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484A - 패드 이탈을 방지한 케이스 탑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패드 이탈을 방지한 케이스 탑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484A
KR20170078484A KR1020150189071A KR20150189071A KR20170078484A KR 20170078484 A KR20170078484 A KR 20170078484A KR 1020150189071 A KR1020150189071 A KR 1020150189071A KR 20150189071 A KR20150189071 A KR 20150189071A KR 20170078484 A KR20170078484 A KR 20170078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isplay panel
case top
case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119B1 (ko
Inventor
김종학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1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51/56
    • G02F2001/13333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케이스 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탑은 전면 커버부,측면 커버부, 전면 커버부의 배면에 구비된 패드와, 상기 전면 커버부의 배면에 패드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단턱부를 구비한다. 단턱부는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탑은 도전성 패드를 적용하되, 국부적으로 비도전성 패드 또는 비도전성 필름을 구비하여, 외부로 입력된 정전기가 디스플레이 패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패드 이탈을 방지한 케이스 탑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CASE TOP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을 지지하는 케이스 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저감할 수 있는 케이스 탑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ELD (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 및 제품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공정의 고도화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 및 경량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측면 또한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 맞춰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싸도록 구비된 케이스의 구성과 역할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우선,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는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의 중심 영역(PL)을 프레스 등과 같은 장치로 타공한 후 절곡 등과 같은 후속 공정을 통해 중공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FR)으로 제조되었다.
다만, 상술한 방법으로 케이스를 제조할 경우, 타공된 중심 영역의 재료는 폐기될 수 밖에 없어 비용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을 최대한 얇게 제조하는 네로우 베젤 기술이 선호되고 있는데, 프레스 공정을 통해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경우, 하나의 프레임 안에 곡률을 가지는 부분과 곡률을 가지지 않는 부분이 공존해야 하나, 이러한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해 굴곡진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을 프레스로 타공하는 것은 공정 난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불량율도 높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복수의 케이스 탑을 체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로서 활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탑(C)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패널(DP)의 한 변당 하나씩 제공되어 총 4개의 케이스 탑(C)이 디스플레이 패널(DP) 전면의 가장자리를 커버하게 된다.
여기서, 케이스 탑(C)은 디스플레이 패널(DP)의 가장자리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부재를 의미한다.
케이스 탑(C)은 디스플레이 패널(DP)과 접촉하는 부분에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패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P)과 케이스 탑(C) 사이의 간격이 밀폐된다.
그런데, 패드는 점착력에 의하여 케이스 탑(C)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가 운반 중에 충격을 받거나 반복적이 하중을 받게 되면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DP)의 표시 영역으로 밀려나와 외관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 탑에 부착된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으로 밀려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케이스 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 탑에 부착된 패드로부터 정전기가 회로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스 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는 케이스 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탑은 패드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단턱부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반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 때, 단턱부의 높이는 패드의 두께 보다 낮게 형성되어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탑은 도전성 재질의 패드를 적용하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은(Ag) 도트와 간섭이 예상되는 부분은 국부적으로 비도전성 패드를 배치하거나, 비도전선 필름을 배치하여 외부로 입력된 정전기가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 탑이 상부, 하부 및 측면으로 분할되고, 측면 케이스 탑이 상부 케이스 탑 및 하부 케이스 탑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에 있어서, 패드를 도전성 재질로 형성하되 측면 케이스 탑이 하부 케이스 탑 또는 상부 케이스 탑으로 삽입된 영역에는 도전성 패드의 표면에 비도전성 재질의 필름 부착하거나, 비도전성 패드를 적용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탑은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탑은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정전기에 의한 손상이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탑은 도전성 패드의 가장자리에 비도전성 패드를 배치하거나, 도전성 패드의 표면에 비도전성 필름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에서 도전성 패드로 정전기가 입력되더라도 비도전성 패드 또는 비도전성 필름에 의하여 정전기가 디스플레이 패널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하나의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의 가장자리를 한번에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복수의 케이스 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거치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측면 케이스 탑과 상부 케이스 탑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측면 케이스 탑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측면 케이스 탑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 탑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측면 케이스 탑을 나타낸 절단 사시도이다.
도 9는 측면 케이스 탑에 구비된 패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케이스 탑의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도트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케이스 탑의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도트에 접촉하지 않도록 패드의 길이를 축소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ELD (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로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거치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탑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A)을 둘러 싸는 모양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가압하며 고정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라 함은 케이스 탑의 조립시 상부를 바라보는 면이며, 완성품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면이라고 할 수 있다.
케이스 탑은 위치에 따라 상부 케이스 탑(CT_u), 하부 케이스 탑(CT_d) 및 측면 케이스 탑(CT_s)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 탑(CT_u)과 하부 케이스 탑(CT_d)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측면 케이스 탑(CT_s)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면에 상부 케이스 탑(CT_u)과 하부 케이스 탑(CT_d)의 사이에 끼워지는 모양으로 배치된다.
케이스 탑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 탑(CT_u)과 하부 케이스 탑(CT_d)이 곡률을 가지거나 곡률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4 및 도 5는 측면 케이스 탑과 상부 케이스 탑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측면 케이스 탑이 상부 케이스 탑과 중첩되지 않고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측면 케이스 탑의 일부가 상부 케이스 탑의 내측으로 중첩되며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된 형태는 측면 케이스 탑(CT_s)과 상부 케이스 탑(CT_u) 간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서로 맞닿는 부분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고, 유격으로 인한 빛샘 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케이스 탑(CT_s)이 상부 케이스 탑(CT_u)의 내측으로 일부 중첩되는 경우는, 측면 케이스 탑(CT_s)과 상부 케이스 탑(CT_u) 사이에 긴밀한 결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4와 도 5는 측면 케이스 탑(CT_s)과 상부 케이스 탑(CT_u)의 연결부를 나타낸 것이나. 측면 케이스 탑(CT_s)과 하부 케이스 탑(CT_u)의 연결부도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측면 케이스 탑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측면 케이스 탑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 탑(CT_u)과 측면 케이스 탑(CT_s)이 각각 독립적이어서 측면 케이스 탑(CT_s)이 디스플레이 패널(DP)을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DP)의 전면 및 측면을 커버하는 케이스 탑(CT_u, CT_s)는 디스플레이 패널(DP)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DP)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GP)과 체결되는데, 체결시 케이스 탑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여 전단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전단 응력은 케이스 탑이 휘거나 두 케이스 탑 사이의 조립 상태가 틀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6과 같은 구조는 조립 상태 틀어짐에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측면 케이스 탑(CT_s)의 단부가 상부 케이스 탑(CT_u)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측면 케이스 탑(CT_s)과 상부 케이스 탑(CT_u)이 서로 연결되므로, 조립 상태 틀어짐에는 상대적으로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그런데, 도 7과 같은 구조는 측면 케이스 탑(CT_s)의 배면에 부착된 패드(EP)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으로 밀려 나올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이는, 측면 케이스 탑(CT_s)의 상단이 상부 케이스 탑(CT_u)에 구속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측면 케이스 탑(CT_s)이 상부 케이스 탑(CT_u)의 내부로 삽입된 구간의 패드(EP)가 과도한 압축력을 받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영역으로 밀려날 수 있기 때문이다. 과도한 압축력의 발생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운반시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도 8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 탑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측면 케이스 탑을 나타낸 절단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케이스 탑(CT_s)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FC)와, 상기 전면 커버부(FC)로부터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부(SC)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부(FC)의 배면에는 탄성 재질을 가지는 패드(EP)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EP)는 점착력에 의하여 상기 전면 커버부(FC)의 배면에 부착된다.
종래에는 비도전성 재질로 패드를 제조하였으나, 정전기의 원활한 방출을 위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재질로 패드(EP)를 제조하고 있다.
도 9는 측면 케이스 탑에 구비된 패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도트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케이스 탑(CT_s)에 구비된 패드(EP)는 상부 케이스 탑(CT_u)에 삽입된 구간(W)에도 배치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회로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을 연결하는 은 도트(Ag_D)가 배치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EP)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진입하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EP)가 은 도트(Ag_D)에 접촉할 수 있다.
패드(EP)가 비도전성 재질인 경우에는 패드(EP)와 은 도트(Ag_D)의 접촉이 문제가 되지 않으나, 패드(EP) 도전성 재질인 경우에 패드(EP)가 은 도트(Ag_D)와 접촉하게 되면, 외부에서 인가된 정전기가 패드(EP)로 전달되고, 패드(EP)에서 접촉한 은 도트(Ag_D)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로 인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EP)가 은 도트(Ag_D)에 접촉하지 않도록 짧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그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과 케이스 탑 사이가 밀폐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져온다.
디스플레이 패널과 케이스 탑 사이가 밀폐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할 우려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10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110)와, 상기 전면 커버부(110)로부터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부(120)와, 상기 전면 커버부(110)의 배면에 부착된 패드(130,132)와, 상기 전면 커버부(110)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패드(130,132)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단턱부(112)를 포함한다.
단턱부(112)의 높이(h)는 패드(130,132)의 두께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부(112)의 높이(h)가 패드(130,132)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며, 측면 케이스 탑(100)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압할 때 단턱부(112)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접촉하게 되므로써 패드(130,132)가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단턱부(112)는 전면 커버부(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국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단턱부(112)는 패드(130,132)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으로 밀려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패드의 밀림 현상이 문제가 되는 부분은 측면 케이스 탑(100)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 부분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단턱부(112)를 배치하지 않고 가장자리 부분에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패드가 가장자리 구간의 패드(132)와 그 내측의 패드(130)로 분할 형성된 것이다.
가장자리 구간의 패드(132)는 은 도트(Ag_D)와 접촉으로 인한 정전기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비도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내측의 패드(130)는 도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케이스 탑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에는 전체적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드(130)를 배치하되, 은 도트(Ag_D)와 접촉이 문제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비도전성 필름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 케이스 탑의 전면 커버부(110) 전체에 도전성 재질의 패드(130)를 부착한다. 이 때, 상기 도전성 재질 패드(130)의 양측 가장자리의 표면에는 비도전성 재질의 필름(132)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은 도트(Ag_D)가 도전성 재질 패드(130)와 접촉하더라도, 비도전성 필름(132)이 통전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패드(130)의 정전기가 은 도트(Ag_D)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스 탑
110 : 전면 커버부
112 : 단턱부
120 : 측면 커버부
130 : 도전성 패드
132 : 비도전성 패드
134 : 비도전성 필름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와,
    상기 전면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부와,
    상기 전면 커버부의 배면에 부착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패드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단턱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두께보다 낮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전면 커버부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도전성 재질인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의 표면에 비도전성 재질의 필름이 부착된 케이스 탑.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질 패드의 양측단에 비도전성 재질의 패드가 부착된 케이스 탑.
  7.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
    상기 가이드 패널과 체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측면을 커버하는 케이스 탑;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탑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와,
    상기 전면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부와,
    상기 전면 커버부의 배면에 부착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패드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단턱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탑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탑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케이스 탑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케이스 탑으로 분할되고,
    상기 측면 케이스 탑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부 케이스 탑과 하부 케이스 탑의 내측으로 삽입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도전성 재질이고,
    상기 측면 케이스 탑에 배치된 상기 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 탑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 탑으로 삽입된 영역의 표면에 비도전성 재질의 필름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케이스 탑에 배치된 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 탑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 탑으로 삽입된 영역은 비도전성 재질이고, 나머지 영역은 도전성 재질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89071A 2015-12-29 2015-12-29 패드 이탈을 방지한 케이스 탑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071A KR102423119B1 (ko) 2015-12-29 2015-12-29 패드 이탈을 방지한 케이스 탑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071A KR102423119B1 (ko) 2015-12-29 2015-12-29 패드 이탈을 방지한 케이스 탑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484A true KR20170078484A (ko) 2017-07-07
KR102423119B1 KR102423119B1 (ko) 2022-07-19

Family

ID=5935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071A KR102423119B1 (ko) 2015-12-29 2015-12-29 패드 이탈을 방지한 케이스 탑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591A1 (ko) * 2019-10-15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794A (ko) * 2013-06-17 2013-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794A (ko) * 2013-06-17 2013-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591A1 (ko) * 2019-10-15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31040A (ko) * 2019-10-15 2022-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119B1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0520B (zh) 支撑件结构及其制作方法、折叠显示屏
CN109785754B (zh) 一种柔性显示模组、柔性显示装置
KR102494018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CN111816082A (zh) 一种显示组件及其组装方法、显示装置
KR20190130105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CN107121822B (zh)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以及一种透明光学胶层结构
WO2013183597A1 (ja) 電子機器の表示部および当該表示部を有する携帯端末機器
CN106910422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设备
US82080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US10745184B2 (en) Cushioning device, display screen storage device, and display screen storage box
CN112967604B (zh) 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160034468A (ko)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CN112289840A (zh) 显示装置
KR20170078484A (ko) 패드 이탈을 방지한 케이스 탑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4174798B2 (ja) 表示装置
JP6097581B2 (ja) キーボード装置
JP4470529B2 (ja) 表示装置
CN102854925B (zh) 便携式电子设备
US8692109B2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bile apparatus with the solar cell module
US20170229791A1 (en) Connecting element with a spring tab
CN108346372B (zh) 显示装置
JP2009295857A (ja) Icチップと外部配線との接続構造およびicチップ
JP2009152409A (ja) 圧着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80231841A1 (en) Rubber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04054050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この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