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942A -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942A
KR20170078942A KR1020150188585A KR20150188585A KR20170078942A KR 20170078942 A KR20170078942 A KR 20170078942A KR 1020150188585 A KR1020150188585 A KR 1020150188585A KR 20150188585 A KR20150188585 A KR 20150188585A KR 20170078942 A KR20170078942 A KR 2017007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vibration
elevator car
noise
inte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겸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15018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942A/ko
Publication of KR2017007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5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human behaviour or misbehaviour, e.g. forcing the do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 자체의 진동이나 내부상황을 감지하여 통제실이나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작동됨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 용이한 대처가 가능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상의 위험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승강카(10) 일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도록 된 진동계(22)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감지수단(20)과; 상기 승강카(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된 소음감지수단(30)과; 상기 승강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감지수단(20)이나 소음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진동 또는 소음의 정도에 따라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인터폰(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Recognition system for an elevator internal situa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다양한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상의 위험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일정 높이 이상의 건물에 설치되어 원하는 층에 오르내리도록 된 것으로, 건물에 형성된 수직의 통로 상에 이용자가 탑승 가능한 승강카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정전이나 작동불량 등으로 인해 승강카의 작동이 정지됨에 따라 승강카의 내부에 탑승자가 갇히는 사고를 대비하여 통제실과의 통화가 가능한 인터폰이 설치되어 있으며, 근래에 와서는 안전사고 및 범죄예방 등을 목적으로 승강카의 내부에 감시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인터폰이나 감시카메라에 의해 승강카의 내부상황을 인식하게 됨에 따라 탑승자가 의식을 잃거나 범죄자에 의해 감금된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승강카 자체에서 느껴지는 이상진동 등에 따른 작동불량 등을 인식하여 통제실이나 외부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217호(2005. 03. 09)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 자체의 진동이나 내부상황을 감지하여 통제실이나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작동됨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 용이한 대처가 가능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상의 위험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승강카(10) 일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도록 된 진동계(22)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감지수단(20)과;
상기 승강카(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된 소음감지수단(30)과;
상기 승강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감지수단(20)이나 소음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진동 또는 소음의 정도에 따라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인터폰(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카(10)에는 내부를 촬영하도록 된 촬영수단(50)이 더 설치되되, 상기 촬영수단(50)은 상기 승강카(10) 내부에서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의 정지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할 때에 상기 인터폰(40)이 작동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감지수단(20)과 소음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나 소음에 따라 인터폰(40)이 작동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승강카(10) 자체의 진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기계적 결함이나 작동불량 등이 발생될 때에 상기 인터폰(10)을 통해 외부와의 소통이나 경보알림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카(10) 내부에서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될 때에 승강카(10)의 내부상황을 인터폰(10)을 통해 인지하여 다양한 위험상황에서 용이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카(1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된 촬영수단(50)이 구비되고, 상기 촬영수단(50)은 승강카(10) 내부에서의 모션을 감지하여 인터폰(40)이 작동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승강카(10) 내부의 탑승자가 인식을 잃어 자발적으로 인터폰(40)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외부에서 적극적으로 승강카(10) 내부와의 소통하기 위해 개입하거나 상황인식이 가능하여 안전상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에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전이나 엘리베이터의 고장에 의한 갇힘사고나 엘리베이터에서 발생되는 범죄행위 등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승강카(10)의 내부상황을 외부에서 인식함과 동시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일정 면적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0) 상에 자체의 진동이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는 탑승자의 모션 등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다양한 형태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인터폰(40)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승강카(10)의 상단 외부에 진동을 감지하도록 된 진동감지수단(20)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카(10)의 내부에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음(음성 및 음향을 포함)을 감지하도록 된 소음감지수단(30)과 통제실 등의 외부와의 통화나 경보음을 울리도록 연결되는 인터폰이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40)은 비상시에 수동조작에 의해 외부와의 통화가 가능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상기 진동감지수단(20)이나 소음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나 충격 또는 소음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되어 승강카(10)의 내부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인터폰(40)은 통제실 등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연결되거나 외부에서 관리자 등이 승강카(10) 내부와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감지수단(20)과 소음감지수단(30)에 더하여 승강카(1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된 촬영수단(5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촬영수단(50)은 탑승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인터폰(4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포함한 세부적인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 2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카(10)에는 일측 벽면에 장치의 작동을 위해 수동조작이 가능한 조작패널(11)이 구비되고, 이 조작패널(11) 측에 상기 인터폰(4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에 상기 조작패널(11) 측에는 장치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연결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12)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12)는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작동 등을 제어하도록 된 메인유닛(13)과 메모리(14) 및 외부인터폰(18)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포트(15) 등이 구비되고, 정전이나 고장 등으로 인해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최소한의 밝기로 내부공간 상에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비상용 배터리(16) 및 상기 진동감지수단(20)과 소음감지수단(30) 및 촬영수단(50)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인터페이스(1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감지수단(20)은 승강카(11)의 상단 외부에 장착되는 케이스(21)와 이 케이스(21)에 내장되어 승강카(10)의 운행이나 충격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도록 된 진동계(22) 및 이 진동계(22)에 의해 감지된 진동수를 기준 진동수와의 비교를 통해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된 제어부(23) 및 상기 컨트롤러(12) 측에 이상유무에 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된 통신모듈(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감지수단(20)에 의해서는 상기 승강카(10) 자체의 고장 등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등을 감지하여 상기 인터폰(40)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킴으로 인해 통제실의 외부인터폰(18)을 통해 경보음이 울림에 따라 신속한 처리가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음감지수단(30)은 통상의 소음측정기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카(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음성 등이 일정 데시벨 이상으로 발생될 때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폰(4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승강카(10) 자체에서 비정상적인 작동중에 발생될 수 있는 기계소음이나 승강카(1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의 고성 등을 감지하여 승강카(10)의 내부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50)은 상기 승강카(10)의 내부모습을 촬영하도록 된 통상의 감시카메라에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 촬영수단(50)은 승강카(1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의 모션을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카(10)에 탑승한 탑승자의 모션이 일정 시간 동안 정지된 상태일 때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폰(4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 촬영수단(50)에 의해서는 승강카(10)의 고장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탑승자가 의식을 잃은 상태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일 때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폰(40)이 작동되어 이를 외부에 경보음 등으로 알림에 따라 안전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승강카 11: 조작패널
12: 컨트롤러 13: 메인유닛
14: 메모리 15: 외부포트
16: 비상용 배터리 17: 인터페이스
18: 외부인터폰 20: 진동감지수단
21: 케이스 22: 진동계
23: 제어부 24: 통신모듈
30: 소음감지수단 40: 인터폰
50: 촬영수단

Claims (2)

  1.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승강카(10) 일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도록 된 진동계(22)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감지수단(20)과;
    상기 승강카(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된 소음감지수단(30)과;
    상기 승강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감지수단(20)이나 소음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진동 또는 소음의 정도에 따라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인터폰(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10)에는 내부를 촬영하도록 된 촬영수단(50)이 더 설치되되, 상기 촬영수단(50)은 상기 승강카(10) 내부에서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의 정지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할 때에 상기 인터폰(40)이 작동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KR1020150188585A 2015-12-29 2015-12-29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KR20170078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585A KR20170078942A (ko) 2015-12-29 2015-12-29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585A KR20170078942A (ko) 2015-12-29 2015-12-29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42A true KR20170078942A (ko) 2017-07-10

Family

ID=5935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585A KR20170078942A (ko) 2015-12-29 2015-12-29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9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20B1 (ko) * 2018-04-13 2019-08-02 동양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자동재난 구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20B1 (ko) * 2018-04-13 2019-08-02 동양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자동재난 구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6431B2 (ja) エレベータ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US10252882B2 (en) Elevator motion alert system
US8256581B2 (en) Landing door proximity warning system
CN108349691A (zh) 具有安全配置的升降机和用于在升降机井道的上部部分中建立安全工作空间的方法
WO2019063406A1 (en) SECURE ACCESS TO AN ELEVATOR CAGE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KR20100091500A (ko) 위험상태 인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시스템
KR100976781B1 (ko)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층 운행정보 알림, 표시장치
EP3687929B1 (en) Safe elevator shaft and car roof access
CN215828083U (zh) 一种基于物联网数字化管理的电梯程控系统
CN106976770B (zh) 用于电梯系统的服务报警装置
KR20170078942A (ko) 엘리베이터의 내부상황 인식시스템
JP6624522B2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10091954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602188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2434859B1 (ko)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안전관리 시스템
JP2006256831A (ja)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2015037994A (ja) エレベータ用防犯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60025224A (ko) 승강기 비정상 운행 감지 장치 및 시스템
JP200435940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KR20180064762A (ko)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비명 감지기
JP2008100804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4069675A1 (ja) 安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