌀 수 있다. 다섯 번째로, 공급된 압축 유체의 압력을 약 9-12 psi(대략 62-83 kPa)로 승압시켜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132)가 약 9-12 psi(대략 62-83 kPa)의 압축 유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서브-챔버(132)를 매니폴드(134)에 연결하는 연결부(136)를 밀봉함으로써 뒤꿈치부(172)의 서브-챔버(132) 내에 압축 유체를 약 9-12 psi(대략 62-83 kPa)의 압력으로 에워쌀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브-챔버(132)에 대한 개별 연결부를 밀봉하는 대신, 매니폴드(134) 자체를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 유체가 뒤꿈치부(104)의 매니폴드(134) 단부로부터 매니폴드(134)로 공급되고 해당 압축 유체가 매니폴드(134)를따라 뒤꿈치부(104)로부터 중족부(103)로 그리고 전족부(102)로 흐르면, 소망하는 압력의 압축 유체가 전족부(102)로 공급된 후 중족부(103)와 전족부(102) 사이에서 매니폴드(134)를 밀봉할 수 있다. 이어서, 소망하는 압력의 압축 유체가 중족부(103)로 공급된 후, 뒤꿈치부(104)와 중족부(103) 사이에서 매니폴드(134)를 밀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단 소망하는 압력의 압축 유체가 뒤꿈치부(104)의 서브-챔버(132)에 공급되면, 매니폴드(134)를 밀봉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공정은 상기 부분들(172-174)에 다른 압력을 제공하거나 개별 서브-챔버(132)에 특정한 소망의 압력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서브-챔버(132)마다 특정 압력이 요망되는 경우, 매니폴드(134)에 소망의 압력을 공급한 후 임의의 연결부(136)를 개별적으로 밀봉함으로써 각 서브-챔버(132)에 특정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챔버(130)를 제조한 다른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트(300)와 제2 시트(302)를 그 각각의 외주를 따라 함께 접합하여 밀봉된 구조를 형성하고 그리고 시트(300, 302)를 미리 정해진 내부 면적으로 함께 접합하여 챔버(130)와 각각의 서브-챔버(132)를 소망의 구성으로 제공하는 평면 필름 접합 공정을 통해 챔버(13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 접합부에 의해 챔버(130)는 팽창시 미리 정해진 형태와 크기를 갖도록 제공된다. 용융되거나 연화된 튜브 형상의 탄성 중합체 재료를 소망하는 타원형 형태와 구성의 챔버(130)를 갖는 몰드에 배치하는 블로우 성형도 활용될 수 있다. 몰드의 내부면의 형태에 일치하도록 액화된 탄성 중합체 재료가 압축 공기에 의해 도입된다. 이후 탄성 중합체 재료는 냉각되어 소망의 형태와 구성을 갖는 챔버(130)를 형성한다.
성형 공정의 성형체(500)의 구성이 도 12에 표현된다. 성형체(500)는 각각 팽창후 밀봉되어 압축 유체를 에워싸는 제1 및 제2 챔버(502, 504)를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시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챔버(502)와 제2 챔버(504)는 해당 제1 챔버(502)와 제2 챔버(504)를 둘러싸는 접합된 영역(51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된 영역(510)은 예컨대, 전술한 공정에서 제1 시트(400)와 제2 시트(402)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1 챔버(502)와 제2 챔버(504) 각각은 예컨대 챔버(130)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의 서브-챔버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체(500)는 각각 제1 챔버(502)의 매니폴드(503)와 제2 챔버(504)의 매니폴드(505)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된 보조 도관(507, 508)은 물론, 압축 유체가 공급되는 통로인 메인 도관(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성형체(500)의 성형이 완료되면, 메인 도관(506) 및/또는 보조 도관(507, 508) 내에 및/또는 매니폴드(503, 505)로의 구멍에 밀봉부가 제공됨으로써 챔버(502)와 챔버(504) 내의 압축 유체를 밀봉할 수 있다. 밀봉이 완료된 후, 제1 챔버(502)와 제2 챔버(504)는 예컨대 제1 챔버(502)와 제2 챔버(504)를 둘러싸는 접합된 영역(510)를 절단 제거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시트 형상인 성형체(5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추가의 구성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챔버는 추가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는 발에 대한 챔버의 맞춤 및/또는 챔버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발-지지 시스템(600)은 여기 설명되는 임의의 챔버 구성의 특징을 가질 수 있는 유체-충전 챔버(610)와 인서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620)는 발의 각 측면에 지지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신발(100) 내에 삽입된 발에 대해 측방향 지지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인서트(620)는 발포재, 직물재 또는 임의의 재료의 복합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인서트(620)는 유체-충전 챔버(610)에 결합되거나 유체-충전 챔버(6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3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620)는 유체-충전 챔버(610)의 상부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5는 갑피(71) 내에 그리고 밑창(740)의 상부에 삽입된 유체-충전 챔버(610)의 예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인서트(620)는 유체-충전 챔버(610)의 상부면에 위치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인서트(620)는 유체-충전 챔버(610)의 바닥면에 예컨대, 유체-충전 챔버(610)와 밑창(7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인서트(620)는 인서트(620)를 유체-충전 챔버(610)에 설치 또는 결합하는 것을 보조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6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충전 챔버(610) 측으로 하향 돌출된 하나 이상의 만입부(622, 624, 626)를 포함할 수 있다. 만입부(622, 624, 626)는 유체-충전 챔버의 서브-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입부(622, 624, 626)는 도 5의 챔버(130)의 서브-챔버(132)에 대응하는 위치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인서트는 만입부(622, 624, 626) 사이에 유체-충전 챔버(610)에 대한 인서트(620)의 설치 또는 결합을 보조하는 돌출부(623, 62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23, 625)는 유체-충전 챔버의 서브-챔버 사이의 접합된 영역과 매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623, 625)는 도 5의 챔버(130)의 서브-챔버(132) 사이의 접합된 영역(170)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결국, 인서트(620)는 유체-충전 챔버의 표면에 대응하고 그에 따라 인서트(620)의 유체-충전 챔버에 대한 설치 또는 결합을 보조하는 만입부(622, 624, 626)와 돌출부(623, 625)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와 관련하여 다른 대안적인 배열 및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는 신발 제품 내의 공동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00) 제품은 갑피(1110)와 창 구조(1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챔버(130)에서와 같이 갑피(111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공동 내에 챔버(1122)를 위치시키는 대신에, 챔버(1122)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110)의 바닥면에 고정된 중창(1123)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챔버(1122)는 여기 설명된 구성에 따른 유체-충전 챔버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 설명된 다른 성분과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1122)는 챔버(130)의 모든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22)는 발포재 내에 캡슐화된 유체-충전 챔버(1122)와 같이 발포재와 조합된 유체-충전 챔버로서 제공됨으로써 갑피(1110)의 바닥면에 결합된 중창(1123)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122)의 바닥면 상에 밑창(1124)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챔버는 서브-챔버에 연결된 복수의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성형 공정의 성형체(800)는 접합된 영역(850)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챔버(802)와 제2 챔버(8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802)는 매니폴드(820-823)를 포함하고 제2 챔버(804)는 매니폴드(824-827)를 포함할 수 있다. 매니폴드(820-827)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챔버(802)와 제2 챔버(804)의 서브-챔버에 연결될 수 있다.
성형체(800)는 압축 유체를 챔버에 공급하는 복수의 매니폴드에 보조 도관이 연결된 메인 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체(800)는 보조 도관(807)이 매니폴드(820)에 연결되고 보조 도관(808)이 매니폴드(824)에 연결되고 보조 도관(809)이 매니폴드(821)에 연결되고 보조 도관(810)이 매니폴드(825)에 연결되고 보조 도관(811)이 매니폴드(822)에 연결되고 보조 도관(812)이 매니폴드(826)에 연결되고 보조 도관(812)이 매니폴드(823)에 연결되고 보조 도관(814)이 매니폴드(827)에 연결된 메인 도관(80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유체가 메인 도관(806)을 통해 공급시, 압축 유체는 보조 도관(807, 809, 811, 813)로 분배되고, 다시 이들 보조 도관을 통해 매니폴드(820-823)와 그리고 제1 챔버(802)의 서브-챔버(832)로 분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압축 유체는 보조 도관(808, 810, 812, 814)로 분배되고, 다시 이들 보조 도관을 통해 매니폴드(824-827)와 제2 챔버(804)의 서브-챔버로 분배될 수 있다.
챔버에 복수의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은 챔버의 서브-챔버 또는 서브-챔버의 그룹을 다른 압력으로 충전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서브-챔버 또는 서브-챔버의 그룹을 다른 압력으로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서브-챔버의 그룹을 주어진 압력으로 제공하도록 매니폴드를 밀봉하거나 서브-챔버를 선택된 압력으로 제공하도록 매니폴드와 서브-챔버 사이의 개별 연결부를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도관(806)과 보조 도관(807, 809, 811, 813)을 통해 매니폴드(821-823)와 제1 챔버(804)의 서브-챔버(832)로 제1 압력의 압축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매니폴드(823)에 연결된 서브-챔버(832)를 제1 압력으로 제공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 매니폴드(823)와 보조 도관(813) 사이에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2의 다른 압력의 압축 유체가 매니폴드(820-822)로 공급될 수 있고, 선택된 매니폴드와 보조 도관 사이에 밀봉이 형성됨으로써 제2 그룹의 서브-챔버를 제2 압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추가의 그룹의 서브-챔버를 다른 압력으로 제공하도록 원하는 경우 반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압축 유체를 원하는 압력으로 공급한 후 서브-챔버와 그 각각의 개별 매니폴드 사이에 개별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도관(813)을 통해 매니폴드(823)와 서브-챔버(832)에 제1 압력이 제공될 수 있고, 이후 서브-챔버(843)와 매니폴드(823) 사이에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매니폴드(823)와 해당 매니폴드(823)에 연결된 서브-챔버(832)에 제2 압력의 압축 유체가 공급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매니폴드(832)에 연결된 하나의 다른 서브-챔버(832)와 매니폴드(823) 사이에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매니폴드(823)와 해당 매니폴드(823)에 연결된 나머지 서브-챔버(832)에 제3 압력의 압축 유체가 공급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서브-챔버(822) 중 하나와 매니폴드(823) 사이에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과정은 다른 서브-챔버와 다른 매니폴드 및 그 개별 서브-챔버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챔버(9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유체를 제1 그룹의 서브-챔버(902)와 제2 그룹의 서브-챔버(904)에 개별 공급하는 제1 매니폴드(903)와 제2 매니폴드(9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니폴드(903)와 제1 그룹의 서브-챔버(902)는 챔버(900)의 바깥쪽 측부(912) 상에 배열될 수 있는 반면, 제2 매니폴드(905)와 제2 그룹의 서브-챔버(904)는 챔버(900)의 안쪽 측부(91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매니폴드(903)와 제2 매니폴드(905)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챔버(900)의 안쪽 측부 및 바깥쪽 측부를 따르는 대신에 제1 그룹의 서브-챔버(902)와 제2 그룹의 서브-챔버(90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제1 그룹의 서브-챔버(902)와 제2 그룹의 서브-챔버(904)가 다른 압력의 압축 유체를 에워싸도록 매니폴드(903, 905)에 다른 압력의 압축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챔버의 서브-챔버는 챔버를 가로질러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은 예컨대 챔버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챔버의 하나 이상의 서브-챔버는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에 대해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1000)의 뒤꿈치부(1006)의 하나 이상의 서브-챔버(1012-1016)는 도 20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000)의 바깥쪽 측부(1002)와 안쪽 측부(1004)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쪽-바깥쪽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1020)로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챔버(1016)는 챔버(1000)를 가로질러 챔버의 바깥쪽 측부(1002)로부터 안쪽 측부(1004)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거의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브-챔버(1016)의 연장 방향은 챔버(1000)의 뒤꿈치부(1006)와 전족부(1010) 사이에서 연장되는 챔버(1000)의 종축에 거의 수직일 수 있다. 반대로, 서브-챔버(1013)는 서브-챔버(1016)가 바깥쪽 측부(1002)와 안쪽 측부(1004)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1020)로 바깥쪽 측부(1002)와 안쪽 측부(100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각도(1020)는 서브-챔버마다 변할 수 있거나 서브-챔버마다 거의 동일할 수 있다. 각도(1020)는 예컨대 대략 10-60°일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서브-챔버(1012, 1014, 1015, 1016) 중 임의의 서브-챔버는 챔버(1000)의 바깥쪽 측부(1002)와 안쪽 측부(1004) 사이의 대략 직선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서브-챔버(1012, 1014, 1015, 1016)가 배향되는 각도는 상기 각도(1020)와 유사하게 대략 10-6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20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챔버(1012-1016)가 챔버(1000)의 바깥쪽 측부(1002)와 안쪽 측부(1004) 사이의 대략 직선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서브-챔버마다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챔버(1012-1016)가 챔버(1000)의 바깥쪽 측부(1002)와 안쪽 측부(1004) 사이의 대략 직선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챔버(1012)로부터 서브-챔버(1016)까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때 서브-챔버(1012)는 최대 각도로 배향되며 서브-챔버(1016)는 실질적으로 챔버(1000)의 바깥쪽 측부(1002)와 안쪽 측부(1004) 사이의 대략 직선 방향을 따라 배향된다.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중족부(1008) 및/또는 전족부(1010)는 도 20의 뒤꿈치부(1006)의 서브-챔버(1015)와 같이 하나 이상의 경사진 서브-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경사진 튜브를 제공하는 것은 이동 중에 회내 작용(pronation)을 경험하는 신발 착용자의 발에 대해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1000)를 포함하는 신발 제품이 회내 작용을 경험하는 착용자의 이동 중에 지면 상에 착지될 때, 뒤꿈치부(1006)의 바깥쪽 측부(1002)가 먼저 지면을 타격할 수 있다. 착용자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신발은 중족부(1008)와 전족부 측으로 전방으로 롤링되지만 신발은 바깥쪽 측부(1002)로부터 안쪽 측부(1004)로 회내될 수 있다. 회내 작용에 기인한 바깥쪽 측부(1002)로부터 안쪽 측부(1004)로의 이동 때문에, 경사진 서브-챔버는 예컨대 착용자의 발의 발꿈치로부터 전족부로의 롤링 이동과 착용자의 발의 바깥쪽 측부로부터 안쪽 측부로의 회내 이동에 의해 전체적으로 정렬되는 것에 의해 회내 중에 발에 대한 지지를 유리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1000)의 발꿈치(1006)의 서브-챔버(1012-1016)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의 뒤꿈치 측으로 챔버(1000)의 바깥쪽 측부(1002)와 안쪽 측부(1004) 사이의 대략 직선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점진적으로 배향될 수 있기 때문에, 발이 전방으로 롤링되고 바깥쪽 측부(1002)로부터 안쪽 측부(1004)로 회내됨에 따라, 서브-챔버(1012-1016)는 발의 이동에 대응하는 배향과 위치를 가질 것이다.
여기 설명된 챔버는 챔버에 의해 담겨진 압축 유체가 실질적으로 불투과되는 상부 장벽층과 하부 장벽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표현된 성형 공정에 예시된 시트(400)와 시트(402)는 각각 상부 장벽층과 하부 장벽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부 장벽층과 하부 장벽층은 동일 두께 또는 다른 두께의 시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장벽층과 하부 장벽층 각각은 약 0.060-0.40 인치(대략 1.5-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부 장벽층과 하부 장벽층 각각은 약 0.10-0.30 인치(대략 2.5-7.6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부 장벽층과 하부 장벽층 각각은 약 0.020-0.030 인치(대략 0.50-0.76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부 장벽층과 하부 장벽층 각각은 약 0.025 인치(대략 0.64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장벽층과 하부 장벽층은 그 각각의 외주 둘레에 함께 접합됨으로써 예컨대 챔버(130)의 접합 영역(170)과 같은 외주 접합부를 형성하고 또한 압축 유체가 위치된 밀봉된 챔버를 공동으로 형성한다. 챔버(130)에 의해 담겨진 압축 유체는 장벽층에 대해 분리하거나 외측으로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외향력을 장벽층에 유도함으로써 장벽층을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예컨대 서브-챔버(131-143), 연결부(151-163) 및 매니폴드(150)를 형성할 수 있다. 압축 유체의 외향력에 기인하여 장벽층이 외측으로 팽창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장벽층 사이에 접합된 영역(170)을 형성한다.
유체-충전 챔버(130)는 유체-충전 챔버(130)를 캡슐화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등의 고분자 발포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 또는 성분과 조합하여 중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발포 재료는 중창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고분자 발포 재료와 유체-충전 챔버(130) 이외에, 중창은 예컨대, 플레이트, 조절제, 신발 성형 요소(lasting element), 또는 동작 제어 부재를 포함하여, 신발의 편안함, 성능 또는 지면 작용력 완화 특성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추가 신발 요소를 합체할 수 있다. 여러 구성에서는 부재하지만, 밑창(140)은 갑피(110)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의 표면을 제공하는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 논의되는 챔버에 대해 광범위한 고분자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챔버용 재료의 선택시, 챔버에 수용된 유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의 능력은 물론, 재료의 공학적 특성(예, 인장 강도, 신장 특성, 피로 특성, 동적 탄성률 및 손실 탄젠트(loss tangent))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열가소성 우레탄으로 형성시, 챔버벽은 약 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그 두께는 예컨대 0.2-4.0 mm 이상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열가소성 우레탄 외에, 챔버에 적합할 수 있는 고분자 재료의 예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또한, 챔버(200)는 Mitch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13,141호 및 5,952,0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의 층들을 교대로 배치한 것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재료에 대한 변종도 사용될 수 있는데, 그러한 교대로 배치한 층으로는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분쇄 재생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적절한 챔버 재료는 Bon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082,025호 및 제6,127,0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스 장벽 재료와 탄성 중합체 재료의 교차층을 포함하는 신축성 마이크로층 막이다. 추가의 적절한 재료는 Rud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83,156호 및 제4,219,945호에 개시된다. 또한, 적절한 재료는 Rudy에게 허여된 마국 특허 제4,936,029호 및 제5,042,176호에 개시된 결정질 재료를 함유한 열가소성 필름과 Bon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013,340호; 제6,203,868호; 제6,321,4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챔버 내의 유체는 0~350 kPa 이상(즉, 대략 51 psi)의 압력으로 압축될 수 있다. 공기와 질소 이외에, 유체는 옥타플루오라프로판(octafluorapropane)을 포함하거나, 헥사플루오로에탄과 헥사플루오르화황과 같이, Rud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340,626호에 개시된 가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챔버는 착용자가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밸브 또는 다른 구조를 합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구성을 참조로 이상의 설명과 첨부 도면에 개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에 의해 제공된 목적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특징 및 개념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구성에 대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20)

  1. 신발 제품으로서:
    신발 내의 공동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에 고정되고, 상기 공동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창 구조와;
    압축 유체를 에워싸며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챔버로서, 신발 제품의 안쪽(medial)에서 바깥쪽(lateral)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합된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유체-충전 서브 챔버를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및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인서트로서, 상기 챔버의 안쪽 측부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챔버의 바깥쪽 측부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복수의 유체-충전 서브 챔버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인서트
    를 포함하는 신발 제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챔버의 전족부에 근접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과, 상기 챔버의 뒤꿈치부에 근접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과 협력하여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신발 제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협력하여 상기 챔버를 에워싸는 것인 신발 제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복수의 유체-충전 서브 챔버를 각각 하나씩 내부에 수용하는 만입부들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들은 상기 유체-충전 서브챔버의 각각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들을 가지는 것인 신발 제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인접하는 만입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만입부들보다 더 개구 내부로 연장하는 것인 신발 제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챔버의 접합된 영역과 정렬하는 것인 신발 제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갑피와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상기 챔버와 대향하는 제2 벽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챔버에 접합되는 것인 신발 제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발포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11. 신발 제품으로서:
    신발 내의 공동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에 고정되고, 상기 공동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창 구조와;
    압축 유체를 에워싸며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챔버로서, 신발 제품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합된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유체-충전 서브 챔버를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및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인서트로서, 상기 챔버의 외주를 둘러싸며, 상기 복수의 유체-충전 서브 챔버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인서트
    를 포함하는 신발 제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챔버의 안쪽 측부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챔버의 바깥쪽 측부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부분과, 상기 챔버의 전족부에 근접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과, 상기 챔버의 뒤꿈치부에 근접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과 협력하여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신발 제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내부에 복수의 만입부들과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만입부들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과 교대로 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복수의 유체-충전 서브 챔버를 각각 하나씩 내부에 수용하는 만입부들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들은 상기 유체-충전 서브챔버의 각각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들을 가지는 것인 신발 제품.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인접하는 만입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만입부들보다 더 개구 내부로 연장하는 것인 신발 제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챔버의 접합된 영역과 정렬하는 것인 신발 제품.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갑피와 대향하는 제1 벽부 및 상기 챔버와 대향하는 제2 벽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챔버에 접합되는 것인 신발 제품.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발포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제품.
KR1020177020629A 2012-07-17 2013-07-16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KR102018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51,434 US9510646B2 (en) 2012-07-17 2012-07-17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US13/551,434 2012-07-17
PCT/US2013/050623 WO2014014873A1 (en) 2012-07-17 2013-07-16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107A Division KR101762426B1 (ko) 2012-07-17 2013-07-16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87A Division KR102222081B1 (ko) 2012-07-17 2013-07-16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978A true KR20170087978A (ko) 2017-07-31
KR102018901B1 KR102018901B1 (ko) 2019-09-06

Family

ID=490809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87A KR102222081B1 (ko) 2012-07-17 2013-07-16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KR1020157004107A KR101762426B1 (ko) 2012-07-17 2013-07-16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KR1020177020629A KR102018901B1 (ko) 2012-07-17 2013-07-16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87A KR102222081B1 (ko) 2012-07-17 2013-07-16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KR1020157004107A KR101762426B1 (ko) 2012-07-17 2013-07-16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510646B2 (ko)
EP (3) EP3692853B1 (ko)
KR (3) KR102222081B1 (ko)
CN (3) CN104507342B (ko)
WO (1) WO2014014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9913B2 (en) * 2011-12-29 2017-04-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y
US10806214B2 (en) * 2013-03-08 2020-10-20 Nike, Inc. Footwear fluid-filled chamber having central tensile feature
US9687042B2 (en) * 2013-08-07 2017-06-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midsole structure
EP3280501B1 (en) 2015-04-08 2020-04-01 NIKE Innovate C.V. Article with a cushioning assembly having inner and outer bladder elements with interfitting featur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US10362833B2 (en) * 2015-04-21 2019-07-30 Nike, Inc. Bladder element formed from three shee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US9820531B2 (en) * 2015-05-29 2017-11-21 Nike, Inc. Footwear including an incline adjuster
US9775407B2 (en) 2015-11-03 2017-10-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bladder element having a cushioning component with a single central open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O2017079255A1 (en) 2015-11-03 2017-05-11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bladder element with laterally-extending tub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 structure
CN108348038B (zh) * 2015-11-03 2020-11-1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具有缓冲部件的囊状元件的鞋类物品及其制造方法
US10070691B2 (en) 2015-11-03 2018-09-1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bladder element having a cushioning component with a single central opening and a cushioning component with multiple connecting featur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709206B2 (en) * 2015-11-30 2020-07-14 Nike, Inc. Method of filling electrorheological fluid structure
US10932523B2 (en) 2015-11-30 2021-03-02 Nike, Inc. Electrorheological fluid structure with attached conductor and method of fabrication
JP3220621U (ja) * 2016-03-28 2019-03-28 ドン グァン ジア シュアン インダストリア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重量バランスがとれるマッサージ式緩衝対流エアクッション
US20180008005A1 (en) * 2016-07-06 2018-01-11 Patricia Vandervoort Footwear with deployable and retractable tractive features
US10524538B2 (en) * 2016-09-08 2020-01-07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member
US10973276B2 (en) * 2017-01-23 2021-04-1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nergy harvesting footwear comprising three compressible volumes
USD823583S1 (en) * 2017-04-05 2018-07-24 Nike, Inc. Shoe outsole
US10645996B2 (en) 2017-05-23 2020-05-12 Nike, Inc. Midsole system with graded response
KR102258452B1 (ko) * 2017-05-23 2021-06-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등급화된 응답을 갖는 중창
US10758004B2 (en) 2017-05-23 2020-09-01 Nike, Inc. Domed midsole with staged compressive stiffness
EP3919149A1 (en) 2017-08-31 2021-12-08 Nike Innovate C.V. Degassing electrorheological fluid
TWI737946B (zh) * 2017-12-14 2021-09-0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用於鞋類物品之鞋底結構(三)
TWI744570B (zh) * 2017-12-14 2021-11-0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用於鞋類物品之鞋底結構(四)
US10548370B2 (en) * 2018-02-28 2020-02-04 Rockport Ip Holdings, Llc Shoe sole construction
FR3086738B1 (fr) * 2018-09-27 2020-12-04 Bruno Aubert Procede de thermoregulation d’un materiau souple alveolaire par compression et detente du gaz emprisonne dans ses alveoles et dispositif associe
US11839260B2 (en) * 2020-05-11 2023-12-12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TW202322712A (zh) * 2020-05-28 2023-06-16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用於鞋類製品的流體流動控制系統、足部支撐系統及包括足部支撐系統的鞋類製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029A (en) *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6226895B1 (en) * 1998-06-25 2001-05-08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construction
US20050132617A1 (en) * 2000-04-18 2005-06-23 Nike, Inc. Dynamically-controlle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70169379A1 (en) * 2006-01-24 2007-07-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US20090151195A1 (en) * 2007-12-17 2009-06-18 Nike, Inc. Method For Inflating A Fluid-Filled Chamber
KR20090012191U (ko) * 2008-05-27 2009-12-02 이동주 기능성 신발창

Family Cites Families (1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385A (en) 1893-06-27 William hall
US1193608A (en) * 1916-08-08 Insole
US1304915A (en) * 1918-07-31 1919-05-27 Burton A Spinney Pneumatic insole.
US2155166A (en) 1936-04-01 1939-04-18 Gen Tire & Rubber Co Tread surface for footwear
US2188168A (en) 1938-09-03 1940-01-23 Winkel Mabel Shoe
US2224590A (en) 1938-12-02 1940-12-10 Joseph E Tetreault Shoe filler
US3087261A (en) 1960-10-31 1963-04-30 Forward Slant Sole Company Slant cell shoe sole
US3192540A (en) * 1962-01-22 1965-07-06 Richard E Swank Adjustable pneumatic support
US3253355A (en) 1964-11-20 1966-05-31 Lester L Menken Cushioned shoe
FR2049264A5 (ko) 1969-06-05 1971-03-26 Pennel & Flipo Ets
BE766530A (fr) * 1970-05-05 1971-09-16 Dall Ava Yvan A Semelle interieure a coussin d'air
US3765422A (en) * 1971-12-27 1973-10-16 H Smith Fluid cushion podiatric insole
DE2460034A1 (de) 1974-12-19 1976-06-24 Miro Cujovic Sportschuh
US4059910A (en) 1976-12-23 1977-11-29 Kenneth Bryden Footwear apparatus
US4183156A (en)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US4217705A (en) 1977-03-04 1980-08-19 Donzis Byron A Self-contained fluid pressure foot support device
US4287250A (en) 1977-10-20 1981-09-01 Robert C. Bogert Elastomeric cushioning devices for products and objects
US4506461A (en) 1978-04-14 1985-03-26 Asics Corporation Sport shoe sole
US4340626A (en) 1978-05-05 1982-07-20 Rudy Marion F Diffusion pumping apparatus self-inflating device
US4219945B1 (en)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US4241524A (en) 1979-05-07 1980-12-30 Sink Jeffrey A Athletic shoe with flexible sole
IT7960923V0 (it) 1979-06-07 1979-06-07 Garzia Carmine Bolla Luigi Sottopiede per calzature e simili apprestante piu' camere d'aria parzialmente comunicanti atto a distribuire la pressione su tutta la pianta del piede.
US4265032A (en) 1979-06-14 1981-05-05 Betherb, Inc. Expandable article of footwear
US4309831A (en) 1980-01-24 1982-01-12 Pritt Donald S Flexible athletic shoe
US4332750A (en) * 1980-03-11 1982-06-01 Essex Chemical Corporation Blow-molding and degating hollow shapes
US4309832A (en) 1980-03-27 1982-01-12 Hunt Helen M Articulated shoe sole
US4302892A (en) 1980-04-21 1981-12-01 Sunstar Incorporated Athletic shoe and sole therefor
USD288027S (en) 1984-11-23 1987-02-03 Kangaroos U.S.A., Inc. Flexible sole for athletic shoe
US4670995A (en) * 1985-03-13 1987-06-09 Huang Ing Chung Air cushion shoe sole
US4638577A (en) 1985-05-20 1987-01-27 Riggs Donnie E Shoe with angular slotted midsole
IT1188618B (it) * 1986-03-24 1988-01-20 Antonino Ammendolea Plantare per calzatura ad impatto elastico ammortizzante
US4782603A (en) * 1986-08-12 1988-11-08 The Summa Group Limited Midsole
USD294653S (en) 1986-10-22 1988-03-15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USD294537S (en) 1986-12-08 1988-03-08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sole
US5025575A (en) * 1989-03-14 1991-06-25 Nikola Lakic Inflatable sole lining for shoes and boots
IT1204662B (it) * 1987-05-29 1989-03-10 Armenak Moumdjian Soletta a camera pneumatica per calzature,stampo e metodo di formatura relativi
US4874640A (en) * 1987-09-21 1989-10-17 Donzis Byron A Impact absorbing composites and their production
US5083361A (en) 1988-02-05 1992-01-28 Robert C. Bogert Pressurizable envelope and method
US4906502A (en) 1988-02-05 1990-03-06 Robert C. Bogert Pressurizable envelope and method
CA1338369C (en) * 1988-02-24 1996-06-11 Jean-Pierre Vermeulen Shock absorbing system for footwear application
US4908964A (en) 1988-08-15 1990-03-20 Interco Incorporated California type shoe with contoured midsole
US5042176A (en)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CA2011870A1 (en) * 1989-03-17 1990-09-17 Vincenc Boltnar Lasting insole for welted shoes and a form for production the same
IT1226514B (it) 1989-05-24 1991-01-24 Fila Sport Calzatura sportiva incorporante, nel tallone, un inserto elastico.
WO1991003180A1 (en) 1989-08-30 1991-03-21 Ellis Frampton E Iii Shoe sole structures using a theoretically ideal stability plane
AU6644290A (en) 1989-10-20 1991-05-16 Frampton E. Ellis Iii Shoe sole structures which are siped to provide natural deformation paralleling the foot
DK0594579T3 (da) 1990-01-10 2001-06-18 Anatomic Res Inc Skosålskonstruktioner
WO1991011924A1 (en) 1990-02-08 1991-08-22 Ellis Frampton E Iii Shoe sole structures with deformation sipes
US5044030A (en) * 1990-06-06 1991-09-03 Fabrico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ple layer fluid-containing cushion
AU8057891A (en) 1990-06-18 1992-01-07 Frampton E. Ellis Iii Shoe sole structures
US5230249A (en) * 1990-08-20 1993-07-27 Casio Computer Co., Ltd. Shoe or boot provided with tank chambers
AU8932491A (en) 1990-11-05 1992-05-26 Frampton E. Ellis Iii Shoe sole structures
US5179792A (en) * 1991-04-05 1993-01-19 Brantingham Charles R Shoe sole with randomly varying support pattern
US5222312A (en) * 1991-07-02 1993-06-29 Doyle Harold S Shoe with pneumatic inflating device
US5572804A (en) 1991-09-26 1996-11-12 Retama Technology Corp. Shoe sole component and shoe sole component construction method
JP3471011B2 (ja) 1991-09-26 2003-11-25 スカイデックス・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靴のソール構成要素
TW214511B (ko) * 1991-11-01 1993-10-11 Nike International Ltd
US5313717A (en) * 1991-12-20 1994-05-24 Converse Inc. Reactive energy fluid filled apparatus providing cushioning, support, stability and a custom fit in a shoe
EP0653914B1 (en) 1992-08-10 2000-06-14 Anatomic Research, Inc. Shoe sole structures
US5784808A (en) 1993-03-01 1998-07-28 Hockerson; Stan Independent impact suspension athletic shoe
IT1263332B (it) * 1993-03-05 1996-08-05 Pol Scarpe Sportive Srl Suola impermeabilizzata e traspirante per calzature
CA2106353A1 (en) * 1993-03-10 1994-09-11 George W. Bourne, Iv Catheter and manifold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625964A (en) 1993-03-29 1997-05-06 Nike, Inc. Athletic shoe with rearfoot strike zone
US5425184A (en) 1993-03-29 1995-06-20 Nike, Inc. Athletic shoe with rearfoot strike zone
US6138382A (en) * 1993-04-15 2000-10-31 Schoesler; Henning R. Fluid filled insole
US6092310A (en) * 1993-04-15 2000-07-25 Schoesler; Henning R. Fluid filled insole
US6178663B1 (en) 1993-04-15 2001-01-30 Henning R. Schoesler Fluid filled insole with metatarsal pad
US6258421B1 (en) * 1993-07-23 2001-07-10 Nike, Inc. Bladd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065230A (en) 1994-06-10 2000-05-23 Brocks Sports, Inc. Shoe having cushioning means localized in high impact zones
US5952065A (en) 1994-08-31 1999-09-14 Nike, Inc.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flexible barrier membrane
US6505420B1 (en) * 1996-02-09 2003-01-14 Reebok International Ltd. Cushioning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D377859S (en) 1995-05-31 1997-02-11 Vibram S.P.A. Combined tread surface and periphery of a shoe sole
US6013340A (en) 1995-06-07 2000-01-11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WO1996039885A1 (en) 1995-06-07 1996-12-19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5918383A (en) 1995-10-16 1999-07-06 Fila U.S.A., Inc. Sports shoe having an elastic insert
US5658050A (en) * 1996-01-11 1997-08-19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seat with inflatable bladder
US5794359A (en) * 1996-07-15 1998-08-18 Energaire Corporation Sole and heel structure with peripheral fluid filled pockets
US5915820A (en) 1996-08-20 1999-06-29 Adidas A G Shoe having an internal chassis
US6213334B1 (en) * 1996-09-05 2001-04-10 Baxter International Inc Flexible, three-dimensional contain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6773785B1 (en) * 1997-06-04 2004-08-10 Ing-Jing Huang Air cushion
US5918381A (en) * 1997-06-06 1999-07-06 Landry; Norman Shoe sole with liquid-powered ventilating fans
IT1292147B1 (it) * 1997-06-12 1999-01-25 Global Sports Tech Inc Calzatura sportiva incorporante una pluralita' di inserti aventi differenti risposte elastiche alla sollecitazione del piede
US6122785A (en) * 1997-07-01 2000-09-26 Airsports Technology, L.L.C. Air pad
US6079126A (en) 1997-08-29 2000-06-27 Olszewski; Jan S. Shoe construction
US6029962A (en) 1997-10-24 2000-02-29 Retama Technology Corporation Shock absorbing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US5875571A (en) 1997-11-06 1999-03-02 Huang; Tien-Tsai Insole pad having step-counting device
US5993585A (en) 1998-01-09 1999-11-30 Nike, Inc. Resilient bladder for use in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the bladder
USD396342S (en) 1998-01-09 1998-07-28 Nike, Inc. Portion of a bladder for a shoe sole
US20020121031A1 (en) 1998-01-30 2002-09-05 Steven Smith 2a improvements
GB9817712D0 (en) 1998-08-14 1998-10-14 Barrow Nicholas F Shoe
US6127026A (en) 1998-09-11 2000-10-03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082025A (en) 1998-09-11 2000-07-04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D421832S (en) 1998-12-02 2000-03-28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for a boot or shoe
US7451555B1 (en) * 1999-09-10 2008-11-18 Nikola Lakic Methods of making adjustable air cushion insoles and resulting products
KR19990084144A (ko) 1999-09-17 1999-12-06 박범용 충격흡수용의 지지핀구조를 갖는 에어쿠션, 그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US6571490B2 (en) * 2000-03-16 2003-06-03 Nike, Inc. Bladder with multi-stage regionalized cushioning
GB2363016A (en) 2000-05-31 2001-12-05 Roke Manor Research Automotive radar
DE10036100C1 (de) * 2000-07-25 2002-02-14 Adidas Int Bv Schuh
US6837951B2 (en) 2001-11-26 2005-01-04 Nike, Inc. Method of thermoforming a bladder structure
US20030097767A1 (en) 2001-11-28 2003-05-29 Perkinson Jermaine Derelle 4-E.V.A system
US7168190B1 (en) 2002-07-18 2007-01-30 Reebok International Ltd. Collapsible shoe
US20040040221A1 (en) * 2002-08-26 2004-03-04 Michael Airheart Molded manhole unit
US20040154189A1 (en) * 2003-02-12 2004-08-12 Wang Swei Mu Shoe sole structure
US7707745B2 (en) * 2003-07-16 2010-05-04 Nike, Inc.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US7070845B2 (en) 2003-08-18 2006-07-04 Nike, Inc. Fluid-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6990755B2 (en) 2003-10-09 2006-01-3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8038639B2 (en) * 2004-11-04 2011-10-18 Baxter International Inc. Medical fluid system with flexible sheeting disposable unit
US7076891B2 (en) 2003-11-12 2006-07-1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BRPI0417794B1 (pt) * 2003-12-23 2016-12-27 Nike Innovate Cv compartimento enchido com fluido com uma estrutura de reforço
US7086179B2 (en) * 2003-12-23 2006-08-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7200955B2 (en) *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331121B2 (en) * 2005-01-19 2008-02-19 Chie-Fang Lo Inflatable shoe sole
DE102005034195A1 (de) * 2005-07-21 2007-02-01 Zu-Ming Huang Atmende Einlegesohle
US7917981B1 (en) * 2005-11-30 2011-04-05 Nikola Lakic Methods of making adjustable air cushion insoles and resulting products
US7752772B2 (en) * 2006-01-24 2010-07-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US7600332B2 (en) * 2006-02-13 2009-10-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movable foot-supporting insert
US8256141B2 (en) * 2006-12-13 2012-09-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djustable ride
CN101519186B (zh) 2007-07-27 2012-01-04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公司 金属氢化物的活化
US8978273B2 (en) * 2007-10-19 2015-03-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US8863408B2 (en) * 2007-12-17 2014-10-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uid-filled chamber
US20090152774A1 (en) * 2007-12-17 2009-06-18 Nike, Inc. Method For Molding A Fluid-Filled Structure
US8177734B2 (en) * 2008-09-30 2012-05-15 Tyco Healthcare Group Lp Portable controller unit for a compression device
FR2941385B1 (fr) * 2009-01-23 2011-04-01 Millipore Corp Procede pour fournir un circuit pour liquide biologique et circuit obtenu.
US8863409B2 (en) * 2009-10-15 2014-10-21 Sears Brands, L.L.C. Shoe having an air cushioning bed
US9119439B2 (en) * 2009-12-03 2015-09-01 Nike, Inc. Fluid-filled structure
US8241032B2 (en) * 2010-05-18 2012-08-14 Mold-Masters (2007) Limited Single level manifold for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20130000157A1 (en) * 2011-07-01 2013-01-03 Han-Ching Wu Sole Structure
US9609913B2 (en) * 2011-12-29 2017-04-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y
US10645996B2 (en) * 2017-05-23 2020-05-12 Nike, Inc. Midsole system with graded respon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029A (en) *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6226895B1 (en) * 1998-06-25 2001-05-08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construction
US20050132617A1 (en) * 2000-04-18 2005-06-23 Nike, Inc. Dynamically-controlle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70169379A1 (en) * 2006-01-24 2007-07-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US20090151195A1 (en) * 2007-12-17 2009-06-18 Nike, Inc. Method For Inflating A Fluid-Filled Chamber
KR20090012191U (ko) * 2008-05-27 2009-12-02 이동주 기능성 신발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4873A1 (en) 2014-01-23
CN111329180A (zh) 2020-06-26
CN111329180B (zh) 2022-05-17
KR101762426B1 (ko) 2017-07-28
US9510646B2 (en) 2016-12-06
CN104507342B (zh) 2016-08-31
EP2849598B1 (en) 2018-05-23
US10499705B2 (en) 2019-12-10
KR102222081B1 (ko) 2021-03-04
KR102018901B1 (ko) 2019-09-06
US20140020264A1 (en) 2014-01-23
CN104507342A (zh) 2015-04-08
EP2849598A1 (en) 2015-03-25
US11399595B2 (en) 2022-08-02
KR20190104255A (ko) 2019-09-06
EP3692853B1 (en) 2023-08-23
KR20150034268A (ko) 2015-04-02
CN106136440A (zh) 2016-11-23
US20200100566A1 (en) 2020-04-02
CN106136440B (zh) 2020-05-08
US20170049185A1 (en) 2017-02-23
EP3692853A1 (en) 2020-08-12
EP3375314B1 (en) 2020-04-29
EP3375314A1 (en)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426B1 (ko)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US11297898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uid-filled chamber
US10299536B2 (en) Sole structure with bladd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61710B1 (ko) 챔버 시스템을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및 챔버 시스템의 제조 방법
CN110074510B (zh) 具有轮廓的流体填充室
US9289030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ramework-chamber arrangement
CN103561602A (zh) 具有抗拉结构的带轮廓的流体填充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