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724A -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724A
KR20170071724A KR1020150179742A KR20150179742A KR20170071724A KR 20170071724 A KR20170071724 A KR 20170071724A KR 1020150179742 A KR1020150179742 A KR 1020150179742A KR 20150179742 A KR20150179742 A KR 20150179742A KR 20170071724 A KR20170071724 A KR 20170071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cancer
dna methylation
methylation
gene
d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이선민
최원영
이정우
김다원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724A/ko
Publication of KR2017007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4Methylat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의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하여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와 환자 그룹별 인종, 성별, 나이 및 바이러스와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간암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METHOD FOR DIAGNOSING OR PREDIC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DNA METHYLATION CHANGES OF INTRAGENIC CPG ISLAND INVOLVED IN HEPATOCELLULAR CARCINOMA SPECIFIC GENE EXPRESSION}
본 발명은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의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하여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와 환자 그룹별 인종, 성별, 나이 및 바이러스와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간암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의학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인체 암, 특히 대다수를 차지하는 고형암(solid tumor)의 경우 5년 생존율은 50%미만이다. 전체 암환자의 약 3분의 2는 진행된 단계에서 발견되며, 이들 대부분은 진단 후 2년 이내에 사망한다. 이와 같이 저조한 암의 치료효과는 치료법의 문제 뿐만은 아니며, 실제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과 진행된 암을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 후 추적 조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임상에서 암의 진단은 문진(history taking)과 신체검사, 임상병리검사를 거쳐 일단 의심이 되면 방사선검사 및 내시경검사로 진행되며, 최종적으로는 조직검사로 확인된다. 그러나 현존 임상검사법으로는 암의 세포 수가 10억개, 암의 직경이 1㎝ 이상이 되어야 진단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 이미 암세포는 전이능력을 갖고 있으며, 실제 절반 이상에서 암이 이미 전이되어 있다. 한편, 암이 직간접으로 생산하는 물질을 혈액 내에서 찾는 종양 마커(tumor markers)가 암 선별검사(cancer screening)에 이용되는데, 이는 정확도에 한계가 있어서 암이 있을 때도 약 절반까지 정상으로 나타나며, 암이 없을 때도 종종 양성으로 나타나서 혼란을 야기한다. 또한, 암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암제의 경우, 암의 용적이 적은 경우에만 그 효과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의 진단과 치료가 모두 어려운 것은 정상세포와 다른 점이 많고,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이다. 암은 제멋대로 과잉으로 계속 자라며, 사망에서 해방되어 계속 생존하고, 주위조직을 침범하고 원위장기로 확산(전이)되어서 인간을 사망하게 한다. 면역기전의 공격이나 항암 치료에도 생존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며 생존에 가장 유리한 세포군(클론)이 선택적으로 증식한다. 암세포는 다수의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고도의 생존능력을 가진 생존체이다. 하나의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고, 임상에서 보는 악성의 암 덩어리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다수의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야 한다. 따라서 암을 근원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유전자 수준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근, 암의 진단에 유전자검사가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가장 단순한 대표적 방법은 혈액에서 백혈병의 유전자 지표인 ABL:BCR 융합 유전자의 유무를 PCR로 찾는 것이다. 이는 정확도가 95%이상이며, 단순 용이한 검사로 만성골수성 백혈병의 진단과 치료 후 결과 평가, 추적조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소수 혈액암의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암세포가 발현하는 유전자의 존재를 RT-PCR 및 블라팅으로 파악함으로써 혈구세포 중에 함께 존재하는 암세포를 진단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립선암과 흑색종 등 일부 암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가양성(false positive rate)이 많고, 검사 및 판독 방법의 표준화가 어렵고, 그 유용성에도 한계가 있다(Kopreski, M.S. et al., Clin. Cancer Res., 5:1961, 1999; Miyashiro, I. et al., Clin. Chem., 47:505, 2001).
혈청(serum)이나 혈장(plasma)내 DNA를 사용하는 유전자검사가 최근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이는 암세포에서 분리되어 혈액으로 나와서 혈청 내에 유리형(free DNA)으로 존재하는 암 관련 유전자를 찾는 방법이다. 실제 암환자에서는 혈청 내 DNA 농도가 정상인의 5~10배로 증가되며, 이렇게 증가된 DNA는 대부분이 암세포에서 유리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들 암에서 유리된 DNA를 가지고 암 유전자(oncogene)와 종양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나 소실, 기능상실 등, 암에 특이한 유전자 이상을 분석하면 암을 진단할 수 있다. 실제 혈청에서 돌연변이형의 KRas 암유전자나 p53 종양억제 유전자, p16 유전자의 프로모터 메틸화, 그리고 마이크로세틀라이트(microsatellite)의 표지와 불안정성(instability) 등을 검사하여 폐암과 두경부암, 유방암, 대장암, 간암 등을 진단하는 것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Chen, X.Q. et al., Clin. Cancer Res., 5:2297, 1999; Esteller, M. et al., Cancer Res., 59:67, 1999; Sanchez-Cespedes, M. et al., Cancer Res., 60:892, 2000; Sozzi, G. et al., Clin. Cancer Res., 5:2689, 1999).
한편, 혈액 외의 검체에서도 암의 DNA를 검사할 수 있다. 폐암 환자에서 객담이나 기관지폐포 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내에 존재하는 암세포 및 암 유전자의 존재를 유전자검사나 항체검사로 찾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Palmisano, W.A. et al., Cancer Res., 60:5954, 2000; Sueoka, E. et al., Cancer Res.,59:1404, 1999), 장암에서 대변 내에 존재하는 암 유전자를 찾는 방법 (Ahlquist, D.A. et al., Gastroenterol., 119:1219-27, 2000)과 소변 및 전립선액 내에 존재하는 프로모터 메틸화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Goessl, C. et al., Cancer Res., 60:5941, 2000)도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다수 유전자 이상을 동반하며 개개 암별로 제각기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암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유전자를 동시에, 그리고 정확하게 자동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나, 아직 이러한 방법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암을 정확히 진단하려면 변이유전자를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유전자의 변이가 나타나는 기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전에는 유전자의 코딩서열의 돌연변이, 즉 점 돌연변이나 결실, 삽입 등의 미세변화나 거시적인 염색체 이상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들만큼 유전자외 변화가 중요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고, 대표적인 것이 프로모터 CpG 섬의 메틸화이다.
포유류 세포의 게놈 DNA에는 A, C, G, T 외에 5번째 염기가 존재하며, 이는 시토신 환의 5번째 탄소에 메틸기가 붙은 5-메틸시토신(5-mC)이다. 5-mC는 항상 CG 다이뉴클레오타이드의 C에만 오며(5'-mCG-3'), 이러한 CG를 흔히 CpG라고 표시한다. CpG의 C는 대부분이 메틸기가 붙어서 메틸화되어 있다. 이러한 CpG의 메틸화는 알루(alu)나 전이인자(transposon)와 같이 게놈 내에 반복되는 염기서열(repetitive sequence)이 발현되지 못하도록 억제하며, 포유류 세포에서 유전자외 변화가 가장 흔히 나타나는 부위이다. 이러한 CpG의 5-mC는 자연히 탈아미노화(deamination)되어 T로 바뀌며, 이에 따라 포유류 게놈 내 CpG는 정상적으로 나타나야 할 빈도(1/4 x 1/4 =6.25%)보다 훨씬 낮은 1%의 빈도만을 나타낸다.
CpG 중에 예외적으로 밀집되어 나타나는 것들이 있으며, 이를 CpG 섬이라고 한다. CpG 섬은 길이가 0.2~3kb이고, C 및 G염기의 분포백분율이 50%를 넘으며, CpG의 분포백분율이 3.75%이상으로 높게 집중되어 나타나는 부위를 가리킨다. CpG 섬은 전체 인체 유전체에 약 45,000개가 나타나며, 특히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부위에 집중되어 나타난다. 실제로 인체 유전자중 약 절반을 차지하는 중요 유전자(housekeeping genes)의 프로모터에는 CpG 섬이 나타난다 (Cross, S. et al., Curr. Opin. Gene Develop., 5:309, 1995). 이에 실제 혈액이나 객담, 침, 대변, 소변 등에서 종양관련 유전자의 프로모터 메틸화를 조사하여 각종 암 진료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Esteller, M. et al., Cancer Res., 59:67, 1999; Sanchez-Cespedez, M. et al., Cancer Res., 60:892, 2000; Ahlquist, D.A. et al., Gastroenterol., 119:1219, 2000). 하지만 프로모터 지역 이외의 일부 repeat 지역을 제외하고는 발암 과정에서 DNA 메틸화 변이 경향성에 따른 발현 변화 및 세포 변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크게 알려진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의 DNA 메틸화 변이가 상기 유전자의 발현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간암 발생 유전자 구조 내 CGI 부위의 메틸화 정도를 바이오 마커로 이용하여 간암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가 간암 환자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후성유전학적 변이가 일어나며, 환자 그룹별 인종, 성별, 나이 및 바이러스와의 연관성을 확인함으로써, 환자 맞춤형 간암 치료가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메틸화”는 유전자 조절 영역의 CpG 디뉴클레오타이드 내의 뉴클레오타이드 염기 시토신의 C5-위치에서의 메틸기의 공유결합을 의미한다. “메틸화 상태”는 DNA 염기서열 내에서의 하나 이상의 CpG 디뉴클레오타이드의 5-메틸-시토신의 존재 또는 비존재를 의미한다. “메틸화 수준”은 예를 들면 모든 게놈 영역 및 일부 비-게놈 영역 내의 표적 DNA 메틸화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에 존재하는 메틸화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저메틸화”는 메틸화될 수 있는 CpG 부위의 대다수가 메틸화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저메틸화는 유전자 일부 내의 가능한 메틸화 부위의 50% 미만, 45% 미만, 40% 미만, 35% 미만, 30% 미만, 25% 미만, 20% 미만, 15% 미만, 10% 미만, 5% 미만, 또는 1% 미만이 메틸화된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저메틸화는 정상 수준으로, 예를 들면, 비-종양 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와 비교하여 더 적은 가능한 메틸화 부위가 메틸화된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저메틸화는 CpG 부위 중 어느 것도 메틸화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과메틸화”는 메틸화될 수 있는 CpG 부위의 대다수가 메틸화된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과메틸화는 유전자 일부 내의 가능한 메틸화 부위의 50% 초과, 55% 초과, 60% 초과, 65% 초과, 70% 초과, 75% 초과, 80% 초과, 85% 초과, 90% 초과, 95% 초과, 또는 99% 초과가 메틸화된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과메틸화는 정상 수준으로, 예를 들면, 비-종양 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와 비교하여 더 많은 가능한 메틸화 부위가 메틸화된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과메틸화는 CpG 부위 모두가 메틸화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임상 샘플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된 DNA에서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의 DNA 메틸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된 유전자 구조 내 CGI의 DNA 메틸화 수준을 표준 유전자 구조 내 CGI의 DNA 메틸화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는 TP53, CTNNB1, ALB, RB1, BAP1, ARID1A, AXIN1, HNF1A, PTEN, IL6ST 및 CDKN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AATK(NM_001080395), ABCA3(NM_001089), ABHD8(NM_024527), ABR(NM_001159746), ABR(NM_001092), ACHE(NM_001282449), ACTL8(NM_030812), ADAMTS15(NM_139055), ADAMTS17(NM_139057), ADAMTS2(NM_014244), ADAMTS7(NM_014272), ADAMTSL2(NM_001145320), ADAP1(NM_001284309), ADARB2(NM_018702), ADD2(NM_001185055), ADRA1B(NM_000679), AFAP1(NM_001134647), AGRN(NM_198576), AHRR(NM_001242412), AICDA(NM_020661), AJAP1(NM_018836), AMN(NM_030943), ANKRD29(NM_173505), ANO8(NM_020959), ANO9(NM_001012302), APBA2(NM_005503), APC2(NM_005883), APCDD1(NM_153000), APCDD1L(NM_153360), APLP1(NM_005166), ARHGAP22(NM_001256025), ARHGAP23(NM_001199417), ARHGAP39(NM_025251), ARHGEF1(NM_199002), ARHGEF10(NM_014629), ARMC9(NM_001271466), ARSI(NM_001012301), ASB18(NM_212556), ASPG(NM_001080464), ASPHD2(NM_020437), ATP10A(NM_024490), ATP2A3(NM_005173), ATP2B4(NM_001001396), ATP8A2(NM_016529), B3GAT1(NM_054025), B4GALNT4(NM_178537), BAI1(NM_001702), BARX2(NM_003658), BCAN(NM_198427), BCL11B(NM_138576), BIN1(NM_139346), BMP2(NM_001200), BMPER(NM_133468), BRSK1(NM_032430), BRSK2(NM_003957), C10orf71(NM_001135196), C14orf180(NM_001286399), C19orf35(NM_198532), C1QC(NM_172369), C1QL4(NM_001008223), C1QTNF1(NM_030968), C2orf54(NM_001282921), C4orf22(NM_001206997), CACNA1A(NM_001127222), CACNA1B(NM_001243812), CACNA1C(NM_001167625), CACNA1E(NM_000721), CACNA1G(NM_198380), CACNA1H(NM_021098), CACNA1I(NM_021096), CACNG8(NM_031895), CAMK2B(NM_001220), CAMKK1(NM_172206), CAPN10(NM_023083), CAPN2(NM_001146068), CARD11(NM_032415), CASR(NM_001178065), CBFA2T3(NM_005187), CCDC102A(NM_033212), CCDC114(NM_144577), CCDC42B(NM_001144872), CCDC64B(NM_001103175), CCDC74B(NM_001258307), CDH11(NM_001797), CDH15(NM_004933), CDH22(NM_021248), CDH4(NM_001794), CDH4(NM_001252339), CDH5(NM_001795), CDHR3(NM_152750), CDK18(NM_212502), CDR2L(NM_014603), CELF4(NM_001025089), CELSR1(NM_014246), CELSR3(NM_001407), CHD5(NM_015557), CHRFAM7A(NM_148911), CHRNA3(NR_046313), CHRNA7(NR_046324), CHRNB2(NM_000748), CHST8(NM_001127896), CILP2(NM_153221), CLCA4(NM_012128), CLCN1(NR_046453), CNGA4(NM_001037329), CNPY1(NM_001103176), CNTN2(NM_005076), CNTNAP1(NM_003632), COL15A1(NM_001855), COL20A1(NM_020882), COL22A1(NM_152888), COL23A1(NM_173465), COL4A1(NM_001845), COL4A2(NM_001846), COL5A1(NM_000093), COL6A1(NM_001848), COL6A3(NM_004369), COL6A4P2(NR_027898), COMP(NM_000095), COX6B2(NM_144613), CPAMD8(NM_015692), CPLX1(NM_006651), CPXM2(NM_198148), CRB2(NM_173689), CTBP2(NM_022802), CYP2A13(NM_000766), CYP2W1(NM_017781), CYP4F22(NM_173483), CYTH2(NM_004228), DAB2IP(NM_032552), DACH1(NM_004392), DACT1(NR_046095), DAZAP1(NM_018959), DBN1(NM_080881), DENND3(NM_014957), DGKG(NM_001346), DHRS7C(NM_001105571), DLEU1(NR_109974), DLGAP1(NM_001242763), DLGAP2(NM_004745), DLL1(NM_005618), DLX1(NM_001038493), DLX5(NM_005221), DMBT1(NM_007329), DMRTA2(NM_032110), DNAH10(NM_207437), DNAH2(NM_020877), DNMT3A(NM_022552), DOK6(NM_152721), DPP6(NM_001936), DPYSL4(NM_006426), DSCAML1(NM_020693), DUOX2(NM_014080), DUSP4(NM_001394), EBF1(NM_024007), EBF3(NM_001005463), EBF4(NM_001110514), EEF1A2(NM_001958), ELANE(NM_001972), EML2(NM_001193269), EMX1(NM_004097), EN1(NM_001426), EN2(NM_001427), ENTPD8(NM_001033113), EPHA10(NM_173641), EPHA10(NM_001099439), EPHA8(NM_020526), EPHB2(NM_017449), EPHB3(NM_004443), EPS8L1(NM_017729), ESRRB(NM_004452), ESYT3(NM_031913), EVC2(NM_001166136), EVX1(NM_001989), F12(NM_000505), FAM101B(NM_182705), FAM171A2(NM_198475), FAM184B(NM_015688), FAM19A5(NM_001082967), FAM47A(NM_203408), FAM78A(NM_033387), FAM83F(NM_138435), FAM89B(NM_152832), FAM90A1(NM_018088), FAT3(NM_001008781), FBLN2(NM_001004019), FGF23(NM_020638), FHDC1(NM_033393), FHOD3(NM_001281740), FIBCD1(NM_032843), FLI1(NM_002017), FLNC(NM_001458), FLT4(NM_182925), FNDC1(NM_032532), FRAS1(NM_025074), FSCN2(NM_012418), GABRA5(NM_001165037), GABRB3(NM_001278631), GABRD(NM_000815), GALNT9(NM_021808), GALNT9(NM_001122636), GALR3(NM_003614), GATA5(NM_080473), GDF2(NM_016204), GFPT2(NM_005110), GFRA2(NM_001165039), GFRA4(NM_022139), GLB1L2(NM_138342), GLI2(NM_005270), GLI3(NM_000168), GMDS(NM_001253846), GNAL(NM_001142339), GNG7(NM_052847), GP6(NM_016363), GPR123(NM_001291085), GPR123(NM_001083909), GPSM1(NM_001145638), GRASP(NM_181711), GRID1(NM_017551), GRID2IP(NM_001145118), GRIK5(NM_002088), GRIN1(NM_000832), GRIN2C(NM_000835), GRIN2D(NM_000836), GRIN3B(NM_138690), GRM4(NM_001256813), GRM6(NM_000843), HAPLN3(NM_178232), HAPLN4(NM_023002), HAS1(NM_001523), HECW1(NM_001287059), HHIPL1(NM_032425), HK3(NM_002115), HLA-DOA(NM_002119), HLA-DQB2(NM_001198858), HOXA3(NM_153631), HOXA7(NM_006896), HOXB13(NM_006361), HOXC4(NM_014620), HOXC6(NM_153693), HOXD3(NM_006898), HPCAL4(NM_001282397), HRNR(NM_001009931), HS3ST2(NM_006043), HTRA3(NM_053044), IDUA(NM_000203), IFT140(NM_014714), IGF1R(NM_000875), IGFN1(NM_001164586), IGLON5(NM_001101372), IGSF21(NM_032880), IGSF9B(NM_001277285), IL17D(NM_138284), IL17RD(NM_017563), IL17REL(NM_001001694), ILDR2(NM_199351), IQSEC2(NM_015075), IQSEC3(NM_001170738), ISL2(NM_145805), ITGAM(NM_001145808), ITGAX(NM_001286375), ITGB4(NM_000213), ITIH5(NM_001001851), ITPKB(NM_002221), ITPR3(NM_002224), JAKMIP1(NM_144720), JAKMIP3(NM_001105521), JPH1(NM_020647), KCNAB2(NM_001199860), KCNC4(NR_036437), KCND2(NM_012281), KCNF1(NM_002236), KCNG1(NM_002237), KCNH2(NM_001204798), KCNK15(NM_022358), KCNN3(NM_170782), KCNQ1(NM_000218), KCNQ2(NM_172108), KCNQ3(NM_004519), KCNQ4(NM_172163), KCNS1(NM_002251), KCNT1(NM_020822), KHDC1(NM_001251874), KIAA1211(NM_020722), KIF26A(NM_015656), KIF26B(NM_018012), KIF5C(NM_004522), KLC3(NM_177417), KNDC1(NM_152643), KRT28(NM_181535), LAMA1(NM_005559), LAMC3(NM_006059), LEFTY1(NM_020997), LHX8(NM_001256114), LINGO1(NM_001301200), LINGO3(NM_001101391), LMTK3(NM_001080434), LMX1A(NM_001174069), LOC154449(NR_002787), LRFN2(NM_020737), LRRC4B(NM_001080457), LSP1(NM_002339), LTBP2(NM_000428), LTBP4(NM_003573), LY9(NM_001033667), LYPD3(NM_014400), LZTS1(NM_021020), MAN2B1(NM_000528), MAPK15(NM_139021), MAST1(NM_014975), MAST3(NM_015016), MATN4(NM_030592), MBP(NM_001025100), MDFI(NM_005586), MDGA1(NM_153487), MEGF6(NM_001409), MEIS3(NM_020160), METRNL(NM_001004431), MGAT5B(NM_001199172), MMEL1(NM_033467), MMP17(NM_016155), MMP9(NM_004994), MNX1(NM_001165255), MORN1(NM_024848), MPO(NM_000250), MRC2(NM_006039), MRPL23(NM_021134), MSX1(NM_002448), MTUS2(NM_015233), MTUS2(NM_001033602), MUC2(NM_002457), MUC5B(NM_002458), MUC6(NM_005961), MXRA5(NM_015419), MYBPC2(NM_004533), MYO10(NM_012334), MYO1D(NM_015194), MYOM2(NM_003970), MYT1(NM_004535), MYT1L(NM_015025), NCCRP1(NM_001001414), NCOR2(NM_006312), NFATC1(NM_006162), NLGN4X(NM_001282146), NLRC3(NR_075083), NLRP2(NM_001174081), NOTCH3(NM_000435), NOVA2(NM_002516), NPHP4(NR_111987), NPHS1(NM_004646), NPTX1(NM_002522), NR2E1(NM_001286102), NR2E3(NM_014249), NRP2(NM_201279), NRXN2(NM_138734), NRXN2(NM_015080), NRXN3(NM_138970), NTM(NM_001048209), NTN1(NM_004822), NTNG2(NM_032536), NTRK1(NM_001007792), NWD1(NM_001007525), NXN(NM_022463), NXN(NM_001205319), OBSCN(NM_052843), OBSCN(NM_001098623), OBSL1(NM_015311), OCA2(NM_000275), OLFM1(NM_001282611), OR8S1(NM_001005203), OSBPL5(NM_001144063), OSR1(NM_145260), OSR2(NM_001142462), OTP(NM_032109), OTX1(NM_014562), PAX8(NM_003466), PAX9(NM_006194), PBX1(NM_001204963), PCBP3(NM_001130141), PCDHA11(NM_031861), PCDHB19P(NR_001282), PCDHGA1(NM_031993), PCDHGA11(NM_032091), PCDHGB2(NM_032096), PCDHGB7(NM_032101), PDCD1(NM_005018), PDE10A(NM_001130690), PDE3A(NM_000921), PDE6B(NM_001145292), PDX1(NM_000209), PDZD4(NM_032512), PDZRN4(NM_013377), PFKP(NM_002627), PGPEP1L(NM_001102612), PHACTR1(NM_001242648), PHLDB3(NM_198850), PIF1(NM_001286497), PIK3CD(NM_005026), PIK3CG(NM_002649), PIP5K1C(NM_001195733), PITX1(NM_002653), PKLR(NM_000298), PLCH2(NM_014638), PLEKHG4B(NM_052909), PLVAP(NM_031310), PMEPA1(NM_199171), POLRMT(NM_005035), PPFIA3(NR_103842), PPP1R16B(NM_001172735), PPP2R2C(NM_001206996), PRDM16(NM_199454), PRELP(NM_201348), PREX1(NM_020820), PRKAR1B(NM_001164758), PRKCG(NM_002739), PRKCZ(NM_002744), PROKR1(NM_138964), PROKR2(NM_144773), PRRT1(NM_030651), PRSS22(NM_022119), PRTN3(NM_002777), PTCHD2(NM_020780), PTH1R(NM_001184744), PTP4A3(NM_032611), PTPN14(NM_005401), PTPRN2(NM_130843), PTPRS(NM_002850), PXDN(NM_012293), RAB40C(NM_021168), RADIL(NM_018059), RASA3(NM_007368), RASAL1(NM_001193520), RASD2(NM_014310), RASGEF1C(NM_175062), RGS20(NM_170587), RHCG(NR_110261), RHPN1(NM_052924), RIMBP2(NM_015347), RNF212(NM_001193318), RNF39(NM_025236), ROBO1(NM_002941), ROR2(NM_004560), RPS6KA2(NM_021135), RTN4RL1(NM_178568), RUNX3(NM_001031680), RYR1(NM_001042723), SBK2(NM_001101401), SCARA5(NM_173833), SCARF1(NM_003693), SCARF2(NM_153334), SDK1(NM_152744), SDK1(NM_001079653), SDK2(NM_001144952), SECTM1(NM_003004), SEMA3B(NM_004636), SEMA6C(NM_030913), SFMBT2(NM_001029880), SFTA3(NM_001101341), SH2B2(NM_020979), SH2D3A(NM_005490), SHANK1(NM_016148), SHISA6(NM_001173462), SIM1(NM_005068), SIM2(NM_009586), SIPA1(NM_006747), SIX2(NM_016932), SLC17A7(NM_020309), SLC22A17(NM_001289050), SLC29A4(NM_001040661), SLC34A2(NM_006424), SLC35F3(NM_173508), SLC45A1(NM_001080397), SLC45A4(NM_001080431), SLC4A11(NM_032034), SLC6A19(NM_001003841), SLC8A2(NM_015063), SLC9A3(NM_004174), SLCO4A1(NM_016354), SLIT1(NM_003061), SMOC2(NM_001166412), SMTNL2(NM_198501), SNPH(NM_014723), SNTG2(NM_018968), SORCS2(NM_020777), SOX11(NM_003108), SOX8(NM_014587), SPEG(NM_005876), SPIB(NM_003121), SRF(NM_003131), SRRM4(NM_194286), SSC5D(NM_001195267), ST6GAL2(NM_001142352), STARD8(NM_001142503), STK32C(NM_173575), STRA8(NM_182489), SUSD2(NM_019601), SV2B(NM_001167580), SYN1(NM_133499), SYNPO2L(NM_001114133), SYT16(NM_031914), SYT7(NM_001252065), TAS1R2(NM_152232), TBR1(NM_006593), TBX1(NM_080647), TBX15(NM_152380), TCTE1(NM_182539), TFAP2B(NM_003221), TFAP2E(NM_178548), TFCP2L1(NM_014553), THBS2(NM_003247), TIAM2(NM_001010927), TIMP2(NM_003255), TLX1(NM_001195517), TMCC2(NM_001242925), TMEM132C(NM_001136103), TMEM51(NM_001136217), TNFSF9(NM_003811), TNNT3(NM_006757), TNXB(NM_019105), TPO(NM_001206744), TPSD1(NM_012217), TPTE2P1(NR_026730), TRERF1(NM_001297573), TRIM2(NM_001130067), TRIM50(NM_178125), TRPM5(NM_014555), TSNARE1(NM_145003), TSPAN10(NM_031945), TTBK1(NM_032538), TTLL10(NM_001130045), UHRF1(NM_013282), UNC13A(NM_001080421), UNC5A(NM_133369), USP2(NM_004205), VANGL2(NM_020335), VAX2(NM_012476), VWA2(NM_001272046), VWA5B1(NM_001039500), WNK2(NM_001282394), WNT11(NM_004626), WNT3A(NM_033131), WNT7A(NM_004625), WNT7B(NM_058238), WNT9A(NM_003395), WSCD1(NM_015253), XKR6(NM_173683), XKR7(NM_001011718), YPEL4(NM_145008), ZBTB46(NM_025224), ZC3H3(NM_015117), ZFAT(NM_001289394), ZFP92(NM_001136273), ZFR2(NM_015174), ZFYVE28(NM_020972), ZIC1(NM_003412), ZIC2(NM_007129), ZNF148(NM_021964), ZNF274(NM_016324), ZNF366(NM_152625), ZNF423(NM_001271620), ZNF469(NM_001127464), ZNF521(NM_015461), ZNF827(NM_178835), ZNF853(NM_017560), ZSCAN1(NM_182572) 및 ZSCAN18(NM_0011455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의 과메틸화는 E2A, HOXA9, MyoG, Ap4, Myf5, Hoxc9, Ascl1, GATA, IR4, Ptf1a, Pax7, HNF7 및 Atoh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사조절인자에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의 저메틸화는 HIF-1b, c-Myc, HIF-1a, Ptf1a, SCL, n-Myc, HOXA9, HIF2a, CLOCK, BMAL1, USF1, Phox2a, NPAS2, Bcl6, Max 및 P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사조절인자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상 샘플은 간암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 유래의 조직, 세포, 혈액, 혈장, 대변 또는 소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메틸화 측정은 PCR, 메틸화 특이 PCR(methylation specific PCR), 실시간 메틸화 특이 PCR(real time methylation specific PCR), 메틸화 DNA 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이용한 PCR, 정량 PCR, DNA 칩, 파이로시퀀싱 또는 바이설파이트 시퀀싱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르면,
간암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으로부터의 DNA에서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의 DNA 메틸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제1구현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구조 내의 CpG 섬의 DNA 메틸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물질은 상기 메틸화된 CpG섬을 포함하는 단편을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쌍, 상기 메틸화된 CpG섬과 혼성화할 수 있는 프로브, 상기 메틸화된 CpG섬과 결합할 수 있는 메틸화 특이적 결합 단백질, 메틸화 특이적 결합 항체, 시퀀싱, 시퀀싱 바이 신세시스 또는 시퀀싱 바이 라이게이션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구조 내의 CpG 섬의 DNA 메틸화 수준은 PCR, 메틸화 특이 PCR(methylation specific PCR), 실시간 메틸화 특이 PCR(real time methylation specific PCR), 메틸화 DNA 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이용한 PCR, 정량 PCR, DNA 칩, 파이로시퀀싱 또는 바이설파이트 시퀀싱으로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르면,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을 포함하는 단편을 증폭하기 위한 PCR 프라이머쌍, 및 상기 프라이머쌍에 의하여 증폭된 PCR 산물을 시퀀싱하기 위한 시퀀싱 프라이머를 함유하는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키트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제1구현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키트에 있어서, 상기 PCR 프라이머쌍 및 시퀀싱 프라이머는 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의 CpG 섬을 포함하는 단편에서 비메틸화된 시토신을 우라실로 변형시키는 시약을 처리하여 변형시킨 후 메틸화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쌍 및 시퀀싱 프라이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르면,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을 포함하는 단편과 엄격한 조건하에서 하이브리다이제이션할 수 있는 프로브가 고정되어 있는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핵산 칩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측 또는 진단용 핵산 칩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제1구현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간암 발생 과정에서 주요하게 작용하는 후성유전학적 변이 유전자를 탐색하여 세포 변이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간암의 진단 마커 및 치료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간암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DNA 메틸화 변이 지역 선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1A. TCGA 데이터 베이스의 Infinium DNA methylation 450k array와 RNA-sequencing결과 분석을 통한 간암 발생 과정에서의 DNA 메틸화 변이 지역 선정 과정; 도 1B. DNA 메틸화 변화가 일어난 63996 CpG의 위치에 따른 연관 유전자 발현과의 상관관계 (Pearson correlation) Density plot).
도 2는 실시예 2에 따른 환자별 DNA 메틸화 변이 양상을 나타낸다 Group A (Red), DNA 메틸화 경향성만 나타남; Group B (Green), DNA 메틸화 증가와 감소 경향이 함께 나타남; Group C (Gray), DNA 메틸화 변이가 크지 않음).
도 3은 실시예 3에 따른 DNA 메틸화 변이를 일으킨 CpG를 포함한 유전자군의 Gene ontology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3에 따른 DNA 메틸화 변이를 일으킨 CpG를 포함한 유전자군의 KEGG signaling pathway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4에 따른 환자별 후성유전적 변이 그룹화에 따른 유전적 변이와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도 5A. 염기서열 변이 종류(C>A, T>A, C>G, T>G, C>T, T>C) 및 수에 다른 환자별 그룹화. 염기 서열 변이 그룹화에 따른 환자별 DNA 메틸화 변이 그룹 구성표; 도 5B. DNA 메틸화 변이 그룹에 따른 환자별 주요 염기 서열 변이 유전자의 변이 여부).
도 6은 실시예 5에 따른 DNA 메틸화 변이 그룹에 따른 인구학적 및 병인적 요소 연관성 검증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6에 따른 DNA 메틸화 변이를 유도할 것으로 예측되는 전사조절 인자 추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하기 실시 예는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간암 발생 과정에서의 주요 DNA 메틸화 변이 지역 선정
간암 발생 과정에서 DNA 메틸화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TCGA 데이터 베이스상의 379명 환자의 Infinium 450K array결과를 분석하고, DNA 메틸화 변화가 정상 간세포(50명)에 비해서 간암세포(379명)에서 30%이상의 변화가 30%이상의 환자에서 관찰되는 CpG를 유전자의 프로모터 지역(Transcription start site +- 1kb (promoter region), Transcription start site +- 1kb에서 1bp이상 겹치는 CpG Island (프로모터 CGI) 전체 구간)과 유전자 구조 내 CGI에서 선별하였다(도 1A). 총 63996개의 CpG가 선별되었으며, 유전자 구조별 분포를 살펴보면 유전자의 프로모터 지역에서 가장 많은 34%의 CpG가 포함되어 있으며, CGI내에 위치한 CpG의 경우 유전자 구조 내 CGI에 37%, 프로모터 CGI에 36%가 분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된 유전자 구조 내 CpG의 DNA 메틸화 변화와 연관된 유전자 발현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전자 구조 내 CGI (붉은색), 프로모터 지역 (녹색), 좁은 프로모터 지역(Transcription start site +- 200b, 회색), 프로모터 CGI (파란색)을 각기 연관된 유전자 발현 변화와의 pearson correlation 값의 분포를 density plot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전자 구조 내 CGI에 속해 있는 CpG의 DNA 메틸화 변화는 유전자 발현 변화 양과의 pearson correlation이 양의 값(positive correlation)으로 분포되었으나, 프로모터 지역의 DNA 메틸화 변화는 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B).
선행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CpG의 메틸화 변화와 유전자 발현의 상관관계가 프로모터 지역에서는 음의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 < -0.1)를 가지는 CpG, 유전자 구조 내 CGI에서는 양의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 > 0.1)를 가지는 CpG를 선별하여 간암 발생 과정에서의 주요한 후성유전학적 변이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프로모터 지역에서는 3202개의 CpG가 1696개의 유전자에서, 유전자 구조 내 CGI에서는 1782개의 CpG가 556개의 유전자에서 선별되었다. 상기 유전자 구조 내 CGI에서의 DNA 메틸화 변이 지역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 계속)
Figure pat00002
(표 1 계속)
Figure pat00003
(표 1 계속)
Figure pat00004
(표 1 계속)
Figure pat00005
(표 1 계속)
Figure pat00006
(표 1 계속)
Figure pat00007
(표 1 계속)
Figure pat00008
(표 1 계속)
Figure pat00009
(표 1 계속)
Figure pat00010
(표 1 계속)
Figure pat00011
(표 1 계속)
Figure pat00012
(표 1 계속)
Figure pat00013
(표 1 계속)
Figure pat00014
실시예 2. 환자별 DNA 메틸화 변이 양상 관찰
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서 환자별 DNA 메틸화 증가와 감소에 따른 그룹화한 결과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누어 지는 것을 관찰하였다(도 2). DNA 메틸화의 증가한 CGI만 관찰되는 환자(그룹A, 132명), DNA 메틸화의 증가 및 감소한 CGI가 모두 관찰되는 환자(그룹B, 247명), 및 DNA 메틸화 변화가 없는 환자(그룹C, 18명)로 그룹화되었다. CGI의 DNA메틸화가 증가하는 경우는 대부분의 환자들(95%)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지만, DNA 메틸화가 감소하는 경우는 일부(65%)에서만 관찰되었다. 이로써, 간암 발생 과정에서 환자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후성유전학적 변이가 일어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유전자 구조 내 CGI DNA 메틸화 변화에 의해 조절 되는 유전자군의 간암 발생과정에서의 역할 규명
Gene ontology를 통해 DNA 메틸화 변이가 일어난 CpG를 포함한 유전자들의 기능 살펴본 결과, DNA 메틸화가 프로모터 지역에서 변화한 CpG를 포함한 유전자들과 다른 기능을 가진 유전자들이 유전자 구조 내 CGI의 CpG에 메틸화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유전자 구조 내 CGI 메틸화가 증가한 유전자들은 Homeobox, T-box 등의 세포 분화 조절 전사 인자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메틸화가 감소한 유전자들은 ionic channel 및 extracellular matrix를 구성하는 구조 단백질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세포 특이적 형태 형성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인자들이 유전자 구조 내 CGI의 메틸화 변이에 의해서 간암 발생 과정에서 이상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 구조 내 CGI의 DNA 메틸화 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들의 signaling pathway를 살펴본 결과, Hedgehog 및 WNT signaling pathway는 DNA 메틸화가 증가 및 감소한 유전자에서 동일하게 집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WNT 및 Hedgehog, MAPK pathway는 간암 발생 과정에서 주요하게 조절 되는 pathway로써 이에 포함된 구성 인자의 이상 조절이 유전자 구조 내 CGI의 DNA 메틸화 변화로 인해 유도됨이 규명되었다.
WNT signaling pathway의 경우 differentiation, polarity, migration, invasion, survival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졌으며 β-catenin dependent한 canonical pathway와 independent한 non-canonical pathway로 나누어진다. Canonical pathway의 activation은 최종적으로 β-catenin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대표적인 발암 유전자인 MYC, CYCLIND1, AXIN2등의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Canonical WNT pathway의 대표적인 구성요소인 WNT3 유전자의 유전자 구조 내 CGI 메틸화 증가에 따른 발현 증가는 간암 발생 과정에서 세포 변이를 유도할 수 있는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반면 Non-canonical WNT signaling pathway의 구성요소인 WNT7, ROR, NFATC1등의 유전자는 일부 환자 그룹 (65%)에서 유전자 구조 내 CGI DNA 메틸화 감소에 의해 발현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Non-canonical WNT signaling pathway는 canonical WNT signaling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non-canonical pathway 구성 요소의 DNA 메틸화 감소는 canonical signaling을 더욱 활성화 시켜 암 발생을 촉진시키는 측면이 있다. 또한 Calcium, potassium channel 및 ECM(Extracellular matrix)를 구성하는 collagen, lamin, protocadherin등의 발현 변화도 간세포의 poorer prognosis 및 differentiation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유전자 구조 내 CGI메틸화 변화를 통해서 기존에 밝혀지지 않았던 발암 과정에서의 주요 인자들의 후성유전학적 변이의 역할이 규명되었다. 또한 후성유전학적 변이 양상에 따라 환자별 간세포의 기능 및 형태 조절에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택적 약물 치료 과정의 필요성과 분류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4. 환자별 후성유전적 변이 그룹화에 따른 유전적 변이와의 연관성 규명
후성유전적 변이와 더불어 주요 조절 인자들, 예를 들면 Toxin에의 노출, DNA 메틸화, 알코올 및 담배 사용, 인종 등이 암세포로의 변화를 유도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한 염기서열 변이 6종 (C>A, T>A, C>G, T>G, C>T, T>C)를 이용하여 환자별 유전적 변이 양상을 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 그룹화 하였다(도 4A). 변이 6종의 분포 양상 및 수에 따라 크게 7개의 환자군으로 나누어 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진 DNA 메틸화 변이 양상을 비교하였다. 특이적으로 5번 그룹 7번 그룹이 그룹 B에 해당하는 DNA 메틸화 변이 양상으로 치우쳐서 발생하였으며, 6번 그룹의 경우 그룹 A에 해당하는 DNA 메틸화 변이 양상으로 치우쳐서 발생하였다. 이로써, 유전적 변이와 DNA 메틸화 변이가 독립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서로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간암 발생 과정에서 주요하게 유전적 변이를 일으킨 11개의 유전자(q-value<0.01, TP53, CTNNB1, ALB, RB1, BAP1, ARID1A, AXIN1, HNF1A, PTEN, IL6ST, CDKN1A)의 변이 여부를 환자별로 조사하였다. 환자별 유전자 변이 발생 빈도를 후성유전적 변이에 따른 환자 그룹별로 비교해 보면, 그룹A과 그룹B의 환자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유전자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도4B). WNT signaling pathway의 전사 조절 인자인 CTNNB1의 경우 그룹A에 비해 그룹 B에서 3배 (12.9% vs. 38.6%)에 가까이 빈도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RB1 (17.7% vs. 9.4%)과 BAP1 (14.5% vs. 5.5%)의 경우 그룹A에서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CTNNB1의 유전자 변이 발생 빈도는 다른 유전자 변이 발생과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BAP1 (p-value 0.03), AXIN1 (p-value 0.058), RB1 (p-value 0.074), HNF1A (p-value 0.081) 와는 상호 배타적으로 발생하며 ALB1 (p-value 00.003)과는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유전적 변이의 발생 연관성과 함께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후성유전적 변이 양상과 유전적 변이 양상의 연관성을 새로이 밝혀냄으로써, 환자별 간암 발생 기작의 통합적인 변이 지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환자별 유전적 변이와 후성유전적 변이 양상을 관찰하여 환자 특이적 간암 치료제 선택에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5. 환자별 후성유전적 변이 그룹화에 따른 인구학적 및 병인적 요소 연관성 규명
DNA 메틸화 변이 양상을 환자 그룹별 인종, 성별, 나이, 바이러스 요인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그 결과, Group B의 DNA 메틸화 변이 양상을 가지는 환자그룹의 경우 고령(60세 이상)의 백인 남성이면서 HCV (Hepatitis C virus)에 의해 간암이 유도되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DNA 메틸화 변이를 유도할 것으로 예측되는 전사조절 인자 확인
간암 세포에서의 DNA 메틸화 변이가 전사조절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DNA 메틸화 변이가 일어나는 지역에서의 전사 조절 인자 결합 서열 집적도를 관찰하였다. DNA 메틸화 변이가 일어난 프로모터 지역과 유전자 구조 내 CGI에 위치한 CpG를 구분하여 +-10bp 지역에 집적된 전사 조절 인자를 Homer program을 이용해서 추출하였다(도 6). 그 결과, CpG의 위치와 메틸화 증가 감소에 따른 각기 다른 전사 조절 인자들이 집적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간암 세포에서 이러한 전사 조절 인자들의 이상 발현 및 활성 조절이 DNA 메틸화의 변화를 유도하였을 가능성이 크므로, 이를 타겟으로 하는 시약이 간암 치료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A) 임상 샘플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된 DNA에서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Intragenic CGI)의 DNA 메틸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된 유전자 구조 내 CGI의 DNA 메틸화 수준을 표준 유전자 구조 내 CGI의 DNA 메틸화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는 TP53, CTNNB1, ALB, RB1, BAP1, ARID1A, AXIN1, HNF1A, PTEN, IL6ST 및 CDKN1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AATK(NM_001080395), ABCA3(NM_001089), ABHD8(NM_024527), ABR(NM_001159746), ABR(NM_001092), ACHE(NM_001282449), ACTL8(NM_030812), ADAMTS15(NM_139055), ADAMTS17(NM_139057), ADAMTS2(NM_014244), ADAMTS7(NM_014272), ADAMTSL2(NM_001145320), ADAP1(NM_001284309), ADARB2(NM_018702), ADD2(NM_001185055), ADRA1B(NM_000679), AFAP1(NM_001134647), AGRN(NM_198576), AHRR(NM_001242412), AICDA(NM_020661), AJAP1(NM_018836), AMN(NM_030943), ANKRD29(NM_173505), ANO8(NM_020959), ANO9(NM_001012302), APBA2(NM_005503), APC2(NM_005883), APCDD1(NM_153000), APCDD1L(NM_153360), APLP1(NM_005166), ARHGAP22(NM_001256025), ARHGAP23(NM_001199417), ARHGAP39(NM_025251), ARHGEF1(NM_199002), ARHGEF10(NM_014629), ARMC9(NM_001271466), ARSI(NM_001012301), ASB18(NM_212556), ASPG(NM_001080464), ASPHD2(NM_020437), ATP10A(NM_024490), ATP2A3(NM_005173), ATP2B4(NM_001001396), ATP8A2(NM_016529), B3GAT1(NM_054025), B4GALNT4(NM_178537), BAI1(NM_001702), BARX2(NM_003658), BCAN(NM_198427), BCL11B(NM_138576), BIN1(NM_139346), BMP2(NM_001200), BMPER(NM_133468), BRSK1(NM_032430), BRSK2(NM_003957), C10orf71(NM_001135196), C14orf180(NM_001286399), C19orf35(NM_198532), C1QC(NM_172369), C1QL4(NM_001008223), C1QTNF1(NM_030968), C2orf54(NM_001282921), C4orf22(NM_001206997), CACNA1A(NM_001127222), CACNA1B(NM_001243812), CACNA1C(NM_001167625), CACNA1E(NM_000721), CACNA1G(NM_198380), CACNA1H(NM_021098), CACNA1I(NM_021096), CACNG8(NM_031895), CAMK2B(NM_001220), CAMKK1(NM_172206), CAPN10(NM_023083), CAPN2(NM_001146068), CARD11(NM_032415), CASR(NM_001178065), CBFA2T3(NM_005187), CCDC102A(NM_033212), CCDC114(NM_144577), CCDC42B(NM_001144872), CCDC64B(NM_001103175), CCDC74B(NM_001258307), CDH11(NM_001797), CDH15(NM_004933), CDH22(NM_021248), CDH4(NM_001794), CDH4(NM_001252339), CDH5(NM_001795), CDHR3(NM_152750), CDK18(NM_212502), CDR2L(NM_014603), CELF4(NM_001025089), CELSR1(NM_014246), CELSR3(NM_001407), CHD5(NM_015557), CHRFAM7A(NM_148911), CHRNA3(NR_046313), CHRNA7(NR_046324), CHRNB2(NM_000748), CHST8(NM_001127896), CILP2(NM_153221), CLCA4(NM_012128), CLCN1(NR_046453), CNGA4(NM_001037329), CNPY1(NM_001103176), CNTN2(NM_005076), CNTNAP1(NM_003632), COL15A1(NM_001855), COL20A1(NM_020882), COL22A1(NM_152888), COL23A1(NM_173465), COL4A1(NM_001845), COL4A2(NM_001846), COL5A1(NM_000093), COL6A1(NM_001848), COL6A3(NM_004369), COL6A4P2(NR_027898), COMP(NM_000095), COX6B2(NM_144613), CPAMD8(NM_015692), CPLX1(NM_006651), CPXM2(NM_198148), CRB2(NM_173689), CTBP2(NM_022802), CYP2A13(NM_000766), CYP2W1(NM_017781), CYP4F22(NM_173483), CYTH2(NM_004228), DAB2IP(NM_032552), DACH1(NM_004392), DACT1(NR_046095), DAZAP1(NM_018959), DBN1(NM_080881), DENND3(NM_014957), DGKG(NM_001346), DHRS7C(NM_001105571), DLEU1(NR_109974), DLGAP1(NM_001242763), DLGAP2(NM_004745), DLL1(NM_005618), DLX1(NM_001038493), DLX5(NM_005221), DMBT1(NM_007329), DMRTA2(NM_032110), DNAH10(NM_207437), DNAH2(NM_020877), DNMT3A(NM_022552), DOK6(NM_152721), DPP6(NM_001936), DPYSL4(NM_006426), DSCAML1(NM_020693), DUOX2(NM_014080), DUSP4(NM_001394), EBF1(NM_024007), EBF3(NM_001005463), EBF4(NM_001110514), EEF1A2(NM_001958), ELANE(NM_001972), EML2(NM_001193269), EMX1(NM_004097), EN1(NM_001426), EN2(NM_001427), ENTPD8(NM_001033113), EPHA10(NM_173641), EPHA10(NM_001099439), EPHA8(NM_020526), EPHB2(NM_017449), EPHB3(NM_004443), EPS8L1(NM_017729), ESRRB(NM_004452), ESYT3(NM_031913), EVC2(NM_001166136), EVX1(NM_001989), F12(NM_000505), FAM101B(NM_182705), FAM171A2(NM_198475), FAM184B(NM_015688), FAM19A5(NM_001082967), FAM47A(NM_203408), FAM78A(NM_033387), FAM83F(NM_138435), FAM89B(NM_152832), FAM90A1(NM_018088), FAT3(NM_001008781), FBLN2(NM_001004019), FGF23(NM_020638), FHDC1(NM_033393), FHOD3(NM_001281740), FIBCD1(NM_032843), FLI1(NM_002017), FLNC(NM_001458), FLT4(NM_182925), FNDC1(NM_032532), FRAS1(NM_025074), FSCN2(NM_012418), GABRA5(NM_001165037), GABRB3(NM_001278631), GABRD(NM_000815), GALNT9(NM_021808), GALNT9(NM_001122636), GALR3(NM_003614), GATA5(NM_080473), GDF2(NM_016204), GFPT2(NM_005110), GFRA2(NM_001165039), GFRA4(NM_022139), GLB1L2(NM_138342), GLI2(NM_005270), GLI3(NM_000168), GMDS(NM_001253846), GNAL(NM_001142339), GNG7(NM_052847), GP6(NM_016363), GPR123(NM_001291085), GPR123(NM_001083909), GPSM1(NM_001145638), GRASP(NM_181711), GRID1(NM_017551), GRID2IP(NM_001145118), GRIK5(NM_002088), GRIN1(NM_000832), GRIN2C(NM_000835), GRIN2D(NM_000836), GRIN3B(NM_138690), GRM4(NM_001256813), GRM6(NM_000843), HAPLN3(NM_178232), HAPLN4(NM_023002), HAS1(NM_001523), HECW1(NM_001287059), HHIPL1(NM_032425), HK3(NM_002115), HLA-DOA(NM_002119), HLA-DQB2(NM_001198858), HOXA3(NM_153631), HOXA7(NM_006896), HOXB13(NM_006361), HOXC4(NM_014620), HOXC6(NM_153693), HOXD3(NM_006898), HPCAL4(NM_001282397), HRNR(NM_001009931), HS3ST2(NM_006043), HTRA3(NM_053044), IDUA(NM_000203), IFT140(NM_014714), IGF1R(NM_000875), IGFN1(NM_001164586), IGLON5(NM_001101372), IGSF21(NM_032880), IGSF9B(NM_001277285), IL17D(NM_138284), IL17RD(NM_017563), IL17REL(NM_001001694), ILDR2(NM_199351), IQSEC2(NM_015075), IQSEC3(NM_001170738), ISL2(NM_145805), ITGAM(NM_001145808), ITGAX(NM_001286375), ITGB4(NM_000213), ITIH5(NM_001001851), ITPKB(NM_002221), ITPR3(NM_002224), JAKMIP1(NM_144720), JAKMIP3(NM_001105521), JPH1(NM_020647), KCNAB2(NM_001199860), KCNC4(NR_036437), KCND2(NM_012281), KCNF1(NM_002236), KCNG1(NM_002237), KCNH2(NM_001204798), KCNK15(NM_022358), KCNN3(NM_170782), KCNQ1(NM_000218), KCNQ2(NM_172108), KCNQ3(NM_004519), KCNQ4(NM_172163), KCNS1(NM_002251), KCNT1(NM_020822), KHDC1(NM_001251874), KIAA1211(NM_020722), KIF26A(NM_015656), KIF26B(NM_018012), KIF5C(NM_004522), KLC3(NM_177417), KNDC1(NM_152643), KRT28(NM_181535), LAMA1(NM_005559), LAMC3(NM_006059), LEFTY1(NM_020997), LHX8(NM_001256114), LINGO1(NM_001301200), LINGO3(NM_001101391), LMTK3(NM_001080434), LMX1A(NM_001174069), LOC154449(NR_002787), LRFN2(NM_020737), LRRC4B(NM_001080457), LSP1(NM_002339), LTBP2(NM_000428), LTBP4(NM_003573), LY9(NM_001033667), LYPD3(NM_014400), LZTS1(NM_021020), MAN2B1(NM_000528), MAPK15(NM_139021), MAST1(NM_014975), MAST3(NM_015016), MATN4(NM_030592), MBP(NM_001025100), MDFI(NM_005586), MDGA1(NM_153487), MEGF6(NM_001409), MEIS3(NM_020160), METRNL(NM_001004431), MGAT5B(NM_001199172), MMEL1(NM_033467), MMP17(NM_016155), MMP9(NM_004994), MNX1(NM_001165255), MORN1(NM_024848), MPO(NM_000250), MRC2(NM_006039), MRPL23(NM_021134), MSX1(NM_002448), MTUS2(NM_015233), MTUS2(NM_001033602), MUC2(NM_002457), MUC5B(NM_002458), MUC6(NM_005961), MXRA5(NM_015419), MYBPC2(NM_004533), MYO10(NM_012334), MYO1D(NM_015194), MYOM2(NM_003970), MYT1(NM_004535), MYT1L(NM_015025), NCCRP1(NM_001001414), NCOR2(NM_006312), NFATC1(NM_006162), NLGN4X(NM_001282146), NLRC3(NR_075083), NLRP2(NM_001174081), NOTCH3(NM_000435), NOVA2(NM_002516), NPHP4(NR_111987), NPHS1(NM_004646), NPTX1(NM_002522), NR2E1(NM_001286102), NR2E3(NM_014249), NRP2(NM_201279), NRXN2(NM_138734), NRXN2(NM_015080), NRXN3(NM_138970), NTM(NM_001048209), NTN1(NM_004822), NTNG2(NM_032536), NTRK1(NM_001007792), NWD1(NM_001007525), NXN(NM_022463), NXN(NM_001205319), OBSCN(NM_052843), OBSCN(NM_001098623), OBSL1(NM_015311), OCA2(NM_000275), OLFM1(NM_001282611), OR8S1(NM_001005203), OSBPL5(NM_001144063), OSR1(NM_145260), OSR2(NM_001142462), OTP(NM_032109), OTX1(NM_014562), PAX8(NM_003466), PAX9(NM_006194), PBX1(NM_001204963), PCBP3(NM_001130141), PCDHA11(NM_031861), PCDHB19P(NR_001282), PCDHGA1(NM_031993), PCDHGA11(NM_032091), PCDHGB2(NM_032096), PCDHGB7(NM_032101), PDCD1(NM_005018), PDE10A(NM_001130690), PDE3A(NM_000921), PDE6B(NM_001145292), PDX1(NM_000209), PDZD4(NM_032512), PDZRN4(NM_013377), PFKP(NM_002627), PGPEP1L(NM_001102612), PHACTR1(NM_001242648), PHLDB3(NM_198850), PIF1(NM_001286497), PIK3CD(NM_005026), PIK3CG(NM_002649), PIP5K1C(NM_001195733), PITX1(NM_002653), PKLR(NM_000298), PLCH2(NM_014638), PLEKHG4B(NM_052909), PLVAP(NM_031310), PMEPA1(NM_199171), POLRMT(NM_005035), PPFIA3(NR_103842), PPP1R16B(NM_001172735), PPP2R2C(NM_001206996), PRDM16(NM_199454), PRELP(NM_201348), PREX1(NM_020820), PRKAR1B(NM_001164758), PRKCG(NM_002739), PRKCZ(NM_002744), PROKR1(NM_138964), PROKR2(NM_144773), PRRT1(NM_030651), PRSS22(NM_022119), PRTN3(NM_002777), PTCHD2(NM_020780), PTH1R(NM_001184744), PTP4A3(NM_032611), PTPN14(NM_005401), PTPRN2(NM_130843), PTPRS(NM_002850), PXDN(NM_012293), RAB40C(NM_021168), RADIL(NM_018059), RASA3(NM_007368), RASAL1(NM_001193520), RASD2(NM_014310), RASGEF1C(NM_175062), RGS20(NM_170587), RHCG(NR_110261), RHPN1(NM_052924), RIMBP2(NM_015347), RNF212(NM_001193318), RNF39(NM_025236), ROBO1(NM_002941), ROR2(NM_004560), RPS6KA2(NM_021135), RTN4RL1(NM_178568), RUNX3(NM_001031680), RYR1(NM_001042723), SBK2(NM_001101401), SCARA5(NM_173833), SCARF1(NM_003693), SCARF2(NM_153334), SDK1(NM_152744), SDK1(NM_001079653), SDK2(NM_001144952), SECTM1(NM_003004), SEMA3B(NM_004636), SEMA6C(NM_030913), SFMBT2(NM_001029880), SFTA3(NM_001101341), SH2B2(NM_020979), SH2D3A(NM_005490), SHANK1(NM_016148), SHISA6(NM_001173462), SIM1(NM_005068), SIM2(NM_009586), SIPA1(NM_006747), SIX2(NM_016932), SLC17A7(NM_020309), SLC22A17(NM_001289050), SLC29A4(NM_001040661), SLC34A2(NM_006424), SLC35F3(NM_173508), SLC45A1(NM_001080397), SLC45A4(NM_001080431), SLC4A11(NM_032034), SLC6A19(NM_001003841), SLC8A2(NM_015063), SLC9A3(NM_004174), SLCO4A1(NM_016354), SLIT1(NM_003061), SMOC2(NM_001166412), SMTNL2(NM_198501), SNPH(NM_014723), SNTG2(NM_018968), SORCS2(NM_020777), SOX11(NM_003108), SOX8(NM_014587), SPEG(NM_005876), SPIB(NM_003121), SRF(NM_003131), SRRM4(NM_194286), SSC5D(NM_001195267), ST6GAL2(NM_001142352), STARD8(NM_001142503), STK32C(NM_173575), STRA8(NM_182489), SUSD2(NM_019601), SV2B(NM_001167580), SYN1(NM_133499), SYNPO2L(NM_001114133), SYT16(NM_031914), SYT7(NM_001252065), TAS1R2(NM_152232), TBR1(NM_006593), TBX1(NM_080647), TBX15(NM_152380), TCTE1(NM_182539), TFAP2B(NM_003221), TFAP2E(NM_178548), TFCP2L1(NM_014553), THBS2(NM_003247), TIAM2(NM_001010927), TIMP2(NM_003255), TLX1(NM_001195517), TMCC2(NM_001242925), TMEM132C(NM_001136103), TMEM51(NM_001136217), TNFSF9(NM_003811), TNNT3(NM_006757), TNXB(NM_019105), TPO(NM_001206744), TPSD1(NM_012217), TPTE2P1(NR_026730), TRERF1(NM_001297573), TRIM2(NM_001130067), TRIM50(NM_178125), TRPM5(NM_014555), TSNARE1(NM_145003), TSPAN10(NM_031945), TTBK1(NM_032538), TTLL10(NM_001130045), UHRF1(NM_013282), UNC13A(NM_001080421), UNC5A(NM_133369), USP2(NM_004205), VANGL2(NM_020335), VAX2(NM_012476), VWA2(NM_001272046), VWA5B1(NM_001039500), WNK2(NM_001282394), WNT11(NM_004626), WNT3A(NM_033131), WNT7A(NM_004625), WNT7B(NM_058238), WNT9A(NM_003395), WSCD1(NM_015253), XKR6(NM_173683), XKR7(NM_001011718), YPEL4(NM_145008), ZBTB46(NM_025224), ZC3H3(NM_015117), ZFAT(NM_001289394), ZFP92(NM_001136273), ZFR2(NM_015174), ZFYVE28(NM_020972), ZIC1(NM_003412), ZIC2(NM_007129), ZNF148(NM_021964), ZNF274(NM_016324), ZNF366(NM_152625), ZNF423(NM_001271620), ZNF469(NM_001127464), ZNF521(NM_015461), ZNF827(NM_178835), ZNF853(NM_017560), ZSCAN1(NM_182572) 및 ZSCAN18(NM_0011455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유전자인 것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의 과메틸화는 E2A, HOXA9, MyoG, Ap4, Myf5, Hoxc9, Ascl1, GATA, IR4, Ptf1a, Pax7, HNF7 및 Atoh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사조절인자에 의해 유도되는 것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의 저메틸화는 HIF-1b, c-Myc, HIF-1a, Ptf1a, SCL, n-Myc, HOXA9, HIF2a, CLOCK, BMAL1, USF1, Phox2a, NPAS2, Bcl6, Max 및 P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사조절인자에 의해 유도되는 것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샘플은 간암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 유래의 조직, 세포, 혈액, 혈장, 대변 또는 소변인 것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메틸화 측정은 PCR, 메틸화 특이 PCR(methylation specific PCR), 실시간 메틸화 특이 PCR(real time methylation specific PCR), 메틸화 DNA 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이용한 PCR, 정량 PCR, DNA 칩, 파이로시퀀싱 또는 바이설파이트 시퀀싱으로 수행되는 것인,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KR1020150179742A 2015-12-16 2015-12-16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KR20170071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742A KR20170071724A (ko) 2015-12-16 2015-12-16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742A KR20170071724A (ko) 2015-12-16 2015-12-16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724A true KR20170071724A (ko) 2017-06-26

Family

ID=5928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742A KR20170071724A (ko) 2015-12-16 2015-12-16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724A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21A3 (ko) * 2017-11-22 2019-07-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의 cpg 메틸화 변화를 이용한 간암의 예후 또는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
KR20190141340A (ko) * 2018-06-14 2019-12-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암 특이적 바이오 마커
KR102103885B1 (ko) * 2019-10-08 2020-04-24 주식회사 레피다인 생물학적 시료의 간 조직 유래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KR20200060221A (ko) * 2018-11-21 2020-05-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et7 매개 uhrf1 메틸화를 통한 dna 손상 복구 조절 용도
CN111386352A (zh) * 2017-11-22 2020-07-07 乐彼代株式会社 利用基因的cpg甲基化变化评估肝癌的预后或者风险的方法
KR102155044B1 (ko) * 2019-10-08 2020-09-11 주식회사 레피다인 생물학적 시료의 간암 조직 기원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KR20210044159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젠큐릭스 특정 유전자의 CpG 메틸화 변화를 이용한 간암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61743A (ko) * 2019-11-20 2021-05-2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간질환의 진행 단계 판별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WO2021201657A1 (ko) * 2020-04-03 2021-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Epha10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2018127A1 (en) * 2020-07-21 2022-01-27 Epigenomics Ag Methods for detecting liver cancer
KR102395241B1 (ko) * 2020-11-30 2022-05-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caf 매개 uhrf1 아세틸화 조절을 통한 dna 메틸화 조절 용도
WO2022193097A1 (zh) * 2021-03-15 2022-09-22 杭州诺辉健康科技有限公司 用于肝癌早筛的核酸及蛋白检测靶标组合及其联合检测方法
KR102520996B1 (ko) * 2022-04-26 2023-04-12 주식회사 레피다인 간암 진단용 조성물
CN117165678A (zh) * 2023-04-10 2023-12-05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仁济医院 肝癌肝移植术后复发标志物及其应用
KR102610313B1 (ko) * 2023-01-27 2023-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unx3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간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4090805A1 (ko) * 2022-10-27 2024-05-02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폐암 진단용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조합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21A3 (ko) * 2017-11-22 2019-07-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의 cpg 메틸화 변화를 이용한 간암의 예후 또는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
EP3715474A4 (en) * 2017-11-22 2022-02-09 Lepidyne Co., Ltd. METHOD FOR PROGNOSTIC ASSESSMENT OR RISK STRATIFICATION OF LIVER CANCER USING CPG METHYLATION VARIATION IN A GENE
CN111386352A (zh) * 2017-11-22 2020-07-07 乐彼代株式会社 利用基因的cpg甲基化变化评估肝癌的预后或者风险的方法
EP4180540A1 (en) * 2017-11-22 2023-05-17 Lepidyne Co., Ltd. Method for assessing prognosis or risk stratification of liver cancer by using cpg methylation variation in gene
CN111386352B (zh) * 2017-11-22 2024-04-16 乐彼代株式会社 利用基因的cpg甲基化变化评估肝癌的预后或者风险的方法
KR20190141340A (ko) * 2018-06-14 2019-12-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암 특이적 바이오 마커
KR20200060221A (ko) * 2018-11-21 2020-05-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et7 매개 uhrf1 메틸화를 통한 dna 손상 복구 조절 용도
KR102103885B1 (ko) * 2019-10-08 2020-04-24 주식회사 레피다인 생물학적 시료의 간 조직 유래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WO2021071164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레피다인 생물학적 시료의 간 조직 유래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KR102155044B1 (ko) * 2019-10-08 2020-09-11 주식회사 레피다인 생물학적 시료의 간암 조직 기원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WO2021071163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레피다인 생물학적 시료의 간암 조직 기원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KR20210044159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젠큐릭스 특정 유전자의 CpG 메틸화 변화를 이용한 간암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22552400A (ja) * 2019-10-14 2022-12-15 ジェンキュリクス インク 特定の遺伝子のcpgメチル化変化を利用した肝癌診断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WO2021075797A3 (ko) * 2019-10-14 2021-06-10 주식회사 젠큐릭스 특정 유전자의 cpg 메틸화 변화를 이용한 간암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61743A (ko) * 2019-11-20 2021-05-2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간질환의 진행 단계 판별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WO2021201657A1 (ko) * 2020-04-03 2021-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Epha10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2018127A1 (en) * 2020-07-21 2022-01-27 Epigenomics Ag Methods for detecting liver cancer
KR102395241B1 (ko) * 2020-11-30 2022-05-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caf 매개 uhrf1 아세틸화 조절을 통한 dna 메틸화 조절 용도
WO2022194101A1 (zh) * 2021-03-15 2022-09-22 杭州诺辉健康科技有限公司 用于肝癌早筛的核酸及蛋白检测靶标组合及其联合检测方法
WO2022193097A1 (zh) * 2021-03-15 2022-09-22 杭州诺辉健康科技有限公司 用于肝癌早筛的核酸及蛋白检测靶标组合及其联合检测方法
KR102520996B1 (ko) * 2022-04-26 2023-04-12 주식회사 레피다인 간암 진단용 조성물
WO2023211004A1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레피다인 간암 진단용 조성물
WO2024090805A1 (ko) * 2022-10-27 2024-05-02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폐암 진단용 메틸화 마커 및 이의 조합
KR102610313B1 (ko) * 2023-01-27 2023-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unx3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간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7165678A (zh) * 2023-04-10 2023-12-05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仁济医院 肝癌肝移植术后复发标志物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1724A (ko) 간암 발생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 구조 내 cpg 섬의 dna 메틸화 변이를 이용한 간암의 예측 또는 진단 방법
Nakamura et al. RASSF1A and NORE1A methylation and BRAFV600E mutations in thyroid tumors
US11840739B2 (en) Gene composition for detecting cell proliferative abnormality or grading disease degree and use thereof
ES2859645T3 (es) Detección de neoplasia
US11352672B2 (en) Methods for diagnosis, prognosis and monitoring of breast cancer and reagents therefor
EP2474627B1 (en) New markers for cancer
US20210071262A1 (en) Method of detecting cancer through generalized loss of stability of epigenetic domains and compositions thereof
TW202011416A (zh) 判定癌症狀態之方法及系統
EP2867376B1 (en) Targeted rna-seq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BRPI0709397A2 (pt) propagação de células primárias
US2020023996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neoplasia
CN106834426B (zh) 用于检测胰腺癌的组合物及其用途
US20160186270A1 (en) Signature of cycling hypoxia and use thereof for the prognosis of cancer
BR112021009795A2 (pt) métodos de caracterização e para caracterizar uma amostra, kit e composição
WO2010118559A1 (zh) 一种癌症筛检的方法
WO201408206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gastric cancer
US20220177973A1 (en) Methylation modification-based tumor marker stamp-ep6
KR20230154433A (ko) 자궁경부암의 검출
JP2022526415A (ja) 血漿中の膵管腺癌の検出
Visnovsky et al. Hypermethylation of selected genes in endometrial carcinogenesis
JP2005515787A (ja) 転写因子遺伝子PAX5α、PAX5β、新規ループヘリックスループタンパク質、新規遺伝子2、およびベータ3遺伝子のプロモーターの異常メチル化による癌のモニタリング
Angulo et al. DNA methylation and urological cancer, a step towards personalized medicine: current and future prospects
JP2022535747A (ja) Dnaのメチル化を保存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Ayadi et al. Identification of a novel methylated gene in nasopharyngeal carcinoma: TTC40
US20240182983A1 (en) Cell-free dna methylation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