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896A -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와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 어레인지먼트 - Google Patents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와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 어레인지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896A
KR20170069896A KR1020160072250A KR20160072250A KR20170069896A KR 20170069896 A KR20170069896 A KR 20170069896A KR 1020160072250 A KR1020160072250 A KR 1020160072250A KR 20160072250 A KR20160072250 A KR 20160072250A KR 20170069896 A KR20170069896 A KR 20170069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frigerant
heat exchanger
cooling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795B1 (ko
Inventor
나비드 두라니
토니 스피스
다니엘 젠스
로베르토 델라 로베레
르네 융커
크리스토프 바라
마틴 호첼
마티나 파두크
마크 그라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6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25B31/004Lubrication oil recircu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8Optimization, e.g. high integration of refrigeration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metry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냉매 순환계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압축기 그리고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다. 그 외에 상기 냉매 순환계는 압력 맥동 감쇠기를 구비하며, 이러한 압력 맥동 감쇠기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압축기와 냉매의 냉각 및/또는 액화를 위한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일 분리 장치(1)는 상기 압력 맥동 감쇠기 내부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고 냉각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와도 관련이 있다.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오일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1) 그리고 상기 장치(1)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11, 11', 11")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기(11, 11', 11")는 상기 장치(1)와 압축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와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 어레인지먼트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OF A REFRIGERANT-OIL MIXTURE IN A REFRIGERANT CIRCUIT AND ARRANGEMENT WITH THE APPARATUS AND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OIL}
본 발명은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냉매 순환계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압축기 및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고 냉각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와도 관련이 있다.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상기 오일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다.
오일은 냉매 순환계 내부에서 여러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오일은 한 편으로는 압축기 내부에 배치된 이동식 부품들의 윤활 기능을 위해 사용되고, 따라서 특히 금속 부분으로 형성된 부품들 간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압축기의 마멸이 감소된다. 다른 한 편으로 오일에 의해서는 주변에 대한 압축기의 밀봉 그리고 상기 압축기 내부에 있는 냉매의 고압 영역과 저압 영역 간의 내부 밀봉이 향상된다. 냉매 순환계 내부에 있는 오일의 또 다른 기능은, 예를 들면 압축기의 이동식 부품들 간의 마찰로 인해 상기 압축기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 및 방출하는 것이다.
비록 오일은 주로 압축기 내부에서만 필요하기는 하지만, 상기 오일이 또한 냉매 순환계 내부에서 순환하는 상황은 불가피하다. 이 경우 냉매 순환계 내부에서 순환 및 유통되는 오일 양은 다수의 팩터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팩터들에는 다른 무엇보다도 압축기 및 주변 장치, 즉 특히 냉매 순환계의 디자인 또는 구조와 형성, 압축기의 마멸과 관련한 노화와 상태, 작동 및 시스템 조건 그리고 냉매와 오일의 혼합성이 속한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냉매 순환계들에서는, 냉매 질량 흐름의 1% 내지 15% 사이에서 오일 순환 비율이 변동된다. 냉매와 함께 냉매 순환계를 통해 순환하는 압축기의 오일은 다양한 작용을 한다. 상기 오일은 예를 들면 냉매-오일 혼합물의 품질 그리고 물리적 특성 및 열역학적 특성을 변화시킨다. 오일의 존재는 냉매 순환계의 열교환기들의 효과를 감소시키는데, 그 이유는 오일 막이 추가 절연층과 같이 작용함으로써 열교환기 내부에서 열 전달 표면들이 상기 오일 막으로 덮여 있을 경우 열 전달 그리고 그와 더불어 열 처리량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오일은 경우에 따라서는 소위 냉매 순환계의 오일 트랩(oil trap)들 내에 계속 머물러(keep)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오일 트랩들은 특히 냉매 속도가 낮은 영역들에 형성된다. 상기 오일 트랩들 내에 모인 오일은, 액체 진동 칼럼과 같이 갑자기 오버플로(overflow)되어 압축기로 리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압력파(pressure wave)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파는 재차 유체 고착 현상(hydraulic lock)을 야기한다. 저온 적용예들에서, 냉매 순환계 내부에 있는 오일의 이동 가능성은 저온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점성 때문에 상당히 제한된다. 압축기 내부에서 오일 레벨 감소는 압축기의 돌이킬 수 없는 기계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본질적으로 비압축성인 오일은 정도가 미미한 팽창 과정 동안에는 냉각되지 않는다. 오일은 냉매와 혼합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냉매는 부분적으로 증발한다. 이때 냉매의 일부 냉각 용량, 즉 약 8% 내지 10%는 압축기 오일을 냉각하는데 쓰인다.
US 6,058,727 A호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부재 및 증발기를 갖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매 순환계가 기술된다. 상기 냉매 순환계는 또한 오일 분리기 및 오일 냉각기와 함께, 압축기의 유출구로부터 압축기의 유입구로 오일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유동 경로를 구비한다. 가스 상태의 냉매 압축 시 가열된 오일은 압축기 내로 유입되기 전에 냉각된다. 이 경우 열은 오일에서, 압축기로부터 흡인된 냉매로 전달된다. 오일 냉각기는 열교환기 유닛으로서 내부 열교환기를 가지며, 이 경우 상기 열교환기 유닛은 냉매의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US 2010/0251756 A1호 또한 압축기, 응축기, 팽창 부재 및 증발기, 그리고 오일 분리기 및 오일 냉각기와 함께, 압축기의 유출구로부터 압축기의 유입구로 오일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유동 경로를 구비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매 순환계를 기술한다. 상기 오일 냉각기는 공기-오일 열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고,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 다음에 배치되어 있다. 열은 오일에서, 증발기 관류 시 냉각된 공기로 전달된다.
US 6,579,335 B2호에는, 가스를 압축한 후 압축된 가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상기 오일을 냉각하고, 그리고 상기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부품들을 구비한 가스 상태의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오일은 압축될 가스 상태의 유체와 함께 다시 압축기로 공급된다. 오일 냉각을 위해서는 상기 오일이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다. 이 경우 열은 오일에서, 압축될 가스 상태의 유체로 전달된다. 후속해서 가스 상태의 유체가 압축된다. 오일 분리기, 오일 냉각기 및 오일 저장 용기는 하나의 공동 하우징 내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오일은 연결 라인을 통해 오일 저장 용기에서 압축기로 안내된다.
종래의 냉매 순환계들의 경우, 냉매-오일 혼합물이 압축기 다음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다. 또한, 선행 기술에는 냉매-오일 혼합물이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후, 오일 분리기 관류 시 냉매 부분과 오일 부분으로 분리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분리된 오일은 후속해서 예를 들면 냉매 순환계 내에서 순환하는 냉매 또는 증발기 내에서 조화된 공기에 의해 열 전달 시 냉각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냉매 순환계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냉매 순환계 내에서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와 어레인지먼트는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 형태로 설계되어야 하고, 아울러 상기 냉매 순환계의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한 작동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그 외에 상기 장치와 어레인지먼트는 제조, 유지보수 및 조립 측면에서 비용이 최소로 요구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과제는 냉매 순환계 내에서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고 재순환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냉매 순환계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압축기 및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컨셉에 따르면, 상기 냉매 순환계는 압력 맥동 감쇠기(pressure pulsation damper)를 가지며, 이때 상기 압력 맥동 감쇠기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압축기와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일 분리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압력 맥동 감쇠기 내부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맥동 감쇠기는 냉매-오일 혼합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 그리고 각각 냉매용 유출구와 오일용 유출구를 구비한다. 압력 맥동 감쇠기 내부에는, 바람직하게 냉매-오일 혼합물의 입사 흐름(incident flow)을 위한 배플판(baffle plate)과 분리된 오일을 위한 수집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와 배플판은 상기 오일 분리 장치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수집 영역은 상기 오일 분리 장치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배플판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판은 냉매-오일 혼합물의 유동 방향과 유동 속도를 가능한 크게 변경하고 냉매와 오일을 최대 분리를 야기하기 위해, 유입구 쪽으로 냉매-오일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은 분리가 상기 성분들, 즉 냉매와 오일의 상이한 관성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배플판은 유입구 쪽으로 냉매-오일 혼합물의 유동 방향으로 또한 90° 편향된 각도로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한 실시예 따르면, 오일의 유출구 방향으로 오일 분리 장치의 수집 영역 내부에는 유출구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폐쇄 부재에 의해서는 오일을 분리하고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 사이 압축기로 통하는 연결 라인이 폐쇄되며, 그 결과 상기 압축기로 안내되는, 분리된 오일의 질량 흐름이 조절될 수 있다. 압축기로 통하는 조절 및 폐쇄가 가능한 연결은 압축기 유출구에 있는 고압측 냉매와 압축기의 유입구에 있는 저압측 냉매 사이에서 발생 가능한, 원치 않는 바이패스를 방지한다. 이때 상기 유출구 및 그와 더불어 압축기로 통하는 연결 라인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 부재는 바람직하게 플로트(float)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는 냉매-오일 혼합물로부터 분해된 오일과 냉매가 서로 상이한 질량 흐름으로 분리되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두 부분, 즉 오일과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추진 가능성(driving potential)으로서 그리고 그와 더불어 열을 흡수하는 유체로는 바람직하게 외부의 공기 및/또는 냉각제 순환계의 냉각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고 냉각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본 발명의 컨셉에 따라 전술한 특징들을 갖는 오일 분리 및 재순환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오일 분리 장치와 압축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는 동심으로 배치된 관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동축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열은 오일에서, 바람직하게는 열을 흡수하는 유체로서 냉각제로 전달된다. 냉매 순환계가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에 사용될 경우, 냉각제는 예를 들면 저온 냉각제 순환계 또는 고온 냉각제 순환계 내부에서 순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는 바람직하게 대향류 열교환기(counterflow heat exchanger)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오일은 내부에 놓인 관을 통해 흐르고, 냉각제는 상기 내부에 놓인 관의 외면과 외부에 놓인 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관류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붙이 관(ribbed tube)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열은 오일에서, 열을 흡수하는 유체로서 공기로 전달된다. 상기 공기는 리브들이 제공된, 리브붙이 관의 외면 위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 순환계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열은 오일에서, 열을 흡수하는 유체로서 냉매로 전달된다. 냉매측에서 상기 열교환기는 바람직하게 증발기의 유출구와 압축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공지된 바에 따르면, 냉매 순환계가 압축식 냉각기의 부품으로뿐만 아니라 열 펌프의 부품으로도 작동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압축식 냉각기의 구성 부품으로뿐만 아니라, 열 펌프 시스템, 특히 자동차 공조 시스템의 구성 부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 R134a, R1234yf, R744, R600a, R290, R152a, R32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다양한 냉매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들에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하기와 같은 추가 장점들을 갖는다:
- 냉매-오일 혼합물이 아닌, 냉매와 오일이 서로 분리되어 열교환기를 관류하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기들 관류 시 냉매의 압력 손실 감소, 이로 인해 또한
- 냉매 열교환기들 관류 시 오일이 더 이상 냉각 또는 가열될 필요가 없으므로, 시스템, 특히 냉매 순환계 작동 시 효율 및 안정성 증가,
- 오일 양이 최적화되고, 그리고 그와 더불어 최소화되기 때문에 냉매 순환계의 제조, 유지보수 및 작동에 필요한 비용 감소,
- 전체 냉매 순환계의 소요 면적 감소, 그리고
- 특히 에어컨들 및 열 펌프 시스템들의 냉매 순환계에서 음향적 압력 맥동 감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 대한 설명:
도 1: 압력 맥동 감쇠기 내에 통합되고, 배플판과 분리된 오일용 수집 영역을 갖는 냉매 순환계의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기계적으로(mechanically)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오일을 기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도 1의 장치의 어레인지먼트로서, 이 어레인지먼트는 다음의 요소들을 구비한다:
도 2: 동축관으로 형성된,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도 3: 리브붙이 관으로 형성된,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그리고
도 4: 냉매 순환계 내부에 배치되는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도 1은 냉매 순환계의 냉매-오일 혼합물(G)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장치(1)는 냉매용 압력 맥동 감쇠기 내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매-오일 혼합물(G)의 냉매와 오일 두 부분은 상기 오일 분리 장치(1)에 의해 기계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상기 오일은 냉매-오일 혼합물로부터 분리되며,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분리 후에는 냉매가 많은 부분과 오일이 많은 부분 또는 냉매가 적은 부분이 존재한다. 상기 냉매가 많은 부분은 약어로 냉매(KM)로도 표기되며, 그리고 상기 오일이 많은 부분은 약어로 오일로도 표기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계적 분리는 추진력(driving force)으로서 관성에 기인하며, 이는 분리될 성분들 사이에서 충분히 큰 밀도차(density difference)를 필요로 한다. 분리될 성분들, 즉 냉매와 오일 사이에서 충분히 큰 밀도차는 냉매 순환계 내부에서, 압축기의 유출구 또는 응축기/가스 냉각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의 유입구에서 존재한다. 예컨대 냉매 R134a가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임계 이하의 작동에서 또는 이산화탄소가 사용되는 특정 주변 환경에서 냉매가 액화되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표기된다. 일부 열 전달은 일정한 온도에서 행해진다. 초임계 작동 시 또는 열교환기 내에서 초임계적인 열 방출 시에는 냉매의 온도가 일정하게 감소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가스 냉각기로도 표기된다. 초임계적인 작동은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냉매로 사용되는 냉매 순환계의 특정 주변 환경 또는 작동 모드에서 발생할 수 있다.
압력 맥동 감쇠기 내에 통합되는 방식의 형성으로 인해, 오일 분리 기능을 갖춘 압력 맥동 감쇠기 또는 압력 맥동 감쇠기와 오일 분리기의 결합으로도 표기되는 상기 오일 분리 장치(1)는 냉매-오일 혼합물(G)용 유입구(2), 그리고 각각 냉매(KM)용 유출구(3) 및 오일용 유출구(4)를 갖는다. 상기 유입구(2)는 연결 라인을 통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냉매 순환계의 압축기의 유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라인(2)은 압축기의 압력 라인에 상응한다. 장치(1)는 오일 분리 기능을 갖춘 변형된 압력 맥동 감쇠기로서, 결과적으로 압축기의 유출 라인 내에 또는 압축기와 응축기/가스 냉각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 사이 연결 라인(2)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매-오일 혼합물(G)을 냉매가 많은 부분과 오일이 많은 부분으로 분리한다.
오일은 장치(1) 또는 압력 맥동 감쇠기 내에 통합된 배플판(5)을 통해서, 이 배플판(5) 아래에 배치된, 분리된 오일용 수집 영역(6)과 관련하여 냉매-오일 혼합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저장된다. 이 경우 냉매-오일 혼합물(G)은 유입구(2)를 통해 장치(1) 내로 유입되어 배플판(5)에 충돌하며, 그리고 상기 배플판(5) 아래에 배치된 수집 영역(6)으로 떨어진다. 유입구(2)는 냉매-오일 혼합물(G)용 공급부로서 배플판(5)에 대해 가능한 한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냉매-오일 혼합물(G)은 장치(1) 내로 유입된 후, 상기 배플판(5)의 전면에 부딪친다. 유동 속도 및 유동 방향의 갑작스런 변동에 의해서는, 냉매가 많은 부분과 오일이 많은 부분의 상이한 관성으로 인해 냉매가 많은 부분과 오일이 많은 부분으로 서로 분리되며, 이때 상이한 관성에 의해서는 상기 두 부분이 방향 변동을 상이하게 수용한다. 오일이 많은 부분은 배플판(5)에서 오일 분리 영역의 수집 영역(6) 내로 하부로 안내된다. 냉매가 많은 부분은 장치(1)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의 상부 부분에서 배플판(5)을 돌아 냉매(KM)의 유출구(3)로 안내된다. 상기 장치(1)의 냉매(KM)용 유출구(3)에는 예를 들면 체 형태의 필터 부재(8)가 배치되어 있고, 그 결과 냉매가 많은 부분은 상기 필터 부재(8)를 관류한다. 냉매(KM)는 유출구(3) 그리고 상기 유출구(3)와 연결된 연결 라인을 통해 장치(1)로부터 배출된다. 수집 영역(6) 내로 하부로 안내된 분리된, 오일이 많은 부분 또한 특히 체로 형성된 필터 부재(7)를 관류하게 된다.
오일 또는 오일이 많은 부분은 장치(1)의 하부 영역에서, 수집 영역(6) 내에 수집되고, 후속해서 유출구(4) 그리고 상기 유출구(4)와 연결된 연결 라인을 통해 장치(1)로부터 배출된 다음 냉매 순환계의 압축기의 압력면(pressure face) 상으로 안내된다. 오일 수집 영역(6) 내부에는, 이러한 수집 영역(6) 또는 오일 분리 장치(1)의 폐쇄 부재로서 플로트(9)가 오일의 유출구(4)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9)는 가이드 부재(10)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0)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며, 이 경우 탄성력은 장치(1)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플로트(9)에 작용한다. 플로트(9)는 냉매 순환계의 고압측에서 냉매 순환계의 저압측으로 장치(1)를 통한 냉매 바이패스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수집 영역(6) 내부에서 오일 충전 레벨이 낮을 경우, 압축기로 통하는 오일의 유출구(4)를 폐쇄한다. 저장된 오일의 충전 레벨이 적합한 경우, 오일은 수집 영역(6) 내에 형성된 플로트(9)를 들어올리며, 이때 상기 플로트는 장치(1)의 오일 유출구(4)를 릴리즈 한다. 장치(1)는 플로트(9) 없이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냉매 바이패스가 예를 들면 오일의 유출구(4)에 배치된, 압축기로 통하는 연결 라인의 내부 지름 선택에 의해 제어된다.
분리된 오일은 장치(1)로부터 배출된 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압력 맥동 감쇠기 외부에서 냉각된다. 이 경우 오일이 많은 부분은 각각 오일 냉각기로도 표기되는 열교환기를 관류한다. 이때 열은 오일에서, 열을 흡수하는 유체로 전달된다.
도 2에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관으로 형성된, 오일 냉각을 위한 열교환기(11)를 갖는 도 1에 따른 냉매-오일 혼합물(G)로부터 오일을 기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1)의 어레인지먼트가 개시된다.
장치(1)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동심으로 배치된 관들로 형성된 열교환기(11)(동축관-열교환기로도 표기됨)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열은 오일에서, 냉각제, 특히 물 또는 물-글리콜 혼합물로 전달되며, 상기 냉각제는 오일에 대해 대항류식으로 흐른다. 오일은 중앙에 배치된 관을 통해 흐르는 반면, 냉각제는 동축으로 배치된 관들 사이 간극을 통해서 안내된다. 열교환기(11)로부터 배출된 후, 오일은 압축기의 흡입면에서 다시 냉매에 공급된다.
자동차의 냉매 순환계 내에 사용되는 장치(1)와 열교환기(11)의 적용예에서, 냉각제는 바람직하게 저온 냉각제 순환계 내부에서 순환한다.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붙이 관으로 형성된, 오일 냉각을 위한 열교환기(11')를 갖는 도 1에 따른 냉매-오일 혼합물(G)로부터 오일을 기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1)의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다.
장치(1)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열 전달 표면을 증대시키기 위해 그리고 열 전달 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면에 리브들을 갖는 관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열은 오일에서 주변 공기로 전달된다. 상기 오일은 관 내부에서 흐르는 반면, 공기는 리브들이 제공된 외면 위로 안내된다. 열교환기(11')로부터 배출된 후 오일은 압축기의 흡입면에서 다시 냉매에 공급된다.
자동차의 냉매 순환계 내에 사용되는 장치(1)와 열교환기(11')의 적용예에서, 오일은 특히 상대풍(relative wind)에 의해 냉각된다.
도 4에는 냉매 순환계 내부에 배치되는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11")를 갖는 도 1에 따른 냉매-오일 혼합물(G)로부터 오일을 기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1)의 어레인지먼트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1)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상기 냉매 순환계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11")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열은 오일에서 냉매로 전달된다. 냉매는 열교환기(11") 내로 유입되기 전에 증발기에서 증발된 다음, 적어도 포화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상기 열교환기(11") 내로 유입된다. 오일에서 냉매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냉매는 압축기 내로 유입되기 전에 과열되며, 그 결과 물방울(liquid drop)이 전혀 발생할 수 없다. 상기 과열된 냉매와 냉각된 오일은 열교환기(11")로부터 유출되기 전에 혼합되어 냉매-오일 혼합물로서 압축기로 통하는 연결 라인(4) 내로 유입된 다음, 흡입면에서 다시 압축기에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인, 그로나 도시되지 않은 한 실시예에서 과열된 냉매와 냉각된 오일은 분리된 상태로 압축기의 흡입면으로 안내된다.
상기 냉매 순환계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11") 또한 내부 열교환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열교환기(11")의 제 3 유동 경로로서 냉각될 오일을 위한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열교환기는 고압측 냉매와 저압측 냉매 간 열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순환계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한 편으로는 액체 냉매가 응축 후에도 계속 냉각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흡입 가스가 압축기 이전에 과열된다.
1: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2: 유입구, 냉매-오일 혼합물의 연결 라인
3: 냉매 유출구
4: 오일 유출구, 압축기로 통하는 오일 연결 라인
5: 배플판
6: 오일 수집 영역
7: 오일 필터 부재
8: 냉매 필터 부재
9: 플로트
10: 플로트(8)의 가이드 부재
11, 11', 11": 열교환기
KM: 냉매, 냉매가 많은 부분
Figure pat00001
: 오일, 오일이 많은 부분
G: 냉매-오일 혼합물

Claims (10)

  1.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1)로서,
    상기 냉매 순환계가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압축기 그리고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오일 분리 장치(1)에 있어서,
    - 상기 냉매 순환계가 압력 맥동 감쇠기(pressure pulsation damper)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맥동 감쇠기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압축기와 냉매의 냉각 및/또는 액화를 위한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 상기 오일 분리 장치(1)가 상기 압력 맥동 감쇠기 내부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맥동 감쇠기가 냉매-오일 혼합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2) 그리고 각각 냉매용 유출구(3)와 오일용 유출구(4)를 갖고, 그리고 상기 압력 맥동 감쇠기 내부에 냉매-오일 혼합물의 입사 흐름(incident flow)을 위한 배플판(baffle plate)(5)과 상기 분리된 오일을 위한 수집 영역(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2)와 배플판(5)은 상기 장치(1)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수집 영역(6)은 상기 장치(1)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배플판(5) 아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배플판(5)이 상기 유입구(2) 쪽으로 냉매-오일 혼합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영역(6) 내부에, 상기 오일용 유출구(4) 방향으로 유출구(4)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4)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방치가 플로트(float)(9)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일 분리 및 재순환을 위한 장치(1) 그리고 상기 장치(1)에 의해 분리된 오일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기(11, 11', 11")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11, 11', 11")가 상기 장치(1)와 압축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 분리, 재순환 및 냉각을 위한 어레인지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1)가 동축으로 배치된 관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동축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열은 오일에서, 열을 흡수하는 유체로서 냉각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재순환 및 냉각을 위한 어레인지먼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1')가 적어도 하나의 리브붙이 관(ribbed tube)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때 열은 오일에서, 열을 흡수하는 유체로서 공기로 전달되고, 그리고 공기는 리브들이 제공된 리브붙이 관의 외면 위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재순환 및 냉각을 위한 어레인지먼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1")가 냉매 순환계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때 열은 오일에서, 열을 흡수하는 유체로서 냉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재순환 및 냉각을 위한 어레인지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냉매측에서 상기 열교환기(11")가 증발기의 유출구와 압축기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재순환 및 냉각을 위한 어레인지먼트.
KR1020160072250A 2015-12-11 2016-06-10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와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 어레인지먼트 KR101891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21594.2 2015-12-11
DE102015121594.2A DE102015121594A1 (de) 2015-12-11 2015-12-11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Öl eines Kältemittel-Öl-Gemisches in einem Kältemittelkreislauf sowie Anordnung mit der Vorrichtung und einem Wärmeübertrager zum Abkühlen des Ö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896A true KR20170069896A (ko) 2017-06-21
KR101891795B1 KR101891795B1 (ko) 2018-08-24

Family

ID=5901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250A KR101891795B1 (ko) 2015-12-11 2016-06-10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와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 어레인지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1795B1 (ko)
DE (1) DE1020151215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222A (ko) * 2018-01-16 2019-07-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쉘 앤드 튜브 타입 열교환기의 맥동유동방지장치
CN110986430A (zh) * 2019-12-31 2020-04-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有效回油控制方法、装置及空调机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0847B (zh) * 2018-10-09 2024-03-22 河南城建学院 多通道回油浮子式气液分离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408U (ko) * 1974-07-12 1976-01-28
JPH07110168A (ja) * 1993-10-13 1995-04-25 Sanyo Electric Co Ltd 極低温冷凍装置
JP2011510258A (ja) * 2008-01-17 2011-03-31 キャリア コーポレイション 潤滑剤冷却器を備える冷媒蒸気圧縮システム
KR101090116B1 (ko) * 2009-12-09 2011-12-07 신라이앤티 (주) 히트펌프를 이용한 가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15148A1 (de) * 1983-03-22 1984-10-31 Ve Kuehlautomat Oelkreislauf in einer kaelteanlage
US6058727A (en) 1997-12-19 2000-05-09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ion system with integrated oil cooling heat exchanger
JP3731329B2 (ja) * 1997-12-24 2006-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油回収構造
US6579335B2 (en) 2000-10-23 2003-06-17 Walter Duane Ollinger Oil separator and cooler
DE102006038726B4 (de) * 2006-08-11 2011-06-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Kältemittelverdichter für Klimaanlagen und Verfahren zur Ölabscheidung und Druckpulsationsdämpfung hierzu
DE102007028851A1 (de) * 2007-06-22 2008-12-24 Konvekta Ag Klimaanlage
JP2009074756A (ja) * 2007-09-21 2009-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機マフラ
US7708537B2 (en) * 2008-01-07 2010-05-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luid separator for a compressor
DE102009056518A1 (de) * 2009-12-02 2011-06-09 Bock Kältemaschinen GmbH Verdichter
JP5606262B2 (ja) * 2010-10-19 2014-10-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408U (ko) * 1974-07-12 1976-01-28
JPH07110168A (ja) * 1993-10-13 1995-04-25 Sanyo Electric Co Ltd 極低温冷凍装置
JP2011510258A (ja) * 2008-01-17 2011-03-31 キャリア コーポレイション 潤滑剤冷却器を備える冷媒蒸気圧縮システム
KR101090116B1 (ko) * 2009-12-09 2011-12-07 신라이앤티 (주) 히트펌프를 이용한 가온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1-510258호(2011.03.31.)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222A (ko) * 2018-01-16 2019-07-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쉘 앤드 튜브 타입 열교환기의 맥동유동방지장치
CN110986430A (zh) * 2019-12-31 2020-04-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有效回油控制方法、装置及空调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795B1 (ko) 2018-08-24
DE102015121594A1 (de)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107B1 (ko)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고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그리고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장치
KR100367625B1 (ko)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의 효율 증가 방법 및 고효율냉동 시스템
US9851130B2 (en) Electronics cooling using lubricant return for a shell-and-tube style evaporator
US6343486B1 (en) Supercritical vapor compression cycle
JP3365273B2 (ja) 冷凍サイクル
KR101759027B1 (ko)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작동 방법
EP3183514B1 (en) Chiller system
US20040261449A1 (en) Refrigeration system
EP1862749A2 (en)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JP2011510258A (ja) 潤滑剤冷却器を備える冷媒蒸気圧縮システム
KR101891795B1 (ko)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와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 어레인지먼트
KR20110100905A (ko) 칠러
US20170211851A1 (en) Cooling system
WO2013142164A1 (en) Electronics cooling using lubricant return for a shell-and-tube style evaporator
US9638445B2 (en) Oil return management in a HVAC system
CN110023694A (zh) 制冷循环装置
CN105698424A (zh) 一种超低温制冷的单冷分体式空调器及其超低温制冷方法
CN107850356B (zh) 具有液体分离器应用的热回收系统
KR102120950B1 (ko) 분리된 오일 순환계를 갖춘 냉각 장치
US5396784A (en) Oil management system for screw compressor utilized in refrigeration system
US20170234586A1 (en) Oil return management in a hvac system
JP2007333283A (ja) 蒸気圧縮式冷凍回路及び当該回路を用いた車両用空調システム
WO2018088127A1 (ja) アキュムレータ
JP2008075926A (ja) エジェクタ式冷凍サイクル
KR20170069898A (ko) 냉매 순환계 내 오일 재순환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