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124A -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124A
KR20170072124A KR1020160159139A KR20160159139A KR20170072124A KR 20170072124 A KR20170072124 A KR 20170072124A KR 1020160159139 A KR1020160159139 A KR 1020160159139A KR 20160159139 A KR20160159139 A KR 20160159139A KR 20170072124 A KR20170072124 A KR 2017007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plunger
compresso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쿠메
히사시 아사노
마사키 토마루
마사하루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7007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8Actuation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2027/1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45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4External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9Suction pressure

Abstract

플런저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가공 조립의 용이화, 경량화,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도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체를 제공한다.
플런저(37)에 그 플런저(37)에 대해 밸브체(10)를 횡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조립하기 위한 슬릿(37s)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슬릿(37s)은 부밸브체(17)가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개방한 때에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Ps 입출구(27)로부터 압축기(100)의 흡입실(107)에 도피시키기 위한 유로가 된다.

Description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카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카 에어컨용 압축기로서, 도 8에 간략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사판식(斜板式) 가변 용량형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사판식 가변 용량형 압축기(100)는 차량탑재 엔진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01), 이 회전축(101)에 부착된 사판(102), 이 사판(102)이 배치되어 있는 크랭크실(104), 상기 사판(102)에 의해 왕복 운동시켜지는 피스톤(105), 이 피스톤(105)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실(106),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실(107),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흡입실(107)에 도피시키기 위한 기내 도피 통로(고정 오리피스)(108) 등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사용되는 제어 밸브(1')는 압축기(100)의 토출실(106)로부터 토출 압력(Pd)이 도입됨과 함께, 그 토출 압력(Pd)을 압축기(100)의 흡입 압력(Ps)에 응하여 압력 조절함에 의해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기본 구성으로서,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 및 압축기(100)의 흡입실(107)에 연통하는 Ps 도입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100)의 토출실(106)에 연통하는 Pd 도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100)의 크랭크실(104)에 연통하는 Pc 도출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밸브봉)와, 그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흡입 압력(Ps)이 상기 Ps 도입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감압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 응동(應動)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구로 도 8에서 부호 11'로 도시되는 밸브부가 구성된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등을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의 제어 밸브(1')에서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코일, 스테이터 및 흡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부가 통전되면, 흡인자에 플런저가 끌어당겨지고, 이에 수반하여 밸브체가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플런저에 추종하도록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한편, 압축기(100)로부터 Ps 도입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흡입 압력(Ps)은 입출실로부터 플런저와 그 외주에 배치된 안내 파이프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등을 통하여 감압실에 도입되고, 감압 응동 부재(예를 들면 벨로우즈 장치)는 감압실의 압력(흡입 압력(Ps))에 응하여 신축 변위(흡입 압력(Ps)이 높으면 수축, 낮으면 신장)하고, 그 변위(가세력)가 밸브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밸브구에 대해 밸브체의 밸브체부가 승강하여 밸브부(11')의 밸브 개방도가 조정된다. 즉, 밸브 개방도는 솔레노이드부에 의한 플런저의 흡인력과, 감압 응동 부재의 신축 변위에 의한 가세력(신축력)과,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 및 밸브폐쇄 스프링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결정되고, 그 밸브 개방도에 응하여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이하, 크랭크실 압력(Pc) 또는 단순히 압력(Pc)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대해 예를 들면, 압축기 기동시에 있어서 토출 용량이 커질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 통상 제어시에 있어서 압축기의 운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 내지 저감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 도 9에 간략 도시되는 바와 같은 개량형의 사판식 가변 용량형 압축기도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개량형의 사판식 가변 용량형 압축기(200)는 그것에 사용되는 제어 밸브에서의 밸브체(밸브봉)를 주밸브체와 부밸브체로 구성하고, 그 주밸브체 내에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마련함으로써, 그 제어 밸브(2')는 기본적으로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 및 압축기(200)의 흡입실(107)에 연통하는 Ps 입출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200)의 토출실(106)에 연통하는 Pd 도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200)의 크랭크실(104)에 연통하는 Pc 입출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밸브체와, 그 주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흡입 압력(Ps)이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감압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주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 응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흡입실(107)에 도피시키기 위한 밸브 내 도피 통로(16')가 상기 주밸브체 내에 마련됨과 함께, 그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개폐하는 부밸브체가 마련되고, 상기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최하강 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켜질 때, 상기 플런저와 함께 상기 부밸브체가 상기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폐쇄한 채로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그 부밸브체에 추종하도록 주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상기 주밸브체에 의해 상기 밸브구가 폐쇄된 후, 더욱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 부밸브체가 상기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주밸브체와 상기 밸브구로 도 9에서 부호 11'로 도시되는 주밸브체부가 구성되고, 상기 부밸브체와 상기 밸브 내 도피 통로로 부호 12'로 도시되는 부밸브부가 구성된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2 등을 참조).
이러한 구성의 제어 밸브(2')에서는 통상 제어시(Pd→ Pc 제어시)에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코일, 스테이터 및 흡인자로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부가 통전되면, 흡인자에 플런저가 끌어당겨지고, 이에 수반하여 플런저와 일체로 부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이 움직임에 추종하여 주밸브체가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한편, 압축기(200)로부터 Ps 입출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흡입 압력(Ps)은 입출실로부터 플런저의 가로구멍 등을 통하여 감압실에 도입되고, 감압 응동 부재(예를 들면 벨로우즈 장치)는 감압실의 압력(흡입 압력(Ps))에 응하여 신축 변위(흡입 압력(Ps)이 높으면 수축, 낮으면 신장)하고, 그 변위(가세력)가 주밸브체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밸브구에 대해 주밸브체의 주밸브부가 승강하여 주밸브부(11')의 밸브 개방도가 조정된다. 즉, 밸브 개방도는 솔레노이드부에 의한 플런저의 흡인력과, 감압 응동 부재의 신축 변위에 의한 가세력(신축력)과,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 및 밸브폐쇄 스프링에 의한 가세력과, 주밸브체에 작용하는 밸브개방 방향의 힘과 밸브폐쇄 방향의 힘에 의해 결정되고, 그 밸브 개방도에 응하여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이 제어된다. 이 경우, 주밸브체는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상향으로 가세되어 있음과 함께, 부밸브체는 밸브개방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하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부밸브부(12')가 밸브폐쇄가 되어, 밸브 내 도피 통로(16')는 주밸브체 내로 차단되고,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통하여 크랭크실 압력(Pc)이 흡입실(107)로 도피되어지는 일은 없다.
그에 대해 압축기 가동시에는 솔레노이드부가 통전되고, 흡인자에 플런저가 끌어당겨지고, 이 플런저와 함께 부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이 상방향 이동에 추종하여 주밸브체가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주밸브체의 주밸브부에 의해 밸브구가 폐쇄된 후, 더욱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이에 의해 부부밸브체가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개방하도록 되고, 크랭크실 압력(Pc)이 기내 도피 통로(108)와 밸브 내 도피 통로(16')의 2개의 통로를 통하여 흡입실(107)에 도피되게 된다(상세는 하기 특허 문헌 2 등을 참조하기 바란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0-18528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13-13012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7-285159호 공보
그런데, 상기 각종의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서는 단면 오목형상의 플런저의 저부 중앙에 감삽용의 소경 중심 구멍을 마련함과 함께, 그 소경 중앙 구멍에 대해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지름 방향으로 편심하여 밸브의 강제 이동용 계지부가 되는 대경부를 삽입 가능한 대경 편심 구멍을 형성하고, 조립에 즈음해서는 밸브체에 대해 플런저를 떨어뜨리도록 하여 대경 편심 구멍을 대경부(강제 이동용 계지부)로 통과시키고, 그리고 나서, 플런저를 횡 이동시켜서 소경 중앙 구멍에 밸브체를 감삽한 상태로 하고 있다(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3 등을 참조).
또한, 밸브체를 주밸브체와 부밸브체로 구성하고, 그 주밸브체 내에 밸브 내 도피 통로를 형성한 상기 제어 밸브에서는 부밸브체가 밸브 내 도피 통로를 개방한 때에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Ps 입출구로부터 압축기(200)의 흡입실(107)에 도치시키기 위해 플런저의 주벽부(측부)에 복수개의 가로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플런저 자체가 대형화(대경화)함과 함께, 그 가공 조립에 막대한 수고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플런저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가공 조립의 용이화, 경량화,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도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는 기본적으로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 및 압축기의 흡입실에 연통하는 Ps 입출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의 토출실에 연통하는 Pd 도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Pc 입출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흡입 압력(Ps)이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감압실(感壓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 응동(應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에 그 플런저에 대해 상기 밸브체를 횡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조립하기 위한 슬릿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구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크랭크실의 압력(Pc)을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의 흡입실에 도피시키기 위한 밸브 내 도피 통로가 그 내부에 마련된 주밸브체와, 그 밸브 내 도피 통로를 개폐하는 부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주밸브체가, 상기 슬릿에 횡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에 상하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부밸브는 상기 플런저와 함께 상하동하도록 그 플런저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주밸브체에 의해 상기 밸브구가 폐쇄된 후,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상기 부밸브체가 상기 밸브 내 도피 통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Pc 입출구, 상기 밸브 내 도피 통로 상기 슬릿 및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과 흡입실이 연통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주밸브체의 상부에 플랜지형상 계지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플런저에 상기 플랜지형상 계지부가 삽입된 패인 홈(切入み) 및 상기 플랜지형상 계지부가 걸려서 빠짐방지 계지되는 내플랜지형상 괘지부가 마련된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플런저의 내플랜지형상 괘지부와 상기 주밸브체의 플랜지형상 계지부와의 상하 방향의 이격 거리는 상기 주밸브체에 의해 상기 밸브구가 폐쇄된 후,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리프트량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의하면,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플런저에 일단측이 개구한 슬릿이 마련되고, 그 슬릿을 통하여 밸브체를 횡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플런저에 조립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소경 중앙 구멍에 대해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대경 편심 구멍을 형성한 종래례의 것에 비하여 플런저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가공 조립의 용이화, 경량화,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를 주밸브체와 부밸브체로 구성하고, 그 주밸브체 내에 밸브 내 도피 통로를 형성한 제어 밸브에서는 상기 슬릿이, 부밸브체가 밸브 내 도피 통로를 개방한 때에 크랭크실의 압력(Pc)을 Ps 입출구로부터 압축기의 흡입실에 도피시키기 위한 유로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플런저의 주벽부(측부)에 가로구멍을 형성한 종래례의 것에 비하여 더한층의 가공 조립의 용이화,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1 실시 형태의 주밸브:개, 부밸브:폐 상태(통상 제어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1 실시 형태의 주밸브:폐, 부밸브:폐 상태(압축기 기동 이행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1 실시 형태의 주밸브:폐, 부밸브:개의 상태(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사용되는 플런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하면도, (D)는 (A)의 X-X시 시선(視線)에 따른 단면도, (E)는 (B)의 Y-Y시 시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2 실시 형태의 주밸브:개, 부밸브:폐 상태(통상 제어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2 실시 형태의 주밸브:폐, 부밸브:폐 상태(압축기 기동 이행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2 실시 형태의 주밸브:폐, 부밸브:개의 상태(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제1의 종래례에서의 압축기와 제어 밸브 사이의 냉매 압력 유통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2의 종래례에서의 압축기와 제어 밸브 사이의 냉매 압력 유통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통상 운전시, (B)는 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1은 주밸브:개(開), 부밸브:폐(閉) 상태(통상 제어시), 도 2는 주밸브:폐, 부밸브:폐 상태(압축기 기동 이행시), 도 3은 주밸브:폐, 부밸브:개의 상태(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하, 좌우, 전후 등의 위치, 방향을 나타내는 기술(記述)은 설명이 번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면에 따라 편의상 붙여진 것이고, 실제로 압축기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위치, 방향을 가리킨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에서,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나 부재 사이의 이격(離隔) 거리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한, 제도상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각 구성 부재의 치수에 비하여 크게 또는 작게 그려져 있는 경우가 있다.
도시 실시 형태의 제어 밸브(1)는 밸브구(22)가 마련된 밸브 본체(20)와, 밸브구(22)를 개폐하기 위한 주밸브체(15)를 갖는 밸브체(10)와, 그 밸브체(10)(주밸브체(15))를 밸브구 개폐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자식 액추에이터(30)와,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우즈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식 액추에이터(30)는 보빈(38), 그 보빈(38)에 외장된 통전 여자용의 코일(32), 부착판(39)을 통하여 보빈(38)의 상측에 부착된 커넥터 헤드(31), 코일(32)의 내주측에 배치된 스테이터(33) 및 흡인자(34), 스테이터(33) 및 흡인자(34)의 하단부 외주(단차부)에 그 상단부가 용접에 의해 접합된 안내 파이프(35), 흡인자(34)의 하방에서 안내 파이프(35)의 내주측에 상하 방향으로 활주 자유롭게 배치된 단면 오목형상의 플런저(37), 상기 코일(32)에 외삽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60) 및 그 하우징(60)의 하단부와 안내 파이프(35)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을 밸브 본체(2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2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원통형상의 스테이터(33)의 하부 내주에 단면 요자 형상(凹字狀)의 흡인자(34)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자식 액추에이터(30) 중의, 플런저(37)을 제외한, 코일(32), 스테이터(33) 및 흡인자(34)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솔레노이드부(30A)라고 칭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33)의 상부에는 단원주형상(短圓柱狀)의 고정자(65)가 압입 등에 의해 고착되고, 스테이터(33)의 내주측에서의 상기 고정자(65)와 흡인자(34)와의 사이에는 압축기(100)의 흡입 압력(Ps)이 도입되는 감압실(45)이 형성되고, 이 감압실(45)에는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우즈(41), 역철자 형상(逆凸字狀)의 상스토퍼(42), 역요자 형상의 하스토퍼(43) 및 압축 코일 스프링(44)으로 이루어지는 벨로우즈 장치(4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스토퍼(43)의 오목부 내에는 후술하는 부밸브체(17)의 상부 소경부(부밸브체부(17a)와는 반대측의 단부)(17d)가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고, 하스토퍼(43)와 흡인자(34)와의 사이에는 벨로우즈 장치(40)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46)이 수축하여 장착되어 있다.
플런저(37)은 원통형상 상반부(37A)와 원주형상 하반부(37B)로 이루어져 있고, 원주형상 하반부(37B)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인자(34)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늘어나는 부밸브체(17)의 몸통부(17b) 및 주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후에 상세히 기술)를 삽통하는 삽통구멍(37b)이 형성되고, 원주형상 하반부(37B)의 상면에서의 상기 삽통구멍(37b)의 외주부분이, 부밸브체(17)의 중간 대경 계지부(17c)를 괘지(掛止)하기 위한 괘지부(37a)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흡인자(34)와 부밸브체(17)의 중간 대경 계지부(17c)와의 사이(플런저(37))에는 부밸브체(17) 및 플런저(37)을 하방(밸브개방 방향)으로 가세하는 원통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47)이 수축하여 장착되어 있고, 당해 플런저 스프링(47)에 의해 부밸브체(17)(의 중간 대경 계지부(17c))가 플런저(37)에 꽉 눌려서 그 플런저(37)와 함께 상하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37)에서의 원주형상 하반부(37B)의 하부(하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방의 부분)에는 상기 삽통구멍(37b)에 겹쳐지도록 평면시로 개략 반원형의 패인 홈(37t)이 (횡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그 패인 홈(37t)의 하측(즉, 패인 홈(37t)과 원주형상 하반부(37B)의 하단부 사이의 부분)에 원주형상 하반부(37B)의 하단 연부로부터 상기 삽통구멍(37b)까지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상기 삽통구멍(37b)의 구멍 지름과 거의 같은 폭의 슬릿(37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인 홈(37t)의 (상하 방향의) 높이는 주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의 높이보다 약간 크게되어 있고, 상기 슬릿(37s)의 (상하 방향의) 높이는 주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고, 주밸브체(15)는 플런저(37)에 대해 상하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상세는 후술). 또한, 상기 슬릿(37s)의 (횡방향의) 폭은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주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됨과 함께, 주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밸브체(10)는 종방향으로 나열하여(축선(O) 방향에 따라) 배치된 주밸브체(15)와 부밸브체(17)로 이루어져 있다.
하측에 배치된 주밸브체(15)는 아래로부터 차례로 하부 감삽부(嵌揷部)(15b), 하측 소경부(15c), 주밸브체부(15a), 중간 소경부(15d), 상부 감삽부(15e), 상부 소경부(15f) 및 플랜지형상 계지부(15k)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밸브 내 도피 통로(16)의 일부를 구성한 단이 붙은 관통 도피구멍(16A)이 마련되어 있고, 이 관통 도피구멍(16A)의 상단부가, 부밸브체(17)의 하단부(부밸브부)(17a)가 이접(離接)하는 부밸브 시트부(23)로 되어 있다. 또한, 주밸브체(15)의 중간 소경부(15d)에는 복수개의 가로구멍(16s)이 마련되어 있다.
주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는 상기 삽입구멍(37b)(의 패인 홈(37t)보다 하측의 부분)에 완만하게 내감(內嵌)되고, 주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는 상기 삽입구멍(37b)보다 대경으로 되어 있고, 플런저(37)가 주밸브체(15)에 대해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질 때, 상기 삽입구멍(37b)의 외주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내플랜지형상 괘지부(37k)에 의해 플랜지형상 계지부(15k)가 걸려서 빠짐방지 계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밸브체(15)의 상측에 배치된 부밸브체(17)는 아래로부터 차례로 관통 도피구멍(16A)의 상단 연부인 부밸브 시트부(23)에 이접하는 역원추형상의 테이퍼부(17a), 중간 대경 계지부(17c)가 형성된 몸통부(17b), 원추대(17e) 및 하스토퍼(43)의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부 소경부(17d)로 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부(17a)가,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개폐하는 부밸브체부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부밸브 시트부(23)와 부밸브체부(17a)로 부밸브부(12)가 구성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몸통부(17b) 중, 중간 대경 계지부(17c)보다 하측의 부분이 플런저(37)의 삽통구멍(37b)에 약간의 간극을 갖고서 내삽되고, 중간 대경 계지부(17c)보다 상측이면서 흡인자보다 하측의 부분(원통형상 상반부(37A)의 내측에 배치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약간 확경되어 있다.
부밸브체(17)의 주위의 각 부분의 치수 형상(예를 들면, 몸통부(17b)와 삽통구멍(37b)과의 간극 등)은 부밸브체(17)가 주밸브체(15)에 대해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진 위치(즉, 밸브 내 도피 통로(16)가 개방된 위치)에서 다소 기울어진 상태라도, 당해 부밸브체(17)가 주밸브체(15)에 근접함에 따라(즉, 부밸브체(17)가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폐쇄할 때에), 역원추형상의 부밸브부(테이퍼부)(17a)의 하단부가 관통 도피구멍(16A) 내에 들어가고, 그 부밸브체부(17a)에 의해 부밸브체(17)가 주밸브체(15)에 대해 조심(調芯)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밸브체(17)가 주밸브체(15)에 대해 최상승 위치에 있을 때에 역원추형상의 부밸브체부(17a)의 일부가 관통 도피구멍(16A) 내에 위치하도록 각 부분의 치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특히, 도 3 참조).
상기 밸브체(10)(주밸브체(15) 및 부밸브체(17))와 플런저(37)와의 조립에 즈음하여서는 예를 들면, 미리 밸브 본체(20)(의 안내구멍(19))에 조립한 주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 및 상부 소경부(15f)가 각각 플런저(37)의 패인 홈(37t) 및 슬릿(37s)에 삽입되도록 당해 주밸브체(15)를 플런저(37)에 대해 가로이동시켜, 플런저(37)의 중앙에 마련된 삽입구멍(37b)에 상부 소경부(15f)를 삽입한 상태로 하고, 그 후, 부밸브체(17)(의 중간 대경 계지부(17c)보다 하측의 부분)를 삽입구멍(37b)에 위로부터 삽입하면 좋다.
한편, 상기 밸브 본체(20)는 상부 중앙에 갑합용의 오목구멍(20C)이 마련된 본체 부재(20A)와, 상기 오목구멍(20C)에 압입 등에 의해 내삽 고정되는 지지 부재(20B)와의 2분할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지지 부재(20B)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SUS) 등의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고, 상기 오목구멍(20C)에 감삽되는 감삽부(24)의 상측에 플런저(37)의 최하강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볼록형상의 스토퍼부(24A)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20B)의 중앙부에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주밸브체(15)의 상부 감삽부(15e)가 활주 자유롭게 감삽되는 안내구멍(19)(상측 안내구멍(19A))이 형성되고, 이 상측 안내구멍(19A)의 하단부가 상기 주밸브체(15)의 주밸브체부(15a)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구(22)(밸브 시트부)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주밸브체부(15a)와 밸브구(22)로 주밸브부(11)가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0B)는 스테인리스 등의 고경도의 재료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그 비중도 높다.
본체 부재(20A)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놋쇠(brass) 또는 수지 등의 스테인리스 등과 비하면 비교적 비중이 낮은 재료(즉, 비교적 경도가 낮은 재료)로 제작되고, 본체 부재(20A)의 오목구멍(20C)에 지지 부재(20B)(의 감삽부(24))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부(24A)의 외주에는 압축기(100)의 흡입 압력(Ps)의 입출실(28)이 형성됨과 함께, 그 입출실(28)의 외주측에 복수개의 Ps 입출구(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Ps 입출구(27)로부터 입출실(28)에 도입된 흡입 압력(Ps)은 플런저(37)의 저부에 형성된 슬릿(37s) 및 패인 홈(37t), 부밸브체(17)의 몸통부(17b)와 플런저(37)의 삽통구멍(37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플런저(37)의 외주와 안내 파이프(3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36) 등을 통하여 상기 감압실(45)에 도입된다.
또한, 본체 부재(20A)의 오목구멍(20C)의 저부 중앙에는 주밸브체(15)의 주밸브체부(15a)를 수용하기 위한, 안내구멍(19) 및 상기 주밸브체부(15a)보다 대경이면서 오목구멍(20C)의 구멍 지름보다 소경의 수용구멍(18)이 연속 마련되고, 이 수용구멍(18)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주밸브체(15)의 하부 감삽부(15b)가 활주 자유롭게 감삽되는 안내구멍(19)(하측 안내구멍(19B))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구멍(18)의 저부 외주 귀퉁이부(角部)와 주밸브체(15)의 주밸브체부(15a)의 하부 외주에 마련된 단차부(단구부)(15g)와의 사이에는 원추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밸브폐쇄 스프링(50)이 수축하여 장착되어 있고, 이 밸브폐쇄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해 주밸브체(15)(의 상부 감삽부(15e)와 상부 소경부(15f)와의 단차부)가 플런저(37)에 꽉 눌린다.
상기 수용구멍(18) 내(상기 지지 부재(20B)의 밸브구(22)보다 하측 부분)가 밸브실(21)로 되어 있고, 이 밸브실(21)에는 압축기(100)의 토출실(106)에 연통하는 Pd 도입구(25)가 복수개 개구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 부재(20A)에서의 Pd 도입구(25)의 외주에는 링형상의 필터 부재(25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부재(20A)의 하단부에는 필터로서 기능하는 덮개형상 부재(48)가 계합·압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덮개형상 부재(48)보다 상측에서 주밸브체(15)보다 하측이, 압축기(100)의 크랭크실(104)에 연통하는 Pc 입출실(입출구)(26)로 되어 있다. 이 Pc 입출실(입출구)(26)은 관통 도피구멍(16A)→ 가로구멍(16s)→ 상측 안내구멍(19A)의 하부와 중간 소경부(15d) 사이의 간극→ 밸브구(22)와 주밸브체부(15a) 사이의 간극→ 밸브실(21)을 통하여 상기 Pd 도입구(25)에 연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밸브체(15)에 형성된 관통 도피구멍(16A), 플런저(37) 내에 마련된 패인 홈(37t) 및 슬릿(37s), 입출실(28) 등으로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Ps 입출구(27)를 통하여 압축기(100)의 흡입실(107)에 도피시키기 위한 밸브 내 도피 통로(16)가 구성되고, 주밸브체(15)의 관통 도피구멍(16A)의 상단 연부인 부밸브 시트부(23)에 부밸브체(17)의 부밸브체부(17a)가 이접함에 의해 상기 밸브 내 도피 통로(16)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밸브(1)에서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37), 주밸브체(15) 및 부밸브체(17)가 최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플런저(37)의 최하단면이 스토퍼부(24A)에 당접, 주밸브부(11)는 전개(全開), 부밸브부(12)는 전폐)에서, 주밸브체(15)의 주밸브체부(15a)와 밸브구(22)(밸브 시트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이격 거리가 제1 리프트량(Lv)이 되고, 플런저(37)의 내플랜지형상 괘지부(37k)와 주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와의 이격 거리는 소정량(La)이 되고, 상기 플런저(37)의 최대 리프트량(제2 리프트량)(Lp)(플런저(37)의 최하강 위치로부터 최상승 위치까지의 리프트량)은 제1 리프트량(Lv)+소정량(La)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된 제어 밸브(1)의 동작을 개설(槪說)한다.
통상 제어시(Pd→ Pc 제어시)에는 플런저(37)의 리프트량은 최대라도 상기 제1 리프트량(Lv) 강(强)으로 되고, 압축기 기동시(Pc→ Ps 제어시)에는 플런저(37)의 리프트량은 상기 제2 리프트량(Lp)이 된다.
즉, 통상 제어시(Pd→ Pc 제어시)에는 코일(32), 스테이터(33) 및 흡인자(34) 등으로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부(30A)가 통전 여자되면, 흡인자(34)에 플런저(37)가 끌어당겨지고, 이에 수반하여 플런저(37)의 괘지부(37a)에 부밸브체(17)의 중간 대경 계지부(17c)가 계지되기 때문에 플런저(37)와 일체로 부밸브체(17)가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이 움직임에 추종하여 밸브폐쇄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해 주밸브체(15)가 상방(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압축기(100)로부터 Ps 입출구(27)에 도입된 흡입 압력(Ps)은 입출실(28)로부터 플런저(37)의 슬릿(37s) 및 패인 홈(37t) 등을 통하여 감압실(45)에 도입되고, 벨로우즈 장치(40)(내부는 진공압)는 감압실(45)의 압력(흡입 압력(Ps))에 응하여 신축 변위(흡입 압력(Ps)이 높으면 수축, 낮으면 신장)하고, 그 변위가 플런저(37)나 부밸브체(17)을 통하여 주밸브체(15)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밸브 개방도(밸브구(22)와 주밸브체부(15a)와의 이격 거리)가 조정되고, 그 밸브 개방도에 응하여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이 조정된다. 이에 수반하여 압축기(100)의 사판(102)의 경사각도 및 피스톤(105)의 스트로크가 조정되고, 토출 용량이 증감된다.
이 경우, 주밸브체(15)는 밸브폐쇄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상향으로 가세되어 있음과 함께, 부밸브체(17)는 밸브개방 스프링(47)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하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부밸브체부(17a)는 부밸브 시트부(23)에 꽉 눌려진 상태(부밸브부(12)가 밸브폐쇄)가 되고, 밸브 내 도피 통로(16)는 주밸브체(15) 내에서 차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통하여 크랭크실 압력(Pc)이 흡입실(107)에 도피시켜지는 일은 없다.
그에 대해 압축기 가동시에는 솔레노이드부(30A)가 통전 여자되고, 흡인자(34)에 플런저(37)가 끌어당겨지고, 이 플런저(37)와 함께 부밸브체(17)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상방향 이동에 추종하여 주밸브체(15)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주밸브체(15)의 주밸브체부(15a)에 의해 밸브구(22)가 폐쇄된 후, 더욱 플런저(37)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이에 의해 부밸브체(17)가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개방하도록 되고,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이 기기내 도피 통로(108)와 밸브 내 도피 통로(16)의 2개의 통로를 통하여 흡입실(107)에 도피된다.
상세하게는 플런저(37)의 상방향 이동량이 제1 리프트량(Lv)에 달할 때까지는 주밸브체(15)가 밸브폐쇄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해 플런저(37) 및 부밸브체(17)의 상방향 이동에 추종하도록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방향 이동량이 상기 제1 리프트량(Lv)에 달하면, 주밸브체(15)의 주밸브체부(15a)에 의해 밸브구(20)가 폐쇄되고(도 2에 도시하는 상태), 이 주밸브부(11)의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더욱 플런저(37)가 상기 소정량(La)만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3에 도시하는 상태). 환언하면, 플런저(37)의 상방향 이동량이 상기 제1 리프트량(Lv)에 달한 후, 플런저(37)의 내플랜지형상 괘지부(37k)가 주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에 계지될 때까지의 소정량(La)분만큼 부밸브체(17)가 끌어올려진다(제1 리프트량(Lv)+소정량(La)=제2 리프트량(Lp)). 이 경우, 주밸브체(15)는 밸브폐쇄 상태인 채로 부동이기 때문에 부밸브체(17)의 부밸브체부(17a)는 부밸브 시트부(23)로부터 소정량(La))만큼 리프트시켜지고, 이에 의해 부밸브 내 도피 통로(16)가 개방된다. 플런저(37)의 내플랜지형상 괘지부(37k)가 주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에 계지되면, 솔레노이드부(30A)가 흡인력을 발생하여도, 플런저(37) 및 부밸브체(17)는 그 이상 끌어올려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밸브(1)에서는 전자식 액추에이터(30)의 플런저(37)에 좌단측이 개구한 슬릿(37s)이 마련되고, 그 슬릿(37s)를 통하여 밸브체(10)(의 주밸브체(15))를 횡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플런저(37)에 조립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소경 중앙 구멍에 대해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대경 편심 구멍을 형성한 종래례의 것에 비하여 플런저(37)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가공 조립의 용이화, 경량화,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37s)이, 부밸브체(17)가 밸브 내 도피 통로(16)를 개방한 때에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Ps 입출구(27)로부터 압축기(100)의 흡입실(107)에 도피시키기 위한 유로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플런저의 주벽부(측부)에 가로구멍을 형성한 종래례의 것에 비하여 더한층의 가공 조립의 용이화,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주밸브:개, 부밸브:폐 상태(통상 제어시), 도 6은 주밸브:폐, 부밸브:폐 상태(압축기 기동 이행시), 도 7은 주밸브:폐, 부밸브:개의 상태(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제어 밸브(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밸브(1)에 대해 기본적으로 밸브 본체 및 밸브에서의 주밸브체의 구성만이 상위하여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기능 갖는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한 상위점만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밸브(2)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밸브(1)에 대해 주밸브체(15)에서의 상부 감삽부(15e) 및 중간 소경부(15d)가 길게 형성되고, 주밸브체부(15a)의 하측의 하측 소경부(15c) 및 하부 감삽부(15b)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본체(20)의 지지 부재(20B)에서의 감삽부(24)는 단이 붙여져서 형성되고, 상측 대경부(24a)(제1 실시 형태의 감삽부(24)에 상당하는 외형)의 하측에 그 상측 대경부(24a)보다 상하 방향 길이가 긴 하측 소경부(24b)가 마련되고, 그 하측 소경부(24b)의 하단에 본체 부재(20A)의 오목구멍(20C)과 수용구멍(18) 사이의 단차부(단구부)에 당접시켜지는 플랜지형상 당접부(24c)가 외측을 향하여 비어져 나오도록 마련되어 있다.
한편, 밸브 본체(20)의 본체 부재(20A)에서의 오목구멍(20C)도 단이 붙여져서 형성되고, 상기 상측 대경부(24a)가 감삽되는 상측 대경구멍(20Ca)(제1 실시 형태의 오목구멍(20C)에 상당하는 외형)과 상기 하측 소경부(24b)가 감삽되는 하측 소경구멍(20Cb)으로 구성되고, 하측 소경구멍(20Cb)의 저부 중앙에 주밸브체(15)의 주밸브체부(15a)를 수용하는 단이 붙은 수용구멍(18)이 연속 마련되어 있다. 수용구멍(18)의 내주에 마련된 단차부와 주밸브체(15)의 주밸브체부(15a)의 하부 외주에 마련된 단차부(단구부)(15g)와의 사이에는 원추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밸브폐쇄 스프링(50)이 수축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수용구멍(18) 내(상기 지지 부재(20B)의 밸브구(22)보다 하측 부분)가 밸브실(21)로 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상기 오목구멍(20C)에서의 하측 소경구멍(20Cb)에 압축기(100)의 토출실(106)에 연통하는 Pd 도입구(25)가 복수개 개구시켜지고, 그 Pd 도입구(25)의 외주에 링형상의 필터 부재(25A)가 외장되고, (주밸브체(15)의 중간 소경부(15d)에 대신하여) 상기 감삽부(24)에서의 하측 소경부(24b)에 상기 Pd 도입구(25)에 연통하는 복수개의 가로구멍(25s)이 마련되어 있고, 압축기(100)의 크랭크실(104)에 연통하는 Pc 입출실(입출구)(26)은 밸브실(21)→ 밸브구(22)와 주밸브체부(15a) 사이의 간극→ 안내구멍(19)(상측 안내구멍(19A))의 하부와 중간 소경부(15d) 사이의 간극→ 하측 소경부(24b)의 가로구멍(25s)→ 하측 소경부(24b)와 하측 소경구멍(20Cb) 사이의 간극(상세는 후술)을 통하여 상기 Pd 도입구(25)에 연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대경부(24a)의 외주와 상측 대경구멍(20Ca)의 내주가 당접하고(환언하면, 상측 대경구멍(20Ca)에 상측 대경부(24a)가 접합(내접)시켜지고), 하측 소경부(24b)의 외주와 하측 소경구멍(20Cb)의 내주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갖는 자세로 본체 부재(20A)의 오목구멍(20C)에 지지 부재(20B)가 내삽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2 실시 형태의 제어 밸브(2)에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밸브(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1 :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제1 실시 형태)
2 :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제2 실시 형태)
10 : 밸브체 11 : 주밸브부
12 : 부밸브부 15 : 주밸브체
15a : 주밸브체부 15k : 플랜지형상 계지부
16 : 밸브 내 도피 통로 17 : 부밸브체
17a : 부밸브체부(테이퍼부) 19 : 안내구멍
19A : 상측 안내구멍 19B : 하측 안내구멍
20 : 밸브 본체 20A : 본체 부재
20B : 지지 부재 20C : 오목구멍
21 : 밸브실 22 : 밸브구
23 : 부밸브 시트부 25 : Pd 도입구
26 : Pc 입출구 27 : Ps 입출구
30 : 전자식 액추에이터 30A : 솔레노이드부
37 : 플런저 37k : 내플랜지형상 괘지부
37s : 슬릿 37t : 패인 홈
40 : 벨로우즈 장치(감압 응동 부재)
45 : 감압실 50 : 밸브폐쇄 스프링
Lv : 제1 리프트량 La : 소정량
Lp : 제2 리프트량

Claims (4)

  1.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 및 압축기의 흡입실에 연통하는 Ps 입출구를 가지고,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의 토출실에 연통하는 Pd 도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Pc 입출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흡입 압력(Ps)이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감압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 응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에 그 플런저에 대해 상기 밸브체를 횡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조립하기 위한 슬릿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구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크랭크실의 압력(Pc)을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의 흡입실에 도피시키기 위한 밸브 내 도피 통로가 그 내부에 마련된 주밸브체와, 그 밸브 내 도피 통로를 개폐하는 부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주밸브체가, 상기 슬릿에 횡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에 상하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부밸브체는 상기 플런저와 함께 상하동하도록 그 플런저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주밸브체에 의해 상기 밸브구가 폐쇄된 후,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상기 부밸브체가 상기 밸브 내 도피 통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Pc 입출구, 상기 밸브 내 도피 통로 상기 슬릿 및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과 흡입실이 연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체의 상부에 플랜지형상 계지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플런저에 상기 플랜지형상 계지부가 삽입된 패인 홈 및 상기 플랜지형상 계지부가 걸려서 빠짐방지 계지된 내플랜지형상 괘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내플랜지형상 괘지부와 상기 주밸브체의 플랜지형상 계지부와의 상하 방향의 이격 거리는 상기 주밸브체에 의해 상기 밸브구가 폐쇄된 후,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리프트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20160159139A 2015-12-16 2016-11-28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700721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4996A JP6383720B2 (ja) 2015-12-16 2015-12-16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JP-P-2015-244996 2015-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124A true KR20170072124A (ko) 2017-06-26

Family

ID=5720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139A KR20170072124A (ko) 2015-12-16 2016-11-28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75726A1 (ko)
EP (1) EP3187730B1 (ko)
JP (1) JP6383720B2 (ko)
KR (1) KR20170072124A (ko)
CN (1) CN1068847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5617B2 (ja) * 2015-12-16 2018-07-11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17110544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708911B2 (ja) * 2018-02-08 2020-06-10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757074B2 (ja) * 2018-02-08 2020-09-16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WO2019167912A1 (ja) * 2018-02-27 2019-09-06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US11536257B2 (en) 2018-07-12 2022-12-27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WO2020013155A1 (ja) 2018-07-12 2020-01-16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EP3822485B1 (en) 2018-07-13 2024-04-10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EP3835578B1 (en) 2018-08-08 2023-12-06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EP3835576B1 (en) 2018-08-08 2024-03-27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WO2020116435A1 (ja) * 2018-12-04 2020-06-1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US11852241B2 (en) 2019-02-04 2023-12-26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WO2020179597A1 (ja) 2019-03-01 2020-09-1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US11927275B2 (en) 2019-04-03 2024-03-12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KR20210136128A (ko) 2019-04-03 2021-11-16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 제어 밸브
WO2021122664A1 (en) * 2019-12-20 2021-06-24 Danfoss A/S Expans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047A (ja) * 1993-08-17 1995-03-03 Kubota Corp パイロット弁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4714626B2 (ja) * 2006-04-13 2011-06-29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5553514B2 (ja) 2009-02-10 2014-07-16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5878703B2 (ja) * 2010-09-06 2016-03-08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CN103547804B (zh) * 2011-05-23 2016-03-09 学校法人斗源学院 用于可变容量压缩机的控制阀及用于制造该控制阀的方法
JP5567632B2 (ja) * 2011-11-30 2014-08-0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磁弁及び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2013130126A (ja) * 2011-12-21 2013-07-04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075764B2 (ja) * 2013-03-22 2017-02-08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制御弁及びこの制御弁を備えた可変容量圧縮機
JP6149239B2 (ja) * 2013-06-28 2017-06-21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6340661B2 (ja) * 2014-02-27 2018-06-13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WO2016179014A1 (en) * 2015-05-01 2016-11-10 Graco Minnesota Inc. Pump transmission carria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84774A (zh) 2017-06-23
JP6383720B2 (ja) 2018-08-29
JP2017110542A (ja) 2017-06-22
EP3187730B1 (en) 2018-07-04
US20170175726A1 (en) 2017-06-22
EP3187730A1 (en) 2017-07-05
CN106884774B (zh)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124A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CN113474553B (zh) 排量控制阀
KR102149692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70072144A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2101306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KR20170072150A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70072149A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US10907624B2 (en)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valve
CN109416132B (zh) 可变容量型压缩机用控制阀
JP2008298013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003249A1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CN111670305A (zh) 可变容量型压缩机用控制阀
CN109477472B (zh) 可变容量型压缩机用控制阀及其组装方法
CN111699319A (zh) 可变容量型压缩机用控制阀
JP2011122540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