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869A -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869A
KR20170075869A KR1020150185046A KR20150185046A KR20170075869A KR 20170075869 A KR20170075869 A KR 20170075869A KR 1020150185046 A KR1020150185046 A KR 1020150185046A KR 20150185046 A KR20150185046 A KR 20150185046A KR 20170075869 A KR20170075869 A KR 2017007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rface
protruding
wall portion
surface portion
automotiv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524B1 (ko
Inventor
오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5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는 베이스면부,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연장되어 자동차용 사이드실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면부에 구비되며, 각진 복수 개의 벽부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Reinforcement member for vehicle side sill}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돌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여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 등 여러 가지 안전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로상에는 지하차도나 고가도로, 터널 및 교량 하부 등 상기 안전시설물들 이외의 시설물들도 즐비하며, 이런 시설물들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자동차와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자동차와 상기 시설물들의 충돌에 의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엄청난 크기의 충격에너지가 사고 차량에 가해지기 때문에 자동차의 파손뿐만 아니라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안전시설물이 아닌 일반적인 구조물 혹은 다른 자동차와 충돌하는 경우 차량 내부에서 충격에너지를 견뎌야 한다.
하지만, 소재의 에너지 흡수 특성만으로 발생하는 모든 충격에너지를 견디기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소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이를 보상해주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이는 차체의 무게 증가와 직결되며,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자동차 연비향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특히, 측면 충돌(Side impact)에 영향을 주는 사이드실 또는 비필러(B-Pillar) 및 주변부의 부품은 탑승자의 측면 충돌에 대하여 충돌 에너지는 흡수하고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이드실 하부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는 전기장치와 연결된 전선 등이 지나가게 구성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동일 소재로 성형시에 충돌 에너지 흡수가 부족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에 대한 강성을 보강한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는 베이스면부,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연장되어 자동차용 사이드실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면부에 구비되며, 각진 복수 개의 벽부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돌출측벽부, 상기 돌출측벽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측벽부와 연결되는 돌출탑벽부 및 상기 돌출측벽부와 상기 돌출탑벽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측벽부에서 상기 돌출탑벽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탑 경사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면부와 상기 돌출측벽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상기 돌출측벽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베이스 경사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면부에 일정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가 연장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의 상기 결합부는,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이 구비되는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홈부의 측벽에 대면하게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는 충돌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충돌에 대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완충하는 것을 다단계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실에 전선 등이 통과하게 구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와 자동차용 사이드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와 종래기술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에 의한 충격 에너지 흡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는 충돌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발명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는 충돌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충돌에 대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완충하는 것을 다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살펴보면,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와 종래기술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에 의한 충격 에너지 흡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는 베이스면부(10), 상기 베이스면부(10)에서 연장되어 자동차용 사이드실(2)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결합부(20) 및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면부(10)에 구비되며, 각진 복수 개의 벽부로 형성되는 돌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충돌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면부(10)는 후술할 돌출부(30), 결합부(20) 등이 구비되는 기본 구성이며, 상기 결합부(20)는 자동차용 사이드실(2)에 결합되기 위해 제시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베이스면부(10)에서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용접을 위한 용접 플랜지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0)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비드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에 형성된 홈부의 측벽(2a)에 대면하게 상기 베이스면부(10)에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연결되는 전선 등이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의 홈부에 구비되는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의 상기 결합부(20)는,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이 구비되는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의 홈부의 측벽(2a)에 대면하게 상기 베이스면부(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보강부재(1')의 경우에는 자동차용 사이드실(2)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의 홈부를 가로지르게 형성됨으로써, 전선 등이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의 홈부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웠었는데,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는 자동차용 사이드실(2) 홈부의 벽부에만 결합부(20)를 구비시킴으로써, 전선 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충돌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충돌에 대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완충하는 것을 다단계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우선, 상기 돌출부(30)가 충돌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상기 돌출부(30)가 각진 복수 개의 벽부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돌출부(30)가 곡면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돌출부(30)에 가해진 충돌은 상기 돌출부(30)의 곡면부 전체로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30)가 각진 벽부로 구성된다면, 상기 돌출부(30)에 가해진 충돌은 벽부의 각진 부분을 경계로 하여 충돌의 전달이 어려워지므로, 충돌 강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돌출부(30) 벽부의 각진 부분이 충돌 전달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경우에 상기 돌출부(30) 벽부의 각진 부분이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30) 벽부의 각진 부분이 충돌 전달 방향과 수평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30) 벽부의 각진 부분은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이에 의하여도 충돌 강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종이를 한 번 접어서 세우면 밴딩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며 서있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30)가 충돌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장애물 역할을 하는 것과, 상기 돌출부(30)가 충돌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기둥 역할을 하는 것을 모두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돌출부(30)는 여러 방향으로 각지게 형성된 벽부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의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베이스면부(10)에서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돌출측벽부(31), 상기 돌출측벽부(31)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측벽부(31)와 연결되는 돌출탑벽부(32) 및 상기 돌출측벽부(31)와 상기 돌출탑벽부(3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측벽부(31)에서 상기 돌출탑벽부(32)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탑 경사벽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돌출부(30)는 밑면이 제외된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면부(10)에 구비되는 것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밑면이 제외된 육면체 이상의 벽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면부(1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탑 경사벽부(33)는 상기 돌출측벽부(31) 및 돌출탑벽부(32)와 수직 또는 수평의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기울어져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30)에 부가되는 충돌의 모든 방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의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베이스면부(10)와 상기 돌출측벽부(31)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면부(10)에서 상기 돌출측벽부(31)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베이스 경사벽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경사벽부(34)의 경우에도 상기 탑 경사벽부(33)와 동일한 이유로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탑 경사벽부(33)가 상기 돌출부(30)의 상부의 강성 보강의 역할을 한다면, 상기 베이스 경사벽부(34)는 상기 돌출부(30)의 하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의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베이스면부(10)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의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베이스면부(10)에 일정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30)를 복수 개로 구비한 것은 상기 돌출부(30)에 의한 강성 보강의 효과를 더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돌출부(30)를 상기 베이스면부(10)에 4 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면부(10)의 4 개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충돌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의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결합부(20)가 연장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에 의하여, 충돌 대한 에너지에 대한 흡수 완충을 다단계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돌출부(30)에서 1단계로 충돌 에너지를 1차 흡수 완충하며, 2단계로 상기 결합부(20)와 베이스면부(10)에 의해서 충돌 에너지를 2차 흡수 완충하는 것이다.
더 미시적인 충격 흡수 단계를 고려하면, 상기 돌출부(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각진 벽부에서도 다단계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의 충격 흡수 효과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본다.
우선 종래기술에 의한 보강부재의 경우에는 압축된 거리에 비례하여 흡수된 충격 에너지가 일정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는 크게 보면 두 단계로 충격을 흡수함을 알 수 있다. 즉, 충격 흡수의 정도를 설정하여 다단계 흡수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압축된 거리에 대한 흡수된 충격 에너지의 크기의 경우에도 종래기술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1)가 현저히 큼을 알 수 있다.
1: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2: 자동차용 사이드실
10: 베이스면부 20: 결합부
30: 돌출부 31: 돌출측벽부
32: 돌출탑벽부 33: 탑 경사벽부
34: 베이스 경사벽부

Claims (7)

  1. 베이스면부;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연장되어 자동차용 사이드실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면부에 구비되며, 각진 복수 개의 벽부로 형성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돌출측벽부;
    상기 돌출측벽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측벽부와 연결되는 돌출탑벽부; 및
    상기 돌출측벽부와 상기 돌출탑벽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측벽부에서 상기 돌출탑벽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탑 경사벽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면부와 상기 돌출측벽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상기 돌출측벽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베이스 경사벽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면부에 일정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가 연장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이 구비되는 상기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홈부의 측벽에 대면하게 상기 베이스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KR1020150185046A 2015-12-23 2015-12-23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KR101758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46A KR101758524B1 (ko) 2015-12-23 2015-12-23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46A KR101758524B1 (ko) 2015-12-23 2015-12-23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869A true KR20170075869A (ko) 2017-07-04
KR101758524B1 KR101758524B1 (ko) 2017-07-17

Family

ID=5935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046A KR101758524B1 (ko) 2015-12-23 2015-12-23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4467A (zh) * 2019-09-17 2020-01-07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提高侧碰性能的门槛撑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5410B2 (ja) 2005-01-26 2009-06-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補強構造
WO2011077808A1 (ja) 2009-12-22 2011-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側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4467A (zh) * 2019-09-17 2020-01-07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提高侧碰性能的门槛撑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524B1 (ko)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160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KR101763793B1 (ko) 차체 전부(前部) 구조
KR101717511B1 (ko) 유니타리 에너지 흡수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2791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CN108859712B (zh) 车身下部结构
US20150273996A1 (en) Protection structure of battery module mounted in rear of vehicle body
US9878687B2 (en) Vehicle energy absorbing device
JP6304505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KR101916466B1 (ko) 완충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배터리 스택
JP2003026047A (ja) 乗用車用のリッド配置
JP2007326454A (ja)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KR101758524B1 (ko)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부재
JP6484433B2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JP5863158B2 (ja) カウルカバー構造
KR100931168B1 (ko) 자동차 도어의 상부 보강구조
CN105593071B (zh) 车身前部构造
JPWO2018220695A1 (ja) 車両用内装部材
KR101664847B1 (ko) 충돌성능을 만족하는 크래쉬박스 조립체
KR101369725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JP2015024772A (ja) 自動車のフェンダ支持構造
JP6383169B2 (ja) 車両側部構造
KR20120118276A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CN207374317U (zh) 汽车行人腿部防护装置
JP5434070B2 (ja) ウインドシールド支持構造
KR101758480B1 (ko) 자동차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