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438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438A
KR20170070438A KR1020150177923A KR20150177923A KR20170070438A KR 20170070438 A KR20170070438 A KR 20170070438A KR 1020150177923 A KR1020150177923 A KR 1020150177923A KR 20150177923 A KR20150177923 A KR 20150177923A KR 20170070438 A KR20170070438 A KR 20170070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hosphor
light
reflective layer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다일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0438A/ko
Publication of KR2017007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14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21S48/125
    • F21S48/1275
    • F21S48/1305
    • F21W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전방에 배치되는 투사 렌즈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제2 광원,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형광체 및 상기 형광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이용하여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헤드 램프는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 예를 들어 주변 밝기, 주변 차량, 도로 환경, 기상 환경 등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헤드 램프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2개의 광원부가 위치하고, 각 광원부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리플렉터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은 실드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면서 투사 렌즈로 입사되어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복수의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하여 복잡한 램프 구성이나 가공 단계를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LED는 주로 넓게 퍼지는 형태의 배광 패턴 형성하는 측면에서만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어 원거리 시인성의 확보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LED 광원 및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전방에 배치되는 투사 렌즈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제2 광원,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형광체 및 상기 형광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상기 형광체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이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초점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광축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가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형광체를 투과하여 여기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상기 형광체의 상면에서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형광체의 상면에서 반사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향하여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형광체의 하면으로부터 출사된 후, 상기 투사 렌즈를 향하여 반사되도록 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상기 형광체의 하면을 향하여 반사되도록 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와 반사층이 형성되기 위한 콜리메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후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콜리메이터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의 일부가 상기 형광체의 일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는 상기 제2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초점이 통과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의 조사 방향을 따른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2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LED 광원 및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므로 LED 광의 넓게 퍼지는 특성 및 레이저 광의 원거리 직진성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배광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램프의 하이 빔 배광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야간 주행이나 터널 주행 등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0)는 차량에 설치되는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램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100), 리플렉터(110), 제2 광원(300), 형광체(500) 및 반사층(5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300)은 차량용 램프(10)의 광축(Ax)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300)은 광축(Ax)을 기준으로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300)가 배치되는 방향은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300)은 형광체(50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300)의 방열 설계를 비롯한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광원(100)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고, 제2 광원(300)은 LD(Laser Diode)일 수 있다.
즉, 제2 광원(300)은 여기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광원(300)은 다양한 색상 영역, 예를 들어 자외선 영역부터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질화물 반도체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광원(300)은 다양한 색상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일 예로 제2 광원(300)은 440nm~490nm의 파장 범위에 피크 파장을 가지는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상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0)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제2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0)가 레이저 광에 의해 여기되어 원하는 색상 영역의 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 영역과 차량용 램프(10)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 영역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리플렉터(110)는 상측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제1 광원(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여 제1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광(L1)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플렉터(110)는 제1 광원(100)으로부터 상측으로 발생된 광(L1)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전방에 이르는 면이 개방되는 자유 곡면 형상이나 타원형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는 높은 반사율을 갖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반사면은 타원 형태를 갖고, 리플렉터(110)의 전방측 초점과 투사 렌즈(200)의 후방측 초점이 동일하거나 근접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타원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리플렉터(110)가 제1 광원(100)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리플렉터(110) 전체가 제1 광원(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부가 제1 광원(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100)은 후술하는 형광체(5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반사층(502)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컷 오프(cut-off) 라인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용도이며, 제2 광원(300)은 형광체(500)를 통하여 여기되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형광체(500)의 상면에는 반사층(502)이 증착될 수 있다. 반사층(502)은 제1 광원(100)에서 발생되는 광(L1)의 일부를 광축(Ax)의 상측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일부는 차단하여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형광체(500)의 상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단 양측이 투사 렌즈(200)의 양측을 향하여 서서히 변위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광체(500)의 상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빔 패턴에 따른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단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사층(502)은 제1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면에 차단된 광이 투사 렌즈(200)로 향하도록 반사시킬 수 있도록 증착 또는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502)은 높은 반사율을 갖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체(500)의 상면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형광체(500)의 상면에 의해 차단된 광은 투사 렌즈(200)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근거리 시야를 향상시키는 역할 또는 시그널 광 역할 등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원(30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광(L2)이 형광체(500)를 투과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2 광원(300)의 광(L2)이 형광체(500)의 내부로 출사되면 상기 제2 광원(300)에서 발생된 광은 형광체(500)의 내부에서 여기되어 전방으로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된 광(L2)은 형광체(500)를 경유하여 투사 렌즈(200)로 진행됨으로써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광원(300)이 제1 광원(100)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과 더불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을 함께 적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300)은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 따라 하나 이상이 점등될 수 있으며,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광원(100)이 점등되고,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300)이 모두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광원(100)이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벌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반사층(502)은 형광체(500)의 상면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형광체(500)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 증착 또는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형광체(500)는 제1 광원(100)으로부터 출사되는 제1 광의 초점을 포함하는 소정 면적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형광체(500)는 제2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L2)에 의해 여기되어 소정 색상의 여기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00)로 사용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00)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제2 광원(300)의 색상 및 형광체(5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형광체(500)는 레이저 광의 색상에 따라 레이저 광에 의해 여기되어 발생되는 여기 광의 파장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가 백색광이 요구되고, 제2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L2)의 파장이 440nm~490nm의 파장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청색의 레이저 광인 경우, 형광체(500)로부터 백색광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560nm~590nm의 파장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황색 형광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L2)이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이고, 형광체(500)로서 황색 형광체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광체(500)는 전술한 차량용 램프(100)를 통해 조사하려는 광의 색상에 따라 청색, 녹색 및 적색 등과 같은 다양한 색상의 형광체의 조합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형광체(500)는 제2 광원(300)의 광(L2)에 의해 여기되어 발생되는 여기 광이 투과되어 진행하는 투과형 형광체 또는 반사되어 진행하는 반사형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투과형 형광체는 광을 흡수하고 형광체(500)에 대응하는 색상의 광이 투과되어 진행되도록 하고, 반사형 형광체는 형광체(500)의 일측에 반사면 등을 형성함으로써 형광체(500)로부터 발생된 여기 광이 반사되어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형광체(500)는 여기되어 발생된 여기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형 형광체가 사용된 경우의 일 예로서, 형광체(500)는 제2 광원(300)의 광(L2)에 의해 여기되어 발생된 여기 광을 일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사시키는 반사형 형광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투사 렌즈(200)는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3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투사 렌즈(20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렌즈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도 2의 구성과 비교하여 보면, 형광체(511)의 입사면 및 출사면이 상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광원(300)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2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된 광(L2)은 광축(Ax)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때, 형광체(511) 상의 일부 영역에 반사층(510a)이 형성될 수 있고, 형광체(511) 상에서 반사층(510a)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제2 광원(300)에서 발생된 광이 향하는 초점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300)의 광에 의해 형광체(511)에서 여기된 여기 광은 하측으로 출사되고 전방의 투사 렌즈(200)를 향하여 반사되도록 반사 부재(512)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광원(300)의 조사 방향을 따른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2 광원(300)에서 발생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는 집광 렌즈(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도 5의 구성과 비교하여 보면, 제2 광원(300)에서 발생된 광(L2)이 광축(Ax)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광(L2)이 진행되는 방향에 반사 부재(521)가 배치됨으로써 반사 부재(521)에 의해 광축(Ax)의 상측으로 향하되, 형광체(520)의 일부분을 투과하여 여기되도록 배치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때, 형광쳬(520)의 상면에 반사층(52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광원(100)에서 발생된 광(L1)의 일부가 반사층(520a)에 의해 광축(Ax)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됨으로써 컷 오프(cut-off) 패턴을 형성하는데 따른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도 8의 구성과 비교하여 보면, 형광체(531a)와 반사층(532)이 부착되기 위한 콜리메이터(530)가 더 포함되되, 형광체(531)는 콜리메이터(530)의 후측면에 형성되고, 반사층(532)은 콜리메이터(5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반사층(532)의 일부가 형광체(531)의 일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콜리메이터(530)의 후측면에서 제2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L2)이 지나가는 경로 상(531a)에 위치하도록 형광체(531)가 형성되고, 형광체(531)의 상단부에 반사층(532)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형광체(531)는 콜리메이터(530)의 후측면 전체 영역에 증착, 코팅, 또는 부착 등에 의해 형성 될 수 있으며, 반사층(532)이 콜리메이터(530)의 상면 전에 영역에 증착 또는 코팅됨으로써 반사층(532)의 일부분이 형광체(531)의 상단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배광 패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램프의 하이 빔 배광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로우 빔 패턴(P1)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수평 라인(H-H)으로부터 상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는 컷 오프 라인을 갖도록 로우 빔 패턴(P1)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광원(30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광에 의해 로우 빔 패턴(P1)과 일부가 중첩되되, 수평 라인(H-H) 및 수직 라인(V-V)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원거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광원
110: 리플렉터
200: 투사 렌즈
300: 제2 광원
400: 집광 렌즈
500: 형광체
502: 반사층

Claims (14)

  1. 광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전방에 배치되는 투사 렌즈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제2 광원;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형광체; 및
    상기 형광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상기 형광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이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초점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광축과 평행한 차량용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가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형광체를 투과하여 여기되는 차량용 램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상기 형광체의 상면에서 일부분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형광체의 상면에서 반사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향하여 입사되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인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형광체의 하면으로부터 출사된 후, 상기 투사 렌즈를 향하여 반사되도록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상기 형광체의 하면을 향하여 반사되도록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와 반사층이 형성되기 위한 콜리메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후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콜리메이터의 상면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일부가 상기 형광체의 일부 영역에 포함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는 상기 제2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의 초점이 통과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5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의 조사 방향을 따른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2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177923A 2015-12-14 2015-12-14 차량용 램프 KR20170070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23A KR20170070438A (ko) 2015-12-14 2015-12-1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23A KR20170070438A (ko) 2015-12-14 2015-12-1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38A true KR20170070438A (ko) 2017-06-22

Family

ID=5928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923A KR20170070438A (ko) 2015-12-14 2015-12-1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04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18800A (ja) ロービーム機能を備える自動車ヘッドライト用のledコリメータ素子
KR10209979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60012470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60054984A (ko) 차량용 램프
KR102289760B1 (ko) 차량용 램프
KR101461565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0529A (ko) 차량용 램프
KR101959806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134876A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5940422B2 (ja) 車両用灯具
KR102160529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2417A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12B1 (ko) 차량용 램프
KR101489208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0438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77721A (ko) 차량용 램프
KR102522911B1 (ko) 차량용 램프
KR102552395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145651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11937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62851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64016A (ko) 차량용 램프
KR102409841B1 (ko) 차량용 램프
KR101740681B1 (ko) 차량용 램프
KR101937977B1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