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810A -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810A
KR20170077810A KR1020160177273A KR20160177273A KR20170077810A KR 20170077810 A KR20170077810 A KR 20170077810A KR 1020160177273 A KR1020160177273 A KR 1020160177273A KR 20160177273 A KR20160177273 A KR 20160177273A KR 20170077810 A KR20170077810 A KR 2017007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content
image data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노부 히라이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06F17/2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는, 복수의 콘텐츠가 배치된 표시 화상을 표시한다. 정보처리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중, 제1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제1의 콘텐츠를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고, 한층 더, 제2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2의 콘텐츠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고, 제2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한다. 그 후, 제2의 검색 조건이 해제되었을 경우, 정보처리장치는, 제1의 콘텐츠 중, 제2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복수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복수의 검색 조건을 순서대로 사용해서 검색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검색 범위를 좁히는 정보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2011-60246호 공보 참조). 또한, 웹(Web)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가 요구한 검색 조건으로 검색을 실행하고, 검색 결과 중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해서 상세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에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2012-53565호 공보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2-53565호 공보의 정보처리장치는, 콘텐츠의 상세정보를 표시한 상세화면의 리턴 버튼이 클릭되었을 경우, 직전의 검색 조건을 사용해서 검색 처리를 행하고, 검색 결과 일람을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한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공개 2011-60246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12-53565호 공보에서는, 콘텐츠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은 표시 범위에 제한이 있음에 따라서, 검색 결과 모두가 한 번에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유저가 단계적으로 검색 범위를 좁히고 나서, 검색 조건의 일부를 해제하고, 검색 범위를 넓혀서 검색했을 경우, 검색 결과가 증가하기 때문에, 검색 조건의 일부를 해제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콘텐츠가 일람 화면에서 숨겨져서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유저가 스크롤 조작 등을 함으로써, 검색 조건의 일부를 해제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콘텐츠가 처음으로 표시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검색 조건의 일부를 해제하기 전에 착안하고 있었던 콘텐츠, 달리 말하면, 검색 조건의 일부를 해제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계적으로 콘텐츠를 좁힌 후에 검색 범위를 다시 불러들여 그 검색 결과를 다시 표시한 경우에도, 검색 범위를 좁혔을 때에 유저가 착안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중 일부를 화면에 배치해서 표시하는 표시부; 스크롤링에 응답해서 상기 화면에 배치된 콘텐츠를 갱신하는 갱신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제1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는 제1의 배치부; 상기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 중, 제2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2의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는 제2의 배치부; 상기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2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제2의 검색 조건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 중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는 제3의 배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유저가 복수의 검색 조건을 사용해서 단계적으로 콘텐츠의 검색 범위를 좁히고, 검색 조건의 일부 또는 모두를 해제했을 때, 검색 조건을 해제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착안하는 콘텐츠 및 그 주변의 콘텐츠를 찾기 쉬워지므로, 콘텐츠를 활용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10b,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12b, 12c,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구성 요소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100)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정보제공 시스템(100)은, 화상입력장치(101), 유저 단말 102A, 102B, 포토 사이트(107), 및 프린트 사이트(111)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 단말 102A, 102B, 포토 사이트(107), 및 프린트 사이트(111)는, 인터넷(106)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화상입력장치(101)는, 콘텐츠로서의 정지 화상 데이터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장치다. 화상입력장치(101)는, 예를 들면, 피사체를 촬영해서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피사체를 동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또는 원고를 판독해서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스캐너 등이다. 화상입력장치(101)는, 이미지 정보인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한 후, 그 처리된 광학상을 디지털 정보로서 기억장치에 기록한다.
유저 단말 102A, 102B는, PC(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타블렛 단말 등의 장치이며, 유저 단말 102A는 오너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유저 단말 102B는 초대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유저 단말 102A는, 기억장치 104A 및 브라우저 105A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장치 104A는, 예를 들면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브라우저 105A는, 인터넷(106)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http프로토콜 등의 표준 프로토콜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이며,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포토 사이트(107)와 통신한다. 유저 단말 102B는, 유저 단말 102A와 같은 구성이며, 기억장치 104B 및 브라우저 105B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너 유저는, 화상입력장치(101)로부터 유저 단말 102A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인터넷(106)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포토 사이트(107)에 업로드하고, 전자 앨범을 작성하는 유저다. 초대 유저는, 오너 유저가 초대한 유저이며, 오너 유저가 공개한 전자 앨범을 열람할 수 있는 유저다. 유저 단말 102A는, 데이터 전송용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화상입력장치(101)와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 전송용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화상입력장치(10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데이터 전송용 인터페이스(103)는, 화상입력장치(101)가 입력한 화상 데이터를 유저 단말 102A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데이터 전송용 인터페이스(103)는, USB(범용 시리얼 버스), IEEE1394등의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IrDA, 블루투쓰(등록상표)등의 무선 인터페이스다. 데이터 전송용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화상입력장치(101)로부터 유저 단말 102A에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기억장치 104A에 기억된다. 화상입력장치(101)로부터 유저 단말 102A에의 화상 데이터 전송은, 유저 단말 102A에 인스톨되어 있는 OS(운영체계) 또는 전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유저 단말 102A의 제어부(201)로서의 CPU(중앙처리장치)가, 상기 OS 또는 상기 전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1)는, 화상입력장치(101)의 기억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유저 단말 102A에 전송한다. 또는, 화상입력장치(101)가 유저 단말 102A에 송신한 전송 커맨드에 따라, 유저 단말 102A의 제어부(201)는, OS 또는 전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화상입력장치(101)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억장치 104A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포토 사이트(107)는, 제어부(108), 화상 데이터베이스(이하, 화상DB라고 한다)(109), 및 속성정보 데이터베이스(이하, 속성정보DB라고 한다)(11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8)는, 도시하지 않는 기억장치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고, 포토 사이트(107)의 각 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08)는, 오너 유저가 브라우저 105A에서 선택한 화상 데이터를, 업로드의 요구에 응답하여 포토 사이트(107)에 송신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화상DB(109)에는, 포토 사이트(107)에 업로드된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속성정보DB(110)에는, 화상DB(109)에 등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속성정보, 포토 사이트(107)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의 속성정보, 및 프린트 사이트(111)의 속성정보등, 각종 데이터가 일괄 관리되어 있다. 프린트 사이트(111)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터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1에서는, 프린트 사이트(111)를 1개만 표시하고 있지만, 프린트 사이트(111)는 복수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유저 단말 102A의 화상 데이터의 업로드에 대해서 아래에서 설명한다. 유저 단말 102A의 브라우저 105A는, http프로토콜 등의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포토 사이트(107)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브라우저 105A는, HTML, XML등의 기술 언어로 작성된 화상, 음성등, 포토 사이트(107)가 관리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연동되어 있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 단말 102A는, 포토 사이트(107)가 제공하는 통신 인프라스트럭쳐로서 인터넷(106)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다음에, 오너 유저의 조작에 의해, 유저 단말 102A의 기억장치 104A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포토 사이트(107)에 업로드된다. 유저는, 예를 들면, 오너 유저가 브라우저 105A로 업로드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하여서 화상 데이터를 업로드한다.
제어부(108)는, 포토 사이트(107)에 업로드된 화상 데이터가, 포토 사이트(107)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인 것을 체크한다. 제어부(108)는,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업로드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포토 사이트(107)가 이용가능한 화상 데이터일 경우에는, 제어부(108)는, 업로드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DB(109)에 기억하고, 그 속성정보등을 속성정보DB(110)에 기억한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08)는, 정상으로 화상 데이터가 업로드된 것을 유저 단말 102A에 통지한다. 오너 유저는, 업로드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브라우저 105A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업로드된 화상 데이터는, 복수매를 조합한 전자 앨범으로서 관리될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 오너 유저는 전자 앨범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8)는 전자 앨범으로서 제3자에게 화상 데이터를 공개할 수 있고, 초대 유저의 유저 단말 102B로부터 포토 사이트에 액세스함으로써, 초대 유저는 이것들의 화상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오너 유저 또는 초대 유저가 포토 사이트(107)에서 선택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프린트 사이트(111)에 전송하여, 거기서 인쇄할 수도 있다. 화상 데이터의 제3자에의 공개 및 프린트 주문은, 포토 사이트(107)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사례이며, 그 활용 사례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3자에의 화상 데이터의 공개 및 프린트 주문을 실현하는 방법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고, 어떤 방법이여도 좋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 102A의 정보처리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또한, 정보처리장치(200)는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실현해도 좋거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컴퓨터 장치에 각 기능을 분산하여서 실현해도 좋다. 그 정보처리장치(200)가 복수의 컴퓨터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그 컴퓨터 장치들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LAN(Local Area Network)등의 통신회선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정보처리장치(200)는, 제어부(201), ROM(Read Only Memory)(202), RAM(Random Access Memory)(203), 기억장치(204), 및 입력 인터페이스 (이하, 입력I/F라고 한다)(2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200)는, BMU(Bit Move Unit)(206), VRAM(Video RAM)(2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하, 네트워크I/F라고 한다)(209)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의 배치부, 제2의 배치부, 및 제3의 배치부로서 동작하는 제어부(201)는, 정보처리장치(200)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ROM(202) 또는 기억장치(20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보처리장치(200)의 각부를 제어한다.
ROM(202)은, 내부에 각종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RAM(203)은, ROM(202) 또는 기억장치(204)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내부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한, RAM(203)은, 인터넷(106)을 통해 공급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내부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억장치(204)는, 정보처리장치(200)와 일체로 구비된 하드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이며, OS(운영체계)등의 프로그램을 내부에 기억한다. 또한, 기억장치(204)는, 본 실시예의 포토 사이트(107)의 제어 프로그램을 내부에 기억하고, 촬상 장치등에 의해 생성된 화상 파일, 그 정보처리장치가 화상입력장치(101)로부터 취득한 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를 내부에 기억한다.
입력I/F(205)는, 유저의 조작을 받고, 데이터를 입력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와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와의 인터페이스다. 또한, 입력장치는, 이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211)에 터치 센서를 구비한 터치패널이여도 좋다. BMU(206)는, 예를 들면 메모리간(예를 들면, VRAM207과 다른 메모리와의 사이), 메모리와 각 I/O디바이스(예를 들면, 네트워크I/F209)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VRAM(207)은, 표시부(211)에 표시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유지한다. VRAM(207)에 유지된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 표시부(211)에 송신되고, 이에 따라 표시부(211)에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네트워크I/F(209)는, 인터넷(106)등의 네트워크 회선에 접속되고, 정보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행한다. 제어부(201), ROM(202), RAM(203), 기억장치(204), 입력I/F(205), BMU(206), VRAM(207), 및 네트워크I/F(209)는, 시스템 버스(212)에 접속되고, 시스템 버스(212)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을 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유저 단말 102A의 정보처리장치(200)에서 행해진 처리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2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정보처리장치(200)의 제어부(201)가 기억장치(204)로부터 포토 사이트(107)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200)를 이용하는 사람은 오너 유저이며, 이하에서는 유저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표시 화면들인, 화상일람 화면(400), 그룹 일람 화면(600), 그룹내 화상 일람 화면(700), 및 화상 상세화면(1000)은, 브라우저 105A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단계 S301에서는, 제어부(201)는, 포토 사이트(107)의 로그인 화면(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유저의 로그인 조작에 응답하여, 로그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로그인 조작은, 유저가 로그인 화면에 유저 고유의 ID와 패스워드의 입력에 의해 행해진다. 포토 사이트(107)의 제어부(108)는, 입력된 ID와 패스워드를 인터넷(106)을 경유하여 정보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인증 처리를 행한다. 포토 사이트(107)의 제어부(108)는, 그 입력된 ID 및 패스워드를, 인증 처리로서, 예를 들면 속성정보DB(110)에서 관리되는 유저의 속성정보에 있는 ID 및 패스워드와 비교한다. 포토 사이트(107)의 제어부(108)는, 수신한 ID 및 패스워드가 속성정보DB(110)에 존재할 경우에는 로그인이 허가되고, 그 ID 및 패스워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그인이 허가되지 않는 결과를 인터넷(106)을 경유하여 정보처리장치(200)에 송신한다. 또한, 로그인 처리는 이 로그인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302에서는, 제어부(201)는, 로그인 처리가 성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1)는, 포토 사이트(107)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로그인 처리를 판정한다. 로그인 처리가 성공했을 경우(단계 S302: YES), 제어부(201)는, 화상일람 화면(400)을 표시부(211)에 표시한다(단계 S303). 단계 S303에서는, 제어부(201)는, 화상일람 화면(400)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211)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1)는, 포토 사이트(107)의 화상DB(109)에서 관리되어, 유저가 업로드한 모든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106)을 경유해서 포토 사이트(107)로부터 취득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기억장치(204)에 기억한다. 제어부(201)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일람 화면(400)에 배치한 화상일람 화면(400)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화상일람 화면(400)을 표시부(211)에 표시한다.
이하, 화상일람 화면(400)에 대해서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200)에 표시되는 화상일람 화면(400)의 일례다.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일람 화면(400)의 설정메뉴(408)의 일례다.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일람 화면(400)에서 라이브러리/앨범 메뉴(409)의 일례다. 화상일람 화면(400)은, 선택 버튼(401), 그루핑 버튼(402), 업로드 버튼(403), 섬네일(404), 촬영일(405), 설정메뉴 표시 버튼(406), 및 전환 메뉴 표시 버튼(407)을 표시한다.
선택 버튼(401)은, 화상일람 화면(4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하고, 유저가 그 화상을 선택할 수 있는 전환된 화면을 표시하는 (도시하지 않은) 버튼이다. 유저는, 선택한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선택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서 전자 앨범을 작성하고, 선택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프린트 사이트(111)에 송신해서, 프린트 주문할 수 있다. 그루핑 버튼(402)은, 화상들을 그루핑 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업로드 버튼(403)은, 유저가 화상DB(109)에서 관리된 화상에 화상 데이터를 추가로 업로드하는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섬네일(404)은 포토 사이트(107)에 업로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로 형성된 섬네일이며, 상기 화상들은 화상일람 화면(400)에, 촬영일(405) 각각에 따라 분류되고 타일형으로 배치 및 표시된다. 또한, 화상의 표시 방법은 이 표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정메뉴 표시 버튼(406)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메뉴(408)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전환 메뉴 표시 버튼(407)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앨범 메뉴(409)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제어부(201)는, 라이브러리/앨범 메뉴(409)에 있어서의 유저의 선택에 따라, 유저의 화상 데이터를 모두 관리하는 라이브러리(410) 또는 앨범(411)에 화면 표시를 전환한다. 앨범(411)은, 예를 들면 선택 버튼(401)에 의해 표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화상을 일괄적으로 표시한 화면이다.
로그인 처리가 실패했을 경우(단계 S302: NO), 제어부(201)는, 에러 화면을 표시부(211)에 표시한다(단계 S304). 단계 S304에서는, 제어부(201)는, 도시하지 않는 에러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부(211)에 표시하고, 본 흐름도를 종료한다. 단계 S305에서는, 제어부(201)는, 화상일람 화면(400)의 그루핑 버튼(402)의 누름을 검출했을 경우, 화상일람 화면(4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그루핑 하기 위한 그루핑 메뉴(501)를 표시한다.
이하, 그루핑 메뉴(501)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루핑 버튼(402)을 누르면, 그에 따라서 제1의 검색 조건 및 제2의 검색 조건인 그루핑 메뉴(501)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루핑 메뉴(501)는, 촬영 일시, 촬영 정보 및 그 밖의 항목을, 화상들을 그루핑 가능한 항목으로서 표시한다. 또한, 촬영 일시의 항목은, 촬영월 및 촬영일의 상세항목을 가지고; 촬영 정보의 항목은, 카메라 기종명, 렌즈, 조리개 값, 셔터 속도및 ISO감도의 상세항목을 가지고; 그 밖의 항목은, 레이팅(rating) 및 태그의 상세항목을 가진다. 그루핑 메뉴(501)의 항목은 상세항목의 분류를 나타내는 항목이며, 상세항목은 유저가 선택 가능한 항목이다. 또한, 그루핑 메뉴(501)에 표시하는 항목은, 속성정보DB(210)에 기억된 데이터이면 이 항목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레이팅은,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화상평가 값(예를 들면, 0∼5까지의 6단계의 값)이다.
제어부(201)는, 인터넷(106)을 통해 그루핑 메뉴(501)의 상세항목 중에서 선택된 항목을 포토 사이트(107)에 송신한다. 포토 사이트(107)의 제어부(108)는, 그 제어부(108)가 수신한 항목에 따라, 유저가 업로드한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상을 그루핑 하고, 그루핑 한 결과의 데이터를 인터넷(106)을 통해 제어부(201)에 송신한다. 제어부(201)는, 그루핑 한 결과의 데이터를 기억장치(204)에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좁히는 최적의 예로서, 같은 항목하에서 화상들을 그룹화하는 그루핑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그 좁히는 방법은 문자열을 입력한 검색 방법이어도 되고, 그 좁히는 방법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화상일람 화면(400)은 그루핑 버튼(402)에 의해 그루핑 메뉴(501)가 확장되는 화면으로서 설정되지만, 그루핑에 관한 표시 방법은 이 표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201)가 포토 사이트(107)로부터 취득하는 그루핑의 결과의 데이터는, 제어부(201)가 포토 사이트(107)에서 그루핑 된 각각의 화상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식이어도 된다.
단계 S306에서는, 제어부(201)는, 단계 S305에서 그루핑 된 결과인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그룹 일람 화면(600)을 생성하고, 표시부(211)에 그룹 일람 화면(600)을 표시한다. 이하, 그룹 일람 화면(600)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룹 일람 화면(600)은, 항목 명(601), 리턴 버튼(602), 섬네일(603), 공통 항목(604), 매수(605), 설정메뉴 표시 버튼(406), 및 전환 메뉴 표시 버튼(407)을 표시한다. 항목 명(601)은, 화상일람 화면(400)의 그루핑 메뉴(501)에서 선택된 항목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일람 화면(4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그루핑 메뉴(501)에서 선택된 레이팅의 항목으로 그루핑 하고 있으므로, 항목 명(601)에 "레이팅"이 표시되어 있다.
리턴 버튼(602)은, 앞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이며, 눌려지면, 그에 따라 그룹 일람 화면(600)의 천이원의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6에 나타낸 그룹 일람 화면(600)은, 화상일람 화면(400)에 있어서의 1단계째의 그루핑에 의해 만들어진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이기 때문에, 유적 그 버튼(602)을 누르면, 전체 화상이 표시되는 화상일람 화면(400)으로 되돌아간다. X단계째 그루핑에 의해 만들어진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그룹 일람 화면(600)에 있어서 리턴 버튼(602)이 눌려 있을 경우에는, X-1단계째의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이 표시된다.
섬네일(603)은, 그루핑된 화상중의 선두화상의 섬네일이다. 또한, 그루핑은, 검색과 다르고,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서 해당 항목이 없다고 한다는 점에서 종료하지 않으므로, 그루핑된 결과, 화상 데이터가 없는 항목은 존재하지 않고, 각 항목에 있어서 반드시 섬네일(603)은 표시된다. 공통 항목(604)은, 그 그룹의 공통 항목의 명칭이다. 도 6에서는, 레이팅의 항목으로 화상들이 그루핑 되어 있기 때문에, 별 아이콘이 0개로부터 5개까지의 그룹과, 별 아이콘이 없는 제외의 그룹과의 총 7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매수(605)는 각 그룹에 존재하는 화상 데이터의 수이며, 섬네일(603)과 마찬가지로 그루핑된 결과, 화상 데이터가 없는 항목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각 항목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는 1개이상 존재하게 된다.
단계 S307에서는, 유저가 화상의 일람을 표시하고 싶은 그룹의 섬네일(603)을 눌렀을 경우, 제어부(201)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211)에 표시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01)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그룹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을 생성하여, 표시부(211)에 표시한다. 이하,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대해서,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있어서의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은, 항목 명(701), 리턴 버튼(702), 선택 버튼(401), 그루핑 버튼(402), 섬네일(704), 설정메뉴 표시 버튼(406), 및 전환 메뉴 표시 버튼(407)을 표시한다.
항목 명(701)은, 그룹 일람 화면(600)으로 선택된 섬네일(603)을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명이다. 도 7a는, 유저가 그룹 일람 화면(600)에서 별 아이콘이 5개의 그룹의 섬네일(603)을 눌렀을 경우에 표시되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을 나타내고, 별 아이콘이 5개 정렬된 항목이 항목 명(701)으로서 표시된다. 유저가 항목 명(701)을 누를 경우,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전체의 화상을 그루핑에 의해 좁힌 항목의 이력이 리스트(703)로서 표시된다. 리스트(703)에 표시된 항목은, 그루핑 메뉴(501)로 선택된 항목이며, 기억장치(204)에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스트(703)에서, 그루핑 메뉴(501)에서 선택된 항목의 순번으로 그 항목의 링크가 표시된다. 유저가 리스트(703)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을 누름으로써, 유저는 선택한 항목으로 화상을 좁힌 결과를 나타내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리턴 버튼(702)이 눌려지는 경우, 이에 따라, 그 화면(700)은, 천이원이며 앞 화면인 그룹 일람 화면(600)으로 되돌아간다.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그루핑 버튼(402)을 배치함으로써, 유저가 그루핑 해서 좁힌 화상 모두를 모수(parameter)로서 가정하면서, 유저는 한층 더 화상들을 좁힐 수 있다. 또한, 모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유저가 대상 화상, 달리 말하면, 유저가 찾고 싶은 화상에 도달하기 쉬워진다. 또한,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있어서, 유저가 화상을 추가로 업로드 할 수 있을 경우, 업로드한 화상 데이터는 항목 명(701)에 해당하는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아니면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유저가 혼란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일람 화면(400)의 업로드 버튼(403)은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배치되지 않는다.
도 8a 및 8b와, 도 9a 및 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7a의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그루핑 버튼(402)을 유저가 누른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서 선택된 항목에 따라 화상들이 그루핑된 그룹 일람 화면(600)의 일례다. 도 9a는, 도 8a에서 선택된 그룹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표시되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있어서의 리스트(703)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01)가 단계 S311, S306, S307을 행한 2단계째의 화상의 그루핑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에서는, 도 7a에 나타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있어서, 유저는 그루핑 메뉴(501)로부터 다음에 검색 조건에 추가하는 항목, 다시 말해, 화상을 좁히는 항목을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단계째에서 레이팅을 선택하기 때문에, 도 8a에서는 레이팅을 선택할 수 없는 상태이며, 유저는 레이팅이외의 항목을 선택한다. 제어부(201)는, 선택된 항목에 따라, 도 8a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그루핑 한다. 제어부(201)는, 2단계째의 그루핑을 행한 결과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그룹 일람 화면(600)을 생성하고,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일람 화면(600)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루핑 메뉴(501)의 항목 중에서 촬영일이 선택되어서, 그 화상들이 그루핑 된 결과,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일로 그루핑 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그룹 일람 화면(600)이 표시되고, 항목 명(601)에 "촬영일"이 표시된다. 유저가 도 8b에 나타낸 그룹 일람 화면(600)으로부터 1개 그룹을 선택할 경우,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b에 나타낸 촬영일로 그루핑 된 그룹 일람 화면(600)에 있어서, 2008년 5월5일의 그룹이 선택된 결과, 도 9a에 나타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항목 명(701)에 "2008년 5월5일"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단계째에서의 레이팅과, 2단계째에서의 촬영일로서 다단계의 그루핑으로 화상을 좁히고, 이에 따라 도 9a에서 리스트(703)가 눌려질 경우,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스트(703)도 다단계로 표시된다.
단계 S308에서는, 제어부(201)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표시되어 있는 선두화상의 화상ID의 값을, 변수N에 대입한다. 화상ID는, 각각의 화상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ID이며, 모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다른 화상ID가 첨부된다. 단계 S309에서는, 제어부(201)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화상 상세화면(1000)을 표시하는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01)는, 유저가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섬네일(404)을 누른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상세화면(1000)을 표시하는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달리 말하면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섬네일(704)이 눌려졌을 경우(단계 S309: YES), 제어부(201)는, 화상 상세화면(1000)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211)에 표시한다. 단계 S310에서는, 제어부(201)는, 표시한 화상의 화상ID의 값을 변수N에 대입한다. 단계 S311에서는, 제어부(201)는, 화상 상세화면(10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전환하였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상세화면(10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전환하였을 경우(단계 S311: YES), 제어부(201)는, 전환된 화상의 화상ID를 변수N에 대입한다. 이렇게, 변수N의 화상ID는, 새롭게 선택된 화상의 화상ID로 겹쳐 써진다. 화상 상세화면(10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전환하지 않았을 경우(단계 S311: NO), 제어부(201)는, 화상 상세화면(1000)의 표시 조작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 S309).
이하, 화상 상세화면(1000)에 대해서 도 10a 내지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세화면(10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상세정보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c는 도 10a의 화상 상세화면(1000)에 있어서의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상세화면(1000)은, 타이틀(1001), 리턴 버튼(1002), 다운로드 버튼(1003), 회전 버튼(1004), 삭제 버튼(1005), 레이팅 설정 영역(1006), 및 상세정보표시 버튼(1007)을 표시한다. 또한, 화상 상세화면(1000)은, 섬네일(1008), 그룹내 화상표시 영역(1009), 화상전환 버튼(1010), 및 화상표시 영역(1021)을 표시한다.
타이틀(1001)은, 화상 상세화면(1000)의 타이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틀(1001)이 촬영 일시이지만, 이 촬영 일시에 한정하지 않고, 섬네일(1008)의 화상의 파일명이어도 좋다. 타이틀(1001)은,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항목 명(701)과 마찬가지로, 타이틀(1001)이 눌리면, 도 10c에 나타낸 리스트(1020)가 표시된다. 리스트(1020)에는, 도 7b에 나타낸 리스트(703)와 마찬가지로, 유저가 전체의 화상을 다단계로 좁힌 과정이 이력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리스트(1020)에 있는 항목이 눌려지면, 그 선택된 단계에 있어서의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을 표시할 수 있다.
리턴 버튼(1002)은, 앞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이며, 리턴 버튼이 눌리면, 화면이 천이원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되돌아간다. 다운로드 버튼(1003)은 화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버튼이다. 다운로드 버튼(1003)이 눌리면, 그에 따라서 섬네일(1008)을 표시하는 오리지널 화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의 다운로드의 방법에 대해서는, PC의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유저는 브라우저 기능을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 스마트 폰, 타블렛 단말등을 사용할 경우에 유저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장치(204)등에 다운로드 한다. 화상 데이터의 다운로드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오리지널 화상 데이터는 기억장치(204)에 복사되어도 된다.
회전 버튼(1004)은 화상을 회전시키는 버튼이다. 회전 버튼(1004)이 눌리면, 이에 따라, 섬네일(1008)은 지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결과는 섬네일(1008)의 오리지널 화상 데이터에 반영된다. 회전의 방법에 대해서는, 유저는, 회전 버튼(1004)의 누름에 의해 균일하게 우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도 좋거나, 회전 각도를 선택 또는 입력시켜도 좋다. 이 방법은, 그 회전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상의 회전은 오리지널 화상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반영되어도 되거나, 포토 사이트(107)의 화상DB에 기억된 화상에 대하여 제어부(108)가 회전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01)는, 회전 수 및 회전 각도를 기록하고, 또한 오리지널 화상 데이터가 포토 사이트(107)로부터 다운로드했을 때에 기록된 회전 각도를 오리지널 화상 데이터에 적응해도 좋다. 삭제 버튼(1005)은, 화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버튼이며, 눌려지는 것에 의해 섬네일(1008)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섬네일(1008)의 오리지널 화상 데이터를 화상DB(109)로부터 삭제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01)는, 섬네일(1008)의 화상 데이터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화상ID를 인터넷(106)을 통해 포토 사이트(107)에 송신한다. 포토 사이트(107)의 제어부(108)는, 제어부(108)가 수신한 화상ID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DB(109)로부터 삭제한다. 화상 데이터가 삭제된 후, 제어부(201)는, 표시된 화상 데이터의 바로 전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화상 상세화면(1000)을 표시해도 좋거나, 천이원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되돌아가도 된다. 이 방법은, 이 동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이팅 설정 영역(1006)은, 화상 데이터에 레이팅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이며, 별 아이콘의 누름에 의해 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레이팅 값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에서 별 아이콘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키고, 다른 별 아이콘의 누름에 의해 레이팅 값, 달리 말하면, 별 아이콘의 수를 변경할 수 있고, 그 다른 별 아이콘의 누름에 의해 상기 설정한 레이팅 값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별 아이콘을 내지 않는 제외 기능도 설치하고 있지만, 레이팅 값의 지정 방법은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정보표시 버튼(1007)은, 화상 데이터의 상세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며, 눌려지면,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상세화면(10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속성정보가 표시된다. 속성정보는, 화상정보(1011), 촬영 정보(1012) 및 위치 정보(1013)로 구성되고, 각 정보가 탭 형식으로 표시된다. 도 10b에서는, 화상정보(1011)는, 화상 명(1014), 화상 명 편집 버튼(1015), 열람 횟수(1016), 태그 표시 영역(1017), 태그 편집 버튼(1018), 및 앨범 표시 영역(1019)을 표시한다. 화상 명(1014)은, 화상표시 영역(1021)에 섬네일(1008)로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화상 명이다. 화상 명 편집 버튼(1015)은, 화상 명(1014)을 편집하기 위한 버튼이다. 열람 횟수(1016)는, 초대 유저에 의한 화상의 열람 횟수다. 태그 표시 영역(1017)은, 섬네일(1008)의 화상 데이터에 부착된 태그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태그 편집 버튼(1018)은, 태그를 편집하기 위한 버튼이다. 앨범 표시 영역(1019)은, 섬네일(1008)의 화상 데이터가 속해 있는 앨범의 화상들의 일람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또한, 속성정보의 표시 내용 및 표시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섬네일(1008)은 도 9a의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선택된 화상의 섬네일이며, 정보처리장치(200)의 종류, 예를 들면 PC, 스마트 폰 등에 적합한 시인성으로 표시된다. 그룹내 화상표시 영역(1009)은, 같은 그룹에 속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일람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며, 섬네일(1008)로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 그 밖의 화상 데이터간의 전후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같은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배치된다. 화상전환 버튼(1010)은, 화상표시 영역(102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전후의 화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이다. 화상전환 버튼(1010)이 눌려지면, 화상표시 영역(102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는 그 화상 데이터의 전후의 화상 데이터, 다시 말해, 그룹내 화상표시 영역(1009)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순서로 전환된다. 도 10a에서, 화상표시 영역(102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그룹내의 최후의 화상 데이터이기 때문에, 도 10a는 화상 상세화면(1000)의 화면 오른쪽에 있는, 다음의 화상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한 화상전환 버튼(1010)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단말 등일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을 스와이프(swipe)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화상전환 버튼(1010)을 배치하지 않고 유저가 스와이프 조작의 응답으로서 화상 데이터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01)는, 유저가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화상을 선택하고, 화상 상세화면(1000)으로부터 앞 화면에 되돌아가는 조작, 또는 화상 상세화면(1000)에서 화상전환 버튼(1010)의 누름에 의해 화상을 전환하는 조작에 응답하고, 단계 S310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01)는, 화상 상세화면(1000)에서 표시한 화상 데이터의 화상ID, 또는 화상 상세화면(1000)에서 전환한 화상 데이터의 화상ID로, 변수N을 겹쳐 쓴다. 자세하게는, 최후에 화상 상세화면(1000)에서 열람된 화상을 대상 화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제어부(201)는, 변수N으로서, 최후에 화상 상세화면(1000)의 화상표시 영역(1021)에 표시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ID를 기억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삭제에 의해 화상이 전환되는 경우도, 제어부(201)는, 그 전환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ID로 변수N을 겹쳐 쓴다.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있어서, 유저가 어느 화상 데이터의 상세표시도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에, 제어부(201)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선두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대상 화상으로서 간주하고, 변수N에 대한 화상ID를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1)는, 최후에 표시한 화상을 대상 화상으로서 간주하면서 변수N에 대한 화상ID를 기억하지만, 대상 화상의 선택 방법은, 대상 화상을 1개로 좁힐 수 있으면 어떤 방법이어도 좋다.
화상 상세화면의 표시 조작이 없었을 경우(단계 S309: NO), 제어부(201)는, 변수N에 새로운 화상ID를 대입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화상 데이터가 그루핑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312).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화상 데이터가 그루핑 되었을 경우, 달리 말하면, 그루핑 메뉴(501)에서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단계 S312: YES), 제어부(201)는, 선택된 항목에 따라 그루핑의 결과를 표시한다. 그루핑의 처리는, 단계 S305의 처리와 같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그루핑 된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그룹 일람 화면(600)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룹 일람 화면(600)을 표시부(211)에 표시한다(단계 S306). 이렇게, 제어부(201)는, 단계 S306∼S311의 그루핑의 처리를 다시 실시한다. 이 처리에 의해, 제어부(201)는, 다단계로 그루핑 하여서 화상들을 좁힐 수 있다.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서 화상 데이터가 그루핑 되지 않았을 경우(단계 S312: NO), 제어부(201)는, 리스트 703 또는 리스트 1020의 조작을 판정한다(단계 S313). 단계 S313에서는, 제어부(201)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리스트 703 또는 화상 상세화면(1000)의 리스트 1020에 대해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1)는, 유저의 조작에 의한 리스트 703 또는 리스트 1020에 대한 조작에 의해, 화상일람 화면(400)에 되돌아가는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01)는, 리스트 703 또는 리스트 1020에서 되돌아오는 조작, 다시 말해, 리스트 703 또는 리스트 1020이 나타내는 검색 조건의 이력 중에서 어느 쪽인가의 항목을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리스트 703 또는 리스트 1020에 있어서, 어느 쪽인가의 항목이 선택될 경우, 현재의 그루핑의 검색 조건으로부터 해당 항목이 해제되고, 검색 범위를 넓힌 검색 결과가 화상일람 화면에 표시되게 되고, 해당 항목이 검색 조건에 추가되기 전의 상태로 화면이 되돌아간다. 리스트 703 또는 리스트 1020에서의 되돌아가는 조작이 있었을 경우(단계 S313: YES), 제어부(201)는, 화상일람 화면(400)에, 변수N에 기억된 화상ID를 포함하는 화상일람 화면(400)을 표시한다(단계 S314). 단계 S314에서는, 제어부(201)는, 변수N에 기억된 화상ID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범위를 넓힌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배치한 화상일람 화면(400)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상일람 화면(400)을 표시부(211)에 표시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01)는, 변수N에 기억된 화상ID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일람 화면(400)이 표시되었을 경우에 유저가 화상을 시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리스트(703)로부터 되돌아간 화상일람 화면(400)의 일례다. 도 11은, 도 10a에 나타낸 섬네일(1008)의 화상의 화상ID가 변수N에 기억되어 있을 경우의 화상일람 화면(400)을 나타낸다. 화상일람 화면(400)에는, 섬네일(1008)로 표시되어 있었던 화상 데이터가, 화상일람 화면(400)의 표시 범위내에 섬네일(1101)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섬네일 1101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 같은 촬영일의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 1102가 섬네일 1101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유저가 다단계로 화상 데이터를 좁히고, 화상 데이터의 상세를 열람한 후, 화상일람에 되돌아갔을 경우, 그 대상 화상을 포함하는 주변화상, 다시 말해 대상 화상 및 대상 화상과 같은 그룹의 화상이 화상일람 화면(400)의 표시 범위내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유저는 화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화상의 활용 방법들은, 예를 들면, 그 대상 화상 및 주변화상을 사용해서 앨범을 작성해서 제3자에게 공개하는 것; 및 프린트 주문을 해서 그 화상을 현상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그렇지만, 이 방법들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리스트 703 또는 1020의 선택이외의 조작의 경우, 예를 들면, 화면의 모드 전환 등의 조작에 의해 이전의 화면에 되돌아가는 조작이었을 경우(단계 S313: NO), 제어부(201)는 디폴트의 화상배치에서 화상일람 화면(400)을 표시한다(단계 S315). 단계 S315에서는, 제어부(201)는, 변수N의 값을 사용하지 않고, 도 4a의 화상일람 화면(400)에 나타낸 소정의 화상배치로 표시되도록 화상일람 화면(400)의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고, 표시부(211)에 화상일람 화면(400)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대상 화상으로 좁혀진 화상표시를 좋아하지 않는 경우에 이전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루트가 확보된다.
이하, 상기 설명에 대해 도 12a 내지 12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a 내지 12d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표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세화면(1000)으로부터 리스트(1020)를 사용해서 이전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경우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으로부터 리스트(703)를 사용해서 이전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경우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세화면(1000)으로부터 라이브러리/앨범 메뉴(409)를 사용해서 이전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경우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d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의 라이브러리/앨범 메뉴(409)를 사용해서 이전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경우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스트 703 및 1020에는, 그루핑에 사용한 항목들이 이력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화상처리부는, 위 항목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변수N에 기억된 화상ID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일람 화면(4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c,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앨범 메뉴(409)를 사용한 화면전환에 의해 화상일람 화면(400)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화면이 라이브러리/앨범 메뉴(409)을 사용해서 화상일람 화면(400)에 되돌아가는 경우에는, 모든 화상이 디폴트의 화상배치에서 화상일람 화면(400)에 표시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다단계로 에 좁히고, 열람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ID를 변수N에 기억하고, 검색 조건이 해제되었을 경우에, 변수N에 기억된 화상ID의 화상 데이터를 화면의 표시 범위내에 배치해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장치가 검색 조건에 콘텐츠를 좁히고 나서 그 검색 조건을 해제한 후도, 목적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므로, 유저는 목적 콘텐츠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이상으로 본 실시예의 설명을 마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으로부터 화상일람 화면(400)에 되돌아가는 처리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동일한 처리는 화면이 화상 상세화면(1000)으로부터 화상일람 화면(400)에 되돌아가는 경우에도 적응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단계만큼 좁혀진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으로부터 화상일람 화면(400)에 되돌아가는 처리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그 처리는 상기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다단계로 좁혀지고 심층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 또는 화상 상세화면(1000)으로부터 화상일람 화면(400)에 되돌아가는 경우, 및 다단계로 좁혀진 심층으로부터 좁혀지고 있는 중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에 되돌아가는 경우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좁혀지고 있는 중인 그룹내 화상일람 화면(700)으로부터 화상일람 화면(400)에 되돌아가는 경우 등, 화면이 임의의 좁히는 단계에 되돌아가는 경우에도 적응가능하다. 이렇게, 정보처리장치는, 유저가 대상 화상을 목표로 하는 화면에 대해 되돌아가는 방식과, 유저가 대상 화상을 목표로 하지 않는 화면에 대해 되돌아가는 방식과의 2개의 루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7)

  1. 복수의 콘텐츠 중 일부를 화면에 배치해서 표시하는 표시부;
    스크롤링에 응답해서 상기 화면에 배치된 콘텐츠를 갱신하는 갱신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제1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는 제1의 배치부; 상기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 중, 제2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2의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는 제2의 배치부;
    상기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2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제2의 검색 조건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 중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는 제3의 배치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배치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선두에 있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제1의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배치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최후에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제1의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배치부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적어도 1개의 콘텐츠를, 상기 제1의 콘텐츠 또는 상기 제2의 콘텐츠로부터 한층 더 선택할 때, 한층 더 선택되기 전에 배치된 콘텐츠보다 큰 사이즈로 상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배치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검색 조건 또는 상기 제2의 검색 조건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의 검색 조건은, 상기 기억된 검색 조건 중에서 상기 제1의 검색 조건이 선택될 때 이에 따라서 해제되는, 정보처리장치.
  6. 복수의 콘텐츠 중, 제1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의 일부를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 중, 제2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2의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기 제2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의 검색 조건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 중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스크롤링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배치된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
  7. 컴퓨터에 정보처리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방법이,
    복수의 콘텐츠 중, 제1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의 일부를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 중, 제2의 검색 조건에 의거하여 검색된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2의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기 제2의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의 검색 조건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제1의 콘텐츠 중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일부를 상기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스크롤링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배치된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60177273A 2015-12-28 2016-12-23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KR20170077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6997 2015-12-28
JP2015256997A JP6771891B2 (ja) 2015-12-28 2015-12-2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10A true KR20170077810A (ko) 2017-07-06

Family

ID=5901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273A KR20170077810A (ko) 2015-12-28 2016-12-23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85279A1 (ko)
JP (1) JP6771891B2 (ko)
KR (1) KR20170077810A (ko)
CN (1) CN107016034A (ko)
DE (1) DE102016125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6955B2 (en) * 2017-02-23 2020-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till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ed in still image generating apparatus
JPWO2019044655A1 (ja) * 2017-08-31 2019-11-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US11580129B2 (en) * 2018-04-20 2023-02-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Quality-aware data interfaces
CN112789636A (zh) * 2018-10-26 2021-05-11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1673636S (ko) * 2020-02-17 2020-11-30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7511B2 (en) * 2006-03-20 2011-03-29 Cannon Structures, Inc. Query system using iterative grouping and narrowing of query results
CN101174265A (zh) * 2006-11-04 2008-05-07 吴风勇 一种记录和评估用户搜索行为的方法
JP4928333B2 (ja) * 2007-04-12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US8452793B2 (en) * 2008-09-30 2013-05-28 Yahoo! Inc. Query refinement based on user selections
US20100100563A1 (en) * 2008-10-18 2010-04-22 Francisco Corella Method of computing a cooperative answer to a zero-result query through a high latency api
JP5182178B2 (ja) * 2009-03-18 2013-04-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8103667B2 (en) * 2009-05-28 2012-01-24 Microsoft Corporation Ranking results of multiple intent queries
JP2011060246A (ja) 2009-09-14 2011-03-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56263B2 (ja) 2010-08-31 2013-08-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95775B1 (ko) * 2012-01-06 2019-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아이템 검색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4203214A (ja) * 2013-04-03 2014-10-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16034A (zh) 2017-08-04
US20170185279A1 (en) 2017-06-29
JP6771891B2 (ja) 2020-10-21
JP2017120541A (ja) 2017-07-06
DE102016125315A1 (de)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5916B2 (en) Mobile devic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77810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US8458235B2 (e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ile management
US85222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16995B1 (ko) 개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인증 및 개인 컨텐츠 전송 방법과그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서버
KR20150132074A (ko) 콘텐트를 구성하는 방법
US20130103742A1 (en) Direct photo sharing system
JP5119288B2 (ja) 携帯端末装置、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099142A (ja) 画像共有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087040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自動取得方法、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自動取得システム
JP5416011B2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45355B1 (ko) 이미지 선호도 측정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6168434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WO202405796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424917B2 (ja) 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データ表示方法、およびカレンダ表示用プログラム
JP2010257266A (ja)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EP42077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80430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6166295B2 (ja) 画像データ提供システム、画像データ提供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
US20120079051A1 (en)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and retrieving associated information with a digital image
JP201325070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42242B (zh) 檔案分享操作之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CN101321157A (zh) 具有网络连结功能的显示器
JP2019020938A (ja) 共有画像表示装置、画像共有システムおよび画像共有方法
WO2003091907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gestion de conten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