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688B1 -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688B1
KR102325688B1 KR1020210051699A KR20210051699A KR102325688B1 KR 102325688 B1 KR102325688 B1 KR 102325688B1 KR 1020210051699 A KR1020210051699 A KR 1020210051699A KR 20210051699 A KR20210051699 A KR 20210051699A KR 102325688 B1 KR102325688 B1 KR 10232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afety
rbc
unit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배
조문옥
이상혁
안영모
정태운
Original Assignee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1L27/00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61L2027/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은,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 및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메시지를 분기하는 메시지 분석부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 확인 및 출처 인증을 포함하는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상기 분기 결과에 따라 구분하여 수행하는 안전 프로토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TRAIN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SAFETY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원은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은 RBC와 KVC 간 및 RBC와 RBC 간의 두 가지 통신 방식에 대한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을 통합하여 관리, 처리하기 위한 열차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열차 제어시스템에서는 지상에 구비되는 무선폐색센터(Radio Block Center, RBC)와 차상에 구비되는 KVC(Korean Vital Computer) 간의 통신을 바탕으로 열차의 주행, 제어 등과 연계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RBC와 RBC 또는 RBC와 KVC간의 장치 간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각 RBC 와 KVC에 안전 전송 유닛(Safety Transmission Unit)이 구비된다. 이 때 RBC가 이웃 RBC와 통신을 할 때와 RBC가 KVC와 통신할 때 요구되는 무선 통신 규격이 서로 상이하여 해당 규격을 준수하여만 각 장치 간 통신이 원활하게 송수신되어 열차 운행 및 제어가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RBC-KVC 간 및 RBC-RBC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각각 요구되는 통신 규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RBC-KVC 간 통신을 위하여는 RBC 측과 KVC 측에서 모두 제1유형의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1)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출처 및 무결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제1유형의 데이터 프로토콜(Data Protocol 1)을 통해 네트워크(LTE-R)를 이용한 세션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며, 도 1b를 참조하면, RBC-RBC 간의 통신을 위하여는 RBC-KVC 간의 통신에서와 유사한 출처 검증, 무결성 검증, 세션 연결, 데이터 송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함에도 RBC-RBC 간의 통신에서와 구분되는 제2유형의 프로토콜(Safety Protocol 2, Data Protocol 2)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KVC와 RBC, RBC와 RBC 간 각각의 안전 통신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능을 운용하는 종래의 방식의 경우 두 개의 안전 통신 규격을 모두 적용해야 함에 따른 철도 설비의 설치 공간의 증대, 각각의 통신 설비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물리적인 케이블의 연결로 인한 장치와 설비 간에 네트워크 복잡도, 관리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RBC-KVC 간, RBC-RBC 간 데이터 무결성 처리, 출처 인증 등의 공통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476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시스템을 통해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과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 및 분기하여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은,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 및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메시지를 분기하는 메시지 분석부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 확인 및 출처 인증을 포함하는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상기 분기 결과에 따라 구분하여 수행하는 안전 프로토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분석부는,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와 상기 KV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구분하여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분석부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KV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인지 여부에 따른 제1헤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에 상기 제1헤더 정보를 부가한 제1 PDU를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더 정보는 도착지 정보 및 안전전송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는, 상기 제1 PDU에서 제1헤더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헤더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른 메시지 바디 및 CBC-MAC 정보를 추가하여 제2 PDU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2 PDU를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KV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인지 여부에 따른 제2헤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PDU에 상기 제2헤더 정보를 부가한 패킷을 생성하는 계층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시퀀스 검증을 통한 중복 및 지연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 및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메시지를 분기하는 단계 및 상기 분기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 확인 및 출처 인증을 포함하는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하는 단계는,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와 상기 KV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프로토콜 처리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시퀀스 검증을 통한 중복 및 지연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통신 시스템을 통해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과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 및 분기하여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RBC-RBC 간 통신과 RBC-KVC 간 통신을 위해 두 개의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되지 않고 하나의 통합된 열차 제어 시스템을 기초로 운용될 수 있어 시스템 설치 공간과 운용 환경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RBC를 통해 KVC 또는 이웃한 RBC와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어 사용자 측면에서의 서비스 복잡도 및 관리 복잡도 또한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RBC-KVC 간 및 RBC-RBC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각각 요구되는 통신 규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메시지 수신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메시지 송신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메시지 분석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안전 프로토콜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은 RBC와 KVC 간 및 RBC와 RBC 간의 두 가지 통신 방식에 대한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을 통합하여 관리, 처리하기 위한 열차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100)(이하, '열차 제어 시스템(100)'이라 한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은 지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RBC(Radio Block Center, 무선폐색센터) 안전 전송 유닛(2A, 2B)과 차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KVC 안전 전송 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은 열차 운행에 필요한 정보(각종 선로제원), 운행속도, 열차 전방상태 등을 감시하는 차상신호장치인 열차자동방호장치(Automatic Train Protection, ATP) 등과 연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KVC 안전 전송 유닛(1)이 구비된 차량(열차)이 제1 RBC 안전 전송 유닛(2A)이 담당하는 A지역으로부터 제2 RBC 안전 전송 유닛(2B)이 담당하는 B지역을 향하여 운행 중인 경우, 제1 RBC 안전 전송 유닛(2A)은 열차를 관제하기 위하여 열차의 KVC 안전 전송 유닛(1)과 통신을 수행하며, 이와 동시에 열차가 B지역으로 진입한 후에 연속적으로 제2 RBC 안전 전송 유닛(2B)의 관제를 받을 수 있도록 제2 RBC 안전 전송 유닛(2B)과 통신을 수립하여 해당 열차의 정보를 제2 RBC 안전 전송 유닛(2B)으로 전송하게 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BC-RBC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① RBC-RBC)는 해당 지역을 통행(통과)한 열차의 위치 정보, 이동 권한(Moving Authority, MA)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RBC-KVC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② RBC-KVC)는 KVC에 대응하는 열차의 위치 정보, 이동 권한(Moving Authority, MA)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RBC-RBC 간 메시지 또는 RBC-KVC 간 메시지에는 특정 RBC가 관할하는 구역(예를 들면, 도 2의 A지역, B지역 등)의 열차 출발/도착 현황, 열차 사고 정보, 선로 결함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열차 관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통신 기법은 제1 RBC 안전 전송 유닛(2A)이 수행하는 두 가지 통신 루트에 따른 역할이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분리되어 있어 안전 전송 유닛 간에 송수신되는 정보에 대한 동기를 맞출 수 없으며 전체 시스템의 복잡도가 매우 큰 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은 KVC 안전 전송 유닛(1)과의 통신 프로세스와 이웃한 RBC 안전 전송 유닛(2)과의 통신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하여 동기화, 안정성, 시스템 효율을 모두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이 통신 시스템(10) 내의 어느 하나의 무선폐색센터(RBC)에 대하여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열차 제어 시스템(100)이 해당 무선폐색센터(RBC)와 이웃한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 또는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과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이 때 RBC-RBC 간의 통신 상황과 RBC-KVC 간의 통신 상황을 구분하여 인식하여 통신 상황에 부합하는 안전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열차 제어 시스템(100),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2) 및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1) 상호간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미도시)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미도시)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네트워크(미도시)는 LTE-R 네트워크(철도통합무선망, LTE based Railway Wireless Communication)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차 제어 시스템(100)은 메시지 수신부(110), 메시지 송신부(120), 메시지 분석부(130), 안전 프로토콜부(140) 및 계층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부(110)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과 연계된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2)이 이웃한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2) 및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BC 안전 전송 유닛(2A)과 연계된 열차 제어 시스템(100)의 메시지 수신부(110)는 제1 RBC 안전 전송 유닛(2A)으로부터 제2 RBC 안전 전송 유닛(2B)으로 전송하려는 메시지 또는 KVC 안전 전송 유닛(1)으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수신부(110)가 획득하는 메시지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과 연계된 RBC 안전 전송 유닛(2)이 생성 후 송신하거나 메시지 송신부(120)로부터 RBC 안전 전송 유닛(2)으로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Application Data)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은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등을 통해 사전 규정(정의된 RBC-RBC 간의 메시지 또는 RBC-KVC 간의 메시지 자체에 대한 규칙 또는 메시지 송수신 메커니즘과 관련된 규칙을 보유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메시지 수신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시지 수신부(110)는 CRC 처리부(111), 명령어 분석부(112) 및 세션 관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CRC 처리부(111)는 수신된 메시지와 연계된 CRC(Cyclical Redundancy Check)를 기초로 하여 해당 메시지의 무결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RC 처리부(111)는 CRC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TCP 오류, TCP 채널 다중화 오류, 패킷 생성 또는 패킷 변화의 오류, 포맷 불일치 오류 등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명령어 분석부(112)는 수신된 메시지의 명령어를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세션 관리부(113)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과 연계된 RBC 안전 전송 유닛(2)과 이웃한 적어도 하나의 RBC 안전 전송 유닛(2) 또는 해당 지역을 통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KVC 안전 전송 유닛(1)과의 멀티 세션을 지원하기 위해 열차 제어 시스템(100)과 연계된 RBC 안전 전송 유닛(2)에 대하여 수립된 모든 통신 세션에 대한 상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션 관리부(113)는 명령어 분석부(112)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가 세션 관리부(113)에서 관리되는 세션의 상태에 부합하는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한 RBC 식별 정보(ID)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이미 연결된 세션에 대응하는 메시지의 경우 세션 식별 정보(ID)와 부합(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션 관리부(113)는 특정 RBC 안전 전송 유닛(2) 또는 KVC 안전 전송 유닛(1)으로의 메시지 전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세션 정보 등의 오류가 발견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메시지 송신부(120)는 RBC 안전 전송 유닛(2)이 전송하려는 메시지의 도착지 정보에 따라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여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이웃한 RBC 안전 전송 유닛(2) 및 KVC 안전 전송 유닛(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메시지 송신부(120)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을 통해 처리된 메시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신할 안전 전송 유닛을 판단하고 정의된 규격에 따라 도착지 정보에 대응하는 안전 전송 유닛(RBC 안전 전송 유닛(2), KVC 안전 전송 유닛(1) 등)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메시지 송신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 송신부(120)는 CRC 처리부(121) 및 세션 관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CRC 처리부(121)는 메시지 무결성 처리를 위한 CRC(Cyclical Redundancy Check)를 생성할 수 있다.
세션 관리부(122)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과 연계된 RBC 안전 전송 유닛(2)과 이웃한 적어도 하나의 RBC 안전 전송 유닛(2) 또는 해당 지역을 통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KVC 안전 전송 유닛(1)과의 멀티 세션을 지원하기 위해 열차 제어 시스템(100)과 연계된 RBC 안전 전송 유닛(2)에 대하여 수립된 모든 통신 세션에 대한 상태 관리를 수행하고, 열차 제어 시스템(100) 내부에서 처리된 메시지가 기 수립된 세션의 상태와 맞는 명령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분석부(130)는 메시지 수신부(110)가 획득한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메시지를 분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분석부(130)는 RBC 안전 전송 유닛(2)에 대응하는 메시지와 KVC 안전 전송 유닛(1)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구분하여 안전 프로토콜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메시지 분석부(130)는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오류 검증이 완료된 메시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메시지를 분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분석부(130)에 의한 분기 결과에 따라 KVC-RBC 간 메시지 또는 RBC-RBC 간 메시지가 구분되어 안전 프로토콜부(140)의 서로 다른 계층으로 독립적으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메시지 분석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시지 분석부(130)는 메시지 파서부(131), 타겟 판단부(132), 헤더 생성부(133) 및 메시지 전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파서부(131)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명령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들이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정상적인 값으로 채워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타겟 판단부(132)는 메시지 파서부(131)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메시지를 전달할 안전 프로토콜부(140)의 계층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타겟 판단부(132)에 의해 RBC-RBC 간 메시지로 판단(식별)된 메시지의 경우 KVC-RBC 간 메시지와 달리 안전 프로토콜부(140)에서 SAI 레이어(미도시)를 통과하는 경로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헤더 생성부(133)는 해당 메시지가 RBC 안전 전송 유닛(2)에 대응하는 메시지 또는 KVC 안전 전송 유닛(1)에 대응하는 메시지인지 여부에 따른 제1헤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1헤더 정보는 도착지 정보 및 안전전송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전달부(134)는 메시지에 제1헤더 정보를 부가한 제1 PDU를 안전 프로토콜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1 PDU는 TSaPDU(Target Safety Protocol Data Unit)으로서 메시지 분석부(130)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Application Data) 타입의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의 출처와 이에 따른 처리되어야 할 알고리즘을 헤더(Header) 부분에 추가하는 가공을 수행한 후 안전 프로토콜부(140)로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안전 프로토콜부(140)에서 메시지의 출처를 파악하여 분석한 후 분석한 메시지의 출처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메시지 분석부(130)로 송신하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의 제1 PDU는 메시지 분석부(130)와 안전 프로토콜부(14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유형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안전 프로토콜부(140)는 메시지 분석부(13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 확인 및 출처 인증을 포함하는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메시지 분석부(130)의 분기 결과에 따라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안전 프로토콜부(140)는 RBC-KVC 간의 데이터 무결성 및 출처 인증 등의 안전 프로토콜 처리 또는 RBC-RBC 간의 데이터 무결성 및 출처 인증 등의 안전 프로토콜 처리를 메시지 분석부(130)의 분기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 RBC-KVC 간 메시지에 대한 안전 프로토콜 처리와 RBC-RBC 간 메시지에 대한 안전 프로토콜 처리는 프로토콜의 요구사항 및 규격이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종합하면, 안전 프로토콜부(140)는 메시지의 수신 주체에 맞는 안전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안전 프로토콜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프로토콜부(140)는 헤더 분석부(141), 중복-지연 검사부(142), PDU 생성부(143) 및 PDU 분석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분석부(141)는 메시지의 출처 코드를 분석하여 안전 프로토콜부(140)로 올바르게 전달된 메시지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중복-지연 검사부(142)는 안전 프로토콜부(140)로 전달된 메시지가 RBC 안전 전송 유닛(2)에 대응하는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TTS와 시퀀스 검증을 통한 중복 및 지연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PDU 생성부(143)는 메시지 분석부(130)로부터 수신한 제1 PDU에서 제1헤더 정보를 삭제하고, 제1헤더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른 메시지 바디 및 CBC-MAC 정보를 추가하여 제2 PDU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2 PDU는 SaPDU(Safety Protocol Data Unit)으로서 제1 PDU인 TSaPDU를 해석하여 계층 연결부(150)에 의해 안전 계층 모듈끼리 서로 정보 교환이 가능한 형태로 생성(가공)된 메시지의 형태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DU 생성부(143)는 제1 PDU인 TSaPDU의 헤더를 삭제하고, 제1 PDU에 대한 분석에 따라 메시지 바디를 구성하고, 하위 계층에서 메시지의 출처를 파악하고 무결성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CBC-MAC 정보를 추가한 제2 PDU를 생성할 수 있다.
PDU 분석부(144)는 제2 PDU의 헤더 및 CBC-MAC(Cipher Block Chaining-Message Authentication Code) 필드를 검사하여 메시지가 올바르게 가공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PDU 분석부(144)는 메시지 인증 데이터로서 CBC-MAC(Cipher Block Chaining-Message Authentication Code) 필드 외에도 CFB(Cipher FeedBack)-MAC, OFB(Output FeedBack)-MAC, ECB(Electronic Code Book)-MAC 등의 필드를 활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안전 프로토콜부(140)는 생성된 제2 PDU를 계층 연결부(150)로 전송하거나 계층 연결부(150)가 수신하여 ALE 헤더(Header)를 제거한 상태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계층 연결부(150)로부터 전달된 ALE 헤더(Header)를 제거한 상태의 메시지는 PDU 분석부(144)에 의한 검사를 완료한 후 전술한 메시지 수신부(110), 메시지 송신부(120) 등의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계층 연결부(150)는 제2 PDU를 안전 프로토콜부(14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메시지가 RBC 안전 전송 유닛(2)에 대응하는 메시지 또는 KVC 안전 전송 유닛(1)에 대응하는 메시지인지 여부에 따른 제2헤더 정보를 생성하고, 제2 PDU에 제2헤더 정보를 부가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 연결부(150)는 ALE(Adaptation Layer Entity) layer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2헤더 정보를 부가한 패킷은 ALE 패킷(Adaptation Layer Entity Packet)으로서 TCP/IP 통신 모듈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 모듈 메시지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층 연결부(150)가 생성하는 ALE 패킷은 패킷 헤더(header)와 패킷 바디(body)를 포함하며, 패킷 헤더는 패킷 길이 정보, 버전 정보, 응용 계층 타입 정보, 시퀀스 번호 정보, 패킷 타입 정보, 오류 검출 정보 등을 포함하고, 패킷 바디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패킷 길이 정보는 패킷 전체의 길이를 나타내고, 버전 정보는 계층 연결부(150)에서 지원하는 기능의 접속 계층 간의 설정과 관련되는 버전 정보를 나타내고, 응용 계층 타입 정보는 응용 계층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 예시적으로 RBC-RBC간의 응용 계층과 RBC-KVC 간의 응용 계층이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퀀스 번호 정보는 ALE 계층의 수신 측에서 두 개의 Active TCP 접속 간의 전환을 관리하기 위한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킷 타입 정보는 수신한 패킷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패킷 타입 정보는 미리 설정된 타입 종류에 기초하여 그 유효성이 판단될 수 있으며, 유효하지 않은 패킷을 폐기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오류 검출 정보는 전술한 CRC 등을 사용하여 패킷 길이 정보, 버전정보, 응용 계층 타입 정보, 시퀀스 번호 정보, 패킷 타입 정보 등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오류가 발생한 경우, 계층 연결부(150)는 현재 연결된 TCP/IP통신을 종료하고, 재접속을 수행하는 등의 대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정보에는TCP/IP 통신 연결 현황 정보, 상술한 열차 관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데이터 정보는 정보의 크기에 따라 할당되는 용량이 가변될 수 있다.
한편, 계층 연결부(150)가 네트워크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는 계층 연결부(150)에 의해 ALE 패킷 정합성이 판단된 후 안전 프로토콜부(140)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종합하면, 계층 연결부(150)는 메시지의 수신 주체에 맞는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계층 연결부(150)는 요청에 따라 TCP/IP 통신 등을 활용하여 메시지가 열차 제어 시스템(100)과 연계된 RBC 안전 전송 유닛(2) 외의 이웃 RBC 안전 전송 유닛(2) 또는 KVC 안전 전송 유닛(1)으로 전송될 수 있는 패킷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시지 송신부(120)는 도착지 정보에 따라 계층 연결부(150)에 의해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렇듯 본원에서 개시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100)은 어느 하나의 안전 전송 유닛으로부터 다른 안전 전송 유닛(RBC 안전 전송 유닛(2) 또는 KVC 안전 전송 유닛(1))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열차 관리 정보 등)를 다중 캡슐화 하며, 캡슐화에 활용되는 헤더 데이터 등의 규격을 메시지의 수신 주체(도착지)에 따른 유형에 부합하게 적절히 결정하여 적용함으로써 메시지의 수신 주체(도착지)와 무관하게 열차 관련 데이터가 위변조 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열차 운행과 연계된 데이터의 전송시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시스템 복잡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앞서 설명된 열차 제어 시스템(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열차 제어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메시지 수신부(110)는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2) 및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메시지 분석부(130)는 단계 S11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수신한 메시지를 분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2에서 메시지 분석부(130)는 단계 S11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RBC 안전 전송 유닛(2)에 대응하는 메시지와 KVC 안전 전송 유닛(1)에 대응하는 메시지로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안전 프로토콜부(140)는 단계 S12에서의 분기 결과에 따라 해당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 확인 및 출처 인증을 포함하는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3에서 안전 프로토콜부(140)는 해당 메시지가 RBC 안전 전송 유닛(2)에 대응하는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시퀀스 검증을 통한 중복 및 지연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통신 시스템
100: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110: 메시지 수신부
120: 메시지 송신부
130: 메시지 분석부
140: 안전 프로토콜부
150: 계층 연결부
1: KVC 안전 전송 유닛
2: RBC 안전 전송 유닛

Claims (10)

  1.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 및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메시지를 분기하는 메시지 분석부;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 확인 및 출처 인증을 포함하는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상기 분기 결과에 따라 구분하여 수행하는 안전 프로토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분석부는,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와 상기 KV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구분하여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로 전달하고,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시퀀스 검증을 통한 중복 및 지연 검사를 수행하는 것인, 열차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분석부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KV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인지 여부에 따른 제1헤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에 상기 제1헤더 정보를 부가한 제1 PDU를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로 전달하는 것인, 열차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더 정보는 도착지 정보 및 안전전송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열차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는,
    상기 제1 PDU에서 제1헤더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헤더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른 메시지 바디 및 CBC-MAC 정보를 추가하여 제2 PDU를 생성하는 것인, 열차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DU를 상기 안전 프로토콜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KV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인지 여부에 따른 제2헤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PDU에 상기 제2헤더 정보를 부가한 패킷을 생성하는 계층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열차 제어 시스템.
  7. 삭제
  8.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으로서,
    지상의 RBC 안전 전송 유닛 및 차상의 KVC 안전 전송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메시지를 분기하는 단계; 및
    상기 분기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 확인 및 출처 인증을 포함하는 안전 프로토콜(Safety Protocol) 처리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프로토콜 처리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시퀀스 검증을 통한 중복 및 지연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하는 단계는,
    상기 RB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와 상기 KVC 안전 전송 유닛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구분하는 것인, 열차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
  10. 삭제
KR1020210051699A 2021-04-21 2021-04-21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32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99A KR102325688B1 (ko) 2021-04-21 2021-04-21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99A KR102325688B1 (ko) 2021-04-21 2021-04-21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688B1 true KR102325688B1 (ko) 2021-11-12

Family

ID=7849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99A KR102325688B1 (ko) 2021-04-21 2021-04-21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018B1 (ko) * 2022-04-22 2023-02-13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열차 제어 시스템을 위한 통합 암호화 키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610483B1 (ko) * 2022-10-20 2023-12-06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열차 제어 시스템의 통합 안전 통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7451B2 (ja) * 2011-06-21 2016-01-20 株式会社東芝 列車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地上制御装置、地上制御方法及び通信方法
KR20170080987A (ko) * 2015-12-31 2017-07-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KR101855898B1 (ko) * 2017-02-09 2018-05-09 유경제어 주식회사 열차 제어를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안전 전송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7451B2 (ja) * 2011-06-21 2016-01-20 株式会社東芝 列車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地上制御装置、地上制御方法及び通信方法
KR20170080987A (ko) * 2015-12-31 2017-07-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상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듈형 열차 제어 시스템
KR101855898B1 (ko) * 2017-02-09 2018-05-09 유경제어 주식회사 열차 제어를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안전 전송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018B1 (ko) * 2022-04-22 2023-02-13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열차 제어 시스템을 위한 통합 암호화 키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610483B1 (ko) * 2022-10-20 2023-12-06 남부솔루션 주식회사 열차 제어 시스템의 통합 안전 통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688B1 (ko) 통합 안전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US7512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CARS messages over a TCP/IP data communication link
KR102127436B1 (ko) V2x 통신 장치 및 그의 멀티미디어 컨텐트 전송/수신 방법
KR20200141034A (ko) 네트워크 기반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 처리를 사용하여 v2x 수신기 처리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6541A (ko) 터널화된 트래픽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RU2011108113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ротокольного модуля данных мас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2015089092A (ja) パケット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方法、アンパッケージングする方法、及びこれを利用する装置
CN110808816A (zh) 一种铁路车地冗余无线数据通信方法
WO20212224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dition of assurance information to v2x messaging
KR101855898B1 (ko) 열차 제어를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안전 전송 유닛
EP3360308A1 (en) Method of control of a packet-based data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system implementing the method
JP202351349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cpとupとが分離されたマルチキャストの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Nowdehi et al. Experiences from implementing the ETSI ITS SecuredMessage service
CN116010130A (zh) Dpu虚拟口的跨卡链路聚合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610483B1 (ko) 열차 제어 시스템의 통합 안전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20103420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接收方法、装置及系统
CN113411773A (zh) 一种双网冗余的装置系统及车道通信系统
WO2021015973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ultra-reliability for cellular vehicle-to-everything (c-v2x) pc5 communications
Liu et al. A parallel simulation platform for train communication networks
Guh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DLC Protocol using VHDL technique
US20240007856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CN111212397B (zh) 车对外界信息交互(v2x)通信装置以及用于接收车对外界信息交互(v2x)消息的方法
CN114710805B (zh) 切片业务数据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Shih et al. Goodput Optimization for Multiple-Path IoT Robust Messaging
Wang et al. DoIP: A Parallel Protocol Conversion Gateway for DMR over Internet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