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781A -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781A
KR20170085781A KR1020160005333A KR20160005333A KR20170085781A KR 20170085781 A KR20170085781 A KR 20170085781A KR 1020160005333 A KR1020160005333 A KR 1020160005333A KR 20160005333 A KR20160005333 A KR 20160005333A KR 20170085781 A KR20170085781 A KR 20170085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reality image
user terminal
ima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희
Original Assignee
(주)루더스50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더스501 filed Critical (주)루더스501
Priority to KR102016000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5781A/ko
Publication of KR2017008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6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simulated virtual individual or collective life forms, e.g. social simulations or particle swarm optimisation [PS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04N13/02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은, 가상 현실 영상의 촬영 또는 입력된 영상 정보를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환하되 상기 촬영되거나 변환된 가상 현실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 가능한 VR 카메라, 상기 VR 카메라에서 촬영되거나 변환된 가상 현실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VR 카메라에서 촬영되거나 변환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을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미리 재생 요청을 수행한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중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ND BOOKING VIRTUAL REALITY VIDEO BASED O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버가 가상 현실 카메라(Virtual Reality Camera)와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을 중개(intermediation)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영상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영상 기술이 개발 및 응용되고 있으며, 특히,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제작하거나 혹은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 영상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따라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작 되거나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하고 관람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이라 함은 실제 현실은 아니지만 사용자가 현실과 같은 환경을 3차원적인 시각(Sight)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술을 의미하며, 가상 현실은 일반적으로 사진 가상 현실과 동영상 가상 현실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사진 가상 현실은 하나 이상의 사진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동영상 가상 현실은 움직이는 동영상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가상 현실은 같은 장소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별도로 촬영된 여러 장의 사진 또는 동영상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마치 현장에서 주위를 둘러보거나 물체를 살펴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위와 같이 가상 현실 영상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는 고정된 시점에서 특정 환경을 360도로 회전하며 관찰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고정된 또는 움직이는 특정 피사체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관찰할 수도 있다.
한편, 연극, 뮤지컬, 콘서트, 운동 경기, 패션쇼 등 다수의 일반인들이 직접 참석하여 관람가능한 행사의 경우, 특정 시간에 제한된 공간에서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일반인들이 위 행사를 관람하기 위해서는 미리 예약을 통해 좌석 등을 예매하거나 티켓을 구매해야만 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행사들은 제한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많은 수의 사람들이 위 행사에 대한 관람을 원할 경우에는 모든 사람이 전부 수용될 수 없어, 정해진 소수의 인원만이 위와 같은 행사를 관람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일상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공간 제한의 한계를 해결해야 하는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위와 같은 행사를 촬영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가상 현실 영상을 다수의 사람들이 개별적인 공간에서 관람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상 현실 영상의 경우 사용자로서는 자신에게 단방향으로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만을 시청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촬영된 행사 현장에 직접 위치하고 있는 사람과 비교할 때 현장감 내지 생동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도 함께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2223 (공개: 2004년02월1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재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과 VR 카메라 사이를 서버가 중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VR 카메라 내 소정 범위의 이격 거리를 갖는 복 수의 렌즈를 통해 촬영된 복 수의 가상 현실 영상 각각을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병합하여, 상기 병합된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상 현실 영상 및 배너를 포함하여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내 하나의 화면 프레임 상에서, 가상 현실 영상 재생 시 이용되지 않는 소정 영역에 광고를 포함시켜, 하나의 화면 프레임 상에 가상 현실 영상과 광고 영상이 모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이 서버를 통해 예매한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 스트리밍 재생 방식 또는 VOD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이 가상 현실 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 재생 방식에 따라 재생하는 중 사용자의 일시 정지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정지된 시점 이후의 영상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일시 정지를 해제하는 시점부터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토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인터렉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은, 가상 현실 영상의 촬영 또는 입력된 영상 정보를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환하되 상기 촬영되거나 변환된 가상 현실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 가능한 VR(Virtual Reality) 카메라, 상기 VR 카메라에서 촬영되거나 변환된 가상 현실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VR 카메라에서 촬영되거나 변환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을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미리 재생 요청을 수행한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중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생 요청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결제를 수행함에 따라 이루어지되,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은 상기 VR 카메라의 촬영 위치 및 촬영 화질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에 따라 서로 구분된 결제 금액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에서 결제된 결제 금액에 상응하는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을 중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음성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정보는 다중 채널의 3D(three dimension)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개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제공되도록 상기 서버가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간 연결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VR 카메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이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현실 영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일시 정지(pause)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상기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일시 정지 해제 명령이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VR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 목록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특정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 목록 중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터렉션 신호를 상기 VR 카메라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신호는 음성, 영상, 텍스트 및 UI(User Interface) 입력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된 인터렉션 신호는 상기 VR 카메라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부 내 하나의 화면프레임을 이루는 전체 영역 중 상기 가상 현실 영상 디스플레이에 이용되지 않는 소정 영역 또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내에 광고 정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광고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배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고 메시지 또는 텍스트, 이미지, 가상 현실 영상 및 배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 목록 내 가상 현실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과 VR 카메라 간 중개가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VR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VR 카메라 내 소정 범위의 이격 거리를 갖는 복 수의 렌즈를 통해 촬영된 복 수의 가상 현실 영상 각각이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병합되어, 상기 병합된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현실 영상 및 배너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내 하나의 화면 프레임 상에서, 가상 현실 영상 재생 시 이용되지 않는 소정 영역에 광고를 포함시켜, 하나의 화면 프레임 상에서 가상 현실 영상과 광고 영상이 모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서버를 통해 예매한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 스트리밍 재생 방식 또는 VOD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시 정지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정지된 시점 이후의 가상 현실 영상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일시 정지를 해제하는 시점부터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토록 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기기에서 상기 인터렉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의 일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내 일시 정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인터렉션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루는 사용자 단말과 서버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VR 카메라 내 소정 범위의 이격 거리를 갖는 복 수의 렌즈를 통해 촬영된 복 수의 가상 현실 영상 각각이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병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은 가상 현실 카메라(이하, VR 카메라)(100), 서버(200), 가상 현실 영상 재생 장치(이하, 사용자 단말)(300) 및 네트워크(40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언급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하나 이상의 VR 카메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하나 이상의 서버(예를 들어, 중개 서버, 중계 서버 및 클라이언트 서버 등)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VR 카메라, 사용자 단말 및 서버 간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VR 카메라(100)는 일반적인 주변 환경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서 촬영하거나 또는 입력/촬영 된 일반적인 영상 내지 동영상 정보를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VR 카메라(100)는 상기 촬영되거나 변환된 가상 현실 영상을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VR 카메라(100)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과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VR 카메라(10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VR 카메라(100)는 상기 VR 카메라가 자체적으로 혹은 상기 설치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현실 영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촬영 자체를 가상 현실 영상으로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일반적인 영상으로서 촬영을 수행한 후, 상기 촬영된 일반적인 영상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서 변환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가상 현실 영상 촬영 내지 변환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으나 이러한 촬영 내지 변환과 관련하여서는 현재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가상 현실 영상 촬영 내지 변환 방법이 포함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VR 카메라(100)에서 제작된 가상 현실 영상 또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 내지 신호들은, 상기 VR 카메라(100)로부터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거나 혹은 상기 VR 카메라(100)를 포함하는 다른 VR 카메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 내지 신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상 현실 영상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버(200)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환경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객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200)는 중개 서버, 중계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 서버를 더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의 일예로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객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VR 카메라(100)에서 촬영되거나 변환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VR 카메라(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나아가 유무선 공유기 접속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VR 카메라(100)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는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위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과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자체적으로 혹은 상기 설치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술한 VR 카메라(100) 또는 서버(2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되거나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상 현실 영상 정보 및 이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예를 들어 오큘러스 리프트, 갤럭시 VR, 모피어스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가상 현실 영상이 재생될 수 있되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 후 이를 시청할 수 있는 다양한 가상 현실 영상 재생/시청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재생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청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입출력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와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중력 변화, 가속도 변화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신호를 물리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입력부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포함될 수 있는 출력부의 경우, 서버(200) 또는 VR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제공하되 현실감 있는 시청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현재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다양한 출력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음향 장치 등)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의 일례로는 가상 현실 영상 재생이 가능한 VR 장치,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단말 장치, 터미널(Terminal),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장치들은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300)은 상술한 예시들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이 가능하되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네트워크(400)는 VR 카메라(10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 간 가상 현실 영상 내지 이와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400)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400)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의 일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은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VR 카메라, 가상 현실 영상 재생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중개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VR 카메라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환경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서 직접 촬영하거나 또는 입력/촬영 된 일반적인 영상 정보를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환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S201)
즉, 본 발명에서 상기 VR 카메라는 연극, 영화, 뮤지컬, 패션쇼 및 스포츠 경기 등과 같은 특정 환경을 곧바로 가상 현실 영상으로서 촬영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위와 같은 특정 환경을 종래의 일반적인 동영상으로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일반적인 동영상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예를 들면, 상기 VR 카메라에서 수행될 수 있는 상기 변환은, 일반적인 동영상 데이터를 가상 현실 데이터 저작도구(예를 들어, 3D studio, 3D Photo VR Editor 등)를 통해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가상 현실 모델링 언어) 파일로 변환하되, 이를 가상 현실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가상 현실 모델링 언어)은 3차원 입체 가상 현실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3차원 가상 현실 영상 구현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이를 이용하여 특정 오브젝트(Object)를 3차원 화면에서 사용자가 보고, 움직이고, 돌리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시각적 이미지들을 만들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VR 카메라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예시적인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가상 현실 영상을 제작 또는 생성하기 위한 종래의 다양한 방법 및 향후 개발될 다른 방법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VR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현실 영상은, 음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VR 카메라는 가상 현실 영상을 직접 촬영하거나 혹은 변환하는 경우 음성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음성 정보는 다중 채널(예를 들어, 2채널 내지 5채널 등)의 3D(three dimension) 음성 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시작되거나 종료되는 부분 혹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의 화면 내 일부분에 광고 정보 또는 광고 배너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VR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현실 영상 또는 상기 VR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기반으로 서버가 제작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영상은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이거나 혹은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 영상(가상 현실 영상과 배너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시작되거나 종료되는 부분 혹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의 화면 내 일부분에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내 하나의 화면 프레임 상에서,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재생 시 이용되지 않는 소정 영역에 광고 정보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을 착용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선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이루는 하나의 화면 프레임이 보여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나의 화면 프레임을 이루는 전체 영역 모두가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재생에 이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의 화면 프레임을 이루는 전체 영역 중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재생에 이용되지 않는 소정 영역에 광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일반적인 시선에는 상기 재생되는 가상 현실 영상이 보여질 수 있으나,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화면 프레임 내 소정 영역이 보여질 수 있는 방향으로 자신의 시선을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소정 영역에 포함된 광고 정보를 보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고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배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고 메시지 또는 텍스트, 이미지, 가상 현실 영상 및 배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VR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현실 영상 또는 상기 VR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기반으로 서버가 제작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영상은, 그 자체가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이거나 혹은 가상 현실 광고 영상을 더 포함하는 가상 현실 영상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 영상(가상 현실 영상과 배너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시작되거나 종료되는 부분 혹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의 화면 내 일부분에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한 VR 카메라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VR 카메라는 상기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을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VR 카메라 내 소정 범위의 이격 거리를 갖는 복 수의 렌즈를 통해 촬영된 복 수의 가상 현실 영상 각각이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복 수개의 가상 현실 영상을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병합할 수 있고, 상기 병합된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와 달리 상기 하나의 VR 카메라 내 소정 범위의 이격 거리를 갖는 복 수의 렌즈를 통해 촬영된 복 수의 가상 현실 영상 각각을 상기 VR 카메라에서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병합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설정에 따라 하나의 카메라 내 소정 범위의 이격 거리를 갖는 복 수의 렌즈를 통해 촬영된 복 수의 일반 영상 각각을,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환/병합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영상이 아닌 복 수개의 이미지를 병합하여 하나의 가상 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복 수개의 가상 현실 영상이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병합되는 것은, 가상 현실 영상 간 단순 병합 또는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가상 현실 영상 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소정 영역이 자연스럽고 매끄러울 수 있도록 별도의 병합 전 처리(preprocessing)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즉, 보다 구체적인 예시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VR 카메라 내 소정 범위의 이격 거리를 갖는 복 수의 렌즈를 통해 촬영된 복 수개의 가상 현실 영상(즉, 상기 복 수개의 가상 현실 영상 각각은 상기 복 수의 렌즈가 갖는 소정 범위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만큼의 거리 차이를 가질 수 있다)을 병합하여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복 수개의 가상 현실 영상을 병합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가상 현실 영상들이 맞닿는 결합 영역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별도의 병합 전 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현실 영상 간의 병합은 예를 들어, kolor 사의 오토파노 비디오 (autopano video), 오토파노 프로 (autopano pro) 및 오토파노기가 (autopano giga)와 같이 복 수의 영상을 기반으로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다양한 가상 현실 영상 병합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서버에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S202)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재생 요청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될 수 있는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재생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권한 획득에 필요한 결제를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 내에서 수행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통해 상기 VR 카메라에서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은, 상기 VR 카메라에서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상기 서버를 통해 티켓팅, 티켓 구매 또는 예매와 같은 방법에 따라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시청에 대한 권한 획득을 요청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특정 공간 내지 플랫폼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제공하되, 상기 VR 카메라와 사용자 단말을 중개하는 것을 하나의 서버가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그 실시의 태양에 따라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VR 카메라와 사용자 단말을 중개하는 서버가 각각 서로 분리된 별개의 서버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에 대하여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고하면,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서트, 뮤지컬, 스포츠 경기, 패션쇼 및 팬미팅 등 다수의 일반인들이 직접적으로 관람이 가능한 행사의 경우, 특정 시간에 제한된 공간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수의 일반인들은 미리 예약 등을 통해 좌석 등을 선점하거나 행사장에 입장할 수 있는 권리를 가져야만 이를 관람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행사들은 제한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많은 수의 사람들이 위 행사에 대한 관람을 동시에 원할 경우, 상기 제한된 공간에는 관람을 원하는 모든 사람들이 전부 수용될 수 없어, 미리 정해진 소수의 인원만이 위 행사를 관람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상기 서버를 통해 예매한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 소수의 인원만이 행사 관람을 할 수 밖에 없다는 앞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행사에 대한 단순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가상 현실 영상을 통해 행사 관람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생동감과 현장감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VR 카메라에서 촬영되거나 변환된 가상 현실 영상이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을 중개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미리 재생 요청을 수행한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중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재생 요청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에서는, 상기 VR 카메라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과 관련하여,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촬영된 VR 카메라의 촬영 위치, 촬영 각도, 카메라의 수 및 촬영 화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촬영 정보에 따라 각각의 가상 현실 영상 별로 서로 다른 결제 금액을 갖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 상에서 임의의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경우, 상기 결제에 대응되는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도 3e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VR 카메라(e-1 내지 e-4, f-1 내지 f-4)를 통해 생성된 복 수의 가상 현실 영상을 포함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VR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들을, 상기 VR 카메라 각각의 촬영 위치에 따른 구분(예를 들어, e-2에 의한 촬영 영상과 e-4에 의한 촬영 영상 간의 구분 등), 촬영에 이용된 VR 카메라의 개 수에 따른 구분(예를 들어, f-1 내지 f-2에 의한 촬영 영상과 f-1 내지 f-4에 의한 촬영 영상 간의 구분 등) 또는 VR 카메라의 촬영 화질에 따른 구분 등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가상 현실 영상 별 결제 금액을 서로 달리하여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특정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시청 권한 획득을 위해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 내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결제에 대응되는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상기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에서 결제된 결제 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중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S203 내지 S204)
한편, 선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중개는, 상기 VR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서버가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간 직접 연결을 제어하는 스트리밍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서버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VR 카메라로부터 일단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VOD(Video On Demand)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스트리밍 방식이라 함은 수신측이 송신측과의 통신망 연결을 통해 음성이나 영상 등을 실시간(real-time)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 재생 방식을 의미하며, 이 경우 영상 파일 등은 수신측의 메모리 등에 다운로드 되지 않고 곧바로 재생되는 영상 재생 방식이다. 또한, 상기 VOD 방식이라 함은 수신측이 송신측과의 통신망 연결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다운로드 하여 원하는 시간에 제공해줄 수 있는 맞춤 영상 정보 서비스로서, 통신망을 통해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재생(play), 정지(stop), 멈춤(pause), 빨리 감기(fast forward), 빨리 되감기(fast rewind) 및 임의의 위치에서 영상을 재생시키는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영상 재생 방식을 의미한다.
즉,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는 영화, 스포츠 경기, 콘서트, 뮤지컬, 연극, 게임, 개인 방송, 패션쇼 등에 대한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재생되는 방식(도 4)과 VOD 로 재생되는 방식(도 5) 각각을 모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를 참고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는 영화, 스포츠 경기, 콘서트, 뮤지컬, 연극, 게임, 개인 방송, 패션쇼 등에 대한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영상 제목, 영상 내용, 등장 인물, 시청 일자 및 시간 등)를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에 미리 정해진 정렬 방법에 따라 정렬하여 개시(또는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이를 열람한 후 이들 중 자신이 시청하길 원하는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시청 권한 획득을 위해 상기 특정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결제 과정을 더 포함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에서 미리 정해진 정렬 방법에 따라 개시될 수 있는 영상은 상기 VR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가상 현실 영상 외에 기존 VOD 사업자 등으로부터 협약 등을 통해 제공받은 일반 영상 및/또는 가상 현실 영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된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한/생성하는 VR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VR 카메라에서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위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가 상기 VR 카메라에 의해 기 생성된 영화, 스포츠 경기, 콘서트, 뮤지컬, 연극, 게임, 개인 방송, 패션쇼 등에 대한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VR 카메라로부터 미리 수신하거나 또는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상기 서버에 수신 또는 저장된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목록을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상 현실 영상 목록 중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앞서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특정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에 수신 또는 저장된 상기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를 다운로드 하여(혹은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다운로드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목록 그 자체 또는 상기 가상 현실 목록 내 특정 가상 현실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등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와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VR 카메라에서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재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재생되는 중,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pause) 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재생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별도의 일시 정지를 수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시 정지를 수행할 수 없다는 위와 같은 문제점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일시 정지를 수행함이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시청하는 행위를 물리적으로 중단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계속해서 재생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는 다시 시청을 하고자 하더라도 상기 시청을 중단한 동안 재생되었던 영상에 대해서는 다시 시청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재생되는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의 재생에 대한 일시 정지(pause)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된 특정 시점부터 상기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으며, 향후 상기 사용자에게 일시 정지 해제 명령이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로드(load)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6을 참고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어 재생 되는 중, 사용자가 특정 시점(601)에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재생에 대한 일시 정지(pause)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된 특정 시점(601)부터 상기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하게 되며, 그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일시 정지 해제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로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일시 정지 명령 또는 일시 정지 해제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부 버튼,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가상 현실 영상의 경우 사용자로서는 이미 생성된 가상 현실 영상을 일방적으로 시청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촬영된 현장과의 상호 작용 내지 인터렉션은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촬영된 현장에 직접 위치하고 있는 사람과 비교할 때 현저하게 생동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인터렉션 신호라 함은 가상 현실 영상이 재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측에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생성되는 VR 카메라(또는 이와 관련된 주변 장치)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를 의미하며, 상기 인터렉션 신호는 음성, 영상, 텍스트 및 UI(User Interface)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렉션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부 버튼,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 가능한 별개의 입출력 장치 등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그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앞서 설명한 미리 정해진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터렉션 신호를 상기 VR 카메라 또는 서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된 인터렉션 신호는 상기 VR 카메라 또는 서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재생되는 사용자 단말 측에서도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생성되는 VR 카메라 또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재생을 위해 중개를 수행하는 서버 측과 상호 작용 내지 인터렉션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출력이라 함은, 상기 VR 카메라/서버 혹은 이들과 연동 가능한 주변 입출력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인터렉션 신호가 표시되거나 표현되는 다양한 행위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만약 다수의 VR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인터렉션 신호와 같이 혹은 별개로 상기 VR 카메라의 전환 요청(즉, VR 카메라의 전환에 따른 가상 현실 영상의 시점(view point) 변환)을 더 포함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루는 사용자 단말과 서버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서는 각각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하나의 서버 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부(Radio Communication unit, 801)와 메모리부(802), 디스플레이부(803) 및 제어부(또는 프로세서, 8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도 8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0)의 신호 처리, 계층 처리 등 사용자 단말(300)과의 데이터 통신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은 메모리(802) 및 제어부(804)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메모리(802), 유무선 통신부(801) 및 제어부(804) 간에는 연결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서버(200)에 포함된 유무선 통신부(80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300), 서버(200) 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VR 카메라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804)는 유무선 통신부 내 송신부 및 수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송신부 및 수신부가 사용자 단말(300), 서버(200) 또는 VR 카메라 간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4)는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외 수신부가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어부(804)는 교환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부(802)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서버(200)는 앞서의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사용자 단말(300)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부(811)는 서버(200) 또는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VR 카메라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의 제어부(814)는 송신부 및 수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송신부 및 수신부가 상기 서버(200) 또는 VR 카메라를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로부터 가상 현실 영상 정보, 상기 가상 현실 영상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표시(display)하는 디스플레이부(813)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13)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며, 구체적으로 유무선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 광고 정보 또는 접속 정보 재입력 요청 지시 등을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8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에는 외부 디스플레이부와 내부 디스플레이부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14)는 전송할 데이터 또는 신호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수신부가 수신한 데이터 또는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어부(814)는 교환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813)에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200)의 제어부(804, 814)는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200)의 동작들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어부들(804, 814)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802, 812)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802, 812)는 제어부(804, 814)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804, 814)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804, 814)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802, 812)에 저장되어 제어부(804, 8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2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804, 814)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은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에 대한 예매를 위한 다양한 방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00: 서버 300: 사용자 단말
801: 유무선통신부 811: 유무선통신부
802: 메모리부 812: 메모리부
803: 디스플레이부 813: 디스플레이부
804: 제어부 814: 제어부

Claims (11)

  1. 가상 현실 영상의 촬영 또는 입력된 영상 정보를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환하되 상기 촬영되거나 변환된 가상 현실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 가능한 VR(Virtual Reality) 카메라;
    상기 VR 카메라에서 촬영되거나 변환된 가상 현실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VR 카메라에서 촬영되거나 변환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을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미리 재생 요청을 수행한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중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요청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결제를 수행함에 따라 이루어지되,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은 상기 VR 카메라의 촬영 위치 및 촬영 화질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에 따라 서로 구분된 결제 금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에서 결제된 결제 금액에 상응하는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을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음성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정보는 다중 채널의 3D(three dimension) 음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제공되도록 상기 서버가 상기 VR 카메라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간 연결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VR 카메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이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현실 영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일시 정지(pause)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일시 정지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상기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일시 정지 해제 명령이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VR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 목록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가상 현실 영상 예매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특정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 목록 중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가상 현실 영상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가상 현실 영상이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인터렉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터렉션 신호를 상기 VR 카메라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신호는 음성, 영상, 텍스트 및 UI(User Interface) 입력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된 인터렉션 신호는 상기 VR 카메라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부 내 하나의 화면프레임을 이루는 전체 영역 중 상기 가상 현실 영상 디스플레이에 이용되지 않는 소정 영역 또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 내에 광고 정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광고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배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고 메시지 또는 텍스트, 이미지, 가상 현실 영상 및 배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영상 목록 내 가상 현실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공유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160005333A 2016-01-15 2016-01-15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KR20170085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333A KR20170085781A (ko) 2016-01-15 2016-01-15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333A KR20170085781A (ko) 2016-01-15 2016-01-15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781A true KR20170085781A (ko) 2017-07-25

Family

ID=5942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333A KR20170085781A (ko) 2016-01-15 2016-01-15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57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63A1 (ko) * 2018-03-02 2019-09-06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가상 현실 시네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4125301A (zh) * 2021-11-29 2022-03-01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技术拍摄延迟处理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63A1 (ko) * 2018-03-02 2019-09-06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가상 현실 시네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4125301A (zh) * 2021-11-29 2022-03-01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技术拍摄延迟处理方法及装置
CN114125301B (zh) * 2021-11-29 2023-09-19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技术拍摄延迟处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0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ourcing and editing live video
US9936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ion and delivery of live video
RU267262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просмотра фильмов, планирования и социаль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KR101326739B1 (ko) 정보처리 시스템 및 정보처리 장치
US20140096167A1 (en) Video reaction group messaging with group viewing
US20150124048A1 (en) Switchable multiple video track platform
WO2015078199A1 (zh) 直播互动方法、装置、客户端、服务器及系统
JP2014241149A (ja) イベントベースの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アプリケーション
CN113965811A (zh) 播放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6330912B (zh) 视频直播与双向通话融合的系统及方法
US11481983B2 (en) Time shifting extended reality media
CN112770135B (zh) 基于直播的内容讲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060526A (zh) 一种基于双摄像头的直播方法及装置
CN110740386B (zh) 直播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369273B1 (ko) 양방향 라이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9930094B2 (en) Content complex providing server for a group of terminals
KR102163695B1 (ko)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참여형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19169935A (ja) 消費者志向型マルチカメラ撮影映像の選択視聴サービスシステム
CN113473165A (zh) 直播控制系统、直播控制方法、装置、介质与设备
US20240107087A1 (en) Server,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70085781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KR20210084248A (ko) Vr 컨텐츠 중계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3309B1 (ko) 고객 맞춤형 라이브 방송 시스템
KR101915065B1 (ko) Vr 콘텐츠에 대한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12601110B (zh) 用于内容记录和分享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