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894A -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894A
KR20170068894A KR1020150175923A KR20150175923A KR20170068894A KR 20170068894 A KR20170068894 A KR 20170068894A KR 1020150175923 A KR1020150175923 A KR 1020150175923A KR 20150175923 A KR20150175923 A KR 20150175923A KR 20170068894 A KR20170068894 A KR 20170068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en
strain
present
flour
cj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894A/ko
Publication of KR2017006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8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using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C12R1/0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글루텐 함유 곡류(밀, 호밀, 보리, 귀리 등) 가루를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곡류 가루에 존재하는 글루텐을 분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조된 글루텐 분해 곡류 가루를 이용하여 국수, 우동, 피자 및 빵 등 대중적인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어 글루텐 불내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셀리악 질병 또는 글루텐 알레르기 등으로 인해 곡류 가루 가공 식품을 섭취하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Weissella confusa CJE-0201 strain having gluten degradation activity from salted seafood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밀가루는 우리나라 식품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원료의 하나로서 주용도는 제면·제과·제빵으로 2001년도 밀가루 생산량은 1,779,000 만톤으로, 이 중 제면용이 37.7%, 제과·제빵용이 21.9%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밀가루는 강력 밀가루, 중력 밀가루, 박력 밀가루로서 1986년부터 생산된 혼합 밀가루와 전립 밀가루가 있는데, 혼합 밀가루는 제면용으로 중력 밀가루에 속한다. 전립 밀가루는 밀 전체를 분쇄한 것으로 특수 제빵·제과용으로 이용되며, 강력 밀가루는 주로 미국의 경질봄 밀(Dark Northern Spring, DNS)로 만들며, 1991년부터 캐나다의 CWRS(Canada Western Red Spring)도 제빵용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중력 밀가루는 미국 밀을 원료로 하는 경우 흰 밀(Western White)과 경질 겨울 밀(Hard Red Winter)을 같은 비율로 섞어 제분하여 생산하며 주로 제면용과 가정용 다목적 밀가루로 쓰이고 있다. 최근에는 제면용 밀가루로 호주 밀을 이용하기도 하며, 호주 밀은 크게 호주 표준 흰 밀(Australian Standard White), 호주 흰 밀(Australian White)과 호주 경질 밀(Australian Hard)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 국수 종류의 다양화와 품질의 고급화에 따라 호주 밀의 주종인 ASW의 선호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도입량 면에서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밀가루의 경우, 100여 년 동안 체계적인 연구 축적과 산업화가 이뤄져 각각의 음식에 최적화된 수백 가지 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밀을 주식으로 하는 서구 사회에서는 대부분 밀가공 식품인 빵, 과자, 국수, 튀김, 피자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탄수화물을 주로 하는 가공에 있어서 밀 가공식품은 거의 대부분이다. 최근 국내의 경우에서도 음식문화가 점차적으로 서구화되면서 쌀이 주식이기는 하나 매년 1인당 쌀 소비량이 1998년에 99.2 kg에서 2009년에는 77.4 kg으로 약 23 % 감소하고 있으며, 쌀 대신 밀가루 음식의 소비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보리나 밀 등 곡류에는 불용성 단백질인 글루텐(Gluten)이 함유되어 있어 자체로 소화가 잘 안 되며 글루텐 불내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글루텐은 밀전분 생산 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물에 불용성 단백질로서, 주로 글리아딘(gliadin)과 글루테닌(gluten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리아딘은 분자량이 30,000∼80,000 Da이고, 글루테닌은 수백만 Da 정도로 큰 분자량을 갖고 있다. 특히, 글루텐의 글리아딘은 알코올에 용해하나 글루테닌은 불용인데, 제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글루테닌이다. 즉, 밀가루를 물과 혼합하면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 결합하여 글루텐을 형성하며, 글루텐 단백질 중 글리아딘은 점성과 신장성이 있고 글루테닌은 탄력성을 가지고 있다. 이 2개의 단백질이 밀가루 종류에 따라 점유하는 비율이 다르게 되며, 이러한 것은 밀가루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성질로서, 예를 들면 빵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강력분용 밀에는 글리아딘이 65%, 글루테닌이 35%이고 케이크류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박력분용 밀에는 글리아딘이 75%, 글루테닌이 25%를 함유하며, 이것의 역할은 빵의 부피와 관계가 있으며 반죽의 골격형성과 발효 중 생성되는 가스를 보유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글루텐은 그 자체로 소화가 잘 안되며 글루텐 불내증에 걸리면 피부, 신경계, 면역계, 체력, 관절, 치아를 비롯하여 행동과 기분까지 악영향을 받게 되며, 흔히 글루텐 알레르기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 병명은 '글루텐 과민성 장 질환'이다.
불내증이란 영양분이 몸 안에 들어왔을 때 우리 몸이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고 거부하는 반응으로 대표적인 예는 글루텐 불내증 증상으로 설사, 복통, 변비, 복부팽만 등 소화기능 장애를 동반하기도 한다. 글루텐 과민성 장 질환은 글루텐을 소화시키는 효소가 없거나 부족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글루텐을 섭취하면 장을 자극하고 장 점막의 돌기가 위축돼 영양소를 흡수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글루텐 부작용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발병으로서 선천적으로 글루텐 소화 효소가 없는 사람에게만 생기는 유전 질병으로 일단 글루텐 과민성 장 질환으로 진단받으면 평생 식사를 통해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을 나타낸다.
흔히 알려져 있듯이 글루텐 저항증인 셀리악 질병(Celiac disease)은 소장에서 일어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장내 영양분 흡수를 저해하는 글루텐에 대한 감수성이 일어남으로써 증세가 나타나는 질병으로서 대부분 유아기에 시작하지만 드물게는 성인이 되어서 처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미국인들 가운데는 최소한 133명 중 1명의 비율로 셀리악 병를 겪고 있으나 이보다 세 배 이상의 인구가 글루텐에 대한 예민 증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최근 유럽인(특히 북유럽)에게 급격히 발생하고 있고 라틴아메리카계인, 흑인 그리고 아시아인 또한 질병 발생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530055호에서는 '비알레르기성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배양물의 제조 방법 및 관련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360379호에서는 '셀리악병에 의한 영향을 받는 사람을 위한 “무글루텐” 블루바인 유제품'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젓갈로부터 분리된 바이셀라 콘퓨사(Weissella confusa) CJE-0201 균주(KCTC12908BP)가 효과적인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상기 유산균을 이용하여 글루텐 함유 곡류(밀, 호밀, 보리, 귀리 등) 가루를 발효시키면 곡류 가루에 존재하는 글루텐을 분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조된 글루텐 분해 곡류 가루를 이용하여 국수, 우동, 피자 및 빵 등 대중적인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관련 식품 업계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gluten)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Weissella confusa) CJE-0201 균주(KCTC12908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글루텐 분해용 미생물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루텐 분해용 미생물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곡류 가루에 처리 후 발효하여 곡류 가루에 존재하는 글루텐을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루텐 프리(gluten-free) 곡류 가루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글루텐 프리 곡류 가루 발효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글루텐 프리 곡류 가루 발효물로 제조된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루텐 함유 곡류(밀, 호밀, 보리, 귀리 등) 가루를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곡류 가루에 존재하는 글루텐을 분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조된 글루텐 분해 곡류 가루를 이용하여 국수, 우동, 피자 및 빵 등 대중적인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어 글루텐 불내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셀리악 질병(Celiac disease) 또는 글루텐 알레르기 등으로 인해 곡류 가루 가공 식품을 섭취하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바이셀라 컨퓨사 CJE-0201 균주의 플레이트 배양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바이셀라 컨퓨사 CJE-0201의 글루텐 발효 전(A), 후(B)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글루텐 함유 배지에서 바이셀라 컨퓨사 CJE-0201에 의한 글루텐 분해능 및 세포성장에 관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gluten)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Weissella confusa) CJE-0201 균주(KCTC12908BP)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 발효식품인 젓갈로부터 글루텐을 분해할 수 있는 유산균을 탐색하고 이들 중에 글루텐 분해능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별하여 글루텐 분해능을 분석하였다. 최종 확보된 유산균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15년 09월 18일자로 기탁하여 기탁번호(Weissella confusa CJE-0201 KCTC 12908BP)를 부여받음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글루텐 불내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셀리악 질병(Celiac disease)은 몇몇 곡물에 자연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저장" 단백질인 글루텐의 섭취에 의하여 일어나는, 장질환성의(enterophatic), 만성, 면역 매개형 염증 질병이다. 이러한 음식 불내증은 밀가루 글루텐, 스펠트(밀가루의 일종), 카무트(kamut) 및 스펠라 (밀가루의 일종), 보리, 호밀, 라이밀(밀가루와 호밀의 교잡종) 및 그 파생물의 전형적인 단백질 분획들의 섭취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반응하는 면역 시스템을 갖는 유전학적 소인이 있는(predisposed)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몇몇 개인들은 귀리 단백질에 대해 불내성인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적으로 "글루텐"이라는 용어는 "글리아딘"이라고 불리우는 간단한 프로라미닉(prolaminic) (프롤린이 풍부한) 단백질과 상기에서 언급한 곡물들의 단백질인 "글루테닌"이라고 불리우는 글루테리닉(glutelinic)(글루타민이 풍부한) 단백질의 조합을 말한다. 셀리악병과 관련하여, "글루텐"은 글루텐을 형성하는 다양한 단백질 분획을 비롯하여, 흔히 곡물에 포함되는 단백질들을 통칭하는데 이용되며, 이 중에서 글리아딘이 가장 유해한 것으로 여겨진다. 셀리악병의 발달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가능성은 지금까지는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전 생애에 걸쳐 엄격하게 무글루텐 식사를 하는 것이 오직 셀리악병에 걸린 사람들에게 완벽한 건강을 보장해줄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글루텐(gluten) 분해용 미생물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바이셀라 콘퓨사(Weissella confus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이셀라 콘퓨사(Weissella confusa) CJE-0201 균주(KCTC12908BP)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루텐(gluten) 분해용 미생물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바이셀라 콘퓨사(Weissella confusa) CJE-0201 균주(KCTC12908BP)이다.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유산균 균주 및 유산균 배양액, 입상, 고상 등 대상 곡류의 종류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제형화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곡류 가루에 처리 후 발효하여 곡류 가루에 존재하는 글루텐(gluten)을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루텐 프리(gluten-free) 곡류 가루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곡류는 밀, 호밀, 보리, 귀리, 스펠트(spelt) 및 카무트(kamu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글루텐 프리(gluten-free) 곡류 가루 발효물을 제공한다. 상기 "글루텐 프리 곡류 가루 발효물"은 글루텐이 완전히 제거된 곡류 가루 발효물 외에도 글루텐이 대부분 제거된 곡류 가루 발효물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글루텐 프리(gluten-free) 곡류 가루 발효물로 제조된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으로는 글루텐 프리 곡류 가루 발효물로 제조된 국수, 우동, 과자, 라면, 피자 또는 빵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글루텐 분해 유산균의 확보
각종 젓갈로부터 글루텐 분해능을 갖는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종 젓갈을 무균적으로 잘게 다진 다음, 이 중 1g을 취하여 멸균 생리식염수(0.85% NaCl) 9 ㎖에 현탁하고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글루텐 1%가 함유된 MRS 고체 배지에 각각 도말하였다. 30℃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나타난 콜로니(colony) 주변에 글루텐을 분해하면서 발생되는 환(Clear zone)을 형성하는 미생물만을 분리하였다. 이어 상기 젓갈로부터 순수 분리한 미생물을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30℃에서 배양하였으며, 이때 형성된 집락을 20% 글리세롤 용액에 현탁시킨 후 -8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하기 글루텐 분해 유산균의 탐색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젓갈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의 분류학적 성질 및 유전학적 동정
분리 유산균은 엠알에스 액체배지(MRS broth)에서 24시간 배양한 배양액이나 엠알에스 고체배지(MRS 아가)의 단일 콜로니를 CHL 배지에 접종한다. API 50 CHL 스트립은 건조된 기질을 함유하고 있는 50개의 튜브로 되어 있다. 각 캡슐에 시험균을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색의 변화를 체크하였다. 50개 탄수화물이 유일한 탄소원으로 들어있는 키트의 캡슐에 배양한 후 시험균이 당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색의 변화로 판정할 수 있다. 보라색의 배지는 각각의 당을 이용하면서 노란색으로 변하게 되며, 이를 양성(+)으로 표시하였다. 결과 값은 API 웹사이트에 있는 웹 소프트웨어에서 확인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API 50 CHL
Control - Esculin +
Glycerol - salicin +
Erythritol - D-cellobiose +
D-Arabinose - D-maltose +
L-Arabinose + D-lactose -
Ribose + D-melibiose -
D-xylose + D-sacharose +
L-xylose - D-trehalose -
Adonitol - Inulin -
Methyl-B-D-Xylopyranoside - D-melezitose -
D-galactose - D-raffinose -
D-glucose + Amidon -
D-fructose + Glycogene -
D-mannose + Xylitol -
L-sorbose - Gentiobiose -
L-rhamnose - D-turanose -
Dulcitol - D-Lyxose -
Inositol - D-Tagatose -
D-mannitol - D-Fucose -
D-sorbitol - L-Fucose -
Methyl-a,D-Mannopyranoside - D-Arabitol -
Methyl-a,D-Glucopyranoside - L-Arabitol -
N-Acetyl-Glucosamine + Gluconate +
Amygdaline + 2-Keto-Gluconate -
Arbutin + 5-Keto-Gluconate -
동정결과: Weissella confusa
API 50 CHL kit 동정, + : 양성, - : 음성
또한 분리 균주의 유전학적 동정을 위해서 엠알에스 액체배지에 접종한 다음 37℃에서 18시간 2차 계대 배양하여 배양액 2mL을 4,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세포 침전물을 0.85% NaCl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리소자임(lysozyme, 10 mg/mL) 0.5 mL을 첨가하여 37℃,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 K(Protease K) 20㎕와 10%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25㎕를 첨가한 후, 60℃ 워터배스(water bath)에서 30분 처리한 후 RNA 분해효소인 알엔에즈(RNase) 1㎕ 첨가하여 37℃, 1시간 처리하였다. 동량의 페놀(Phenol)-클로로포름(Chloroform)-이소밀 알콜(Isoamyl alcohol)을 25:24:1의 비율로 첨가하여 현탁한 후, 14,000 rpm으로 5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취한 다음, 이와 같은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상층액 양의 1/2 양의 3M 암모늄 아세테이트(ammonium acetate, pH 4.8)와 2배 양의 100% 알콜(alcohol)을 첨가하고 -20℃에서 1시간 정치하였다. 3,000 rpm으로 5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 하여 세포 침전물을 확인하고, 상등액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 70% 에탄올(ethanol) 1 mL을 넣고 다시 3,000 rpm으로 5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에 건조시키고 TE 버퍼나 증류수로 현탁하여 DNA를 분리하였다. 미생물의 16s rRNA를 증폭하기 위해 정방향 프라이머(27f) : (5'- AGA GTT TGA TCM TGG CTC AG -3' ; 서열번호 1)와 역방향 프라이머(1492r) : (5'- GGT TAC CTT TGT TAC GAC TT -3' ; 서열번호 2)를 사용하였다. PCR 프리믹스 (Bioneer, Cat No. K-2012)에 증류수 17㎕, 정방향 프라이머 1㎕, 역방향 프라이머 1㎕, DNA 1㎕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PCR을 수행하였다. PCR 조건은 94℃에서 5분간 처리 후, 94℃에서 1분, 62℃에서 40초, 72℃에서 40초로 30회를 반복하였으며, 72℃에서 7분으로 반응을 종료하였다. PCR 반응 산물을 0.8% 아가로스 겔(agarose gel)로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최종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유산균주를 동정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된 균주는 바이셀라 컨퓨사(Weissella confusa)로 나타났으며, 상기 유산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5년 09월 18일 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2908BP).
실시예 3. 바이셀라 컨퓨사 유산균의 글루텐 분해능
글루텐 함유 엠알에스 배지에서 바이셀라 컨퓨사 유산균을 2일 동안 배양한 후, 글루텐 양을 측정하는 분석 키트(gluten assay kit, Neogen)을 이용하여 글루텐 분해능을 분석하였다. 바이셀라 컨퓨사 유산균은 배양 시간 동안 시간별로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각각의 배양액은 증류수로 희석하여 섞어주고 글루텐 함유 마이크로웰 플레이트(microwell plate)에 100 ㎕ 분주하였다. 마이크로웰은 진탕기에서 60분 배양한 후, 마이크로웰 내 액체는 버리고 증류수로 세 번 세척하였다. 그리고 항-글리아딘 퍼록시다제 콘주게이트(단클론 항체)를 100 ㎕ 분주하고 30분 동안 플레이트 쉐이커에서 배양하였다. 세척액을 이용해 세 번 세척한 후, TMB 기질 100 ㎕를 분주하고 평편한 바닥에서 strip를 충분히 섞어주었다. 상온에서 30분 배양한 후, 정지액(stop solution) 50 ㎕를 분주하고 충분히 섞어준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셀라 콘퓨사를 접종하여 2일간 배양한 결과, 배양 내 존재하는 글루텐이 분해되어 맑은 액으로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액 내 존재하는 글루텐의 함량을 정량 분석한 결과, 배양 2일 후에는 완전히 글루텐이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908BP 20150918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Weissella confusa CJE-0201 strain having gluten degradation activity from salted seafood and uses thereof <130> PN15309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ggttaccttt gttacgactt 20

Claims (7)

  1.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gluten)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Weissella confusa) CJE-0201 균주(KCTC12908BP).
  2.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글루텐(gluten) 분해용 미생물제제.
  3. 제1항의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루텐(gluten) 분해용 미생물제제의 제조 방법.
  4.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곡류 가루에 처리 후 발효하여 곡류 가루에 존재하는 글루텐(gluten)을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루텐 프리(gluten-free) 곡류 가루 발효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는 밀, 호밀, 보리, 귀리, 스펠트(spelt) 및 카무트(kamu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루텐 프리(gluten-free) 곡류 가루 발효물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글루텐 프리(gluten-free) 곡류 가루 발효물.
  7. 제6항의 글루텐 프리(gluten-free) 곡류 가루 발효물로 제조된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
KR1020150175923A 2015-12-10 2015-12-10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70068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923A KR20170068894A (ko) 2015-12-10 2015-12-10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923A KR20170068894A (ko) 2015-12-10 2015-12-10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894A true KR20170068894A (ko) 2017-06-20

Family

ID=5928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923A KR20170068894A (ko) 2015-12-10 2015-12-10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4187A (zh) * 2017-10-24 2018-04-13 大连海洋大学 对迟缓爱德华氏菌具有高拮抗作用的融合魏斯氏菌3d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4187A (zh) * 2017-10-24 2018-04-13 大连海洋大学 对迟缓爱德华氏菌具有高拮抗作用的融合魏斯氏菌3d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ng et al. Enhanced nutritional value of chickpea protein concentrate by dry separation and solid state fermentation
Rizzello et al. Characterization of indigenous Pediococcus pentosaceus, Leuconostoc kimchii, Weissella cibaria and Weissella confusa for faba bean bioprocessing
JP5792105B2 (ja) ラクト−n−ビオースiの製造方法
KR101734361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46 균주 및 이의 용도
Roger et al. Nutritional propertie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corn paste (Kutukutu)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KR101374586B1 (ko) 감마 글루타밀트랜스펩티데이스 및 피브린 분해효소의 활성이 높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시엔스 kc41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
Zotta et al.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urdoughs for Cornetto, a traditional bread produced in Basilicata (Southern Italy)
KR101736324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60352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효소 분비능,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및 프리바이오틱스 기질 이용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베리류 발효물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bb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99531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페로렌스 srcm10228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01994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rcm102736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121846A (ko) 글루텐 분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바실루스 및 락토바실루스 균주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컨소시엄
KR101956759B1 (ko) 항균활성, 항산화활성, 세포외 효소 분비능 및 플라보노이드 생성능이 있고, 유해물질 및 유해효소를 생성하지 않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srcm10275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56760B1 (ko) 항균활성, 항산화활성, 세포외 효소 분비능 및 페놀 생성능이 있고, 유해물질 및 유해효소를 생성하지 않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2754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17057455A1 (ja) 発酵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223309B1 (ko)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06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01990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srcm1026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707102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김치 유산균,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70068894A (ko)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바이셀라 콘퓨사 cje-02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20097841A (ko) 알긴산 분해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101960353B1 (ko) 항균활성, 세포외 효소 분비능 및 플라보노이드 생성능이 있고, 유해물질 및 유해효소를 생성하지 않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srcm102742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73069A (ko)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glu7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60355B1 (ko) 항균활성, 항산화활성, 세포외 효소 분비능 및 페놀 생성능이 있고, 유해물질 및 유해효소를 생성하지 않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srcm10275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34363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68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30158695A (ko) 고상발효를 이용한 B.clausii 및 알칼리성 단백질 분해효소의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