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757A -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757A
KR20170069757A KR1020150177372A KR20150177372A KR20170069757A KR 20170069757 A KR20170069757 A KR 20170069757A KR 1020150177372 A KR1020150177372 A KR 1020150177372A KR 20150177372 A KR20150177372 A KR 20150177372A KR 20170069757 A KR20170069757 A KR 20170069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light emission
emission
calculated
wavefor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873B1 (ko
Inventor
토모나가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873B1/ko
Priority to US15/374,731 priority patent/US10225482B2/en
Publication of KR2017006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04N5/2354
    • H05B3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파형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한 각각의 발광량을 계산하고, 각각의 발광량 중 플래시의 사전 발광 시 획득된 필요 발광량을 충족시키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하고,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장치{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DEVICE INCLUDING FLASH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셔터의 종류에는 포컬 플레인 셔터, 글로벌 셔터 등이 있다. 포컬 플레인 셔터는 2개의 슬릿을 이용하므로 슬릿 주행에 따라 노광면의 위치에 따른 얼룩이 생길 수 있다. 이와 달리 글로벌 셔터는 글로벌 셔터는 기계적인 셔터가 아닌 노광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 자체가 셔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이미지 센서를 제어함으로써 노광의 시작과 종료를 실현할 수 있다. 글로벌 셔터는 노광의 시작과 동시에 이미지 센서 전면을 이용해 노광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셔터는 이미지 센서 전면의 노광을 동시에 종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셔터의 셔터 속도가 빠르고 노광 시간이 짧아지면서 플래시(flash)의 발광 시작 타이밍과 노광 시작 타이밍이 맞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래시 발광량 조절이 필요하다.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파형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한 각각의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 각각의 발광량 중 플래시의 사전 발광 시 획득된 필요 발광량을 충족시키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하는 단계는,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된 것으로 결정되면, 외장형 플래시로부터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세기로 외장형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이용해 노광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하는 단계는,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의 발광 시간보다 노광시간의 길이가 짧으면, 노광 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노광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재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재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세기로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노광시간의 길이가 플래시의 발광 시간보다 짧으면, 셔터 속도를 느리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획득하는 단계는,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 및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이용하여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가이드 넘버 및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에 따른 도달거리 및 가이드 넘버에 따른 발광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는, 플래시;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제어하는 플래시 발광 제어부; 및 플래시 발광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파형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한 각각의 발광량을 계산하고, 각각의 발광량 중 플래시의 사전 발광 시 획득된 필요 발광량을 충족시키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하고,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를 플래시 발광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계산하고, 계산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된 것으로 결정되면, 외장형 플래시로부터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외장형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할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이용해 노광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의 발광 시간보다 노광시간의 길이가 짧으면, 노광 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노광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재계산하고, 플래시 발광 제어부는, 재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계산된 노광시간의 길이가 플래시의 발광 시간보다 짧으면, 셔터 속도를 느리게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결정하는 충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 및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비율을 이용하여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가이드 넘버 및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에 따른 도달거리 및 가이드 넘버에 따른 발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의 촬상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가이드 넘버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a 및 도18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프로세서 기술에서는 하나의 명령으로 하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 (Single Instruction Single Data)을 채용한 스칼라 (Scalar) 프로세서가 있다.. 스마트 폰, 고해상도 TV등의 기술 발전으로 영상처리 또는 그래픽 렌더링(rendering)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높은 연산 능력을 갖는 프로세서의 필요성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단일 명령으로 복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을 채용한 벡터 (Vector) 프로세서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 넘버(GN,Guide Number)’란 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에서 적정한 노출을 얻을 수 있도록 플래시의 광량을 표시한 숫자이다. 약자로 GN이며 가이드 넘버의 수치가 클수록 발광량도 많아진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의 촬상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촬상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촬상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촬상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촬상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2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장치(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210), 통신 모듈(220), 가입자 식별 모듈(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 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2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촬상 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컬러(color) 센서(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254), 키(key)(2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도 1의 디스플레이(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272), USB(universal serial bus)(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플래시를 제어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촬상 장치(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촬상 장치(2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300)는 제어부(305),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 플래시(312), 충전 제어부(315), 핫슈 I/F(320), 저장부(325), 램(330), 표시부(335), 전력부(340), SD 카드 I/F(345), 이미지 센서(350), 아날로그 프론트엔드(355), 렌즈(360), 렌즈 마운트 I/F(365) 및 입력부(3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촬상 장치(300)는 도 2의 카메라 모듈(291)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장치(300)의 여러 가지 동작을 제어할 수 잇다. 예를 들어 제어부(305)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ecssor)가 될 수 있다. 제어부(305)는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305)는 저장부(325)에 저장된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5)는 플래시의 사전 발광을 통해 필요한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장치(300)가 피사체를 촬영할 때 필요한 발광량을 계산하기 위해 사전 발광을 할 수 있다. 필요한 발광량이란 장치(300)가 피사체를 촬영할 때 광량이 부족할 경우,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가 발광하여 보충해야할 발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5)는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가 임시 가이드 넘버 1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발광한 뒤의 광량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발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305)는 필요한 발광량에 대응하는 가이드 넘버 3을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의 주 가이드 넘버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획득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파형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세기를 y축, 발광 시간을 x축으로 하는 발광 파형을 그린 그래프와 x축 사이의 면적을 계산하여 발광 파형 데이터의 파형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계산된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한 각각의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각각의 발광량들 중 필요한 발광량을 충족시키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5)는 계산된 발광량이 필요한 발광량과 동일하거나 더 클 경우에, 계산된 발광량이 필요한 발광량을 충족시켯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05)는 필요한 발광량을 충족시킨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플래시의 발광량에 대응하는 가이드 넘버가 10이라면, 가이드 넘버를 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는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플래시(312)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된 가이드 넘버가 10일 경우에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는 가이드 넘버 10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플래시(312)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파형 데이터에는 몇 가지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5)는 2개의 가이드 넘버 사이의 값을 가지는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5)는 가이드 넘버가 2 인 발광 파형 데이터와 가이드 넘버가 10인 발광 파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이드 넘버가 6인 발광 파형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계산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이용해 노광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5)는 사전 발광을 통해 피사체 반사광으로부터 피사체 상황을 판단할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305)는 피사체 상황에 적합한 셔터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5)는 피사체 상황에 적합한 조리개 값을 계산할 수 잇다.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305)는 계산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이용해 노광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의 발광 시간보다 노광시간의 길이가 짧으면, 노광 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계산된 노광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재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시의 발광 시간 보다 노광 시간이 짧으면, 짧은 시간동안 더욱 강한 발광이 필요하므로 제어부(305)가 계산했던 가이드 넘버보다 더 큰 가이드 넘버를 주 가이드 넘버로 재계산할 수 있다.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는, 재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발광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계산된 노광시간의 길이가 플래시의 발광 시간보다 짧으면, 셔터 속도를 느리게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315)는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플래시의 충전이 완전하지 않고, 순간 발광 강도가 완전 충전시보다 약해질 수 있다. 이때의 플래시의 발광 파형은 완전 충전일 때의 발광 파형과 다르므로 충전 제어부(315)는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305)는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 및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이용하여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저장부(325)는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325)는 동일한 가이드 넘버에 대하여 플래시의 충전 비율이 100%일 때의 발광 세기와 발광 시간에 대한 발광 파형 데이터, 플래시의 충전 비율이 80%일 때의 발광 세기와 발광 시간에 대한 발광 파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5)는 저장부(325)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는 충전 제어부(305)에서 결정된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시간으로 플래시를 발광할 수 있다.
표시부(335)는 계산된 가이드 넘버 및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에 따른 도달거리 및 가이드 넘버에 따른 발광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35)는 ISO감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핫슈 I/F(320)는 장치(300)가 외장형 플래시나 뷰파인더를 연결할 수 있는 확장 단자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 내장된 플래시의 빛이 부족할 경우 외장형 플래시를 핫슈 I/F(32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햇빛이 강한 대낮이나 야간 촬영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외장 뷰파인더를 핫슈 I/F(32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325)는 장치(300)가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램(330)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기억내용을 써넣고 읽어내고 지울 수 있는 기억소자를 말한다. 제어부(305)가 연산한 연산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그것을 다음 연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05)의 연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램(330)은 전력부(340)의 전력이 없으면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없다.
전력부(340)는 장치(3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부(340)는 충전식 배터리, 건전지 또는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SD 카드 I/F(345)는 장치(300)에SD 카드를 연결할 수 있는 확장 단자이다. SD카드는 휴대 전자 기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이다. 장치(300)에 있는 저장부(325)의 용량보다 더 많은 이미지 또는 정보를 저장하고자 할 경우SD카드를 SD 카드 I/F(345)에 연결하여 또 다른 저장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50)는 피사체 정보를 검지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를 말한다. 즉 렌즈(360)를 통해 들어온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이미지로 보여주는 반도체이다.
아날로그 프론트엔드(355) 주 프로세서에 결합되어 통신제어 외에 경우에 따라서는 메시지의 처리까지 하는 기능을 갖는 통신용 프로세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5)의 부하 경감을 위해 이미지 센서(350)에 대한 전처리를 할 수 있다.
렌즈(360)는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키는 도구로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이미지 센서(350)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렌즈 교환식 촬상 장치의 경우 여러 가지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의 종류로는 광각 렌즈, 단초점 렌즈, 망원 렌즈 또는 접사 렌즈 등이 있다.
렌즈 마운트 I/F(365)는 장치(300)와 렌즈(360)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확장 단자이다. 렌즈 마운트 I/F(365)는 렌즈 교환식 촬상 장치에 쓰인다.
입력부(370)는 장치(3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370)로는 키, 버튼 등을 포함할수 있다. 또한 입 력부(370)는 터치패드가 될 수도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300)는 제어부(305),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 충전 제어부(315), 핫슈 I/F(320), 저장부(325), 램(330), 표시부(335), 전력부(340), SD 카드 I/F(345), 이미지 센서(350), 아날로그 프론트엔드(355), 렌즈(360), 렌즈 마운트 I/F(365), 입력부(370) 및 외장형 플래시 제어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형 플래시 제어 장치(400)는 제어부(405), 외장형 플래시 발광 제어부(410), 외장형 플래시(412), 충전 제어부(415), 핫슈 I/F(420), 저장부(425) 및 전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300)는 도 3에 도시된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300)에서 설명한 구성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25)는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외장형 플래시 제어 장치(4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외장형 플래시 제어 장치(400)와 연결된 것으로 결정되면, 외장형 플래시 제어 장치(400)의 저장부(425)로부터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핫슈 I/F(420)를 통해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를 장치(300)의 제어부(405)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외장형 플래시 발광 제어부(410)는 제공받은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외장형 플래시(412)를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력부(430)는 장치(4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부(430)는 충전식 배터리 또는 건전지 등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05)는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외장형 플래시(400)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설시한 플래시 발광 제어부(310), 플래시(312) 및 충전 제어부(315)에 대한 설시는 도 4의 외장형 플래시 발광 제어부(410), 외장형 플래시(412) 및 충전 제어부(415)가 각각 대응하여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플래시(312)를 외장형 플래시(412)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가이드 넘버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광원에서 피사체까지의 도달 거리는 일반적으로 ‘ft’로 표시한다. 도달 거리를 가이드 넘버로 나누면 조리개값(f값) 이다. 플래시의 가이드 넘버는 GV 코드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테이블은 셔터 스피드의 변화에 따른 가이드 넘버를 GV 코드를 이용해 표현한 테이블이다. GV는 최소 28에서 최대 187이 될 수 있다. GV는 가이드 넘버 값(Guide number value)의 약자이다. GV를 구하는 수학식 1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도 5의 테이블을 살펴 보면 GN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GV 값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셔터 스피드(SS, Shutter Speed)가 1/250초에서 1/20000초까지 빨라질수록 가이드 넘버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GV값이 100일 경우 셔터스피드(SS)가 1/12000초 일 경우의 가이드 넘버는 6.73이지만, 셔터 스피드(SS)가 1/20000초 일 경우는 4.86으로 가이드 넘버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셔터 속도가 1/20000초이며, 필요한 가이드 넘버가 5.0일 경우에, 가이드 넘버가 9.72의 발광을 하면, 필요한 발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치(300)는 노광 시간이 짧기 때문에, 필요한 가이드 넘버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ISO감도 값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0)는 노출 파라미터가 프로그램 자동 모드이거나 셔터 속도가 고정이 아니면, 필요한 가이드넘버를 얻기 위해서, 셔터 속도를 조금 늦게 해, 초점값(F값)을 크게 하고, 가이드 넘버만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도 7 의 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해 GV와 발광 시간간의 관계를 표현한 테이블(600)을 도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테이블에서 w0내지 w5는 각각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w0는 최소 GN에서의 발광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w1은 가장 큰 가이드 넘버의 발광 시간이 t2일때의 발광 세기와 동일한 발광 세기를 정점으로 가지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즉, w1은 가장 큰 가이드 넘버에 대한 그래프인 w5 그래프가 t2일 때의 발광 세기인 900과 동일한 발광세기를 정점으로 가진다. w2는 t3일때의 발광 세기가 가장 큰 가이드 넘버의 발광 시간이 t3일때의 발광 세기와 같은 최소의 가이드 넘버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즉, t3일 때 발광 세기가 1000인 최소의 가이드 넘버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w3는 가장 큰 가이드 넘버에 대한 그래프의 발광 시간이 t4일때와 비슷한 발광 시간에 절단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즉 가장 큰 가이드 넘버에 대한 그래프의 발광시간이 t4일 때, t4는 6160(us*10)이므로 이때 이후로 발광 시간이 그대로 6160(us*10)임을 알 수 있다. w4는 가장 큰 가이드 넘버에 대한 그래프의 발광 시간이 t5일때와 비슷한 발광 시간에 절단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즉 가장 큰 가이드 넘버에 대한 그래프의 발광시간이 t5일 때, t5는 22800(us*10)이므로 이때 이후로 발광 시간이 그대로 22800((us*10)임을 알 수 있다. w5는 가장 큰 가이드 넘버의 발광 파형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t0 내지 t6는 발광 시간을 나타낸다. 발광 시간의 단위는 ‘μs*10’으로 마이크로초에 10을 곱한 수를 단위로 한다. t0는 발광 시작점을 나타낸다. t1은 파형이 시작되는 발광 시간을 나타낸다. t2은 파형이 상승중이면서, 파형의 최대 발광 세기의 90%의 발광세기일 때의 발광 시간을 나타낸다. t3은 파형의 최대 발광 세기일 때의 발광 시간을 나타낸다. t4는 파형이 하강중이면서, 파형의 최대 발광 세기의 90%의 발광세기일 때의 발광 시간을 나타낸다. t5는 파형이 하강중이면서, 파형의 최대 발광 세기의 50%의 발광세기일 때의 발광 시간을 나타낸다. t6는 파형이 끝날 때의 발광 시간을 나타낸다.
ht0 내지 ht6는 각각의 발광시간 t0 내지 t6에 대응하는 발광 세기를 나타낸다. 발광 세기는 최대치를 1000으로 하였을 때의 비율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발광 세기가 최대치의 50%에 해당하면 발광 세기는 500으로 표현한다. 최소 발광일 때의 최대 발광 세기는 352이다. 즉, wo 그래프의 최대 발광 세기는 352이다. 최대 발광일 때의 최대 발광 세기는 1000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 도시한 테이블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넘버의 변화에 따라 발광 파형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를 통해 플래시의 가이드 넘버를 발광 시간에 의해 제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 은 도7의 w0그래프와 w1그래프 사이의 여러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음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때 w0 그래프의 GV는 는 28에 해당하고, w1 그래프의 GV는 110에 해당한다. 따라서 두 그래프 사이의 값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이용하여 GV가 44, 60, 76 및 92일 때의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도 9 은 도7의 w1그래프와 w2그래프 사이의 여러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음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때 w1 그래프의 GV는 110에 해당하고, w1 그래프의 GV는 132에 해당한다. 따라서 두 그래프 사이의 값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이용하여 GV가 114, 118, 122 및 127일 때의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W1그래프와 w2그래프의 각 발광시간에 대응하는 점을 잇는 선분에 대하여 비례적으로 분할하여 여러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도 10 은 도7의 w2그래프와 w3그래프 사이의 여러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음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때 w2 그래프의 GV는 는 132에 해당하고, w3 그래프의 GV는 155에 해당한다. 따라서 두 그래프 사이의 값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이용하여 GV가 136, 141, 146 및 151일 때의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w2그래프는 발광 시간이 t3에서 고정되므로 t4, t5에 해당하는 발광세기와 w3 그래프의 발광 세기에 대응하는 점을 잇는 선분을 이용하여 여러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도 11 은 도7의 w3그래프와 w4그래프 사이의 여러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음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때 w3 그래프의 GV는 는 155에 해당하고, w4 그래프의 GV는 177에 해당한다. 따라서 두 그래프 사이의 값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이용하여 GV가 159, 164, 168 및 172일 때의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w3그래프는 발광 시간이 t4에서 고정되므로 t5, t6에 해당하는 발광세기와 w4 그래프의 발광 세기에 대응하는 점을 잇는 선분을 이용하여 여러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도 12 는 도7의 w4그래프와 w5그래프 사이의 여러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음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때 w4 그래프의 GV는 는 177에 해당하고, w5 그래프의 GV는 187에 해당한다. 따라서 두 그래프 사이의 값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이용하여 GV가 179, 181, 183 및 185일 때의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w4그래프는 발광 시간이 t5에서 고정되며 발광 시간이 t6일 때 발광세기는 0이다. 이에 여러 가이드 넘버들의 발광시간이 t5일 때는 w5 그래프를 그대로 따라가는 형태가 됨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예측하여 그릴 수 있다.
도 13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노광 시간이 발광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 발광 파형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노광 시간이 발광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파형 면적이 가장 커지는 범위를 노광 시간으로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발광 시간 t2에서 t4 사이의 구간이 노광 시간보다 길경우를 들어 설명하겠다. 노광 시간의 중심을 t3에 두고, 노광 시간의 시작과 종료가 발광시간 t2와 t4 사이에 위치한다면, 플래시는 이때의 발광 타이밍을 사용하여 발광한다. 그러나 노광 시간의 중심을 t3에 두면, t2가 노광 시작보다 뒤에 있을 경우에는 노광 시간의 시작을 t2가 되도록 하는 발광 타이밍을 사용하여 플래시를 발광한다. 만약 노광 시간의 중심을 t3에 두면, t4가 노광 종료보다 앞에 있을 경우에는 노광 시간의 종료가 t4가 되도록 하는 발광 타이밍을 사용하여 플래시를 발광한다.
또 다른 예로 발광 시간 t2에서 t4 사이의 구간이 노광 시간보다 짧을 경우를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발광 시간 t1과 t6의 구간이 노광 시간보다 짧을 경우는, 노광 시간내에 발광이 종료하게 발광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와 다른 예로, 노광 시간의 중심과 (t2+ t4)/2의 시간이 같아지도록 했을 때, 발광 시간 t1이 노광 시작 시간보다 뒤가 될 경우에는, 노광 시작시가 t1이 되게 발광 타이밍을 결정한다. 그러나 발광 시간 t6가 노광 종료 시간보다 앞이 되면, t6가 노광 종료시가 되게 발광 타이밍을 결정한다.
위와 같은 방법은 발광 파형의 정점인 t3의 발광 시간에 반드시 노광되므로, 효율이 좋으며. 발광의 상태에 따른 차이가 크더라도 영향이 적다.
또, 별도의 방법으로서, 발광 시간이 노광 시간보다 길 경우에 가장 면적이 큰 노광 타이밍을 이용할 수 있다. 발광 파형의 t2 내지 t4구간이 노광 시간보다 길 경우, 노광 시작시를 t3로 하고, 노광 종료가 t3가 될 때 까지 조금씩 노광 구간을 이동시키면서 면적을 계산하고, 가장 면적이 커질 때 노광 시작 또는 종료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와 달리 발광 파형의의 t2 내지 t4구간이 노광 시간보다 짧을 경우, 처음에는 노광 시작을 t2로 하고, 노광 종료가 t4이 될 때까지, 조금씩 노광 구간을 이동시키면서 면적을 계산하고, 가장 면적이 커질 때 노광 시작 또는 종료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서는 GV가 92인 발광 파형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3에서는 발광 시간이 노광 시간보다 짧지 않은 경우로 전체 파형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체 파형의 면적은 1번 도형부터 5번 도형까지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1번 도형의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2번, 3번 및 5번 도형의 넓이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4번 도형의 넓이는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도 14에서는 t1과 t2의 발광 시간 사이에 장치(300)가 노광을 시작해서 t5와 t6 의 발광 시간 사이에 장치(300)가 노광을 종료할 때 노광 시간 동안에 발광 파형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발광 파형의 면적은 1번 도형부터 5번 도형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1번 도형의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2번 도형의 넓이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3번 내지 5번 도형의 넓이는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도 15에서는 t1과 t2의 발광 시간 사이에 장치(300)가 노광을 시작해서 t4와 t5 의 발광 시간 사이에 장치(300)가 노광을 종료할 때 노광 시간 동안에 발광 파형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발광 파형의 면적은 1번 도형부터 4번 도형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1번 도형의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2번 도형의 넓이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3번 및 4번 도형의 넓이는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도 16에서는 t2과 t3의 발광 시간 사이에 장치(300)가 노광을 시작해서 t3와 t4 의 발광 시간 사이에 장치(300)가 노광을 종료할 때 노광 시간 동안에 발광 파형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발광 파형의 면적은 1번 도형 및 2번 도형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1번 도형의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2번 도형의 넓이는 2개의 사다리꼴의 넓이의 합을 구하면 된다. 이 밖에 위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장치(300)의 노광 시작이 t1과 t2사이에 있고, 노광 종료가 t3-t4사이에 있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0)의 노광 시작이 t2과 t3사이에 있고, 노광 종료가 t4-t5사이에 있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300)의 노광 시작이 t2과 t3사이에 있고, 노광 종료가 t5-t6사이에 있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노광 시간이 짧아지면 가이드 넘버는 작아진다. 따라서 노광 시간이 매우 짧으면, 최소 가이드 넘버 때의 발광 파형보다 면적이 작아져 GV와 면적간의 그래프를 그릴 때 존재하지 않는 면적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GV가 0이 되는 곳(즉, 가이드 넘버가 1인 지점)까지 그래프를 연장하여 그려두거나, 실제 발광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700에서는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에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된 것으로 결정되면, 외장형 플래시로부터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710에서는, 획득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파형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한 각각의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 및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이용하여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1720에서는, 각각의 발광량 중 플래시의 사전 발광 시 획득된 필요 발광량을 충족시키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계산할 수있다. 이후에 계산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이용해 노광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나아가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의 발광 시간보다 노광시간의 길이가 짧으면, 노광 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계산된 노광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재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계산된 노광시간의 길이가 플래시의 발광 시간보다 짧으면, 셔터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단게 s1730에서는,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세기로 외장형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재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세기로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가이드 넘버 및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에 따른 도달거리 및 가이드 넘버에 따른 발광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1800에서는 외장형 플래시(400) 장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외장형 플래시(400)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는 단계 s1805로 가서 외장형 플래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외장형 플래시에 대한 가이드 넘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도 있다. 또한 외장형 플래시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시의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외장형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s1805에서 외장형 플래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는 단계 s1810에서, 반셔터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만약에 단계 s1800에서 외장형 플래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바로 단계 s1810으로 가서 반셔터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단계 s1810에서 반셔터가 작동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반셔터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단계 s1810에서 반셔터가 작동하였다면 단계 s1815에서 자동 초점 또는 자동 노출을 결정할 수 있다. 자동 초점이란 피사체에 초점이 자동으로 맞춰지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노출이란 촬영 시 영상 포착을 위해 이미지 센서에 광선을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명암을 정확하게 재현하려면 노출이 부족하거나 많아서는 안 된다. 노출은 렌즈를 통과하는 광량, 렌즈 조리개 및 셔터 속도에 의해 조절된다. 피사체에 대해 정상 노출일 때보다 광량이 부족하거나 노출 시간이 짧아 발생하는 노출 부족 현상은 영상을 전반적으로 어둡게 만든다. 반대로 광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노출 시간이 정상보다 초과될 때는 노출 과다 현상이 생기는데 이것은 화면을 지나치게 밝게 만들어 밝은 면이 하얗게 나타나 영상의 디테일이 사라진다. 자동 노출이란 촬영시 피사체가 적절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노출 값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후에 단계 s1820에서는 셔터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1820에서 셔터가 작동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셔터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단계 s1820에서 셔터가 작동하였다면 단계 s1825에서 플래시의 사전 발광을 위한 임시 가이드 넘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에 단계 s1830에서 플래시를 이용해 사전 발광을 할 수 있다. 이때 플래시는 내장형 플래시 또는 외장형 플래시를 이용할 수 있다. 사전 발광이란 피사체를 촬영할 때 플래시의 발광을 하기 전에, 적절한 플래시의 발광량을 계산하기 위해 플래시를 임시로 발광하는 것이다. 사전 발광을 통해 얻은 정보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때 필요한 플래시의 발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단계 s1835에서는 플래시의 주 발광을 위한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830에서 사전 발광한 뒤에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발광을 통해 필요한 발광량을 계산한 뒤, 주 발광에 사용할 가이드 넘버를 계산할 수 있다.
도 18a의 단계 s1835 다음의 ‘A’는 도 18b의 ‘A’와 연결된다. 이에 도 18a의 단계 s1835 다음으로 도 18b의 단계 s1840가 연결된다.
단계 s1840에서는 노광 시간이 발광 시간보다 짧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단계 s1840에서 노광 시간이 발광 시간보다 짧았다면 단계 s1845에서 주 가이드 넘버를 재계산할 수 있다. 이때 주 가이드 넘버는 이전에 계산했던 주 가이드 넘버보다 더 큰 주 가이드 넘버로 재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계산했던 주 가이드 넘버가 28이었을 경우 주 가이드 넘버를 29로 재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단계 s1850에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량이 필요한 플래시의 발광량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플래시의 발광량을 충족시켰는지 여부는,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량이 필요한 플래시의 발광량과 동일하거나 더 큰 경우에 충족시켰다고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필요한 플래시의 발광량을 충족하지 않았다면 다시 단계 s1845로 가서 주 가이드 넘버를 재계산할 수 있다. 만약에 필요한 플래시의 발광량을 충족하였다면 단계 s1855로 가서 충족된 발광량에 대응하는 가이드 넘버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단계 s1860에서는 획득된 가이드 넘버를 플래시의 주 발광을 위한 주 가이드 넘버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에 단계 s1840에서 노광 시간이 발광 시간보다 짧지 않다면 바로 단계 s1865로 가서 처음에 계산했던 주 가이드 넘버를 플래시의 주 발광을 위한 주 가이드 넘버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에 단계 s1870에서는, 설정된 주 가이드 넘버를 이용하여 플래시 발광을 하고 피사체에 대하여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875에서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촬영한 사진을 처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1880에서는 처리한 이미지를 SD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에 촬상 장치에 내장 메모리가 있다면 처리한 이미지를 내장 메모리에 저장할 수 도 있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예시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9)

  1.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상기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파형 면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면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한 각각의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발광량 중 상기 플래시의 사전 발광 시 획득된 필요 발광량을 충족시키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 파형 데이터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외장형 플래시로부터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상기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세기로 상기 외장형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이용해 노광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의 발광 시간보다 상기 노광시간의 길이가 짧으면, 상기 노광 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노광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재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재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세기로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노광시간의 길이가 상기 플래시의 발광 시간보다 짧으면, 셔터 속도를 느리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발광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 및 상기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가이드 넘버 및 상기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에 따른 도달거리 및 상기 가이드 넘버에 따른 발광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상기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제어하는 플래시 발광 제어부; 및
    상기 플래시 발광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상기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파형 면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면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한 각각의 발광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각의 발광량 중 상기 플래시의 사전 발광 시 획득된 필요 발광량을 충족시키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를 상기 플래시 발광 제어부에 제공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 파형 데이터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 이외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외장형 플래시와 연결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외장형 플래시로부터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넘버들에 대응하는 상기 플래시의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를 포함하는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상기 외장형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이용해 노광 시간을 계산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의 발광 시간보다 상기 노광시간의 길이가 짧으면, 상기 노광 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노광시간에 대응하는 발광량에 대응하는 주 가이드 넘버를 재계산하고,
    상기 플래시 발광 제어부는,
    상기 재계산된 주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 시간 및 발광 세기로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상기 노광시간의 길이가 상기 플래시의 발광 시간보다 짧으면, 셔터 속도를 느리게하는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의 충전 비율을 결정하는 충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 비율에 따라 다른 발광 파형 데이터 및 상기 결정된 플래시의 충전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 파형 데이터의 면적을 계산하는 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가이드 넘버 및 상기 가이드 넘버에 대응하는 발광에 따른 도달거리 및 상기 가이드 넘버에 따른 발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50177372A 2015-12-11 2015-12-11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장치 KR10244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372A KR102449873B1 (ko) 2015-12-11 2015-12-11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장치
US15/374,731 US10225482B2 (en) 2015-12-11 2016-12-09 Method of controlling photographing device including flash,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372A KR102449873B1 (ko) 2015-12-11 2015-12-11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757A true KR20170069757A (ko) 2017-06-21
KR102449873B1 KR102449873B1 (ko) 2022-10-04

Family

ID=5902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372A KR102449873B1 (ko) 2015-12-11 2015-12-11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25482B2 (ko)
KR (1) KR102449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688A1 (ko) * 2018-07-16 2020-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6073B2 (ja) * 2016-05-20 2021-04-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発光制御方法
JP2017211483A (ja) * 2016-05-25 2017-11-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フラッシュ装置および発光量制御方法
US20190202372A1 (en) * 2018-01-03 2019-07-04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Vehicular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7920A1 (en) * 2010-02-01 2011-08-04 Yoshinao Shimada Photographing apparatus
US20120194732A1 (en) * 2011-02-02 2012-08-02 Sony Corporation Photograph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139A (ja) * 2003-12-26 2005-07-1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JP4845832B2 (ja) * 2007-08-07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443916B2 (ja) * 2008-09-19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本体
JP5625370B2 (ja) 2010-01-29 2014-11-19 オムロン株式会社 照明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照明装置
JP5541938B2 (ja) 2010-02-01 2014-07-09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
JP5683842B2 (ja) 2010-05-28 2015-03-1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
US8224176B1 (en) * 2011-01-10 2012-07-17 Eastman Kodak Company Combined ambient and flash exposure for improved image quality
JP5854468B2 (ja) * 2012-01-25 2016-02-09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非接触放電評価方法及び装置
JP2014002248A (ja) * 2012-06-18 2014-01-09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7920A1 (en) * 2010-02-01 2011-08-04 Yoshinao Shimada Photographing apparatus
US20120194732A1 (en) * 2011-02-02 2012-08-02 Sony Corporation Photograph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688A1 (ko) * 2018-07-16 2020-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8406A (ko) * 2018-07-16 202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873B1 (ko) 2022-10-04
US10225482B2 (en) 2019-03-05
US20170171447A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355B1 (ko) 듀얼-렌즈 장치의 촬영 방법, 및 듀얼-렌즈 장치
ES2868075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aparato de control, dispositivo de formación de imágenes y dispositivo electrónico
US7414667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or relaxing a red-eye effect
JP5096017B2 (ja) 撮像装置
KR102449873B1 (ko) 플래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촬상장치
US9185300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cene catergory determin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1033569A (zh) 使用深度图编辑图像的装置及其方法
US85935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flash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and apparatus
US95602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KR20190025373A (ko)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의 동기화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JP2015061120A5 (ko)
US20150309390A1 (en) Image pickup apparatus enabling automatic irradiation direction control, lighting device, image pickup system, automatic irradiation dire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KR20100023597A (ko)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JP591124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14229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335497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056709A (ja) 撮像装置
JP2013097715A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13062A (ja) カメラ
JP626295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7011351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8199461A (ja) 撮像装置
US9736387B2 (en) Irradiation device, irradiation method, and program for switching irradiation regions
JP5625711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137343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