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543A -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 - Google Patents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543A
KR20170073543A KR1020167005599A KR20167005599A KR20170073543A KR 20170073543 A KR20170073543 A KR 20170073543A KR 1020167005599 A KR1020167005599 A KR 1020167005599A KR 20167005599 A KR20167005599 A KR 20167005599A KR 20170073543 A KR20170073543 A KR 20170073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tents
content
phrase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042B1 (ko
Inventor
이 가오
홍치앙 왕
윤유안 게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7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8Character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alphabet, e.g. Latin alphabet
    • G06V30/293Character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alphabet, e.g. Latin alphabet of characters other than Kanji, Hiragana or Kataka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와;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전후 문구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신속하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입력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고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METHOD AND DEVICE FOR INPUT PROCESSING}
본 출원은 2015년 11월 23일에 출원되고, 중국 출원번호가 201510819054.5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제출한 것이며 당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양각색의 스마트 입력방식(
Figure pct00001
)이 존재한다. 스마트 입력방식의 신속함은, 사용자에게 빠르고 간편한 입력 체험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는, 관련 입력방식이 충분히 정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이보(微博)를 이용하는 도중에, 만약 모 화제에 회답하고자 하고, 이 화제에 포함된 하나의 명사가 한거(涵哥)인 경우, 사용자가 이 단어를 입력하려 할 때, 이 단어가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해 본 적이 없다면, 이때 사용자에 의해 "hange"라는 병음이 입력된 후라고 하더라도,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涵哥"라는 이 후보 어휘를 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를 제공하여, 관련기술에서 전후 문구(上下文)와 결합하여 입력 후보 단어를 제시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와;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입력된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와;
만약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이 이미지 내용을 포함할 때,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단계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용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전후 문구 내용으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병음(
Figure pct00002
) 입력 규칙일 때,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병음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오필(
Figure pct00003
) 입력 규칙일 때,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오필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필획 (
Figure pct00004
) 입력 규칙일 때,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필획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전송하는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자신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입력방식 프로그램으로부터 자신의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방식 프로그램으로부터 응용 프로그램이 전송하는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입력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입력 내용 획득 모듈과;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주제 내용 획득 모듈과;
상기 입력 내용 획득 모듈의 입력 내용과 상기 주제 내용 획득 모듈의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매칭 모듈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매칭 모듈이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추가하는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 내용 획득 모듈은,
입력방식 프로그램과의 연결을 구축하는 프로그램 연결 서브 모듈과;
상기 프로그램 연결 서브 모듈이 연결한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입력된 내용을 획득하는 입력 내용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주제 내용 획득 모듈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의 범위를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을 결정하는 범위 선택 서브 모듈과;
상기 범위 선택 서브 모듈의 선택 범위를 기초로,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전후 문구 내용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매칭 모듈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하는 묘사 변환 서브 모듈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이 상기 묘사 변환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고; 만약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이 상기 묘사 변환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다고 결정하는 매칭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매칭 모듈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이 이미지 내용을 포함할 때,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용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전후 문구 내용으로 하는 이미지 내용 인식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내용을 획득하고,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음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한 후, 입력란에 입력된 내용과 매칭시키고, 만약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데, 이로 인해 전후 문구 내용과 결합하여,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입력할 내용을 제시하므로, 사용자의 입력 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추가하여, 어휘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
본 발명은 주제의 전후 문구 내용의 범위를 원활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후 문구 내용, 또는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후 문구 내용,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전후 문구 내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텍스트 내용에 대한 매칭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전후 문구 내용 중의 이미지 내용이 포함하는 문자를 인식한 후, 매칭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입력방식 응용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병음 입력, 오필 입력 또는 필획 입력의 응용 상황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실시예 및 해석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도면은 명세서 내용과 함께 본 설명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부합하도록 도시되어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이용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입력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입력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입력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한 것일 때,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한 것이 아니다. 반대로, 그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와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시일 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인 “일”, “상기”와 당해” 등 용어는 문구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와, 및/또는”이라는 표현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련된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함은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등과 같은 용어로 각 정보를 설명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동일한 종류의 정보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공개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한, 제1 정보는 제2 정보로 칭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정보도 제1 정보로 칭할 수 있다. 언어의 상황에 따라, 여기서 사용된 "만약"과 같은 용어는 "…… 때", " ……할 경우" 또는 " ……에 대응하여 결정함" 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에 있어서, 입력 내용을 획득한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전송한 사용자가 입력란에 입력한 내용을 획득할 수 있다. 당해 획득 방식은 응용 프로그램이 스스로 획득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스스로 송신한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입력란에 입력한 내용은, 각종 입력방식의 입력 내용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병음(
Figure pct00005
) 입력, 오필(
Figure pct00006
) 입력 또는 필획(
Figure pct00007
) 입력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각종의 입력방식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102에 있어서,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한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본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할 수도 있고,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으며,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획득할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전후 문구 내용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단계103에 있어서,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킨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후, 상기 입력 내용에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병음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입력된 병음에 매칭시킨다. 또는, 입력 내용이 오필 입력이거나 필획 입력인 경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대응하는 오필 입력이나 필획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후, 입력된 내용에 매칭시킨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입력방식 환경의 매칭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104에 있어서,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이, 상기 묘사 변환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다고 결정하고,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
상기 단계101과 102는 반드시 이 순서대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전후 문구의 내용을 획득한 후, 입력 내용을 획득할 수도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부분이다.
단계104에 있어서,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로 추가할 수도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부분이다.
상술한 단계는 응용 프로그램과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연결이 구축된 후,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매칭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매칭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이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이하와 같을 수도 있다.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전송하는 입력 내용과 응용 프로그램 자체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고,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하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과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
상기 단계는 이하와 같을 수도 있다.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의 입력 내용과 응용 프로그램이 전송하는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고,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과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
당해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것에 의해, 입력란의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고, 만약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과 매칭될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전후 문구 내용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킨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입력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01에 있어서, 입력방식 프로그램에서 입력된 내용을 획득한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병음 입력, 오필 입력 또는 필획 입력 등일 수 있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서로 다른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입력란에 입력한,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전송된 내용을 획득한다. 당해 획득방식은 응용 프로그램이 능동적으로 획득한 것이거나, 또는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능동적으로 송신한 것일 수 있다.
단계202에 있어서,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한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획득할 범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즉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본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할 수도 있고,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으며,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및 인접한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203에 있어서,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에 매칭시킨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병음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입력된 병음에 매칭시킨다. 또는, 입력 내용이 오필 입력이거나 필획 입력일 때,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대응되는 오필 입력이나 필획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후, 입력된 내용에 매칭시킨다. 다시 말해서,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병음 입력 규칙일 때,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병음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고;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오필 입력 규칙일 때,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오필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며;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필획 입력 규칙일 때,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필획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에 매칭시킨다.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이 이미지 내용을 포함할 때,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용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전후 문구 내용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하여야 할 부분이다.
단계204에 있어서,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포함시켜,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
만약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다고 결정하고,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포함시켜,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 단계204에 있어서,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된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직접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은 이해하여야 할 부분이다.
상기 단계201과 202는 반드시 이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고, 전후 문구를 획득한 다음에 입력 내용을 획득할 수 있음은 이해하여야 할 부분이다.
도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술한 단계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입력방식 프로그램과의 연결을 구축한 후,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매칭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매칭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당해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범위의 전후 문구 내용과 서로 다른 입력방식의 입력 내용을 획득하고, 전후 문구 내용을 입력 내용의 표시 형식으로 변환한 후, 입력 내용을 매칭시키고, 만약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매칭되면, 매칭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추가하고,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며, 이리하여 전후 문구 내용과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빠르게 입력할 내용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에 들이는 시간을 절약하여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킨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입력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방식 프로그램과 현재의 응용 프로그램은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을 구축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병음을 기초로, 응용 프로그램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내용 중에 이 병음의 어휘가 포함됨을 검색하였을 때 당해 어휘를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후보 단어에 추가한다.
도3의 방법은 단말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은 입력란을 제공하고, 입력방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입력 내용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만약 내용을 입력하려고 하면, 응용 프로그램의 입력란을 클릭한다. 이 때, 응용 프로그램 시스템은 입력란이 클릭되었음을 검출하고, 입력방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방식을 선택하여 내용을 입력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임의의 병음을 입력할 때,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어휘 베이스에서 매칭 대응되는 후보 단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후보 단어의 배열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과 입력방식 프로그램 사이는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입력란이 존재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획득한다. 당해 응용 프로그램에 있어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기입한 병음과 같은,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기입한 내용을 수신하고, 당해 병음에 대응되는 어휘를 검색하며, 검색된 매칭 어휘를 다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송신한다.
단계302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은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전송한 사용자의 입력 내용을 수신한다.
사용자가 입력방식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병음을 입력한 이후,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 병음을 입력란이 존재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송신하며, 응용 프로그램은 입력된 병음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병음이 “hange”이면,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hange”를 응용 프로그램에 송신한다.
당해 단계는 병음 입력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필 입력이나 필획 입력 등도 가능하다.
단계303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은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한다.
응용 프로그램이 입력된 병음을 수신한 후,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 내용과 이미지 내용을 포함하는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한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으로서,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하는 전후 문구 만을 획득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병음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하는 텍스트 내용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더 많은 내용을 검색하기 위해, 예를 들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전후 각각 인접한 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후 문구 내용과 같은,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및 인접 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할 수도 있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으로서, 만약 더욱 많은 내용을 검색한다면, 소비되는 검색 시간도 길어질 것이고, 후보 어휘 표시가 다소 지연될 수도 있을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획득할 전후 문구 내용의 범위를 설정한다.
단계304에 있어서, 다양한 상황에 따라 획득된 전후 문구 내용과 획득된 입력 내용을 매칭한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만약 전후 문구 내용에 이미지 내용이 포함된 경우라면, 관련 종래 기술의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병음 또는 기타 입력 방식으로 변환한 후, 입력 내용에 매칭시킨다.
텍스트 내용이 이미지 내용으로부터 인식된 텍스트 내용인지, 아니면 오리지널 전후 문구 내용이 이미 텍스트 내용이 된 것인지에 상관없이, 텍스트 내용을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방식 규칙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입력 내용이 병음 입력을 기초로 한 병음이면, 텍스트 내용을 대응하는 병음으로 변환하고,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기입한 병음과 비교하는데, 만약 병음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매칭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 병음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매칭 문자열 표”에 기억한다. 또 다른 예로서, 입력 내용이 만약 오필 입력의 형식이면, 텍스트 내용을 오필 입력 형식으로 변환한 후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기입한 오필 입력 내용과 비교하고, 만약 형식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매칭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하는 텍스트를 “매칭 문자열 표”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만약 입력 내용이 필획 입력의 형식인 경우에도 그 처리 방법은 유사하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으로서, 만약 입력방식이 입력한 병음과 매칭되는 경우,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의 내용 중에, 여러 문자와 매칭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입력된 병음이 “hange”이면, 대응되는 문자는 한거(涵哥) 또는 한거(
Figure pct00008
) 등이 될 수 있는데, 이는 병음 입력방식을 이용할 경우, “한거(涵哥)”와“한거(
Figure pct00009
)”에 대응되는 병음이 모두 “hange”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모두 매칭에 성공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모두 “매칭 문자열 표”에 기억되고, 이후에 “후보 단어열 표”에 추가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단계305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은 매칭에 성공한 어휘를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전송하여 후보 어휘에 추가하여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
당해 단계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은 전후 문구 내용과 입력 내용에 대한 매칭을 종료한 후, 매칭에 성공하여 기억된 “매칭 문자열 표”를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송신한다.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수신한 후, 이 “매칭 문자열 표”에서의 모든 어휘를 입력방식의 “후보 단어열 표”에 추가하고, 후보 어휘표의 앞 열에 우선적으로 배열하여 입력 후보 단어로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러한 매칭에 성공한 어휘를 우선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하고자 하는 용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에 소모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으로서,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후보 단어의 배열 순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전후 문구 매칭된 어휘를 앞으로 배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으로서, 도3의 실시예는 응용 프로그램이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전송한 전송 내용을 획득하고, 응용 프로그램 자체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한 이후, 매칭 처리를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입력방식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을 연결한 후,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이 전송한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한 후, 입력방식 프로그램 자체의 입력 내용과 매칭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응용 프로그램이 입력방식 프로그램에게 전송한 전후 문구 내용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전후 문구 내용을 입력 내용의 표시 형식으로 변환된 후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변환되지 않고 입력방식 프로그램으로 전송되어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변환된 후 매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이 매칭에 성공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전송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직접 매칭에 성공한 이후, 매칭에 성공한 내용을 후보 단어표의 앞 열에 추가한다.
당해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의 응용 프로그램과 입력방식 프로그램 사이에는 시스템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응용 프로그램은 입력방식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란에 입력한 내용을 획득할 수 있고,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전후 문구 내용을 입력 내용의 표시 형식으로 변환한 후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고, 만약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매칭되면, 매칭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매칭에 성공한 내용을 매칭 문자열 표에 기억하여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송신하며, 입력방식 프로그램은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후보 단어에 추가시켜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후 문구 내용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신속하고 영리하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입력에 들이는 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 체험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입력방식 환경에도 사용 가능하며, 전후 문구의 내용을 원활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응답 속도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응용 기능이 실현하는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입력 처리 장치 및 그 대응하는 단말기에 대한 실시예도 제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처리 장치는,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입력 내용 획득 모듈(401)과,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주제 내용 획득 모듈(402)과,
상기 입력 내용 획득 모듈(401)의 입력 내용과 상기 주제 내용 획득 모듈(402)의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매칭 모듈(403)과,
상기 매칭 모듈(403)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처리 모듈(404)을 포함한다.
당해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함으로써, 입력란의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고, 만약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과 매칭될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전후 문구 내용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킨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입력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처리는, 입력 내용 획득 모듈(401), 주제 내용 획득 모듈(402), 매칭 모듈(403), 처리 모듈(404), 및 추가 모듈(405)을 포함한다.
입력 내용 획득 모듈(401), 주제 내용 획득 모듈(402), 매칭 모듈(403), 및 처리 모듈(404)의 기능은 도4의 설명을 참고한다.
추가 모듈(405)은 상기 매칭 모듈(403)이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을 매칭하였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추가한다.
입력 내용 획득 모듈(401)은, 프로그램 연결 서브 모듈(4011)과 입력 내용 획득 서브 모듈(4012)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연결 서브 모듈(4011)은 입력방식 프로그램과의 연결을 구축한다.
입력 내용 획득 서브 모듈(4012)은, 상기 프로그램 연결 서브 모듈(4011)이 연결한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입력된 내용을 획득한다.
주제 내용 획득 모듈(402)은, 범위 선택 서브 모듈(4021)과 전후 문구 내용 획득 서브 모듈(4022)을 포함한다.
범위 선택 서브 모듈(4021)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의 범위를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결정한다.
전후 문구 내용 획득 서브 모듈(4022)은 상기 범위 선택 서브 모듈(4021)의 선택 범위를 기초로,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한다.
매칭 모듈(403)은, 묘사 변환 서브 모듈(4031)과 매칭 서브 모듈(4032)를 포함한다.
묘사 변환 서브 모듈(4031)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다.
매칭 서브 모듈(4032)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이, 상기 묘사 변환 서브 모듈(4031)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며; 만약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이 상기 묘사 변환 서브 모듈(4031)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다고 결정한다.
매칭 모듈(403)은, 이미지 내용 인식 서브 모듈(40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내용 인식 서브 모듈(4033)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이 이미지 내용을 포함할 때,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용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전후 문구 내용으로 한다. 묘사 변환 서브 모듈(4031)은 이미지 내용 인식 서브 모듈(4033)이 인식해 낸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입력 내용에 대응하는 입력 규칙에 따라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병음 입력 규칙일 때, 묘사 변환 서브 모듈(4031)이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병음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매칭 서브 모듈(4032)이 변환된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매칭시킨다.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오필 입력 규칙일 때, 묘사 변환 서브 모듈(4031)이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오필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매칭 서브 모듈(4032)이 변환된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매칭시킨다.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필획 입력 규칙일 때, 묘사 변환 서브 모듈(4031)이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필획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매칭 서브 모듈(4032)이 변환된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매칭시킨다.
이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점은,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범위의 전후 문구 내용과 서로 다른 입력방식의 입력 내용을 획득하고, 전후 문구 내용을 입력 내용의 표시 형식으로 변환한 후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고, 만약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매칭되면, 매칭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추가하고,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전후 문구 내용과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빠르게 입력할 내용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에 들이는 시간을 절약하여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장치에서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작용의 실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방법에서의 단계의 실현 과정을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재차 설명을 하지 않도록 한다.
장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기에, 관련된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일부 설명을 참조하면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중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또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적인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모든 모듈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창조적 노동을 지불하지 않고서도 이해할 수 있고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6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 장치는 프로세서(601)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메모리(602)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601)는,
입력 내용을 획득하고,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700)은 이동 전화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PDA 등일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장치(700)는 프로세싱 부품(702), 메모리(704), 전원 부품(706), 멀티미디어 부품(708), 오디오 부품(710), 입력/출력 (I/O) 인터페이스(712), 센서 부품(714), 및 통신 부품(716)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부품(702)은, 일반적으로 장치(700)의 전체 동작, 예를 들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에 관계되는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부품(702)은, 상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를 완성하기 위하여, 명령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7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부품(702)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싱 부품(702)과 기타 부품 사이의 인터랙션에 편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부품(708)과 프로세싱 부품(702) 사이의 인터랙션에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프로세싱 부품(702)은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4)는, 장치(700)에 있어서의 동작을 서포트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사례는, 장치(700)에서 동작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자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704)는 임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읽기 전용 메모리 (ROM: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 부품(706)은 장치(700)의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부품(706)은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원 및 기타의 장치(700)를 위해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기타 관련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부품(708)은 당해 장치(700)과 사용자 사이에서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은 액정표시장치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터치패널 (TP: Touch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에 터치패널이 포함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스와이프 및 터치패널 위에서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스와이프 동작의 경계선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스와이프 작업에 관련된 지속시간과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부품(708)은,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700)가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작업 모드일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거리와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부품(7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부품(710)은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장치(700)가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작업 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704)에 기억되거나 또는 통신 부품(716)에 의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부품(710)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712)는 프로세싱 부품(702)과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Click Wheel),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 부품(714)은 장치(7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부품(714)은 장치(700)의 온/오프 (ON/OFF) 상태 및 부품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이 장치(7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Keypad)일 경우, 센서 부품(714)은 또한 장치(700) 또는 장치(700)의 하나의 부품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700) 사이의 접촉 여부, 장치(700)의 위치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7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부품(2014)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을 경우, 근처의 물체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 부품(2014)은 또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응용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센서 부품(7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부품(716)은 장치(700)과 기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장치(700)는,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표준을 기반으로 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부품(716)은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 또는 방송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부품(716)은 근거리 무선통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 (lrDA) 기술, 초광대역 (UWB) 기술, 블루투스 (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700)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응용 주문형 직접회로 (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 (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가 더 제공되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1804)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술한 명령어는 장치(1800)의 프로세서(1820)에 의해 수행되어 상술한 영역 인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기억장치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 중의 명령어가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단말기가 입력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은,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와;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본 개시의 다른 실시과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인 원리를 준수하며, 본 명세서에 공개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내용으로서, 본 개시의 진정한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재 내용과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5)

  1.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와;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입력된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및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와;
    만약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이 이미지 내용을 포함할 때,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단계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용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전후 문구 내용으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병음(
    Figure pct00010
    ) 입력 규칙일 때,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병음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오필(
    Figure pct00011
    ) 입력 규칙일 때,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오필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이 필획(
    Figure pct00012
    ) 입력 규칙일 때,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필획 입력으로 변환하여 표시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입력방식 프로그램이 전송하는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자신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입력방식 프로그램으로부터 자신의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방식 프로그램으로부터 응용 프로그램이 전송하는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9. 입력 내용을 획득하는 입력 내용 획득 모듈과;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주제 내용 획득 모듈과;
    상기 입력 내용 획득 모듈의 입력 내용과 상기 주제 내용 획득 모듈의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는 매칭 모듈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모듈이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방식 프로그램의 어휘에 추가하는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내용 획득 모듈은,
    입력방식 프로그램과의 연결을 구축하는 프로그램 연결 서브 모듈과;
    상기 프로그램 연결 서브 모듈이 연결한 입력방식 프로그램에 입력된 내용을 획득하는 입력 내용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내용 획득 모듈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의 범위를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을 결정하는 범위 선택 서브 모듈과;
    상기 범위 선택 서브 모듈의 선택 범위를 기초로,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과 인접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는 전후 문구 내용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모듈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을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하는 묘사 변환 서브 모듈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이 상기 묘사 변환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매칭시키며; 만약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의 내용이 상기 묘사 변환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내용에 대응되는 입력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된 이후, 상기 입력 내용과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상기 전후 문구 내용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다고 결정하는 매칭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모듈은,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이 이미지 내용을 포함할 때,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용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전후 문구 내용으로 하는 이미지 내용 인식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15.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내용을 획득하고,
    전후 문구 내용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 내용과 상기 전후 문구 내용을 매칭시키고,
    상기 전후 문구 내용 중에서 상기 입력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이 매칭되었을 때, 상기 관련된 내용을 입력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KR1020167005599A 2015-11-23 2015-12-29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 KR101756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19054.5A CN105404401A (zh) 2015-11-23 2015-11-23 输入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201510819054.5 2015-11-23
PCT/CN2015/099308 WO2017088247A1 (zh) 2015-11-23 2015-12-29 输入处理方法、装置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543A true KR20170073543A (ko) 2017-06-28
KR101756042B1 KR101756042B1 (ko) 2017-07-07

Family

ID=5546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599A KR101756042B1 (ko) 2015-11-23 2015-12-29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14154B2 (ko)
EP (1) EP3171279A1 (ko)
JP (1) JP2018508086A (ko)
KR (1) KR101756042B1 (ko)
CN (1) CN105404401A (ko)
MX (1) MX2016003736A (ko)
RU (1) RU2638011C2 (ko)
WO (1) WO2017088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2480B2 (ja) * 2017-03-15 2021-03-31 オムロン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CN107102748A (zh) * 2017-05-22 2017-08-29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输入字词的方法和输入法
CN109388249B (zh) * 2017-08-02 2023-03-1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信息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7728909B (zh) * 2017-10-20 2021-05-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设备
CN109901726B (zh) * 2017-12-08 2022-08-02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候选词生成方法、装置及用于候选词生成的装置
CN109521889B (zh) * 2018-09-29 2021-02-09 咪咕音乐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及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831130A (zh) * 2019-04-18 2020-10-2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输入内容的推荐方法、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CN110196646A (zh) * 2019-05-29 2019-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输入方法及移动终端
CN112825090B (zh) * 2019-11-21 2024-01-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兴趣点确定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EP3872594B1 (en) * 2020-02-26 2023-12-06 Volkswagen Ag A method, a computer program, an apparatus, a vehicle, and a network entity for predicting a deadlock situation for an automated vehicle
CN113138910B (zh) * 2021-04-23 2023-08-08 杭州安恒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输入数据获取方法、装置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8688B2 (en) * 1998-12-04 2015-01-20 Nuance Communications, Inc.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US7385591B2 (en) * 2001-03-31 2008-06-10 Microsoft Corporation Out-of-vocabulary word determination and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via reduced keypad keys
US6864809B2 (en) * 2002-02-28 2005-03-08 Zi Technology Corporation Ltd Korean language predictive mechanism for text entry by a user
US7548863B2 (en) * 2002-08-06 2009-06-16 Apple Inc. Adaptive context sensitive analysis
US7599830B2 (en) 2005-03-16 2009-10-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keyboard and associated method of providing quick text entry in a message
JP2007114932A (ja) * 2005-10-19 2007-05-10 Sharp Corp 文字列入力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文字列入力プログラム
KR100891358B1 (ko) 2005-10-20 2009-04-01 (주)트루시스템 사용자의 다음 문자열 입력을 예측하는 글자 입력 시스템및 그 글자 입력 방법
US7640158B2 (en) * 2005-11-08 2009-12-29 Multimodal Technologies, Inc. Automatic detection and application of editing patterns in draft documents
US7698326B2 (en) * 2006-11-27 2010-04-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ord prediction
FR2910143B1 (fr) * 2006-12-19 2009-04-03 Eastman Kodak Co Procede pour predire automatiquement des mots dans un texte associe a un message multimedia
US8103499B2 (en) * 2007-03-22 2012-01-24 Tegic Communications, Inc. Disambiguation of telephone style key presses to yield Chinese text using segmentation and selective shifting
CN105589571A (zh) 2007-04-09 2016-05-18 谷歌股份有限公司 客户端输入方法以及输入法编辑器服务器
US8299943B2 (en) * 2007-05-22 2012-10-30 Tegic Communications, Inc. Multiple predictions in a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US20090249198A1 (en) * 2008-04-01 2009-10-01 Yahoo! Inc. Techniques for input recogniton and completion
US20100317371A1 (en) * 2009-06-12 2010-12-16 Westerinen William J Context-based interaction model for mobile devices
CN102646022B (zh) * 2012-04-10 2014-07-0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获取候选项的方法和装置
JP2014021905A (ja) * 2012-07-23 2014-02-03 Fujitsu Ltd 入力支援プログラム、入力支援方法および入力支援装置
US9195645B2 (en) * 2012-07-30 2015-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string predictions using contexts
CN104813257A (zh) * 2012-08-31 2015-07-29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输入法编辑器的浏览历史语言模型
CN103076892B (zh) * 2012-12-31 2016-09-2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提供输入字符串所对应的输入候选项的方法与设备
CN104007832B (zh) 2013-02-25 2017-09-01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连续滑行输入文本的方法、系统及设备
KR20150097962A (ko) * 2014-02-19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111305A4 (en) * 2014-02-27 2017-11-08 Keyless Systems Ltd Improved data entry systems
CN106415531A (zh) * 2014-04-28 2017-02-15 谷歌公司 用于输入法编辑器的特定于场境的语言模型
CN104298429B (zh) * 2014-09-25 2018-05-0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输入的信息展示方法和输入法系统
CN104317851A (zh) * 2014-10-14 2015-01-2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词汇提示方法和装置
CN104850241A (zh) * 2015-05-28 2015-08-19 北京奇点机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在移动终端中进行文字输入的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8086A (ja) 2018-03-22
KR101756042B1 (ko) 2017-07-07
WO2017088247A1 (zh) 2017-06-01
RU2016110395A (ru) 2017-09-26
US20170147538A1 (en) 2017-05-25
EP3171279A1 (en) 2017-05-24
RU2638011C2 (ru) 2017-12-08
MX2016003736A (es) 2018-06-22
US10614154B2 (en) 2020-04-07
CN105404401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042B1 (ko) 입력 처리 방법, 장치 및 설비
US102962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TWI720062B (zh) 語音輸入方法、裝置和終端設備
CN105489220B (zh) 语音识别方法及装置
US8775969B2 (en) Contact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pplied mobile terminal
US10359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using inputted character in a user device
JP2017535007A (ja) 分類器トレーニング方法、種類認識方法及び装置
US11335348B2 (en) Input method,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701556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nformation
JP2017525076A (ja) キャラクタ特定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8270661B (zh) 一种信息回复的方法、装置和设备
CN111797262A (zh) 诗词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603499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message
CN107943317B (zh) 输入方法及装置
CN107179837B (zh) 输入方法及装置
CN109977390B (zh) 一种生成文本的方法及装置
RU26366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хранения строки
US9883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EP27171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using inputted character in a user device
CN113035189A (zh) 一种文档演示的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108983992B (zh) 一种具有标点符号的候选项展示方法和装置
CN109558017B (zh) 一种输入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10050484A (ko) 정보 처리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4237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information
CN111722726B (zh) 一种颜文字的确定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