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901A -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 Google Patents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901A
KR20170084901A KR1020160004309A KR20160004309A KR20170084901A KR 20170084901 A KR20170084901 A KR 20170084901A KR 1020160004309 A KR1020160004309 A KR 1020160004309A KR 20160004309 A KR20160004309 A KR 20160004309A KR 20170084901 A KR20170084901 A KR 2017008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camera
coordina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제
소재춘
김병준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콘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콘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콘브릿지
Priority to KR102016000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4901A/ko
Publication of KR2017008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04N13/0048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으로서, 소정 사업장(예컨대, 뷰티 샵)에 체형측정장치를 설치하고, 뷰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은 선택적으로 코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한 곳의 사업장에서 뷰티 및 코디 서비스를 한 번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체형측정장치는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와, 상기 체중계와 일체로 구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될 때 고객의 정면, 좌/우측면, 후면의 전신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격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객의 체중 및 체형을 구체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COORDINATION OPERATION SYSTEM DE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사업장(ex, 뷰티 샵)을 방문한 고객 중 토탈 룩 서비스를 원하는 대상 고객에게 최적의 코디 연출방안을 제공하며, 고객은 코디 연출에 제안된 상품을 온라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패션과 뷰티 관련 서비스 및 제품은 옷차림이나 장신구, 신체 외모 등의 외적인 것들로, 이는 대인관계에서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사회생활의 상호 작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미친다. 특히 이성에 대한 관심과 사회인으로서의 긍정적인 이미지 연출이 필요한 여성들에게 패션과 뷰티 관련 서비스 및 제품은 개성 있고 호감 가는 외모를 가꾸는 수단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들에게 있어 패션과 뷰티는 서로 하나로 작용하는 이른바 토탈 룩(Total look)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다. 즉 이러한 토탈 룩 개념은 화장/메이크업/피부관리 및 헤어 관리 등으로 구분되는 뷰티산업과 의류, 신발, 모자, 악세사리 등의 패션 산업의 경계를 허물어 패션과 뷰티를 하나로 융합시킨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토탈 룩 개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에도 뷰티와 패션을 별개의 산업분야로 인식하고 있어 여전히 뷰티 관련 사업장과 패션 관련 사업장들은 엄격이 구분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들 사업장에서 일하는 패션스타일리스트와 뷰티스타일리스트들도 완전히 다르게 구분되고 평가,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현재 토탈 룩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사업장이 전무한 실정이라 단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근래 들어 인터넷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뷰티 및 패션과 관련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공간에서의 간접 체험을 위해 다양한 시뮬레이션이 제공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역시도 뷰티 관련 전자상거래와 패션 관련 전자상거래로 구분되어 있고, 따라서 여성들이 요구하는 토탈 룩 개념의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외에도, 아바타를 이용하여 패션 자문이나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고객이 자신의 신체 사이즈를 3차원 형태로 측정하고 서비스 업체는 이를 이용하여 아바타를 형성한 후 고객이 만족할 만한 수준까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코디네이션을 해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아바타를 이용한 패션 자문은 인터넷 매체에서 운영중인 인터넷 사이트들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안들은 패션이론에 근거한 체계적인 자문이나 서비스가 아니고 고객이 선택한 날씨나 자신의 취향, 면접, 야유회, 결혼 등과 같은 특정한 상황에 맞춰 입력된 획일화, 공식화된 자문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또한, 단순히 사용자들이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의류상품들을 가상의 캐릭터에 적용하여 사용자 자신의 대리 만족이나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그렇기에 고객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만족도가 매우 낮아서 이용고객들은 대부분 1회 서비스만 이용하고 추후 이를 다시 이용하지 않고 있다. 또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개인인 고객이 현실적으로 보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는 장비를 임차하거나 사용료를 지불하고 자신의 신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소도 없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토탈 룩 서비스의 확산이 쉽지 않았고 이를 사업화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등록특허 10-041361호(2003. 12. 18.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한 곳의 사업장에서 뷰티와 패션을 복합, 융합시켜 고객에게 토탈 룩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도록 한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탈 룩 서비스를 제공받은 고객이 필요에 따라 패션과 관련된 코디 제품을 직접 구매 가능하도록 하여 사업장의 매출 및 수익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객 체형을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개발하고 필요에 따라 사업장에 임차 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업자의 초기 투자비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은 물론 측정장치의 개발자 또는 제공자는 임차로 인한 소득 증대를 기대하는 목적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에 고객의 체중 및 사진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체형측정장치; 상기 체형측정장치를 제어하고, 고객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며, 고객에게 제안된 적어도 하나의 코디 연출방안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 상기 체중, 사진 및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체형, 헤어스타일, 라이프스타일, 패션이미지를 각각 분류한 후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의 코디 연출방안을 제안하는 서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체형측정장치는,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 상기 체중계와 일체로 구성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될 때 고객의 정면, 좌/우측면, 후면의 전신을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카메라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격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형측정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격자판의 상단에 롤(roll) 형태로 감겨져있는 스크린; 그리고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설치된 자연광 LED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의 얼굴을 촬영할 때에만 상기 카메라는 승강하면서 줌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크린은 격자판의 전면 일부에 펼쳐지며, 상기 자연광 LED는 온 동작하게 된다.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체형, 헤어스타일, 라이프스타일, 패션이미지를 분류하도록 3D 이미지 생성부 및 입력정보처리부가 구성된 분류 특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형 및 헤어스타일은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가 제공하는 정보에 의해 분류되고, 상기 라이프스타일과 패션이미지는 상기 입력정보처리부가 처리하는 정보에 의해 분류된다.
상기 체형은 상기 3D 이미지 이외에 고객의 체질량지수를 더 참조하여 분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서버장치로 상기 코디 연출 방안과 관련된 코디 제품을 제공하는 공급업체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급업체 단말장치는 각각의 코디 제품을 미리 정해진 전산코드로 상기 서버장치에 등록하고,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분류 특성부에 의해 분류된 정보와 대응하는 전산코드를 선택하여 코디 제품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에 의하면, 뷰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에 체형측정장치를 설치하고, 코디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사진촬영 및 신상정보를 입력하도록 한 후, 이를 분석하여 고객이 원하는 코디 연출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뷰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은 뷰티 서비스를 통한 매출 및 수익 창출은 물론 코디와 관련된 제품을 판매할 수 있어 추가적인 매출 및 수익 증대가 기대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고객의 체형측정을 고객의 사진뿐만 아니라 체질량지수를 함께 적용하기 때문에 체형을 더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어 고객별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이미지 메이킹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객은 한 곳의 사업장에서 뷰티 및 코디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받을 수 있어 종래보다 편리하게 토탈 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도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장에 고객의 체형을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고객은 고가의 신체 스캐너나 3차원으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구입, 임차할 필요 없이 사업장을 방문하는 것만으로 토탈 룩 서비스를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측정장치 관리자는 이를 임대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구성 중 서버장치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은 뷰티 사업장에 마련된 체형측정장치를 포함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디네이션 운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고객의 코디 연출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촬영된 고객의 얼굴 사진 예시도
도 6은 체형 분류의 예시도
도 7은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라이프 스타일 및 패션 이미지를 분류한 예시도
도 8은 분류 항목별로 전산 코드화 작업의 예시도
도 9는 고객에게 제안된 모든 코디 제품들에 대한 전산 코드의 예시도
도 10은 단말장치에 고객에게 제안된 코디 연출 방안을 화면 표시하고 있는 예시도
본 발명은 뷰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에 체형측정장치 및 단말장치를 설치하고 토탈 룩 서비스를 희망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고객의 신체적 특성 및 조건에 맞는 최적의 코디 연출방안을 안출하여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고객은 자신의 코디 안에 적용된 패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뷰티산업과 패션산업을 융합시켜 토탈 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은 뷰티 사업장(100) 및 헤어 사업장(110)과(이하에서는 뷰티 사업장만을 대상으로 설명함), 이들 사업장(100)(110)에 있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장치(200), 그리고 패션 관련 제품을 제공하는 공급업체 단말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서버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뷰티 사업장(100)과 네트워크 연결된 상태에서,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서버장치(200)의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구성 중 서버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디네이션과 관련된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부(210)가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 모듈부(210)에는 특성 분류부(220)가 탑재되어 고객의 측정정보 및 신상정보를 기초로 하여 고객의 체형/헤어스타일/라이프스타일/패션이미지 등을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고객의 측정정보는 상기 뷰티 사업장(100)에 마련된 체형측정장치(300, 도 3 참조)를 이용하여 고객을 측정한 데이터를 말하고, 신상정보는 고객이 뷰티 사업장에 마련된 단말장치(370, 도 3 참조)를 사용하여 입력한 데이터를 말한다.
특성 분류부(220)는 통상 소정 언어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말한다. 그리고 특성 분류부(220)에는 3D 이미지 생성부(222)가 더 구성된다. 3D 이미지 생성부(222)는, 체형측정장치(300)가 촬영한 고객의 이미지 정보, 즉 정면, 측면, 후면 사진들을 참조하여 고객의 3D 신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3D 신체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체형 분류부(222a) 및 헤어스타일 분류부(222b)는 고객의 체형 및 헤어스타일을 분류하게 된다. 또한, 특성 분류부(220)에는 입력정보 처리부(224)도 구성된다. 입력정보 처리부(224)는 고객이 직접 입력한 자신의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 패션이미지를 분류하는데 이를 위해 라이프 스타일 분류부(224a)와 패션이미지 분류부(224b)가 구비된다.
서버장치(200)에는 상기 측정정보 및 입력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코디 안을 마련하는 코디네이션 처리부(230)가 구성된다. 이를 위해 코디네이션 처리부(230)에는 조건 선택부(232)와 코디 제품 선택부(234)가 포함된다. 조건 선택부(232)는 특성 분류부(220)에 의해 분류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코디 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체질량 지수(즉, BMI 지수) 정보가 더 이용된다. 체질량 지수는 체중(kg)과 키(m)을 이용하여 저체중(18.5 미만), 정상(18.5~22.9), 과체중(23~24.9), 중도비만(25 ~ 30), 고도 비만(30 이상)으로 분류하는 것으로서, 이는 고객의 체형정보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코디 제품 선택부(234)는 특성 분류부(220)가 분류한 정보에 따라 코디 제품(예를 들어 상의, 바지, 코트, 모자, 신발, 벨트, 핸드백, 액세서리 등)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코디 제품 선택부(234)는 고객의 체형 및 패션 이미지, 라이프 스타일 등으로 분류된 전산화 코드와 대응하는 코디 제품을 선택할 것이다. 전산화 코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서버장치(200)에는 코디네이션 처리부(230)가 선택한 코디 제품을 고객의 3D 신체형상에 적용하여 단말장치(370)에 디스플레이하고, 고객별 스타일링 리포트를 제공하며, 코디 제품의 제안 및 판매를 담당하는 솔루션 디스플레이부(240)가 구성된다.
도 3a 및 도 3b은 뷰티 사업장에 마련된 체형측정장치(300)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를 살펴보면 체중계(310)가 구성된다. 체중계(310)는 고객이 서있게 되는 원형의 회전판(312)과, 회전판(312)의 하측에 마련되어 회전판(312)을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스텝핑 모터(314)와 감속기(316)를 포함하여, 회전판(312)을 소정 속도 및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고객 체중을 측정하는 측정모듈(도면 미도시)은 회전판(312) 내에 장착되거나 그 하중을 전부 받게 되는 회전판(312)의 하방향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체중계(310)는 유/무선 방식에 의해 고객 체중 정보를 사업장용 단말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체중계(310)를 기준으로 일 측 방향에는 격자판(320)이 설치되고 격자판(320)의 상측에는 스크린(330)이 롤(roll) 형태로 감겨져서 제공된다. 이러한 격자판(320)은 고객의 신체 부위별 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격자판(320)의 각 격자의 길이와 면적을 계산하면 키, 가슴둘레, 허리, 힙, 상체 길이, 하체 길이, 목 길이, 팔 길이, 다리 길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330)은 배경색이 흰색으로서 고객 얼굴을 더 정밀하게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평상시 스크린(330)은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상태로 격자판(3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사용시에는 스크린(330)의 전면 일부에 펼쳐지게 된다.
격자판(320)과 마주보는 방향에는 카메라(340)가 설치된다. 카메라(340)는 회전판(312)이 일 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하기 시작하면 고객 신체를 정면, 측면, 후면을 촬영하게 된다. 카메라(340)는 하측에 마련된 유압실린더(35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는 고객의 전신을 촬영하거나 고객의 얼굴만을 촬영할 필요가 있고, 또한 고객의 키에 따라 높이를 달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카메라(340)가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상승하는 경우 스크린(330)이 펼쳐지거나 또는 스크린(330)이 펼쳐지면 카메라(340)가 상승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별도의 조작 없이 카메라(340) 또는 스크린(330)이 동작하면 이와 대응하여 스크린(330) 또는 카메라(340)가 구동하는 것이다.
고객 얼굴의 촬영시 사실감, 현장감 및 자연스러움을 표현할 수 있도록 고객의 전방 상측에는 자연광 LED(360)가 설치된다. 자연광 LED(360) 역시 카메라(340) 및 스크린(330)의 동작과 대응하여 동작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체형측정장치(3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사업자용 단말장치(370)가 마련된다. 단말장치(370)는 상기 체중계(310), 스크린(330), 카메라(340), 자연광 LED(360) 등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고객이 신상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정보 입력항목을 표시하고, 입력된 정보를 서버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버장치(200)에 의해 제안된 적어도 하나의 코디 안을 화면 표시하고, 구매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제공하는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소정 사업장, 즉 뷰티 샵, 헤어 샵 및 마사지 샵 등을 방문한 후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추가로 토탈 룩 서비스(즉, 코디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에 맞는 코디 안을 제안받는 것이다. 물론 고객은 뷰티 샵을 방문한 후 뷰티와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받지 않고 코디 서비스만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서는 이러한 코디네이션 운영방법을 도 4 및 첨부된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고객이 뷰티 샵을 방문하고, 그 뷰티 샵에서 제공하는 일련의 뷰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S100). 뷰티 서비스는 헤어, 마사지와 같이 미용과 관련된 서비스를 말할 수 있으며, 더욱이 뷰티 서비스는 코디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로 확대할 수 있다.
고객은 뷰티 서비스를 받으면서 코디 서비스를 받을지 선택한다(S110). 선택결과 고객이 뷰티 샵에서 코디 서비스(즉 토탈 룩 서비스)를 요청하면 코디네이션 운영 시스템(200)이 동작한다(S120). 물론 고객이 뷰티 샵을 방문한 상태에서 뷰티 서비스는 이용하지 않고 바로 코디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200)의 동작에 따라 고객은 코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200)에 고객의 체형정보 및 신상정보가 미리 제공되어야 한다. 물론 회원 DB(미도시)에 고객의 체형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으나, 체형정보 즉 헤어스타일이나 화장의 정도는 매일 달라질 수 있고 패션 정보나 라이프스타일도 뷰티 샵을 방문할 때마다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매번 입력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고객의 체형정보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체형측정장치(300)를 이용하게 된다. 먼저, 고객이 체중계에 올라서면 체중계(310)는 고객의 체중 정보를 사업장용 단말장치(370)로 전송한다.
또한, 고객이 체중계(310)에 올라서게 되면 단말장치(370)는 스텝핑 모터(314)를 제어하여 회전판(312)을 일정 각도씩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판(312)이 회전하게 되면 단말장치(370)는 카메라(340)를 구동시켜서 고객의 전신사진을 촬영하도록 한다(S122). 이때 회전판(312)은 계속 회전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일 측에 고정된 카메라는 고객의 정면, 측면, 후면이 촬영되도록 회전판(312)의 회전속도에 맞춰 촬영을 하게 된다. 고객의 전신 촬영시 그 배경화면은 격자판(320)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후에 격자의 길이와 면적을 계산하면 고객의 키, 가슴둘레, 허리, 힙, 상체길이, 하체길이, 목 길이, 팔 길이, 다리 길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의 전신에 대하여 촬영이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얼굴 정보를 촬영하는 것은 고객의 피부상태, 피부색깔 등에 대한 정보도 고려하여 가장 최적의 코디네이션을 제안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얼굴 촬영을 위해 단말장치(370)는 유압 실린더(350)를 구동시켜 카메라(340)를 고객의 얼굴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는 이전에 고객의 전신 정보를 촬영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340)가 상승하면 단말장치(370)는 격자판(320)에 함께 설치된 스크린(330)을 펼치도록 한다. 스크린(330)은 그 배경이 흰색으로 고객의 얼굴 정보를 더 세밀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자연광 LED(360)를 온 시킨다. 이렇게 카메라(340)가 상승하고 고객의 배경화면이 흰색의 스크린(330)으로 펼쳐지고 자연광 LED(360)가 온 구동되면, 단말장치(370)는 카메라(340)를 구동시켜 고객의 얼굴 사진을 촬영한다.
체형측정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체형정보는 다음에 처리되는 고객의 신상정보와 함께 서버장치(200)로 전송된다. 고객의 신상정보는 고객이 뷰티 사업장 내에 마련된 사업장용 단말장치(370)를 조작하여 입력한다(S124). 신상정보의 예는 다음 표 1과 같다. 다만, 입력 예의 정보는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고객 신상정보 입력
1. 성명
2. 성별 [남, 여]
3. 나이
4. 직업
5. 취미
6. 패션 취향
7. 선호 컬러
8. 구매 용도
9. 희망 가격대
서버장치(200)는 체형정보 및 신상정보를 입력받으면(S130), 체형정보, 퍼스널 컬러정보, 라이프스타일정보, 패션이미지정보마다 그 고객이 어떤 형태에 속하는지 분류하게 된다(S140). 이때 체형정보는 고객의 체형과 퍼스널 컬러정보를 분류하는데 사용되고, 신상정보는 라이프스타일과 패션 이미지를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D 이미지 생성부(222)의 체형 분류부(222a)는 고객 전신을 촬영한 사진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3D 신체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3D 신체 영상은 상기 촬영된 사진정보가 격자판을 배경으로 촬영되었기 때문에, 사진이 차지하는 길이와 면적을 스캐닝하여 각 신체 부위별 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하면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래서 정확한 체형분류와 신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는 고객의 체질량지수를 산출, 이용한다. 즉, 체형 분류시 각 체형 별로 뚱뚱한 사람, 정상적인 사람, 마른 사람 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3D 이미지와 체질량지수를 함께 적용하기 때문에 고객의 정확한 체형 분류가 가능하다. 이렇게 체형 분류의 예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보면 고객의 전신 사진정보와 BMI 지수를 이용하여 고객의 체형 상태를 8개로 분류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예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더 세부적으로 체형을 분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헤어 스타일 분류부(222b)는 고객의 얼굴사진을 이용하여 헤어스타일 및 퍼스널 컬러를 분류한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분류부(224a) 및 패션이미지 분류부(224b)가 상기 신상정보를 통해 라이프 스타일 및 패션 이미지를 분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프 스타일은 고객이 입력한 정보들 중 나이, 직업, 성격, 취미, 생활 수준 등의 정보를 근거로 분류하고, 상기 패션 이미지는 패션 취향, 옷의 구입목적 및 용도를 근거로 일치하는 이미지를 찾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한다.
이와 같이 특성 분류부(220)에 의해 분류된 정보들은 코디네이션 처리부(230)가 전달받는다. 그리고 코디네이션 처리부(230)는 상기 분류된 정보에 맞게 고객에게 최적 제품을 제안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50). 이때 코디네이션 처리부(230)는 분류 항목별로 미리 셋팅된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제품을 제안하게 된다. 이는 코디 공급업체가 공급하는 모든 제품들을 서버장치(200)에 등록할 때 세부 전산코드를 함께 입력하여 등록시키기 때문이다. 분류 항목별로 전산 코드화 작업의 예는 도 8에 나타내고 있고, 고객에게 제안되는 모든 코디 제품들에 대한 전산 코드의 예는 도 9에 나타내었다. 즉, 코디네이션 처리부(230)가 코디 안을 제안하는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고객 체형- 역삼각형', '라이프 스타일- 교육자', '패션이미지-모던', '나이-40대', '성별-여자'라고 가정하면 전산코드화 작업방법에 따라 'A-3', 'B-3', 'C-1', 'D-4'의 전산코드가 부여되며, 코디네이션 처리부(230)의 조건 선택부(232)는 기 등록된 코디 제품들 중 분류 항목별 세부 전산코드와 일치되는 제품들만 선별하며, 코디 제품 선택부(234)는 조건 선택부(232)가 보낸 코디 제품들을 조합하여 코디 종류별로 최적의 코디 안을 선별한다. 이때 코디 종류는 상의, 하의, 코트, 모자, 신발, 가방, 머플러, 액세서리 등이 포함되며, 또한 코디 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고객에게 제안될 최적의 코디 안이 하나 이상 결정되면, 솔루션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코디 안을 상기 사업장용 단말장치(370)로 전송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표시되게 한다(S160). 이때 코디 안은 고객의 3D 이미지에 착용한 상태가 된다. 아울러, 솔루션 디스플레이부(240)는 측정된 체형정보, 헤어스타일, 패션이미지, 라이트 스타일 등의 결과에 대한 스타일링 리포트와 코디 안에 따른 코디 종류별 제품들에 대한 상세한 상품 설명 및 가격 제안서를 화면 표시하거나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여 제공한다(S170).
한편, 고객은 현재 사업장용 단말장치(370)에 화면 표시된 코디 안을 만족할 경우 해당 제품들을 직접 구매할 수도 있다(S180). 이때 고객은 구매를 원하는 코디 제품을 선택하는데, 그럴 경우 그 코디 제품에 대한 가격정보가 동시 또는 단계적으로 제공된다. 그래서 고객은 가격 대비 임의의 코디 제품을 상호 비교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코디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실제 선택된 코디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구매 정보는 해당하는 공급업체 단말장치(400)로 전송된다. 이후의 구매 과정 및 절차는 일반적인 전자 상거래에 따라 진행된다(S19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뷰티 샵과 같은 사업장에 고객에게 코디 연출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체형측정장치 등을 구비하여 운영함으로써, 뷰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이 동일 장소에서 패션과 관련된 코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토탈 룩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서버장치 210: 제어 모듈부
220: 특성 분류부 222: 3D 이미지 생성부
224: 입력정보 처리부 230: 코디네이션 처리부
232: 조건 처리부 234: 코디 제품 선택부
240: 솔루션 디스플레이부 300: 체형측정장치
310: 체중계 312: 회전판
314: 모터 320: 격자판
330: 스크린 340: 카메라
350: 유압 실린더 360: 자연광 LED(조명장치)
370: 단말장치 400: 공급업체 단말장치

Claims (6)

  1.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에 고객의 체중 및 사진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체형측정장치;
    상기 체형측정장치를 제어하고, 고객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며, 고객에게 제안된 적어도 하나의 코디 연출방안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
    상기 체중, 사진 및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체형, 헤어스타일, 라이프스타일, 패션이미지를 각각 분류한 후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의 코디 연출방안을 제안하는 서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형측정장치는,
    고객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
    상기 체중계와 일체로 구성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될 때 고객의 정면, 좌/우측면, 후면의 전신을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카메라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격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형측정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격자판의 상단에 롤(roll) 형태로 감겨져있는 스크린; 그리고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설치된 자연광 LED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의 얼굴을 촬영할 시점에만 상기 카메라는 승강하면서 줌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크린은 격자판의 전면 일부에 펼쳐지며, 상기 자연광 LED는 온 동작하게 되는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체형, 헤어스타일, 라이프스타일, 패션이미지를 분류하도록 3D 이미지 생성부 및 입력정보처리부가 구성된 분류 특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형 및 헤어스타일은 상기 3D 이미지 생성부가 제공하는 정보에 의해 분류되고,
    상기 라이프스타일과 패션이미지는 상기 입력정보처리부가 처리하는 정보에 의해 분류되는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형은 상기 3D 이미지 이외에 고객의 체질량지수를 더 참조하여 분류되는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장치로 상기 코디 연출 방안과 관련된 코디 제품을 제공하는 공급업체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급업체 단말장치는 각각의 코디 제품을 미리 정해진 전산코드로 상기 서버장치에 등록하고,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분류 특성부에 의해 분류된 정보와 대응하는 전산코드를 선택하여 코디 제품을 제공하는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KR1020160004309A 2016-01-13 2016-01-13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KR20170084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309A KR20170084901A (ko) 2016-01-13 2016-01-13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309A KR20170084901A (ko) 2016-01-13 2016-01-13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901A true KR20170084901A (ko) 2017-07-21

Family

ID=5946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309A KR20170084901A (ko) 2016-01-13 2016-01-13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49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9593A (zh) * 2019-10-12 2020-03-24 浙江理工大学 一种基于轮廓特征的体型分类方法及其配套的旋转式拍摄装置
KR102093450B1 (ko) * 2018-12-31 2020-03-25 주식회사 디쓰리디 원단의 물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104063B1 (ko) * 2019-06-05 2020-04-23 서영용 패션 스타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450B1 (ko) * 2018-12-31 2020-03-25 주식회사 디쓰리디 원단의 물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104063B1 (ko) * 2019-06-05 2020-04-23 서영용 패션 스타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909593A (zh) * 2019-10-12 2020-03-24 浙江理工大学 一种基于轮廓特征的体型分类方法及其配套的旋转式拍摄装置
CN110909593B (zh) * 2019-10-12 2023-09-19 浙江理工大学 一种基于轮廓特征的体型分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32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virtual fitting room
JP7268089B2 (ja) 自動ショッピングアシスタントを使用したパーソナライズショッピ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方法
US20190228448A1 (en)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 Virtual Shopping Assistant
US20110184831A1 (en) An item recommendation system
KR101513151B1 (ko) 3d 아바타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23970A (ko) 가상 피팅 지원 시스템
KR20130027801A (ko)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스타일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JP6470438B1 (ja) ミラ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77012A1 (en)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n automated shopping assistant
US20160267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haring Online Images of Merchandise
JP2008108287A (ja) ファッションアドバイジングシステム
KR20170084901A (ko)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WO2003069526A1 (fr) Systeme de conseil dans le domaine de la mode
KR20010097554A (ko) 3차원 체형정보를 이용한 맞춤구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8996B1 (ko) 3차원 신체모형을 이용한 온라인쇼핑몰 시스템 제공방법및 장치
KR20150056731A (ko) 사용자의 인체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US11282132B2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generation and utilisation of three-dimensional body scan data
KR10043717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헤어 시뮬레이션 방법
KR101644172B1 (ko) 고객이 구매하여 제공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한 상품 판매 방법
KR100439070B1 (ko)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상에서 이루어지는 의류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1538B1 (ko) 아바타를 이용한 쇼핑물품 구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00329A (ko) 온라인 의류쇼핑시스템
KR20050114020A (ko) 가상착용서비스를 이용한 의류관련 상품 판매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0130A (ko) 온라인 의류쇼핑시스템
KR20020004754A (ko) 이용자에 의한 상품디자인과 어울림테스트를 가능케하는온라인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