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853A - 기울기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Google Patents
기울기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2853A KR20170082853A KR1020160002120A KR20160002120A KR20170082853A KR 20170082853 A KR20170082853 A KR 20170082853A KR 1020160002120 A KR1020160002120 A KR 1020160002120A KR 20160002120 A KR20160002120 A KR 20160002120A KR 20170082853 A KR20170082853 A KR 201700828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
- information
- unit
- ground
- parall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고소작업차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안전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을 도모하도록 한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지면정보 획득수단, 획득한 지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에 의해 수신한 지면의 정보를 분석하여 기울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평행 조절 값을 산출하여 기울기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함; 및 기울기 조절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울기 조절신호에 따라 받침 프레임과 좌/우 조정프레임을 동작시켜 자동으로 상기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하는 배전함을 포함하여, 농업용 고소작업대의 기울기 자동 조절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농업용 고소작업차에서 작업발판의 기울기를 자동으로 평행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고속작업차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안전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을 도모하도록 한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과수의 가지치기 및 과실수확을 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상 사다리를 놓고 작업을 하게 된다. 사다리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고 내리고, 이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간혹 사다리가 넘어져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소작업대가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고소작업대는 바닥이 평평한 곳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바닥의 경사가 일정치 않은 농지에서 사용하기에는 운반 및 보관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농업용 고소작업대에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직사각 테두리형태를 갖는 하부 부재의 하부가 이송대차의 대차프레임에 결합된 받침프레임, 직사각 테두리형태를 갖는 상부 부재의 전방 및 후방 내측 하부로 어퍼힌지편이 형성된 어퍼 흰지 지지부재가 결합된 좌, 우 조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좌우 실린더의 하부가 하부 부재의 후방 모서리 하측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유압모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에 의하여 상기 좌/우 실린더가 작동되어 작업발판의 좌/우측 기울기를 편리하게 조절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이송대차 사이를 연결하는 대차프레임 상부에 축전지가 결합되고, 상기 축전지의 출력측 단자에 구동모터의 입력측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측에 감속기의 피동축에 기어결합된 구동축이 플랜지로 맞대어져 결합되며, 상기 피동축이 보호 슬리브를 관통하여 이송대차 구동 스프라켓휘일에 결합되며, 좌우로 독립된 2개로 조이스틱에 의하여 연동되어 직진주행이 되도록 하며,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방향전환주행이 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하부가 이송대차 사이의 대차프레임에 용접 이음된 브래킷에 맞대어져 볼트로 고정되는 구동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직진주행이 가능함과 아울러 독립된 구동모터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방향 전환에 용이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농업용 고소 작업대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나, 작업자가 조이스틱과 같은 조작장치를 수동으로 직접 조작하여 고 소작업대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따르고, 경사에 실시간 대응이 어려워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에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 고소작업차가 이동을 하여 새로운 작업 위치로 이동한 경우, 해당 이동위치에서 농지의 경사로 인해 고소작업대가 기울어지면 작업자 또는 작업지시자가 조작장치를 수동으로 직접 조작하여 고소작업대를 수평으로 맞추게 된다. 이때, 이미 기울어진 고소작업대에 위치한 작업자 또는 작업지시자는 넘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고소작업차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안전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을 도모하도록 한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는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지면정보 획득수단, 상기 지면정보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지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한 지면의 정보를 분석하여 기울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평행 조절 값을 산출하여 기울기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함; 상기 제어함의 통신부를 통해 기울기 조절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울기 조절신호에 따라 받침 프레임을 동작시켜 자동으로 상기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하는 배전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면정보 획득수단은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통신부는 상기 지면정보 획득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지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기울기 조절신호를 상기 배전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면정보를 획득하는 지면정보 획득부; 상기 지면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지면정보로부터 기울기를 추출하는 기울기 정보 추출부; 상기 기울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조절하기 위한 평행 조절 값을 산출하는 평행 조절 값 산출부; 상기 평행 조절 값 산출부에서 산출한 평행 조절 값을 기울기 조절신호로 출력하는 기울기 조절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평행 조절 값 산출부는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한 좌/우 기울기 조절 값 및 전/후 기울기 조절 값을 평행 조절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함은 작업발판의 기울기 조절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기울기 조절 조이스틱; 위급 상황 시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스위치; 작업자가 육안으로 작업 발판의 수형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수평계; 작업발판의 평행상태, 기울어진 상태 및 위급 상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 슬라이드 확장을 위한 슬라이드 확장 스위치; 방송을 위한 라디오; 시거잭; 주행을 조작하기 위한 주행 조이스틱; 배터리 잔량을 표시해주는 배터리 게이지; 주행속도 조절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주행속도 조절볼륨; 경적을 송출하기 위한 버저; 시동을 위한 시동키; 방송 신호 송출, 위급 상황에 대한 경보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전함은 상기 제어함으로부터 전송된 주행 제어신호 및 기울기 조절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주행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모터를 제어하는 주행모터 제어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기울기 조절신호에 따라 작업발판을 이동시키는 파워 팩을 제어하는 유압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는 상기 배전함에서 출력되는 받침 프레임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실린더를 제어하는 파워 팩; 상기 파워 팩에서 발생하는 유압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발판을 평행 상태로 만드는 좌/우 실린더와 전/후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고소작업차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을 도모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중 제어함의 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중 배전함의 실시 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중 제어함의 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중 배전함의 실시 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A)는 이동수단인 이동대차(10)의 상부에 받침프레임(20)이 결합하고, 받침프레임(20)에 작업발판(50)의 좌/우 기울기가 조절되는 좌/우 조정프레임(30)이 결합된다.
아울러 좌/우 조정프레임(30)에 크로스 리프트 부재(40)의 하부가 회전되게 결합되는 작업발판(5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리프트 부재(40)의 상부에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공간이 형성된 작업발판(50)이 결합된다.
받침 프레임(20)은 전체적인 하중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받침 프레임(20)은 직사각 테두리 형태를 갖는 로워부재(21)의 하부가 이송대차(10)에 구비된 대차프레임(11)에 맞대어지게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작업발판(50)의 소정 위치(작업자가 조작하기 편한 위치)에는 농업용 고소작업차(A)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함(100)이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어함(100)의 제어에 따라 작업발판(50)을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압을 공급하도록 유압모터를 제어하는 배전함(30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배전함(300)과 연계하여,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파워 팩(4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좌/우 조정프레임(30)의 소정 위치에는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면정보 획득수단(2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지면의 정보는 농업용 고소작업차가 이동하거나 작업하는 농지의 기울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울기 정보를 의미한다. 지면정보 획득수단(200)은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기울기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지면정보 획득수단(200), 즉 기울기 센서는 기준면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농업용 고소작업차(A)가 좌/우로 기울어진 것과 전후로 기울어진 것을 검출하기 위해, 전측 힌지핀(26)과 연결되는 좌우 조정프레임에 설치함으로써(후측 힌지핀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함), 한 개의 센서로 전/후/좌/우를 일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차의 기울기 조정 후에도 계속적으로 기울기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여기서, 센서를 한 개 아닌 두 개 이상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나, 가성비를 위해 한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즉, 힌지핀(26)은 고소작업업차의 좌우 중심에 위치하므로 고소작업차의 좌/우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전측에 설치되므로 전/후의 기울기 역시 측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센서를 좌/우 조정프레임(30)에 설치함으로써, 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를 바탕으로 받침프레임(20) 및 좌/우 조정프레임(30)을 동작시켜 자동으로 상기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조절한 후에도 그 평행정도를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미세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센서를 대차프레임(11) 또는 받침프레임(20)에 설치할 경우, 센서는 항상 대차프레임(11) 또는 받침프레임(20)의 기울기만을 발송하게 됨으로 이를 토대로 받침프레임(20) 및 좌/우 조정프레임(30)을 동작시켜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조절시킨다할지라도 작업발판의 평행 여부에 대한 측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지면정보 획득수단(200), 즉 센서의 설치위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자동 수평조절 능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면정보 획득수단(200)과 제어함(100)은 통신으로 연결하여, 지면정보를 제어함(100)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은 RS-485, RS-232와 같은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모듈(제어함)과 모듈(배전함) 간의 통신이 원활한 캔(CAN)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함(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정보 획득수단(200)에서 획득한 지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15), 상기 통신부(115)에 의해 수신한 지면의 정보를 분석하여 기울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평행 조절 값을 산출하여 기울기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08), 작업발판(50)의 기울기 조절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기울기 조절 조이스틱(101), 위급 상황 시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스위치(102), 작업자가 육안으로 작업 발판(50)의 수평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수평계(103), 작업발판(50)의 평행상태, 기울어진 상태 및 위급 상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104), 슬라이드 확장을 위한 슬라이드 확장 스위치(105), 방송을 위한 라디오(106), 전원 사용을 위한 시거잭(107), 주행을 조작하기 위한 주행 조이스틱(109), 배터리 잔량을 표시해주는 배터리 게이지(110), 주행속도 조절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주행속도 조절볼륨(111), 경적 발생을 위한 버저(112), 시동을 위한 시동키(113), 방송 신호 송출, 위급 상황에 대한 경보음을 송출하는 스피커(114) 및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5)는 상기 지면정보 획득수단(200)으로부터 획득한 지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8)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08)에서 발생한 기울기 조절신호를 상기 배전함(3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0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115)를 통해 지면정보를 획득하는 지면정보 획득부(121); 상기 지면정보 획득부(121)에 의해 획득한 지면정보로부터 기울기를 추출하는 기울기 정보 추출부(122); 상기 기울기 정보 추출부(122)에서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조절하기 위한 평행 조절 값을 산출하는 평행 조절 값 산출부(123); 상기 평행 조절 값 산출부(123)에서 산출한 평행 조절 값을 기울기 조절신호로 출력하는 기울기 조절신호 출력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평행 조절 값 산출부(123)는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한 좌/우 기울기 조절 값 및 전/후 기울기 조절 값을 평행 조절 값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전함(300)은 상기 제어함(100)의 통신부(115)를 통해 기울기 조절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울기 조절신호에 따라 받침 프레임(20)과 좌/우 조정프레임(30)을 동작시켜 자동으로 상기 작업발판(50)을 평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전함(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함(100)으로부터 전송된 주행 제어신호 및 기울기 조절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301); 상기 통신부(301)를 통해 수신한 주행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모터를 제어하는 주행모터 제어부(302); 상기 통신부(301)를 통해 수신한 기울기 조절신호에 따라 작업발판(50)을 이동시키는 파워 팩(400)을 제어하는 유압모터 제어부(30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전함(300)은 접지를 통해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접지부(303), 대기 전기 방지를 위한 마그네트(304), 배터리 쇼트 시 회로 보호를 위한 차단기(305), 과전압 또는 과전류 차단을 위한 퓨즈(307), 솔레노이드 신호 송출을 위한 릴레이(308), 48V 직류 전원을 24V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 컨버터(309), 그리고 신호 과전류 및 잡음 방지를 위한 유압기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는 상기 배전함(300)에서 출력되는 받침 프레임(20) 및 좌/우 조정프레임(30)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실린더를 제어하는 파워 팩(400); 상기 파워 팩(400)에서 발생하는 유압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발판(50)을 평행 상태로 만드는 좌/우 실린더와 전/후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파워 팩(400)은 유압 모터, 유압 펌프, 유압 탱크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농업용 고소 작업차(A)의 기울기를 평행하게 만들기 위해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따른 기울기 조절 방식, 기울기 센서에 의한 기울기 감지와 자동 제어에 따른 자동 기울기 조절 방식으로 대별된다. 이를 위해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가 제어함(100)에 부가된 것으로 가정한다.
수동 모드에 의한 기울기 조절은 기존과 같이 작업자가 수평계(103)를 육안으로 보고 작업발판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이 되면 기울기 조절 조이스틱(101)을 직접 조작하여 작업발판을 평행 상태로 맞추게 된다.
아울러 제어함(100)에 구비된 주행 조이스틱(109)의 조작에 따른 주행 제어, 주행속도 조절볼륨(111)의 조작에 따른 주행속도 제어, 배터리 게이지(110)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표시해주는 방식, 라디오(106)를 이용하여 방송을 청취하는 것, 시거 잭(107)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 스피커(114)를 통해 방송 음성이나 경보음을 송출하는 방식은 모두 기존 농업용 고소 작업대의 동작은 선행기술로 설명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A)는 경사도가 일정치 않은 농지를 이동하는 과정이나 이동 직후 작업발판(50)이 신속하게 자동으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작업의 연속성을 실현한다.
예컨대, 시동 키(113)에 의해 농업용 고속작업차에 시동이 걸리면, 배전함(300)에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이 필요한 부분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이 필요한 부분은 제어함(100), 지면정보 획득수단(200), 파워 팩(400) 등이 될 수 있다.
지면정보 획득수단(200)은 농업용 고속작업차에 시동이 걸리면,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면 정보를 획득한다. 지면 정보는 농지의 경사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기울기 정보를 의미한다. 기울기 센서는 작업발판(50)의 전/후/좌/우의 기울어짐을 검출하기 위한 한 개의 기울기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센서가 전측 힌지핀(26)과 연결되는 좌우 조정프레임에 설치됨으로서, 한 개의 센서로 전/후/좌/우를 일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차의 기울기 조정 후에도 계속적으로 기울기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센서는 받침프레임(20) 및 좌/우 조정프레임(30)을 동작시켜 자동으로 상기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조절한 후에도 그 평행정도를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미세조정을 할 수 있도록 신호를 피드백한다. .
지면정보 획득수단(200)은 상기와 같이 한 개 이상의 기울기 센서로 각각 획득한 지면정보를 통신을 통해 상기 작업발판(5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제어함(1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은 RS-232, RS-485와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차량에서 주로 사용하며 모듈과 모듈 간의 통신에 최적화된 캔(CAN) 통신을 사용한다.
상기 제어함(108)의 통신부(115)는 상기 지면정보 획득수단(200)으로부터 획득한 지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08)에 전달한다. 제어부(108)는 상기 수신한 지면 정보를 분석하여 작업발판(50)이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졌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작업발판(50)을 자동으로 평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를 시작한다.
예컨대, 제어부(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정보 획득부(121)에서 상기 통신부(115)를 통해 지면정보를 획득하여 기울기 정보 추출부(122)에 전달한다. 상기 기울기 정보 추출부(122)는 상기 지면정보 획득부(121)에 의해 획득한 지면정보로부터 기울기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되는 기울기 정보는 평행 조절 값 산출부(123)에 전달된다. 상기 평행 조절 값 산출부(123)는 상기 기울기 정보 추출부(122)에서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조절하기 위한 평행 조절 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평행 조절 값은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한 좌/우 기울기 조절 값 및 전/후 기울기 조절 값이 될 수 있다. 즉, 작업발판이 좌/우로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좌/우 기울기 조절 값을 산출하고, 작업발판이 전/후로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전/후 기울기 조절 값을 산출한다. 아울러 수신한 기울기 정보에 포함된 기울기량에 따라 좌/우 기울기 또는 전/후 기울기 조절 값 레벨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산출한 평행 조절 값은 기울기 조절신호 출력부(124)로 전달된다. 기울기 조절신호 출력부(124)는 상기 평행 조절 값 산출부(123)에서 산출한 평행 조절 값을 기울기 조절신호로 통신부(115)로 출력한다.
통신부(115)는 전달되는 기울기 조절신호를 통신부(115)를 통해 배전함(300)으로 전달한다.
상기 배전함(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301)에서 상기 제어함(100)으로부터 송신된 기울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부(301)는 상기 제어함(100)으로부터 기울기 제어신호 이외에 농업용 고소 작업차를 제어하기 위한 주행 제어 신호 등도 수신한다.
배전함(300)의 주행모터 제어부(302)는 수신한 주행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모터를 제어하여, 농업용 고소작업대의 주행을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한다.
아울러 배전함(300)의 유압 모터 제어부(306)는 상기 수신한 기울기 제어신호에 따라 연계된 파워 팩(400)을 통해 작업발판 평행 유지를 위한 동작을 하게 된다. 여기서 파워 팩(400)은 유압 모터, 유압 펌프 및 유압 탱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압모터 제어부(306)의 제어에 따라 유압 모터가 동작을 하여 유압 탱크에 저장된 유압을 유압 펌프를 통해 실린더부(500)로 공급한다.
여기서 실린더부(500)는 복수의 실린더 즉, 상기 파워 팩(400)에서 발생하는 유압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발판(50)을 평행 상태로 만드는 좌/우 실린더와 전/후 실린더, 그리고 작업발판(50)을 승강시키기 위한 상/하 실린더가 구비된다.
상/하 실린더에 의한 작업발판(5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은 기존 농업용 고소작업대의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아울러 파워 팩(400)은 실린더부(500)로 유압 공급 시 기울기 조절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실린더만을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을 공급한다. 특정 실린더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릴레이(308)를 이용하여 해당 솔레노이드만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하게 특정 실린더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파워 팩(400)에 연결된 실린더부(500)는 상기 파워 팩(400)의 유압 모터 제어부(306)의 제어에 따라, 대응하는 실린더만이 구동하여 작업발판(50)을 움직여 신속하게 평행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예컨대, 이송대차(10)의 좌측 및 우측 바닥의 기울기가 다를 경우, 유압모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에 의하여 각각 좌/우실린더(33)에 연결된 좌/우 피스톤 로드가 동작하여, 어퍼부재(31)가 힌지핀(2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발판(50)이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이송대차(10)의 전/후 바닥의 기울기가 다를 경우, 유압 모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에 의하여 각각 전/후 실린더(도면 미도시)에 연결된 전/후 피스톤 로드가 동작하여, 어퍼부재(31)가 전, 후로 이동하여 작업발판(50)이 평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농지가 좌우로 경사져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발판(5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는 좌 실린더 또는 우 실린더를 기울어진 양만큼 상승시켜, 자동으로 작업발판(50)을 신속하게 평행상태로 만들게 된다.
또한, 농지가 전후로 경사져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발판(50)이 앞 또는 뒤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는 전/후 실린더(도면 미도시)를 기울어진 양만큼 상승시켜, 자동으로 작업발판(50)을 신속하게 평행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의 기울어짐을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실린더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평행상태로 신속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작업발판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신속하게 평행상태를 유지시켜주어, 작업자가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 농업용 고소작업차
20: 받침 프레임
50: 작업발판
100: 제어함
108: 제어부
115: 통신부
121: 지면정보 획득부
122: 기울기 정보 추출부
123: 평행 조절 값 산출부
124: 기울기 조절신호 출력부
200: 지면정보 획득수단
300: 배전함
301: 통신부
302: 주행모터 제어부
306: 유압모터 제어부
400: 파워 팩
500: 실린더부
20: 받침 프레임
50: 작업발판
100: 제어함
108: 제어부
115: 통신부
121: 지면정보 획득부
122: 기울기 정보 추출부
123: 평행 조절 값 산출부
124: 기울기 조절신호 출력부
200: 지면정보 획득수단
300: 배전함
301: 통신부
302: 주행모터 제어부
306: 유압모터 제어부
400: 파워 팩
500: 실린더부
Claims (8)
- 작업발판의 기울기가 평행상태로 조절되는 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지면정보 획득수단, 상기 지면정보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지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한 지면의 정보를 분석하여 기울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평행 조절 값을 산출하여 기울기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함; 및
상기 제어함의 통신부를 통해 기울기 조절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울기 조절신호에 따라 받침 프레임 및 좌/우 조정프레임을 동작시켜 자동으로 상기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하는 배전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청구항 1에서, 상기 지면정보 획득수단은 지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청구항 1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지면정보 획득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지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기울기 조절신호를 상기 배전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면정보를 획득하는 지면정보 획득부; 상기 지면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지면정보로부터 기울기를 추출하는 기울기 정보 추출부; 상기 기울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조절하기 위한 평행 조절 값을 산출하는 평행 조절 값 산출부; 상기 평행 조절 값 산출부에서 산출한 평행 조절 값을 기울기 조절신호로 출력하는 기울기 조절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청구항 4에서, 상기 평행 조절 값 산출부는 추출한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작업발판을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한 좌/우 기울기 조절 값 및 전/후 기울기 조절 값을 평행 조절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청구항 1에서, 상기 배전함은 상기 제어함으로부터 전송된 주행 제어신호 및 기울기 조절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주행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모터를 제어하는 주행모터 제어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기울기 조절신호에 따라 작업발판을 이동시키는 파워 팩을 제어하는 유압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의 기울기 자동 조절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청구항 1에서, 상기 배전함에서 출력되는 받침 프레임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실린더를 제어하는 파워 팩; 상기 파워 팩에서 발생하는 유압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발판을 평행 상태로 만드는 좌/우 실린더와 전/후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120A KR101791773B1 (ko) | 2016-01-07 | 2016-01-07 | 기울기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120A KR101791773B1 (ko) | 2016-01-07 | 2016-01-07 | 기울기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2853A true KR20170082853A (ko) | 2017-07-17 |
KR101791773B1 KR101791773B1 (ko) | 2017-11-01 |
Family
ID=5944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2120A KR101791773B1 (ko) | 2016-01-07 | 2016-01-07 | 기울기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1773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96139A (zh) * | 2017-11-14 | 2018-05-08 | 佛山杰致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农业用水果采摘装置 |
WO2019018850A1 (en) * | 2017-07-21 | 2019-01-24 | Tulsa Winch, Inc. | PERSON LIFTING DEVICE |
KR20190017839A (ko) * | 2019-02-01 | 2019-02-20 | 장진만 | 농업용 고소작업차 |
FR3091966A1 (fr) | 2019-01-29 | 2020-07-31 | Gutzwiller Group | Véhicule automoteur avec système de compensation |
KR102263228B1 (ko) | 2020-11-03 | 2021-06-10 | (주)한성티앤아이 | 듀얼 컨트롤 시스템을 갖춘 과수용 작업차 |
US20210291766A1 (en) * | 2020-03-19 | 2021-09-23 | Ellenberger & Poensgen Gmbh | Power distributor of an electrical system of a motor vehicle |
KR20240020290A (ko) * | 2022-08-03 | 2024-02-15 | 주식회사 그린맥스 | 조향 기능을 가지는 농업용 다목적 고소 작업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35871B (zh) * | 2018-07-17 | 2020-05-22 | 深圳常锋信息技术有限公司 | 无人机飞行路线规划方法、装置、系统及智能终端 |
KR102708880B1 (ko) * | 2022-07-28 | 2024-09-24 | (주) 세웅 | 음성 인식 고소 작업차 및 이를 통한 음성 인식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8639B1 (ko) * | 2010-12-02 | 2013-03-2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
KR101098336B1 (ko) | 2011-07-18 | 2011-12-23 | 장진만 |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농업용 고소 작업대 |
KR101323637B1 (ko) | 2013-05-31 | 2013-11-05 | 대경정공(주) |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 |
-
2016
- 2016-01-07 KR KR1020160002120A patent/KR10179177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18850A1 (en) * | 2017-07-21 | 2019-01-24 | Tulsa Winch, Inc. | PERSON LIFTING DEVICE |
US11014794B2 (en) | 2017-07-21 | 2021-05-25 | Tulsa Winch, Inc. | Personal lift device |
CN107996139A (zh) * | 2017-11-14 | 2018-05-08 | 佛山杰致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农业用水果采摘装置 |
FR3091966A1 (fr) | 2019-01-29 | 2020-07-31 | Gutzwiller Group | Véhicule automoteur avec système de compensation |
KR20190017839A (ko) * | 2019-02-01 | 2019-02-20 | 장진만 | 농업용 고소작업차 |
US20210291766A1 (en) * | 2020-03-19 | 2021-09-23 | Ellenberger & Poensgen Gmbh | Power distributor of an electrical system of a motor vehicle |
US11653450B2 (en) * | 2020-03-19 | 2023-05-16 | Ellenberger & Poensgen Gmbh | Power distributor of an electrical system of a motor vehicle |
KR102263228B1 (ko) | 2020-11-03 | 2021-06-10 | (주)한성티앤아이 | 듀얼 컨트롤 시스템을 갖춘 과수용 작업차 |
KR20240020290A (ko) * | 2022-08-03 | 2024-02-15 | 주식회사 그린맥스 | 조향 기능을 가지는 농업용 다목적 고소 작업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1773B1 (ko) | 2017-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1773B1 (ko) | 기울기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 |
US8292032B2 (en) | Platform lift | |
KR101786724B1 (ko) | 센서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강화한 고소작업장치 | |
KR101248639B1 (ko) |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 |
CN101294367A (zh) | 自驱动建筑机械 | |
US9096107B2 (en) | Regulating device, railway wheel device, working machine as well as a method for driving of a rubber wheeled working machine along a railway track | |
JP2017100490A (ja) | 速度制御装置 | |
WO2007004953A1 (en) | Height control device | |
EP2740708A1 (en) | Lifting column for lifting a load, lifting system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for measuring a load | |
KR20080039329A (ko) | 고소작업차 | |
KR20210135295A (ko) | 작업 기계,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 |
KR101886207B1 (ko) |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 |
US5667021A (en) | Apparatus for driving grade stakes | |
KR101070405B1 (ko) |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 |
KR20160068355A (ko) |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 |
US20080116013A1 (en) | High Lift Truck | |
KR20170041952A (ko) |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 |
US20110048580A1 (en) | Single cylinder hydraulic log lifter | |
KR20200113470A (ko) | 고소작업차용 안전 유압제어시스템, 그리고 유압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유압제어 방법 | |
KR101933880B1 (ko) | 고소작업차 오토 리셋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8403095B1 (en) | Step on-step off motorized utility vehicle | |
CN209721482U (zh) | 物品抬升装置 | |
KR200479074Y1 (ko) | 리프트의 하중감지장치 | |
KR101858142B1 (ko) | 자동 및 수동 겸용 턴테이블을 구비한 트레일러형 사다리차 | |
CN216105832U (zh) | 一种车辆维修用智能举升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