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987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987A
KR20170072987A KR1020150180837A KR20150180837A KR20170072987A KR 20170072987 A KR20170072987 A KR 20170072987A KR 1020150180837 A KR1020150180837 A KR 1020150180837A KR 20150180837 A KR20150180837 A KR 20150180837A KR 20170072987 A KR20170072987 A KR 20170072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ensed water
evaporator
air conditione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413B1 (ko
Inventor
오승규
김용호
김학규
정재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4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증발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측에 공기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200)와, 상기 공기 유입구(202)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유닛(100)과, 상기 공조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300)와,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21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210)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22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증발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내, 외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실내로 유입 또는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시켜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주기 위하여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모드에 따라 내/외기를 도입하여 차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기유닛(10)과, 상기 송풍기유닛(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30)가 내장되고, 출구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다수의 벤트(미도시)가 설치된 공조케이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조케이스(20)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미도시)가 더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유닛(10)은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내기 유입구(11a) 및 외기 유입구(11b)를 가진 에어 인테이크 덕트(11)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11) 하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11)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벨마우스(12a)를 가진 스크롤 케이스(12)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에어 인테이크 덕트(1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스크롤 케이스(12)의 토출구(12b) 쪽으로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3)과, 상기 송풍팬(13)을 회전시키는 모터(14)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11)의 하단에 설치된 필터(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0)와 대응하는 공조케이스(20)의 바닥에는, 증발기(3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20)와 증발기(30)와의 사이에는, 완충재, 씨일(Seal)재 또는 단열재로 기능을 하는 인슐레이션(Insulation,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션(40)에는 증발기(3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구(21)로 유도하는 배수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20)의 증발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유닛(10)과 공조케이스(20)는 높이차가 형성된다. 즉, 공조케이스(20)의 하단부는 송풍기유닛(10)의 하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며, 송풍기유닛(10)의 토출구(12b)로부터 공조케이스(20)의 공기 유입구(22)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며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20)의 하부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엔진룸과 차량 내부 사이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의 레이아웃에 큰 제약을 미치게 된다. 특히, 후륜 구동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 전방의 엔진룸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으로 이어지는 구동 샤프트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공조케이스의 하단부의 높이차에 의한 돌출 구조는 레이아웃 측면의 문제점을 더욱 심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송풍기유닛(10)과 공조케이스(20)의 하단부 높이를 동일하게 구성하여 공조케이스(20)의 돌출 구조를 삭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공조케이스(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구(21)가 충분한 깊이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증발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차량 운행 중 공조장치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에는 공조케이스(20) 하부측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으로 역류되어 블로어 모터(14)의 침수 손상을 발생시키거나, 조수석으로 물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170322호(공개일자: 2005.06.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입구측과 공기 유입구 주위에 체류하는 응축수를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부로 신속하게 유도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에 의해 공조장치가 기울어지는 상황에서도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조케이스의 하단부 돌출 구조를 대폭 삭제하여 공조장치 하부의 공간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구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유닛과,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배수 유도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유도로는 응축수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로 내의 절곡된 부위에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와 상기 배수 유도로 사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배수 유도로로 공조 공기 및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배플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유도로는 적어도 2 이상의 복수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유도로는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구비되는 드레인 홀을 향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에 체류되는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부로 신속하게 유도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운행에 의한 공조케이스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에도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축수의 역류에 의한 블로어 모터의 침수 손상과, 차량의 조수석 측으로 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송풍기유닛과 공조케이스의 하단부 높이를 수평하게 형성하여 공조케이스 하부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하부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하부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바닥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조케이스 바닥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바닥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2는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하부 형상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상부 형상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조장치와의 큰 차이점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부 형상에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설명에 갈음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유닛(100)은 공기흡입모드에 따라 내, 외기를 도입하여 차량의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전환도어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를 가진 에어 인테이크 덕트(미도시함; 도 1을 참조)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스크롤 케이스(120)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에어 인테이크 덕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스크롤 케이스(120)의 토출구(122) 쪽으로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30)과,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140)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케이스(200)는 송풍기유닛(100)에서 공급되는 내, 외기가 유동되는 것으로, 내부에 내,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300)가 내장됨과 아울러 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300)와 히터코어에서 열교환된 공조 공기는 공조케이스(200)의 출구에 형성된 각각의 토출구(미도시)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냉, 난방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00)는 내, 외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표면에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에 응축수 배출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응축수 배출부(210)는 하부로 깊이를 가지는 홈 형태로 구비되어 제일 깊은 부위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212)로 응축수를 유도하여 공조케이스(20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한 증발기(300)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상기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220)가 포함된다.
배수 유도로(220)는 공조케이스(200)의 일측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증발기(300)의 하단부보다 높이가 낮은 홈으로 형성되어,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응축수 배출부(2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평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형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공조케이스(200)에 설치되는 증발기(300) 입구측과 연통되는 송풍기유닛(100)의 토출구(122)가 서로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공조장치의 작동 시 증발기(300)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는 배수 유도로(220)로 흘러내려 응축수 배출부(210)로 유도됨으로써, 공조케이스(200)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평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공조케이스(200)가 송풍기유닛(100)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단차 또는 경사를 이루는 일반적인 구조에 적용하여 응축수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키도록 하거나, 차량 운행에 의해 공조장치가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200) 하부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조케이스(200) 하부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배수 유도로(220)는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부터 증발기(300)의 전방의 일측으로 이어지는 전방 유로(220a)와, 상기한 전방 유로(220a)의 후단에 형성되는 절곡부(225)와, 상기 절곡부(225)에서 증발기(30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후방 유로(2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 유로(220a)는 배수 유도로(220)의 상류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부터 증발기(300)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어져 증발기(300)의 좌우 방향의 대략적인 중앙 부위로 연장된다.
그리고, 후방 유로(220b)는 배수 유도로(220)의 하류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증발기(300)의 전방으로 이어지는 전방 유로(220a) 후단의 절곡부(225)에서 대략 90°로 절곡되어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배수 유도로(220)는 전방 유로(220a)로부터 후방 유로(220b)로 갈수록 점차 하향하는 경사가 형성되어 응축수 배출부(210)로 배수를 유도하며, 전방 유로(220a)에서 후방 유로(220b)로 절곡되는 부위에는 각각 라운드(R)가 형성되어 응축수의 흐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는, 증발기(300)와 증발기(300)의 전방에 위치되는 배수 유도로(220) 즉, 상기한 전방 유로(220a)사이의 공조케이스(200) 바닥면에는 증발기(300)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유로(220a) 측으로 공조 공기 및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폐하는 역류방지 배플(230)이 구비될 수 있다.
역류방지 배플(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00)의 하단부 입구측을 차폐하여 배수 유도로(220)와 연통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증발기(3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수 유도로(2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증발기(300)의 하단부를 통해 배수 유도로로 공조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 배플(230)은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 측에 위치되는 증발기(300)의 모서리 측에서 'ㄱ' 자 형상으로 절곡을 이루어 배수 유도로(220)와 공기 유입구(202)를 향하는 양 방향을 동시에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 배플(230)은 증발기(300) 하단부를 통한 공조 공기의 바이패스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증발기(300)의 하단부 전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바닥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수 유도로(220)의 절곡부(225)에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후방 유로(220b)는 응축수 배출부(210)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212)을 향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드레인 홀(212)은 응축수 배출부(210)의 정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고, 좌우 어느 일측으로 치우친 임의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후방 유로(220b)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복수가 일정 각도를 사이에 두고 분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 개 이상 복수의 후방 유로(220b) 중 어느 하나는 후단이 응축수 배출부(210)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후단이 응축수 배출부(210)를 향해 수직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한 배수 유도로(220)에는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될 수 있다.
역류방지 리브(222)는 유로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상류측 대각선 방향의 측벽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가 일정 간격 전후로 이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유도(220)로 상에 상기한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됨으로써, 배수 유도로(220)로부터 응축수 배출부(210)로 유도되는 응축수는 유로의 중앙을 통해 흐름이 형성되는 반면, 응축수 배출부(210)로부터 배수 유도로(220)로 역류되는 응축수는 역류방지 리브(222)에 의해 배수 유도로(220)의 측벽 쪽의 막힌 공간에 갇히게 되어 배수 유도로(220)로 역류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러한 역류방지 리브(222)는 공조케이스의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배수 유도로(220)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수 유도로(220)의 절곡부(225)로부터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후방 유로(220b)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후방 유로(220b) 상에 상기한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되면, 응축수 배출부(210)를 이루는 홈의 깊이를 짧게 제작하더라도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부(210)를 넘어 배수 유도로(22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방모드로 가동될 경우, 상기한 송풍기유닛(10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증발기(300)를 거치면서 증발기(3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꾼 뒤 차량의 내부로 토출하여 차량의 실내 냉방을 수행한다.
이러한 냉방모드에서는 증발기(300)의 표면 온도 저하에 의해 이슬이 뭉쳐져 하부로 떨어지는 응축수가 발생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부(210)로 유입되어 드레인 호스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공조장치가 작동되는 중에 차량의 운행에 의한 기울어짐이 발생되는 경우 등에서는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부(210)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체류되며, 증발기(300)의 전방에 체류되는 응축수는 인접하는 송풍기유닛(100)으로 역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로부터 증발기(300)의 전방을 지나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도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배수 유도로(220)를 통해 증발기(300) 주위에 체류되는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부(210)로 신속하게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를 통해 송풍기유닛(100)으로 응축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300)의 전방에 위치되는 배수 유도로(220)와 증발기(300) 사이에는 역류방지 배플(230)이 형성되어 증발기(300)의 하단부와 배수 유도로(220)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증발기(300)의 응축수는 물론, 증발기(300)로 유입되는 공조 공기가 배수 유도를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배수 유도로(220)의 후방 유로(220b)를 2 이상의 복수로 형성하고, 응축수 배출부(210)의 드레인 홀(2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응축수를 유도하여 응축수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역류방지 리브(222)의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응축수가 배수 유도로(220)의 상류 및 송풍기유닛(100)의 내부로 역류될 가능성은 최소화 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가 수평 구조로 형성되는 각 경우와, 차량의 운행에 의해 공조케이스(200)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경우에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0)으로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송풍기유닛 122: 토출구
200: 공조케이스 202: 공기 유입구
210: 응축수 배출부 220: 배수 유도로
220a: 전방 유로 220b: 후방 유로
222: 역류방지 리브 225: 절곡부
230: 역류방지 배플 300: 증발기

Claims (13)

  1. 입구측에 공기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200)와, 상기 공기 유입구(202)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유닛(100)과, 상기 공조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300)와,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21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210)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22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단부보다 높이가 낮은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2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증발기(300) 전방의 일측으로 이어지는 전방 유로와;
    상기 전방 유로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이어지는 후방 유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응축수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로 내의 절곡된 부위에 라운드(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유로(220b)는,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와 상기 전방 유로(220a) 사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전방 유로(220a)로 공조 공기 및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배플(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배플(230)은,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에 위치되는 상기 증발기(300)의 모서리 측을 감싸도록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배플(230)은, 상기 증발기(300)의 하단부 전방의 전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유로(220b)는, 상기 전방 유로(220a)의 후단으로부터 적어도 2 이상의 복수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유로(220b)는, 상기 응축수 배출부(210)에 구비되는 드레인 홀(212)을 향하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리브(222)는, 유로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상류측 대각선 방향의 측벽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가 일정 간격 전후로 이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50180837A 2015-12-17 2015-12-17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7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837A KR102470413B1 (ko) 2015-12-17 2015-12-1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837A KR102470413B1 (ko) 2015-12-17 2015-12-1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987A true KR20170072987A (ko) 2017-06-28
KR102470413B1 KR102470413B1 (ko) 2022-11-28

Family

ID=5928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837A KR102470413B1 (ko) 2015-12-17 2015-12-1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9573A (zh) * 2019-08-12 2019-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
CN111284298A (zh) * 2020-03-27 2020-06-16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诱导式舱用空调室内机
CN111993863A (zh) * 2020-09-15 2020-11-27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嵌入式风冷换热设备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0018U (ko) * 1987-10-30 1989-05-10
KR970057392U (ko) * 1996-04-27 1997-11-10 자동차증발기용 하부케이스의 구조
JP2002120539A (ja) * 2000-10-13 2002-04-2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
JP2003072359A (ja) * 2001-09-03 2003-03-12 Japan Climat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170322A (ja) 2003-12-15 2005-06-3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082725A (ja) * 2004-09-16 2006-03-30 Denso Corp 空調装置
KR20080027512A (ko) * 2006-09-25 2008-03-2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60879A (ko) * 2006-12-27 2008-07-0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배수구조
KR100859733B1 (ko) * 2002-08-06 2008-09-2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유니트
US20100071398A1 (en) * 2008-09-19 2010-03-25 Christoph Hipp-Kalthoff Evaporato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0018U (ko) * 1987-10-30 1989-05-10
KR970057392U (ko) * 1996-04-27 1997-11-10 자동차증발기용 하부케이스의 구조
JP2002120539A (ja) * 2000-10-13 2002-04-2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
JP2003072359A (ja) * 2001-09-03 2003-03-12 Japan Climat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0859733B1 (ko) * 2002-08-06 2008-09-2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유니트
JP2005170322A (ja) 2003-12-15 2005-06-3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082725A (ja) * 2004-09-16 2006-03-30 Denso Corp 空調装置
KR20080027512A (ko) * 2006-09-25 2008-03-2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60879A (ko) * 2006-12-27 2008-07-0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배수구조
US20100071398A1 (en) * 2008-09-19 2010-03-25 Christoph Hipp-Kalthoff Evapo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9573A (zh) * 2019-08-12 2019-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
CN111284298A (zh) * 2020-03-27 2020-06-16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诱导式舱用空调室内机
CN111993863A (zh) * 2020-09-15 2020-11-27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嵌入式风冷换热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413B1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845B1 (ko)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
EP2420753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201700729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8113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61988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US20200103125A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JP201600294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709004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350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3353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4008589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72515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660761A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1258712B1 (ko) 2층류 타입 센터 마운팅 공조장치
KR1021333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15655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二層流送風装置
JP4070501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ユニット構造
KR20170082669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JP5092826B2 (ja) 空調装置
KR10092698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4007303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17172B1 (ko) 공조유니트
JP3815319B2 (ja) 車載用空調装置
KR1014380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55886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