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565A - 중합체성 쇄 연장을 위한 농축 조성물 - Google Patents

중합체성 쇄 연장을 위한 농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565A
KR20170082565A KR1020177015022A KR20177015022A KR20170082565A KR 20170082565 A KR20170082565 A KR 20170082565A KR 1020177015022 A KR1020177015022 A KR 1020177015022A KR 20177015022 A KR20177015022 A KR 20177015022A KR 20170082565 A KR20170082565 A KR 2017008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composition according
weight
formula
carri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렌.알레사 바르티흐
위르겐 볼프
덴 압비르 팀 반
Original Assignee
클라리언트 플라스틱스 앤드 코팅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언트 플라스틱스 앤드 코팅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라리언트 플라스틱스 앤드 코팅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5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423/00 - C08J2453/00
    • C08J2455/02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중합체성 쇄 연장을 위한 농축 조성물.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1의 테레프탈산 에스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담체 수지를 포함하는 농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10-알킬이다.

Description

중합체성 쇄 연장을 위한 농축 조성물 {CONCENTRATE COMPOSITION FOR POLYMERIC CHAIN EXTENS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단계-성장 중합체(step-growth polymer)의 형성에 사용되는 농축물, 특히, 단계-성장 중합체에 대한 쇄 연장 농축물(chain extension concentrate)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계-성장 중합체가 필름, 병, 시트 및 기타 성형품 및 압출품과 같은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이들 중합체의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은 이들의 분자량에 크게 의존한다.
수명 주기에서, 이들 재료는 합성 공정, 이어서 압출 단계 및 최종 가공 단계(이는 또 다른 컴파운딩 압출(compounding extrusion) 조작, 이어서 열 성형(thermoforming), 취입 성형(blow molding) 또는 섬유 방사(fiber spinning)일 수 있다)를 거치거나 이들은 용융 상태에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는 모두 고온 조건하에 발생한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자원 절약 및 환경 보호와 관련하여 이들 중합체로 제조된 제품을 재활용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들 중합체의 제조 및 재활용과 관련된 가공 단계는 또한 고온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고온 단계에서, 특히 컴파운딩/가공 및 회수/재활용 공정 동안 중합체에서 일부 분자량 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분자량 저하는 고온 가수분해, 알코올분해 또는 이들 중축합물(polycondensate)에 대해 잘 알려진 기타 해중합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의 저하가 재료의 기계적, 열적 및 유변학적 특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재료가 까다로운 용도에 사용되거나 또는 본래의 용도에서 큰 비율로 재활용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오늘날 열화 중량(deteriorated weight)을 지닌 재활용 또는 재가공된 중축합물은 까다로운 용도에서는 매우 낮은 비율로만 사용되거나 덜 까다로운 용도에서는 보다 큰 비율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자량 저하로 인해, 재활용된 병 등급(recycled bottle grade)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주로 필름 및 기타 로우 앤드(low end) 용도로 독점적으로 사용된다. 유사하게, 컴팩트 디스크(CD) 스크랩으로부터 재활용된 폴리카보네이트는 주로 로우 엔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의 재활용 기술은 좁은 범위의 응용으로 한정된다.
오늘날, 분자량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공 또는 재활용을 위한 중축합물의 분자량을 유지하거나 심지어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상당수의 공정이 존재한다. 이들 경로의 대부분은 주 가공 장비로서 압출기, 고체 상태 중축합 반응기 또는 이들 둘 다를 차례로 사용하거나 용융 점도 또는 고점도 재료 가공을 위해 설계된 유사한 장비를 사용한다. "쇄 연장제(chain extender)"로 알려진 화학 반응물이 임의의 공정에서 가공 조제로서 사용된다. 쇄 연장제는 일반적으로 해중합된 중축합 쇄를 "재결합(recouple)"하는 다작용성 분자이다. 이들 쇄 연장제는 중합체를 가공하는 동안 압출기 또는 반응기에 첨가되었다. 통상적으로 쇄 연장제는 해중합에 의해 야기된 쇄 단편(chain fragment)과 반응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작용기를 가지며 이들을 가교(bridge) 결합(couple)시킨다. 당해 공정은 중축합물의 분자량의 감소를 중단시키거나 심지어 상기 분자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술될 쇄 연장제 유형, 조성, 중축합물 제형 및 가공 조건이 다수 존재한다.
2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에폭사이드, 에폭시 수지, 또는 2개 이상의 에폭시 그룹을 갖는 다른 화학물질은, 재활용된 중합체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된 쇄 연장 조정제(chain extending modifier)의 예이다. 이들 2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에폭사이드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2개 이상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분자로 제조된다. 이러한 쇄 연장제의 예로는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으로 제조된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카복실산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으로 제조된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및 지방족 알코올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으로 제조된 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아크릴산 공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 강도 및 용융 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합체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에폭시 함유 화합물 및 에틸렌과 같은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쇄 연장제는 재가공된 중합체의 분해를 방지하는데 중간 정도의 성공만을 나타낸다.
오늘날 두 가지 주요 문제는 최첨단 솔루션으로 지속된다. 압출 또는 고체 상태 반응기 시스템에서 합리적인 체류 시간에서 효율적인 쇄 연장을 갖기 위해, 대부분의 공지된 쇄 연장제는 예비 건조된 중축합물 재료의 사용, 진공에서의 조작 및 가공 과정에서 사용된 촉매 및 안정제의 다양한 양을 요구한다. 이러한 특징이 없으면 분자량 증가의 정도가 제한되며 최종 생성물은 더 낮은 분자량 및 원하는 특성보다 적은 특성을 나타낸다.
쇄 연장제의 기능(functionality)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쇄 연장제 분자에 결합될 수 있는 중축합 쇄의 갯수가 또한 증가하며 이에 따라 분자량 재구성시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쇄 연장제의 기능이 증가하면 최종 생성물의 분지화(branching) 정도와 겔화의 잠재적 개시(potential onset)의 증가는 분명하다. 결정성의 정도 및 이에 따른 반결정질 중축합물의 기계적 성질에 대한 광범위한 분지의 부정적 영향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임의의 생성물에서 다양한 양의 겔의 존재에 관한 부정적 함의가 존재한다. 이러한 부정적 영향의 결과로서, 최대 기능에 한계가 존재한다. 효과적인 쇄 연장은, 현재, 상대적으로 큰 농도의 낮은 기능성(쇄 당 4개의 작용기 미만) 쇄 연장제를 요구한다.
현행 기술의 이러한 두 가지 제한과 관련된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은 이러한 중축합의 재가공 또는 재활용을 비경제적인 것으로 만든다.
선행 기술이 겪는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효과적인 쇄 연장제의 하나의 유형은,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작용성 아크릴 단량체 및 적어도 비-작용성인 스티렌 및/또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단량체들로부터 제조된 에폭시-작용화된 스티렌 아크릴산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쇄 연장제이다. 이들 쇄 연장제는 또한 성형 장치에 직접 도입될 때 특정한 단점을 나타낸다. 쇄 연장제는 펠렛화되거나 응집되기는 어렵다. 추가로, 에폭시-작용화된 스티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쇄 연장제는 종래의 쇄 연장제에 비해 고도로 반응성이다. 결과적으로, 특정 용도에서, 에폭시-작용성 스티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쇄 연장제는 성형 장치 또는 압출기의 공급 또는 도입 구역에서 과반응 조건을 생성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반응 조건은 에폭시-작용성 스티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쇄 연장제와 이들과 사용되는 단계-성장 중합체 사이의 용융 온도 불일치의 결과이다. 에폭시-작용성 스티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쇄 연장제는 대략 50℃의 용융 온도를 갖는 반면 단계-성장 중합체의 통상의 공정 온도는 대략 240℃ 내지 300℃의 범위 일 수 있다. 따라서, 에폭시-작용성 스티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쇄 연장제를 가공 장치의 공급 구역에 직접 도입할 때, 쇄 연장제는 용융하여, 적절한 분산 및 균질화를 달성하기 전에 단계-성장 중합체와 반응하기 시작한다. 에폭시-작용성 스티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쇄 연장제가 조기에 반응하면, 과반응의 국부화된 영역은 겔화를 일으키며, 이는 적절한 입자 형성을 방해한다. 과반응의 문제점은 최소 두께를 갖는 입자, 예를 들면 섬유 또는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결과적으로, 중합체 내에 쇄 연장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의 적절한 균질화를 허용할 수 있는 방법 및 농축 조성물 또는 마스터배치에 대한 업계의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아크릴산 에폭시-작용화된 쇄 연장제로 인해, 암을 유발할 수 있은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킬옥시-작용화된 테레프탈산 및 적어도 하나의 담체 수지를 포함하는, 단계-성장 중합체의 분자량 조정에 유용한 농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농축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알킬옥시-작용화된 테레프탈산 및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담체 수지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농축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알킬옥시-작용화된 테레프탈산 및 적어도 하나의 비반응성 담체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쇄 연장제는 상기 담체에 물리적으로 균질하게 분산되는 한편, 상기 농축 조성물은 상기 중합체와 혼합되므로, 쇄 연장제가 국부적으로 더 큰 농도일 가능성은 최소화된다. 게다가, 성형 장치로 도입되는 경우, 본 발명의 농축 조성물은, 상기 농축물의 용융에 요구되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유출 중합체(let-down polymer) 내에서 알킬옥시-작용화된 테레프탈산 쇄 연장제가 조기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러한 지연된 반응 시간은 상기 쇄 연장제가 상기 중합체에 걸쳐 완전히 분산되는 것을 허용하여, 균질한 쇄 연장을 초래한다. 상기 담체 수지에 따라, 본 발명의 농축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며, 고체 농축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1의 테레프탈산 에스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담체 수지를 포함하는 농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10-알킬, 바람직하게는 C1-C6-알킬,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 가장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예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테레프탈레이트, 디프로필테레프탈레이트,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 디펜틸테레프탈레이트, 디헥실테레프탈레이트, 디헵틸테레프탈레이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디노닐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데실테레프탈레이트다.
바람직한 쇄 연장제는 화학식 2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이다.
Figure pct00002
당해 분자는 p-자일렌 상에서의 메틸기의 산화 및 이후 카복실산의 산화에 의해 제조되며, 메탄올과의 반응은 메틸 에스테르,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가능한 것으로는, 파라-자일렌 또는 혼합된 자일렌 이성체의 산화, 및 이어지는 에스테르화가 있다. 또한,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의 통상의 제조 방법은, 정제된 테레프탈산을, 파라-자일렌의 촉매적으로 균질한 산화에 의해 생성된 메탄올에 의해 에스테르화시키는 것이다.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술은, 산화 및 에스테르화 단계를 사용하는 파라자일렌에 근거한다. 파라 자일렌은 코발트 염 촉매의 존재하에 공기에 의해 액체 상(liquid phase)에서 산화되어 p-톨루산과 모노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산화물을 형성한다. 에스테르화는 메탄올의 존재하에 수행되어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담체 수지는 비반응성 수지, 반응성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비반응성 담체 수지는 본 발명의 농축 조성물에서 비반응성 담체 수지로서 사용되어 불활성 담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농축 조성물이 상기 유출 중합체 내에 분산될 때까지 상기 쇄 연장제가 반응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쇄 연장제는 비반응성 담체 수지와 반응하지 않아서, 비반응성 담체 수지 내에서의 임의의 적절한 쇄 연장을 초래한다.
비반응성 담체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노보넨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 펜텐, 폴리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에틸렌-부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ABS),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비반응성 담체 수지는 ABS, PS, 및 폴리카보네이트이다.
반응성 담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에틸렌(MAH-g PE)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농축 조성물 내의 담체 수지에 대한 쇄 연장제의 정확한 비율은, 최종 중합체 생성물에서의 목적하는 쇄 연장 정도 및 상기 담체 수지의 활성에 따라, 용도 특이적이다. 상기 테레프탈산 에스테르는 상기 농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대략 0.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대략 5.0 내지 50.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중량%의 양으로 상기 농축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화학적 불활성인 기타 재료들을 상기 중합체의 목적하는 특성들에 따라 상기 농축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재료의 대표적인 예는 대전방지제, 발포제(foaming agent), 난연제(flame retardant), 색상 농축물(color concentrate),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블럭방지제(anti-block agent), 항담제(anti-fog agent), 미끄럼방지제(anti-slip agent), 항균제 및 미끄럼 첨가제(slip additive)를 포함한다.
이들 기타 재료는 본 발명의 농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농축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타 재료의 하한은 편의상 0.01중량%이다.
상기 농축 조성물이 제조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이축(twin-screw) 압출기에서의 압출에 의한 분산 또는 분배 혼합을 위한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농축 조성물은 펠렛형(pellet), 구형(sphere), 플레이크형(flake), 괴형(agglomerate), 프릴형(prill)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각종 기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농축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카복실 반응성 기를 갖는 임의의 유출 중합체에 쇄 연장 특성을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의 대표적인 예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단계-성장 중축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코-말레산 무수물 또는 폴리에틸렌 코-아크릴산과 같은 부가 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기 용도에 있어서, 상기 농축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업계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열가소성 성형 장치에서 상기 유출 중합체와 함께 편리하게 용융 컴파운딩되며, 통상의 성형 기술에 따라 상기 유출 중합체를 용융 또는 연화시키기에 적절한 온도에서 용융된다. 상기 농축 조성물의 정확한 농도는 상기 유출 중합체의 목적하는 최종 특성에 의존하며 따라서 이는 용도 특이적이다. 상기 유출 중합체에 첨가되는 상기 농축 조성물의 양은 상기 농축 조성물과 상기 유출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농축 조성물이 상기 유출 중합체와 함께 압출기 상에 남아있는 체류 시간은 1초 내지 100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1000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600초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초 내지 100초,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초 내지 50초로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유출 중합체 내의 쇄 연장제의 농도는 상기 농축 조성물과 상기 유출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중량%이다.
본 발명의 농축 조성물은 각종 중합체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품의 비제한적 예는, 중축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체성 시트, 필름, 컨테이너, 예를 들면 병, 섬유 또는 다차원 제품을 포함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완전히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퍼센티지는 중량 퍼센트이다.
고유 점도(intrinsic viscosity)(I.V.)는 중합체의 분자량의 독특한 함수이기 때문에 고유 점도의 측정을 사용하여 상기 쇄 연장된 중합체의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예를 들면, 고압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교정된 다이(die)를 통해 압출된 용융 상태의 PET에 있어서, 용융 점도 측정을 위해 대번포트(Davenport) 점도계를 사용하여 I.V.를 검출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5개 제형 A 내지 E는 통상의 업계 절차에 따라 라이슈트리츠(Leistritz) MASS 기술(27mm/40D)을 사용하여 압출하였다. 따라서 담체 시스템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에 10%의 상기 쇄 연장제를 함유한 마스터 배치를 압출하였다. 당해 마스터배치는 평균 체류 시간 35 내지 40초 동안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PET(표 1에 표시된 양)에 혼입하였다. 고유 점도(I.V.)는 순수한 PET에 대해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3
상기 사용된 PET는 RAMAPET® R 180 GR BB(인도라마 플라스틱스(Indorama Plastics), 192,000g/mol)였다.
실시예 2:
9개 제형 A 내지 I는 통상의 업계 절차에 따라 라이슈트리츠 MASS 기술(27mm/40D)을 사용하여 압출하였다. 따라서 담체 시스템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에 10%의 상기 쇄 연장제를 함유한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당해 마스터배치는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PET(표 2에 표시된 양)에 혼입하였다. 당해 시험에서 압출기 내의 재료들의 체류 시간은 다양하였다.
Figure pct00004
상기 사용된 PET는 RAMAPET® R 180 GR BB였고 상기 쇄 연장제는 DMT였다.
상기 쇄 연장제는 공정 중에 고농도에서 짧은 체류 시간에서 가장 잘 작동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3:
13개 제형 A 내지 M은, 통상의 업계 절차에 따라 라이슈트리츠 MASS 기술(27mm/40D)을 사용하여 압출하였다. 따라서 상이한 담체 시스템 상에 10%의 상기 쇄 연장제를 함유한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당해 마스터배치는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PET에 혼입하였다.
Figure pct00005
상기 사용된 PET는 RAMAPET® R 180 GR BB였고 상기 쇄 연장제는 DMT였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1의 테레프탈산 에스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담체 수지(carrier resin)를 포함하는 농축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10-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2-알킬인, 농축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메틸인, 농축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수지가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노보넨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 펜텐, 폴리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에틸렌-부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농축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수지가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인, 농축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수지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농축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상기 농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99.9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농축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상기 농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내지 50.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농축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상기 담체 수지가 분산 또는 분배 혼합에 의해 배합되는, 방법.
  10. 단계-성장 중축합물을 위한 쇄 연장제로서의,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축합물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코-말레산 무수물 또는 폴리에틸렌 코-아크릴산인, 용도.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조성물과 중축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중량%의 양인, 용도.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축합물이 중합체성 제품으로 제조되는, 용도.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제품이 시트, 필름, 컨테이너 또는 섬유인, 용도.
KR1020177015022A 2014-11-05 2015-10-23 중합체성 쇄 연장을 위한 농축 조성물 KR20170082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003780.5A EP3018166A1 (en) 2014-11-05 2014-11-05 Concentrate composition for polymeric chain extension
EP14003780.5 2014-11-05
PCT/EP2015/074632 WO2016071127A1 (en) 2014-11-05 2015-10-23 Concentrate composition for polymeric chain exten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565A true KR20170082565A (ko) 2017-07-14

Family

ID=5190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022A KR20170082565A (ko) 2014-11-05 2015-10-23 중합체성 쇄 연장을 위한 농축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70313852A1 (ko)
EP (2) EP3018166A1 (ko)
JP (1) JP2017533984A (ko)
KR (1) KR20170082565A (ko)
CN (1) CN107108912A (ko)
AU (1) AU2015342121A1 (ko)
BR (1) BR112017008613A2 (ko)
CA (1) CA2966781A1 (ko)
MX (1) MX2017005906A (ko)
SG (1) SG11201703174TA (ko)
TW (1) TW201630999A (ko)
WO (1) WO20160711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700A1 (ko) *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삼양사 고체 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사슬 연장된 폴리우레탄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190129520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삼양사 사슬 연장용 고체 분산체, 이를 이용한 사슬 연장된 폴리우레탄 및 사슬 연장된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48965A1 (en) * 2016-10-17 2019-08-15 L. Brüggemann Gmbh & Co. Kg Additive for the controlled adjustment of the viscosity of polymers
JP2023512771A (ja) * 2020-02-05 2023-03-29 カネカ アメリカズ ホールディ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溶融粘度を改善するポリエステル用の調整剤
CN113121949B (zh) * 2021-03-18 2022-11-15 浙江恒逸石化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用于聚酯挤出发泡的母粒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6961A (en) * 1962-10-08 1965-06-01 Monsanto Co Plasticized polycarbonate resins
GB1162211A (en) * 1966-01-04 1969-08-20 Dunlop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Polymeric Compositions
AU535008B2 (en) * 1980-04-28 1984-02-23 Teijin Limited Polyester composition
IL90193A (en) * 1989-05-04 1993-02-21 Biomedical Polymers Int Polurethane-based polymeric materials and biomedical articl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tilizing the same
US20040147678A1 (en) * 2003-01-29 2004-07-29 Clariant International, Ltd. Solid concentrate composition for polymeric chain extension
US8372912B2 (en) * 2005-08-12 2013-02-12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vinyl chloride compositions
DE102006001795A1 (de) * 2006-01-12 2007-07-19 Oxeno Olefinchemie Gmbh Terephthalsäuredialkylester und deren Verwendung
CN102272215A (zh) * 2008-12-18 2011-12-0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包含对苯二甲酸酯的聚合物组合物
EP2253659B1 (en) * 2009-05-18 2014-10-15 Armacell Enterprise GmbH & Co. KG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hain-extending concentrates for polyester foaming process
DE102010061871A1 (de) * 2010-11-24 2012-05-24 Evonik Oxeno Gmbh Polymer-Zusammensetzung enthaltend DINT als Weichmac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700A1 (ko) *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삼양사 고체 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사슬 연장된 폴리우레탄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190129520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삼양사 사슬 연장용 고체 분산체, 이를 이용한 사슬 연장된 폴리우레탄 및 사슬 연장된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66781A1 (en) 2016-05-12
SG11201703174TA (en) 2017-05-30
CN107108912A (zh) 2017-08-29
US20170313852A1 (en) 2017-11-02
AU2015342121A1 (en) 2017-04-27
BR112017008613A2 (pt) 2017-12-19
MX2017005906A (es) 2017-11-20
WO2016071127A1 (en) 2016-05-12
EP3018166A1 (en) 2016-05-11
EP3215559A1 (en) 2017-09-13
JP2017533984A (ja) 2017-11-16
TW201630999A (zh)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0517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その成形体のマスターバッチ式製造方法
JP6665176B2 (ja) オレフィン−無水マレイン酸コポリマーを用いた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の改質
KR20170082565A (ko) 중합체성 쇄 연장을 위한 농축 조성물
ZA200505640B (en) Solid concentrate composition for polymeric chain extension
WO1989008125A1 (en) Chain extens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polyacyllactams
CA2966427C (en) Composition for polymeric chain extension
WO2011046131A1 (ja) 改質再生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