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594A -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594A
KR20170087594A KR1020160007317A KR20160007317A KR20170087594A KR 20170087594 A KR20170087594 A KR 20170087594A KR 1020160007317 A KR1020160007317 A KR 1020160007317A KR 20160007317 A KR20160007317 A KR 20160007317A KR 20170087594 A KR20170087594 A KR 2017008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k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535B1 (ko
Inventor
오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올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올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올케이
Priority to KR102016000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5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한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향부자의 2차 증류 추출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생산 단가를 낮추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스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and Mist for Skin Whiten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한약재의 증류 추출액을 포함하는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을 포함하여 널리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미백제인 코직산이나 알부틴과 같은 물질은 임상적 효능이 아직 입증되지 않았으며, 하이드로퀴논과 같은 물질은 매우 효과적인 미백 작용을 나타내나 멜라닌 세포에 독성이 심하여 잠재적인 돌연변이 유발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제품 적용시 제품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서 제한적이다.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종래기술은 아래와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24168호에서는 측백염, 산초 및 호장근의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피부 미백의 효과를 얻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7641호에서는 참소리쟁이 꽃, 쇠비름, 하고초로 이루어진 주약제와 치자, 감초, 삼칠근, 레몬으로 이루어진 보조약제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생약성분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85991호에서는 귤피, 도화 및 동과자로 이루어진 한방 약재 성분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58917호에서는 백출, 닥나무, 상백피, 작약, 복령, 천궁, 당귀, 감초를 균등한 양으로 혼합한 한방 생약재 조성물을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발효한 발효액으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새로운 한약재를 사용하여 미백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생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러 조성물을 탐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241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76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859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589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25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326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개시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과는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생산성이 향상된 한약재의 증류 추출액을 포함하는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미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향부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2차 증류 추출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미스트는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및 향부자의 혼합물을 전탕하여 1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추출액을 증류하여 2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도인 1 내지 10 중량부, 홍화 1 내지 10 중량부, 당귀 2 내지 20 중량부, 천궁 2 내지 20 중량부, 목단피 1 내지 10 중량부, 유향 1 내지 10 중량부, 몰약 1 내지 10 중량부, 향부자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생산 단가를 낮추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미스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향부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2차 증류 추출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및 향부자의 혼합물을 전탕하여 1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증류하여 2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미백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한 기술적 과제가 된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의 기저층 사이나 기저층의 아래, 털주머니 등에서 주로 관찰되는 멜라닌 세포로부터 합성되며, 세포질 돌기를 통해 각질형성세포로 운반되어 표피-멜라닌 단위를 형성한다. 멜라닌의 합성은 세포의 유전적 요인과, 대사, 내분비, 염증, 감염, 종양 등과 같은 물질적 및 화학적 요인들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데, 이런 원인들로 인한 멜라닌 합성 이상이 기미, 주근깨 등의 과색소 침착증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한의학적으로 볼 때, 멜라닌 색소 과침착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를 비롯하여 피부에 생기는 잡티는 대부분 기와 혈의 흐름이 원활치 않아 정체되어 생기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마치 시냇물이 잘 흐르면 물이 깨끗하고 이끼가 끼지 않지만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거나 정체된 곳에는 물이 탁해지고 이끼가 끼듯이, 피부에도 혈류의 흐름이 원활치 않으면 색소가 침착되고 잡티가 잘 생기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한약재들 중 혈과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활혈행기(活血行氣)의 효능이 있는 약재를 사용하면 피부의 멜라닌 색소의 과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재의 일성분인 도인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인 복숭아나무(Prunus persica (L.) Batsch) 혹은 산복사 나무(P.davidiana(C.) Franch.)의 성숙한 종자로 과실의 과육과 핵각을 제거하고 종인만을 건조하여 사용한다.
도인은 혈액응고 억제작용이 현저하여 어혈을 풀어 흩어지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여성의 월경곤란증, 생리통, 두통, 등에 효과가 뛰어나며 각종 타박상에도 통증과 멍울을 빨리 제거한다.
특히 여성의 기미, 주근깨, 눈밑 다크 서클 등은 한의학적으로 혈액순환장애와 어혈이 주원인이므로 도인이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대량의 지방유가 있어서 윤장작용이 있으므로 변비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약재의 일성분인 홍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이꽃(홍화, Carthamus tinctorius L.)의 꽃이다. 홍화는 혈액을 잘 흐르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활혈거어(活血祛瘀)의 효능이 있어서 혈액이 정체되어 발생하는 국소적 통증을 해소시키기 위해 상용하는 약이다.
특히 여성의 월경불하와 월경통, 자궁근종 및 산후의 어혈로 발생하는 복통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타박, 염좌로 인한 관절통, 근육통에도 효과가 있다.
도인과 홍화는 탁하고 뭉쳐있는 혈액을 풀어주고 잘 흐르게 하는 거어활혈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모든 혈액관련 질환에 쓰이는 네 가지 약물로 구성된 사물탕(당귀, 천궁, 지황, 작약) 과 함께 처방하면 도홍사물탕이라 불리고 이 처방은 인체 내 어느 부위든 혈액이 뭉쳐있고 잘 안 흘러서 문제가 되는 모든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한약재의 일성분인 당귀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당귀(Angelica sinensis Diels.)의 뿌리이다.
당귀는 보혈(혈액을 보익함)하고 조경(월경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활혈, 지통하는 작용이 있어서 혈액관련의 모든 질환과 부인과질환에 중요하게 쓰이는 약이다. 또한, 혈액이 부족하여 생기는 빈혈, 두통, 어지럼증과 혈액순환이 안 되어 생기는 각종 통증, 및 월경불순, 월경통 등에 필수적인 약이다.
본 발명의 한약재의 일성분인 천궁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목인 천궁(Ligusticum chuanxiong Hort.)의 근경이다.
천궁은 활혈, 지통, 작용이 있어 여성들의 생리불순, 월경통, 및 타박상에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효능이 있어 말초혈관의 순환장애로 발생하는 두통, 및 지절통에도 효과가 좋으며 또한 피부의 혈색을 밝게 해주는 효능이 탁월하다.
당귀, 천궁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인체의 혈액관련 모든 질환에 기본적으로 처방되는 사물탕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부족한 혈액을 보충해주는 보혈기능과 혈이 응체되어 생기는 각종 통증을 해소시켜주는 진통작용, 막힌 경락을 풀어주는 통경작용 등 모든 혈액질환에 두루 쓰이는 약물이다.
본 발명의 한약재의 일성분인 목단피는 작약과(Paeoniaceae)에 속하는 모란의 뿌리껍질이다.
목단피는 뭉친 어혈을 흩어지게 하는 활혈(活血), 산어(散瘀)작용이 있어서 여성의 생리불순과 생리통, 자궁근종이나 난소낭종 등 혈괴를 녹여 흩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단피는 열을 내리고 피를 서늘하게 하는 청열(淸熱), 양혈(凉血) 작용을 나타내어 혈액이 뜨거워져서 생기는 각종 염증성 질환들을 치료하며 갱년기증상처럼 얼굴이 상기되거나 열이 오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즉, 목단피는 혈액이 뜨거워져서 염증이 생기는 경우 혈액을 서늘하게 하고 뭉친 혈액을 풀어헤치는 효능이 있어서 이 또한 임상에 다용하는 약물이다.
본 발명의 한약재의 일성분인 유향은 감람(橄欖)과(Burseraceae)에 속하는 유향나무의 나무껍질에서 삼출되어 응고된 수지이다.
유향은 활혈, 행기, 지통작용이 있어서 어혈이 뭉쳐서 생기는 통증 및 타박상이나 염좌로 인한 통증에 상용하는 약재이다.
특히, 유향은 소종생기의 효능이 있어서 어혈로 인한 부종을 없애며 피부기육을 신생시키는 작용이 있어 상처를 잘 아물게 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의 일성분인 몰약은 감람(橄欖)과(Burseraceae)에 속하는 몰약 나무의 나무껍질에서 삼출되어 응고된 수지이다.
몰약은 유향과 작용이 비슷하여 대부분 함께 사용하는데 유향에 비해 상처를 아물게 하는 효능이 더 좋다. 또한, 몰약은 소독방부작용이 있으며 수침제(水浸劑)로서 사용하면 다종의 피부진균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즉, 유향, 몰약은 둘 다 활혈행기의 효능과 지통하는 효능이 있으며 피부, 기육을 신생시키는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한약재의 일성분인 향부자는 사초(莎草)과(Cyperaceae)에 속하는 향부자(Cyperus rotundus L.)의 괴경이다.
향부자는 울체된 감정을 풀어주어 기분을 좋게 하는 소간이기(疏肝理氣)의 효능이 있고 월경을 조율하는 조경(調經)의 효능이 있으며 월경통을 그치게 하는 효능이 있어 여성질환에 많이 쓰인다.
특히, 향부자에 함유된 정유에는 직접적으로 자궁수축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 신체의 통증에 대한 내수성을 현저하게 높이는 작용이 있으므로 여성의 생리불순으로 인한 생리통에 필수로 쓰이는 약재이다.
즉, 향부자는 소간이기, 조경지통 작용이 있어서 스트레스로 인해 기가 울체된 것을 풀어주며 스트레스성 생리불순을 치료하는 등 기의 작용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주요한 약물이다.
이러한 활혈행기의 효능을 지닌 다양한 약재들에 대한 사전 실험을 통해 화장품으로서의 유용성을 시험하였다.
예를 들어, 천궁의 경우, 메탄올 추출액을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멜라닌 생성 억제의 효과가 관찰되어 이러한 약재의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천궁 뿐만 아니라 활혈행기의 효능을 지닌 여러 가지 약재들 중 그 효능이 뛰어나고 임상에서 다용하는 약재들을 조합하여 피부의 혈과 기를 잘 흐르게 할 수 있는 복합처방을 구성하였으며 실제 임상에서 수전, 내복하는 방식으로 수십 여 차례에 걸쳐 복용시켜본 결과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대개 피부색이 안 좋거나 기미, 주근깨 등 색소의 과침착이 있는 여성들은 대부분 생리불순이나 생리통이 있는데 한방처방으로 생리불순을 치료하면 동시에 피부색도 밝아지고 잡티도 없어지는 것이 임상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미 등 색소 과침착증이 피부의 기혈흐름이 원활치 않아서 생기는 현상임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혈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약재를 사용하면 피부의 혈색을 좋게 하고 기미 등 잡티를 없앨 수 있으며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성의 생리불순, 생리통, 두부의 혈행장애로 생기는 편두통, 두통 및 말초 혈액순환 장애, 심장병 등 모든 혈관성 질환에 응용할 수 있는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향부자의 8가지 한약재를 병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어혈을 소산 시켜줌으로써 피부의 혈색을 밝게 해줄 뿐 아니라 멜라닌 형성억제 및 색소 과침착에도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한약재의 조합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는 실험을 지속한 결과 상기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향부자의 8가지 한약재를 병용하여 사용할 때 피부 미백의 최적화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실험을 거친 결과 본 발명의 8가지 한약재를 병용하는 경우, 일부 구성성분을 제외하거나 부가한 경우와 비교할 때 피부 미백에서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2522호, 10-0232671호 등에서 부인병 치료를 위한 좌혈단의 일성분으로서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향부자 등이 개시되어 있는 점에서도 피부 미백에 대한 효과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향부자의 8가지 한약재를 추출한 추출물을 통해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약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공지기술에 개시된 좌약이나 환약과는 달리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써 피부 도포능 및 흡수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물의 추출물이 주원료이므로 그 자체로 피부 흡수능이 뛰어나나, 피부에 도포시 불균질한 코팅, 부족한 피복력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오가노폴리실록산 등의 증점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첨가하여 미스트를 제조하면 피부 도포 및 흡수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향부자의 8가지 한약재를 자연건조한 후, 이를 단지에 넣어 숙성하여 원료물질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한약재를 가열탱크에 넣고 가열하여 1차 추출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추출액을 증류장치를 사용하여 증류함으로서 2차 추출액을 제조한다.
상기 2차 추출액은 냉각탱크로 이송하여 냉각한 후,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출하 시 용기에 포장하여 제품으로 출하하게 된다.
추출 방법은 공지의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물,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극성 용매 또는 에테르,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극성 용매를 용매로 사용하여 냉침 또는 온침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추출물은 추가적으로 알코올,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여 희석함으로써 미스트로 제조한 후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도 있다.
한약재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화장품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도인 1 내지 10 중량부, 홍화 1 내지 10 중량부, 당귀 2 내지 20 중량부, 천궁 2 내지 20 중량부, 목단피 1 내지 10 중량부, 유향 1 내지 10 중량부, 몰약 1 내지 10 중량부, 향부자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한약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인 : 홍화 : 당귀 : 천궁 : 목단피 : 유향 : 몰약 : 향부자의 8가지 한약재의 중량비로 볼 때, 1 : 1 : 2 : 2 : 1 :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된 도인 5 중량부, 홍화 5 중량부, 당귀 10 중량부, 천궁 10 중량부, 목단피 5 중량부, 유향 5 중량부, 몰약 5 중량부, 향부자 5 중량부의 8가지 약재들을 혼합한 약재 50 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1,000 중량부를 가하고, 이를 전통 한약추출기에 넣고 3시간 내지 4시간 동안 90 내지 120℃로 가열하여 한약액을 추출한 후, 380메시(mesh) 여과포로 약재를 거르고 이 한약액을 수증기 증류장치(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에 넣고 4시간 가량 추출하여 2차 증류액을 얻었다.
상기 증류액과 계면활성제, 물을 혼합하여 미스트를 제조한 후 이를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시용하여 피부 반응 및 피부 미백 효과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시험 대상자에 대하여 5g의 미스트 액을 1일 3회 얼굴에 분사하고 일주일 경과 후 홍반 및 부종 유무를 확인하였다.
피부 반응은 표 1과 같은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반응수×100×1/2)/(3×최대점수×총피검자수)의 식으로 평균피부반응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반응도가 0%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스트로 하여 사용하더라도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호 점수 평가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홍반 또는 가벼운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또한, 피부 미백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마우스 양쪽 귀 등쪽면에 도포하고 UV 조사기를 사용하여 UV-B 200mJ/㎠(0.5mW/sec)의 조사량으로 마우스 양쪽 귀 등쪽면에 1회 조사하였다.
또한, 비교실험을 위하여 당귀, 천궁을 제외한 6가지 한약재의 추출물로 제조한 미스트(대조군 1) 및 도인, 홍화를 제외한 6가지 한약재의 추출물로 제조한 미스트(대조군 2), 유향, 몰약, 향부자를 제외한 5가지 한약재의 추출물로 제조한 미스트(대조군 3)을 마우스 양쪽 위 등쪽면에 도포하고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1 ㎟의 표피 당 가지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군(n=6) 표피 당 가지세포 수(평균±표준편차)
정상대조군 658.6±48.4
본 발명의 미스트 사용군 513.6±34.7
대조군1 495.3±49.3
대조군2 474.2±54.3
대조군3 458.2±37.8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마우스에 대해서는 가지세포 수의 감소와 가지돌기의 소실이 대조군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의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8가지 한약재를 모두 병용하여 이를 화장료 조성물로 할 때 미스트로서의 최적의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및 향부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은 2차 증류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의 피부 미백용 화장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4. 도인, 홍화, 당귀, 천궁, 목단피, 유향, 몰약, 및 향부자의 혼합물을 전탕하여 1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추출액을 증류하여 2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도인 1 내지 10 중량부, 홍화 1 내지 10 중량부, 당귀 2 내지 20 중량부, 천궁 2 내지 20 중량부, 목단피 1 내지 10 중량부, 유향 1 내지 10 중량부, 몰약 1 내지 10 중량부, 향부자 1 내지 10 중량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07317A 2016-01-21 2016-01-21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4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317A KR101804535B1 (ko) 2016-01-21 2016-01-21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317A KR101804535B1 (ko) 2016-01-21 2016-01-21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594A true KR20170087594A (ko) 2017-07-31
KR101804535B1 KR101804535B1 (ko) 2017-12-04

Family

ID=5941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317A KR101804535B1 (ko) 2016-01-21 2016-01-21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929A (ko) * 2019-05-24 2020-12-02 이승호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419B1 (ko) * 2005-02-24 2005-09-16 신화제약 (주)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929A (ko) * 2019-05-24 2020-12-02 이승호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535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601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CN103479775B (zh) 一种刮痧油及其制备方法
KR101563325B1 (ko)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CN103142856A (zh) 中药美白祛斑液
WO2013180358A1 (ko)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CN108498390B (zh) 一种治疗痤疮的藏本草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114074A (zh) 乳房消肿止疼川穹鲜药提取组合物、鲜药油及其制备方法
CN105943435A (zh) 含木耳提取物的控油防痤疮类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4825347A (zh) 一种医用生物美白袪斑敷料及其制备方法
CN105125470A (zh) 一种控油祛痘用的水凝胶微胶囊
CN114146014A (zh) 一种复方烟酸薄荷酯植物多糖乳膏及其制备方法
CN104095783A (zh) 一种中药消炎拔痘美容霜及其制备方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9939193A (zh) 一种治疗皮肤湿疹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101804535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0046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CN106924134A (zh) 一种中药美白淡斑霜及其制备方法
KR20110082752A (ko) 한방 피부 보습 및 세정 조성물
CN106890120A (zh) 一种中药美白淡斑乳及其制备方法
WO2018082117A1 (zh) 具有祛除皮肤红血丝功能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护肤制剂
CN108785429A (zh) 一种具有舒缓修复功效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03932A (zh) 一种治疗激素依赖性皮炎的中药复方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920124B (zh) 一种杀菌护肤冻疮膏
CA3083769C (en) Composition for sebum control and pore minimiz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