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191A - 푸쉬풀 도어 손잡이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191A
KR20170073191A KR1020150181802A KR20150181802A KR20170073191A KR 20170073191 A KR20170073191 A KR 20170073191A KR 1020150181802 A KR1020150181802 A KR 1020150181802A KR 20150181802 A KR20150181802 A KR 20150181802A KR 20170073191 A KR20170073191 A KR 2017007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hinge
pull
butt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599B1 (ko
Inventor
김민승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5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튜블러형 래치의 교체없이, 손잡이 회전 방식 내지 푸쉬풀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레버형 푸쉬풀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는, 제1버튼을 내측에 포함하는 제1레버손잡이;와, 제2버튼을 외측에 포함하는 제2레버손잡이;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 손잡이{push and pull type door Handle}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튜블러형 래치의 교체없이, 손잡이 회전 방식 내지 푸쉬풀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레버형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방향 개폐형의 실내용 여닫이 도어에 있어서, 막대형상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문을 여닫는 레버형 손잡이에는 잠금기능을 하는 내부 구조물로 튜블러형 래치가 주로 사용된다.
도 1a는 튜블러형 래치와 종래의 레버형 손잡이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1b는 튜블러형 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버형 손잡이(10)에는 내부 구조물로 튜블러형 래치(20)이 사용되는데, 종래의 레버형 손잡이(10)를 회전시키면 회전로드(21)가 회전하고, 회전로드(21)가 회전하면서 튜블러형 래치(20) 내부의 회전자(22)를 회전시킨다. 이어서 스핀들(23)의 회전에 따라 블라켓(24)이 이동하고, 블라켓(24)은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래치블럭(26)을 이동시켜 잠금을 해제시킨다. 종래의 레버형 손잡이(10)에서 외력이 해제되면 래치스프링(25)에 의해 래치블럭(26)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튜블러형 래치(20)의 일반적 구조이다.
이러한 튜블러형 래치(20)는 종래에 레버형 손잡이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튜블러형 래치(20)를 적용한 레버형 손잡이는 손에 물건을 들고 있을 때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일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손에 부상이 있는 사람이나, 노인 또는 어린아이 등 손의 힘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도 있다. 이에 더해 튜블러형 래치(20)를 적용한 레버형 손잡이는, 일방향의 개폐방향을 즉시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일이 많고, 따라서 일방향의 개폐방향을 혼동하여 손잡이를 회전시킨 후 밀고 당기는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블러형 래치를 포함하는 일방향 개폐형의 실내용 여닫이 도어의 손잡이에 있어, 기존의 튜블러형 래치의 교체없이, 손잡이 회전 방식 내지 푸쉬풀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튜블러형 래치를 포함하는 일방향 개폐형의 실내용 여닫이 도어의 손잡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는, 일단부에 제1힌지와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타단부가 제1힌지를 축으로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버튼;을 내측에 포함하며, 제1버튼의 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풀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레버형 손잡이 형태의 제1레버손잡이;와, 일단부에 제2힌지와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타단부가 제2힌지를 축으로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2버튼;을 외측에 포함하며, 제2버튼의 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푸쉬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레버형 손잡이 형태의 제2레버손잡이;와, 풀구동전달부 내지 푸쉬구동전달부에 의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튜블러형 래치의 회전자에 전달시키는 회전변환돌기;를 포함하는 막대 형상의 회전변환로드;와, 회전변환돌기를 안내하되 나선 형상으로 천공되는 회전변환홀;이 구비되는 튜브형상의 회전변환브라켓;을, 포함하는 회전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풀구동전달부는, 일단부는 제1버튼의 제1힌지 측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제1버튼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풀암;과, 일단부는 제1풀암의 타단부 측에 설치된 힌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제1풀암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2풀암;과, 앙에 회전축이 설치되고, 외측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풀캠홀;이 구비되고, 외측면의 일부가 제2풀암의 타단부의 힌지와 힌지결합하는 풀캠;과, 일단부는 풀캠홀에 걸리고, 타단부는 회전변환브라켓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푸쉬구동전달부는, 단부는 제2버튼의 제2힌지 측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제2버튼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푸쉬암;과, 일단부는 제1푸쉬암의 타단부 측에 설치된 힌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제1푸쉬암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2푸쉬암;과, 중앙에 힌지가 설치되고, 외측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푸쉬캠홀;이 구비되고, 외측면의 일부가 제2풀암의 타단부의 힌지와 힌지결합하는 푸쉬캠;과, 일단부는 푸쉬캠홀에 걸리고, 타단부는 회전변환브라켓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푸쉬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는, 기존의 튜블러형 래치의 교체없이, 손잡이 회전 방식 내지 푸쉬풀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튜블러형 래치와 종래의 레버형 손잡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b는 튜블러형 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회전변환부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평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는, 일단부에 제1힌지(32)를 포함하여 타단부가 제1힌지(32)를 축으로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버튼(31);을 내측에 포함하며, 제1버튼(31)의 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풀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레버형 손잡이 형태의 제1레버손잡이(30);와, 일단부에 제2힌지(42)를 포함하여 타단부가 제2힌지(42)를 축으로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2버튼(41);을 외측에 포함하며, 제2버튼(41)의 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푸쉬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레버형 손잡이 형태의 제2레버손잡이(40);와, 풀구동전달부 내지 푸쉬구동전달부에 의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변환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풀구동전달부는, 일단부는 제1버튼(31)의 제1힌지(32) 측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제1버튼(31)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풀암(33);과, 일단부는 제1풀암(33)의 타단부 측에 설치된 힌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제1풀암(33)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2풀암(34);과,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고, 외측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풀캠홀(36);이 구비되고, 외측면의 일부가 제2풀암(34)의 타단부의 힌지와 힌지결합하는 풀캠(34);과, 일단부는 풀캠홀(36)에 걸리고, 타단부는 회전변환브라켓(51)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풀암(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푸쉬구동전달부는, 단부는 제2버튼(41)의 제2힌지(42) 측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제2버튼(41)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푸쉬암(43);과, 일단부는 제1푸쉬암(43)의 타단부 측에 설치된 힌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제1푸쉬암(43)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2푸쉬암(44);과, 중앙에 힌지가 설치되고, 외측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푸쉬캠홀(46);이 구비되고, 외측면의 일부가 제2풀암(34)의 타단부의 힌지와 힌지결합하는 푸쉬캠(45);과, 일단부는 푸쉬캠홀(46)에 걸리고, 타단부는 회전변환브라켓(51)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푸쉬암(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는, 문이 개폐되는 일방향에 대응되게 버튼의 위치가 상이한 한 쌍의 레버형 손잡이 세트를 포함한다. 문이 열리는 측을 내측이라고 하고 닫히는 측을 외측이라고 할 때, 문의 내측에는 제1버튼(31)을 내측에 포함하는 제1레버손잡이(30)가 설치되고, 문의 외측에는 제2버튼(41)을 외측에 포함하는 제2레버손잡이(4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는, 푸쉬풀 방식 손잡이의 기본적 구성과 구성행태를 따르나, 손잡이 전체가 본 발명의 버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종래의 푸쉬풀 방식 손잡이와 다르게, 레버형 손잡이에 별도의 제1버튼(31)과 제2버튼(41)을 형성시켜, 문의 개폐방향에 대한 시인성을 증대시켰다. 이러한 버튼 방식을 통해, 문의 개폐방향을 혼동하지 않게 되고 직관적으로 문의 개폐방향을 향해 버튼을 작동시켜 문은 열 수 있게 되서, 손잡이의 사용성이 좋아질 수 있다.
또한 버튼 방식은, 손잡이 전체가 본 발명의 버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종래의 푸쉬풀 방식와 비교해 볼 때, 손잡이가 작동할 때 손잡이와 문의 연결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개선시켜, 손잡이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1버튼(31)과 제2버튼(41)은 일단부에 제1힌지(32)와 제2힌지(42)를 포함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1힌지(32)와 상기 제2힌지(42)를 축으로 회전왕복운동을 한다. 이 역시도 손잡이의 사용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버튼(31)과 제2버튼(41)은, 버튼의 일측만 움직이는 방식으로, 버튼 전체가 움직이는 방식에 비해 작동이 유려하고 따라서 내구성 또한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풀구동전달부와 푸쉬구동전달부는, 제1버튼(31)과 제2버튼(41)에 가해지는 외력을 방향을 변환시켜서 회전변환부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풀구동전달부는 제1풀암(33), 제2풀암(34), 풀캠(34), 제3풀암(37)을 포함하여 회전변환부의 회전변환브라켓(51)을 문의 내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 푸쉬구동전달부는 제1푸쉬암(43), 제2푸쉬암(44), 푸쉬캠(45), 제3푸쉬암(47)을 포함하여 회전변환부의 회전변환브라켓(51)을 문의 내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1버튼(31)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풀암(33)이 움직이고, 제2풀암(34)이 직선운동을 하여 풀캠(34)을 회전시킨다. 풀캠(34)에 천공된 풀캠홀(36)에 일단부가 걸린 제3풀암(37)이 회전변환브라켓(51)을 문의 내측으로 당기게 되어, 회전변환부는 튜블러형 래치(20)의 회전로드(21)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튜블러형 래치(20)의 내부의 회전자(22)가 회전해 문의 잠김이 해제된다.
또, 제2버튼(41)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푸쉬암(43)이 움직이고, 제2푸쉬암(44)이 직선운동을 하여 푸쉬캠(45)을 회전시킨다. 푸쉬캠(45)에 천공된 푸쉬캠홀(46)에 일단부가 걸린 제3푸쉬암(47)이 회전변환브라켓(51)을 문의 내측으로 밀게 되어, 회전변환부는 튜블러형 래치(20)의 회전로드(21)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튜블러형 래치(20)의 내부의 회전자(22)가 회전해 문의 잠김이 해제된다.
상기 회전변환부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3과 관련된 설명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풀캠(34)과 푸쉬캠(45)에 풀캠홀(36)과 푸쉬캠홀(46)이 풀캠(34)과 푸쉬캠(45)의 외측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것은, 제1버튼(31)과 제2버튼(41)이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제1버튼(31)과 제2버튼(41)이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내부의 구동마찰에 의한 반력이 줄어들게 되고, 더 적은 힘으로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버튼의 작동은 더욱 유려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회전변환부의 상세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의 회전변환부(50)는, 풀구동전달부 내지 푸쉬구동전달부에 의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튜블러형 래치(20)의 회전자(22)에 전달시키는 회전변환돌기(54);를 포함하는 막대 형상의 회전변환로드(53);와, 회전변환돌기(54)를 안내하되 나선 형상으로 천공되는 회전변환홀(52);이 구비되는 튜브형상의 회전변환브라켓(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변환로드(53)는, 문의 내외측으로의 직선운동은 구속되고 회전변환로드(53)의 양단을 축으로의 회전운동만 가능한 구조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변환브라켓(51)은, 제1레버손잡이(30)와 제2레버손잡이(40)에 대해 회전변환브라켓(51)의 양단을 축으로의 회전운동은 구속되고 문의 내외측으로의 직선운동만 가능한 구조이다.
풀구동전달부 내지 푸쉬구동전달부에 의해 회전변환브라켓(51)이 문의 내외측으로의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회전변환브라켓(51)에 천공된 회전변환홀(52)을 따라, 회전변환로드(53)에 고정된 회전변환돌기(54)가 회전하게 된다. 이런 작용에 의해 문의 내외측으로의 직선운동은 튜블러형 래치(20)의 회전자(22)를 회전시키는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변환브라켓(51)은, 회전변환브라켓(51)의 양단을 축으로의 회전운동은 구속되게끔 회전변환브라켓(51)의 양단이 제1레버손잡이(30)와 제2레버손잡이(40)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1레버손잡이(30)와 제2레버손잡이(40)를 회전시켜서도 회전변환돌기(5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변환부(50)의 구성과 작동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는, 제1버튼(31)과 제2버튼(41)을 누르거나 제1레버손잡이(30)와 제2레버손잡이(40)를 회전시키는 두 가지 작동법으로 문의 잠김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손잡이는, 제1버튼을 내측에 포함하는 제1레버손잡이;와, 제2버튼을 외측에 포함하는 제2레버손잡이;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변환부;를, 포함하여, 튜블러형 래치를 포함하는 일방향 개폐형의 실내용 여닫이 도어의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 회전 방식 내지 푸쉬풀 방식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종래의 레버형 손잡이
20...튜블러형 래치
21...회전로드
22...회전자
23...스핀들
24...블라켓
25...래치스프링
26...래치블럭
30...제1레버손잡이
31...제1버튼
32...제1힌지
33...제1풀암
34...제2풀암
35...풀캠
36...풀캠홀
37...제3풀암
40...제2레버손잡이
41...제2버튼
42...제2힌지
43...제1푸쉬암
44...제2푸쉬암
45...푸쉬캠
46...푸쉬캠홀
47...제3푸쉬암
50...회전변환부
51...회전변환브라켓
52...회전변환홀
53...회전변환로드
54...회전변환돌기

Claims (3)

  1. 튜블러형 래치를 포함하는 일방향 개폐형의 실내용 여닫이 도어의 손잡이에 있어서,
    일단부에 제1힌지를 포함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1힌지를 축으로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버튼;을 내측에 포함하며, 상기 제1버튼의 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풀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레버형 손잡이 형태의 제1레버손잡이;와,
    일단부에 제2힌지를 포함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2힌지를 축으로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2버튼;을 외측에 포함하며, 상기 제2버튼의 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푸쉬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레버형 손잡이 형태의 제2레버손잡이;와,
    상기 풀구동전달부 내지 상기 푸쉬구동전달부에 의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튜블러형 래치의 회전자에 전달시키는 회전변환돌기;를 포함하는 막대 형상의 회전변환로드;와, 상기 회전변환돌기를 안내하되 나선 형상으로 천공되는 회전변환홀;이 구비되는 튜브형상의 회전변환브라켓;을, 포함하는 회전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구동전달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버튼의 상기 제1힌지 측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상기 제1버튼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풀암;과,
    일단부는 상기 제1풀암의 타단부 측에 설치된 힌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상기 제1풀암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2풀암;과,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고, 외측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풀캠홀;이 구비되고,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제2풀암의 타단부의 힌지와 힌지결합하는 풀캠;과,
    일단부는 상기 풀캠홀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변환브라켓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구동전달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2버튼의 상기 제2힌지 측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상기 제2버튼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왕복운동을 하는 제1푸쉬암;과,
    일단부는 상기 제1푸쉬암의 타단부 측에 설치된 힌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상기 제1푸쉬암의 회전왕복운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제2푸쉬암;과,
    중앙에 힌지가 설치되고, 외측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푸쉬캠홀;이 구비되고,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제2풀암의 타단부의 힌지와 힌지결합하는 푸쉬캠;과,
    일단부는 상기 푸쉬캠홀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변환브라켓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푸쉬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 손잡이.
KR1020150181802A 2015-12-18 2015-12-18 푸쉬풀 도어 손잡이 KR10176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802A KR101761599B1 (ko) 2015-12-18 2015-12-18 푸쉬풀 도어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802A KR101761599B1 (ko) 2015-12-18 2015-12-18 푸쉬풀 도어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191A true KR20170073191A (ko) 2017-06-28
KR101761599B1 KR101761599B1 (ko) 2017-07-26

Family

ID=5928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802A KR101761599B1 (ko) 2015-12-18 2015-12-18 푸쉬풀 도어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674B1 (ko) * 2020-11-12 2021-01-21 이원우 락구조를 가지는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2738A (zh) * 2018-08-01 2019-01-22 安徽信息工程学院 按钮式防盗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25B1 (ko) 2012-03-29 2012-10-17 주식회사 넥스트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674B1 (ko) * 2020-11-12 2021-01-21 이원우 락구조를 가지는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599B1 (ko)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2455B2 (en) Side mounted privacy lock for a residential door
JP4860618B2 (ja) ドアロック
JP6073950B2 (ja) 押し引きモーチスロック
JP2009503288A (ja) 窓固定の手段と方法
US20140053618A1 (en) Door locking device
KR101761599B1 (ko) 푸쉬풀 도어 손잡이
KR101012498B1 (ko)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CN105804533A (zh) 双拉门锁儿童保护锁机构
KR101732674B1 (ko)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CA2471315A1 (en) Lock for lever-handled door latch
KR200467758Y1 (ko) 창호용 핸들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WO2013105850A1 (en) Operating device to control and drive a closing and/or locking mechanism of a door, window or panel.
JP2012188883A (ja) 錠装置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AU2012100117A4 (en) Improvements in locks
JP4587141B2 (ja) 施解錠機構
JP2009041329A (ja) ドア錠
KR101952828B1 (ko) 도어의 발 개폐기
KR100892514B1 (ko) 차량용 도어인사이드핸들 장치
KR200391810Y1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JP2018135633A (ja) 窓開閉装置及び開閉窓
JP6100125B2 (ja) アンチパニック式自動施錠錠
KR200489277Y1 (ko)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