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739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739A
KR20170083739A KR1020160002998A KR20160002998A KR20170083739A KR 20170083739 A KR20170083739 A KR 20170083739A KR 1020160002998 A KR1020160002998 A KR 1020160002998A KR 20160002998 A KR20160002998 A KR 20160002998A KR 20170083739 A KR20170083739 A KR 20170083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unit
cooktop assembly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188B1 (ko
Inventor
제지운
강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188B1/ko
Priority to EP17738615.8A priority patent/EP3404332A4/en
Priority to US16/066,510 priority patent/US11029033B2/en
Priority to PCT/KR2017/000327 priority patent/WO2017122986A1/ko
Publication of KR2017008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7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rames for openings, e.g. for windows, doors, hand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DENAMELLING OF, OR APPLYING A VITREOUS LAYER TO, METALS
    • C23D5/00Coating with enamels or vitreous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측면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쿡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쿡탑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er}
본 발명은 프레임의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조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되는 쿡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쿡탑 유닛은 인덕션 또는 가스렌지와 같은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위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븐은 쿡탑 유닛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쿡탑 유닛은, 프레임 및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측면 프레임 및 탑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 및 탑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은 SPP 소재에 법랑 코팅이 이루어져 구비될 수 있다. 법랑 코팅은 탑 프레임의 상부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법랑 코팅은 탑 프레임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 프레임의 외측면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에 법랑 코팅이 이루어짐으로써,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법랑 코팅층이 구비됨으로써 쿡탑 유닛의 외측을 청소하기가 수월해질 수 있다.
종래의 쿡탑 유닛에 구비되는 측면 프레임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소재의 시트에 노칭(notching) 가공을 하여 프레임의 테두리 윤곽을 잡고, 드로잉(drawing) 가공을 통해 프레임의 단차 부분 등이 형성되도록 눌러서 늘리는 작업을 거쳤다. 또한 피어싱(piercing) 가공을 통해 체결부재 등이 통과할 부분에 홀을 형성하고, 벤딩(bending) 가공을 통해 플랜지 등이 형성될 수 있었다.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대형화된 금형이 필요하다. 또한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연신율이 높은 고가의 재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프레임의 제조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을 제조하는 금형을 소형화시킬 수 있고, 연신율이 낮은 소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이 제조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쿡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쿡탑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구비된다.
상기 측면부는, 상기 쿡탑 어셈블리의 전면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쿡탑 어셈블리의 후면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벤딩된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전면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 및 두 개의 측면은 하나의 프레임이 벤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는 플랜지와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의 단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의해 가열원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의 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플랜지는 용접 결합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과 결합된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은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상기 제1프레임에서 모서리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절단 가공, 벤딩 가공, 피어싱 가공 및 접합 가공을 거쳐 상기 측면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은 SUS 430 소재로 구비된다.
상기 측면부는 금속 소재로 구비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는 법랑 코팅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오븐; 상기 오븐의 상부에 위치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쿡탑 어셈블리; 및 상기 쿡탑 어셈블리의 일측에 위치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쿡탑 어셈블리는, 복수의 프레임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측면부 및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 복수의 시트가 절단, 벤딩, 피어싱 가공되어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서로 용접 결합되어 측면부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은 SUS 430 소재로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측면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시트가 벤딩되어 플랜지가 구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시트가 프레임의 형태로 벤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하부에 오븐(10)이 구비되고, 상부에 쿡탑 어셈블리(40)가 구비될 수 있다. 쿡탑 어셈블리(40)는 오븐(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오븐(10)은 음식물이 위치되는 조리실(20)이 형성되는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에는 음식물이 위치되어 열대류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다. 조리실(20)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는 본체(10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어(30)는 힌지 결합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실(20)을 개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30)의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윈도우(30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30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에 위치된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300)는 내열성이 강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에는 손잡이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1)를 잡고 도어(30)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도어(30)의 측면 일부에 홈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조리실(20)의 하부에는 음식물 또는 식기류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부(320)가 형성된 서랍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서랍부(32)는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 내에는 서랍부(32)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에 의해 서랍부(32)가 가열되어 수용부(320) 내에 위치된 음식물 또는 식기류 등이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는 조리실(20)의 하부에 서랍부(32)가 구비되는 조리기기(1)가 개시되었으나, 서랍부(32)가 구비되지 않고 본체(10) 내부 공간 전체가 조리실(20)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오븐(10)의 상부에는 쿡탑 어셈블리(40)가 위치될 수 있다. 쿡탑 어셈블리(40)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는 가열원이 구비될 수 있다. 쿡탑 어셈블리(40)는 가스렌지 또는 인덕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열원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쿡탑 어셈블리(40)의 상부면에 위치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쿡탑 어셈블리(40)가 인덕션으로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쿡탑 어셈블리(40)에는 조리영역(44)이 구비될 수 있다.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용기는 조리영역(44) 내에 위치되어 직접 가열될 수 있다. 조리영역(44)에는 코일이 복수 회 권선되어 구비되는 가열원이 위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쿡탑 어셈블리(4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41,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1,42)의 상부에는 탑 플레이트(43)가 안착될 수 있다. 가열원은 프레임(41,42)과 탑 플레이트(4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43)에는 조리영역(44)이 표시되고, 가열원은 조리영역(44)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41,42)은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41,42)은 단일한 시트(sheet)가 가공되어 일체로 제조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시트가 가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41,42)으로 제조되는 시트들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시트들일 수 있다. 프레임(41,42)으로 제조되는 시트의 형상 및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프레임(41,42)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시트들이 가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41,42)은 드로잉(drawing) 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연신율이 높은 고가의 재료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즉, 프레임(41,42)으로 가공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은 연신율이 크지 않고 가격이 낮은 소재일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41,42)은 SUS 430 소재의 시트가 가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SUS 430은, 페라이트계의 스테인레스 스틸로서, 부식되거나 크랙을 일으키지 않고 내식성이 좋아 건축내장, 주방용품, 자동차 부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이다.
종래의 경우, 단일한 시트가 드로잉 가공, 노칭 가공, 피어싱 가공, 벤딩 가공 등을 거쳐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조되었다. 이러한 경우, 가열원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되는 중간 부분은 절개되어 분리되므로 재료의 낭비가 된다.
드로잉 가공을 거치게 되는 경우, 연신율이 높은 소재로 제조되는 시트가 사용되어야 한다. 연신율이 높지 않은 소재로 제조되는 시트는 드로잉 가공 중 찢어지는 등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연신율이 높은 소재로 제조되는 시트의 가격은 연신율이 낮은 소재에 비해 가격이 높다.
일례로 종래의 프레임은 SUS 304 소재의 시트가 가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SUS 304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스틸로서, 연신율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고 내식성, 용접성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SUS 430보다 부식성이 높고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단점이 있다.
SUS 304 소재로 구비되는 시트는 연신율이 높아 드로잉 가공이 용이하지만,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연신율이 낮은 SUS 430 소재로 구비되는 시트의 경우, 드로잉 가공시 모서리가 찢어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가 쉽다.
본 발명의 경우, 프레임(41,42)의 제조시, 드로잉 가공을 거치지 않으므로 연신율이 높은 고가의 재료를 요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시트들이 각각 프레임(41,42)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제조됨으로써 재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제조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드로잉 가공을 위한 대형화된 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환경의 공간 활용에 유리하고, 고가의 금형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금형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쿡탑 어셈블리(40)의 후방에는 컨트롤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4,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15)은, 컨트롤 유닛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14) 및 컨트롤 유닛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4)은 컨트롤 유닛의 측면과 후면을 커버하고, 제2하우징(15)은 컨트롤 유닛의 전면과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4,15)의 형상은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트롤 유닛은, 조리기기(1)의 동작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 사용자가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조작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13)는 버튼(12) 또는 놉(13:knob)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오븐(10)을 온/오프 시키는 동작 또는 오븐(10)의 온도, 동작 시간 등은 버튼(12)에 의해 이루어지고, 쿡탑 어셈블리(40)의 동작은 놉(1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부(12,13)의 형태 및 동작을 조작하는 수단은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리기기(1)의 사용 중, 컨트롤 유닛의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제2하우징(15)은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15)은 쿡탑 어셈블리(40)에 구비되는 프레임(41,42)과 별개의 독립된 구성으로 구비되어 필요한 경우 제2하우징(15)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2하우징(15)은 프레임(41,42)과 동일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에 구비되는 손잡이부(31)도 프레임(41,42)과 동일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하우징(15), 프레임(41,42), 프레임(41,42)이 동일한 스테인레스 소재로 구비됨으로써 조리기기(1)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쿡탑 어셈블리(40)에 구비되는 프레임이 고가의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제조되므로, 컨트롤 유닛에 구비되는 전면 하우징, 손잡이부 등이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는 경우 제조 비용이 많이 높아질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종래에 비해 저가의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제2하우징(15), 손잡이부(31), 프레임(41,42)이 구비되므로, 종래보다 적은 비용으로 조리기기(1)의 고급스러운 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쿡탑 어셈블리(40)에 구비되는 프레임(41,42)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 어셈블리(40)의 프레임(41,42)은 적어도 두 개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 개의 시트(41a, 42a)를 이용하여 프레임(41,42)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프레임(41)으로 가공될 시트를 제1유닛(41a)이라 하고, 제2프레임(41)으로 가공될 시트를 제2유닛(42a)이라 할 수 있다.
제1유닛(41a), 제2유닛(42a)는, 쿡탑 어셈블리(40)의 전방 및 측방에 위치한 제1프레임(41)으로 제조되는 제1유닛(41a) 및 후방에 위치한 제2프레임(42)으로 제조되는 제2유닛(42a)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닛(41a)은 쿡탑 어셈블리(40)의 전방 좌우 방향의 길이, 양쪽 측방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합한 것보다 다소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유닛(42a)은 쿡탑 어셈블리(40)의 후방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닛(41a) 및 제2유닛(42a)은 구부러질 수 있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유닛(41a) 및 제2유닛(42a)은 SUS 430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닛(41a) 및 제2유닛(42a)의 소재는 SUS 430 소재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에서는 제1유닛(41a) 및 제2유닛(42a)의 소재가 SUS 430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유닛(41a)은 제1프레임(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두리 부분이 절단 가공될 수 있다. 제1유닛(41a)은, 조리기기(1)의 본체(100), 제2프레임(42) 등과의 결합을 위해 플랜지가 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 면적을 갖도록 절단 가공될 수 있다. 제1유닛(41a)의 벤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1프레임(41)의 전방과 측방의 모서리가 될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더 좁은 폭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제2유닛(42a)은 제2프레임(4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두리 부분이 절단 가공될 수 있다. 제2프레임(42)은, 조리기기(1)의 본체(100), 제1프레임(41) 및 컨트롤 유닛의 제1하우징(14) 등과의 결합을 위해 플랜지가 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 면적을 갖도록 절단 가공될 수 있다.
제1유닛(41a)과 제2유닛(42a)은 테두리의 절단 가공과 함께 체결부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홀 등이 피어싱 가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시트가 벤딩되어 플랜지가 구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유닛(41a) 및 제2유닛(42a)이 절단 가공된 후, 제1유닛(41a) 및 제2유닛(42a)의 테두리 부분은 플랜지(410,4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벤딩될 수 있다. 제1유닛(41b)에는 제1플랜지(410)가 형성되고, 제2유닛(42b)에는 제2플랜지(4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시트가 프레임의 형태로 벤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유닛(41b)는 제1프레임(41)의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제1유닛(41b)의 일측 및 타측은 서로 마주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벤딩된 제1유닛(41c)은 제1프레임(41)의 전방 및 양쪽 측방에 위치된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제1유닛(41c)은 전면(411) 및 전면(411)으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되는 측면(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면과 측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닛(42c)의 일측에 위치한 양쪽 단부는 일방향으로 벤딩되어 제1유닛(41c)과 결합되는 제2플랜지(420)가 형성되고, 제2유닛(42c)의 타측에는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보이도록 상부로 세워진 연결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벤딩 가공을 통해 제1유닛(41c)은 제1프레임(41)의 형상과 유사하게 구비되고, 제2유닛(42c)은 제2프레임(42)의 향상과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유닛(41c)의 양쪽 측면(412)의 단부와 제2유닛(41c)의 제2플랜지(420)는 서로 접합가공될 수 있다. 제1유닛(41c)의 양쪽 측면(412)의 단부와 제2유닛(41c)의 제2플랜지(420)는 용접될 수 있다. 용접이 이루어진 후, 제1유닛(41c)과 제2유닛(42c)의 결합 부분(A)이 매끈해지도록 버프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유닛(41c)과 제2유닛(42c)의 결합은 용접 가공뿐만 아니라 접착제 등에 의한 결합, 체결부재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유닛(41c)과 제2유닛(42c)이 결합됨으로써, 쿡탑 어셈블리(40)의 프레임(41,4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41,42) 내에는 가열원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40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41,42)의 전면(411) 및 전면(411)으로부터 절곡된 양쪽 측면(412)이 구비되고, 후방에 위치한 후면(421)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41,42)은 후면(421)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연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22)는, 조리기기(1)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유닛의 제2하우징(15)과 연결되어 보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쿡탑 어셈블리(40)에 구비되는 프레임(41,42)은 적어도 두 개의 시트를 이용하여 구비됨으로써, 가열원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되어 버리는 시트가 없도록 하여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드로잉 가공을 거치지 않고 프레임(41,42)이 제조되므로, 드로잉 가공을 위한 거대한 금형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장의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금형을 구비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연신율이 작은 SUS 430과 같은 재료를 이용해서 프레임(41,42)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41,42)의 제조를 위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쿡탑 어셈블리(40)의 프레임(41,42)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제조되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조리기기(1)의 고급스러운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쿡탑 어셈블리의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시트가 각각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가공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5에 개시된 쿡탑 어셈블리(40)의 프레임(41,42)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6에 개시된 제2프레임은, 컨트롤 유닛에 구비되는 전방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5에 개시된 프레임(41,42)과 상이하다.
도 6에 개시된 프레임은, 전면(431) 및 양쪽 측면(432)을 형성하는 제3프레임 및 후면(441) 및 컨트롤 유닛의 전면(443) 및 상부면(444)을 형성하는 제4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프레임에 대응되는 제3시트와 제4프레임에 대응되는 제4시트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단 가공될 수 있다. 절단 가공 후, 제3시트 및 제4시트는 체결부재 등이 관통할 수 있는 홀,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등이 장착될 수 있는 홀(445,446) 등이 형성되도록 피어싱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제3시트와 제4시트의 절단 가공이 완료된 후, 플랜지부가 형성되도록 벤딩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부가 형성된 제3시트 및 제4시트는, 벤딩될 수 있다.
제3시트는 벤딩되어 프레임의 전면 및 양쪽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4시트는 양쪽 단부가 결합되어 제3시트와 결합되는 결합부(440)가 마련되고, 일측이 절곡되어 연결부(442) 및 컨트롤 유닛의 전면(443) 및 상부면(444)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의 후면(441)과 컨트롤 유닛의 전면(443)은 연결부(44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442)는 컨트롤 유닛의 전면(443)보다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 프레임의 후면(441), 컨트롤 유닛(443)의 전면(443) 및 연결부(4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프레임의 측면(432)의 단부와 제4프레임의 결합부(440)는 용접되거나 접착제 또는 체결부재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용접 결합되는 경우, 결합부(440)와 제3프레임의 측면(432)의 단부가 연결된 부분(B)은, 버퍼 공정을 거쳐 하나의 평면이 되도록 표면을 매끈하게 할 수 있다. 제3프레임과 제4프레임이 결합되어, 가열원 등이 수용되는 공간(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쿡탑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시트를 이용하여 구비되므로 가열원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위해 절단될 시트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로잉 가공을 거치지 않으므로 금형에 필요한 비용 및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연신율이 작은 저렴한 재료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 프레임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구비되므로 조리기기(1)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조리기기 10: 오븐
11: 디스플레이부 12, 13: 조작부
14: 제1하우징 15: 제2하우징
20: 조리실 30: 도어
31: 손잡이부 32: 서랍
40: 쿡탑 어셈블리 41: 제1프레임
42: 제2프레임 43: 탑 플레이트
44: 조리영역 410: 제1플랜지
411: 전면 412: 측면
420: 제2플랜지 421: 후면
422: 연결부

Claims (18)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쿡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쿡탑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쿡탑 어셈블리의 전면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쿡탑 어셈블리의 후면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의 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플랜지는 용접 결합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구비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벤딩된 측면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전면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두 개의 측면은 하나의 프레임이 벤딩되어 구비되는 조리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는 플랜지와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의 단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의해 가열원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과 결합된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은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상기 제1프레임에서 모서리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절단 가공, 벤딩 가공, 피어싱 가공 및 접합 가공을 거쳐 상기 측면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SUS 430 소재로 구비되는 조리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 조리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법랑 코팅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14. 조리실이 형성되는 오븐;
    상기 오븐의 상부에 위치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쿡탑 어셈블리; 및
    상기 쿡탑 어셈블리의 일측에 위치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쿡탑 어셈블리는, 복수의 프레임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측면부 및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구비되는 조리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 복수의 시트가 절단, 벤딩, 피어싱 가공되어 구비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서로 용접 결합되어 측면부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SUS 430 소재로 구비되는 조리기기.
KR1020160002998A 2016-01-11 2016-01-11 조리기기 KR102502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998A KR102502188B1 (ko) 2016-01-11 2016-01-11 조리기기
EP17738615.8A EP3404332A4 (en) 2016-01-11 2017-01-10 COOKING APPARATUS
US16/066,510 US11029033B2 (en) 2016-01-11 2017-01-10 Cooker
PCT/KR2017/000327 WO2017122986A1 (ko) 2016-01-11 2017-01-10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998A KR102502188B1 (ko) 2016-01-11 2016-01-11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739A true KR20170083739A (ko) 2017-07-19
KR102502188B1 KR102502188B1 (ko) 2023-02-21

Family

ID=5931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998A KR102502188B1 (ko) 2016-01-11 2016-01-11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29033B2 (ko)
EP (1) EP3404332A4 (ko)
KR (1) KR102502188B1 (ko)
WO (1) WO2017122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3790B2 (en) * 2017-10-12 2022-12-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uction cooker
USD871823S1 (en) * 2018-01-02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range
CN109084342A (zh) * 2018-08-07 2018-12-25 合肥人和节能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可调节高度的电磁灶
US20220241516A1 (en) * 2019-06-20 2022-08-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US11536463B2 (en) 2019-08-30 2022-12-27 Whirlpool Corporation Cooktop with side frame members
USD951018S1 (en) * 2020-08-26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 oven
DE102022111162A1 (de) 2021-05-07 2022-11-10 Resonant Inc. Transversal angeregte akustische filmvolumenresonator-matrixfilter mit eingangs- und ausgangsimpedanzen, die an funkfrequenz-frontend-elemente angepasst si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201A (ja) * 1994-03-31 1995-10-17 Toshiba Home Technol Corp 調理器
KR100826701B1 (ko) * 2006-12-2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 프레임을 포함하는 오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16316A (ja) * 2008-03-11 2009-09-24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2522A (en) 1972-12-04 1974-02-19 Mercury Aircraft Inc Frame-making method
KR101121917B1 (ko) * 2004-12-28 2012-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DE102008042670B4 (de) * 2008-10-08 2021-06-02 BSH Hausgeräte GmbH Hausgeräterahmen
JP6137940B2 (ja) * 2013-05-20 2017-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9521708B2 (en) * 2014-01-10 2016-12-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range appliance
JP6441584B2 (ja) * 2014-04-17 2018-12-1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DE102014209955B4 (de) * 2014-05-26 2023-05-25 BSH Hausgeräte GmbH Rahmenelement für ein Kochfel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201A (ja) * 1994-03-31 1995-10-17 Toshiba Home Technol Corp 調理器
KR100826701B1 (ko) * 2006-12-2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 프레임을 포함하는 오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16316A (ja) * 2008-03-11 2009-09-24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03716A1 (en) 2019-01-03
US11029033B2 (en) 2021-06-08
EP3404332A1 (en) 2018-11-21
WO2017122986A1 (ko) 2017-07-20
KR102502188B1 (ko) 2023-02-21
EP3404332A4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3739A (ko) 조리기기
US9521708B2 (en) Oven range appliance
US9388990B2 (en) Metal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oking device using the metal panel
FR2813382A1 (fr) Plaque de verre ou de vitroceramique pourvue d'une bordure de protec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laque
US20070023029A1 (en) Doo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JP6162538B2 (ja) 加熱調理器
CN105686691A (zh) 一种多功能早餐机
JP3854959B2 (ja) ヒータを有する電気オーブン及び電子レンジ
JP2007078296A (ja) 加熱調理器
EP060651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amber, particularly for food processing, and a chamber obtained with said method
USD513684S1 (en) Backguard/control panel for a cooking appliance
USD468964S1 (en) Grate assembly for a gas cooking appliance
JP2011181323A (ja) 加熱調理器
EP2329199B1 (en) An oven with cooking chamber
KR100826701B1 (ko) 쿡탑 프레임을 포함하는 오븐 및 그 제조 방법
JPH0889417A (ja) フライパン
USD511936S1 (en) Oven door vent/handle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JP6144994B2 (ja) 加熱調理器
CN208709661U (zh) 具有改进的防烫把手的炊具
USD468159S1 (en) Oven vent cover for a cooking appliance
US11029036B2 (en) Interlocking door frame assembly for an appliance
CN109424995A (zh) 灶具、灶具的面板及其制造方法
CN202109550U (zh) 一种微波炉炉门
USD511935S1 (en) Backguard/control panel for a cooking appliance
JPH0880249A (ja) な 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