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665A -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665A
KR20170086665A KR1020177019022A KR20177019022A KR20170086665A KR 20170086665 A KR20170086665 A KR 20170086665A KR 1020177019022 A KR1020177019022 A KR 1020177019022A KR 20177019022 A KR20177019022 A KR 20177019022A KR 20170086665 A KR20170086665 A KR 20170086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heet layer
layer
liquid
topsheet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106B1 (ko
Inventor
재은 박
채산 탠
프란츠 아스켄브렌너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8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2013/5118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5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for improving fluid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 용품은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가지고,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및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및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을 갖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뿐만 아니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을 포함한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을 가지며, 2개의 대향하는 부착 구역에서 또는 이를 따라서,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서 또는 인접하게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부착된다.

Description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 WITH PARTIALLY SEPARABLE, SKIN-CONTACTING TOPSHEET LAY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여성 및 성인 위생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 및 이들과 관련된 피부-접촉층(또는 상면시트) 및 이러한 용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 및 성인 위생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은 종종 오염으로부터 소비자 속옷과 겉옷을 보호하고, 생리, 혈액 또는 소변과 같은 신체 삼출물을 수집하고 보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용품은 사용 동안 속옷의 가랑이 영역에 가장 보편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품의 맥락에서, 흡수성과 편안함이 2가지 주요 제품 속성이며 이러한 용품의 착용자가 관심을 갖는 영역이다. 특히, 착용자는 종종 자신의 의복 또는 침대 시트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품이 신체 삼출물을 충분하게 흡수한다는 것을 아는 것에 대해 관심이 있다. 착용자는 또한 사용 중에 제품이 더럽혀지거나 배설물이 묻어도 감소된 습한 느낌을 증명하는 이러한 제품을 갖는 것에 관심이 있다. 불행하게도, 일단 이러한 제품이 더러워지면, 상면시트층(즉, 용품의 사용자 대향, 피부 접촉 표면 층)은 흔히 사용 기간에 걸쳐 일정 시간 동안 젖은 상태이거나 적어도 젖은 것으로 느껴진다. 상면시트층은 흔히 흡수성일 수 있으며, 천연 섬유 또는 계면 활성제 처리된 고분자 재료와 같은 친수성 구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료는 촉감이 부드럽지만, 이 재료는 더럽혀진 후에 종종 그 표면에 현저하게 수분을 유지하며, 그로 인하여 지속해서 사용하는 동안에 불편한 느낌을 만들게 된다. 이상적인 상황에서, 오염이 실제로 발생하면 이러한 용품은 사용자에 의해 교체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가 처음에 오염이 발생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시, 사용자는 제품 교환이 가능하거나 편리한 장소에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용품의 빈번한 교체는 또한 사용자의 특별한 일상적 활동을 고려해볼 때 실용적이지 않을 수 있다.
(피부 건강에 근거한 것뿐 아니라 신체적 편안함 모두를 위하여) 오랜 사용 동안에 제품의 감소된 습한 느낌을 경험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의 결과로서 제조업체는 제품 오염에 뒤이어 이러한 느낌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접근 방식을 분석하고 있다. 제조자는 습기의 초기 느낌과 "재습윤(rewet)"의 지속적인 감각을 감소시키려는 시도를 해왔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재습윤"은 상면시트층을 통해 월경 또는 소변과 같은 유체 또는 액체를 흡수하고 이를 내부 흡수층에 전달하며 이어서 착용의 연속적인 압력 하에서 흡수층(들)로부터 상면시트층으로 다시 방출하는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경향을 지칭한다. 상면시트로의 이러한 액체의 재방출은 흔히 소비자의 지속적인 습기에 대한 지각으로 이어진다.
흡수 용품 제조업체는 상면시트층의 화학적 보강을 기초로 하여 감소된 습기를 위하여 개별적인 상면시트층을 특별히 설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소수성 상면시트층은 본질적으로 소수성인 고분자 섬유상 부직포 재료 또는 천공된 필름 재료로부터 개발되어왔으므로, 용품은 연장된 건조감을 보여주고 있다. 상면시트의 소수성 표면 특성의 결과로서, 이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흡수층에 보유되어 있는 흡수된 유체는 상면시트층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되돌아 가는 성향이 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일방향 밸브로서 작용하여 수분이 한 방향으로 통과하게 하고 수분을 사용자 대향, 피부 접촉 표면 아래에 유지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면시트 설계는 하부의 흡수층에 유체가 직접 통과할 수 있도록 비교적 작거나 더 큰 구멍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Nomura 등의 AU 703676는 유체가 제품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노출된 중심 천공부를 갖는 패드의 길이 방향 말단 및 가로 방향 측면 에지에 부착된 상면시트층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이 건조감의 보다 장기적인 소비자 감각을 생성하는데 다소 성공적이었지만, 증가된 통기성 및 공기 순환을 제공하고, 사용자를 흡수층(들) 내의 유체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할 것이라는 증가된 소비자의 신뢰 및 인식, 초기 오염 또는 재습윤의 결과로서 소비자가 실제로 습기의 계속적인 느낌을 경험할 가능성이 적은 것을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구멍을 갖는 소수성의 필름 기반의 상면시트는 흔히 제품에 대해 불편한 "플라스틱"과 같은 느낌을 생성해 왔으며, 이 바람직하지 않은 감각을 다루기 위한 계속적인 요구가 있다.
제조업체는 또한 층이 사용자 대향, 피부 접촉 표면에 걸쳐 다른 영역에서 다른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다중 구성요소 상면시트층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층에서, 제1 재료는 제품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재료와 나란히 놓이거나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JP 1-122727U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다른 재료를 둘러 쌀 수 있다. 이러한 층은 일반적으로 동일 X-Y 평면 내에 2개의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품 주변 에지에서와 비교하여 중앙에 위치된 유체-침착 영역(또는 배설 영역)에서 소비자가 상이한 감각을 느끼도록 부분적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설계에서, 예를 들어, 천공된 고분자 필름은 중앙에 위치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부드러운 부직포 재료는 주변 측면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특허 문헌에서, 예를 들어 Miao Lin 등의 국제특허공개 WO 2014/085974에서와 같이, 이러한 다중 구성요소 상면시트층은 제품 깊이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중심에 천공된 하부층 위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위 "이중 커버"또는 "이중 구성요소(bicompoent)” 상면시트의 경우에도, 흡수 용품에서의 증가된 통기성 및 공기 순환, 그리고 하부의 흡수층으로부터의 상면시트층의 물리적 분리를 통해 재습윤 가능성을 줄이려는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소수성 및 다중 구성요소 상면시트층은 초기 습윤 또는 계속적인 재습윤 감각에 대한 부분적인 해결책만을 제공하였기 때문에 습한 감각 및 소비자의 우려를 해결하고자 흡수 용품 제조업자는 또한 개별 층 또는 재료 디자인과는 대조적으로 보다 복잡한 구조적 해결책을 탐구해왔다. 예를 들어, 제조업체는 용품 상면시트의 초기 유체 배설 영역에서 떨어져 유체를 더 신속하게 또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체 분배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상면시트층에서 유체/액체의 표면 유지를 만족스럽게 다루지 못하였으며, 밑에 있는 오염된 구조로부터 상면시트층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돕지 못하였다.
따라서, 제조업체는 하나 이상의 하부 흡수층(들)으로부터 용품의 초기에 오염된 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유체 침착 영역으로부터 흡수 용품 내의 흡수된 유체를 격리시키기 위한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러한 물리적 분리는 흔히 엄격해진 간격 층 또는 구조의 사용을 통하여 더 많은 비용과 용품의 복잡성으로 달성되었다. 간격 층은, 예를 들어 상면시트와 하부 흡수성 코어층 사이에 위치된 간격 또는 분리 구조의 사용을 설명하고 있는 Visscher 등의 미국특허 제5,324,278호 및 상부 이격 흡수 구조가 하부 흡수 패드 구조에 걸쳐 위치된 복합형 패드를 설명하고 있는 Mizutani의 미국특허 제6,296,628호 및 Mizutani 등의 미국특허 제7,160,278호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복합 패드에서, 상승된 상면시트층은 여전히 흡수층에 바로 인접하게 유지되거나 부착되며, 그로 인하여 계속적인 사용 동안 습기를 잠재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다시 접촉하게 한다. 사용자가 사용 중에 여성 회음부에서 비교적 단단한 돌출부를 느끼고 있어야 하므로 이러한 상승된 층은 또한 사용자의 안락함을 희생시킬 수 있다.
하부의 흡수층과 사용자 대향 액체 처리층 사이에 공간적인 갭을 생성하기 위하여 다른 상승된 액체 처리층이 다양한 흡수 용품을 위하여 설계되었다. Tanzer 등의 미국특허 제5,853,403호에는 이와 같은 천공된 액체 처리 융기층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층은 층 및 용품의 길이 방향 말단에서(및 일부 예에서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 연결되지만, 비교적 많은 양의 액체를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다른 부가적인 보조 또는 떠있는 구조체가 Tanaka의 JP2007167191 및 Mizutani 등의 미국특허공개 제20050027278호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부가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제조 단계를 필요하게 만드는 다수의 부가적인 재료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부가적인 비교적 큰 용량의 액체 처리 또는 흡수층에 바로 인접하게 상부 사용자 대향면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부가적이고 값비싼 중간 층 또는 구조에 의존하지 않고 상면시트층을 흡수층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흡수 용품에 대한 필요성이 아직 존재하며, 결과적으로 사용 중에 재습윤을 감소시키고 용품을 통한 통기성/공기 순환을 촉진시킨다.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이 감소된 상태에서 액체 또는 다른 신체 삼출물이 사용자로부터 흡수 용품의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흡수 용품 하부의 분리된 흡수 부분으로 방해받지 않고 직접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흡수 용품에 대한 추가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 용품은 길이 방향, 가로 방향 그리고 깊이 방향을 갖는다.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및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및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을 갖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을 더 포함하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을 가지며, 2개의 대향하는 부착 구역에서 또는 이를 따라서,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서 또는 인접하게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부착된다. 부착 구역은 접착제, 초음파 또는 열 접합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접음부(fold)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연속적인 비부착 영역 또는 영역들이 2개의 대향하는 부착 영역들 사이에서 흡수 용품 가로 방향을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며, 제1 및 제2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연속적인 비부착 영역 또는 영역들에서 서로 부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비부착 영역 또는 영역들은 제품 사용 중에 2개의 상면시트층을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때때로 이들 사이에 공간적인 갭 또는 빈 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비부착 영역 또는 영역들은 제1 상면시트층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한 구조 또는 용품의 측면 압축 결과로서 이러한 상부 시트들이 분리될 때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상면시트층 사이에 연장된 빈 공간 또는 공간적 갭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들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서 또는 인접한 위치에서 서로에만 부착된다. 또한,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흡수 용품은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서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사이에 다른 층 또는 층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흡수 용품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및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사이에 끼워진 적어도 하나의 흡수성 코어층을 더 포함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천공되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전체 두께를 통하여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까지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이 존재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 상면시트층의 상부 표면까지 직접적인 액체 또는 삼출물 통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천공은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한 제2 상면시트층의 가시화뿐만 아니라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한 제2 상면시트층으로의 액체의 방해받지 않는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매크로-천공 구멍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천공 구멍은 적어도 2mm의 직경을 갖는 원형이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천공 구멍(들)은 예를 들어, 약 30mm 내지 100mm의 길이와 약 20mm 내지 60mm의 폭을 갖도록 더 크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보다 상대적으로 더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이고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폴리올레핀 부직포, 필름 또는 부직포-필름 적층체 시트로 만들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친수성 폴리올레핀, 스루-에어 본디드 카 디드 웹으로 만들어진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중심 길이 방향/축을 따라 굽힘 또는 접힘선을 포함한다. 이러한 굽힘 또는 접힘선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대해 상향으로 구부러지게 한다. 이러한 굽힘은 반전된 "V" 구성과 유사하며 끝(point)은 은 사용자 쪽으로 위를 향하고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굽힘 또는 접힘선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한쪽 또는 양쪽 측면 표면(상부 또는 하부 표면) 상에 존재하는 엠보싱 선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굽힘선은 연속선 또는 불연속 엠보싱 선, 대안적으로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반적으로 일렬로 배열된 비교적 작은 엠보싱 형상의 연속 또는 불연속 배열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엠보싱 선 또는 엠보싱 형상은 약 1mm 내지 3mm의 용품 가로 방향을 따른 폭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상면시트층 전체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은 굽힘선을 따라서 위치되며, 이 굽힘선은 일 실시예에서 중심 길이 방향/축을 따른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층 전체 두께를 관통하는 다수의, 유사한 치수 및 형상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다수의 천공 구멍은 용품의 중심 길이 방향을 향하여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층 전체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치수와 유사한 형상의 다수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을 포함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다수의 천공 구멍은 전체적으로 타원형 형상과 유사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다수의 천공 구멍은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층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는 중앙에 위치된, 단일의 타원 또는 원형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사용자 대향, 피부 접촉 표면 및 대향하는 의복 대향면을 포함한다. 의복 대향면은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비흡수성 유체 전달층을 가지며, 유체 전달층은 전체 유체 전달층 치수(길이 및 폭)를 따라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은 그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렬된 천공 구멍을 포함하며, 이 천공 구멍은 제1 상면시트층의 천공 구멍 또는 구멍과 흡수 용품 깊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대안적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적어도 하나의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과 동일한 형상 및 치수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은 그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천공 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천공 구멍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보다 적어도 하나의 치수가 크거나 또는 치수가 작으나, 제2 상면시트층으로의 액체 연통 통로 또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한 제2 상면시트층의 가시화를 완전하게 차단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층의 하나의 정렬된 천공 구멍은 단일의 타원형 또는 원형 형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층의 가로 방향 폭 치수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가로 방향 치수보다 좁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의 크기 또는 형상을 용품 사용자에게 두드러지게 하기 위하여 유체 전달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과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인 구별은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제1 상면시트층과 전달층 간의 색상 또는 질감 차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배경 색 대비를 생성함으로써 제1 상면시트층 내의 천공 구멍의 존재를 두드러지게 하도록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색은 제2 상면시트층의 색과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액체 투과성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을 포함하며,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언급된 전달층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전달층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전달층 자체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층들은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단일체로서 분리되어 장시간의 용품 사용 동안 이들 사이에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및 전달층 모두에 부착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및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에서 보았을 때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을 통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또는 제2 상면시트층 아래의 층)의 가시화를 계속해서 가능하게 하도록 이러한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투명하거나 거의 투명하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다수의 형상 및 치수로 이루어진 천공을 포함하며, 이 천공은 사용자로부터의 제2 상면시트층으로의 유체/삼출물의 방해받지 않는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의 천공의 적어도 일부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및/또는 전달층(존재한다면)의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들)보다 치수가 작다. 다른 부가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천공된 필름 시트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부가적인 천공 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을 가로 질러 연장되어 있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천공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예를 들어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또는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의 안쪽으로의 위치로의 부착 및 이로부터의 연장을 위하여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각각에 인접한, Z-접음부(fold)와 같은, 대향하는 측방향 접힌 측면 에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제2 상면시트층 위에서의 떠있는 상면시트층의 외관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상면시트층은 하부의 제2 상면시트층에 직접 고정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와 비교적 납작한 구성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Z형태로 접힌 측방향 측면 에지와 더 과장되게 상승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 Z형태로 접힌 측방향 측면 에지는 또한 하부의 제2 상면시트층에 직접 고정되지만, 측방향 측면 에지 Z-접힘 구조와 굽힘선의 결과로서 향상된 높이를 제공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접착제, 초음파 및 열 접합 방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을 통하여 그의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 인접한 부착 구역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은 다수의 부착된 층의 결과로서 강성을 발휘하여 제2 상면시트층 위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서) 일반적으로 볼록한 구조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중심 상면시트층 부분 및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 인접한 측부 상면시트층 부분을 더 포함하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측부 상면시트층 부분에서, 중심 상면시트층 부분 또는 측부 상면시트층 부분과 중심 상면시트층 부분의 조합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된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포함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측부 상면시트층 부분은 안쪽 에지를 가지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측부 상면시트층 부분의 안쪽 에지들 사이의 위치에서 부착 구역을 통해 중심 상면시트 부분에 부착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및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따라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포함하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포함하고,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가로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치수가 다르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보다 전체 치수가 작고, 대안적으로 용품 방향(Z)에서 보았을 때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상에서/위에서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보다 전체 치수가 작으며,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상에 위치하는 반면, 흡수 용품의 길이 방향 말단 중 다른 길이 방향 말단보다 어느 한 말단을 더 향하여 위치되어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의 가로 방향 및 길이 방향 모두를 따라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치수가 다르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흡수성 제2 상면시트층과 흡수 용품의 가로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 하나만을 따라 치수가 다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보다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서 더 짧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용품 사용자 대향, 피부 접촉 표면을 따른 초기 유체 침착 구역을 포함하며, 액체 침투성 제1 상면시트층은 초기 유체 침착 영역 내에 위치되어 있다. 또 다른 구현 예에서, 흡수 용품은 중심 길이 방향 또는 축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은 흡수 용품 중심 길이 방향 또는 축을 따라 대칭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다른 부가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천공 구멍은 사용자의 회음부 또는 대안적으로 질 영역 주위에 맞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천공된 필름 층은 흡수 용품 깊이 방향으로 유체 전달층 아래에 있고 유체 전달층에 연결되며, 천공된 필름 층은 유체 전달층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사이에 위치되지만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이거나 대체로 소수성이며, 본질적으로 소수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표면 처리 또는 고분자 블렌드를 통해 제조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일반적으로 소수성이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일반적으로 친수성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다른 유체 안내 또는 전달층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하나 이상의 흡수성 코어층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유체 유도 또는 전달층 자체는 그 전체 두께를 통하여 천공 구멍을 가지며, 이 천공 구멍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 그리고 대안적으로, 존재한다면, 제1 상면시트층에 부착될 수 있는 전달층 및/또는 부가적인 상면시트층의 구멍의 치수 및 형상과 일치하도록 치수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이 천공은 또한 용품 L, T 및 Z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1 상면시트층의 이러한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과 정렬되며, 대안적으로 존재할 경우 전달층의 구멍과 정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측면들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완전하고 사용 가능한 개시 내용은 다음과 같은 첨부한 도면들을 비롯해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도 1은 위생 패드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위생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단지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단지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c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단지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d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단지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e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f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g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h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비대칭 패드가 보여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패드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최상부 표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패드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c는 비대칭 패드가 보여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패드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최상부 표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d는 선 3D-3D를 따라 절취한, 도 3c의 위생 패드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분해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선 4A-4A를 따라 절취한, 도 1의 위생 패드의 분해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는 선 4B-4B를 따라 절취한, 도 2f의 위생 패드의 분해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c는 선 4C-4C를 따라 절취한, 도 2g의 위생 패드의 분해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d는 선 4D-4D를 따라 절취한, 도 2h의 위생 패드의 분해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e는 본 발명의 위생 패드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부직포 또는 부직 웹"는 용어는, 편직물(knitted fabric)에서와 같이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인터레이드된(interlaid) 개별적인 섬유 또는 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지칭한다. 부직포 또는 부직 웹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잉 공정, 스펀본딩 공정, 코폼 공정, 고수압 직조 및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TABCW와 같은) 본디드 카디드 웹 공정과 같은 많은 공정에서 형성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멜트블로운 웹"은 일반적으로, 용융 열가소성 재료가 용융 섬유로서 복수의 미세한, 보통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하여 수렴 고속 가스(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 내로 압출되며 가스 스트림은 용융 열가소성 재료의 섬유를 약화시켜 섬유의 직경을 극세사 직경으로 될 수 있도록 감소시키는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부직포 웹을 지칭한다. 이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흐름에 의하여 운반되고 수집 표면 상에 침착(deposit)되어 무작위로 분배된 섬유들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Butin 등의 미국 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위 특허는 전체적으로 내용은 본 명세서 내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는 실질적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이며, 일반적으로 직경이 10㎛보다 작으며, 수집 표면 상에 침착될 때 일반적으로 점착성(tacky)인 극세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스펀본드 웹"은 일반적으로, 작은 직경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웹을 지칭한다. 섬유는 방적돌기(spinnerette)의 다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함에 의하여 형성되며, 그후 예를 들어 유도적 인발 및/또는 기타 공지된 스펀본딩 기구에 의해 압출된 섬유의 직경은 급격히 감소된다. 스펀본드 웹의 제조는, 예를 들어 Appel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에 의한 제3,692,618호, Matsuki 등에 대한 제3,802,817호, Kinney에 대한 제3,338,992호, Kinney에 대한 제3,341,394호, Hartman에 대한 제3,502,763호, Levy에 대한 제3,502,538호, Dobo 등에 대한 제3,542,615호 및 Pike 등에 대한 제5,382,400호에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며, 위 특허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 내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들은, 수집 표면 상에 침착(deposit)될 때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가끔 약 5 내지 약 20㎛와 같은, 약 40㎛ 미만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용어 "코폼"은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섬유들과 제2 비-열가소성 재료의 혼합물 또는 안정화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을 가리킨다. 예로서, 코폼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가 슈트(chute) 가까이에 배치되고 그것을 통해 다른 재료가 웹이 형성되는 동안 웹에 첨가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런 다른 재료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섬유상 유기 재료, 예를 들어, 목질계 펄프 또는 비-목질계 펄프, 예를 들어, 면, 레이온, 재생 종이, 펄프 플러프 및 또한 초흡수성 입자, 무기 및/또는 유기 흡수 물질, 처리된 고분자 스테이플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폼 재료의 일부 예가 Anderson 등에 대한 미국특허 제4,100,324호; Everhart 등에 대한 제5,284,703호; 및 Georger 등에 대한 제5,350,62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위 특허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 내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저장 구성요소"는 주요 기능이 신체 삼출물을 액체/유체 폐기물의 형태로 궁극적으로 저장하도록 설계된 흡수 용품 층을 지칭한다. 즉, 이러한 저장 구성요소는 액체가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그리고 선택적으로 서지(surge), 전달 및 분배층과 같은 액체 처리층을 통하여 흡수 용품 내로 수용된 후에 수성 기반 액체/유체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흡수층이다. 이러한 저장 구성요소 층은 예를 들어 흡수 용품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초흡수성 재료(또는 SAP)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 솜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 기반 재료, 다공성 폼 또는 예를 들어 다른 친수성 액체 유지 재료와 같은 모든 또는 일차적인 친수성 재료를 포함한다. 액체/유체 저장 구성요소는 상면시트층 또는 서지, 전달, 분배 또는 유도층과 같은 중간 액체/유체 처리층과 구별되어야 하며, 이 층들은 “통과(pass-through)층”으로 설계되어 액체가 초기 액체/유체 수용층으로부터 유체 저장 구성요소로 이동할 때 액체 상에서 기능을 수행한다. 액체가 궁극적인 저장 목적지로 이동함에 따라 통과층은 층을 통하여 액체를 이동시킨다. 통과층의 다양한 기능의 예로는 액체가 층을 통하여 저장층으로 이동할 때 액체 흐름을 늦추고, 인접한 층 상에서 다수의 방향을 따르는 액체의 흐름을 넓히고, 유체를 용품 내의 하부 층으로 신속하게 보내고, 또는 특정 분리 작동 또는 액체 상에서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적어도 상면시트층, 흡수성 코어층 및 배면시트층 (즉, 용품 깊이 방향으로의 다층 흡수 용품의 적어도 제1 사용자 대향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의 초기 액체/유체 수용층(즉, 상면시트층)은 본 적용의 목적을 위하여 "저장 구성요소"로 간주되지 않는다. 상면시트층 상의 초기에 수용된 액체/유체의 부수적 인 존재 또는 이러한 상면시트층의 재습윤은 본 적용의 목적을 위하여 궁극적인 액체 저장을 구성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은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 및 상면시트층 길이를 따르는 상면시트 의복 대향 하부 표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50% 넘게)을 가로질러 부착된, 상면시트층에 대한 임의의 직접적으로 부착된 층은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 및 임의의 선택적으로 직접적으로 부착된 층은 전체적으로 소수성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면시트층은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제외하고는 상면시트층에 부착된 임의의 다른 층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부착된 층은 이차 상면시트층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소수성"은 적어도 90°의 공기 중 물의 접촉각을 갖는 재료를 지칭할 것이다. 용어 "친수성" 및 "습윤성"은 90° 미만의 공기 중 물의 접촉각을 갖는 재료를 지칭하기 위해 서로 바꾸어서 사용된다. “보다 친수성인"이라는 절은 비교적 더 작은 접촉각을 갖는 재료를 지칭할 것이다 “보다 소수성인"이라는 절은 비교적 더 큰 접촉각을 갖는 재료를 지칭할 것이다. 소수성과 친수성은 모두 재료를 구성하는 조성물의 고유한 특성의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및/또는 탄성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소수성인 반면에, 셀룰로오스 재료는 일반적으로 친수성이다. 대안으로, 이러한 특성은 베이스 기재에 추가된 코팅층의 결과일 수 있다.
이 적용의 목적을 위하여, 접촉각 측정은 Cahn SFA-222 표면력 분석기 시스템 또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접촉각은 R.J. Good and R.R. Stromberg, Plenum Press에서 1979년에 편찬된 Neumann, A.W., and R.J. Good의 "Techniques of Measuring Contact Angles," Chapter 2, Surface and Colloid Science - Experimental Methods, 11권 31-91쪽에서 발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본 명세서 내에 참고로 원용된다. 코팅된 기판의 경우, 접촉각 측정은 "Standard Practice for Surface Wettability of Coatings, Substrates and Pigments by Advancing Contact Angle Measurement(전진각 측정에 의한 코팅, 기판 및 안료의 표면 습윤성을 위한 표준 실무)"라는 제목의 ASTM D-7334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진각 측정이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다. 특정 상면시트층을 코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소수성 표면 처리의 예는 Abuto 등의 미국특허공개 제2013/0197462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하며, 이는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는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액체 투과성"은 다공성이며 기공을 통한 물 및 다른 수성 액체 또는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물 투과성 인 물질을 지칭할 것이다. 기공은 액체 물의 누출 및 흐름을 허용할 만큼 충분히 넓고 충분히 많다. "액체 불투과성"은 통상적인 사용 조건 하에서 물 또는 수성 액체/유체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재료를 지칭한다.
용어 "방해받지 않는"은 액체가 층을 통과하여 어떤 중간층과도 접촉하지 않고 하부 층으로 직접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층의 전체 두께를 통하여 연장되는 구멍을 지칭하며, 중간층에 의해 완전히 시각적으로 불분명하게 되는 일없이, 하부 층은 또한 구멍 또는 그의 일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원형 "포함하다"로부터 파생된 기타 용어는 명시된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수정 가능한 용어로 사용되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가지다" 및 이에 따른 파생어는 단어 "구성하다"로 해석하기 위한 의도이며, 명시된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수정 가능한 용어로 의도한 것이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가 하기에 제시된다. 각 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공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부분으로서 도시하거나 설명된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되어 또 다른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이 적용의 목적을 위해, 유사한 특징들은 도면들 간에 유사한 번호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부가적인 배치 강조가 요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용품 구성 접착제(또는 다른 접합 기술)는 설명된 용품의 다양한 층을 함께 채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기술은 바람직하게는 용품을 통한 액체 폐기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되거나 실행된다. 다른 접합 기술은, 예를 들어, 초음파, 압력 및 열 접합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의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은 이상적으로는 여성용 및 성인용 위생 제품 카테고리의 위생 용품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이러한 제품은, 예를 들어 여성용 위생 패드 및 라이너 및 성인용 의료용 의류 삽입물, 패드 및 라이너를 포함한다. 이러한 용품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위에 위치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으로 구성된 사용자 대향면 또는 피부 접촉 상면시트층을 포함할 것이며, 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2개의 측방향 부착 구역 사이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사실상,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및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모두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대향, 피부-접촉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치수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주변 에지 둘레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또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내부 에지 또는 에지에 의하여 한정된 중앙에 위치된 천공 구멍(또는 다수의 인접하는 구멍)을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들)은 제1 상면시트층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 재료는 천공 구멍의 존재에 관계없이 액체 투과성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패드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피부 접촉층을 이들 사이에 변화 가능한 공간적인 갭을 형성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도록 작용하며, 2개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착 영역 사이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용품 가로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유사한 전체 치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보다 작은 전체 치수일 수 있어, 용품의 사용 동안에 언젠가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모두가 사용자의 피부와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사용자의 피부에 근접하여 접촉을 유지하지만, 이는 또한 사용시 패드의 나머지의 많은 부분(및 특히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사이에 빈 공간이 산발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이유로 장시간 용품을 사용하는 동안 하부의 흡수층에 갇혀있을 수 있는 수분이 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연속적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못하게 한다. 이러한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 접촉층은 피부 레벨에서 건조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재습윤 감각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단지 그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서, 특히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을 따르는 선택 위치에서 하부의 패드에 부착되는 반면에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대조적으로 패드 길이 및 폭 치수의 많은 부분에 걸쳐 패드 흡수 구조에 부착된다. 이 다른 연결 수준의 결과로서, 용품 사용 중 특정 시간에 2개의 상면시트층은 치수를 따라서 서로 크게 접촉하여 제1 상면시트층으로부터 제2 상면시트층으로의 액체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때에는, 사용자가 일상 활동 중에 움직일 때 시간에, 2개의 상면시트층은 서로 실질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면시트층의 천공 구멍(들)은 사용자의 회음부 또는 질 영역을 밀접하게 둘러싸도록 치수가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삼출된 액체는 제1 상면시트층 구멍(들)을 통하여 하부 층으로 직접 흐를 수 있으며, 그에 인하여 제1 상면시트층, 사용자 대향면을 따라서 건조감을 유지시킨다. 신체로부터의 하향 압력 하에서, 2개의 상면시트층은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갭이 (치수의 대부분을 따라, 특히 그 길이를 따라 분리할 수 있는) 2개의 상면시트층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갭은 패드 내의 습기가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해 피부로 다시 떠오르지 못하게 하며 또한 2개의 상면시트층 사이에서의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대향하는 자유 길이 방향 말단과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 에지(또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측면 에지는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서 또는 이에 인접한 곳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패드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서 또는 이에 인접한 곳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에 부착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치수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치수보다 작은 실시예에서, 2개는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변 에지 또는 대안적으로 패드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들어 올려질 때 사용 중에 2개의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사이에 연속적인, 길이 방향을 향하는 통로 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위치된 천공 구멍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의해 한정되고, 구멍은 (예를 들어, 임의의 중간 유체 전달층 또는 서지층으로부터의) 임의의 중간 재료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 층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고 있다. 본질적으로, 구멍은 제1 상면시트층 및 선택적으로 연결된 중간층을 통해 완전하게 그리고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으로 직접적으로 연장되어, 액체가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해 제2 상면시트층으로 직접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제2 상면시트층의 관찰을 가능하게 한다. 존재하는 경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하부측(의복 대향측)에 접합될 수 있는 임의의 중간 액체/유체 전달층은 액체 저장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접합된 중간층은 또한 그 층의 두께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연장되고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천공 구멍 또는 그의 일부와 정렬되는 천공 구멍을 포함하여 제1 상면시트층 천공이 방해받지 않고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사용자 대향면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중간층 천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천공의 전체 치수를 연장시키고 그와 함께 정렬되어 있다. 천공 또는 정렬된 천공(경우에 따라)는 패드 상의 액체 유입 지점으로부터 제2 상면시트층 사용자 대향면으로의 직접적인 액체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천공(들)은 또한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한 제2 상면시트층의 직접적인 가시화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의의 중간 액체 전달층의 천공 모두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적어도 하나의 천공 구멍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통과하여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 이동하는 액체 흐름에 간섭이 없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에서 볼 때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천공 구멍(들)을 통하여 (구멍의 전체 치수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타원형 또는 원형 천공 구멍을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의 회음부, 바람직하게는 여성의 질 영역을 둘러싸도록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상면시트층의 복수의 인접 구멍은 패드 상의 중심 액체 취득 구역에 위치한다. 제1 상면시트층 (및 임의의 선택적인 중간층 및/또는 하부 내부 용품 층)의 천공 구멍은 전형적으로 비교적 큰 치수의 구멍을 절개, 펀칭 또는 천공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매크로(macro) 구멍이다. 이러한 천공은 인접한 부직포 섬유 간의 사이 간극 공간으로부터 형성된 액체 투과성 층의 상대적으로 작은 천공 또는 진공 천공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것과 같은, 미소 천공 필름에서 발견되는 비교적 작은 구멍과 구별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굽힘선 또는 접힘선을 따라, 반전된 V 형상과 같이 위로 굽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시에 그 아래에 있는 층(들)로부터 우선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굽힘선 또는 접힘선은 바람직하게는 용품 중앙 길이 방향 축/방향을 따르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하나 또는 양 측면/표면 상의 엠보싱 부분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생성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액체 침착 영역(또는 회음부, 대안적으로는 질 영역) 아래 및 흡수 용품의 초기 액체 침착 영역 위에 위치되도록 전체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흡수 용품의 초기 액체 침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용품의 중심 길이 방향 축 또는 방향을 따라 그리고 대안적으로, 존재한다면, 중심 가로 방향 축 또는 방향을 따라 위치된 용품의 중심 영역이다. 대안적으로, 특히 이러한 용품이 하룻밤 동안 사용하도록 의도되고 용품이 연장된 길이 형상 또는 비대칭의 형상이라면, 이러한 영역은 또한 이러한 용품이 전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하룻밤 동안 사용하기 위한 흡수 용품은 하나의 길이 방향 말단에서의 더 좁은 가로 방향 폭 및 반대 말단에서의 더 넓은 가로 방향 폭을 갖는 연장된 비대칭 형상일 것이다. 이러한 용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더 넓은 폭 말단보다 더 좁은 폭 말단에 가깝게 위치되고, 대안적으로, 존재한다면, 임의의 용품 날개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보다 더 소수성이다. 즉,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보다 더 친수성이다.
사용시, 흡수 용품은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는 2개의 분리 가능한 상면시트층을 제공하며, 이 상면시트층은 또한 흡수 용품에 함유될 수 있는 오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물리적 분리는 액체 폐기물을 용품의 초기 유체 침착 영역 위에 위치된 제 1 상부 시트 층의 사용자 대향면에 바로 인접하게 저장하지 않고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사이에 임의의 다른 층 없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만을 따라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된 재료의 단일 층(또는 대안적으로 다층 상면시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이며,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친수성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하부측에(및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후에 설명될 바와 같은 상황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부착된 유체 전달층, 부착된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부착된 층들은 단일체로서 용품 사용 중에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층들 사이에 빈 공간을 생성한다.
도 1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여성 위생용 위생 패드(10) 형태의 대체로 평면적인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성용 위생 패드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예를 들어 여성 위생 팬티 라이너 및 다양한 성인 위생 흡수 용품을 포함한 다양한 흡수 용품이 또한 본 발명으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위생 패드는 쉽게 볼 수 있도록 대체로 평면적이고 펼쳐진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위생 패드(10)는 길이 방향(또는 축)(L), 가로 방향(또는 축)(T) 및 깊이 방향(또는 축)(Z)을 포함한다. 위생 패드(10)는 또한 임의의 중심 길이 방향(또는 축) (LC)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중심 가로 방향(또는 축)(Tc)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생 패드는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대향하는 측면 에지(또는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11) 및 대향하는 길이 방향(방향) 말단(12, 13)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연장부(14)는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1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4)는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될 것이지만, 여성 위생 기술 분야에서 날개 또는 탭으로도 알려져 있다. 위생 패드(10)는 하나 이상의 천공 구멍(40, 60)(도 2g)을 갖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제2 상면시트층으로도 공지됨)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2 상면시트층(20)과 배면시트층(22)은 함께 상상 속에서 보여지고 있는 흡수성 코어층(24) 구조를 그 사이에 두고 있다. 천공 구멍(40(도 1), 60(도 2g))은 방해받지 않으며 그로 인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 상면시트층(20) 사용자 대향면으로의 삼출물의 직접적인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며, 제1 상면시트층 재료의 투명성에 의존하지 않고 제1 상면시트층(26)을 통하여 제2 상면시트층(20)을 볼 수 있게 한다. 흡수성 코어층(24)은 용품의 궁극적인 액체/유체 저장 구성요소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흡수성 코어층 구조(2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층(81, 8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액체 서지, 유체 지연 및 유체 전달층과 같은 부가적인 액체/유체 처리층(80)이 흡수성 코어층 구조(24)와 제2 상면시트층(20) 사이와 같은 용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처리층(80) 자체는 제2 상면시트층(20)에서 하부의 흡수성 코어층(24)으로의 직접적인 액체 연통 통로를 생성하는 천공 구멍(83)(도 4d)을 한정할 수 있다. 존재한다면, 유체 처리층(80) 및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40, 60)의 정렬된 구멍들은 깔때기형 구조를 생성하도록 작용하여 액체를 흡수 용품의 흡수성 코어층(24)(저장 구성요소)(24)으로 신속하게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신속한 통과는 친수성의 제2 상면시트층(20)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d, 도 4a 및 도 4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23A) 및 의복 대향면(23B)을 포함한다. 임의의 엠보싱 특징부(embossment features)(즉, 측방향 측면 패턴(25) 또는 말단 패턴(75)의 형태의 층 압입부)는 액체 유동 또는 패드 안정성을 보조하거나 심미적 장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위생 패드(10)의 하나 이상의 층을 통하여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은 둥근 호로 나타나 있지만, 임의의 수의 공지된 엠보싱 형상 및 패턴이 공지된 엠보싱 기술에 의하여 형성된 이러한 위생 패드(10)에 사용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즉, 또한 제1 상면시트층으로 알려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상면시트층)은 (도 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용품 방향(Z)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에 위치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용품 방향(Z)으로 최상층이고 사용자의 피부와 항상 접촉할 것으로서 확인된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보다 좁고 짧은 전체 치수를 가지며, ((존재한다면) 패드 날개에 인접하는 것과 같이, 그리고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 또한 선택적으로 중심 가로 방향을 따라) 패드의 중심 액체 침착 영역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더 좁고 더 짧은 치수는 패드가 가로 방향(미도시)을 따라서 2개의 접힘선을 따라 3개의 부분으로 접혀지는 경우에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존재한다면, 이러한 접힘선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과 교차하지 않을 것이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가로 방향을 따르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 및 대향하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길이 방향 말단(29)을 포함한다. 이러한 말단 치수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에지와 같은, 길이 면에서 균일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이 가로 방향을 따라서 균일한 길이 치수를 갖지 않도록 다수의 만곡된 부분(30, 31)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대향면(26A) 및 의복 대향(또는 흡수성 코어층 대향) 표면(26B)을 포함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는 (도 3c, 도 3d, 도 4b 및 도 4e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러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서 직접 또는 인접하여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고정될 수 있거나, 접힌 하부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에지(27A)와 접힌 하부의 가로 방향으로 향하는 에지(27B)를 갖는 접힌 하부 에지 부분(27)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접힌 하부 특징부들은 상면시트층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Z-형 접힘부를 형성하고 있다. 부착 구역(70)에서의 이러한 부착은, 예를 들어 초음파, 접착제, 열, 스티치(stitch) 또는 이러한 접합 방법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전형적인 접합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접합은 대향하는 (도 2f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착 구역(70)에서 제1 상면시트층의 의복 대향면과 제2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 간에 또는 대안적으로 접힌 하부 에지의 의복 대향면과 제2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 간에 직접적으로 일어난다. 부착 구역 또는 접힌 하부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에지(27A)의 길이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접착제의 라인, 열 또는 초음파 접합 기술의 사용에 의하여 부착 구역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 각각의 길이의 50% 넘게, 대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의 길이의 80% 넘게, 대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의 길이의 90% 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부착 구역은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 각각을 따라서 접착제의 라인에 의해 생성되며, 접착제의 이러한 라인은 약 2mm 내지 18mm, 대안적으로 약 4mm 내지 9mm의 가로 방향 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부착 구역(70)에서의 제2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에 접합된 제1 상면시트층(26) 표면적(의복 대향면(26B))의 비율은 50% 미만, 대안적으로 70% 미만, 대안적으로 90% 미만이다. 접힌 하부의 가로 방향으로 향하는 에지(27B)(및 부착 구역)는 바람직하게는 용품 가로 방향을 따르는 제1 상면시트층의 폭에 대하여, 상당한 폭이 아니며, 따라서 이들은 특히 패드의 중심 영역에서 Z 방향으로의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한 액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접힌 하부의 가로 방향으로 향하는 에지(27B)는 폭이 약 3mm 내지 20mm, 대안적으로 폭이 약 5 내지 10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접힌 하부 에지(27A)의 길이 방향 치수는 약 50mm 내지 180mm, 대안적으로 약 60mm 내지 120mm일 수 있다. 어느 상황에서도, 연결 또는 대향하는 부착 구역 각각은 패드 압축 및/또는 사용자 움직임에 반응하여 사용 중에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로 상승되게 한다. 접힌 하부 실시예는 단일 Z-접힘부, 즉 도 4a에서 2개의 대향하는 접힘부에 대해 각각 하나인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예를 들어 각각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서 2개 또는 3개의 접힘부(미도시)와 같은 Z 방향으로의 더 많은 수직 접힘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4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의복 대향면(26B), (도 4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 대향면(26A) 또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양 표면(도 4e) 상에 있을 수 있는 접힘선 또는 굽힘선(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힘선 또는 굽힘선(32)은 예를 들어, 전형적인 엠보싱 기술을 포함하는 여러 방법 및 이격된 세장형 슬릿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힘선 또는 굽힘선(32)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품 중심 길이 방향(Lc)을 따라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접힘선 또는 굽힘선(32)은 약 1mm 내지 3mm의 가로 방향 폭을 갖는다. 접힘선 또는 굽힘선(32)은 나타난 바와 같이 직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힘선 또는 굽힘선(32)은 또한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반적으로 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는 일련의 이격된, 원형 도트와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엠보싱 형상 또는 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형상 또는 점의 가로 방향 폭은 약 1mm 내지 3 mm이며,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약 1 mm 내지 5 mm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Z 방향으로의) 제1 상면시트층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구멍(도 1의 40, 도 2g의 60)을 한정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적어도 하나의 천공 구멍(40, 60)의 존재에 관계없이 액체 투과성이라는 점이 되풀이되어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 구멍(40, 6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사용자 대향면 (26A)으로부터 제1 상면시트층 전체 두께를 통하여 의복 대향면(26B)으로 그리고 또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사용자 대향면(23A)으로 연장된 연속적인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이며, 따라서 사용자 대향면(26A)으로부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사용자 대향면(23A)까지 직접적인 액체 연통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에 대한 제1 상면시트 천공 구멍을 통한 명확한 시야선이 존재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의 사용자 대향 상면시트 표면을 볼 때 (구멍을 통한) 적어도 천공 구멍(들) 및 선택적으로 제2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을 적어도 약 0.25ft(0.075m) 내지 약 3ft(0.91m) 범위로부터 개별 용품 사용자가 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천공 구멍(40, 60)은 정상적으로 천공 구멍 배경 색상 대비(contrast) (즉, 천공 구멍과 바로 주변 용품 표면 간의 대비) 없이 적어도 3m 또는 천공 구멍 배경 색상 대비를 갖고 5m 거리의 용품 사용자가 볼 수 있다.
이러한 "방해받지 않는" 구멍은 구멍(40, 60)을 통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으로부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으로의 액체의 직접적인 이동 경로, 또는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제2 상면시트층을 보는 것을 왜곡시키거나, 늦추거나 그렇지 않으면 간섭할 수 있는 섬유상 또는 필름 재료와 같은 임의의 중간 차단 재료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 언급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의 사용자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천공 구멍(40, 60)의 전체 치수 또는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사용자 대향면(23A))을 직접 볼 수 있어야 한다. 용품 방향(Z)으로 천공 구멍(40, 60) 바로 아래에 있는 제2 상면시트층 상의 임의의 인쇄된 부분 또한 바람직하게는 천공 구멍을 통하여 보여진다.
적어도 하나의 천공 구멍(들)(40, 60)은 임의의 형상일 수 있으며, 개수가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천공(40)은 다수의 크기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중심 길이 방향(축)(Lc)을 따라 대칭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천공으로서 존재할 경우 천공 모두가 동일한 형상이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천공이 다수의 크기의 원형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큰 원형은 굽힘선(32)을 따라 위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접힘선 또는 굽힘선(32)을 따라 대칭적으로 정렬된 천공 구멍(40)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이러한 천공 구멍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에 불규칙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 구멍(40)은 바람직하게는 전형적인 절단 또는 다른 기계 천공/펀칭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천공이 테이퍼형 측면 에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 또는 이러한 천공 벽이 깊이 방향으로 제1 상면시트층의 평면을 넘어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소수성, 대안적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보다 더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수성의 차이는 선택된 상면시트층 재료의 고유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제2 상면시트층 상의 선택적인 계면 활성제 처리 또는 제1 상면시트층 상의 소수성 처리의 사용에 의한 것과 같은 선택적인 표면형태(topographical) 처리 또는 고분자 용융 형성 처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달리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보다 길이 및 폭이 작은 전체 치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와 패드(11)의 대향하는 측면 에지로부터 내측으로(중심 길이 방향 축/방향(LC)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d 및 3d의 더 작은 치수의 제1 상면시트층을 참고한다. 도 1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패드의 초기 액체 침착 영역 (즉, 날개에 인접한 그리고 중심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따르는 중심 배설 영역(insult region)) 내에 위치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피부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및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모두와 접촉할 수 있으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주변 측면 에지를 넘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용품 사용 중에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이 서로 부분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그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 또는 갭의 결과로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에 "떠있는(floating)" 것으로 보인다.
일 실시예에서, 위생 패드(10)의 길이(L1)는 약 180 내지 4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30 내지 280mm이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길이 (L2)는 약 80mm 내지 330mm, 바람직하게는 약 100mm 내지 120mm이다. 일 실시예에서, L2 대 L1 의 비가 약 0.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0.8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면시트층의 가로 방향 폭(T2)은 흡수 용품의 가로 방향 폭(T1)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폭이어도 된다.
다양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천공 구멍(40)은 일련의 근접하게 위치한 홀(40)(도 1) 또는 단일 홀(60)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홀은 패드 중심 유체 배설 영역에 위치되도록 바람직하게는 패드의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 그리고 날개(14)가 존재하면 날개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매크로(macro)-구멍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이와 같이 근접하게 위치된 일련의 홀들은 바로 하부의 천공된 층 상에 위치되며, 이 층 자체는 제1 상면시트층의 천공 구멍(들)과와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천공을 갖는다. 이러한 하부 층은 사용자로부터 흘러나온 후에 유체가 패드의 저장 구성요소로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더 도울 수 있다. Z 방향을 따라 더 높은 프로파일을 갖는 이러한 하부 천공 층은 도 4d에서 80으로 도시되며, 패드의 중심에 들어 올려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천공 구멍(40)이 (도 1에서와 같이) 근접하게 위치 된 일련의 천공으로서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홀(40)은 제1 상면시트층을 따라서 누적적으로 약 30mm 내지 300mm, 대안적으로 약 40mm 내지 100mm의 거리(L3)만큼 연장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홀은 바람직하게는 약 20 mm 및 60 mm, 대안적으로 약 20mm 내지 40mm의 가로 방향 거리(T3)를 따라 누적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홀 실시예의) 개별적인 홀들은 바람직하게는 약 3mm 내지 20mm, 대안적으로 약 3mm 내지 10 mm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천공 구멍(40)이 일련의 근접하게 위치된 홀로 존재한다면, 이러한 홀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 또는 동일한 형상 및/또는 크기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의 천공 구멍(40)은 원형이다. 상이한 크기이지만, 유사한 형상의 천공 구멍(40)이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상이한 형상 및 크기의 천공 구멍(40)이 도 2b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더 긴 타원형/타원형 구멍이 굽힘선(32) 상에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더 작은 원형 천공이 굽힘선(32)에서 떨어져 존재한다.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구멍이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원형 천공과 같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크기의 구멍의 경우,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근접하게 배치된 원형 구멍은 약 2mm 내지 10mm, 대안적으로 약 2mm 내지 5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인접한 구멍(40)은, 예를 들어 전반적인 타원형 배열과 같은 전반적인 구성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 구멍(60)이 제1 상면시트층 내부 에지(26C)에 의해 한정된 (도 2g에서와 같이) 단일 구멍으로서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구멍은 또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긴타원형 또는 원형과 같은 곡선적이며 이러한 날개가 존재한다면, 날개의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 그리고 날개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2g에서와 같이) 이러한 비교적 큰 매크로 천공 구멍(60)으로서 존재한다면, 일 실시예에서는 천공의 가로 방향 폭(T3)(도 2g)은 약 20 mm 내지 60 mm, 대안적으로 약 20mm 내지 40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멍의 길이 방향 길이(L3)는 약 30mm 내지 100mm, 대안적으로 약 50mm 내지 7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단일 천공은 액체/유체가 흘러나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 신체의 영역 상에서의 제1 상면시트층 접촉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자의 회음부 또는 질 영역을 둘러싸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이전에 설명된 "근접한 다수 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리고 더 그러하듯이, 이러한 흘러나온 액체는 방해받지 않은 단일 구멍을 통하여 흡수 용품의 저장 구성요소로 더 빠르게 이동할 것이다. 비교적 더 작은 방해받지 않은 홀을 갖는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서, (깊이 방향을 따르는) 용품 내의 하부층은 들어 올려진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자체의 매크로 구멍(83)을 한정할 수 있어 깔때기형 구조가 제1 상면시트층 구멍(40)과 하부 천공층(80) 사이에 생성된다. 이러한 깔때기형 구조는 흡수 용품의 저장 구성요소로의 직접적인 삼출물의 전달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러한 구멍이 단일 또는 다중 형태이든지 간에, 이러한 구멍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어 있으며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한 제2 상면시트층의 관찰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가 들어 올려진 Z-방향 프로파일 하부층(80)을 포함한다면, 이러한 하부층은 용품의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 험프(hump)형 부분을 제공하여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구멍(들)(40, 60) 내에서 또는 이에 인접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와의 제2 상면시트층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패드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11)들 사이의 패드(10)의 가로 방향 폭(T1)은 약 70 mm 내지 100mm, 대안적으로 약 80mm와 9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들 사이의 제1 상면시트층(26)의 가로 방향 폭(T2)은 약 45mm 내지 75mm, 대안적으로 약 55mm 내지 65mm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층 구조(24) 또는 다른 유체 처리층 중 하나의 가로 방향 폭(T4)은 약 10mm 내지 100 mm, 대안적으로 약 40mm 내지 80 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층 구조 또는 다른 유체 처리층의 측방향 측면 에지가 (중심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더 멀리)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를 넘어 측방향으로 놓이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드 방향(Z)을 따라서 볼 때 흡수성 코어층 구조(24) 또는 다른 유체 처리층(80)의 측방향 측면 에지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들 안쪽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후크-및-루크형 패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의복 체결 패치(260)가 용품의 날개 영역 내에 또는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서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의 하나 이상의 하부 표면 상에 존재하여 사용자의 속옷으로의 용품의 체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패치(260)는 사용되지 않는 동안 접착제의 보전을 위하여 박리 시트(미도시)로 덮여질 수 있다. 또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과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의 주변 에지를 따라서 주변 밀봉 영역(261)이 바람직하게는 존재하여, 흡수층(24) 둘레가 이러한 층들 사이에 위치하고 밀봉되며, 그로 인하여 용품 주변 측면 에지에서의 측면 누설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주변 밀봉(261)은, 예를 들어 접착제, 열 또는 초음파 접합 기술과 같은 임의의 수의 전형적인 접합 기술에 달성될 수 있다.
선 4A-4A를 따른 도 1의 실시예의 분해 횡단면도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천공 구멍(40)의 일부는 용품의 중심 길이 방향 축을 따라 굽힘선(32) 상에 정렬되어 있다. 굽힘선(32)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의복 대향면(26B)을 따라 엠보싱된 만곡 선이다. 접착제 선(255)이 제1 상면시트층(26)의 접힌 에지 부분(27)을 제2 상면시트층(20)의 사용자 대향면에 체결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열 접합 및 초음파 접합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접합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도 2a는 도 1의 위생 패드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만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수의 크기의 원형 천공 구멍(40)은 굽힘선(32)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전체 타원형으로 그리고 대칭적인 배열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원형 천공 구멍은 3개의 별개의 열 형태로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원형 천공 구멍의 2개의 열은 굽힘선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비교적 보다 큰 원형 천공 구멍의 1개의 열은 굽힘선(32) 상에 직접적으로 위치된다.
도 2b에,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만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하부의 패드 층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40)은 2개의 상이한 형상 및 크기의 천공 구멍(41 및 42)을 포함한다. 하나의 천공 구멍 형상은 비교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 구조(41)인 반면에, 다른 천공 구멍 형상은 비교적 작은 원형 구조(42)이다. 이전 도면과 마찬가지로, 일부 천공 구멍(타원형 형상의 천공 구멍(41))만이 접힘선(32) 상에 정렬되지만, 모두는 중심 길이 방향/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말단(29)은 다수의 만곡형 부분의 부채꼴 디자인을 포함하고 있는 도 1 및 도 2a의 말단 에지와 비교하여 단순화된 만곡형 에지를 포함한다. 도 2a와 마찬가지로, 접힌 하부 길이 방향 측면 에지(27)는 대향하는 길이 방향 측면 에지(28)보다 길이(27A)가 짧으며,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를 따라 대체로 중심에 위치된다.
도 2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패드에서 분리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만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구조의) 상이한 형상 및 크기의 천공 구멍의 단일 열이 접힘선(32) 상에 존재한다.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말단 에지(29)들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가로 방향(T)을 가로질러 균일한 길이를 갖는다. 접힌 하부(under) 에지(27)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와 동일한 크기의 접힌 하부 길이(27A)를 갖는다. 이러한 접힌 하부 에지를 제2 상면시트층에 접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접착제와 같은) 메커니즘은 접힌 하부 에지의 전체 길이 또는 부분적인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2d에 보여진 바와 같은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사용자 대향면만의 평면도가 또한 보기 쉽도록 하부의 패드 구조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사한 형상 및 크기의 원형 천공 구멍(4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상의 접힘선(32)을 따라 정렬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를 따라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접힌 하부 에지(27)가 존재한다. 접힌 하부 에지(27)는 이전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제1 상면시트층(26)의 전체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 길이에 대해 상당히 짧지만(27A), 유사한 상대적인 폭(27B)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존재한다면, 이들 접힌 하부 에지(27)는 용품(Z) 방향에서 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 및 도 4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가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 각각을 따라 존재하는, 2개의 접힘부가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다수의 Z-형 접힘 구성이 또한 용품 Z-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 대하여 고려된다. 도 2a 내지 도 2d의 도면은 제1 상면시트층(26)의 사용자 대향면만을 도시하고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위생 패드(10)의 사용자 대향면의 평면도가 도 2e에 보여지고 있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말단(29)은 접힘선 또는 굽힘선(32)이 정렬되는 말단 오목부(29A)를 포함한다. 원형의 천공 구멍(40)은 접힘선(32) 상에 그리고 접힘선에서 떨어져서 존재한다. 말단(29)은 또한 다수의 만곡형 부분을 포함한다. 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힌 하부 에지(27)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보다 짧다.
도 2f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도 1의 위생 패드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접힌 하부 에지의 사용 없이 자신의 길이를 따라서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에 접합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를 포함한다. 특히, 대향하는 부착 구역(7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의 의복 대향면을 따르는 접착제 접합된 구역이다. 이러한 접합 영역은 측면 에지 자체에서 또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에 인접할 수 있으며, Z-접힘부를 사용하지 않고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사용자 대향면(23A)에 접합되어 있다. 도 4b의 이 실시예의 선 4B-4B에서의 분해 횡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의 선(255)이 이용되지만, 이러한 접합은 열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 등의 임의의 전형적인 기술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는 이 실시예에서 직선 에지로 도시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29)은 또한 가로 방향을 따라서 중앙에 위치된 말단 오목부(29A)를 갖는 주로 직선형 에지(50)를 포함하며, 오목부는 굽힘선(32)과 정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패드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 2g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이전의 도면들과 마찬가지로, 전체 위생 패드(10)의 사용자 대향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달리, 이 도면에서의 위생 패드(10)는 자체가 용품 가로 방향을 따라 위치된 2개의 층(20A 및 20B)을 포함하고 있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을 포함한다. 중심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시트층(20A)은 위생 패드(10)의 중심 길이 방향 축/방향을 가로지르는 것으로 위치된다. 2개의 측부 상면시트층(20B)(또는 측면 커버)은 패드의 각 측방향 측면 에지(11)를 따라 위치하고 있다. 2개의 측부 상면시트층(20B)은 참조의 용이함을 위해 음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중심 부분과는 다르게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측부 상면시트층(20B)은 임의의 일반적인 접합 기술을 이용하여 중심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시트층(20A)의 측면 에지 위에 접합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패드의 중심 영역에서 중심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시트층(20A)에 접합되어 있는 접힌 하부 에지(27)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제1 상면시트층(26)의 내부 에지(26C)에 의해 한정된 단일의, 중앙에 위치된 타원형 천공 구멍(60)을 한정하며, 이 천공 구멍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사용자 대향면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A)의 하부의 사용자 대향면으로의 직접적이고 방해받지 않는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앞선 실시예의 다수의 근접 천공 구멍(40)과 같이, 이러한 단일 천공 구멍(60)은 (Z 방향으로) 전체 제1 상면시트층 두께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정된 타원형 천공 구멍(60)은 패드의 중심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내에서 대칭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 사이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가로 방향 폭(T2 )은 측부 상면시트층(20B)(측면 커버층) 안쪽 에지(21)들 사이의 가로 방향 거리보다 좁거나 대략적으로 동일(미도시)하다. 대안적으로, 가로 방향 폭(T2)은 안쪽 에지(21)들 간의 거리보다 넓어 측부 상면시트층 안쪽 에지(21)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다양한 에지(27, 28)의 중첩이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접힌 하부 에지(27) 및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는 안쪽 에지(21)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2층 흡수성 코어 구조체(81, 82)는 가상으로 나타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상의 접힌-하부 에지(27)의 존재 없이 이러한 겹치는 안쪽 에지(21)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Z 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에 걸쳐 그리고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일반적으로 도 3c 및 도 3에 도시되며 후에 설명될 것이다.
선 4C-4C에서의 도 2g의 분해 횡단면도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길이 방향 상면시트층(20A)은 영역(250)에서 측부 상면시트층(20B)에 접합되어 있다. 접힌 하부 에지(27)는 측부 상면시트층 안쪽 에지(21) 안쪽으로 위치되고 접착제(255)의 선에 의하여 제2 상면시트층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패드(1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 2h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이전 도면들과 마찬가지로, 위생 패드(10)의 전체 사용자 대향면이 도시되어 있다. 바로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도면 내의 위생 패드(10)는 자체가 2개의 층(20A 및 20B)을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을 포함한다. 중심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시트층(20A)은 위생 패드(10)의 중심 길이 방향/축 주위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측부 상면시트층(20B)은 패드(10)의 각 측 방향 측면 에지(11)를 따라서 위치하고 있다. 측부 상면시트층(20B)은 임의의 일반적인 접합 기술을 이용하여 중심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시트층(20A)의 측면 에지 위에 접합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중심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시트층(20A)에 접합되는 접힌 하부 에지(27)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사용자 대향면으로부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A)의 하부의 사용자 대향면으로 직접적으로 액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의, 중앙에 위치된 타원형 천공 구멍(60)을 포함한다. 타원형 구멍(60)은 패드의 중심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내에서 대칭적으로 위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제2 상면시트층으로의 액체의 방해받지 않는 연통 (및 또한 제2 상면시트층(20A)의 패드의 사용자 대향면으로부터 구멍을 통한 관측)을 가능하게 한다. 패드 상에 층의 존재를 두드러지게 하고 액체가 흘러내리는 사용자 회음부의 부분 아래에 사용자가 제1 상면시트층의 배치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색상이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A, 20B)과 (질감을 갖는 것과 같이) 시각적으로 구별된다. 구멍(60) 아래의 제2 상면시트층(20A)의 색 대비 배경은 최대 5m의 거리로부터 천공 구멍 부분의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선 4D-4D를 따른 도 4d의 이 실시예의 분해 횡단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층(24) 위의 하부의 유체 처리층(8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타원형 구멍(60)과 Z 방향으로 정렬된 다른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83)을 한정한다. 이러한 정렬된 구멍은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에 의해 한정된 구멍(60)과 동일한 형상 및 치수이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이러한 정렬된 구멍은 흡수성 코어층 구조(24)로의 위생 패드(10)를 통한 액체의 더욱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패드의 Z 방향을 따르는 깔때기형 구조를 생성한다. 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층 구조(24)는 각각 다른 측방향 크기를 갖는 2개의 분리된 층(81, 82)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한 층(81)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가로 방향 폭(T2)보다 좁으며, 다른 층(82)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가로 방향 폭(T2)보다 넓거나 동일하다. 횡단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실질적으로 2개의 분리된 상면시트층(90, 91)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로부터 제2 상면시트층(20)으로의 액체의 방해받지 않는 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 층 각각은 유사한 타원 형상 및 크기의 정렬된 천공 구멍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양쪽 상면시트층(제2 상면시트층을 포함하는)은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d의 실시예에서 정렬된 타원형 구멍(83)을 갖는 내측에 위치된 천공된 하부층(80)은 패드의 중심 영역에 험프(hump)형 부분을 생성하는 것과 같이, 용품 내의 다른 층보다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험프형 부분은 회음부 또는 질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인접한 패드의 그 영역 만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위생 패드(1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상면 사시도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에서 거리(100)만큼 용품 중심 길이 방향 축/방향을 따라 굽힘선에 의해 상승된다. 제2 상면시트층(20) 위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최고 높이는 굽힘선(32)의 위치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사용자 대향면 위의 약 3mm 내지 15mm, 대안적으로는 약 5 내지 10mm이다. 이러한 상승은 2개의 층 사이에 공간적 갭 또는 공극을 생성하며, 이 갭은 장기간의 용품 사용 중에 용품을 통한 공기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재습윤 감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갭은 또한 상면시트와 저장 요소 구성요소 사이에 잠재적 분리가 발생할 것이라는 인식으로 사용자에게 정서적인 편안함을 제공한다. 상승은 굽힘선 부분, z-접힘된 에지(있는 경우), 상면시트층(및 직접 부착된 층) 재료의 선택 및 사용 중 용품의 측방향 압축의 조합에 의하여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굽힘 선(32)의 횡단 폭은 약 1mm 내지 7mm, 대안적으로 약 2mm 내지 7mm, 대안적으로 약 2mm 내지 5mm이다. 이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접힌 하부 부분(27)을 통하여 중심 길이 방향 상면시트층(20A)에 접합되고 안쪽 에지(21)로부터 안쪽으로 위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를 포함한다. 다수의 상대적으로 작은 타원형 천공 구멍(40)은 굽힘 선(32) 상에 그리고 그 주위에 위치되어 있다.
위생 패드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된 단일 타원형 천공 구멍(6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내에 위치된다. 이 층은 접힌 하부 부분(27) 및 굽힘선(32)에 의존하여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중심 길이 방향 상면시트층(20A)) 위로 원하는 거리(100)를 상승하는 것을 돕는다.
대안적인 예에서, 이러한 접힌 하부 부분(27)은 제거될 수 있으며, (용품 가로 방향을 따라서) 특정 상부 시트 재료의 조합의 사용에 의하여 그리고 (도 4e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상면시트층(26)의 측방향 측면 에지의 하부에 인접한 접착제 선(255)에 의한 것과 같이 더 가까운 대향하는 부착 구역에 의하여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중심 길이 방향/축을 따라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에서 상승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4d에서와 같이, 2 개의 상면시트층이 저장 구성요소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구조에 2개층의 상면시트를 포함시키는 것보다는, 제2 부착된 층(200)이 액체 전달층(200)일 수 있다. 다시, 단일 및 2층 상면시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전달층 실시예는 여전히 저장 구성요소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층은 유체/액체를 궁극적으로 저장 구성요소(24)로 향하게 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전달층이 상승된 구성에 대한 경향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이러한 전달층은 또한 제1 상면시트층 구조에 향상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위생 패드(1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비대칭 패드의 상표면 사시도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과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제2 상면시트층(20)은 중심 길이 방향 상면시트층(20A)과 2개의 측부 상면시트층(20B)을 포함한다. 또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8)의 대향하는 측 방향 측면 에지(28)는 측부 영역(230)에서 측부 상면시트층(20B) 아래에서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도면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엠보싱 패턴이 이 측부 영역(230)에 걸쳐 배치되어 층들을 함께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3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접착제 선(220)은 층들을 함께 접합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는 측부 상면시트층(20B) 아래로 연장될 필요가 없다.
이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용품 방향(Z)으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바로 아래에, 유체 전달 또는 안내층(200)이 용품 내에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전달층(200)은 바람직하게는 전달층 내부 에지(202A)에 의해 한정된 단일의 정렬된 천공 구멍(202)을 포함한다. 이러한 천공 구멍(202)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단일 천공 구멍(60)(이 경우에는 타원형 구멍)과 맞추어 크기, 형상 및 위치 설정된다. 이러한 유체 전달층(200)은 그 자체가 (저장 구성요소가 아닌)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과 더 구별되도록 그리고 방해받지 않은 단일 천공 구멍(60) 부분의 존재를 또한 두드러지게 하기 위하여 인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전달층(200)은 전체 치수가, 유체 전달층이 바람직하게는 유체 전달층 길이 및 폭 치수를 완전히 따라서 직접적으로 부착된 덮인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부착은, 예를 들어 접착제, 열 및 초음파 접합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접합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보다 짧은 길이, 좁은 폭 또는 조합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치수의 유체 전달층(200)을 포함함으로써, 부가적인 강도가 전체의 "떠있는" 제1 상면시트층 구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유체 전달층은 약 20 gsm 내지 50 gsm의 평량을 갖는 로프트(lofty)한 소수성 TABCW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유체 전달층은 약 50 gsm 내지 120 gsm의 평량을 갖는 소수성 에어레이드 층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은 (도 3d의 선 3D-3D를 따른 분해 단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용품 방향(Z)으로 유체 전달층(200)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부착되거나 또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 자체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부착되어 있다(미도시). 보다 좁은 유체 전달층(200)과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복 대향면(26B)) 모두의 하부의 의복 대향면을 덮기 위하여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이 바람직하게는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체 전달층(200)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과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접합된 적층체는 높이(100)만큼과 같이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으로부터 (단위체로서)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또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보다 덜 친수성이고, 사실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상면시트층(20)에 대하여 제1 상면시트층(26)(및 단일체로서 부착된 층)을 유지하는 대향하는 측방향으로 위치된 부착 구역들 사이에 연속적인 또는 부분적인 공간적인 갭이 존재하여 용품 사용 중에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사이에 거리(100)의 분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 중에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의 압축시 또는 제1 및 2 상면시트층의 조합시, 층 선배치(layer predisposition)의 결과로서,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28)들 사이에서 제1 상면시트층(26)이 제2 상면시트층(20)으로부터 들어 올려짐에 따라 이 공간이 형성된다.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단일 천공 구멍(60) (및 또한 존재하는 경우 전달층 구멍(202))과 정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구멍(211)을 포함하여, 더 넓은 단일 구멍(60)의 적어도 일부 부분에서 시각적인 차단 또는 어떠한 증간층으로부터의 액체 흐름 간섭 없이 방해받지 않는 구멍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의 사용자 대향면(23A)으로 직접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정렬된 천공 구멍 또는 다수 정렬된 천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천공 구멍은 유사한 크기 및 형태 또는 상이한 크기 및 형태일 수 있다. 도 3c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이한 크기의 원형 천공 구멍(211)이 추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에 보여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사용자 대향면(26A)에서 (천공 구멍(60)을 통하여) 하부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사용자 대향면(23A) (및 대안적으로 그 아래에 있는 층)을 더 분명하게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은 이중 천공 필름으로서, 이 필름의 제1 크기의 한 세트의 미세 천공(미도시)은 진공 형성에 의한 것과 같은 제1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2 세트의 더 큰 천공(211)은, 예를 들어 절단 또는 펀칭 공정과 같은 제2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은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천공된 부직포 웹일 수 있다. 전체 길이를 따라 제1 상면시트층(26)에 부착된 다른 층(200)과 마찬가지로,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은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이다.
또한, 다양한 층 천공 구멍 부분의 존재를 강조하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또는 일반적인 미적 이유로 (바람직하게는 의복 대향측 표면 상과 같이) 전술한 흡수 용품 구성요소 각각은 인쇄되거나 착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상면시트층 사이의 방해받지 않은 구멍(들)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사이의 중간층은 색상으로 강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층(80) 및 특히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천공 구멍과 정렬된 천공 구멍을 갖는 층은 또한 강조되어 이러한 구멍 부분을 두드러지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회음부 또는 질 영역 아래에 용품을 위치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분해 횡단면도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소수의 개별 위치를 제외하고, 열 접합, 초음파 접합, 기계적 접합, 고수압 직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접합 기술에 더하여 일반적인 구조 접착제는 특히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서 다양한 층을 함께 유지시킬 수 있다. 천공 구멍을 통한 액체의 직접 통과를 차단하도록 또는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분리 및 상승을 방지하도록 이러한 구조 접착제가 위치되어서는 안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흡수 용품 상의 사용자 대향면으로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수의 일반적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소수성 제1 상면시트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는 스펀본드, 스펀레이스, 멜트블로운 및 카디드 웹 재료(예를 들어, 열 접합 카디드 웹(TBCW), 통기 접합 카디드 웹(TABCW))와 같은 섬유상 부직포 시트 재료, 섬유상 직조 시트 재료, 마이크로-천공된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천공된 섬유상 부직 재료(단일 또는 이중 천공된) 및 상기 재료들의 적층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것의 단층 또는 다층 시트 재료 또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카디드 웹 재료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이성분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직접적으로 부착된, 단일체로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위에서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상승하지만 저장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상면시트층과 전달층 적층체와 같은) 다양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면시트층(26)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폴리올레핀 재료와 같은, 합성 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엠보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은 바람직하게는 이중 천공 필름 및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한다.
적절한 상면시트층 재료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Matthew 등의 미국특허 제4,397,644호, Curro 등의 미국 특허번호 제4,629,643호, Van Iten 등의 미국 특허번호 제5,188,625호, Pike 등의 미국 특허번호 제5,382,400호, Kirby 등의 미국 특허번호 제5,533,991호, Daley 등의 미국 특허번호 제6,410,823호, Abuto 등의 미국 특허공개번호 제2012/0289917호에서 설명된 재료를 포함하며, 이 문헌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상면시트층 재료는 그 조성물에 기초하여 본질적으로 소수성이거나 소수성 처리로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 재료는 제2 상면시트층 재료보다 더 소수성이다. 소수성 상면시트층 재료 및 다른 흡수 용품 내부 층의 다른 예는 Singh Kainth 외의 미국특허 제8,383,877호 및 Abuto 등의 미국특허공개 US2013/0197462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는 목적을 위해 참조로서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원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재료가 일정 수준의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되어 대안적으로 제1 상면시트층(26)보다 더 친수성(덜 소수성)이기만 하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제1 상면시트층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천연 섬유 또는 유사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또한 2개 이상의 상이한 부직포 또는 필름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는 본질적으로 친수성이거나 이러한 성질을 제공하도록 처리되고 다른 재료는 제2 상면시트층(20)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그리고 흡수 용품 가로 방향을 따르는 분리된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면시트층(20)은 (예를 들어, 동일 또는 2개의 다른 수평면 내의) 2개 층 또는 다수의 구성요소 재료일 수 있으며, 도면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심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은 용품의 중심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그리고 가로질러 위치되며, 측방향 측부 상면시트 부분(20B)은 중심 길이 방향을 향하는 상면시트층 부분(20A)의 각 측부(또는 측면 길이 방향 에지) 옆에 배치되고 연결된다. 중심의 상면시트 부분(20A)은, 예를 들어, 친수성 TABCW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친수성으로 처리된 천공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측부 상면시트 부분(20B)은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열 접합에 의하여 중심 길이 방향을 향하는 부분(20A)에 연결된 상이한 섬유상 부직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2층 상면시트 구조는, 예를 들어, Coe의 미국특허 제5,961,505호, Kirby의 제5,415,640호 및 Sugahara의 제6,117,52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또한, 이러한 2층 상면시트 재료는 사용 동안에 측부 상면시트 재료의 구성요소를 들어 올리도록 그 측면 에지를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탄성 스트랜드 구성요소(미도시)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며, 그로 인하여 옷(fit)이 사용자의 신체에 보다 밀접하게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용품 상에 물리적 장벽 또는 컵 모양 부분(cupping feature)을 형성하고 있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의 친수성 TABCW이다.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은 또한 사용자 대향면에 다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처리될 수 있다. 부가적인 처리의 예는, 피부 건강제, 착색제, 탈취제, 얼룩 차폐제 등의 도포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은, 존재하는 경우, 이전에 설명된 상면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한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210)은 소수성 폴리올레핀 재료의 이중 천공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투과성 제1, 제2 또는 부가적인 상면시트층으로서 사용될 부직포 웹의 평량은 일반적으로 약 5g/m2(gsm) 내지 150gs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gsm 내지 약 125gsm,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5gsm 내지 약 120gsm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또는 부가적인 상면시트층은 약 20gsm 내지 40gsm의 평량을 갖는 통기성 본디드 카디드 웹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약 20 내지 50gsm, 바람직하게는 약 30gsm의 평량을 갖는 100% 면 스펀레이스 재료이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의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고, 그들의 주변 에지(261)를 따라서 함께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급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유체 전달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26)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유체 전달층은 소수성 본디드 카 디드 웹, 고수압 직조 부직포 웹 또는 스펀본드 웹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는, 용품 깊이 방향(Z)으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아래에는 상면시트층을 통과한 신체 삼출물을 이송시키거나 보유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내부에 위치된 흡수성 코어층(보관 구성요소) 및 선택적인 유체 관리층이 위치하고 있다.
흡수성 코어층(들)(24)은, 그 자체가 단층 또는 다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층 자체는 유사한 또는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 흡수성 코어층은, 종종, 목재 펄프 섬유, (SAP 또는 SAM으로도 알려져 있는) 초흡수성 입자들 또는 섬유, 합성 목재 펄프 섬유, 합성 섬유, 코폼 재료, 친수성 폼 재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친수성 배트(batt) 또는 웹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흡수성 코어층은 다수의 재료 및 구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선택은 원하는 부하 용량, 유연성, 흡수될 신체 유체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인자에 따라 변할 것이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층에 적절한 재료 및/또는 구조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Weisman 등의 미국특허 제4,610,678호, Yahiaoui 등의 제6,060,636호, Latimer 등의 제6,610,903호, Krueger 등의 제7,358,282호 및 Di Luccio 등의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10/0174260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하며, 이 문헌 각각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흡수 용품의 외부 주변 형상을 모방하도록 개뼈 또는 긴 타원형 구성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흡수성 코어층의 형상은, 필요시 달라질 수 있으며, 개략적으로 삼각형, 직사각형, 개뼈 및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층(24)은 흡수 용품의 전체적인 주변 형상과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어 흡수성 코어층(들)(24)이 주변 밀봉 영역(261)에 인접하여 끝나게 된다. 흡수성 코어층(24)의 치수는 흡수 용품(10)의 치수와 사실상 유사할 수 있지만; 흡수성 코어층(24)의 치수는 유사하지만, 용품 내에 적절하게 수용되기 위하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에지 둘레에서 밀봉되기 위하여 전체 흡수 용품(10)의 치수보다 종종 다소 작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층(24)은 약 20 내지 80gsm, 대안적으로 약 30 내지 80gsm, 대안적으로 약 30 내지 50gsm의 평량을 갖는 스펀레이스 웹 재료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흡수성 코어층(24)은 예를 들어 PET 및 레이온 섬유의 블렌드(blend)와 같은 스펀레이스 웹의 합성 섬유의 블렌드, 또는 대안적으로 100% 레이온 섬유, 에어레이드 재료, 또는 폼 고무 재료의 균일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수 용품에 포함된 개별적인 층들은, 접착제, 열/압력 접합, 초음파 접합 및 다른 적절한 기계적 부착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구조 접착제는, 예를 들어, 미국 텍사스주 휴스톤의 Huntsman Polymers에서 시판하고 있는 Rextac 접착제 및 미국 위스콘신주의 우와토사(Wauwatosa)에 소재하는 Bostik Findley, Inc.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성 코어층(24)이,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또는 측부 부분(20B)) 및/또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에 위치된 열가소성 중합체를 녹이기 위한 열과 압력의 적용에 의해 형성된 주변 밀봉 영역(261)을 따라 하나 이상의 흡수성 코어층(24)의 주변을 따라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과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 사이에서 밀봉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주변 밀봉 영역(261) 내에서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은 적어도 그의 주변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에 접합되어 있으나, 접합이 제2 상면시트층(2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제1 상면시트층(26)의 능력을 간섭하지 않는 한 또는 액체가 구멍 천공(40, 60)를 통하여 저장 구성요소(흡수성 코어 층(24))로 흐르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 한, 주변 밀봉 영역(261)의 안쪽의 다른 위치에서 그것에 접합될 수도 있다.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일부 소수성 재료로 만들어져야 하며, 이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층 내에서의 배치에 제한되며, 또는 대안적으로 층은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되어 층에 친수성을 부여한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은 흡수된 유체를 착용자의 의복 또는 침구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은, 선택 적으로 액체의 통과를 방지하지만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은 단일 층 또는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하나 이상의 층 자체는 유사한 또는 서로 다른 재료들을 포함한다. 적절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 재료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폴리올레핀 필름, 부직포 및 부직포 적층체, 및 필름/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한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의 특정 구조와 조성은 알려져 있는 다양한 필름 및/또는 섬유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특별한 재료는 액체 장벽, 강도, 내마모성, 촉각 특성, 심미성(예를 들어, 질감 및 인쇄성(printability)) 등의 원하는 수준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적절한 배면시트층(22)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Tusim 등의 미국특허 제4,376,799호, Whitehead 등의 미국특허 제4,578,069호, Shawver 등의 미국특허 제5,695,849호, McCormack 등의 미국특허 제6,075,179호 및 Cheung 등의 미국특허 제6,376,095호에 설명되어 있는 배면시트층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 내에 참고로 원용된다. 아마도 원하는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은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은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이 약 18 내지 40gsm, 대안적으로 약 20 내지 30gsm의 평량을 갖는 통기성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 용품(10)은 당 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과 같은 다른 부가적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11)로부터 연장되고 있는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20)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22)의 연장부인 날개(wing) 또는 탭(tab)형 부분(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날개(14)는 또한 제2 상면시트층(20) 또는 배면시트층(22)에 부착된, 비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또한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은 파우치로 개별적으로 감싸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러한 흡수 용품(10)은 용품 취급 및 궁극적인 폐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파우치의 내부 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흡수 용품의 예는 하기 사항을 포함한다.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22gsm 필름-부직포 적층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필름-부직포 적층체 자체는 11 gsm TABCW의 이성분 섬유에 적층된 11 gsm의 미세 천공된 폴리올레핀 필름(2개의 크기의 미세 구멍을 가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적으로 위치된 다수의 방해받지 않는, 2mm 직경의 원형 홀은 그 전체 두께를 통해 제1 상면시트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층의 중심을 따라(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타원형 치수의) 대체로 타원형 구조로 배열 될 수 있다. 이것은 액체 침투성 제2 상면시트층 사용자 대향면으로의 삼출물의 방해받지 않는 유체 전달을 위한 충분한 영역을 제공하고 제1 상면시트층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제1 상면시트층은 단지 z 접힘된 에지(앞서 도시되고 설명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측방향 부착 구역)를 통해서만 친수성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 제2 상면시트층 위에서의 제1 상면시트층의 상승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심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2mm의 폭을 갖는 엠보싱 굽힘선은 제1 상면시트층의 중심 아래에 위치되어 용품 사용시 더 많은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반전된 V자를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사용자 피부와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제2 상면시트층과 하부 흡수층에서의 배설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를 통한 공기 순환을 촉진할 수 있다. 제1 상면시트층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상면시트층 자체가 임의의 패드 가로 방향 접힘선에 의해 접혀지지 않도록 치수화될 수 있다. 제2 상면시트층은 약 15 gsm 내지 30 gsm의 평량을 갖는 천공된 친수성 TABCW 재료일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제2 상면시트층 아래 및 나머지 층 위에 위치된 TABCW 서지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지층은 약 20 gsm 내지 40 gsm의 평량을 갖는다. 이러한 나머지 층은 약 50 gsm 내지 80 gsm의 평량을 갖는 에어레이드 층이어서 약 100 gsm 내지 200 gsm의 평량을 갖는 SAP 함유 시트가 뒤 따른다. (약 20 내지 30gsm의 평량을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PE)은 그 주변 에지에서 제2 상면시트층에 밀봉 될 수 있다.
제2 흡수 용품 예에서, 제1 상면시트층은 2개의 다른 시트 재료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3개의 모든 층은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단일체로서 제2 상면시트층 위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용품의 제1 상면시트층은 전술한 형태의 매크로- 천공 구멍을 포함하는 천공된 폴리올레핀 필름일 수 있다. 건조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제1 소수성 상면시트층이 사용될 수 있다. 120 gsm의 소수성 에어레이드 재료는 제1 상면시트층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그리고 그에 접합됨), 그 자체는 제1 상면시트층의 천공 구멍과 정렬된 타원형 구성으로 배열된 복수의 매크로 천공 구멍(직경 2 mm)을 포함한다. (상부 층 천공 구멍과와 정렬된)큰 중심 타원형 구멍을 갖는 100gsm의 부피가 큰 소수성 TABCW 재료가 에어레이드 재료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각 층의 구멍 천공 구멍은 큰 중심 천공부를 통해 제2 상면시트층, 사용자 대향면으로의 유체 전달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필름 기반의 제1 상면시트층 및 직접 부착된 하부 층은 단일체로서 임의의 z-접힘된 에지 없이 2차 상면시트층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닛은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서만 제2 상면시트층에 접착식으로 부착 될 것이다. 에어레이드(airlaid) 및 부피가 큰 시트 재료는 궁극적으로 z 접힘된 에지 부착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1 상면시트층의 상승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1 상면시트층에 직접 부착된 에어레이드 층 및 벌크층은 3개층 유닛에 탄성을 제공하며, 이는 이러한 유닛을 이 제2 상면시트층(및 하부 흡수층) 상의 오염물 위로 용이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게 하여, 그에 의하여 삼출물이 피부와 오랫동안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품을 통한 개선된 공기 순환을 제공한다. 선행 예에서와 같이, 제1 상면시트층 및 직접적으로 부착된 층은 패드 내에서 가로 방향 접힘선이 가능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으며, 이 접힘선은 제1 상면시트층, 직접적으로 부착된 에어레이드 층 그리고 부피가 큰 층을 가로지르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상면시트층은 약 15 gsm 내지 30 gsm의 평량을 갖는 친수성 TABCW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상면시트층 바로 아래에는 약 15 gsm 내지 30 gsm의 평량을 갖는 TABCW 서지 재료가 위치될 수 있다. (약 1.6g 내지 2.5 g의 평량을 갖는) 티슈-랩핑된 펄프 플러프는 저장 구성요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서지층과 폴리올레핀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전의 두 예 모두에서, 제2 상면시트층은 제1 상면시트층의 주변 에지 둘레에서(그리고 때로는 중심 천공 구멍 내에서) 패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연질 TABCW 층이다. 이러한 TABCW 부직포 재료를 포함하는 패드는 향상된 부드러움을 전달하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재습윤 성능을 요구한다. 상면시트층 설계의 제1 예는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상승된 부가적인 비액체 보유 제1 상면시트층을 통한 건조감의 문제를 다루는 역할을 하여 패드의 재습윤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1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패드 접음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작은 치수이다. 이는 또한 부드러움 및 편안함을 위하여 소프트한 제2 상면시트층의 대부분이 착용자에게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작은 치수이어야 한다. 제1 상면시트층은 방해받지 않은 매크로-천공 구멍을 포함하여 제1 상면시트층으로부터 제2 상면시트층으로의 효율적인 유체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 유체는 그후 저장 구성요소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상면시트층이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제외하고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분리된다는 사실은 제2 상면시트층 및 저장 구성요소로부터의 포화가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갭을 형성하고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위의 제2 예는 여전히 제2 상면시트층으로부터 제1 상면시트층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강성화 구조를 제공한다.
서지, 전달 및 다수의 흡수성 코어층과 같은 부가적인 내부 흡수 용품 층이 제2 상면시트층 아래에 있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 내에서 원하는 대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층은, 예를 들어 Kim 등의 미국특허공개 제2012/0277711호 및 Miao Lin 등의 WO2014/085974 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본 명세와 일치하는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알 수 바와 같이, 중간 유체 저장 구성요소가 없는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2층 상면시트와 분리 가능한 상면시트는 그들의 구조 사이에 공기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을 통해 직접적으로 하부 패드 표면으로 유체 획득을 신속하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패드 사용 동안 통기성 및 건조감을 제공한다. 하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비교하여 비교적 작은 치수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패드가 생성된다. 이러한 보다 작은 치수의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사용자의 신체의 유체 배설 영역 아래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유체는 더욱 직접적으로 하나 이상의 천공 구멍을 통하여 패드 저장 구성요소로 넘어간다. 사용 동안에, 패드 변형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패드 힘으로 인해 2개의 상면시트는 분리된 것에서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 연속적으로 전이한다. 패드 내의 하부 층과 패드의 최상단 피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패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 순환이 제공되기 때문에 층 접촉과 분리 간의 이러한 일정한 상호 작용은 재습윤 감각 감소에 도움을 준다. 최상의 사용자 접촉층은 바로 인접한 유체 저장 구성요소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들어올려진 중심 영역은 용품 내의 제1 상면시트층의 구멍과 정렬된 천공 구멍을 갖는 천공된 하부 패드층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들어올려진 중심 영역은 용품 중심 영역 밖의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며, 유체가 상부의 피부 접촉 상면시트층을 많이 접촉하지 않고 패드 저장 구성요소로 직접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흡수 용품에서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상면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상면시트층에서의 재습윤이 감소된다. 또한,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제1 상면시트층과 제2 상면시트층 사이의 소수성 구배는 들어올려진 상부 상면시트층으로부터 하부 패드 구조로의 유체 전달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전달은 또한 이러한 패드의 사용자의 재습윤 느낌을 더욱 다루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이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전술한 바를 이해함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변경, 변형, 균등물을 쉽게 구상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21)

  1.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갖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및 상기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흡수 용품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가지되, 상기 흡수 용품은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및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을 갖는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아래의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을 가지고, 2개의 대향하는 부착 구역에서 상기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서 또는 인접하게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상기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말단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지 않고, 연속적인 비부착 영역들이 상기 2개의 대향하는 부착 구역 사이에서 상기 흡수 용품 가로 방향을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되, 상기 제1 및 제2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상기 연속적인 비부착 영역들에서 서로 부착되지 않는,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상기 흡수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사이에 끼워진 적어도 하나의 흡수성 코어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천공되어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전체 두께를 통하여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까지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이 있는, 흡수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보다 상대적으로 더 친수성인, 흡수 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상기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 굽힘선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4. 제3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2개의 측면 표면을 포함하고, 추가로 여기서 상기 굽힘선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한쪽 또는 양쪽 측면 표면에 존재하는 엠보싱 선인, 흡수 용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은 중심 길이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굽힘선은 상기 중심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흡수 용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은 상기 굽힘선을 따라서 위치하는, 흡수 용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다수의, 유사한 치수 및 형상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치수를 가진 다수의, 유사한 형상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중앙에 위치된, 단일의 타원 또는 원형의 방해받지 않는 천공 구멍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사용자 대향, 피부 접촉 표면 및 대향하는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되, 상기 의복 대향면은 상기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비흡수성 유체 전달층을 가지는, 흡수 용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층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적어도 하나의 방해받지 않은 천공 구멍과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정렬된 천공 구멍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정렬된 천공 구멍은 단일의 타원형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지는, 흡수 용품.
  13. 제3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지는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및 제2 상면시트층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그것의 전체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 있는, 흡수 용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천공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은 다수의 형상 및 치수의 천공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그의 제1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 각각에 인접한 접음부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접착제, 초음파 및 열 접합 방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법을 통하여, 그의 제2 상면시트층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에지에 인접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에 부착되어 있는, 흡수 용품.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은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상기 가로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치수가 다른, 흡수 용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가로 방향 및 길이 방향 모두를 따라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과 치수가 다른, 흡수 용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보다 상기 흡수 용품 길이 방향을 따라서 더 짧은, 흡수 용품.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인, 흡수 용품.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은 상기 용품 깊이 방향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제2 상면시트층 아래에 부가적인 층을 포함하되, 상기 부가적인 층은 상기 용품 깊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액체 투과성 제1 상면시트층의 상기 천공 구멍과 정렬되고, 상기 제1 상면시트층 천공 구멍과 유사한 치수와 형상인 천공 구멍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KR1020177019022A 2014-12-30 2014-12-30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KR101804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72785 WO2016108856A1 (en) 2014-12-30 2014-12-30 Absorbent article with partially separable, skin-contacting topsheet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665A true KR20170086665A (ko) 2017-07-26
KR101804106B1 KR101804106B1 (ko) 2017-12-01

Family

ID=5628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022A KR101804106B1 (ko) 2014-12-30 2014-12-30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65566B2 (ko)
KR (1) KR101804106B1 (ko)
CN (1) CN106999322B (ko)
BR (1) BR112017013196B1 (ko)
DE (1) DE112014007200T5 (ko)
MX (1) MX2017007113A (ko)
WO (1) WO20161088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80B1 (ko) * 2018-03-16 2018-08-16 (주)동해다이퍼 기능성 생리대
KR102383318B1 (ko) * 2021-08-05 2022-04-08 주식회사 에이앤드 입체형 생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8016123B1 (pt) * 2016-02-29 2023-03-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CN108601683A (zh) 2016-02-29 2018-09-28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平背保护特征的吸收性制品
CA3047418C (en) 2016-12-19 2023-11-14 NAKK (Bowral) Pty Ltd Cooling pad
WO2018183627A1 (en) * 2017-03-31 2018-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CN110494110B (zh) 2017-03-31 2022-07-1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流出物管理层的吸收制品
CN110381902A (zh) * 2017-03-31 2019-10-2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流出物管理层的吸收制品
US11273082B2 (en) * 2017-10-19 2022-03-15 Kathleen Cannon Techniques for urine and feces containment brief with sling
US10918762B2 (en) * 2018-03-19 2021-02-16 Melissa Haskins Magnetic panty liner assembly
CN111770742B (zh) * 2018-03-29 2021-11-12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制造用于吸收制品的流出物管理层的方法
US11033438B2 (en) 2018-03-29 2021-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udate management layer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AU2018425705A1 (en) * 2018-05-29 2020-12-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forming structure
CN108836605A (zh) * 2018-06-20 2018-11-20 佛山市同鑫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骨科用活动固定夹板
CN108938211A (zh) * 2018-07-09 2018-12-07 海传伟 立体性结构保护卫生巾
USD919084S1 (en) * 2019-03-19 2021-05-1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17692S1 (en) 2019-03-19 2021-04-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78342S1 (en) * 2019-09-06 2023-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pad
CN114224614A (zh) * 2021-12-15 2022-03-25 诺宸股份有限公司 一种干爽贴身型吸收物品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2727U (ko) 1988-02-16 1989-08-21
US5007906A (en) 1989-10-27 1991-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coupled sanitary napkin
CA2029129C (en) 1989-11-03 2001-01-23 Shmuel Dabi Absorbent products having flexible, hydrophilic wick means
US6042575A (en) 1990-10-29 2000-03-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nerally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with central absorbent hump
PL167617B1 (pl) 1990-10-29 1995-09-30 Procter & Gamble P odpaska higieniczna PL
US6171291B1 (en) * 1990-10-29 2001-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nerally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with central absorbent hump
JP2849246B2 (ja) 1991-08-28 1999-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ニングパンツ
MY110892A (en) 1992-07-23 1999-06-30 Procter & Gamble Method of making curved, shaped absorbent article
JPH07244862A (ja) * 1994-03-07 1995-09-19 Sankyo Seiki Mfg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169311B2 (ja) 1994-10-21 2001-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5853403A (en) 1994-10-25 1998-1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tacting liquid control member
ES2164751T3 (es) * 1995-06-19 2002-03-01 Procter & Gamble Hojas superiores dobles perforadas para articulos absorbentes.
US6222092B1 (en) 1995-08-28 2001-04-24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garment with top sheet impediment to liquid flow
EP0902676B1 (en) 1996-05-28 2002-10-30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shrinkable elements
JP3442943B2 (ja) 1996-10-23 2003-09-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SE509537C2 (sv) 1997-06-24 1999-02-08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kroppskontakt
US5827258A (en) 1997-07-25 1998-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justable compound sanitary napkin
JPH11313851A (ja) 1998-05-01 1999-11-16 Uni Charm Corp 生理用ナプキン
JP3652505B2 (ja) 1998-05-14 2005-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AU4425699A (en) 1998-06-05 1999-12-20 Reveo, Inc. Spectrum-controllable reflective polarizers having electrically-switchable modesof operation
IT1307895B1 (it) 1999-04-30 2001-11-19 Iolanda Calia Assorbente esterno particolarmente atto ad impedire al flussomestruale di penetrare tra i glutei.
JP3859418B2 (ja) 2000-03-07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30050614A1 (en) * 2000-03-21 2003-03-13 D'acchioli Vincenzo Multiple component incontinenece care system
AU2001267863A1 (en) * 2000-06-29 2002-01-08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bsorber product
JP3701864B2 (ja) * 2000-12-12 2005-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017839B2 (ja) 2001-02-23 2007-1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吸収製品
JP4090703B2 (ja) 2001-04-20 2008-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71136B2 (ja) * 2001-07-12 2007-09-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2002343821A1 (en) 2002-11-18 2004-06-15 Uni-Charm Corporation Absorbable article for mounting auxiliary pad
KR100948898B1 (ko) 2002-11-18 2010-03-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부착용 보조 패드
JP2004329302A (ja) 2003-04-30 2004-11-25 Daio Paper Corp 体液吸収性パッドおよび体液吸収性物品
JP3822869B2 (ja) 2003-08-14 2006-09-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8231590B2 (en) 2003-12-30 2012-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isually coordinated absorbent product
JP4648698B2 (ja) 2004-12-28 2011-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712374B2 (ja) 2004-12-28 2011-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8211078B2 (en) 2005-02-17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EP1949879B1 (en) * 2005-11-18 2014-12-10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JP4587948B2 (ja) 2005-12-20 2010-11-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754286B2 (en) 2007-11-20 2014-06-17 Sca Hygiene Products Ab Shaped absorbent article
US7976525B2 (en) 2008-02-13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und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contact
WO2014085974A1 (en) 2012-12-04 2014-06-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layered topsheet
US9675498B2 (en) * 2013-05-31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uniform dimensioned side barriers
MX2017007389A (es) * 2014-12-30 2017-10-20 Kimberly Clark Co Articulo absorbente con capa elevada de la lamina delantera en contacto con la pi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80B1 (ko) * 2018-03-16 2018-08-16 (주)동해다이퍼 기능성 생리대
KR102383318B1 (ko) * 2021-08-05 2022-04-08 주식회사 에이앤드 입체형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9322A (zh) 2017-08-01
MX2017007113A (es) 2017-08-18
CN106999322B (zh) 2018-09-21
BR112017013196B1 (pt) 2022-02-22
BR112017013196A2 (pt) 2018-02-06
WO2016108856A1 (en) 2016-07-07
US20170354550A1 (en) 2017-12-14
US10765566B2 (en) 2020-09-08
DE112014007200T5 (de) 2017-08-24
KR101804106B1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106B1 (ko)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KR101804107B1 (ko) 상승된 피부-접촉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
KR101892332B1 (ko) 개별 부분에 종방향으로 배향된 층을 갖는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
US20080294138A1 (en) Absorbent Product
US20080300564A1 (en) Absorbent Product
CN109310554B (zh) 具有带开口的吸收系统的吸收制品
KR102557730B1 (ko) 흡수 용품
KR101849439B1 (ko) 안정화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
KR20180088839A (ko) 개선된 취득 분배 적층체
US20190091076A1 (en)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
KR102549764B1 (ko) 흡수성 코어층 및 이러한 층을 함유한 흡수 개인 위생 용품
JP2004298504A (ja) 体液吸収性物品
EP3437600B1 (en) Absorbent article
CN112955104A (zh) 吸收制品
JP2004201939A (ja) 吸収性物品
US20230165736A1 (en) Embossed absorbent systems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KR102596728B1 (ko)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체
RU2746547C1 (ru) Одноразовое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RU2765708C2 (ru) Одноразовое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с боковыми барьерами для жидкости
KR20140000164A (ko) 통기성 강화 팬티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