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304A -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304A
KR20170071304A KR1020150179498A KR20150179498A KR20170071304A KR 20170071304 A KR20170071304 A KR 20170071304A KR 1020150179498 A KR1020150179498 A KR 1020150179498A KR 20150179498 A KR20150179498 A KR 20150179498A KR 20170071304 A KR20170071304 A KR 2017007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canner
train
door
scree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241B1 (ko
Inventor
조봉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2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42Simultaneous measurement of distance and other co-ordinates
    • G01S13/426Scanning radar, e.g. 3D ra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7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relating to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전동차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캐너 센서 및 스캐너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전동차와 스크린 도어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스캐너 센서는 복수의 스크린 도어의 영역에 대해서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감지한다.

Description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PLATFORM SCREEN DOOR SYSTEM}
본 발명은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또는 철도의 역사 내에는 전동차 또는 철도 차량의 선로와 승강장을 격리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 도어 장치의 슬라이딩 도어는 평상시, 즉, 철도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때와 철도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할 때 또는 승강장을 출발한 후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만,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완전히 진입하여 정차한 후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개방된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작동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는 승강장에 있는 승객이 선로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철도 차량의 진입시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열차풍을 차단하는 기능(효과)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 도어 장치는 점차적으로 모든 지하철 역사 및 철도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52850호(발명의 명칭: 스크린 도어 장치)에서는, 일정 간격 떨어져 구비되는 고정 도어 및 고정 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에 있어서, 고정 도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기둥, 기둥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발광하는 다수개의 발광구를 가지는 발광부와, 기둥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발광구에서 나온 빛을 수광하는 수광구를 가지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감지센서, 및 한 쌍의 기둥에 구비되고, 발광구 및 수광구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스크린 도어 장치는 승강장 연단과 스크린 도어 사이의 간격이 넓은 개소에서 사각지대가 발생하며, 다수의 발광부 및 수광부 감지센서가 스크린 도어 프레임의 대면하는 수직면에 설치되어 대향하는 수광부 감지센서의 광각조절이 힘들고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 및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 도어와 전동차 사이에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전동차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캐너 센서 및 스캐너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전동차와 스크린 도어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스캐너 센서는 복수의 스크린 도어의 영역에 대해서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감지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캐너 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린 도어와 전동차 사이에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하나의 스캐너 센서를 이용하여 4개의 스크린 도어를 감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센서의 검지 영역을 확대하여, 인접한 스캐너 센서가 고장시 백업역할을 하여 가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가 부착된 전동차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가 부착된 스크린 도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의 고장 시 대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경보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가 부착된 전동차(10)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가 부착된 스크린 도어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의 고장 시 대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경보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센서(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복수의 스캐너 센서(100) 및 센서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스캐너 센서(100)는 전동차(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센서 제어부(110)는 스캐너 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전동차(10)와 스크린 도어(20)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판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너 센서(101)는 전동차(10)의 각 차량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캐너 센서(101)는 각 차량의 시그널 램프의 접속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시그널 램프는 차량 측면에 위치하여, 고장등, 출입문등 및 비상스위치등에 대한 표시를 나타내었으나, 스크린 도어(20)가 설치되면서 그 기능을 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시그널 램프의 접속부에 스캐너 센서(101)를 부착하여,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시그널 램프의 전원선 및 신호선을 그대로 사용하여 설치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캐너 센서(100)는 2차원 스캔을 주사함으로써 전동차(10) 출입문(11) 주변의 장애물 위치 및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캐너 센서(100)는 클러스터링(clustering) 로직을 구성하여, 물체 형상으로부터 장애물의 특징을 갖는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세그먼트에 대하여 오브젝트의 트랙킹을 실현하여 장애물 인식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센서(100)는 레이저스캔 센서, 영상감지센서 및 밀리파 레이더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캐너 센서(100)는 레이저 스캔 센서와 영상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저 스캔 센서를 이용하여 전동차(10)의 출입문(11)과 스크린 도어(20) 사이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물체가 감지될 경우 영상감지센서를 작동시켜 후술되는 기관사 현시장치(370)를 통해 기관사가 감지된 물체를 직접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 센서(100)는 정차역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사각(θ)으로 스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차역에 따라 전동차(10)와 스크린 도어(20) 사이의 간격이 상이하여, 스캐너 센서(100)의 출력이 스크린 도어(20)의 하단부까지 조사되도록 조사각(θ)을 설정하여, 스캐너 센서(100)에 의한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열차제어시스템(310)(TCMS: Train Controll Management System)에는 각각의 정차역에 따라 전동차(10)와 스크린 도어(20) 사이 간격에 대한 정보 또는 간격에 매칭되는 스캐너 센서(100)의 조사각(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제어부(110)는 열차제어시스템(310)으로부터 전동차(10)와 스크린 도어(20) 사이 간격 정보 또는 간격에 따른 조사각(θ) 정보를 전달받아, 스캐너 센서(100)를 미리 설정된 조사각(θ)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캐너 센서(100)는 다른 조사각(θ)으로 조사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열차제어시스템(310)은 각각의 전동차(10)의 출입문(11)과 스크린 도어(20) 사이 간격에 대한 정보 또는 각격에 매칭되는 스캐너 센서(100)의 조사각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제어부(110)는 열차제어시스템(310)으로부터 각각의 전동차(10)와 출입문(11)과 스크린 도어(20) 사이 간격 정보 또는 간격에 따른 조사각(θ) 정보를 전달받아, 각각의 스캐너 센서(100)를 미리 설정된 조사각(θ)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캐너 센서(102, 103)는 스크린 도어(20)의 상부 구조물 또는 스크린 도어(20)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캐너 센서(102, 103)는 4개의 스크린 도어(20)의 영역에 대해서 감지할 수 있으며, 4개의 스크린 도어(20)의 정가운데 비상문 위치에 설치하여 유지보수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너 센서(101)는 적어도 4개의 출입문(11)의 영역에 대해서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캐너 센서(100)는 직경 40m, 회전각 190도, 스캐닝주기 75Hz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스캐너 센서(100)를 이용하여, 2량의 차량을 검사할 수 있으나, 상황에 따라 검지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스캐너 센서(10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센서 제어부(110)의 명령에 따라 스캐너 센서(100)의 검지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스캐너 센서(1100, 2100, 3100) 중 하나의 스캐너 센서(2100)가 고장상태인 경우, 상기 고장상태인 스캐너 센서(2100)에 인접한 스캐너 센서(1100, 3100)는 상기 고장상태인 스캐너 센서(2100)의 검사영역을 담당하도록 검사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캐너 센서(1100)와 제3 스캐너 센서(310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스캐너 센서(2100)가 고장이 발생할 경우, 제1 스캐너 센서(1100) 및 제3 스캐너 센서(3100)의 검지영역을 2배로 확대하여 제2 스캐너 센서(2100)의 영역까지 검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전동차(10)의 운행을 종합 관제하는 지상관제센터(210), 지상관제센터(210)로부터 스크린 도어(2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PSD 주제어반(220), 및 지상관제센터(210)로부터 전동차(10)의 출입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열차제어시스템(310)(TCMS: Train Controll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전동차(10)가 승강장에 정차한 후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스크린 도어(20) 및 전동차(10)의 출입문(11)이 함께 개폐될 수 있도록 전동차(10)의 자동열차운행장치(320)(ATO: Automatic Train Operation )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동차(10)가 정위치에 정차를 완료한 후, 지상 관제센터(210)에서 전송한 출입문 제어 신호를 지상 루프 안테나(240)와 전동차(10)의 차상 루프 안테나(240)를 통해 수신하고, 출입문 제어 신호는 전동차(10)의 차상지상간통신장치(360)(TWC: Train to Wayside Communication), 자동열차운행장치(320), 및 자동열차제어장치(330)(ATC: Automatic Train Control)를 거쳐 열차제어시스템(310)에 전달되어 출입문(11) 열림을 제어한다. 동시에,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20)는 지상 관제센터(210)로부터 스크린 도어 제어 신호를 PSD 주제어반(220)에서 수신하여 스크린 도어 열림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20)와 전동차(10)의 출입문(11) 열림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시간차에 대한 오차 보정은 각 역의 PSD 주제어반(220)에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각각의 스크린 도어(2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PSD 개별 제어반(230)을 포함할 수 있다. PSD 개별 제어반(230)은 PSD 주제어반(220)으로부터 스크린 도어(20)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스크린 도어(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동차 닫힘 신호는 지상 관제센터(210)에서 지상 루프 안테나(240)와 전동차(10)의 차상 루프 안테나(340)를 통해, 전동차(10)의 차상지상간통신장치(360)와 자동열차운행장치(320)를 거쳐 열차제어시스템(310)에 전달되어, 출입문(11) 닫힘을 제어한다.
이때, 전동차(10)의 출입문(11)과 스크린 도어(20) 사이에 물체가 감지될 경우, 출입문(11) 및 스크린 도어(20)를 다시 열고 닫는 동작이 필요하게 되며, 차상 승무원이 자동열차운행장치(320)와 관계없이 수동으로 출입문(11)을 재개폐하여, 지상 관제센터(210)에서는 재개폐 처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열차제어시스템(310)과 연결되어, 전동차(10)의 출입문(11)의 개폐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PSD 차상 무선 장치(350) 및 PSD 차상 무선 장치(350)로부터 송신된 출입문(11) 개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개폐정보를 상기 PSD 주제어반(220)로 송신하는 PSD 지상 무선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동차(10)의 출입문(11)과 스크린 도어(20) 사이에 물체가 감지될 경우, 스캐너 센서(100)에서 감지 신호를 열차제어시스템(310)으로 전송하고, 열차제어시스템(310)은 수신된 센서정보를 기관사가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관사 현시장치(370)에 전송하고, 동시에 PSD 차상 무선 장치(350)를 통해 PSD 지상 무선 장치(250)로 전송하며, PSD 지상 무선 장치(250)는 PSD 주제어반(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관사는 기관사 현시장치(370)를 통해 능동적으로 열차의 출발 및 출입문(11)의 개폐여부를 통제할 수 있으며, 스크린 도어(20)와 연계하여 발생하는 시간차를 극복할 수 있다.
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비자동 열차운행방식의 전동차(10)에서 스캐너 센서(100)의 검지영역의 센서 검지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무선경보수신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센서 제어부(110)는 스캐너 센서(100)로부터 검지된 검지정보를 수신하는 보조제어함(111), 보조제어함(111)에서 수신된 검지정보를 수신하는 주제어함(112), 및 주제어함(112)에서 수신된 검지영역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송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경보수신기(120)는 무선송출부(113)에서 송출되는 검지영역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에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무선경보수신기(120)는 전동차 운전실 및 유지보수원이 스크린 도어(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이동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경보수신기(120)는 비자동 열차 운행방식의 전동차(10)의 운전실에서 승무원이 스크린 도어(20)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선로변에 구비되는 경보신호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크린 도어(20)에 설치된 스캐너 센서(100)에서 물체가 감지될 경우, 감지신호를 경보신호기로 전송하여 역으로 접근하는 전동차(10)에게 센서검지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때, 무선경보수신기(120)는 역으로 접근하는 전동차(10)의 제동거리를 고려하여 설치할 수 있다.
스캐너 센서(100)는 RS-232, 442, USB, 및 Ethernet 중 선택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캐너 센서(100)는 종래에 사용하는 센서와 교체가 용이하도록, 종래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교체비용을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동차 11 : 출입문
20 : 스크린 도어
100, 101, 102, 103 : 스캐너 센서
110 : 센서 제어부 111 : 보조제어함
112 : 주제어함 113 : 무선송출부
120 : 무선경보수신기
210 : 지상 관제센터 220 : PSD 주제어반
230 : PSD 개별 제어반 240 : 지상 루프 안테나
250 : PSD 지상 무선장치
310 : 열차제어시스템 320 : 자동열차운전장치
330 : 자동열차제어장치 340 : 차상 루프 안테나
350 : PSD 차상 무선장치 360 : 차상지상간통신장치
370 : 기관사 현시장치

Claims (16)

  1.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차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캐너 센서 및
    상기 스캐너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전동차와 스크린 도어 사이 공간에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스캐너 센서는 복수의 스크린 도어의 영역에 대해서 이용객 또는 물체 유무를 감지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센서는
    상기 전동차의 각 차량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센서는
    상기 각 차량의 시그널 램프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센서는
    정차역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사각(θ)으로 스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센서는
    레이저스캔 센서, 영상감지센서 및 밀리파 레이더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센서는
    상기 전동차의 적어도 4개의 출입문의 영역에 대해서 감지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센서는
    상기 센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검지영역이 조절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캐너 센서 중 하나의 스캐너 센서가 고장상태인 경우, 상기 고장상태의 스캐너 센서에 인접한 스캐너 센서는 상기 고장상태인 스캐너 센서의 검사영역을 담당하도록 검사영역이 확장되는 것인 스크린 도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의 운행을 종합 관제하는 지상 관제센터;
    상기 지상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스크린 도어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PSD 주제어반; 및
    상기 지상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전동차의 출입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열차제어시스템(TCMS: Train Controll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관제센터에서 발생한 상기 전동차의 출입문 제어 신호는
    지상 루프 안테나와 차상 루프 안테나를 통해, 차상지상간통신장치(TWC: Train to Wayside Communication), 자동열차운전장치(ATO: Automatic Train Operation), 및 자동열차제어장치(ATC: Automatic Train Control)를 거쳐 상기 열차제어시스템(TCMS: Train Controll Management System)에 전달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제어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전동차의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PSD 차상 무선 장치; 및
    상기 PSD 차상 무선 장치로부터 송신된 출입문 개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개폐정보를 상기 PSD 주제어반로 송신하는 PSD 지상 무선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SD 주제어부는
    상기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와 전동차의 출입문 열림 또는 닫힘 시간차에 대한 오차보정을 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센서는
    상기 스크린 도어의 상부 구조물 또는 상기 스크린 도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제어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센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관사 현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 센서로부터 검지된 검지정보를 수신하는 보조제어함;
    상기 보조제어함에서 수신된 검지정보를 수신하는 주제어함; 및
    상기 주제어함에서 수신된 검지영역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출부에서 송출되는 검지영역정보를 수신하는 무선경보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센서는
    RS-232, 442, USB, 및 Ethernet 중 선택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하는 것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20150179498A 2015-12-15 2015-12-15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1766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498A KR101766241B1 (ko) 2015-12-15 2015-12-15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498A KR101766241B1 (ko) 2015-12-15 2015-12-15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304A true KR20170071304A (ko) 2017-06-23
KR101766241B1 KR101766241B1 (ko) 2017-08-09

Family

ID=5928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498A KR101766241B1 (ko) 2015-12-15 2015-12-15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24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791B1 (ko) * 2018-06-26 2019-04-11 김기철 스크린 도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90072988A (ko) * 2017-12-18 2019-06-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초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생체 감지 기반의 스크린도어 인체감지 시스템
KR20200051755A (ko) * 2017-10-19 2020-05-13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수송 수단용 타이어 운반 장치
KR20200055357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우리기술 이중화된 광센서를 가진 장애물 감지장치
KR102158646B1 (ko) * 2019-03-28 2020-09-22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검사고 작업자 안전경보 시스템
KR20210156370A (ko) 2020-06-17 2021-12-27 서울시메트로구호선 주식회사 알람 메시지가 개선된 전동차 열차종합제어장치
CN114312858A (zh) * 2022-03-01 2022-04-12 方大智源科技股份有限公司 全开站台门门槛指示灯
KR20230037414A (ko) * 2021-09-09 2023-03-16 신영세미콘(주) 스크린 도어 장치용 감지 센서 장치,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1847833B2 (en) 2020-02-12 2023-12-19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Broad coverage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255B1 (ko) 2022-07-18 2023-02-09 주식회사 씨티이앤씨 버스 정류장의 psd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6083B2 (ja) * 2001-10-19 2005-05-11 八木アンテナ株式会社 対列車画像伝送装置
JP2008018889A (ja) * 2006-07-14 2008-01-31 West Japan Railway Co ドア誤扱い防止システム
JP5469391B2 (ja) * 2009-07-21 2014-04-16 日本信号株式会社 ホームドア確認システム
JP5520142B2 (ja) * 2010-06-21 2014-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の状況監視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755A (ko) * 2017-10-19 2020-05-13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수송 수단용 타이어 운반 장치
US11518418B2 (en) 2017-10-19 2022-12-06 Innova Patent Gmbh Tyre conveyor for transport means
KR20190072988A (ko) * 2017-12-18 2019-06-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초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생체 감지 기반의 스크린도어 인체감지 시스템
KR101937791B1 (ko) * 2018-06-26 2019-04-11 김기철 스크린 도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00055357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우리기술 이중화된 광센서를 가진 장애물 감지장치
KR102158646B1 (ko) * 2019-03-28 2020-09-22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검사고 작업자 안전경보 시스템
US11847833B2 (en) 2020-02-12 2023-12-19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Broad coverage non-contact obstacle detection
KR20210156370A (ko) 2020-06-17 2021-12-27 서울시메트로구호선 주식회사 알람 메시지가 개선된 전동차 열차종합제어장치
KR20230037414A (ko) * 2021-09-09 2023-03-16 신영세미콘(주) 스크린 도어 장치용 감지 센서 장치,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4312858A (zh) * 2022-03-01 2022-04-12 方大智源科技股份有限公司 全开站台门门槛指示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241B1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241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CN108382304B (zh) 基于lte通信的地铁站台门工作监测装置的运行方法
US7093314B2 (en) Beacon docking system with visual guidance display
JP6336857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装置
US118454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or error detection
JP2011213334A (ja) ホームドア制御システム
JP6001128B1 (ja) 列車着発時制御システム、車上装置及び地上装置
JP2024045726A (ja) 自動列車運転システムにおける列車の車上装置
KR20130080173A (ko) 무선통신시스템과 폴백시스템을 이용한 열차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7848549B (zh) 用于轨道车辆的人员撤离的系统和方法
CN106103236A (zh) 用于轨道车辆再定位的方法和配置系统
CA3110294A1 (en) Gate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between a vehicle and a gate, and a computer program
JP5851829B2 (ja) ホームドアシステム
KR101908314B1 (ko) 열차 승강장안전문용 인체 및 사물 감시 안전시스템
EP2708432B1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Bahnsteigtüren
RU2498918C2 (ru) Колей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сенс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0637847B1 (ko) 스크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BG113786A (bg) Железопътно влаково оборудване за откриване на обекти и тяхното последващо класифициране
KR20170091068A (ko) 철도 차량 안정화 관리 시스템에서 바닥부착용 태그 및 신호기와 연동하는 태그를 인식하는 차량용 rfid 리더기
KR100936683B1 (ko) 철도차량 출입문 연동 스크린도어 제어 장치
KR101762749B1 (ko)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KR101944068B1 (ko) 승강장안전문 이중화 동작감시시스템
KR20150137159A (ko) 정위치정차가 구현되는 철도 네비게이션
GB2595747A (en) Anti-collision apparatus for road rail vehicles
RU2817645C1 (ru) Робот-сигналист и система ограждения места работ и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перегоне при капитальном ремонте пу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