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880A -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 Google Patents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880A
KR20170068880A KR1020150175883A KR20150175883A KR20170068880A KR 20170068880 A KR20170068880 A KR 20170068880A KR 1020150175883 A KR1020150175883 A KR 1020150175883A KR 20150175883 A KR20150175883 A KR 20150175883A KR 20170068880 A KR20170068880 A KR 2017006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ending
head
pillow
descending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4620B1 (ko
Inventor
현재훈
현수진
Original Assignee
현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재훈 filed Critical 현재훈
Priority to KR102015017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6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가정이나 보육시설에서 영유아의 등을 바닥에 대고 눕혀 키울 때,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한쪽 방향으로만 장시간 눌림에 따른 위치성 사두증이나 단두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Pillow for preventing positional deformity of head}
본 발명은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영아는 태어나서 약 2세(24개월)까지, 유아는 2세에서 6세까지의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의 아동으로 언급된다.
영유아의 머리뼈는 성인의 머리뼈처럼 딱딱하게 굳지 않은 연성의 성질로 인해, 영유아가 잠자거나 눕혀서 키워질 때, 바닥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위의 영유아 뒷머리는 머리뼈 속 뇌 무게의 압력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이 장시간 지속되면 뒷머리 모양이 납작해지는 사두증(Plagiocephaly)이나 뒷머리 전체가 납작해지는 단두증(Brachycephaly)이라고 불리는 자세성 머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두증에는 진성 사두증과 위치성 사두증이 있다.
진성 사두증은 선천적 질환으로 인해 발생되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반면, 위치성 사두증은 크게 3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데, 영유아가 태어나 두개골이 부드러운 시기에 머리 일부분으로 누워 머리의 무게에 의해 지속적으로 눌려서 두개골의 형태가 변하는 경우, 산도 통과시 머리 한쪽이 강한 압박으로 인해 눌리는 경우, 사경 등의 질환에 의해 계속 한 방향으로만 누워있을 때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위치성 사두증의 원인이 어떠하든 공통적으로 일반 두개골의 한쪽 부분이 지속적 압박에 의해 둥그런 형태가 편평한 형태로 변하게 되고, 일단 편평해지면 영유아의 머리 위치를 바꾸어 눕혀도 계속 편평한 쪽으로 눕게 되어 증상이 더 심해지게 된다.
위치성 사두증의 치료는 머리 위치 수정 방법과 두개골 교정용 헬멧, 수술적 치료 방법 등으로 크게 3가지로 나뉠 수 있다.
수술적 치료의 경우 비대칭이 심해 목에 무리가 가거나 안면 비대칭이 심하게 진행되었거나 1.5~2살 이상 자라 두개골의 칼슘화가 진전되어 두개골 교정으로 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된다.
머리 위치 수정방법은 영유아의 머리가 이미 삐뚤어져 있는 경우 영유아가 자꾸 편평한 쪽으로만 머리를 눕히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영유아 머리 위치를 부모가 바꿔줘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Head positioner', 특수베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보조기의 효과도 일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역시 부모가 지속적으로 영유아의 누운 자세를 관찰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가 최대한 머리의 튀어나온 부분으로 눕지 않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두개골 교정용 헬멧의 경우 맞춤형과 수동형이 있는데, 맞춤형은 영유아 머리 맞춤 특수 헬멧을 제작하여 평상시에 지속적으로 머리의 튀어나온 부위에 일정한 압박을 가하는 방법이나, 부모들 사이에 두뇌 발육에 악영향이 있다는 불안감이 발생되며, 영유아의 머리에 땀이 차기 쉬워 압력이 심한 부위에 발진이나 탈모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수동형은 교정모의 형태를 각각의 영유아의 두상에 맞추지 않고 정상적인 두개골 형태를 띤 교정모로서, 맞춤형이 아닌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 놓은 교정모이다.
이 교정모의 치료 원칙은 영유아가 누울 때만 편평한 가운데 부분이 닿지 않게 함으로써 머리의 무게에 의한 지속적인 압박을 제거해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교정모 역시 부드러운 베개를 받쳐주는 것과 비슷한 정도의 효과만을 줄 뿐 그 치료 효과가 맞춤형 교정모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국내에서도 10여년전 시험적으로 시행되었으나 그 효과가 좋지 않아 현재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의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40616호에는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 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기능성 베개의 경우, 초기 바람직한 위치에 영유아의 머리가 놓여지더라도, 영유아의 뒤척임에 의하여 영유아의 머리가 초기 바람직한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기능성 베개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모들이 수시로 영유아의 머리가 기능성 베개 위에 제대로 놓여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가정이나 보육시설에서 영유아의 등을 바닥에 대고 눕혀 키울 때,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한쪽 방향으로만 장시간 눌림에 따른 위치성 사두증이나 단두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영유아의 머리가 놓이는 본체가 자동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종래 부모들이 수시로 영유아의 머리가 베개 위에 제대로 놓여 있는지를 확인해야 했었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영유아의 머리가 놓이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지지부; 및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며 머리지지부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를 제공한다.
또한, 베개본체부; 베개본체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되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일측이 지지되는 제1승하강부와, 베개본체부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되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타측이 지지되는 제2승하강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부; 및 베개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승하강부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와, 베개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되 제2승하강부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가정이나 보육시설에서 영유아의 등을 바닥에 대고 눕혀 키울 때,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한쪽 방향으로만 장시간 눌림에 따른 위치성 사두증이나 단두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유아의 머리가 놓이는 본체가 자동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종래 부모들이 수시로 영유아의 머리가 베개 위에 제대로 놓여 있는지를 확인해야 했었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100)는, 영유아의 머리가 놓이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지지부(101); 및 하우징(103)과, 하우징(103)에 구비되며 머리지지부(101)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5)를 포함하는 작동부(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머리지지부(101)는 영유아의 머리가 놓이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머리지지부(101)는 오목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베이스판 상부에 라텍스,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뤄진 커버부가 구비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머리지지부(101)의 양단에 돌출된 가이드돌기부(109)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돌기부(109)는 머리지지부(101) 에 놓인 영유아의 머리 양측을 잡아주면서 머리지지부(101)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영유아의 머리가 과도히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머리지지부(10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부(11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압력센서부(115)에서 측정된 압력측정데이터를 토대로 후술할 제어부(117)가 액추에이터부(113)의 작동을 제어하여 머리지지부(101)의 회전 각도가 제어됨으로써,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머리지지부(101)의 상부면에 한쪽 방향으로만 과도히 눌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어서, 작동부(107)는 하우징(103)과, 하우징(103)에 구비되며 머리지지부(101)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5)를 포함한다.
하우징(103)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입체적 구조물로 제공되는데, 하우징(103)의 상부면은 머리지지부(101)의 형상에 대응되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구동부(105)는 하우징(103)에 구비되는데, 구동부(105)는 머리지지부(101)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처럼 하우징(103)에 구동부(105)가 구비됨으로써, 머리지지부(101)가 자동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머리지지부(101)의 상부면에 접하는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위치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바뀌게 됨으로써, 영유아의 뒷머리 모양이 납작해지는 위치성 사두증 또는 뒷머리 전체가 납작해지는 단두증(Brachycephaly) 등이 예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105)의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105)는 머리지지부(10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롤러부(111); 및 롤러부(11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부(113);를 포함한다.
롤러부(111)는 일예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롤러부(111)는 머리지지부(101)의 일측 하부면과 타측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롤러부(111)의 회전량에 따라 머리지지부(101)의 회전이동량이 더욱 정밀하게 조절되도록, 롤러부(111)의 외주면에 요철구조의 고정치들이 형성되고, 머리지지부(101)의 하부면에 고정치들과 치합되는 결합치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부(113)는 롤러부(111)에 연결되어 롤러부(111)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일예로 액추에이터부(113)는 전기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작동부(107)는 배터리부(119)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부(119)는 액추에이터부(113)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액추에이터부(113)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작동부(107)는 통신부(1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부(121)는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부(107)는 스피커부(12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처럼 작동부(107)에 스피커부(123)가 구비됨으로써, 영유아가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하는 음악이 스피커부(123)를 통해 재생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107)는 제어부(117)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부(117)는 일예로 통신부(12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이 제어신호를 통해 액추에이터부(113)와 스피커부(123)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300)는, 베개본체부(301); 베개본체부(30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되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일측이 지지되는 제1승하강부(303)와, 베개본체부(301)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되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타측이 지지되는 제2승하강부(305)를 포함하는 승하강부(307); 및 베개본체부(301)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승하강부(303)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309)와, 베개본체부(301)의 타측에 구비되되 제2승하강부(305)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311)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부(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300)는, 제1승하강부(303)와 제2승하강부(305) 사이에서 베개본체부(301)의 상부에 구비되되,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쿠션지지부(3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쿠션지지부(315)는 일예로 라텍스,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천으로 이뤄진 커버 내에 완충재가 채워진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쿠션지지부(315)는 별도의 독립된 모듈로 만들어져, 베개본체부(301)의 상부에 탈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쿠션지지부(315)를 베개본체부(301)로부터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개본체부(30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입체적 구조물로 제공된다.
이어서, 승하강부(307)는 제1승하강부(303) 및 제2승하강부(305)를 포함한다.
제1승하강부(303)는 베개본체부(30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데, 제1승하강부(303)는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일측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1승하강부(303)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승하강부(303)는, 쿠션지지부(315)의 외부 일측에 회전축(317)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암부(319); 및 제1암부(319)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321);를 포함한다.
제1암부(319)는 일예로 긴 바(bar) 형상으로 제공되어 회전축(317)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제1암부(319)의 외주측에는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이동부(321)는 제1암부(319)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이동부(321)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암부(319)가 제1이동부(321)에 내삽되어 결합된다.
한편, 제1구동부(309)는 베개본체부(301)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승하강부(303)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1구동부(309)의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구동부(309)는 제1이동부(3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암부(323); 및 제1연결암부(323)를 승하강시키는 제1구동력제공부(325);를 포함한다.
제1연결암부(323)는 제1이동부(3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일예로, 제1연결암부(323)의 단부와 제1이동부(321)는 핀결합될 수 있다.
제1구동력제공부(325)는 제1연결암부(323)를 승하강시키게 되는데, 제1구동력제공부(325)는 일예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구동부(309)는 다수의 링크 구조 및 전기모터를 포함하도록 제공되어, 전기모터의 작동에 따라 다수의 링크 구조에 의해 제1암부(319)가 회전축(317)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승하강부(305)는 베개본체부(301)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데, 제2승하강부(305)는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타측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2승하강부(305)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면, 제2승하강부(305)는, 쿠션지지부(315)의 외부 타측에 회전축(327)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암부(329); 및 제2암부(329)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부(33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승하강부(305)는 앞에서 설명한 제1승하강부(303)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구동부(311)는 베개본체부(301)의 타측에 구비되되 제2승하강부(305)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2구동부(311)의 일예를 설명하면, 제2구동부(311)는 제2이동부(3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암부(333); 및 제2연결암부(333)를 승하강시키는 제2구동력제공부(33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구동부(311)는 앞에서 설명한 제1구동부(309)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300)에 제1승하강부(303)와 제2승하강부(305)가 구비됨으로써, 제1암부(319)와 제2암부(329)에 접하는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위치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바뀌게 되어, 영유아의 뒷머리 모양이 납작해지는 위치성 사두증 또는 뒷머리 전체가 납작해지는 단두증(Brachycephaly) 등이 예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유아의 머리 크기에 따라 제1승하강부(303) 또는 제2승하강부(305)의 회전 각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미 위치성 사두증 또는 단두증이 발생된 영유아의 머리 형상을 교정할 때, 영유아 머리의 튀어나온 부분이 쿠션지지부(315)에 위치되도록 하고 제1승하강부(303)와 제2승하강부(305)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영유아 머리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위치성 사두증 또는 단두증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개본체부(301)에는 제1구동력제공부(325)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337)가 구비될 수 있고, 제2구동력제공부(335)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33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개본체부(301)에는 통신부(34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부(341)는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베개본체부(301)에는 스피커부(343)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처럼 베개본체부(301)에 스피커부(343)가 구비됨으로써, 영유아가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하는 음악이 스피커부(343)를 통해 재생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베개본체부(301)에는 제어부(345)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어부(345)는 일예로 통신부(34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이 제어신호를 통해 제1구동력제공부(325), 제2구동력제공부(335) 및 스피커부(343)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승하강부(303), 제2승하강부(305), 쿠션지지부(315)에는 압력센서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압력센서부에서 측정된 압력측정데이터는 제어부(345)로 전송되고, 제어부(345)는 압력측정데이터를 토대로 제1구동력제공부(325)와 제2구동력제공부(335)의 작동을 제어하여서, 영유아의 머리 위치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500)는, 제1승하강부(501)는 쿠션지지부(315)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되 유입되는 유체의 의해 팽창되거나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제1구동부(503)는 제1승하강부(501) 내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승하강부(501)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도록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승하강부(501)는 주머니 구조로 제공되고, 제1구동부(503)는 에어펌프로 제공되어, 제1구동부(503)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주머니 구조의 제1승하강부(501) 내로 유입되면, 제1승하강부(501)가 부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승하강부(505)는 쿠션지지부(315)의 외부 타측에 구비되되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거나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제2구동부(507)는 제2승하강부(505) 내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승하강부(505)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승하강부(505)는 앞에서 설명한 제1승하강부(50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유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는 제1승하강부(501)와 제2승하강부(505)가 구비됨으로써, 제1승하강부(501)와 제2승하강부(505)에 접하는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위치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바뀌게 되어, 영유아의 뒷머리 모양이 납작해지는 위치성 사두증 또는 뒷머리 전체가 납작해지는 단두증(Brachycephaly) 등이 예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승하강부(501)와 제2승하강부(505)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다수의 주머니로 나눠지고, 각각에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영유아의 머리 크기에 따라 좀 더 세밀히 머리의 위치를 잡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개본체부(301)에는 제1구동부(503)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337)가 구비될 수 있고, 제2구동부(507)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33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개본체부(301)에는 통신부(34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부(341)는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베개본체부(301)에는 스피커부(343)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처럼 베개본체부(301)에 스피커부(343)가 구비됨으로써, 영유아가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하는 음악이 스피커부(343)를 통해 재생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베개본체부(301)에는 제어부(345)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어부(345)는 일예로 통신부(34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이 제어신호를 통해 제1구동부(503), 제2구동부(507) 및 스피커부(343)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정이나 보육시설에서 영유아의 등을 바닥에 대고 눕혀 키울 때,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한쪽 방향으로만 장시간 눌림에 따른 위치성 사두증이나 단두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유아의 머리가 놓이는 본체가 자동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종래 부모들이 수시로 영유아의 머리가 베개 위에 제대로 놓여 있는지를 확인해야 했었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101 : 머리지지부
103 : 하우징 105 : 구동부
107 : 작동부 109 : 가이드돌기부
111 : 롤러부 113 : 액추에이터부
115 : 압력센서부 117 : 제어부
119 : 배터리부 121 : 통신부
123 : 스피커부 300 :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301 : 베개본체부 303 : 제1승하강부
305 : 제2승하강부 307 : 승하강부
309 : 제1구동부 311 : 제2구동부
313 : 액추에이터부 315 : 쿠션지지부
317 : 회전축 319 : 제1암부
321 : 제1이동부 323 : 제1연결암부
325 : 제1구동력제공부 327 : 회전축
329 : 제2암부 331 : 제2이동부
333 : 제2연결암부 335 : 제2구동력제공부
337 : 제1배터리부 339 : 제2배터리부
341 : 통신부 343 : 스피커부
345 : 제어부 501 : 제1승하강부
503 : 제1구동부 505 : 제2승하강부
507 : 제2구동부

Claims (8)

  1. 영유아의 머리가 놓이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지지부; 및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머리지지부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머리지지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3. 베개본체부;
    상기 베개본체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되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일측이 지지되는 제1승하강부와, 상기 베개본체부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되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타측이 지지되는 제2승하강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부; 및
    상기 베개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승하강부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베개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승하강부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부와 제2승하강부 사이에서 상기 베개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쿠션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부는,
    상기 쿠션지지부의 외부 일측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암부; 및
    상기 제1암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이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암부; 및
    상기 제1연결암부를 승하강시키는 제1구동력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하강부는,
    상기 쿠션지지부의 외부 타측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암부; 및
    상기 제2암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이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암부; 및
    상기 제2연결암부를 승하강시키는 제2구동력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부는,
    상기 쿠션지지부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되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거나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승하강부 내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승하강부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하강부는,
    상기 쿠션지지부의 외부 타측에 구비되되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거나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승하강부 내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승하강부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KR1020150175883A 2015-12-10 2015-12-10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KR10183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83A KR101834620B1 (ko) 2015-12-10 2015-12-10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83A KR101834620B1 (ko) 2015-12-10 2015-12-10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880A true KR20170068880A (ko) 2017-06-20
KR101834620B1 KR101834620B1 (ko) 2018-03-06

Family

ID=5928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883A KR101834620B1 (ko) 2015-12-10 2015-12-10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6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76A (ko) 2017-12-18 2019-06-26 김진관 아기자세보정용 스마트 모션 제어형 아기침대
KR102075845B1 (ko) * 2018-10-17 2020-02-10 천영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KR20200064400A (ko) * 2018-11-29 2020-06-08 천영호 IoT 기반 원격 수면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11382A (ko) 2020-07-21 2022-01-28 조승만 자동 자세 전환 기구
KR20220072467A (ko) * 2020-11-25 2022-06-02 롤링필로우 주식회사 코골이 방지용 롤링 필로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633A (ja) * 2004-05-12 2005-11-24 Rasuku:Kk 吊りベルト式枕
KR101333221B1 (ko) * 2012-11-12 2013-11-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방지 베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76A (ko) 2017-12-18 2019-06-26 김진관 아기자세보정용 스마트 모션 제어형 아기침대
KR102075845B1 (ko) * 2018-10-17 2020-02-10 천영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WO2020080789A1 (ko) * 2018-10-17 2020-04-23 천영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CN112822963A (zh) * 2018-10-17 2021-05-18 千宁浩 地板固定式滚动枕头
KR20200064400A (ko) * 2018-11-29 2020-06-08 천영호 IoT 기반 원격 수면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11382A (ko) 2020-07-21 2022-01-28 조승만 자동 자세 전환 기구
KR20220072467A (ko) * 2020-11-25 2022-06-02 롤링필로우 주식회사 코골이 방지용 롤링 필로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620B1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620B1 (ko) 두상 변형 예방용 베개
US11141002B2 (en) Infant soothing device with infant resting member having adjustable orientation
US82162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ffecting controlled movement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CN106627280B (zh) 用于汽车座椅的脚踏板
US20070083995A1 (en) Fluidized positioning and protection system
KR20180126325A (ko) 두상 교정 장치
US11583103B2 (en) Infant soothing device and method
CN106726048A (zh) 一种脊柱弯曲变形调整凳
CN113576731A (zh) 用于儿童手术的柔性固定系统及其调节方法
ES2313145T3 (es) Unidad para soportar un bebe.
JP6233847B2 (ja) 気道確保装置
KR101551541B1 (ko)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자세 교정장치
KR101534291B1 (ko) 두상 교정모
JP2001501103A (ja) 足の開き矯正装置
CN214805762U (zh) 侧方渐进撑开型脊柱侧弯矫形支具
CN209694752U (zh) 充气约束颈椎枕
KR101479016B1 (ko) 두상교정 장치
JP2005160728A (ja) ベッド装置
US7197782B1 (en) Nursing aid device and methods of use
WO2018203451A1 (ja) クッション装置
CN219629974U (zh) 患者支撑设备、垫层以及用于垫层的气动系统
CN213962807U (zh) 一种新生儿用枕头
CN213372810U (zh) 一种3d打印的儿童髋关节脱位术后康复辅具
KR20180065150A (ko) 두상 교정용 전신베개
CN209827352U (zh) 一种用于髋关节手术后患者的防护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