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33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332A
KR20170085332A KR1020160004824A KR20160004824A KR20170085332A KR 20170085332 A KR20170085332 A KR 20170085332A KR 1020160004824 A KR1020160004824 A KR 1020160004824A KR 20160004824 A KR20160004824 A KR 20160004824A KR 20170085332 A KR20170085332 A KR 20170085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discharge port
hinge shaft
disposed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822B1 (ko
Inventor
권혁주
김현종
하종철
장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4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8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1/007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2001/004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풍향조절모터를 통해 2개의 베인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고,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사이로 공기가 토출되기 때문에, 냉풍이 토출될 때에는 하단에 배치된 제 1 베인을 통해 냉풍의 토출각을 상측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온풍이 토출될 때에는 상단에 배치된 제 2 베인을 통해 온풍의 토출각을 하측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고, 동시에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바닥과 벽과 천장 중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공기흡입구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공조하여 공기토출구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하고자 하는 실내 이외에 설치되고 실내와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로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덕트를 통해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공조하여 공기토출구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는 실내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풍향조절부재와, 풍향조절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KR 10-0400462 B1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통해 2개의 베인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풍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풍을 토출할 때 토출구 하단에 배치된 제 1 베인을 통해 토출공기의 토출각을 제어하고, 온풍을 토출할 때, 토출구 상단에 배치된 제 2 베인을 통해 토출공기의 토출각을 제어할 수 있는 풍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제 1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제 1 베인;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제 2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제 2 베인;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각각에 대하여 힌지 연결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각각에 대하여 힌지연결되는 제 2 링크; 상기 제 1 회전축 또는 제 2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풍향조절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모터에서 제공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각을 조절한다.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다른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사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토출구의 전방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토출구의 전방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구 전체의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 1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1-1 힌지축; 및 타단이 상기 제 2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1-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 1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2-1 힌지축; 및 타단이 상기 제 2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2-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1-1 힌지축 및 2-1 힌지축은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1-2 힌지축 및 2-2 힌지축은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1-1 힌지축 및 2-1 힌지축은 제 1 위상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1-2 힌지축 및 2-2 힌지축은 제 2 위상차를 형성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상차 및 제 2 위상차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본체 측으로 돌출된 제 1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본체 측으로 돌출된 제 2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 1-1 힌지축 및 2-1 힌지축은 상기 제 1 조인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축, 1-2 힌지축 및 2-2 힌지축은 상기 제 2 조인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하나의 풍향조절모터를 통해 2개의 베인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키는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가 설치되기 때문에, 체인지 포인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키는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가 동일한 위상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의 회전각도를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사이로 공기가 토출되기 때문에, 냉풍이 토출될 때에는 하단에 배치된 제 1 베인을 통해 냉풍의 토출각을 상측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온풍이 토출될 때에는 상단에 배치된 제 2 베인을 통해 온풍의 토출각을 하측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풍향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풍향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풍향조절장치의 냉방 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풍향조절장치의 난방 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풍향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풍향조절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풍향조절장치의 냉방 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풍향조절장치의 난방 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0) 및 실외기(미도시)로 구성된다. 실내기(100) 및 실외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히트펌프 사이클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0)는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여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0)는 흡입구(11)(12) 및 토출구(13)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1)(12)는 상측면 및 전면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흡입구는 하나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흡입구를 구분하기 위해 상측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상면흡입구(11)로 정의하고,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전면흡입구(12)로 정의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전면흡입구(12)를 개폐하는 프론트패널(40)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0)을 구동시키는 프론트개폐유닛(45)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40)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대하여 회동된다. 상기 프론트패널(40)은 회전중심이 하측에 위치되고, 상단이 본체(10)와 더 멀리 이격된다. 상기 프론트개폐유닛(45)은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프론트개폐유닛(45)은 프론트패널(40)과 프론트가이드(42)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상면흡입구(11)에는 흡입그릴(52)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상면흡입구(11) 및 전면흡입구(12)에서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50)는 프리필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50)는 1개만 설치된다. 상기 필터(50)는 벤딩되어 설치된다. 상기 필터(50)의 일부는 상면흡입구(11)에서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고, 나머지는 전면흡입구(12)에서 흡입된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열교환기(20)는 필터(50)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유닛(30)은 열교환기(20)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13)는 본체(10)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3)는 전면흡입구(1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13)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장치(60)가 설치된다.
상기 풍향조절장치는(6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제 1 회전축(71)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13)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제 1 베인(70)과,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제 2 회전축(81)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13)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제 2 베인(80)과, 상기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 각각에 대하여 힌지연결되는 제 1 링크(61)와, 상기 제 1 링크(6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 각각에 대하여 힌지연결되는 제 2 링크(65)를 포함한다.
상기 풍향조절장치(60)는 하나의 풍향조절모터(69)가 사용된다. 상기 풍향조절장치(60)는 상기 제 1 베인(70) 또는 제 2 베인(80)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다른 하나는 제 1, 2 링크(61)(65)의해 연동된다.
상기 제 1 베인(70)은 제 1 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베인(80)은 제 2 회전축(8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시 말해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은 각각의 회전축(71)(81)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회전각도가 연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70)이 하측에 위치되고, 제 2 베인(80)이 제 1 베인(7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70) 또는 제 2 베인(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토출구(13)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베인(80)이 토출구(13)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베인(70)이 토출구(13)의 일부를 개폐하고 제 2 베인(80)이 토출구(13)의 나머지를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측에 배치된 제 1 베인(70)이 토출구(13)를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를 위해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 2 베인(80)의 하단이 제 1 베인(70)과 중접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은 본체(1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인(70)은 토출구(13)에서 나온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플레이트(75)와, 상기 베인플레이트(75)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 1 회전축(71)이 형성되는 제 1 조인트(7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베인(80)은 제 1 베인(70)과 동일한 구조이다. 그래서 상기 제 2 베인(80)은 토출구(13)에서 나온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플레이트(85)와, 상기 베인플레이트(85)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 2 회전축(81)이 형성되는 제 2 조인트(8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조인트(72)에 제 1 링크(61) 및 제 2 링크(65)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 1 회전축(71)은 제 1 조인트(72)와 직교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전축(71)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회전축(71)은 베인플레이트(75)와 직교된다. 상기 제 1 회전축(71) 및 베인플레이트(75)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조인트(72)는 본체(10) 측으로 돌출되고, 본체(1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회전축(71)을 중심으로 제 1 베인(7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회전축(71)은 베인플레이트(7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베인(70)에 풍향조절모터(69)의 구동력이 제공된다. 상기 풍향조절모터(69)는 상기 제 1 회전축(71)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풍향조절모터(69)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70)이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모터(69)는 스텝모터일 수 있고, 소정각도 회전된 후 상기 제 1 베인(7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모터(69)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회전축(71)에 제공하기 위해 동력전달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기어, 체인, 벨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제 1 회전축(71)을 회전시키는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회전축(71)이 회전될 때, 상기 제 1 링크(61) 및 제 2 링크(65)를 통해 제 2 베인(80)으로 조작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 1 링크(61) 및 제 2 링크(65)는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링크(61)는 제 2 링크(65)와 높낮이 차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링크(61)는 조인트(72)(82)들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제 2 링크(65)는 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조인트(72)(82)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링크(61)가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링크(65)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61)의 일측은 제 1 조인트(7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 2 조인트(8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 링크(61)의 일단에는 제 1 조인트(72)와 힌지결합되는 1-1 힌지축(62)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 2 조인트(82)와 힌지결합되는 1-2 힌지축(63)이 설치된다.
제 2 링크(65)의 일단에는 제 1 조인트(72)와 힌지결합되는 2-1 힌지축(66)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 2 조인트(82)와 힌지결합되는 2-2 힌지축(67)이 설치된다.
상기 1-1 힌지축(62) 및 2-1 힌지축(66)은 제 1 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1-1 힌지축(62) 및 2-1 힌지축(66)은 제 1 회전축(71)을 기준으로 제 1 위상차를 형성한다.
제 1-2 힌지축(63) 및 2-2 힌지축(67)은 제 2 회전축(8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1-2 힌지축(63) 및 2-2 힌지축(67)은 제 2 회전축(81)을 기준으로 제 2 위상차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링크(61) 및 제 2 링크(65)는 동일한 길이로 제작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위상차 및 제 2 위상차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링크(61) 및 제 2 링크(65)의 길이를 달리하여 제 1 위상차 및 제 2 위상차를 다르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60)는 상기 제 1 위상차 및 제 2 위상차를 조절하여 체인지 포인트(change point)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체인지 포인트는 제 1 조인트(72)의 회전방향과 달리 제 2 조인트(8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점이다. 1개의 링크만 설치한 경우, 대부분의 구간에서는 제 1 조인트(72) 및 제 2 조인트(8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특정 지점인 체인지 포인트에서는 회전방향이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회전축(71)을 중심으로 제 1 조인트(7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던 중 체인지 포인트에서 역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 2 조인트(82)는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대신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하거나 또는 회전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인트(72) 또는 제 2 조인트(82)의 정지된 위치가 체인지 포인트인 경우, 제 1 조인트(72)에 구동력을 전달하여도 제 2 조인트(82)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차를 형성하는 제 1 링크(61) 및 제 2 링크(65)를 배치하여 상술한 체인지 포인트를 해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60)는 위상차를 형성하게 배치된 제 1 링크(61) 및 제 2 링크(65)를 통해 제 1 조인트(72) 및 제 2 조인트(82)가 항상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70)은 토출구(13)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 2 베인(80)은 토출구(13)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구(13)에 나온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 사이로 유동된다. 상기 토출구(13)에서는 냉방을 위한 냉풍 또는 난방을 위한 온풍이 토출된다.
상기 풍향조절장치(60)는 풍향조절모터(69)를 제어하여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의 토출각을 동시에 조절한다.
예를 들어, 냉풍을 토출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토출구(13)에서 나온 냉풍이 제 1 베인(70)의 상측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원하는 각도보다 상측으로 토출되게 할 수 있다.
토출구(13)에서 토출되는 냉풍은 실내공기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에, 온도차에 의해 실내 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풍향조절장치(60)는 토출구(13)에서 토출되는 냉풍의 방향을 제 1 베인(70)에 의해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냉풍은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 사이로 안내되어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냉풍은 하측에 배치된 제 1 베인(70)의 각도에 따라 토출각이 조절된다.
즉, 2개의 베인(70)(80)이 배치되지만, 냉풍의 토출각은 실질적으로 하측에 배치된 제 1 베인(70)의 각도에 따라 제어된다.
다음으로, 온풍을 토출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토출구(13)에서 나온 온풍이 제 2 베인(70)의 하측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원하는 각도보다 하측으로 토출되게 할 수 있다.
토출구(13)에서 토출되는 온풍은 실내공기보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온도차에 의해 실내의 천장으로 상승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풍향조절장치(60)는 토출구(13)에서 토출되는 온풍의 방향을 제 2 베인(80)에 의해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온풍은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 사이로 안내되어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온풍은 상측에 배치된 제 2 베인(80)의 각도에 따라 토출각이 조절된다.
냉풍과는 반대로, 온풍의 토출각은 실질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제 2 베인(80)의 각도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 제 1 베인(70)은 토출구(13)의 하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구(13)에서 나온 공기가 제 1 베인(70)의 상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베인(80)은 토출구(13)의 상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구(13)에서 나온 공기가 제 2 베인(70)의 하측으로 유동된다.
즉 상기 토출구(13)에서 나온 공기의 대부분은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 사이로 유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60)는 1개의 풍향조절모터(69)를 통해 제 1 베인(70) 및 제 2 베인(80)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풍향조절장치(60)는 냉풍이 나올때는 제 1 베인(70)를 통해 냉풍의 토출각을 제어할 수 있고, 온풍이 나올때는 제 2 베인(80)을 통해 온풍의 토출각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상면흡입구
12 : 전면흡입구 13 : 토출구
20 : 열교환기 30 : 송풍유닛
40 : 프론트패널 50 : 필터
60 : 풍향조절장치 61 : 제 1 링크
62 : 1-1 힌지축 63 : 1-2 힌지축
65 : 제 2 링크 66 : 2-1 힌지축
67 : 2-2 힌지축 70 : 제 1 베인
71 : 제 1 회전축 72 : 제 1 조인트
75 : 베인플레이트 80 : 제 2 베인
81 : 제 2 회전축 82 : 제 2 조인트

Claims (10)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제 1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제 1 베인;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제 2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제 2 베인;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각각에 대하여 힌지 연결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각각에 대하여 힌지연결되는 제 2 링크;
    상기 제 1 회전축 또는 제 2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풍향조절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모터에서 제공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각을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다른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사이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또는 제 2 베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공기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토출구의 전방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토출구의 전방 상단에 배치된 공기조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구 전체의 개폐가 가능한 공기조화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 1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1-1 힌지축; 및 타단이 상기 제 2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1-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 1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2-1 힌지축; 및 타단이 상기 제 2 베인과 힌지결합되는 2-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1-1 힌지축 및 2-1 힌지축은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1-2 힌지축 및 2-2 힌지축은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1-1 힌지축 및 2-1 힌지축은 제 1 위상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1-2 힌지축 및 2-2 힌지축은 제 2 위상차를 형성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차 및 제 2 위상차는 동일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본체 측으로 돌출된 제 1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본체 측으로 돌출된 제 2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 1-1 힌지축 및 2-1 힌지축은 상기 제 1 조인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축, 1-2 힌지축 및 2-2 힌지축은 상기 제 2 조인트에 배치된 공기조화기.
KR1020160004824A 2016-01-14 2016-01-14 공기조화기 KR10176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824A KR101769822B1 (ko) 2016-01-14 2016-01-1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824A KR101769822B1 (ko) 2016-01-14 2016-01-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332A true KR20170085332A (ko) 2017-07-24
KR101769822B1 KR101769822B1 (ko) 2017-08-21

Family

ID=5942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824A KR101769822B1 (ko) 2016-01-14 2016-01-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682A (ko)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36575A (en) 2001-06-19 2008-10-31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822B1 (ko) 201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363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EP2835597B1 (en) Air conditioner
JP614743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9019831A (ja) 空気調和機
US10895388B2 (en) Indoor unit air-conditioning apparatus
JP4107333B2 (ja)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KR101769822B1 (ko) 공기조화기
US20230296285A1 (en) Dual louver arrangement
KR101887066B1 (ko)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070019195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US10724759B2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JP5874909B2 (ja) 空気調和機
KR100667275B1 (ko) 공기조화기
KR100728345B1 (ko) 에어컨의 오토셔터 개폐장치
KR102508904B1 (ko) 공기조화기의 블레이드 개폐장치
JP5874908B2 (ja) 空気調和機
KR102014403B1 (ko) 공기 조화기
US20220260276A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0799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131627A (ja) 空気調和装置
JP2017040408A (ja) 空気調和機
KR20220065337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JP200106596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の吹出チャンバ
KR20180091522A (ko) 에어컨
CN108844127A (zh) 一种壁挂式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