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773A - 철근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8773A KR20170068773A KR1020150175658A KR20150175658A KR20170068773A KR 20170068773 A KR20170068773 A KR 20170068773A KR 1020150175658 A KR1020150175658 A KR 1020150175658A KR 20150175658 A KR20150175658 A KR 20150175658A KR 20170068773 A KR20170068773 A KR 201700687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s
- hole
- reinforcing
- compression
- inclined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의 연결부분을 보강함에 따라, 철근 이음장치의 시공 후에 온도 변화에 따른 철근의 반복 신축으로 인하여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양측에 탭부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커플링 하우징과; 각각은 상기 탭부에 체결 장착되고, 내부에는 내측이 넓고 외측이 좁은 원뿔형 관통홀이 형성된 양측의 체결관과; 각각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고, 각각의 내부에는 철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내부 압착홀이 형성되며, 각각은 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원뿔형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내부 압착홀의 직경을 줄어들게 함으로써 철근의 단부를 압착 고정하는 양측의 압착수단과; 양측의 상기 압착수단의 사이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양측의 압착수단을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시켜 양측 철근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의 연결부분을 보강함에 따라, 철근 이음장치의 시공 후에 온도 변화에 따른 철근의 반복 신축으로 인하여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는 철근과 콘크리트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서로 보완되게 일체 시켜 구성한 것으로, 콘크리트 압축응력에 대한 저항력 및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응력에 대한 저항력 즉, 인장강도가 약해 약간의 인장응력으로도 균열이 생겨 파괴된다.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철근을 배치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에는 압축응력을 철근에는 인장응력을 각각 부담시켜 서로 협력하여 외력에 저항할 수 있게 조성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의 생산방식에 있어서 시공의 가장 기초공정이 되는 배근공정은 철근콘크리트의 수명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여기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내입되는 철근의 길이도 연장되게 되는데, 철근의 경우 일정길이의 규격품으로 그 길이가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철근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이음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철근 이음 방법은 주로 겹이음, 가스압접 이음 및 기계적 이음 들이 이용되며, 특히 철근의 형상에 기계적, 물리적 변화를 주지 않고 철근을 연결시키는 기계적 이음 방법은 정하중과 동하중을 충분히 흡수하여 철근 이음 부분의 내구성을 지니도록 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시공을 확보할 수 있는 연결장치이다.
이에, 종래의 철근 이음장치의 일예로 본 출원인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90382호의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이하, "종래의 철근 이음장치"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는, 단부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종방향의 고정나사 삽입구가 형성되는 커플링 하우징과,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수개로 분할된 철근 압착구와, 상기 고정나사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각 철근 압착구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 일정길이가 상기 철근 압착구에 의해 압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철근 압착구는, 상기 고정나사와 일측면이 접촉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단부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압착 날개부와, 상기 각 압착 날개부의 내측면상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하우징은 단부에 탭부가 형성된 하나의 하우징과, 단부에 상기 탭부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커플링 하우징으로 두 개의 하우징이 체결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철근이음장치는, 철근의 단부가 연결되는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 단부가 커플링 하우징으로만 구성됨으로써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 강도가 가장 취약하다.
따라서 종래의 철근 이음장치를 건물에 시공한 상태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철근의 반복 신축으로 인하여 커플링 하우징에서 강도가 가장 취약한 연결부분에 클랙등의 손상이 발생됨으로써, 시공된 철근의 강도를 급격하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근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커플링 하우징이 두 개 하우징의 결합으로 구성됨으로써, 커플링 하우징의 제조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종래의 철근 이음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의 연결부분을 체결관으로 보강함으로써 철근이 연결된 철근 이음장치의 시공 후에, 온도 변화에 따른 철근의 반복 신축으로 인하여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커플링 하우징을 단일의 관으로 구성하여 커플링 하우징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의 단부를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내부의 직경이 줄어드는 두 개의 반원통관으로 이루어진 압착 원통관으로 구성함으로써, 좀 더 견고하게 양측의 철근 단부를 압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의 압착 고정하는 압착 원통관의 전,후방의 두께를 얇게하면서, 압착 원통관의 둘레 내측돌출부들에 철근의 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함몰홈을 더 형성함에 따라, 압착 원통관의 둘레 내측돌출부가 철근의 외면에 거의 밀착되게 함으로써, 철근의 압착 고정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의 단부를 압착하는 양측의 압착 원통관의 외측에 양측 체결관의 원뿔형 관통홀에 삽입되는 원뿔형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압착 원통관의 내부 직경이 줄어드는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김볼트의 강한 당김력으로 양측의 압착 원통관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측의 철근을 좀 더 견고하게 압축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커플링 하우징의 내부 중앙의 상부에 위치된 누름 쐐기부재를 하부로 타격하는 과정을 통해, 양측의 압착 원통관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현장에서 별도의 체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양측의 철근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측의 압착 원통관 사이의 하부에 합성수지재의 중앙 받침부재를 내장시킴으로써, 당김볼트의 당김이나 타격봉이 타격으로 인하여 누름 쐐기부재가 하강될 경우에, 양측의 압착 원통관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격에 의해 양측 압착 관통관의 사이 상부에 박히는 누름 쐐기부재를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삽입 고정함으로써, 양측의 철근의 연결 상태를 거의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은 내부의 양측에 탭부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커플링 하우징과; 각각은 상기 탭부에 체결 장착되고, 내부에는 내측이 넓고 외측이 좁은 원뿔형 관통홀이 형성된 양측의 체결관과; 각각이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고, 각각의 내부에는 철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내부 압착홀이 형성되며, 각각은 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원뿔형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내부 압착홀의 직경을 줄어들게 함으로써 철근의 단부를 압착 고정하는 양측의 압착수단과; 양측의 상기 압착수단의 사이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양측의 압착수단을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시켜 양측 철근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상기 압착수단은,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분할되는 두 개의 반원통관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직경의 축소가 가능한 상기 내부 압착홀이 형성되며 내부 압착홀에는 좌우 간격을 두고 철근의 둘레 돌출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의 둘레 내측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압착 원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전,후방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수직면이 더 형성되어 전,후방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각각의 반원통관에 형성되는 둘레 내측돌출부들에는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함몰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상기 압착 원통관은, 외주연의 외측에 상기 원뿔형 관통홀에 밀착되도록 원뿔형 관통홀과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형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상기 연결 작동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내측면의 상부에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사이 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경사면에 밀착되는 쐐기 경사면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 탭홀이 형성된 누름 쐐기부재와;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하부 중앙에 상기 탭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탭홀에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누름 쐐기부재를 하강시켜 상기 양측의 압착 원통관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당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상기 연결 작동수단은, 상기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내측면의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내측면 하부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의 사이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당김볼트가 관통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하부 경사면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하부 경사면에 밀착되는 밀착 경사면이 형성되며,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중앙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상기 연결 작동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내측면의 상부에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높이를 달리하는 다단의 하부 걸림부가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진 쐐기 경사면이 형성되며, 각각의 쐐기 경사면의 외측에는 상기 하부 걸림부의 하부에 걸리는 다단의 상부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부의 중앙에는 탭홈이 형성되는 누름 쐐기부재와;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상부 중앙에 상기 탭홈과 상응되게 형성되는 타격 관통홀과: 상기 타격 관통홀을 관통하여 하부가 상기 탭홈에 체결되고 상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의 타격을 통해 상기 누름 쐐기부재를 하강시키는 타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상기 하부 걸림부는, 외측에 경사면에서 내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미끄럼경사면과, 하부 미끄럼경사면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걸림부는, 외측에 쐐기 경사면에서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상부 미끄럼경사면과, 상부 미끄럼경사면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상기 연결 작동수단은, 상기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내측면의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의 내측면 하부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의 사이 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하부 경사면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하부 경사면에 밀착되는 밀착 경사면이 형성되며,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는 유동 방지축이 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중앙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의 연결부분을 보강하여 철근 이음장치의 시공 후에, 온도 변화에 따른 철근의 반복 신축으로 인하여 커플링 하우징의 양측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플링 하우징을 단일의 관으로 구성하여 커플링 하우징의 제조 단가를 낮춤으로써 저가의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의 단부를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내부의 직경이 줄어드는 두 개의 반원통관으로 이루어진 압착 원통관으로 구성함에 따라, 좀 더 견고하게 양측의 철근 단부를 압착하여 연결함으로써, 연결력을 좀 더 향상시킨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의 압착 고정하는 압착 원통관의 전,후방의 두께를 얇게하면서, 압착 원통관의 둘레 내측돌출부들에 철근의 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함몰홈을 더 형성함에 따라, 압착 원통관의 둘레 내측돌출부가 철근의 외면에 거의 밀착되게 함으로써, 철근의 압착 고정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의 단부를 압착하는 양측의 압착 원통관의 외측에 양측 체결관의 원뿔형 관통홀에 삽입되는 원뿔형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압착 원통관의 내부 직경이 줄어드는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연결장치의 오작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김볼트의 강한 당김력으로 양측의 압착 원통관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양측의 철근을 좀 더 견고하게 압축 고정시킴으로써, 연결력이 좀 더 향상된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커플링 하우징의 내부 중앙의 상부에 위치된 누름 쐐기부재를 하부로 타격하는 과정을 통해, 양측의 압착 원통관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현장에서 별도의 체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양측의 철근을 연결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철근의 연결시 연결 시간을 최소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의 압착 원통관 사이의 하부에 합성수지재의 중앙 받침부재 내장시킴으로써, 당김볼트의 당김이나 타격봉의 타격으로 인하여 누름 쐐기부재가 하강될 경우에, 양측의 압착 원통관의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 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에 의해 양측 압착 관통관의 사이에 박히는 누름 쐐기부재를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삽입 고정함으로써, 양측의 철근의 연결 상태를 거의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철근 단부를 연결하기 전 상태이고,
도 1b는 철근 단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압착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 작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철근 단부를 연결하기 전 상태이고,
도 3b는 철근 단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a는 철근 단부를 연결하기 전 상태이고,
도 1b는 철근 단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압착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 작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철근 단부를 연결하기 전 상태이고,
도 3b는 철근 단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철근 단부를 연결하기 전 상태이고, 도 1b는 철근 단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압착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내부의 양측에 탭부(11)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커플링 하우징(1)과, 각각은 상기 탭부(11)에 체결 장착되고 내부에는 내측이 넓고 외측이 좁은 원뿔형 관통홀(21)이 형성된 양측의 체결관(2)과, 각각이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어 양측의 철근 단부를 압착을 통해 연결하는 양측의 압착수단(3)과, 양측의 압착수단(3)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연결 작동수단(4)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은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은 강도를 높이고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철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상기 체결관(2)은 상기 탭부(11)에 체결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원뿔형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이러한 원뿔형 관통홀(21)은 상기 압착수단(3)을 구성하는 압착 원통관(31)의 내부 직경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관(2)의 외측 둘레에는 봉등을 삽입하여 체결관(2)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용 홈(2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압착수단(3)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어 양측의 철근 단부를 압착을 통해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각각의 상기 압착수단(3)은 내부에 철근(100)의 단부가 삽입되는 내부 압착홀(33)이 형성되며, 각각은 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원뿔형 관통홀(21)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내부 압착홀(33)의 직경을 줄어들게 함으로써 철근(100)의 단부를 압착 고정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수단(3)은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분할되는 두 개의 반원통관(32)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직경의 축소가 가능한 상기 내부 압착홀(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압착홀(33)에는 철근(100)의 단부를 좀 더 견고하게 압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좌우 간격을 두고 철근의 둘레 돌출부(101)의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의 둘레 내측돌출부(33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근(100)의 단부를 압착하는 압착 원통관(31)을 내부의 직경이 줄어드는 두 개의 반원통관(32)으로 구성함으로써, 좀 더 견고하게 철근 단부를 압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압착 원통관의 둘레 내측돌출부가 철근의 외면에 거의 밀착되게 하여 철근의 압착 고정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전,후방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수직면(311)이 더 형성되어 전,후방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도록 하고, 각각의 반원통관에 형성되는 둘레 내측돌출부(331)들에는 철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 돌출부(102)가 삽입되는 함몰홈(332)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전,후방의 두께를 얇게하면서, 압착 원통관(31)의 둘레 내측돌출부(331)들에 철근의 측 돌출부(102)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함몰홈(3323)을 더 형성함에 따라, 압착 원통관(31)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둘레 내측돌출부(331)가 철근의 외면에 거의 밀착되게 함으로써, 철근의 압착 고정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외주연의 외측에는 압착 원통관(31)의 외측이 상기 원뿔형 관통홀(21)에 밀착되어 삽입 되도록, 원뿔형 관통홀(21)과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원뿔형 경사면(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근(100)의 단부를 압착하는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의 외측에 양측 체결관(2)의 원뿔형 관통홀(21)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원뿔형 경사면(34)을 더 형성함으로써, 압착 원통관(31)의 내부 직경이 줄어드는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작동수단(4)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상기 압착수단(3)의 사이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양측의 압착수단(3)을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측 철근(100)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 작동수단(4)은 양측의 철근(100)을 좀 더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의 상부에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41)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1)의 사이에 배치되는 누름 쐐기부재(42)와,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하부 중앙에 관통되고 상기 누름 쐐기부재(42)의 하부에 체결되어 조임을 통해 상기 누름 쐐기부재(42)를 하부로 당김으로써 상기 양측 압착 원통관(31)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당김볼트(44)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 쐐기부재(42)는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1)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강을 통해 상이 압착 원통관(31)을 양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41)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상기 경사면(41)에 밀착되는 쐐기 경사면(421)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 탭홀(4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당김볼트(44)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탭홀(422)과 상응되는 위치에 관통홀(4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당김볼트(44)는 관통홀(43)에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탭홀(422)에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누름 쐐기를 하강시켜 상기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당김볼트(44)의 강한 당김력으로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측의 철근 단부를 좀 더 견고하게 압축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당김볼트(44)를 통해 양측의 철근 단부를 좀 더 견고하게 압축 고정함으로써, 연결력이 향상된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작동수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의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41a)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하부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41)의 사이 배치되어 상기 당김볼트(44)의 당김으로 인하여 누름 쐐기부재(42)가 하강될 경우에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중앙 받침부재(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받침부재(5)는 중앙에 상기 당김볼트(44)가 헐거움끼워맞춤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관통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하부 경사면(41a)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하부 경사면(41a)에 밀착되는 밀착 경사면(51)이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중앙 받침부재(5)는 상기 누름 쐐기부재(42)의 하강시 누름 쐐기부재(42)의 누름에 의해 자연스럽게 깨져 높이가 낮아 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의 압착 원통관(31) 사이의 하부에 합성수지재의 중앙 받침부재(5)를 내장시킴에 따라, 상기 당김볼트(44)의 당김으로 인하여 누름 쐐기부재(42)가 하강될 경우에,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근 이음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이음장치를 통해 두 개의 철근(100)을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커플링 하우징(1)의 양측에 구비된 체결관(2)의 원뿔형 관통홀(21)에 두 개의 철근(100)의 철근 단부를 각각 관통시키면서, 각각의 철근 단부를 커플링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장착된 압착 원통관(31)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다음 커플링 하우징(1)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된 당김볼트(44)를 조임으로써, 누름 쐐기부재(42)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누름 쐐기부재(42)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누름 쐐기부재(42)의 양측에 형성된 쐐기 경사면(421)이 압착 원통관(31)의 내측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41)을 하부로 눌러줌으로써,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이 외측으로 이동된다.
다음 외측으로 이동되는 각각의 압착 원통관(31)은 외측의 단부가 상기 체결관(2)의 원뿔형 관통홀(21)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압착 원통관(31)을 구성하는 두 개의 반원통관(32)이 근접되게 됨에 따라 압착 원통관(31)의 내부 압착홀(33)의 직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각각의 압착 원통관(31)에 삽입된 양측의 철근 단부가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에 동시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 최종적으로, 상기 당김볼트(44)의 조임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두 개의 철근(100)의 연결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플링 하우징(1)의 양측의 연결부분을 보강하여 철근 이음장치의 시공 후에, 온도 변화에 따른 철근(100)의 반복 신축으로 인하여 커플링 하우징(1)의 양측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 작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철근 단부를 연결하기 전 상태이고, 도 3b는 철근 단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연결 작동수단(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상기 압착수단(3)의 사이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양측의 압착수단(3)을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측 철근(100)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다른 실시예의 연결 작동수단(4)은 양측의 철근(100)을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의 상부에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높이를 달리하는 다단의 하부 걸림부(451)가 형성되는 경사면(45)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5)의 사이에 배치되는 누름 쐐기부재(42)와,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상부 중앙에 관통되고 누름 쐐기부재(42)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단의 타격을 통해 상기 누름 쐐기부재(42)를 하부로 하강시켜 고정함으로써 양측 압착 원통관(31)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타격봉(49)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 쐐기부재(42)는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5)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강 고정을 통해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을 양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45)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진 쐐기 경사면(461)이 형성되며, 각각의 쐐기 경사면(461)의 외측에는 상기 하부 걸림부(451)의 하부에 걸리는 다단의 상부 걸림부(462)가 형성되고, 상부의 중앙에는 탭홈(4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타격봉(49)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탭홈(48)과 상응되는 위치에 타격 관통홀(4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타격봉(49)은 상기 타격 관통홀(47)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하부가 상기 탭홈(48)에 체결되고 상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의 타격을 통해 상기 누름 쐐기부재(46)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걸림부(451)는 외측에 경사면(45)에서 내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미끄럼경사면(451a)과, 하부 미끄럼경사면(451a)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451b)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걸림부(462)는 외측에 쐐기 경사면(461)에서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상부 미끄럼경사면(462a)과, 상부 미끄럼경사면(462a)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 걸림턱(462b)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철근 이음장치를 통해 두 개의 철근(100)을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커플링 하우징(1)의 양측에 구비된 체결관(2)의 원뿔형 관통홀(21)에 두 개의 철근(100)의 철근 단부를 각각 관통시키면서, 각각의 철근 단부를 커플링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장착된 압착 원통관(31)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다음 커플링 하우징(1)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된 타격봉(49)을 망치로 타격함으로써 누름 쐐기부재(46)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누름 쐐기부재(46)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누름 쐐기부재(42)의 양측에 형성된 쐐기 경사면(461)이 압착 원통관(31)의 내측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45)을 하부로 눌러주면서,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이 외측으로 이동된다.
다음 외측으로 이동되는 각각의 압착 원통관(31)은 외측의 단부가 상기 체결관(2)의 원뿔형 관통홀(21)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압착 원통관(31)을 구성하는 두 개의 반원통관(32)이 근접되게 됨에 따라 압착 원통관(31)의 내부 압착홀(33)의 직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각각의 압착 원통관(31)에 삽입된 양측의 철근 단부가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에 동시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이 외측으로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누름 쐐기부재(42)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누름 쐐기부재(42)의 양측에 형성된 쐐기 경사면(461)의 상부 걸림부(462)가 양측 압착 원통관(31)의 경사면(45)에 형성된 하부 걸림부(451)에 걸리게 됨으로써, 누름 쐐기부재(42)가 양측 압착 원통관(31)의 경사면(45)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 최종적으로, 상기 당김볼트(44)의 조임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두 개의 철근(100)의 연결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커플링 하우징(1)의 내부 중앙의 상부에 위치된 누름 쐐기부재(42)를 하부로 타격하는 과정만을 통해,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현장에서 별도의 체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양측의 철근(100)을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현장에서 망치의 타격만을 통해 철근(100)을 연결함으로써, 철근(100)의 연결시 연결 시간을 최소로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격을 통해, 양측 압착 원통관(31)의 사이 상부에 박히는 누름 쐐기부재(42)를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삽입 고정함으로써, 양측의 철근(100)의 연결 상태를 거의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연결작동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의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45a)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하부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45a)의 사이 배치되어 상기 타격봉(49)의 타격으로 인하여 누름 쐐기부재(46)가 하강될 경우에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중앙 받침부재(5)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받침부재(5)는 양측에 상기 하부 경사면(45a)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하부 경사면(45a)에 밀착되는 밀착 경사면(51)이 형성되며,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중앙을 관통하는 유동 방지축(52)이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중앙 받침부재(5)는 상기 누름 쐐기부재(42)의 하강시 누름 쐐기부재(46)의 누름에 의해 자연스럽게 깨져 높이가 낮아 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의 압착 원통관(31) 사이의 하부에 합성수지재의 중앙 받침부재(5)를 내장시킴에 따라, 상기 타격봉(49)의 타격으로 인하여 누름 쐐기부재(42)가 하강될 경우에,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커플링 하우징
11 : 탭부
2 : 체결관
21 : 원뿔형 관통홀
22 : 회전용 홈
3 : 압착수단
31 : 압착 원통관
311 : 수직면
32 : 반원통관
33 : 내부 압착홀
331 : 둘레 내측돌출부, 332 : 함몰홈
34 : 원뿔형 경사면
4 : 연결 작동수단
41 : 경사면, 41a : 하부 경사면
42 : 누름 쐐기부재
421 : 쐐기 경사면, 422 : 탭홀
43 : 관통홀
44 : 당김볼트
45 : 경사면, 45a : 하부 경사면
451 : 하부 걸림부, 451a : 하부 미끄럼경사면,
451b : 하부 걸림턱
46 : 누름 쐐기부재
461 : 쐐기 경사면, 462 : 상부 걸림부,
462a : 상부 미끄럼경사면, 462b : 상부 걸림턱
47 : 타격 관통홀
48 : 탭홈
49 : 타격봉
5 : 중앙 받침부재
51 : 밀착 경사면
52 : 유동 방지축
100 : 철근
101 : 둘레 돌출부
102 : 측 돌출부
11 : 탭부
2 : 체결관
21 : 원뿔형 관통홀
22 : 회전용 홈
3 : 압착수단
31 : 압착 원통관
311 : 수직면
32 : 반원통관
33 : 내부 압착홀
331 : 둘레 내측돌출부, 332 : 함몰홈
34 : 원뿔형 경사면
4 : 연결 작동수단
41 : 경사면, 41a : 하부 경사면
42 : 누름 쐐기부재
421 : 쐐기 경사면, 422 : 탭홀
43 : 관통홀
44 : 당김볼트
45 : 경사면, 45a : 하부 경사면
451 : 하부 걸림부, 451a : 하부 미끄럼경사면,
451b : 하부 걸림턱
46 : 누름 쐐기부재
461 : 쐐기 경사면, 462 : 상부 걸림부,
462a : 상부 미끄럼경사면, 462b : 상부 걸림턱
47 : 타격 관통홀
48 : 탭홈
49 : 타격봉
5 : 중앙 받침부재
51 : 밀착 경사면
52 : 유동 방지축
100 : 철근
101 : 둘레 돌출부
102 : 측 돌출부
Claims (9)
- 내부의 양측에 탭부(11)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커플링 하우징(1)과;
각각은 상기 탭부(11)에 체결 장착되고, 내부에는 내측이 넓고 외측이 좁은 원뿔형 관통홀(21)이 형성된 양측의 체결관(2)과;
각각이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고, 각각의 내부에는 철근(100)의 단부가 삽입되는 내부 압착홀(33)이 형성되며, 각각은 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원뿔형 관통홀(21)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내부 압착홀(33)의 직경을 줄어들게 함으로써 철근(100)의 단부를 압착 고정하는 양측의 압착수단(3)과;
양측의 상기 압착수단(3)의 사이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양측의 압착수단(3)을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시켜 양측 철근(100)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작동수단(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3)은,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분할되는 두 개의 반원통관(32)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직경의 축소가 가능한 상기 내부 압착홀(33)이 형성되며 내부 압착홀(33)에는 좌우 간격을 두고 철근의 둘레 돌출부(101)의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의 둘레 내측돌출부(331)가 더 형성되는 압착 원통관(3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전,후방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수직면(311)이 더 형성되어 전,후방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각각의 반원통관(32)에 형성되는 둘레 내측돌출부(331)들에는 철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 돌출부(102)가 삽입되는 함몰홈(3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원통관(31)은,
외주연의 외측에 상기 원뿔형 관통홀(21)에 밀착되도록 원뿔형 관통홀(21)과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형 경사면(3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작동수단(4)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의 상부에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경사면(41)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1)의 사이 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41)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경사면(41)에 밀착되는 쐐기 경사면(421)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 탭홀(422)이 형성된 누름 쐐기부재(42)와;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하부 중앙에 상기 탭홀(422)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43)과;
상기 관통홀(43)에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탭홀(422)에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누름 쐐기부재(42)를 하강시켜 상기 양측의 압착 원통관(31)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당김볼트(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작동수단은,
상기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의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41a)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하부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41a)의 사이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당김볼트(44)가 관통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하부 경사면(41a)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하부 경사면(41a)에 밀착되는 밀착 경사면(51)이 형성되며,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중앙 받침부재(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철근 이음장치.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작동수단(4)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의 상부에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높이를 달리하는 다단의 하부 걸림부(451)가 형성되는 경사면(45)과;
상기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5)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45)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진 쐐기 경사면(461)이 형성되며, 각각의 쐐기 경사면(461)의 외측에는 상기 하부 걸림부(451)의 하부에 걸리는 다단의 상부 걸림부(462)가 형성되고, 상부의 중앙에는 탭홈(48)이 형성되는 누름 쐐기부재(46)와;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상부 중앙에 상기 탭홈(48)과 상승되게 형성되는 타격 관통홀(47)과;
상기 타격 관통홀(47)을 관통하여 하부가 상기 탭홈(48)에 체결되고 상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의 타격을 통해 상기 누름 쐐기부재(42)를 하강시키는 타격봉(4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걸림부(451)는, 외측에 경사면(45)에서 내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미끄럼경사면(451a)과, 하부 미끄럼경사면(451a)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451b),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걸림부(462)는, 외측에 쐐기 경사면(461)에서 외측으로 상향지게 형성되는 상부 미끄럼경사면(462a)과, 상부 미끄럼경사면(462a)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 걸림턱(46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작동수단은,
상기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의 하부에 외측으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45a)과;
양측의 상기 압착 원통관(31)의 내측면 하부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45a)의 사이 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하부 경사면(45a)과 상응되는 기울기로 경사져 하부 경사면(45a)에 밀착되는 밀착 경사면(51)이 형성되며,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커플링 하우징(1)의 중앙을 관통하는 유동 방지축(52)이 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중앙 받침부재(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철근 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5658A KR101807562B1 (ko) | 2015-12-10 | 2015-12-10 | 철근 이음장치 |
CN201610325816.0A CN106869408A (zh) | 2015-12-10 | 2016-05-17 | 一种钢筋连接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5658A KR101807562B1 (ko) | 2015-12-10 | 2015-12-10 | 철근 이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8773A true KR20170068773A (ko) | 2017-06-20 |
KR101807562B1 KR101807562B1 (ko) | 2018-01-18 |
Family
ID=5923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5658A KR101807562B1 (ko) | 2015-12-10 | 2015-12-10 | 철근 이음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7562B1 (ko) |
CN (1) | CN10686940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4739B1 (ko) * | 2018-11-19 | 2020-02-07 | 주식회사 대동엠에스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38913B (zh) * | 2017-08-25 | 2020-02-21 |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 用于带有墩头的钢筋连接器 |
CN113235569B (zh) * | 2021-05-31 | 2023-03-28 |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地连墙榫卯式钢筋骨架连接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7750B1 (ko) * | 1999-04-13 | 2001-12-22 | 배명오 | 철근 이음쇠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
KR100375655B1 (ko) * | 2001-02-14 | 2003-03-19 | 김용근 | 철근 연결구 |
KR100594751B1 (ko) * | 2003-09-09 | 2006-07-03 | 주덕성 | 철근 이음구 |
KR20120133972A (ko) * | 2011-05-30 | 2012-12-11 | 미래테크(주) | 철근 연결 장치 |
CN102852284A (zh) * | 2012-09-01 | 2013-01-02 | 青岛森林金属制品有限公司 | 锥套锁紧式钢筋连接接头 |
CN203594221U (zh) * | 2013-11-18 | 2014-05-14 | 中煤建筑安装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钢筋或钢管的快速对接夹接接头器 |
KR101490701B1 (ko) * | 2014-10-14 | 2015-02-06 | 박찬원 |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결합구조 |
-
2015
- 2015-12-10 KR KR1020150175658A patent/KR1018075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5-17 CN CN201610325816.0A patent/CN106869408A/zh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4739B1 (ko) * | 2018-11-19 | 2020-02-07 | 주식회사 대동엠에스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WO2020105897A1 (ko) * | 2018-11-19 | 2020-05-28 | 주식회사 대동엠에스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US11732479B2 (en) | 2018-11-19 | 2023-08-22 | Dae Dong M.S. Ltd. | Sleeve for connecting steel b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7562B1 (ko) | 2018-01-18 |
CN106869408A (zh) | 2017-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7562B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101988611B1 (ko) |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 |
US20040071507A1 (en) | Reinforcing bar coupling | |
KR20010034756A (ko) | 두 개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 결합 장치 및두 개의 부품 간의 콤비네이션, 두 개의 부품간의 조인트제조 방법 | |
KR101340955B1 (ko) | 커플러 | |
KR20230033011A (ko) | 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phc 파일 구조체 | |
JP2004503726A (ja) | 締結装置 | |
KR102101699B1 (ko) | 철근 연결용 커플링 | |
WO2010140277A1 (ja) | 木質材接合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接合部材 | |
KR101858024B1 (ko) | 철근이음장치 | |
WO2006121301A1 (en) | Anchor bolt assembly | |
KR101908718B1 (ko) | 슬리브 일체형 앵커볼트 | |
JPH0752283Y2 (ja) | クサビ式ジョイント | |
KR101942456B1 (ko) | 앵커 볼트 | |
JP5089141B2 (ja) | 耐震スリットの補強金具 | |
KR102159759B1 (ko) | 원터치 가압 체결이 가능한 콘크리트 매립형 앵커 및 그 설치방법 | |
KR101677423B1 (ko) | 빔 연결 고정 장치 | |
KR200374886Y1 (ko) | 철근이음장치 | |
KR101905667B1 (ko) | 자동 체결 조인트 | |
JP2002146779A (ja) | 杭の接続構造 | |
JP2004293231A (ja) | 鋼管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 |
JP5342837B2 (ja) | 木造建物の軸組材のパイプ状接合金具 | |
JP5009086B2 (ja) | 管継手 | |
WO2009133601A1 (ja) | 接合具およびフレーム構造体 | |
KR102446331B1 (ko) | 거푸집용 세파타이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