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222A -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222A
KR20170081222A KR1020177015171A KR20177015171A KR20170081222A KR 20170081222 A KR20170081222 A KR 20170081222A KR 1020177015171 A KR1020177015171 A KR 1020177015171A KR 20177015171 A KR20177015171 A KR 20177015171A KR 20170081222 A KR20170081222 A KR 20170081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
carrier
base station
signaling
subcarr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004B1 (ko
Inventor
리샤 쉐
예 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5Maintenance of orthogonality, e.g. for signals exchanged between cells or users, or by using covering codes or sequ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기지국이, UE에게, 액세스르르 위한 두 개의 후보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가 결정됨으로써, 모든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들의 전송 위치들 사이의 충돌이 감소되고, 모든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의 간섭이 감소된다.

Description

DC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 {DC COMPONENT SUB-CARRI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t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itplexing, OFDM) 기술이 사용된다. OFDM 기술이 사용되는 시스템에서,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Direct current Component Subcarrier, DC subcarrier)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에 따라서, LTE 시스템에서의 반송파들은 상이한 전송 대역폭에 대응된다. 전송 대역폭은 다수의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사용하여 표현되고, 하나의 PRB는 주파수 도메인 내에서 12개의 연속되는 부반송파들을 포함하며, 각 부반송파 간격은 15 KHz이다. 하나의 PRB는 시간 도메인 내에서 6개 또는 7개의 연속되는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사이클릭 프리픽스(Normal Cyclic Prefix, Normal CP)의 경우, 하나의 PRB는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Extended Cyclic Prefix, Extended CP)의 경우, 하나의 PRB는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하나의 PRB의 주파수 도메인 폭은 180 KHz이고, 시간 길이는 0.5 밀리초(ms)이다. DC 부반송파는 LTE 시스템 내에서 반송파의 전체 반송파 주파수 대역의 중심에 위치되고, DC 부반송파는 전송 대역폭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LTE 시스템 내 장치의 경우, 두 가지 설계 방식, 즉 제로 중간 주파수(zero intermediate frequency)와 넌제로 중간 주파수(non-zero intermediate frequenty)가 있다. 제로 중간 주파수는 중간 주파수 변조가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수행되지 않고,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일차 상향 변환 후에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중간 주파수 변환이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된 후에 수행되지 않고,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가 하향 변환에 의해 직접 획득되는 것을 의미한다. 넌제로 중간 주파수는 상향 변환 또는 하향 변환이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와 무선 주파수 신호 사이에 수행되는 과정 내에 적어도 한 레벨의 중간 주파수 신호 변환 과정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향 변환 또는 하향 변환 중에, 로컬 주파수 신호가 무선 주파수 오실레이터(oscillator)에 의해 생성되고, 무선 주파수 오실레이터가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갖기 때문에 누설될 수 있다. 즉, 무선 주파수 오실레이터의 고주파수 출력 신호가 장치의 입력단으로 누설되거나 방사될 수 있다. 하향 변환 복조가 수행된 후, 누설된 신호는 부가 직류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부가 직류 컴포넌트는 정상의 무선 주파수 신호인 주파수 도메인 정보로서 DB 부반송파상에 매핑되는 주파수 도메인 정보를 간섭한다.
일반적으로, 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는 장치의 수신단은 로컬 주파수 누설의 직류 컴포넌트에 의해 심한 간섭을 받는다. 그러나, 중간 주파수 변환 과정이 넌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는 장치에 대해 수행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간 주파수 회로가 추가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넌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는 장치의 수신단은 로컬 주파수 누설의 직류 컴포넌트에 의해 간섭을 덜 받는다. 로컬 주파수 누설의 직류 컴포넌트는 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는 장치와 넌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는 장치 양쪽의 전송단에 거의 간섭을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한정된 크기와 비용에 민감하며, 따라서 UE는 일반적으로 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한다. 기지국측 장치는 크기와 비용에 덜 민감하며, 따라서 기지국측 장치는 일반적으로 넌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한다. 즉, 대체로, UE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DC 부반송파는 심한 간섭을 받는다.
LTE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DC 부반송파가 간섭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운링크 반송파 상의 DC 부반송파가 비어있고 사용되지 않는다. 즉, DC 부반송파가 비어 있고 요청된 데이터 또는 요청된 신호를 운반하지 않는다.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주파수 대역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업링크 반송파의 경우, 큐빅 메트릭(Cubic Metric, CM) 또는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면, 비어 있는 부반송파(vacated subcarrier)가 보류(reserved)되어 있는 해결수단이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전체 주파수 대역이 +/-7.5 KHz에 의해 천이된다. 이와 같이, 임의의 반송파의 중심이 DC 부반송파 상에 바로 위치하지 않고, 업링크 부반송파를 통한 데이터 전송에 대한 간섭이 감소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액세스하는 경우, UE는 먼저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세컨더리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및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과 같은 정보를 검출해야 한다. PSS 및 SSS를 전송하는 사이클은 5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이고, PSS 및 SSS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에서 DB 부반송파에 대하여 대칭인 72개의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PBCH는 서브프레임 0 내의 두 번째 시간 슬롯에서 첫 번째 네 개의 심볼을 점유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PBCH는 또한 반송파 주파수 대역의 72개의 중심의 부반송파들 상에 위치된다. PBCH는 다운링크 반송파 대역폭을 운반한다. PBCH를 검출하기 전에, UE는 현재 검출된 반송파의 72개의 중심의 부반송파들의 주파수 도메인 폭을 갖는 다운링크 대역폭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PSS, SSS 및 PBCH 모두 반송파의 72개의 중심의 부반송파들의 주파수 도메인 폭을 갖는 다운링크 대역폭 내에 배치되어져야 한다. PSS, SSS 및 PBCH를 포함하는 72개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폭은 액세스 대역폭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액세스 대역폭이 중심으로서 DC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에 대응하기 때문에, 모든 UE는 반송파의 중심에서 액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LTE 시스템의 진화와 함께, 마이크로 기지국이 빽빽하게 배치되는 시나리오에서, 이러한 액세스 방식은 모든 셀의 PSS들, SSS들, 및 PBCH들과 같은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에 심각한 간섭을 유발할 수 있고, UE는 전술한 공통 제어 채널을 판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거나 또는 심지어 전술한 공통 제어 채널을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UE의 액세스가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은 기지국을 제공하며,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direct current component,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1 측면을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이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상기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반송파의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3 DC 부반송파 각각은,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제1 측면의 제6 또는 제7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제1 측면의 제6 내지 제8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제1 측면의 제6 내지 제9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0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1 측면의 제6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제1 측면의 제6 내지 제11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2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1 측면의 제6 내지 제11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3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UE에게 제1 시그널링(signaling)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explicitly) 또는 묵시적으로(implicitly)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측면의 제14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5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수행하여 상기 UE에 의해 획득된다.
제1 측면의 제13 내지 제15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6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UE에게 제2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제1 측면의 제13 내지 제16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7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UE에게 제3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제1 측면의 제13 내지 제17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8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5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제1 측면의 제18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1 측면의 제19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UE에게 제4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상기 UE에게 제5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시그널링은 상기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은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direct current component,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2 측면을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상기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3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제2 측면의 제6 또는 제7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제2 측면의 제6 내지 제8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6 내지 제9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0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2 측면의 제6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UE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측면의 제12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획득한다.
제2 측면의 제11 내지 제1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제2 측면의 제11 내지 제14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5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15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6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4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5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제2 측면의 제16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2 측면의 제17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5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시그널링은 상기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은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을 제공하며,
기지국에 의해,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direct current component,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임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3 측면을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이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상기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반송파의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DC 부반송파 각각은,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사용자 장치(UE)가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제3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제3 측면의 제6 또는 제7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제3 측면의 제6 내지 제8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제3 측면의 제6 내지 제9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0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3 측면의 제6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들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제3 측면의 제6 내지 제11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2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들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3 측면의 제6 내지 제12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1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UE에게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3 측면의 제14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5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UE에 의해 획득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15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6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에게 제2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16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7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에게 제3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17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8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4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함 -;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제3 측면의 제18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3 측면의 제19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에게 제4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에게 제5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시그널링은 상기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4 측면은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을 제공하며,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direct current component,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임 -; 및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4 측면을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것을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것을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2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상기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3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UE)가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제4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제4 측면의 제6 또는 제7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제4 측면의 제6 내지 제8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것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제6 내지 제9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0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제4 측면의 제6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UE가,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한다.
제4 측면,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11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4 측면의 제12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UE는 상기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획득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1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UE가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14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UE가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15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6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4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4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됨 -; 및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제4 측면의 제16 가능한 구현예를 참고한, 제4 측면의 제17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UE가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UE가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5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시그널링은 상기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가 결정되고, 여기서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고,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어, 기지국이, UE에게, 액세스를 위한 두 개의 후보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이한 위치들에서 검출된 간섭 상태에 따라서 위치를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어서, 상이한 기지국들이 두 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모든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들의 전송 위치들 사이의 충돌을 감소시키고, 모들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할 때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분명한 것은, 이어질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창작 능력 없이도 다른 도면을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제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제2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의 제1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의 제2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의 제3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의 제4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제3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제4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술한다. 분명한 것은,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단지 일부일 뿐이다. 창작 능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각 LTE 반송파는 하위 호환적(backward compatible)이다. 즉, 각 후속 릴리스의 LTE 시스템은 이전의 릴리스에서의 LTE UE의 액세스를 항상 지원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 후속 릴리스에서 LTE 반송파에 대해, 모든 주파수 대역 상에서 모든 서브프레임 내에서, PSS 및 SSS, PBCH,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및 릴리스 8의 LTE 시스템에서의 것들과 동일한 자원 위치 및 동일한 전송 방법을 갖는 기타 같은 종류의 것이 전송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PSS 및 SSS를 전송하는 주기는 5개의 서브프리엠이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PSS 및 SSS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에서 DC에 대하여 대칭인 72개의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도메인에서, PSS 및 SSS는 두 개의 심볼을 점유하며, 심들들의 위치 사이에 미리 정의된 관계가 있다. 또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그리드에 위치한다. 즉,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PBCH 전송 방식은 다음과 같다. 시간 도메인에서, PBCH는 서브프레임 0 내의 두 번째 시간슬롯에서 첫 번째 네 개의 심볼을 점유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PBCH는 또한 반송파의 72개의 중심 부반송파의 주파수 도메인 폭 내에 위치된다. PBCH는 다운링크 반송파 대역폭을 운반한다. 따라서, PBCH가 제거되기 전에, 현재 검출된 반송파의 72개의 중심 부판송파의 자원 블록의 주파수 도메인 폭을 갖는 다운링크 대역폭만이 확인될 수 있다. 즉, 동기 신호와 PBCH 둘 다 반송파의 72개의 중심 부반송파의 자원 블록의 주파수 도메인 폭을 갖는 다운링크 대역폭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PBCH에 관련된 72개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폭은 액세스 대역폭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SIB는 또한 SIB 1 내지 SIB 13으로 나뉠 수 있다. SIB 1을 전송하는 주기는 20 ms이다. 시간상, SIB 1은 짝수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5에 위치되고, SIB1의 주파수 자원은 PSCCH에 기초하여 스케줄된다. PDCCH는 공통 탐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즉 모든 UE가 검출되어야 하는 탐색 공간 내에 위치된다. 또 다른 SIB의 전송 시간은 SIB 1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또 다른 SIB의 주파수 자원은 또한 PDCCH에 기초하여 스케줄된다. PDCCH는 제어 영역 내에 위치된다. 시간 도메인에서, 제어 영역은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n개의 심볼 상에 위치되며, n은 자연수 1 내지 4 중 하나이며, 제어 영역은 주파수 도메인 내의 전체 반송파 대역폭을 점유한다. 제어 영역에서 전송되는 PDCCH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인터리빙에 의해, 전체 대역폭 상에 분산된다.
UE가 LTE 시스템을 액세스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UE는 PSS를 검출하고, 그 후, 심볼 동기, 서브프레임 동기, 및 프레임 동기를 포함하는 초기 시간 주파수 동기를 구현하기 위해, PSS와 SSS 사이의 시간 도메인 위치 관계에 따라서 SSS를 검출한다. 또한, UE는 검출된 PSS와 SSS의 시퀀스 조합을 사용하여 물리 셀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고, PSS와 SSS 사이의 시간 간격을 사용하여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cyclic prefix length)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 UE는 셀을 측정하기 위해 CRS를 결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가 비교적 양호하면, UE는 시스템 정보를 계속 판독할 수 있다. 즉,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 CRS의 안테나 포트, 시스템 프레임 번호,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구성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해 먼저 PBCH를 판독하고, 다음에 SIB 1을 판독한 후,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해 SIB2를 판독한다.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경우, UE는 기지국에의 무선 링크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후,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표 1]은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주파수 대역폭과 전송 대역폭 사이의 대응관계의 표이다. 주파수 대역폭의 단위는 MHz이고, 전송 대역폭의 단위는 PRB의 개수이다. [표 1]로부터,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이 100개의 PRB에 대응하는 최대 20 MHz의 주파수 대역폭을 지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파수 대역폭 1.4 3 5 10 15 20
자원 블록 개수 6 15 25 50 75 100
현재의 LTE 시스템에서, UE의 수신 대역폭 능력은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폭 능력보다 높거나 같다. 예를 들어, UE가 20 MHz의 수신 능력을 가지고 있고, 네트워크의 전송 능력은 20 MHz일 수 있거나, 또는 10 MHz일 수 있다. 이 경우, UE가 반송파의 중심에서 PBCH로부터 전체 반송파 대역폭을 획득하게 되면, UE는, UE의 최후의 수신/전송 대역폭이 기지국의 전송/수신 대역폭과 동일할 수 있도록, 전체 대역폭을 통해 신호를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LTE 시스템의 진화와 함께, 장래의 LTE 시스템은 적어도 20 MHz보다 더 높은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다수의 UE 능력, 예를 들어, 일부 저수준의 UE 또는 이전에 릴리스된 UE의 액세스 대역폭 능력이 지원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및/또는 기저대역의 대역폭 능력은, 즉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폭보다 더 낮도록 제한된다. 이들 저수준의 UE는, 예를 들어, 기계 UE들일 수 있다. 또한, 이전에 릴리스된 UE는 최대 20 MHz의 대역폭을 지원하고, 이전에 릴리스된 UE의 통신 호환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대역폭의 능력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일부 비표준 대역폭이 있다. 그러나, 무선 주파수 구현과 같은 측면을 고려하면, [표 1]에서의 6개의 표준 대역폭 이외의 다른 비표준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 지나치게 복잡한 구현이 UE에 도입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설계 측면에서, 다양한 대역폭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UE는 여전히 비교적 낮은 표준 대역폭이나 표준 대역폭 조합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이 6 MHz인 경우, UE는 5 MHz 표준 대역폭을 사용하여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구체적인 선택 표준 대역폭은 비표준 시스템 대역폭보다 낮은 임의의 표준 대역폭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UE가 가능한한 많은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여 비교적 높은 스루풋을 획득할 수 있도록, 비표준 시스템 대역폭보다 낮은 최대의 표준 대역폭이 선택될 수 있다), 네트워크와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 대역폭이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폭보다 낮은 UE의 수신 능력 요구사항이 지원되어야 하거나, 또는 전송 대역폭이 네트워크의 수신 대역폭보다 낮은 UE의 전송 능력 요구사항이 지원되어야 한다. 또한, UE는 표준 대역폭을 결합하거나 분할함으로써 비표준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이 6 MHz인 경우, UE는 두 개의 5 MHz 표준 대역폭을 결합하고나 분할함으로써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두 개의 5 MHz 반송파들 사이에 중첩이 있더라도, UE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의 스루풋과 최고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시스템 대역폭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표준 대역폭을 사용하여 액세스가 수행되는 경우, 하나의 가능한 설계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UE가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는 위치가 반송파 상의 중심 위치가 아닐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반송파가 유연하게 사용되고 구성될 수 있도록, 그 반송파가 복수의 위치에서 초기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UE는 중심으로써 DC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서만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설계 해결수단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반송파 상에 DC 부반송파를 구성하는 방법이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와 같이, 상이한 능력을 갖는 UE는 (반송파 상에서 중심 위치가 아닌 위치를 포함하는) 상이한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반송파를 통해 유연하게 참조 정보(reference information), 제어 채널,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이한 반송파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및 반송파 사용이 이전에 릴리스된 LTE UE에 대해 구현될 수 있고, 기지국과의 정상적인 통신이 유지되며, 하위 호환성이 구현된다. 게다가, 간섭이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새로이 릴리스되는 UE 및 이전에 릴리스된 UE의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덜 미치도록, DC 부반송파 구성을 구현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은, 반송파 상의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반송파 상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 상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며, 제1 DC 부반송파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LTE 시스템에서 모든 UE가,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에 따라서, 반송파의 중심에서의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한 액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리 모듈은 반송파 상의 두 개의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이들은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별개이다. 처리 모듈이 두 개의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시퀀스는 없다. 일반적으로, 처리 모듈은 두 개의 DC 부반송파를 동시에 결정한다.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 상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모든 UE는 반송파 상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해야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의 처리 모듈이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를 별개로 결정하고, 제1 DC 부반송파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 상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2 DC 부반송파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즉, 처리 모듈은 반송파 상에서 두 개의 DC 부반송파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이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여전히 제2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가 액세스 대역폭으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가 액세스 대역폭으로서 사용된다.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이것은 LTE 시스템에서 규정된 UE 스캐닝 입도(scanning granularity)가 100 KHz이기 때문이다. 즉, UE는 100 KHz의 그리드에서 액세스 대역폭을 스캔한다.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UE의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100 KHz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하위 호환성 설계는, 새로이 릴리스되는 UE가 반송파 스캐닝에 대한 구현 알고리즘을 변경하지 않고 액세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또한 유지된다.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즉, 제2 DC 부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는 기지국의 구현에 종속되며, 100 KHz의 정수배가 아닐 수 있다.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는 100 KHz의 그리드에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2 DC 부반송파가 UE, 특히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UE의 액세스를 지원하고,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의 방법(즉, UE의 액세스를 구현하기 위해,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이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방법)이 액세스 방법으로 사용된다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는 100 KHz의 그리드에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따르면,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가 결정되며, 여기서, 기지국이, UE에게, 엑세스를 위한 두 개의 후보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 상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상이한 기지국들이 두 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상이한 위치에서 검출된 간섭 상태에 따라서 위치를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랜덤하게 위치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의 전송 위치들 사이에 충돌을 감소시킬 수 있고,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에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통지를 미리 한정하거나 또는 시그널링(signaling) 통지에 의해, 하나의 반송파 상의 제1 DC 부반송파의 하나 이상의 후보 위치가 잠재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신호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이한 위치에서 검출된 간섭 상태에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 부반송파의 하나 이상의 후보 위치가 있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의 전송 위치들 사이의 충돌이 감소되고,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의 간섭이 감소된다. 확실하게도, 하나의 반송파 상의 제1 DC 부반송파의 하나 이상의 구성이 또한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이러한 반송파 상에서, 액세스를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의 충돌 및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에 따라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반송파 상의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직교성을 보장하기 위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이다. 다른 측면으로, 상이한 셀들에 대해, 예를 들어, 제1 셀은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여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제2 기지국은 제2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여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경우,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에서의 각 부반송파가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에서의 각 부반송파에 정렬될 수 있음으로써, 두 개의 셀들 사이의 간섭의 조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이 15 KHz이다.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5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에 따르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LTE 시스템에서의 UE 스캐닝 입도가 100 KHz이기 때문에, 제2 DC 부반송파가 UE의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100 KHz의 그리드로 또한 구성되는 경우,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또한 100 KHz의 정수배일 필요가 있다.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것을 참조하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현재의 LTE 시스템에서의 하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이 15 KHz이고, 15 KHz와 100 KHz의 최소공배수가 300 KHz이기 때문에,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300 KHz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에 따르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PRB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12개의 연속되는 부반송파(한 개의 PRB는 비어있는 DC 부반송파 이외의 주파수 도메인 내에서 12개의 연속되는 가용한 부반송파를 포함함)를 포함하며; 따라서, 한 개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180 KHz이다. 반송파 상의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UE가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여,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UE는, PBCH에 의해 지시되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서, 전술한 72개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PRB들의 정렬과 위치를 결정한다. 상이한 UE에 의해 관찰되는 PRB가 정렬 가능할 수 있도록, 반송파에 포함된 PRB가 중심에 정렬되고 번호가 붙을 수 있는 것과 기지국이 전체 PRB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가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고, 상이한 UE가 상이한 DC 부반송파를 통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정수 개수의 PRB가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상이한 UE에 의해 관찰되는 PRB 자원들 사이에 인터리빙 및 중첩이 회피될 수 있고, 또한 PRB 입도를 사용하여 두 개의 셀들 사이의 간섭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또한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전술한 측면을 참고하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고, 한 개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180 KHz이며, 15 KHz, 100 KHz, 및 180 KHz의 최소공배수는 900 KHz이다.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9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에 따르면,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제2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PRB에 속한다.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DC 부반송파는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즉, 전체 반송파에 대해,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적인 부반송파가 있다.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에 따르면,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제2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PRB에 속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다면, 반송파 상의 부반송파의 개수와 반송파 상의 PRB의 개수는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의 것과 동일하고, 반송파의 어느 쪽의 보호 대역폭(guard bandwidth)도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것과 동일하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호한성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으며, 또한, 원래의 LTE 시스템에서의 설계 파라미터와 지시자의 요구사항도 또한 유지되고, 기지국과 UE의 현재의 구현 알고리즘이 재사용되며, 추가적인 구현 복잡도가 도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표준화 영향도 받지 않는다.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DC 부반송파는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에 따르면,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중심 위치에 위치되지 않고, 제1 DC 부반송파는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제2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중심 위치에 위치되고, 제2 DC 부반송파는 PRB에 속한다. 이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900 KHz의 정수배인 경우, 반송파의 모든 PRB가 정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부반송파들이 위치되는 PRB가 정렬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부반송파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PRB 이외의 다른 PRB의 경계가 정렬된다. 이와 같이, 반송파 상의 PRB가 가능한한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됨으로써, 기지국의 데이터 스케줄링 및 셀 간섭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에 따르면,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의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 상에 위치되고,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액세스 대역폭은 반송파에 대한 중심 주파수에 위치된다. 즉, UE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서만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DC 부반송파는, UE가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으로서 사용됨으로써, 다중 셀의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이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에 모두 위치되어 발생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기지국에 따르면, 처리 모듈은 반송파 상에서 적어도 한 개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각 제3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한 명의 사용자 장치(UE)가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을 액세스하는 UE의 관점으로, 제3 DC 부반송파는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기지국을 액세스하는 각 UE는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에 대응하고, 상이한 유형의 UE 또는 상이한 능력을 갖는 UE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의 관점으로, 각 제3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UE가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상이한 UE는 상이한 수신 반송파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의 수신 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체 전송 반송파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과 같거나, 또는 UE의 수신 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의 일부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과 같지 않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보다 더 높다. 이와 같이, 상이한 유형의 UE 또는 상이한 능력을 갖는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은 상이할 수 있고, UE의 제3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에서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관점으로, 반송파 상에 하나 이상의 DC 부반송파가 있고, 이들 제3 DC 부반송파는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 구현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LTE 시스템에서 설계된 UE 스캐닝 입도가 100 KHz인 것을 고려하면,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UE의 관점으로, 제3 DC 부반송파는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 즉, UE가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기지국의 관점으로, 제3 DC 부반송파는 제1 DC 부반송파 또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될 수 있다.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의 모든 PRB가 UE의 수신 반송파의 모든 PRB에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는 반송파 상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가 반송파 상의 PRB에 속한다.
마찬가지로, 부반송파 정렬과 UE 스캐닝 입도 둘 다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다. 따라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3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부반송파 정렬, UE 스캐닝 입도, 및 PRB 정렬 모두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고, 한 개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180 KHz이다. 따라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9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임의의 UE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가 100 KHz의 그리드를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들 사이의 간격은 3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정수 개수의 PRB 입도에 의해 이격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고, 한 개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180 KHz이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들 사이의 간격은 900 KHz의 정수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은,
처리 모듈(11) 및 전송 모듈(12)을 포함하며, 여기서 처리 모듈(11)은 전술한 기지국 실시예에서의 처리 모듈의 처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12)은, 제2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다음의 신호, 즉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DC 부반송파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즉, 제2 DC 부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UE는 통상적으로 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UE의 제로 중간 주파수 시스템에서의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은 수신단에서 DC 반송파에 대해 매우 심각한 간섭을 유발한다. 기지국은, DC 반송파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의 간섭이 무시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을 위해 넌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거나 또는 억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러나, 비용 감소를 고려하거나 또는 간섭이 없기 때문에 기지국이 때때로 구현을 단순화하는 상황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UE가 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는 경우,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가 간섭을 많이 받게 된다. 그 결과, UE는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제2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UE에 대해, 기지국의 전송단의 넌제로 중간 주파수 또는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의,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에 대한, 영향과 같은 구현 작동 인자, 또는 기지국이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을 위해 억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그리고, 특히 넌제로 중간 주파수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의, 전송단에 대한, 적은 영향에 따라서, 기지국은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DC 부반송파가 UE의 제3 DC 부반송파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UE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할 수 있다. 간섭의 분석에 따라서, 기지국의 전송단의 넌제로 중간 주파수 또는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에 대한 기지국측의 경우, 두 가지 처리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 UE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전송 모듈(12)이 제어 채널, 기준 심볼, 또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이전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의 UE에 대해 매우 중요하며, UE는 액세스 대역폭 위치 변경에 의해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여전히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하위 호환성이 잘 유지된다. 기지국측에 대해, 하위 호환성은 다른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할 필요없이 구현될 수 있으며, 정상적인 통신은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의 UE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DC 반송파에 대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의 간섭이 무시될 수 있도록, 기지국의 전송단은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을 위해 넌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거나 또는 억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은 기지국의 전송단의 중심 부반송파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새로운 릴리스의 LTE 시스템에서의 UE에 대해, 데이터 전송이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즉, 전송 모듈(12)이 여전히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모듈(12)은 새로운 릴리스의 UE에게 제어 채널, 기준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가 이러한 반송파를 통해 정상적으로 수신되어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기지국의 전송 모듈(12)은 이러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거나, 또는 기지국의 전송 모듈(12)은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UE는 간섭으로 인해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복조할 수 없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새로운 릴리스의 LTE 시스템의 UE에게 기지국의 전송 모드를 통지해야 한다. 즉, UE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복조할 수 없다. 이 경우, 새로운 릴리스의 LTE 시스템에서의 UE는, 제2 DC 부반송파에 대해, 제어 채널, 기준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통한 처리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폐기(discarding) 또는 데이터 매칭(data matching) 또는 펑처링(puncturing)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경우에 따라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되는 경우,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전달해야 하거나, 또는 UE는, 기본적으로,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직류 컴포넌트(DC) 부반송파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다. 기지국측의 경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한 두 가지 처리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 전송 모듈(12)은 제어 채널, 기준 심볼, 또는 데이터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식은 기지국의 네트워크에서의 UE 분포 상태에 좌우된다. 기지국의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UE가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모든 UE가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에 따라서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한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또는 UE가, 기본적으로, UE들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전송 모듈(12)은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력이 감소되고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제1 DC 부반송파가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기 때문에, 기지국이나 UE의 관점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전송 모듈(12)은 제1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UE는,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따라서,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시그널링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explicityly) 또는 묵시적(implicitly)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즉, 처리 모듈(11)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한 후, 전송 모듈(12)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UE에게 통지하기 위해, UE에게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UE는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DC 부반송파가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고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UE는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복조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시그널링은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시그널링이다.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 시그널링이면,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 시그널링이면, 제1 시그널링은 동기 채널 위치에서의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수행하여 UE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동기 채널 및/또는 방송 채널을 전송하고, 동기 채널 및/또는 방송 채널을 위한 맵핑(mapping) 및 전송 방법은 LTE 시스템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UE는 원래의 LTE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방식에 따라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는 제1 DC 부반송파로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따라서,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제2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2 시그널링은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즉, 처리 모듈(11)이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한 후, 전송 모듈(12)은,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UE에게 통지하기 위해, UE에게 제2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UE는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와,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DC 부반송파가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UE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복조하는 지의 여부와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복조하기 위한 특정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2 DC 부반송파가 요구된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운반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전송된 제2 시그널링이 UE에게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가 요청된 신호를 운반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UE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한 복조를 수행하지 않지만,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한 레이트 매칭 처리(rate matching processing)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펑쳐(puncture)하고 수신하지 않는다. 전송된 제2 시그널링이 UE에게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가 요청된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운반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경우, UE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한 복조를 수행하고, 제어 체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한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제2 DC 부반송파가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부반송파를 관찰할 수 있는 모든 UE에 대한 처리 방식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시그널링은 RRC 방송 시그널링일 수 있고, SIB 메시지 등을 사용하여 UE에게 통지될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따라서,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제3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한 개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즉, 처리 모듈(11)은 적어도 한 개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한 후, 전송 모듈(12)은,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UE에게 통지하기 위해, UE에게 제3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UE는 각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전송 모듈(12)이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제3 DC 부반송파가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반송파에 대한 간섭이 있다. 이 경우, UE는 제3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고 부반송파를 처리할 수 있다. 즉, UE는 부반송파를 버리고, 데이터 수신 또는 복조를 수행하지 않는다. 제3 DC 부반송파가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와 다른 위치를 갖는다면, 즉, 제3 DC 부반송파와 UE의 수신 반송파의 DC 부반송파가 동일한 반송파가 아니고, 두 개의 부반송파의 위치가 중첩되지 않으면, UE는, 제3 시그널링에 따라서, UE가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한 데이터 수신 또는 복조를 수행하는지의 여부와,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한 데이터 수신 또는 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특정 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3 DC 부반송파가 요청된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DC 부반송파는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따라서, 처리 모듈(11)은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4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로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제5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릴리스 UE에 대해, 기지국측의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유사하게, 새로운 DC 부반송파 위치가 또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따라서, 처리 모듈(11)은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4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로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된다. 각 UE의 전송 반송파는 대응하는 중심 주파수를 갖는다.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한 후, 처리 모듈(11)은, 제4 DC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처리 모듈(11)은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5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기지국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이 UE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제5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한 후, 처리 모듈(11)은, 제5 DC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따르면,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제4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UE에게 제5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4 시그널링은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5 시그널링은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처리 모듈(11)은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한 후, 전송 모듈(12)은,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UE에게 통지하기 위해, UE에게 제4 DC 부반송파를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UE는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전송 모듈(12)이 제4 DC 부반송파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고, 기지국은 또한,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에서, UE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처리 모듈(11)이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한 후,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 UE에게 제5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5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UE는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모듈(12)은 UE에게 전송 모듈(12)이 제5 DC 부반송파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고, 기지국은 또한,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에서, UE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의 릴리스의 LTE 시스템에서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UE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는 처리 모듈(21) 및 수신 모듈(2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UE의 한가지 구현 방법으로, 처리 모듈(21)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고,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며, 제1 DC 부반송파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모든 UE가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해야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21)이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제1 DC 부반송파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며, 제2 DC 부반송파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즉, 처리 모듈(21)은 반송파의 두 개의 DC 부반송파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 상의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여전히 제2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 상의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가 액세스 대역폭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제2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가 액세스 대역폭으로 사용된다. UE는 제1 DC 부반송파 또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이것은 LTE 시스템에서 규정된 UE 스캐닝 입도가 100 KHz이기 때문이다. 즉, UE는 100 KHz의 그리드에서 액세스 대역폭을 스캔한다.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 UE의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100 KHz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새로운 릴리스의 UE가 반송파 스캐닝을 위한 구현 알고리즘을 변경하지 않고 액세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위 호환성 설계가 또한 유지된다.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즉, 제2 DC 부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는 기지국의 구현에 좌우되고, 100 KHz의 정수배가 아닐 수도 있다.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는 100 KHz의 그리드가 아닐 수 있도. 그러나, 제2 DC 부반송파가 UE, 특히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UE의 액세스를 지원하고,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의 방법(즉,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이, UE의 액세스를 구현하기 위해,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됨)이 액세스 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는 100 KHz의 그리드일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가 결정되며, 여기서, UE가 두 개의 가능한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상이한 기지국들이 두 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상이한 위치에서 검출되는 간섭 상태에 따라서 위치를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모든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의 전송 위치들 사이의 충돌을 감소시킬 수 있고, 모든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직교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제2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과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처리 모듈(21)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3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3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사용자 장치(UE)가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가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수신 모듈(22)은 제2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다음의 신호, 즉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수신 모듈(22)은 처리 모듈(21)이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시그널링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 시그널링인 경우, 제1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 시그널링인 경우, 수신 모듈은 동기 채널 위치 상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제1 시그널링을 획득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수신 모듈(22)은 결정 모듈(21)이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2 시그널링은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수신 모듈(22)은 결정 모듈(21)이 반송파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한 개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처리 모듈(21)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4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4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제5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에 따라서, 수신 모듈(22)은 결정 모듈(21)이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결정 모듈이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5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4 시그널링은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5 시그널링은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UE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DC 부반송파, 제2 DC 부반송파, 및 제3 DC 부반송파를 위한 구성 및 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제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01: 기지국은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위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단계 S302: 기지국은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LTE 시스템에서 모든 UE가 반송파의 중심에 있는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액세스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은 반송파의 두 개의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두 개의 DC 부반송파는 개별적으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이다. 단계 S301과 단계 S302를 수행하기 위한 시퀀스는 없다. 일반적으로, 단계 S301과 단계 S302는 동시에 수행된다.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모든 UE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해야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를 개별적으로 결정하고, 제1 DC 부반송파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2 DC 부반송파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즉, 기지국은 반송파의 두 개의 DC 부반송파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이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여전히 제2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가 액세스 대역폭으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제2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가 액세스 대역폭으로서 사용된다.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이것은 LTE 시스템에서 규정된 UE 스캐닝 입도가 100 KHz이기 때문이다. 즉, UE는 100 KHz의 그리드에서 액세스 대역폭을 스캔한다.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UE의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100 KHz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하위 호환성 설계는, 새로이 릴리스되는 UE가 반송파 스캐닝에 대한 구현 알고리즘을 변경하지 않고 액세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또한 유지된다.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즉, 제2 DC 부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는 기지국의 구현에 종속되며, 100 KHz의 정수배가 아닐 수 있다.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는 100 KHz의 그리드에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2 DC 부반송파가 UE, 특히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UE의 액세스를 지원하고,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의 방법(즉, UE의 액세스를 구현하기 위해,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이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방법)이 액세스 방법으로 사용된다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는 100 KHz의 그리드에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에 따르면,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가 결정되며, 여기서, 기지국이, UE에게, 엑세스를 위한 두 개의 후보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상이한 기지국들이 두 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상이한 위치에서 검출된 간섭 상태에 따라서 위치를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랜덤하게 위치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의 전송 위치들 사이에 충돌을 감소시킬 수 있고,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에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통지를 미리 한정하거나 또는 시그널링 통지에 의해, 하나의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의 하나 이상의 후보 위치가 잠재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신호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이한 위치에서 검출된 간섭 상태에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 부반송파의 하나 이상의 후보 위치가 있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의 전송 위치들 사이의 충돌이 감소되고,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의 간섭이 감소된다. 확실하게도, 하나의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의 하나 이상의 구성이 또한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이러한 반송파에서, 액세스를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모든 셀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의 충돌 및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위치가 반송파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상이한 능력을 갖는 UE들이 상이한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이한 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40 MHz의 경우, UE가 최대 20 MHz의 반송파 액세스와 사용 능력만을 지원하는 경우, UE는 40 MHz 반송파에 대해 정의된 제1 DC 부반송파를 통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20 MHz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UE가 최대 40 MHz의 반송파 액세스와 사용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UE는 40 MHz 반송파에 대응하는 다른 DC 부반송파로서 40 MHz의 중심 주파수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일 수 있는 DC 부반송파를 통해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40 MHz 전체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낮은 능력과 낮은 비용을 갖는 UE의 경우, 비록 반송파 대역폭이 20 MHz이거나,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의 다른 표준 대역폭, 또는 비표준 대역폭을 가질지라도, UE는 부분적인 대역폭만을 사용할 수 있고, 20 MHz 반송파에 대해 정의된 제1 DC 부반송파를 통해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20 MHz 반송파의 일부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고, 여기서, 대역폭은 적어도 7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다른 UE는 20 MHz 반송파에 대응하는 다른 DC 부반송파로서 20 MHz의 중심 주파수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인 다른 부반송파를 통해 액세스를 수행하고, 20 MHz 대역폭 전체를 사용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제2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DC 부반송파는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즉, 전체 반송파에 대해,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적인 부반송파가 있다.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제2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다면, 반송파의 부반송파의 개수와 반송파의 PRB의 개수가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의 것과 동일하고, 반송파의 어느 쪽의 보호 대역폭도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의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것과 동일하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호환성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으며, 또한, 원래의 LTE 시스템에서의 설계 파라미터와 지시자의 요구사항도 또한 유지되고, 기지국과 UE의 현재의 구현 알고리즘이 재사용되며, 추가적인 구현 복잡도가 도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표준화 영향도 받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반송파에 대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직교성을 보장하기 위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이다. 다른 측면으로, 상이한 셀들에 대해, 예를 들어, 제1 셀은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여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제2 기지국은 제2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여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경우,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에서의 각 부반송파가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에서의 각 부반송파에 정렬될 수 있음으로써, 두 개의 셀들 사이의 간섭의 조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다.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5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LTE 시스템에서 UE 스캐닝 입도가 100 KHz이기 때문에, 제2 DC 부반송파가 UE의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100 KHz의 그리드로 또한 구성되는 경우,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또한 100 KHz의 정수배일 필요가 있다.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것을 참조하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현재의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이 15 KHz이고, 15 KHz와 100 KHz의 최소공배수가 300 KHz이기 때문에,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300 KHz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PRB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12개의 연속되는 부반송파(한 개의 PRB는 비어있는 DC 부반송파 이외의 주파수 도메인 내에서 12개의 연속되는 가용한 부반송파를 포함함)를 포함하며; 따라서, 한 개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180 KHz이다.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UE가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여,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UE는, PBCH에 의해 지시되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서, 전술한 72개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PRB들의 정렬과 위치를 결정한다. 상이한 UE에 의해 관찰되는 PRB가 정렬 가능할 수 있도록, 반송파에 포함된 PRB가 중심에 정렬되고 번호가 붙을 수 있는 것과 기지국이 전체 PRB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가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고, 상이한 UE가 상이한 DC 부반송파를 통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정수 개수의 PRB가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상이한 UE에 의해 관찰되는 PRB 자원들 사이에 인터리빙 및 중첩이 회피될 수 있고, 또한 PRB 입도를 사용하여 두 개의 셀들 사이의 간섭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또한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전술한 측면을 참고하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고, 한 개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180 KHz이며, 15 KHz, 100 KHz, 및 180 KHz의 최소공배수는 900 KHz이다.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900 KHz의 정수배이다.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DC 부반송파는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중심 위치에 위치되지 않고, 제1 DC 부반송파는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제2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중심 위치에 있고, 제2 DC 부반송파는 PRB에 속한다. 이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900 KHz의 정수배인 경우, 반송파의 모든 PRB가 정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부반송파들이 위치되는 PRB가 정렬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부반송파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PRB 이외의 다른 PRB의 경계가 정렬된다. 이와 같이, 반송파의 PRB가 가능한한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됨으로써, 기지국의 데이터 스케줄링 및 셀 간섭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DC 부반송파는 또한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기존의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 액세스 대역폭은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에 위치된다. 즉, UE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서만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DC 부반송파는, UE가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으로 사용됨으로써, 다중 셀의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이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에 모두 위치되어 발생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제2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01: 기지국은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위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단계 S402: 기지국은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단계 S403: 기지국은 반송파의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각 제3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UE가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에서, 기지국은 반송파의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를 추가로 결정한다.
기지국을 액세스하는 UE의 관점으로, 제3 DC 부반송파는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기지국을 액세스하는 각 UE는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에 대응하고, 상이한 유형의 UE 또는 상이한 능력을 갖는 UE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의 관점으로, 각 제3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UE가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상이한 UE는 상이한 수신 반송파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의 수신 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체 전송 반송파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과 같거나, 또는 UE의 수신 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과 같지 않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보다 더 높다. 이와 같이, 상이한 유형의 UE 또는 상이한 능력을 갖는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은 상이할 수 있고, UE의 제3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에서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관점으로, 반송파 상에 하나 이상의 DC 부반송파가 있고, 이들 제3 DC 부반송파는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 구현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LTE 시스템에서 설계된 UE 스캐닝 입도가 100 KHz인 것을 고려하면,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UE의 관점으로, 제3 DC 부반송파는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 즉, UE가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기지국의 관점으로, 제3 DC 부반송파는 제1 DC 부반송파 또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될 수 있다.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의 모든 PRB가 UE의 수신 반송파의 모든 PRB에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상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가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마찬가지로, 부반송파 정렬과 UE 스캐닝 입도 둘 다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다. 따라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3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부반송파 정렬, UE 스캐닝 입도, 및 PRB 정렬 모두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고, 한 개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180 KHz이다. 따라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9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임의의 UE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가 100 KHz의 그리드를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들 사이의 간격은 3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정수 개수의 PRB 입도에 의해 이격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한 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15 KHz이고, 한 개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180 KHz이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들 사이의 간격은 9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이하의 신호들, 즉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2 DC 부반송파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즉, 제2 DC 부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UE는 통상적으로 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UE의 제로 중간 주파수 시스템에서의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은 수신단에서 DC 반송파에 대해 매우 심각한 간섭을 유발한다. 기지국은, DC 반송파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의 간섭이 무시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을 위해 넌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거나 또는 억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따라서, UE가 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는 경우,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가 간섭을 많이 받게 된다. 그 결과, UE는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제2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UE에 대해, 기지국의 전송단의 넌제로 중간 주파수 또는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의,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에 대한, 영향과 같은 구현 작동 인자, 또는 기지국이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을 위해 억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그리고, 특히 넌제로 중간 주파수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의, 전송단에 대한, 적은 영향에 따라서, 기지국은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DC 부반송파가 UE의 제3 DC 부반송파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UE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할 수 있다. 간섭의 분석에 따라서, 기지국의 전송단의 넌제로 중간 주파수 또는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에 대한 기지국측의 경우, 두 가지 처리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 UE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제어 채널, 기준 심볼, 또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의 UE에 대해 매우 중요하며, UE는 액세스 대역폭 위치 변경에 의해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여전히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하위 호환성이 잘 유지된다. 기지국측에 대해, 하위 호환성은 다른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할 필요없이 구현될 수 있으며, 정상적인 통신은 릴리스 R8 내지 R12의 LTE 시스템에서의 UE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새로운 릴리스의 LTE 시스템에서의 UE에 대해, 데이터 전송이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즉, 여전히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은 새로운 릴리스의 UE에게 제어 채널, 기준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가 이러한 반송파를 통해 정상적으로 수신되어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기지국은 이러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UE는 간섭으로 인해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복조할 수 없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새로운 릴리스의 LTE 시스템의 UE에게 기지국의 전송 모드를 통지해야 한다. 즉, UE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복조할 수 없다. 이 경우, 새로운 릴리스의 LTE 시스템에서의 UE는, 제2 DC 부반송파에 대해, 제어 채널, 기준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통한 처리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폐기(discarding) 또는 데이터 매칭(data matching) 또는 펑처링(puncturing)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경우에 따라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되는 경우, 기지국은, UE에게,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전달해야 하거나, 또는 UE는, 기본적으로,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직류 컴포넌트(DC) 부반송파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다. 기지국측의 경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한 두 가지 처리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 기지국은 제어 채널, 기준 심볼, 또는 데이터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식은 기지국의 네트워크에서의 UE 분포 상태에 좌우된다. 기지국의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UE가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모든 UE가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에 따라서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한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또는 UE가, 기본적으로, UE들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력이 감소되고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제1 DC 부반송파가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기 때문에, 기지국이나 UE의 관점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제1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UE는,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은 이하에서 구체적일 실시예를 사용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의 개략적인 제1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퀀스(501)는 기지국(51)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고, 시퀀스(502)는 UE(52)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며, 시퀀스(503)는 UE(53)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다. 도 5에서 기지국(51)의 반송파 대역폭은 20 MHz이고, 0 내지 99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번호가 부여된 전체 100개의 PRB를 포함한다. 시퀀스(501)에서, 소팅(sorting)은 번호가 95인 PRB에서 시작하여 번호가 94인 PRB에서 끝나는 PRB들에 대해 순서적으로 수행된다. 반송파에서 100개의 PRB와 반송파의 일측의 보호 대역폭(504)은 연대하여 20 MHz 대역폭을 형성한다. 시퀀스(501)에서, 제1 DC 부반송파(505)는 번호가 24인 PRB와 번호가 25인 PRB 사이에 구성된다. 제1 DC 부반송파(505)는 비어있는 부반송파이고, 제1 DC 부반송파(505)는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제2 DC 부반송파(506)는 전체 반송파의 중심, 즉, 번호가 44인 PRB에 구성된다. 제2 DC 부반송파(506)는 번호가 44인 PRB 상의 부반송파이다. 제1 DC 부반송파(505)와 제2 DC 부반송파(506) 사이의 간격은 20 PRB, 즉 900 KHz의 정수배인 3600 KHz이며, 정수 개의 PRB를 포함한다.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한 액세스 대역폭은 제1 DC 부반송파(505)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 즉 번호가 22인 PRB부터 번호가 27인 PRB 상의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UE(52)의 대역폭은 또한 20 MHz이다. 즉, UE(52)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은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과 같다. UE(52)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7)는 UE(52)의 수신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 즉 번호가 44인 PRB에 위치된다. 또한,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505)에 대응하기 위해, 비어 있는 부반송파(508)도 또한, UE(52)의 수신 반송파 상에, 번호가 24인 PRB와 번호가 25인 PRB 사이에 구성된다. 또한, UE(2)의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51)은,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 상에, DC 부반송파(507)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를 구성해야 한다.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 상에 있으면서 UE(52)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는 제2 DC 부반송파(506)과 중첩한다. UE(52)가 제로 중간 주파수 설계를 사용하는 경우, UE(52)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7)는 간섭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UE(52)는 UE(52)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7)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전송 반송파 상에 있으면서 UE(52)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의 경우, 기지국(51)은 두가지 방식으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 기지국(51)은 제어 채널, 기준 심볼, 또는 데이터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식은 기지국(51)의 네트워크에서의 UE 분포 상태에 좌우된다. 기지국(51)의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UE가 이러한 DC 부반송파를 통해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모든 UE가 기지국(51)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에 따라서 이러한 DC 부반송파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 또는 UE가, 기본적으로, UE들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51)은 이러한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력이 감소되고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UE(53)의 대역폭은 10 MHz이다. 즉, UE(53)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은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보다 작고, UE(53)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은 액세스 대역폭에 관해 대칭이다. 따라서, UE(53)의 경우, UE(5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9)는 UE(53)의 수신 반송파 상에 있으면서 기지국(51)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한 중심 주파수에 있다. 따라서, 기지국(51)의 전송 주파수 상에 있으면서 UE(53)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는 제1 DC 부반송파(505)와 중첩한다. 따라서, DC 부반송파(509)는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며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는다. UE(53)의 경우, UE(5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숭파(505)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505)와 중첩하지만,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06)와 중첩하지 않는다. UE(53)가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UE(53)의 경우, UE(5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9)가 심한 간섭을 받게 된다. 따라서, UE(53)는 UE(5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9)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그러나, UE(5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9)는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505)와 중첩하고, 비어 있는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따라서, 기지국(51)이나 UE(53)의 관점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51)은 비어 있는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UE(53)는, 비어 있는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측면으로, UE(53)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9)는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6)와 중첩하지 않는다. 따라서, UE(53)의 경우, 기지국(51)의 전송단의 넌제로 중간 주파수 또는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의,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에 대한, 영향에 따라서, 특히 넌제로 중간 주파수 시스템의 무선 주파수 로컬 주파수 누설의, 전송단에 대한, 적은 영향에 따라서, 기지국(51)은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06)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부반송파가 UE(53)의 DC 부반송파(509)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UE(53)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할 수 있다. 기지국(51)의 경우, 기지국(51)의 전송단의 넌제로 중간 주파수 또는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전송 반송파의 DC 부반송파에 대한 간섭의 분석에 따라서, 두 가지 처리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 UE(53)와 같은 UE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기지국(51)이 제어 채널, 기준 심볼, 또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UE(53)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509)는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06)와 중첩하지 않는다. 이것은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 이전에 릴리스된 UE에 대해 매우 중요하며, UE는 액세스 대역폭 위치 변경에 의해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여전히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06)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하위 호환성이 잘 유지된다. 기지국(51)은 어떠한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할 필요없이 하위 호환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릴리스 R8 내지 R12의 이전에 릴리스된 UE와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새로운 릴리스의 UE에 대해, 데이터 전송이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즉, 데이터가 여전히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06)를 통해 정상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51)은 새로운 UE에게 제어 채널, 기준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가 이러한 반송파를 통해 정상적으로 수신되어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기지국(51)은 이러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거나, 또는 기지국(51)은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UE(53)는 간섭으로 인해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복조할 수 없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새로이 릴리스된 UE에게 기지국(51)의 전송 모드를 통지해야 한다. 즉, UE(53)는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06)를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복조할 수 없다. 이 경우, 새로운 UE는,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제어 채널, 기준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통한 처리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폐기(discarding) 또는 데이터 매칭(data matching) 또는 펑처링(puncturing)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경우에 따라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06)가 새로이 릴리스된 UE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 [표 2]를 참조하여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5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506)가 새로이 릴리스된 UE뿐만 아니라 이전에 릴리스된 UE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 [표 3]을 참조하여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채널이나 신호들에 대해 사용되는 표 또는 처리 방식은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새로이 릴리스된 UE에게 통지될 있다.
기준 신호/채널 DC 부반송파와 충돌을 피하기 위한 처리 방법 비고

CRS
(a) 충돌이 셀 식별자 계획에 의해 회피됨: 셀 식별자를 사용하여, CRS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도메인 부반송파 위치, 즉
Figure pct00001
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서, DC 부반송파 위치가 결정된 후, DC 부반송파와 CRS 사이의 충돌이 셀 식별자 선택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이것은, 추가의 표준 변경없이 지원될 수 있는 구현 기준의 방법이다.
(b) CRS 신호는 펑처링된다. 즉 CRS가 DC 부반송파와 충돌하는 경우, 부반송파 상의 CRS는 처리 중에 펑처링되고, UE는 CRS 채널 추정, 또는 측정이나 복조와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에게 통지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 (채널 상태 지시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dication Reference Signla, CSI-RS) CSI-RS가 DC 부반송파와 충돌하는 경우, 충돌된 CSI-RS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가 디스에이블되거나 또는 펑처링 조작(puncturing operation)이 충돌된 CSI-RS 자원 엘리먼트 상에서 수행된다. 충돌된 CSI-RS가 간섭을 받기 때문에, 측정과 같은 처리는 더 이상 충돌된 CSI-RS RE를 사용하여 수행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표준 변경없이 지원될 수 있는 구현 기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이 또한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에게 통지할 수있다.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DMRS가 DC 부반송파와 충돌하는 경우, 충돌된 DMRS RE는 디스에이블되거나(즉, CSI-RS 자원이 구성되지 않는다) 또는 펑처링 조작이 충돌된 DMRS RE 상에서 수행된다. 충돌된 DMRS가 간섭을 받기 때문에, 채널 추정과 같은 처리는 더 이상 충돌된 DMRS RE를 사용하여 수행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표준 변경없이 지원될 수 있는 구현 기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이 또한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에게 통지할 수있다.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PDSCH가 DC 부반송파와 충돌하고, DC 부반송파들 상에 간섭이 있는 경우(즉, DC 부반송파가 원하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운반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은 부반송파에 대한 처리방식을 UE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데이터 복조에 참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UE가 PDSCH를 수신하거나 PDSCH를 복조하는 경우 부반송파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DC 부반송파를 통해,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나 펑처링 처리가 PDSCH 채널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기지국은, 명시적이거나 또는 묵시적인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PDSCH의 부반송파로서 DC 부반송파와 충돌하는 부반송파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즉,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DC 부반송파를 통해 PDSCH 채널에 대한 레이트 매칭이나 펑처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인핸스트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DCCH, EPDCCH)
(a) PRB의 부반송파가 DC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DC 부반송파에 간섭이 있는 경우(즉, DC 부반송파가 원하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운반할 수 없는 경우), PRB는 EPDC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없다. 이것은 제한이 표준에 의해 또는 구현 기준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EPDCCH 자원 제한 방법이다.
이것은 제한이 표준에 의해 또는 구현 기준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EPDCCH 자원 제한 방법이다. 기지국은 또한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에게 통지할 수 있다.
기준 신호/채널 DC 부반송파와 충돌을 피하기 위한 처리 방법 비고
CRS 충돌이 셀 식별자 계획에 의해 회피됨: 셀 식별자를 사용하여, CRS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도메인 부반송파 위치, 즉
Figure pct00002
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서, DC 부반송파 위치가 결정된 후, DC 부반송파와 CRS 사이의 충돌이 셀 식별자 선택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이것은, 추가의 표준 변경없이 지원될 수 있는 구현 기준의 방법이다.
CSI-RS CSI-RS가 DC 부반송파와 충돌하는 경우, 충돌된 CSI-RS RE는 디스에이블된다(즉, CSI-RS 자원은 구성되지 않는다). 이것은 기지국이 CSI-RS 자원에 대한 구성 제한을 수행하는 구현 기준의 방법이다.
DMRS DMRS가 DC 부반송파와 충돌하는 경우, 충돌된 DMRS RE는 디스에이블된다(즉, DMRS 자원은 구성되지 않는다). 이것은 기지국이 DMRS 자원에 대한 구성 제한이나 데이터 스케줄링 제한을 수행하는 구현 기준의 방법이다.
PSS/SSS

(a) DC 부반송파가, PSS/SSS가 전송되는 영역에 매핑되는 경우를 피해라. 이것은 액세스 대역폭을 제한하여 전체 반송파에 대해 구현될 수있다.
(b) PSS/SSS가 DC 부반송파와 출돌하는 경우, 펑처링 처리가 PSS/SSS에 대해 수행되거나, UE가 PSS/SS를 정상적으로 검출한다. PSS/SSS 검출 성능을 감소시키는 구현 방법
PDCCH (a) PDCCH는, DC 부반송파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집적 레벨(aggregation level)이 비교적 높은 CCE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b) DC 부반송파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PDCCH 전송 전력을증가시켜라
기지국의 전송과 PDCCH 알고리즘 스케줄링에 영향을 미치는 구현 방법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PCFICH와 DC 부반송파 사이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셀 식별자 선택을 제한해라 셀 식별자 선택과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구현 방법
물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지시자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r, PHICH) PIHCH와 DC 부반송파 사이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셀 식별자 선택을 제한해라 셀 식별자 선택과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구현 방법
PDSCH PDSCH의 PRB가 DC 부반송파와 충돌하고, DC 부반송파에 간섭이 있는 경우(즉, DC 부반송파가 원하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운반할 수 없는 경우), PRB를 제한하여, 기지국은 특히 이전에 릴리스된 UE를 위해 PRB를 스케줄링하지 않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지국의전송과 PDSCH 알고리즘 스케줄링에 영향을 미치는 구현 방법
EPDCCH PRB의 부반송파가 DC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DC 부반송파에 간섭이 있는 경우(즉, DC 부반송파가 원하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운반할 수 없는 경우), PRB는 EPDC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없다. 제한이 표준에 의해 또는 구현 기준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 ftndlT는 EPDCCH 자원 제한 방법
PBCH
(a) DC 부반송파가, PBCH가 전송되는 영역에 매핑되는 경우를 피해라 이것은 액세스 대역폭의 위치로서 전체 반송파 상에 있는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b) PBCH가 DC 부반송파와 출돌하는 경우, 펑처링 처리가 PBCH에 대해 수행되거나, 또는 UE가, 기본적으로 DC 부반송파가 PB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DC 부반송파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을 인정하는 것을 고려한다. 구현 해결수단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 PMCH가 DC 부반송파와 충돌하는 경우, 펑처링 처리가 PNCH에 대해 수행된다. 구현 해결수단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개략적인 제2 구성도이다. 도 6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은 비표준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도 6에서, 반송파 대역폭은 7 MHz이고, 0에서 35까지 개별벅으로 번호가 부여된 35개의 PRB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퀀스(601)는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서의 것과 유사한 반송파 구조 시퀀스이고, 시퀀스(60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된 반송파 구조 시퀀스이다. 시퀀스(601)로부터, 제1 DC 부반송파(603)가 반송파의 중심 위치, 즉 번호가 17인 PRB의 중심에 위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DC 부반송파(603)는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고, 제1 DC 부반송파(603)는 번호가 17인 PRB에 속하지 않는다. 제2 DC 부반송파(604)는 반송파의 중심 위치에 또한 구성되고, 제2 DC 부반송파(604)는 제1 DC 부반송파(603)와 중첩한다. 시퀀스(601)에 의해 도시된 반송파 구조는 반송파의 중심에만 있는 UE의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시퀀스(601)에서 제1 DC 부반송파(603)는, 시퀀스(602)를 획득하기 위해, 900 KHz, 즉 5개의 PRB만큼 좌측으로 천이된다. 시퀀스(602)에서, 제2 DC 부반송파(604)는 여전히 반송파의 중심 위치, 즉 번호가 17인 PRB에 위치되고, 제2 DC 부반송파(604)는 번호가 17인 PRB에 속한다. 제1 DC 부반송파(603)는 번호가 12인 PRB의 중심에 위치된다. 또한, 제1 DC 부반송파(603)는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고, 제1 DC 부반송파(603)는 번호가 12인 PRB에 속하지 않는다. 제1 DC 부반송파(603)와 제2 DC 부반송파(604) 사이의 간격은 5개의 PRB,즉 900 KHz이다. 이와 같이, 제1 DC 부반송파(603)를 줌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가 액세스 대역폭으로 사용되는 경우, UE는 번호가 12인 PRB에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반송파 대역폭에 대한 보다 유연한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으로부터, 시퀀스(601)와 시퀀스(602)를 비교함으로써, 번호가 17인 PRB에 대한 번호가 12인 PRB만의 경계가 정렬되지 않고, 다른 PRB들의 경계가 모두 정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셀에 대해, 상이한 반송파 위치에서 액세스가 수행되는 경우, 두 개의 셀의 액세스 대역폭의 DC 부반송파 이외의 RPB들의 경계가 가급적 정렬되는 것이 보장됨으로써 셀 간섭 조정이 가능해진다.
기지국이 도 6에서의 시퀀스(602)에 의해 도시된 반송파 구조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는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된다. 상이한 UE들은 상이한 수신 반송파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체 전송 반송파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과 같거나, 또는 UE의 수신 반송파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의 일부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과 같지 않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은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보다 더 높다. 이와 같이, 상이한 유형의 UE 또는 상이한 능력을 갖는 UE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은 상이할 수 있고,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는 상이한 위치를 가질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구성의 개략적인 제3 구성도이다. 시퀀스(701)는 기지국(71)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고, 시퀀스(701)는 시퀀스(601)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반송파 대역폭은 7 MHz이고 35개의 PRB를 포함한다. 제1 DC 부반송파(705)는 번호가 12인 PRB의 중심에 위치되고,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며, 번호가 12인 PRB에 속하지 않는다. 제2 DC 부반송파(706)는 번호가 17인 PRB에 위치되고, 번호가 17인 PRB에 속한다. 제1 DC 부반송파(705)와 제2 DC 부반송파(706) 사이의 간격은 5개의 PRB, 즉 900 KHz이다. 반송파가 시퀀스(701)에 따라 구성되는 기지국(71)의 경우, 모든 시스템 대역폭 자원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로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 번째 방식에서, 새로운 UE(74)가 새로운 비표준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고, 이 경우, 새로운 무선 주파수 지시가가 표준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UE(74)에 의해, 대응하는 대역폭 등의 필터를 지원하는 설계는 표준 및 UE 구현 둘 다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방식에서, 적어도 두 유형의 UE가 지원된다. 한가지 유형의 UE는 5 MHz의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작동을 지원하는 이전에 릴리스된 UE(72)를 포함할 수있다. 다른 유형의 UE는 5 MHz와 같은 시스템 대역폭의 다른 부분에서 작동하는 새로이 릴리스된 UE(73)이다. 두 가지 유형의 UE 사이에 자원 중첩이 있다. 충돌은 스케줄링 제한과 같은 방식으로 회피될 수 있다. 확실하게도, 이러한 경우, UE(74)도 또한 공존할 수 있다.
시퀀스(702)는 UE(72)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고, UE(72)는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일반적인 UE이며, UE(72)에 의해 지원되는 대역폭은 5 MHz이다. UE(72)의 경우, UE(72)의 수신 방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07)는 기지국(71)의 전송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705)와 중첩하지만,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706)와 중첩하지 않는다. UE(72)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07)는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705)와 중첩하고, 비어 있는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따라서, 기지국(71)이나 UE(72)의 관점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71)은 비어 있는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UE(72)는, 비어 있는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측면으로, UE(72)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707)는 기지국(71)의 전송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706)와 중첩하지 않는다. 기지국(71)이 넌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71)에 대해, 기지국(71)에 대응하는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706)에 대한 간섭이 무시될 수 있고, 이것은 UE(72)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71)의 전송단 구조는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일반적인 UE에 대해 매우 중요하고, UE는 액세스 대역폭 위치 변경에 의해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여전히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706)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하위 호환성이 잘 유지된다. 확실하게, 기지국(71)의 전송단이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반송파 상의 제2 DC 부반송파(706)에 대한 간섭이 있으며, 이것은 UE(72)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지국(71)이 이러한 부반송파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표 3]을 참조한다.
시퀀스(703)는 UE(73)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고, UE(73)는 새로이 릴리스된 UE이며, UE(73)에 의해 지원되는 대역폭은 5 MHz이다. UE(73)의 경우, UE(7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08)는 번호가 22인 PRB에 위치된다. 제3 DC 부반송파(708)는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705)와 중첩하지 않고,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706)와 중첩하지 않는다. UE(73)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71)은, 전송단에서, UE(73)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09)를 구성해야 한다. UE(73)의 수신단 구조가 제로 중간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자에 기인하여, UE(73)에 대해, UE(7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08)는 매우 심한 간섭을 받는다. 따라서, UE(73)는 UE(7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08)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UE(73)는 기지국(71)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에 따라서 이러한 DC 부반송파를 처리해야 하거나, 또는 UE(73)는, 기본적으로, UE(7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해야 하며,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다. UE(73)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08)는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706)와 중첩하지 않는다. 기지국(71)이 넌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71)에 대해, 기지국(71)에 대응하는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706)에 대한 간섭이 무시될 수 있다. 이것은 UE(73)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지국(71)의 전송단 구조도 또한 UE(73)에 대해 매우 중요하고, 데이터 전송은 여전히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706)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스펙트럼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확실하게도, 기지국(71)의 전송단이 제로 중간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706)에 대한 간섭이 있고, 이것은 UE(73)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지국(71)이 이러한 부반송파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표 2] 또는 [표 3]을 참조하고, 이 방식은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통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DC 부반송파의 구성이 UE(73)에게 통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73)가 비어 있는 부반송파 위치, PRB 소팅(sorting), 및 구체적인 처리 방식을 알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705)의 위치이다. 또한 다른 UE에 의해 구성되고 UE(73)의 데이터 전송 및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DC 부반송파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73)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시퀀스(704)는 UE(74)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고, UE(74)는 새로이 릴리스된 UE이며, UE(74)에 의해 지원되는 대역폭은 7 MHz이다. UE(74)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은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과 같다. UE(74)의 경우, UE(74)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10)는 수신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에 위치되며, 기지국(71)의 전송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와 같다. 또한, UE(74)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10)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706)와 중첩한다. 또한, UE(74)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71)은, 전송단에서, UE(74)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를 구성해야 한다. UE(74)의 수신단 구조가 일반적으로 제로 중간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자에 기인하여, UE(74)에 대해, UE(74)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10)는 매우 심한 간섭을 받는다. 따라서, UE(74)는 UE(74)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UE(74)는 기지국(71)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에 따라서 이러한 DC 부반송파를 처리해야 하거나, 또는 UE(74)는, 기본적으로, UE(74)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710)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해야 하며,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DC 부반송파의 구성이 UE(74)에게 통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74)가 비어 있는 부반송파 위치, PRB 소팅(sorting), 및 구체적인 처리 방식을 알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705)의 위치이다. 또한 다른 UE에 의해 구성되고 이러한 UE의 데이터 전송 및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DC 부반송파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제3 DC 부반송파(707)와 제3 DC 부반송파(708) 사이의 간격은 10개의 PRB, 즉 900 KHz의 정수배인 1800 KHz이다. 제3 DC 부반송파(707)와 제3 DC 부반송파(710) 사이의 간격은 5개의 PRB, 즉 900 KHz이다. 제3 DC 부반송파(708)와 제3 DC 부반송파(710) 사이의 간격은 5개의 PRB, 즉 900 KHz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의 개략적인 제4 구성도이다. 시퀀스(801)는 기지국(81)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다. 시퀀스(801)의 반송파 대역폭은 6.2 MHz이고, 각각 번호가 0부터 31까지 부여된 PRB인 31.67개의 PRB를 포함한다. 번호가 31인 PRB는 유일하게 0.67개의 PRB이며, 8개의 부반송파만을 포함한다. 8개의 부반송파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거나, 또는 이 특수한 PRB를 서로 안 후, 기지국과 UE가 이 8개의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또는 특수한 기능을 갖는 기준 신호로서 채널이나 간섭 측정 등과 같은 데 사용되는 일부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DC 부반송파(805)는 번호가 12인 PRB의 중심에 위치되고,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며, 번호가 12인 PRB에 속하지 않는다. 제2 DC 부반송파(806)는 번호가 16인 PRB에 위치되고 번호가 16인 PRB에 속한다. 제1 DC 부반송파(805)와 제2 DC 부반송파(806) 사이의 간격은 세 개의 PRB에 6개의 부반송파를 더하고 네 개의 부반송파를 더한 것으로, 즉 46개의 부반송파이며, 전체적으로는 15 KHz의 정수배인 690 KHz이다. 반송파가 시퀀스(801)에 따라 구성되는 기지국(810)의 경우, 모든 시스템 대역폭 자원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로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 번째 방식에서, 새로운 UE(85)가 새로운 비표준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고, 새로운 무선 주파수 지시가가 표준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UE(85)에 의해, 대응하는 대역폭 등의 필터를 지원하는 설계는 표준 및 UE 구현 둘 다에 영향을 미친다. UE(85)는 기지국의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전체 반송파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방식에서, 적어도 두 유형의 UE가 지원된다. 한가지 유형의 UE는 5 MHz의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작동을 지원하는 이전에 릴리스된 UE(82)를 포함할 수있다. 다른 유형의 UE는 5 MHz와 같은 시스템 대역폭의 다른 부분에서 작동하는 새로이 릴리스된 UE(83)이다. 두 가지 유형의 UE 사이에 자원 중첩이 있다. 충돌은 스케줄링 제한과 같은 방식으로 회피될 수 있다. 확실하게도, 이러한 경우, UE(85)도 또한 공존할 수 있다. 또한, UE가 최대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UE(84)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고, 두 가지 구현 방법이 구체적으로 포함된다. 첫 번째 방법에서, UE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방식으로 최대 속도 개선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이전에 릴리스된 UE의 작동을 지원하는 5 MHz 반송파가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로 사용되고, 다른 5 MHz 반송파가 세컨더리 컴포넌트 반송파(secondary component carrier)로 사용되며,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반송파와 세컨더리 컴포넌트 반송파 사이에 자원 충첩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지국은, 자원 할당시 중첩을 피하고 간섭을 피하기 위해, 스케줄러를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스케줄링해야 한다. 다른 방법에서, UE는 무선 주파수 수신과 같은 측면에서 CA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지만, 기저대역 신호는 최종적으로 6.2 MHz의 단일 반송파의 대역폭과 같도록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UE에 의한 처리는, 첫 번째 방식에서의 반송파 집성 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PDCCH와 업링크 A/N과 같은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회피될 수 있고,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반송파를 유지하는 비용이 또한 감소될 수 있도록, 여전히 단일 반송파를 통한 처리와 같다. 기지국의 관점으로, 모든 PRB는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가장 큰 PRB 번호에 대응하는 PRB, 예를 들어 PRB(31)는 특정 PRB일 수 있고,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지 않으며, 여기에서는 8개의 부반송파에 대응할 수 있다. UE(82)와 UE(83) 사이에 자원 중첩이 있다.
시퀀스(802)는 UE(82)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고, UE(82)는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일반적인 UE이며, UE(82)에 의해 지원되는 대역폭은 5 MHz이다. UE(82)의 경우, UE(82)의 수신 방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7)는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805)와 중첩하지만,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와 중첩하지 않는다. UE(82)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7)는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805)와 중첩하고, 비어 있는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따라서, 기지국(81)이나 UE(82)의 관점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81)은 비어 있는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UE(82)는, 비어 있는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측면으로, UE(82)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7)는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와 중첩하지 않는다. 기지국(81)이 넌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81)에 대해, 기지국(81)에 대응하는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806)에 대한 간섭이 무시될 수 있고, 이것은 UE(82)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지국(81)의 전송단 구조는 릴리스 R8 내지 R12에서의 일반적인 UE에 대해 매우 중요하고, UE는 액세스 대역폭 위치 변경에 의해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여전히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하위 호환성이 잘 유지된다. 확실하게, 기지국(81)의 전송단이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반송파 상의 제2 DC 부반송파(806)에 대한 간섭이 있으며, 이것은 UE(82)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지국(81)이 이러한 부반송파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표 3]을 참조한다.
시퀀스(803)는 UE(83)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고, UE(83)는 새로이 릴리스된 UE이며, UE(83)에 의해 지원되는 대역폭은 5 MHz이다. UE(83)의 경우, UE(8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8)는 번호가 19인 PRB에 위치된다. 제3 DC 부반송파(808)는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805)와 중첩하지 않고,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와 중첩하지 않는다. UE(83)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81)은, 전송단에서, UE(83)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9)를 구성해야 한다. UE(83)의 수신단 구조가 제로 중간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자에 기인하여, UE(83)에 대해, UE(8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8)는 매우 심한 간섭을 받는다. 따라서, UE(83)는 UE(8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8)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UE(83)는 기지국(81)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에 따라서 이러한 DC 부반송파를 처리해야 하거나, 또는 UE(83)는, 기본적으로, UE(83)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DC 부반송파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해야 하며,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다. UE(83)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8)는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와 중첩하지 않는다. 기지국(81)이 넌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81)에 대해, 기지국(81)에 대응하는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806)에 대한 간섭이 무시될 수 있다. 이것은 UE(83)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지국(81)의 전송단 구조도 또한 UE(83)에 대해 매우 중요하고, 데이터 전송은 여전히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스펙트럼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확실하게도, 기지국(81)의 전송단이 제로 중간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806)에 대한 간섭이 있고, 이것은 UE(83)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지국(81)이 이러한 부반송파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표 2] 또는 [표 3]을 참조하고, 이 방식은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통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DC 부반송파의 구성이 UE(83)에게 통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83)가 비어 있는 부반송파 위치, PRB 소팅(sorting), 및 구체적인 처리 방식을 알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805)의 위치이다. 또한 다른 UE에 의해 구성되고 UE(83)의 데이터 전송 및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DC 부반송파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83)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시퀀스(804)는 UE(84)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다. UE(84)는 새로이 릴리스된 UE이고, 구현을 위히 CA 방식을 사용한다. UE(84)는,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반송파로서, (UE(83)과 같은) 이전에 릴리스된 UE의 작동을 지원하는 5 MHz를 사용하고, (UE(84)와 같이) 세컨더리 컴포넌트 반송파로서 다른 5 MHz를 사용한다. UE(84)의 대역폭은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반송파와 세컨더리컴포넌트 반송파를 포함하고,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반송파와 세컨더리 컴포넌트 반송파 사이에 자원 중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UE(84)의 경우, UE(84)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10)는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이고,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05)와 중첩하지만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과는 중첩하지 않는다. UE(84)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10)는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DC 부반송파(805)와 중첩하고, 비어 있는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따라서, 기지국(81)이나 UE(84)의 관점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81)은 비어 있는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UE(84)는, 비어 있는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측면으로, UE(84)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10)는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와 중첩하지 않는다. 기지국(81)이 넌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81)에 대해, 기지국(81)에 대응하는 전송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806)에 대한 간섭이 무시될 수 있고, 이것은 UE(84)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실하게, 기지국(81)의 전송단이 제로 중간 주파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반송파 상의 제2 DC 부반송파(806)에 대한 간섭이 있으며, 이것은 UE(84)가 이러한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지국(81)이 이러한 부반송파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표 3]을 참조한다.
시퀀스(805)는 UE(85)의 반송파 구성 시퀀스이고, UE(85)는 새로이 릴리스된 UE이며, UE(85)에 의해 지원되는 대역폭은 6.2 MHz이다. UE(85)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은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과 같다. UE(85)의 경우, UE(85)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10)는 수신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에 위치되며, 기지국(81)의 전송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와 같다. 또한, UE(85)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11)는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DC 부반송파(806)와 중첩한다. 또한, UE(85)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81)은, 전송단에서, UE(85)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를 구성해야 한다. UE(85)의 수신단 구조가 일반적으로 제로 중간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자에 기인하여, UE(85)에 대해, UE(85)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11)는 매우 심한 간섭을 받는다. 따라서, UE(85)는 UE(85)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11)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UE(85)는 기지국(81)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에 따라서 이러한 DC 부반송파를 처리해야 하거나, 또는 UE(85)는, 기본적으로, UE(85)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DC 부반송파(811)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해야 하며, 데이터 수신 및 복조 또는 대응하는 측정과 같은 조작에 참여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DC 부반송파의 구성이 UE(85)에게 통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85)가 비어 있는 부반송파 위치, PRB 소팅(sorting), 및 구체적인 처리 방식을 알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805)의 위치이다. 또한 다른 UE에 의해 구성되고 이러한 UE의 데이터 전송 및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DC 부반송파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제3 DC 부반송파(807)와 제3 DC 부반송파(808) 사이의 간격은 300 KHz의 정수배인 1200 KHz이다. 제3 DC 부반송파(807)와 제3 DC 부반송파(811) 사이의 간격, 제3 DC 부반송파(810)와 제3 DC 부반송파(811)의 간격 각각은 300 KHz의 정수배인 1200 KHz이다. 제3 DC 부반송파(808), 제3 DC 부반송파(811) 및 제3 DC 부반송파(801) 중 임의의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300 KHz의 정수배인 1200 KHz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에서, 본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UE에게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시그널링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즉,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한 후, 기지국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UE에게 통지하기 위해, UE에게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UE는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DC 부반송파가 비어 있는 부반송파이고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UE는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복조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시그널링은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시그널링이다.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 시그널링이면,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 시그널링이면, 제1 시그널링은 동기 채널 위치에서의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수행하여 UE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제1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72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동기 채널 및/또는 방송 채널을 전송하고, 동기 채널 및/또는 방송 채널을 위한 맵핑(mapping) 및 전송 방법은 LTE 시스템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UE는 원래의 LTE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방식에 따라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는 제1 DC 부반송파로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에서, 본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UE에게 제2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2 시그널링은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RRC 방송 시그널링이다. 즉,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한 후, 기지국은,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UE에게 통지하기 위해, UE에게 제2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UE는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와,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DC 부반송파가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UE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복조하는 지의 여부와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복조하기 위한 특정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 지에 대한 정보는 제2 DC 부반송파가 요구된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운반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전송된 제2 시그널링이 UE에게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가 요청된 신호를 운반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UE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한 복조를 수행하지 않지만,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한 레이트 매칭 처리(rate matching processing)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펑쳐(puncture)하고 수신하지 않는다. 전송된 제2 시그널링이 UE에게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가 요청된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운반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경우, UE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한 복조를 수행하고, 제어 체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한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제2 DC 부반송파가 기지국의 전송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부반송파를 관찰할 수 있는 모든 UE에 대한 처리 방식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시그널링은 RRC 방송 시그널링일 수 있고, SIB 메시지 등을 사용하여 UE에게 통지될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에서, 본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UE에게 제3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한 개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즉, 적어도 한 개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한 후, 기지국은,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UE에게 통지하기 위해, UE에게 제3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UE는 각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은 UE에게 기지국이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제3 DC 부반송파가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반송파에 대한 간섭이 있다. 이 경우, UE는 제3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고 부반송파를 처리할 수 있다. 즉, UE는 부반송파를 버리고, 데이터 수신 또는 복조를 수행하지 않는다. 제3 DC 부반송파가 UE의 수신 반송파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0 Hz 부반송파 위치와 다른 위치를 갖는다면, 즉, 제3 DC 부반송파와 UE의 수신 반송파의 DC 부반송파가 동일한 반송파가 아니고, 두 개의 부반송파의 위치가 중첩되지 않으면, UE는, 제3 시그널링에 따라서, UE가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한 데이터 수신 또는 복조를 수행하는지의 여부와,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한 데이터 수신 또는 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특정 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제3 DC 부반송파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3 DC 부반송파가 요청된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DC 부반송파는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에서, 본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 의해,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4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로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제5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릴리스의 UE에 대해, 기지국측의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유사하게, 새로운 DC 부반송파 위치가 또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이하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지국은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4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로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된다. 각 UE의 전송 반송파는 대응하는 중심 주파수를 갖는다.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한 후, 기지국은, 제4 DC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5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기지국의 수신 반송파 대역폭이 UE의 전송 반송파 대역폭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제5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한 후, 기지국은, 제5 DC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제3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901: UE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에서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단계 S902: UE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제1 DC 부반송파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단계 S901과 단계 S902를 수행하는 시퀀스는 없다. 일반적으로, 단계 S901과 단계 S902는 동시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에 따라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가 결정되며, 여기서, UE가 두 개의 가능한 위치에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에서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상이한 기지국들이 두 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PSS, SSS, 및 PBCH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상이한 위치에서 검출되는 간섭 상태에 따라서 위치를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모든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의 전송 위치들 사이의 충돌을 감소시킬 수 있고, 모든 셀들의 공통 제어 채널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제2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과 PB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동기 채널은 PSS 및 SSS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의 제4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01: UE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단계 S1002: UE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2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제1 DC 부반송파는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다.
단계 S1003: UE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3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3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UE가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는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3 DC 부반송파가 반송파의 PRB에 속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DC 부반송파가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한 개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DC 부반송파가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UE는,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다음의 신호, 즉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UE가 반송파의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본 방법은, 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시그널링은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제1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UE는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제1 시그널링을 획득한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UE가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본 방법은, 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2 시그널링은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UE가 반송파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한 개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이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4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및, 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4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제5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UE가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본 방법은, 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르르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4 시그널링은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UE가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본 방법은, 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5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5 시그널링은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은 UE측에서 처리된다. UE측에서, 제1 DC 부반송파, 제2 DC 부반송파, 및 제3 DC 부반송파를 위한 구성 및 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송 모듈(12)은 기지국의 송신기(transmitter)에 대응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의 전송기(transceiver)에 대응할 수 있다. 처리 모듈(11)은 기지국의 처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처리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구현을 완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기지국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명령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처리기는, 전술한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1) 및 전송 모듈(12)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내의 명령 코드를 호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수신 모듈(22)은 사용자 장치의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의 전송기에 대응할 수 있다. 처리 모듈(21)은 사용자 장치의 처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처리기는 CPU, 또는 ASIC, 또는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구현을 완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명령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처리기는, 전술한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22) 및 처리 모듈(21)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내의 명령 코드를 호출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방법 실시예들의 모든 또는 일부 단계가 관련된 하드웨어를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이 실행된 때, 방법 실시예들에 따른 단계가 수행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여전히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에 수정을 가하거나 그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동등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76)

  1. 기지국으로서,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direct current component,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기지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기지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기지국.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하는,
    기지국.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상기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동기 채널은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rimary synchoronization signal, PSS)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를 포함하는,
    기지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반송파의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3 DC 부반송파 각각은,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인,
    기지국.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하는,
    기지국.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기지국.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기지국.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기지국.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기지국.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UE에게 제1 시그널링(signaling)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explicitly) 또는 묵시적으로(implicitly)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수행하여 상기 UE에 의해 획득되는,
    기지국.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UE에게 제2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인,
    기지국.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UE에게 제3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인,
    기지국.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5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UE에게 제4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상기 UE에게 제5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시그널링은 상기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21. 사용자 장치로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direct current component,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이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사용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사용자 장치.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하는,
    사용자 장치.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상기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물리 방송 채널(PBCH)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동기 채널은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3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는,
    사용자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인,
    사용자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하는,
    사용자 장치.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사용자 장치.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1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획득하는,
    사용자 장치.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인,
    사용자 장치.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인,
    사용자 장치.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4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5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5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시그널링은 상기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39.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direct current component,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임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반송파의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3.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4. 제39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상기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물리 방송 채널(PBCH)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동기 채널은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를 포함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5. 제39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반송파의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DC 부반송파 각각은,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사용자 장치(UE)가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8. 제45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49. 제4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0. 제45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들 사이의 간격은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1. 제45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3 DC 부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임의의 두 개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들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2. 제45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3. 제3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UE에게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UE에 의해 획득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5. 제39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에게 제2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6. 제39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에게 제3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7. 제39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4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함 -;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에게 제4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에게 제5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시그널링은 상기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59.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반송파의 제1 직류 컴포넌트(direct current component,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아닌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임 -; 및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반송파를 전송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제2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인 것
    을 포함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것
    을 포함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2. 제59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3. 제59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4. 제59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액세스 대역폭의 중심 부반송파에 위치되고, 상기 액세스 대역폭은 적어도 동기 채널 및 물리 방송 채널(PBCH)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동기 채널은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를 포함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5. 제59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3 시그널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UE)가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100 KHz의 정수배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어떠한 PRB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DC 부반송파는 상기 반송파의 PRB에 속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8.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100 KHz와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의 최소공배수인 것
    을 포함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69. 제6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DC 부반송파와 상기 제3 DC 부반송파 사이의 간격이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 100 KHz, 및 하나의 PRB의 주파수 간격의 최소공배수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70. 제65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상기 제3 DC 부반송파와 중첩하지 않는 경우, 상기 UE가,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통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71. 제59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이 묵시적인 시그널링인 경우, 상기 UE는 상기 동기 채널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획득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73. 제59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2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제2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74. 제59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3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3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제3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각 제3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시그널링은 RRC 전용 시그널링인,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75. 제59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4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4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위치됨 -; 및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의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DC 부반송파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반송파를 수신하는 중심 주파수 위치에 대응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4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4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시그널링은 상기 제4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4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UE가 상기 반송파의 상기 제5 DC 부반송파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UE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5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시그널링은 상기 제5 DC 부반송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5 DC 부반송파가 신호를 운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KR1020177015171A 2014-11-07 2014-11-07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926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90645 WO2016070427A1 (zh) 2014-11-07 2014-11-07 直流分量子载波配置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222A true KR20170081222A (ko) 2017-07-11
KR101926004B1 KR101926004B1 (ko) 2018-12-06

Family

ID=5590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171A KR101926004B1 (ko) 2014-11-07 2014-11-07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06638B2 (ko)
EP (1) EP3209044B1 (ko)
KR (1) KR101926004B1 (ko)
CN (1) CN105900472B (ko)
WO (1) WO2016070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5544B2 (en) 2015-01-30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aging procedur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US10085206B2 (en) * 2016-03-08 2018-09-25 Wipro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ation of cell selection in TD-SCDMA networks
CN111786765B (zh) * 2016-05-09 2023-07-1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用户设备、网络侧设备及用户设备的控制方法
US10779277B2 (en) * 2016-07-07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General authorized access (GAA) primary channel assignment for multiple operators
CN107733623B (zh) * 2016-08-12 202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收发方法及装置
CN107889262B (zh) * 2016-09-30 2020-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接收方法及装置
US10512050B2 (en) 2016-10-07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and broadcast channel design with flexible bandwidth allocations
US11096128B2 (en) * 2016-11-03 2021-08-1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ignaling and channel design in new radio
US11197251B2 (en) 2016-11-04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ynchronization, scheduling, bandwidth allocation, 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a 5th generation network
CN108024265B (zh) * 2016-11-04 2023-04-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指示直流子载波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2332966A (zh) * 2016-11-27 2021-02-0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方法和装置
KR20180090689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Lte-nr 공존시의 자원 운용 방안
CN110574312B (zh) * 2017-04-14 2021-02-0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初始连接的方法和设备
US10455619B2 (en) * 2017-05-12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mitigation of reference signals and a direct current sub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9219052B (zh) * 2017-06-30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资源信息传输方法、相关设备和系统
CN110138534B (zh) * 2017-09-08 202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的发送方法、装置以及可读存储介质
CN110392989B (zh) * 2017-09-11 2021-04-13 Lg电子株式会社 根据同步栅格接收ssb的方法和用户设备
CN109510791A (zh) * 2017-09-15 2019-03-2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法和传输装置
US11160055B2 (en) * 2018-04-10 2021-10-26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direct current (DC) tone location
WO2019215900A1 (ja) * 2018-05-10 2019-11-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
US11140646B2 (en) * 2019-05-27 2021-10-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720953B1 (en) * 2019-05-30 2020-07-21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calable diversity deployment for wide tuning range transceiver
CN113015182A (zh) * 2019-12-20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dc位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3676304B (zh) * 2020-05-15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和设备
US11558158B2 (en) * 2020-11-10 2023-01-17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ally avoid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US20230034338A1 (en) * 2021-07-23 2023-02-02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current location sharing between unicast user equipments in sidelin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127A (ko) * 2007-10-25 200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반송파 시프트 방법이 적용된 신호 매핑 방법 및 신호전송 방법
EP2571218A1 (en) * 2010-05-11 2013-03-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entral sub-carrier
WO2013067386A1 (en) * 2011-11-04 2013-05-10 Intel Corporation Narrow bandwidth device in a broadband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6730A1 (en) * 2006-07-05 2008-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andwidth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KR101565417B1 (ko) * 2008-08-08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447662B (zh) * 2010-09-30 2014-10-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多载波通信系统子载波配置方法和装置以及终端设备
CN102761911B (zh) * 2011-04-26 2015-07-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解调参考信号的发送方法及装置、接收方法及装置
CN103517380B (zh) * 2012-06-29 2017-03-08 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小区中心频点的搜索方法及移动终端
US9930646B2 (en) * 2012-10-10 2018-03-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device for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uplink information
WO2016021979A1 (ko) *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0200872B2 (en) * 2014-10-08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DC subcarrier handling in narrowband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127A (ko) * 2007-10-25 200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반송파 시프트 방법이 적용된 신호 매핑 방법 및 신호전송 방법
EP2571218A1 (en) * 2010-05-11 2013-03-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entral sub-carrier
WO2013067386A1 (en) * 2011-11-04 2013-05-10 Intel Corporation Narrow bandwidth device in a broadband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45278A1 (en) 2017-08-24
EP3209044A4 (en) 2017-11-22
CN105900472A (zh) 2016-08-24
EP3209044A1 (en) 2017-08-23
KR101926004B1 (ko) 2018-12-06
CN105900472B (zh) 2019-07-23
US10306638B2 (en) 2019-05-28
EP3209044B1 (en) 2021-12-22
WO2016070427A1 (zh)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004B1 (ko)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571581B1 (ko)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CN107078892B (zh) 用于lte rel-13通信系统中的mtc设备的资源分配
CN11127974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随机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EP3410772B1 (en)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7836093B (zh) 用于接收下行链路信号的方法和用户设备以及用于发送下行链路信号的方法和基站
EP3373678B1 (en) Terminal device
US112127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on and UE-specific frequency resource scheduling
CN107615854B (zh) 终端装置、基站装置及通信方法
US113034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itial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98578B2 (en)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user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and base station
EP3334231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receiving epdcch
US11329761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80057635A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CN107534968B (zh) 终端装置、基站装置及通信方法
EP32956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tial subframe transmission and broadcast channel on unlicensed spectrum
WO2015141177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3382921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692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channel resource allocations in constrained and unconstrained subfram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90051730A (ko) 단말과 기지국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중화 방법과 그에 따른 제어신호의 전송 및 수신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22904A (ko) 무선 통신시스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및 수신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82061A (ko) 제어채널의 전송 및 수신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901941B1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방법 및 기지국
KR20190038737A (ko) 단말과 기지국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중화 방법과 그에 따른 제어신호의 전송 및 수신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22892A (ko) 무선 통신시스템의 제어 채널 송신 및 수신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