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987A -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987A
KR20170080987A KR1020150191317A KR20150191317A KR20170080987A KR 20170080987 A KR20170080987 A KR 20170080987A KR 1020150191317 A KR1020150191317 A KR 1020150191317A KR 20150191317 A KR20150191317 A KR 20150191317A KR 20170080987 A KR20170080987 A KR 20170080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board
terrestrial
train
atp
vd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918B1 (ko
Inventor
오세찬
김민수
최현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9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9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정된 제어영역 내에 있는 열차 위치를 기초로 이동권한을 산출하는 모듈형 지상 ATP와, 상기 모듈형 차상 ATP는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지상 ATP에 열차 위치를 송신하고 모듈형 지상 ATP로부터 열차의 이동권한을 수신하는 모듈형 차상 ATP로 구성되되, 상기 모듈형 지상 및 차상 ATP는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에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상 및 차상 VDI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과; 다양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상 및 차상 ATP를 ATP 커널과 VDI의 다중 쉘(shell) 구조를 채택하여 유연성(Flexibility)과 확장성(Scalability) 확보를 통해 다양한 운영환경 및 인터페이스 환경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Modular Train Control System with Virtual Device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열차 제어 시스템의 ATP를 계층 구조로 설계하여 환경변화에 따라 변하는 요소들은 커널 밖으로 분리하여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VDI; Virtual Device Interface)를 구성하고 변하지 않는 순수 기능을 ATP 커널로 구성함으로써 기존 인터페이스 변경 및 신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이 발생하더라도 열차제어시스템 ATP 커널은 변하지 않도록 하여 환경 변화에 따라 변하는 요소들은 필요시 VDI를 통해 결합하는 형태로 모듈화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환경 변화에 따라 변하는 요소들은 필요 시 VDI를 통해 결합하는 형태로 모듈화하여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인터페이스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비용을 줄이고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많은 화물 또는 승객을 이송하는 대단위 교통수단으로, 철도차량은 선로를 따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형태의 열차 제어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열차제어시스템은 철도의 선로변에 설치되어 열차의 간격을 제어하거나 진로를 제어하는 전자연동장치(EIS : Electronic Interlocking System)와, 궤도에서 열차의 운전 조건을차상으로 전송하여 지상신호가 없이 자동으로 운전토록 하는 자동열차제어장치(ATC: Automatic Train Control)와, 그 자동열차제어장치(ATC)의 일부개념으로 전방열차의 위치에 따라 후방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는 자동열차보호장치(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와, 폐색구간을 여러 개로 구분하고 궤도회로를 이용하여 신호를 자동으로 현시함으로써 여러 개의 열차를 안전하게 운행시켜 선로용량을 최대화하는 자동폐색장치(ABS: Automatic Blocking System)와, 중앙사령실에서 여러 개의 신호장치를 일괄적으로 집중제어하는 열차집중제어장치(CTC: Centralized Traffic Control)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의 열차제어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관련된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644227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열차운행 종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차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와; 열차의 운행상태를 표시하고, 이상 상태를 나타내주는 표시/경보장치부와; 열차를 추진시키거나 제동시키는 추진/제동장치부와; 열차의 문 열림을 제어하는 문 제어 회로와 운전자 인터페이스 등의 열차 제어장치로 이루어진 기타제어장치부와; ATS의 지상장치에서 전송되는 열차 운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ATS카드와, ATC의 지상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열차 운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ATC카드와, ATO의 지상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열차운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ATO카드로 이루어진 열차운행제어카드부와; 상기 기타제어장치부와, 표시/경보장치부와, 추진/제동장치부와, 속도검출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속도검출기에서 인가되는 열차의 실제속도에 대한 정보와, 열차운행제어카드부를 통해 입력되는 열차의 목표운행속도에 대한 정보 및 열차 운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추진/제동장치부를 통해 열차의 운행 속도를 제어하고, 표시/경보장치를 통해 열차의 운행상태를 나타내며, 기타제어장치부를 통해 열차의 문 열림 등 기타의 장치를 제어하는 열차운행종합제어부와; 다수개의 I/O채널로 이루어져 상기 열차운행제어카드부와 열차운행종합제어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화된 열차운행제어카드가 수납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열차운행제어카드부에 수신된 열차운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열차운행종합제어부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차운행 종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차운행제어카드부는, 지상에 설치된 CBTC 무선통신시스템과의 열차 위치 검출을 위한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열차의 목표운행속도와 열차 운행 정보 및 열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CBTC카드와; 지상에 설치되는 발리스 지상장치부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열차의 목표운행속도와 열차 운행 정보 및 열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발리스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차운행 종합제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의하면 신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발생 시 그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인터페이스가 불가능하거나 만약 가능하더라도 제한적이거나 시스템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 인해 또 다시 일련의 안전성 활동 프로세스를 수행해야함으로써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최근 국내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DTO(Driverless Train Operation) 및 UTO(Unmanned Train Operation) 도입계획에 따라 다양한 운영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검지센서 및 안전장치가 열차제어시스템과 인터페이스가 되어야 하므로 유연(flexible)하고 확장가능(scalable)한 모듈형 열차제어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UTO 운영의 경우 열차에 기관사 및 승무원 탑승을 하지 않은 자동화 레벨로서, 기존의 기관사의 역할을 시각적(visible)인 운전기능과 비시각적(invisible)인 안전기능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운전기능은 열차제어시스템에서 ATO(Automatic Train Operation)가 담당하고 안전기능은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가 담당하며 기관사의 안전기능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차상과 지상에 다양한 안전 시설(safety facilities)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 장치는 열차제어시스템 ATP와 인터페이스 되어야만 하지만,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다양한 안전시설과의 인터페이스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기도 어렵다.
참고문헌: 등록특허 제10-06442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열차 제어 시스템의 ATP를 계층 구조로 설계하여 환경변화에 따라 변하는 요소들은 커널 밖으로 분리하여 VDI(Virtual Device Interface)를 구성하고 변하지 않는 순수 기능을 ATP 커널로 구성함으로써 기존 인터페이스 변경 및 신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이 발생하더라도 열차제어시스템 ATP 커널은 변하지 않도록 하여 환경 변화에 따라 변하는 요소들은 필요시 VDI를 통해 결합하는 형태로 모듈화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정된 제어영역 내에 있는 열차 위치를 기초로 이동권한을 산출하는 모듈형 지상 ATP와, 상기 모듈형 차상 ATP는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지상 ATP에 열차 위치를 송신하고 모듈형 지상 ATP로부터 열차의 이동권한을 수신하는 모듈형 차상 ATP로 구성되되, 상기 모듈형 지상 및 차상 ATP는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에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상 및 차상 VDI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상 ATP 커널은 이동권한결정, 정적프로파일 결정, 비상제동요청감시, 열차 등록 및 종료, 방호영역 설정, 열차위치결정, 화재/연기감시, 비상제동 요구, 임시 열차속도 및 선로속도 한계, PSD 개방 및 폐쇄, PSD 고장방호, 침입자 방호, 지진/홍수 방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상 VDI는 상기 지상 외부장치의 등록 및 해제, 무결성 감시 및 장치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상 외부장치는 탈선 검지(Derailment detector), 장애물 검지(Obstacle detector), 화재/연기 검지(Fire/Smoke detector), PSD 현황(PSD status), 비상 정지 요청(Emergency Stop request), 열차 상황(Train status), 열차 및 선로의 데이터베이스(Train/Track database)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상 ATP 커널은 열차기동, 열차위치결정, 실제열차속도결정, 동적속도프로파일, 역방향 주행감시, 안전한 열차속도 감시, 열차 구름감시, 정위치정차 확인, 비상제동 요구감시, 정지상태 감시, 열차종료, 운전모드 변경, 열차 출입문 열림 및 닫힘, 안전 및 운행과 관련된 출발조건, 역 출발 권한, 열차고장대응, 열차분리 감시, 운전방향 변경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상 VDI는 상기 차상 외부장치의 등록 및 해제, 무결성 감시, 장치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상 외부장치는 탈선 검지(Derailment detector), 장애물 검지(Obstacle detector), 화재/연기 검지(Fire/Smoke detector), 비상제동 요청(Emergency Stop request), 열차 상태(Train status), 열차 및 선로의 데이터베이스(Train/Track database), 속도 및 주행 상태(Tacho/odometer status),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열차 무결성(Train Integrity), 응답기(Transponder), 브레이크(Brake(EB/FSB)), 도어 모드(Door mode), DCU(Open/close/ADC), 운전 모드 스위치 상태(Driving mode switch status), HCR/TCR 상태(HCR/TCR status), MASCON, EB 해제(EB release), 방향 스위치(Direction switch)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하나의 보드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VDI 화면을 통해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설정과 장치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상 ATP의 VDI 화면은 MMI의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상 VDI는 지상 외부장치의 안전 기능(Safety Function) 타입을 SG(Safety Group)는 SG 1(차량 비상정지), SG 2(임시속도구간/방호구간 설정), SG 3(경고), SG 4(정보 현시)로 결정하며; 상기 차상 VDI는 차상 외부장치의 안전 기능(Safety Function) 타입을 SG(Safety Group)는 SG 1(차량 비상정지), SG 2(차량 감속), SG 3(경고), SG 4(정보 현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에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상 및 차상 VDI로 구성되는 모듈형 지상 및 차상 ATP의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무결성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에게 주기적인 폴링 메시지(polling message)를 보내는 단계; 및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로부터 자신의 고유ID와 자신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하트 비트(heart beat) 메시지를 수신하여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무결성을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에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상 및 차상 VDI로 구성되는 모듈형 지상 및 차상 ATP의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무결성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고유ID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하트 비트(heart beat) 메시지를 수신하여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무결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차상 ATP 커널에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차상 VDI로 구성되는 모듈형 차상 ATP의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상 VDI는 MMI로부터 장치 등록 요청을 받으면 명령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상기 MMI로 보내고 차상 외부장치로 등록 요청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차상 VDI는 상기 차상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에 대한 자신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MI로 차상 외부장치의 등록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차상 ATP 커널에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차상 VDI로 구성되는 모듈형 차상 ATP의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상 VDI는 MMI로부터 장치 해제 요청을 받으면 명령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상기 MMI로 보내고 차상 외부장치로 해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차상 VDI는 상기 차상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해제 요청에 대한 자신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MI로 차상 외부장치의 해제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상 및 차상 ATP를 ATP 커널과 VDI의 다중 쉘(shell) 구조를 채택하여 유연성(Flexibility)과 확장성(Scalability) 확보를 통해 다양한 운영환경 및 인터페이스 환경에 적용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견고(Robust)하고 간단(Simple)한 ATP kernel 설계기술 확보를 통해 운영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음은 물론 환경 변화시 발생 가능한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열차제어시스템 ATP kernel을 중심으로 표준 인터페이스체계 수립을 통해 열차제어시스템과 접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안전장치 개발 및 관련 산업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아울러, 열차제어시스템 모듈화를 통한 시스템 개발비용 절감과 함께 운영기관 도입비용 절감 및 시스템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의 지상 ATP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의 차상 ATP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상 ATP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 ATP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DI의 외부장치 무결성 감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VDI의 외부장치 등록 및 해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VDI의 외부장치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VDI의 외부장치 해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은 열차 제어의 안전을 담당하는 핵심인 자동열차보호장치로서 SIL4의 가장 높은 안전성 무결 수준이 요구되는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가 본연의 안전기능만 가지도록 최소화하여 설계함으로써 운영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발생 가능한 오류를 저감하며 다양한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VDI; Vitural Device Interface)(이하, 'VDI'라 한다.)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은 모듈형 지상 ATP(Wayside ATP)(100)와 차상 ATP(Onboard ATP)(20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형 지상 ATP(100)는 설정된 제어영역 내에 있는 열차의 모듈형 차상 ATP 장치(200)로부터 열차 위치가 수신되면 수신된 열차 위치를 기초로 이동권한을 산출하여 모듈형 차상 ATP(200)로 송신하며, 상기 모듈형 차상 ATP(200)는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지상 ATP(100)에 열차 위치를 송신하고 모듈형 지상 ATP(100)로부터 열차의 이동권한을 수신한다.
이때, 모듈형 지상 ATP(100)와 모듈형 차상 ATP(200)는 특히 기존에 ATP에서 환경적 요소에 따라 변경될 소지가 있는 장치를 별도로 분리하여 지상 및 차상 ATP 커널(kernel)(110,210)을 설계하고 지상 및 차상 VDI(Vitural Device Interface)(120,220)에 필요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모듈화하여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내에서의 오류발생을 줄임은 물론 새로운 열차 제어 시스템의 개발시 모듈 단위의 조립을 통해 구현이 가능한 모듈형 열차제어시스템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모듈형 지상 ATP(100) 및 차상 ATP(200)가 지상 및 차상 ATP 커널(kernel)(110,210)과, 지상 및 차상 VDI(120,220)로 이루어지는 다중 Shell 구조로 이루어지며, 기존 ATP에서 환경에 따라 변경될 소지가 있는 부분은 분리하고, ATP의 입력으로 인터페이스되는 여러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인터페이스를 그룹화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듈형 지상 ATP(100) 및 차상 ATP(200)는 안전을 담당하는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가 본연의 전방열차의 위치에 따라 후방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는 확장불변의 본연의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에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상 및 차상 VDI(120,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은 모듈형 지상 ATP(Wayside ATP)(100)와 차상 ATP(Onboard ATP)(200)의 기능 중 외부 환경변화에 독립적인 기능을 배치한다. 기존의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와의 인터페이스는 지상 및 차상 VDI(120,220)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듈형 지상 ATP(100)와 차상 ATP(200)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의하면, 모듈형 지상 ATP 장치(100)는 환경 변화에도 지상 ATP 커널(110)을 변경하지 않도록 다중 쉘(multi-shell)구조의 ATP를 정의하기 위해 지상 VDI(120)라는 특별한 계층을 두어 외부의 지상 외부장치(300)와의 인터페이스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상 ATP 커널(110)의 주요 기능은 이동권한결정, 정적프로파일 결정, 비상제동요청감시, 열차 등록 및 종료, 방호영역 설정, 열차위치결정, 화재/연기감시, 비상제동 요구, 임시 열차속도 및 선로속도 한계, PSD 개방 및 폐쇄, PSD 고장방호, 침입자 방호, 지진/홍수 방호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상 VDI(120)는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는 지상 외부장치(300)의 등록 및 해제, 지상 외부장치(300)의 무결성 감시를 수행함은 물론, 상기 지상 외부장치(300)에 대한 설정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모듈형 지상 ATP(100)와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지상 외부장치(300)는 탈선 검지(Derailment detector), 장애물 검지(Obstacle detector), 화재/연기 검지(Fire/Smoke detector), PSD 현황(PSD status), 비상 정지 요청(Emergency Stop request), 열차 상황(Train status), 열차 및 선로의 데이터베이스(Train/Track database)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있다.
이상의 지상 ATP 커널(110)의 기능들과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지상 외부장치(300)의 종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의한 것이므로 해당 기능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외에도 추가로 다양한 기능과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의하면, 모듈형 차상 ATP 장치(200)는 환경 변화에도 차상 ATP 커널(210)을 변경하지 않도록 다중 쉘(multi-shell)구조의 ATP를 정의하기 위해 차상 VDI(220)라는 특별한 계층을 두어 외부의 차상 외부장치(400)와의 인터페이스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차상 ATP 커널(210)의 주요 기능은 열차기동, 열차위치결정, 실제열차속도결정, 동적속도프로파일, 역방향 주행감시, 안전한 열차속도 감시, 열차 구름감시, 정위치정차 확인, 비상제동 요구감시, 정지상태 감시, 열차종료, 운전모드 변경, 열차 출입문 열림 및 닫힘, 안전 및 운행과 관련된 출발조건, 역 출발 권한, 열차고장대응, 열차분리 감시, 운전방향 변경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상 VDI(220)는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는 차상 외부장치(400)의 등록 및 해제, 차상 외부장치(400)의 무결성 감시를 수행함은 물론, 상기 차상 외부장치(400)에 대한 설정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모듈형 차상 ATP(200)와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차상 외부장치(400)는 탈선 검지(Derailment detector), 장애물 검지(Obstacle detector), 화재/연기 검지(Fire/Smoke detector), 비상제동 요청(Emergency Stop request), 열차 상태(Train status), 열차 및 선로의 데이터베이스(Train/Track database), 속도 및 주행 상태(Tacho/odometer status),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열차 무결성(Train Integrity), 응답기(Transponder), 브레이크(Brake(EB/FSB)), 도어 모드(Door mode), DCU(Open/close/ADC), 운전 모드 스위치 상태(Driving mode switch status), HCR/TCR 상태(HCR/TCR status), MASCON, EB 해제(EB release), 방향 스위치(Direction switch)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있다.
이상의 차상 ATP 커널(210)의 기능들과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차상 외부장치(400)의 종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의한 것이므로 해당 기능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외에도 추가로 다양한 기능과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지상 및 차상 VDI(120,220)의 구성 및 기능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지상 및 차상 VDI(120,220)의 주된 기능은 외부의 다양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와 인터페이스되며, 상황에 따라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무결성(건전성)을 감시하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를 관리하고,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로부터의 입출력 처리이다.
이때, 상기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야 함에 따라 디지털 입출력(Digital Input/Output), 시리얼(Serial), 이더넷(Ethernet), CAN 등 다양한 통신 입출력을 제공한다.
물론, 상기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 보드와 별도로 하나의 보드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시스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차상 ATP와 지상 ATP에 각각 존재하는 VDI 화면을 통해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설정과 장치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상 ATP(200)의 경우 운전자 MMI(230)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운영자(U)는 VDI화면에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를 선택하고 등록/해제, 장치의 안전 기능(Safety Function) 타입, 즉 안전 그룹(Safety Group; 이하, 'SG'라 한다.)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로부터의 수신되는 입력데이터의 기능과 종류에 따라 SG 1(즉시 열차를 정지시켜야 하는 수준), SG 2(열차를 감속시켜야 하는 수준 혹은 구간을 방호해야하는 수준), SG 3(고장 경고 수준), SG 4(정보 값(Value))로 4개의 SG(Safety Group)를 정의한다. 이에 따라 지상 및 차상 VDI(120,220)와 각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는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에 할당된 SG의 종류에 따라 표준 통신프로토콜을 정의한다.
따라서, SG 1 ~ 4까지 지상 및 차상 VDI(120,220)와 각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간 사전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이때,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특징에 따라 하나의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에 하나 이상의 SG를 할당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에 여러 SG 그룹이 할당 될 수 있으므로 지상 및 차상 VDI(120,220)와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간에 송수신되는 통신 메시지의 길이는 가변이다.
그리고,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신규 등록 및 해제 등 변화에 따른 영향은 지상 및 차상 VDI(120,220)에서 흡수함에 따라 지상 VDI(120)와 지상 외부장치(300), 차상 VDI(220)와 차상 외부장치(40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환경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는 지상 및 차상 VDI(120,220)에 등록시 SG 타입을 부여받는다. SG 타입별로 지상 및 차상 VDI(120,220)와 통신 프로토콜이 정해지며 이는 최종적으로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이다.
이에 따라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여러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를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을 대신하여 등록/해제, 무결성 감시,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가 정상적인 경우 즉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에서 특별한 방호조치가 필요 없는 경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00,200)로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고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등록 및 해제, 무결성 감시, 외부장치관리 등을 수행하는 경우 지상 및 차상 VDI(120,2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출력에 따른 지상 및 차상 VDI(120,2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 의하면, 지상 VDI(120)는 지상 외부장치(300)의 안전 기능(Safety Function) 타입을 4가지 SG로 결정한다. 이때, 4개의 SG(Safety Group)는 SG 1(차량 비상정지), SG 2(임시속도구간/방호구간 설정), SG 3(경고), SG 4(정보 현시)이다.
이때, 상기 SG 1(차량 비상정지)에 해당하는 지상 외부장치(300)는 비상정지스위치(플랫폼)이고; SG 2(임시속도구간/방호구간 설정)에 해당하는 지상 외부장치(300)는 침입자(장애물) 검지장치, 승강장 장애물 검지장치, 화재/연기 검지장치, PSD 틈새 감시장치, 탈선 검지장치, 열차 결합구역 감시장치, 재난검지장치(돌풍, 지진, 홍수 등), 기존 궤도회로 시스템용 EI이고; SG 3(경고)에 해당하는 지상 외부장치(300)는 재난검지장치(돌풍, 지진, 홍수 등)이며; SG 4(정보 현시)에 해당하는 지상 외부장치(300)는 열차 및 궤도 데이터베이스, 승강장 틈새 감시 장치이다.
또한, 도 5에 의하면, 차상 VDI(220)는 차상 외부장치(400)의 안전 기능(Safety Function) 타입을 4가지 SG로 결정한다. 이때, 4개의 SG(Safety Group)는 SG 1(차량 비상정지), SG 2(차량 감속), SG 3(경고), SG 4(정보 현시)이다.
이때, 상기 SG 1(차량 비상정지)에 해당하는 차상 외부장치(400)는 비상제동 요청장치, 탈선 검지장치, 장애물 검지장치, 화재/연기 검지장치, 출입문 틈새 감시 장치, 열차 무결성 검지장치, 열차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중고장), 운전자 감시 장치(유인 운전시)이고; SG 2(차량 감속)에 해당하는 차상 외부장치(400)는 운전모두 스위치 잠금 감시 장치, 자동연결/분리 안전속도 감시장치, 열차 결합구역 감시 장치이고; SG 3(경고)에 해당하는 차상 외부장치(400)는 열차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경고장)이며; SG 4(정보 현시)에 해당하는 차상 외부장치(400)는 차량 운전대, 열차길이 검지장치, 차량 HMI, 지상자 Reader, Proximity Sensor, Odometer이다.
이와 같은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지상 또는 차상 외부장치(300,400)로부터 이상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에 이상메시지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부터 해당 지상 또는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지상 또는 차상 외부장치(300,40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SG1에 해당하는 차상 외부장치(400)인 탈선검지장치로부터 탈선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상메시지가 수신되면 차상 VDI(220)는 차상 ATP 커널(210)에 해당정보인 이상메시지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차상 ATP 커널(210)부터 비상제동(EB: Emergency Braking)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다시 차량 CI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로 지상 및 차상 VDI(120,220)의 외부장치 무결성(건전성) 감시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110,210)을 대신하여 지상 및 차상 VDI(120,220)와 연결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에 대한 건전성을 모니터링 한다.
이때,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무결성을 감시하기 위해서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와 주기적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자신과 연결된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에게 주기적인 폴링 메시지(polling message)를 보내고,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는 자신의 고유ID와 자신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하트 비트(heart beat) 메시지를 지상 및 차상 VDI(120,220)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 지상 및 차상 VDI(120,220)는 폴링 메시지(polling message)의 송신없이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고유ID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하트 비트(heart beat) 메시지만을 수신하여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300,400)의 무결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로 지상 및 차상 VDI(120,220)의 외부장치 등록 및 해제와 관리 동작을 설명한다.
운영자(U)는 지상 및 차상 VDI(120,220)의 화면을 통해 외부장치의 등록 및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차상 VDI(220)의 경우 MMI(230)를 통해 외부장치의 등록 및 해제를 수행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MMI(230)를 이용한 차상 VDI(220)의 차상 외부장치(400)의 등록 및 해제를 설명하며, 이는 지상 VDI(120)의 지상 외부장치(300)의 등록 및 해제와 동일하다.
먼저, 도 7에 의하면 운영자(User)(U)는 차상 VDI(220)의 MMI(230) 설정기능을 통해 추가된 차상 외부장치(400)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차상 VDI(220)에 해당 차상 외부장치(400)가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연결된 장치라면 해당 차상 외부장치(400)의 아이피(IP)와 포트(port) 번호를 입력하여 검색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차상 VDI(220)에 연결된 차상 외부장치(400)의 검색은 차상 VDI(220)의 MMI(230)를 통해 차상 VDI(220)에 등록된 차상 외부장치(400)의 SG별 등록된 장치를 모두 조회 가능하며, 또는 등록된 차상 외부장치(400)의 고유 아이디(ID)를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차상 외부장치(400)의 등록절차는 도 8에 에서와 같다. 차상 VDI(220)는 운영자의 MMI(230)로부터 장치 등록 요청을 받은 경우 명령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보내고 해당 차상 외부장치(400)로 등록 요청을 한다. 해당 차상 외부장치(400)는 차상 VDI(220)의 등록요청에 자신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차상 VDI(220)는 이를 수신하여 MMI(230)로 차상 외부장치(400)의 등록결과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차상 외부장치(400)의 해제절차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에 의하면 차상 VDI(220)는 MMI(230)로부터 장치 해제 요청을 받은 경우 명령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보내고 해당 차상 외부장치(400)로 해제 요청을 보낸다. 해당 차상 외부장치(400)는 차상 VDI(220)의 삭제요청에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보내고 차상 VDI(220)는 이를 수신하여 MMI(230)로 장치 해제 결과를 전송한다.
아울러, 운영자는 MMI(230)를 통해 차상 VDI(220)와 차상 외부장치(400) 간의 통신주기, SG 그룹의 할당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제어시스템은 다중 shell 구조를 채택하여 유연성(Flexibility)과 확장성(Scalability) 확보를 통해 다양한 운영환경 및 인터페이스 환경에 적용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상 ATP 110: 지상 ATP 커널
120: 지상 VDI 200: 차상 ATP
210: 차상 ATP 커널 220: 차상 VDI
300: 지상 외부장치 400: 차상 외부장치

Claims (15)

  1. 설정된 제어영역 내에 있는 열차 위치를 기초로 이동권한을 산출하는 모듈형 지상 ATP와, 상기 모듈형 차상 ATP는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지상 ATP에 열차 위치를 송신하고 모듈형 지상 ATP로부터 열차의 이동권한을 수신하는 모듈형 차상 ATP로 구성되되,
    상기 모듈형 지상 및 차상 ATP는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에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상 및 차상 VDI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ATP 커널은 이동권한결정, 정적프로파일 결정, 비상제동요청감시, 열차 등록 및 종료, 방호영역 설정, 열차위치결정, 화재/연기감시, 비상제동 요구, 임시 열차속도 및 선로속도 한계, PSD 개방 및 폐쇄, PSD 고장방호, 침입자 방호, 지진/홍수 방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VDI는 상기 지상 외부장치의 등록 및 해제, 무결성 감시 및 장치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외부장치는 탈선 검지(Derailment detector), 장애물 검지(Obstacle detector), 화재/연기 검지(Fire/Smoke detector), PSD 현황(PSD status), 비상 정지 요청(Emergency Stop request), 열차 상황(Train status), 열차 및 선로의 데이터베이스(Train/Track database)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 ATP 커널은 열차기동, 열차위치결정, 실제열차속도결정, 동적속도프로파일, 역방향 주행감시, 안전한 열차속도 감시, 열차 구름감시, 정위치정차 확인, 비상제동 요구감시, 정지상태 감시, 열차종료, 운전모드 변경, 열차 출입문 열림 및 닫힘, 안전 및 운행과 관련된 출발조건, 역 출발 권한, 열차고장대응, 열차분리 감시, 운전방향 변경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 VDI는 상기 차상 외부장치의 등록 및 해제, 무결성 감시, 장치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 외부장치는 탈선 검지(Derailment detector), 장애물 검지(Obstacle detector), 화재/연기 검지(Fire/Smoke detector), 비상제동 요청(Emergency Stop request), 열차 상태(Train status), 열차 및 선로의 데이터베이스(Train/Track database), 속도 및 주행 상태(Tacho/odometer status),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열차 무결성(Train Integrity), 응답기(Transponder), 브레이크(Brake(EB/FSB)), 도어 모드(Door mode), DCU(Open/close/ADC), 운전 모드 스위치 상태(Driving mode switch status), HCR/TCR 상태(HCR/TCR status), MASCON, EB 해제(EB release), 방향 스위치(Direction switch)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하나의 보드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VDI 화면을 통해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설정과 장치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 ATP의 VDI 화면은 MMI의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VDI는 지상 외부장치의 안전 기능(Safety Function) 타입을 SG(Safety Group)는 SG 1(차량 비상정지), SG 2(임시속도구간/방호구간 설정), SG 3(경고), SG 4(정보 현시)로 결정하며,
    상기 차상 VDI는 차상 외부장치의 안전 기능(Safety Function) 타입을 SG(Safety Group)는 SG 1(차량 비상정지), SG 2(차량 감속), SG 3(경고), SG 4(정보 현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12.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에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상 및 차상 VDI로 구성되는 모듈형 지상 및 차상 ATP의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무결성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에게 주기적인 폴링 메시지(polling message)를 보내는 단계;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로부터 자신의 고유ID와 자신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하트 비트(heart beat) 메시지를 수신하여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무결성을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방법.
  13.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지상 및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지상 및 차상 ATP 커널에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상 및 차상 VDI로 구성되는 모듈형 지상 및 차상 ATP의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VDI는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무결성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고유ID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하트 비트(heart beat) 메시지를수신하여 지상 및 차상 외부장치의 무결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방법.
  14.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차상 ATP 커널에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차상 VDI로 구성되는 모듈형 차상 ATP의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상 VDI는 MMI로부터 장치 등록 요청을 받으면 명령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상기 MMI로 보내고 차상 외부장치로 등록 요청을 하는 단계;
    상기 차상 VDI는 상기 차상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에 대한 자신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MI로 차상 외부장치의 등록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방법.
  15. 안전 기능(Safety Function)을 수행하는 차상 ATP 커널과, 상기 차상 ATP 커널에 차상 외부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차상 VDI로 구성되는 모듈형 차상 ATP의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상 VDI는 MMI로부터 장치 해제 요청을 받으면 명령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상기 MMI로 보내고 차상 외부장치로 해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차상 VDI는 상기 차상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해제 요청에 대한 자신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MMI로 차상 외부장치의 해제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방법.
KR1020150191317A 2015-12-31 2015-12-31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KR10179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17A KR101791918B1 (ko) 2015-12-31 2015-12-31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17A KR101791918B1 (ko) 2015-12-31 2015-12-31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987A true KR20170080987A (ko) 2017-07-11
KR101791918B1 KR101791918B1 (ko) 2017-11-02

Family

ID=5935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317A KR101791918B1 (ko) 2015-12-31 2015-12-31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9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389A (zh) * 2019-10-23 2019-12-31 河南蓝信科技有限责任公司 Atp主机前面板视频监测系统
KR20200051880A (ko) * 2018-11-05 2020-05-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상열차를 이용한 열차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5688B1 (ko) * 2021-04-21 2021-11-12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4132367A (zh) * 2021-12-03 2022-03-04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列车控制方法、装置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57B1 (ko) * 2009-09-15 2011-05-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운행 통합 시뮬레이션 장치
JP5624956B2 (ja) 2011-07-28 2014-1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進路制御プログラム生成方法および進路制御装置
KR101630703B1 (ko) 2014-10-27 2016-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모듈형 열차제어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880A (ko) * 2018-11-05 2020-05-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상열차를 이용한 열차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26389A (zh) * 2019-10-23 2019-12-31 河南蓝信科技有限责任公司 Atp主机前面板视频监测系统
KR102325688B1 (ko) * 2021-04-21 2021-11-12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4132367A (zh) * 2021-12-03 2022-03-04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列车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114132367B (zh) * 2021-12-03 2024-04-26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列车控制方法、装置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918B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0613B (zh) 用于铁路车辆系统的远程辅助操作的系统、方法和计算机软件代码
CN109664923B (zh) 基于车车通信的城市轨道交通列控系统
AU70405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8548654B2 (en) Signaling system
US107522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certaining a movement authority for a track-bound vehicle
KR101791918B1 (ko)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RU27055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движени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движени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7284471A (zh) 一种基于车车通信的cbtc系统
EP1705095A1 (en) Block system and method with intrinsic safety for low railroad traffic density lines
CN109532955B (zh) 一种微轨调度控制方法及系统
EP3919347A1 (en) Train security system
WO2012171096A1 (en) Control of automatic guided vehicles without wayside interlocking
CA2911118C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KR20180014290A (ko) 열차간 연결기반 열차자율주행제어시스템을 위한 차상기반 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88802A1 (en) Railway train control system having multipurpose display
CN109398424A (zh) 一种非通信车侵入的检测系统
WO2018206610A1 (en) A decentralised communications based train control system
KR101296672B1 (ko)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KR101357806B1 (ko)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AU2020275139B2 (en) Self organizing cyber rail-cop
RU2768688C1 (ru) Единая цифровая бортовая платфор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БСБ-Е)
KR102561628B1 (ko) Etcs 인터페이스 장치가 포함된 etcs 시스템
Hyunjeong et al. Development of the on-board centered train control system to enhance efficiency of low-density railway line
KR102316767B1 (ko) 무 지상자 방식의 자동열차정지시스템
KR102219681B1 (ko) 비콘 기반 스쿨버스용 어린이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